맨위로가기

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는 16세기 후반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을 이끈 코사크 지도자이다. 그는 스트로가노프 가문의 지원을 받아 시베리아 칸국을 정복하고 러시아의 시베리아 지배를 강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예르마크는 시베리아 원정 중 사망했지만, 그의 업적은 러시아에서 영웅으로 추앙받았으며, 다양한 기념물과 문학 작품으로 기념되고 있다. 예르마크의 시베리아 정복은 시베리아 원주민들에게 억압과 착취를 가져왔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기사 - 드미트리 포자르스키
    드미트리 포자르스키는 혼란 시대에 러시아를 구원하고 로마노프 왕조를 옹립하는 데 기여한 러시아 차르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쿠즈마 미닌과 함께 제2차 의용군을 조직하여 모스크바를 해방시키고 국가 행정 및 군사 분야에서 활약하며 애국심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시베리아 탐험가 - 알렉산드르 콜차크
    알렉산드르 콜차크는 러시아 제국의 해군 장교이자 북극 탐험가로, 러시아 혁명 이후 백군을 이끌고 볼셰비키에 대항했으나 처형되었으며, 군사적 업적과 가혹한 통치로 기억되는 인물이다.
  • 시베리아 탐험가 - 비투스 베링
    비투스 베링은 표트르 대제의 명령으로 캄차카 탐험대를 이끌고 시베리아 동부와 북아메리카 북서부 해안을 탐험하여 베링 해협 등 자신의 이름이 붙은 지명을 남긴 덴마크 출신 러시아 해군 장교이자 탐험가이다.
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7세기 예르마크 초상화, 시베리아 탐험과 정복의 첫 번째 러시아 지도자
본명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
다른 이름예르마크
알려진 이유코사크, 이반 뇌제 통치 하에 시베리아 정복을 이끈 러시아 탐험
출생 및 사망
출생1532년과 1542년 사이
출생지추소바야 강, 북드비나 강, 카마 강 또는 돈 강, 러시아
사망1585년 8월 5일 또는 6일 (43~53세)
사망 장소시비랴크, 카실리크, 시비르 칸국, 러시아
직업
직업군인
탐험가
짐꾼
선원
강도
민족 및 소속
민족코사크
서명
관련 웹사이트
로마자 표기
러시아어Yermak Timofeyevich
러시아어 (IPA)
러시아어 (IPA)jɪrˈmak tʲɪmɐˈfʲejɪvʲɪt͡ɕ

2. 역사적 배경

1500년대 후반, 러시아는 모피 무역을 통한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며 시베리아 동쪽으로 영토를 확장하려 했다. 이반 3세 시대부터 이러한 시도가 있었으나, 북서쪽 루트는 매우 어려웠다.[21] 이반 4세(뇌제)는 카잔 칸국을 정복한 후, 남쪽 루트를 통해 시베리아 진출을 가속화했다.

이반 4세는 스트로가노프 가문에게 카마 강 유역의 식민지화 권한을 부여하고, 시비르 칸국을 비롯한 시베리아 원정을 지원했다. 스트로가노프 가문은 1574년 우랄 산맥 동쪽 투라 강과 토볼 강 지역에 도달했고, 1581년에는 코사크를 고용하여 원주민의 습격을 막는 허가를 받았다.

당시 시베리아에는 시비르 칸국을 비롯한 여러 부족들이 할거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러시아의 팽창에 저항했다. 특히 시비르 칸국모스크바 대공국과 적대적인 관계에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트로가노프 가문은 예르마크를 고용하여 시비르 칸국 공략을 제안했다.

2. 1. 시비르 칸국과의 관계

이반 3세 시대부터 러시아는 모피를 찾아 시베리아 동쪽으로 진출하려 했다. 그러나 시베리아 북서쪽 루트는 너무 힘들고 어려웠다.[21] 이반 뇌제카잔 칸국을 통해 남쪽으로 진입하는 것이 더 쉽다고 판단하고, 1552년 카잔을 함락시켰다. 이후 스트로가노프 가문은 카잔 칸국을 발판 삼아 시베리아 남서쪽에 사유 제국을 건설했다.[1]

이반 뇌제는 스트로가노프 가문에게 토볼 강과 이르티시 강을 따라 쿠춤 칸의 영토로 확장할 수 있는 허가를 내렸다.[23] 스트로가노프 가문은 시비르 칸국으로 진출하여 서쪽 시베리아의 모피를 통제하려 했다.[25]

1560년대 칭기즈칸의 후손인 쿠춤 칸이 등장하면서 시비르 칸국은 안정을 되찾았다.[24][26] 쿠춤 칸은 스트로가노프 가문의 확장을 막기 위해 이웃들과 동맹을 맺고, 1572년 스트로가노프 정착지에 첫 번째 습격을 가해 100여 명의 사상자를 냈다.[27] 1573년, 쿠춤의 조카 마흐메트-쿨(Mahmet-kul)이 타타르 군대를 지휘하게 되자, 스트로가노프 가문은 차르에게 아시아 침략을 허락받았다.[27] 그러나 차르는 곧 마음을 바꿔 스트로가노프 가문에게 시베리아에서 철수하라고 명령했다.[2]

스트로가노프 가문은 차르의 명령을 무시하고, 1570년대 후반 코사크 전사들을 모집하여 예르마크를 지휘관으로 선출했다.[2] 스트로가노프 연대기는 예르마크 원정의 동기가 스트로가노프 가문이라고 묘사하지만, 예시포프 연대기는 언급하지 않아 논란이 있다.[29]

1579년 또는 1581년 9월, 예르마크의 군사 540명은 시비르 칸국의 수도 카실리크(이스케르)를 공격했다. 당시 시비르 칸국의 지배자는 쿠춤 칸이었다. 카실리크 근교 이르티시 강의 추바시 곶에서 벌어진 전투(추바시 곶 전투)에서 예르마크는 승리하고 카실리크를 점령했다. 쿠춤 칸 등은 수도를 버리고 초원으로 도망쳤다.

3. 예르마크의 생애

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매우 부족하며, 그의 생애는 대부분 민담전설에 의존한다. 당대의 기록은 전무하며, 초상화도 추정일 뿐이다.[3] 그의 본명조차 확실하지 않아, '예르마크'가 러시아어 이름의 애칭이거나 타타르어에서 유래한 별명이라는 설이 있을 뿐이다.

“예르마크의 죽음, 1584년" 『러시아 역사 이야기』 L. P. 셰르구노바(Л. П. Шергунова) 저의 표지에서. 1901년


예르마크 사후 100년 이상 지나 쓰여진 『레메조프 연대기』에서는 그를 "납작한 얼굴에 곱슬머리의 검은 수염을 가진, 중간 키에 체격이 단단하고 어깨가 넓은" 사람으로 묘사하지만,[8][9] 이 역시 직접 본 사람이 쓴 기록이 아니므로 신뢰하기 어렵다.[3] 러시아 작가 발렌틴 라스푸틴은 예르마크가 러시아에 기여한 업적에 비해 그에 대한 정보가 너무 부족하다고 개탄했다.[11]

예르마크의 삶과 업적을 연구하는 데에는 주요 사료인 『스트로가노프 연대기』와 『시노드니크』가 편향되거나 부정확할 수 있다는 어려움이 따른다. 『스트로가노프 연대기』는 스트로가노프 가문이 의뢰한 것이므로 가문의 역할을 과장했을 가능성이 있고, 『시노드니크』는 예르마크 원정 40년 후 토볼스크의 대주교 키프리안이 쓴 기록으로, 구전과 기억에 의존했기 때문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13][14]

이러한 모순된 기록들 때문에 예르마크의 삶에 대한 진실을 파악하기는 어렵지만,[10] 이러한 기록들과 민담, 전설만이 유일한 자료이기에, 역사가들은 이를 바탕으로 예르마크에 대한 지식을 구성할 수밖에 없다.[13]

스트로가노프 가문은 이반 4세로부터 카마 강 연안 지역을 식민지화하는 허가를 받았다.[15] 1574년에는 우랄 산맥의 카마 강 수계와 오브 강 수계가 복잡하게 얽힌 저지대를 넘어 투라 강과 토볼 강 지역에 도달했다. 스트로가노프 가문은 영토와 사업을 보호하기 위해 차르 정부에 요새 건설 허가를 요청하여 허가를 받았다. 1581년에는 코사크를 고용하여 보구르인(만시인)의 습격을 막는 허가를 받았다.

이런 상황에서 모스크바 대공국과 적대하는 시비르 칸국이 공격해 오자, 스트로가노프 가문은 예르마크에게 시비르 칸국 공략을 제안했다.

3. 1. 출신 및 초기 활동

예르마크의 출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돈 코사크 출신이라는 설, 우랄 지방 출신이라는 설, 모스크바 대공국 농민 출신이라는 설 등이 있지만, 어느 것이 정확한지 알 수 없다.

전설에 따르면 예르마크는 용감하고 결단력 있는 지도자였다고 한다. 그는 볼가 강에서 해적 활동을 하기도 했다. 리보니아 전쟁에 참전하여 군사적 경험을 쌓았다.[3][11][18]

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Ермак Тимофеевич)의 본명은 알려져 있지 않다. 전승에 따르면 본명은 바실리[106]라고 하나, 이를 뒷받침하는 자료는 없다. 역사학자들 사이에서는 “예르마크”가 러시아어 이름의 애칭이거나, 타타르어에서 온 별명이라고 생각한다.

부유한 상인 가문인 스트로가노프 가문은 이반 4세로부터 카마 강 연안 지역을 식민지화하는 허가를 받았다.[15] 1574년에는 우랄 산맥의 카마 강 수계와 오브 강 수계가 복잡하게 얽힌 저지대를 넘어 투라 강과 토볼 강 지역에 도달했다. 스트로가노프 가문은 영토와 사업을 보호하기 위해 차르 정부에 요새 건설 허가를 요청하여 허가를 받았다.

3. 2. 시베리아 원정

예르마크는 강의 짐 운반로를 이용하여 추소바야 강에서 타길 강으로 이동했다.


바실리 수리코프의 1895년 작품 "예르마크의 시베리아 정복".


예르마크는 1582년 봄 스트로가노프 가문에 공식적으로 고용되었다.[3] 그의 임무는 “차르의 1574년 칙령에 따라 이미 스트로가노프 가문의 소유였던 토볼 강과 이르티시 강 유역의 영토를 사실상 점령하는 것”이었다.[31] 스트로가노프 가문의 궁극적인 목표는 남쪽 통로를 통해 망가세야로 가서 모피를 확보하는 것이었는데, 시비르 칸국이 우랄 산맥에서 망가세야로 가는 길을 막고 있었다.[31][32]

예르마크는 스트로가노프 가문이 제공한 300명을 포함하여 840명의 소규모 군대를 이끌었다.[3][14][31] 그의 군대는 “러시아인, 타타르인, 리투아니아인, 그리고 독일인”으로 구성되었다.[31] 니키타와 막심 스트로가노프는 20000RUB을 들여 당시 최고의 무기를 군대에 지급했다.[31]

예르마크는 1582년 9월 1일 Perm의 추소바야 강변 국경 요새에서 시베리아 원정을 시작했다.[33] 다만, 다른 자료에 따르면 1579년이나 1581년에 원정을 시작했을 가능성도 있다.[23][34] 이들은 강을 따라 항해할 때 러시아에서 온 높은 측면을 가진 배를 사용했는데, 여정 내내 쿠춤 칸의 토착 부족 동맹군의 격렬한 저항에 직면했지만 배의 높은 측면은 방패 역할을 했다.[33] 우랄 산맥을 넘을 때 코사크들은 말이 없었기 때문에 소지품을 등에 지고 옮겨야 했다.[35] 두 달 후, 예르마크의 군대는 마침내 우랄 산맥을 넘어 투라 강을 따라 이동하여 쿠춤 칸 제국의 변두리에 도착했고, 곧 왕국의 수도인 카실리크에 도착했다.

1582년 10월 23일, 예르마크의 군대는 추바시 곶 전투를 벌였다. 이는 쿠춤의 조카 메흐메트-쿨과 타타르 군대와의 3일간의 전투였다. 예르마크의 보병은 집중적인 머스킷 사격으로 타타르의 돌격을 막았고, 메흐메트-쿨이 부상을 입었으며, 타타르는 러시아군에게 단 한 명의 사상자도 내지 못했다. 예르마크는 카실리크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고, 이 전투는 “시베리아 정복”을 알리는 전투가 되었다.[4]

카실리크 점령으로 코사크 병력은 500명으로 줄었고,[37][38] 보급 문제에 직면했다. 타타르 도시에서 모피, 비단, 금과 같은 보물을 발견했지만, 식량이나 보급품은 남아 있지 않았고, 주민들도 도시에서 도망쳤기 때문에 도움을 받을 수 없었다.[39] 그러나 예르마크가 카실릭을 점령한 지 나흘 만에 주민들이 돌아왔고, 예르마크는 오스티야크 사람들과 친분을 맺었다.[38] 오스티야크 사람들은 10월 30일 예르마크에게 공식적으로 충성을 맹세하고, 식량을 도시에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서약을 보충했다.[39]

예르마크는 오스티야크의 조공을 사용하여 겨울 동안 코사크 부대에 식량을 공급했다.[38] 그러나 보급품은 부족했고, 코사크들은 곧 고기를 잡고 사냥하기 위해 야생으로 들어갔다.[39] 예르마크가 타타르인들을 물리쳤음에도 불구하고, 타타르인들은 코사크들을 계속 괴롭히며 예르마크가 지역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확립하는 것을 막았다.[40] 12월 20일, 20명의 코사크 부대가 타타르인들에게 살해당했다. 예르마크는 조사 결과 메흐메트-쿨이 이전 전투에서 회복하여 코사크들의 살해에 책임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 메흐메트-쿨과 그의 부대와 다시 전투를 벌여 그를 패배시켰다.[39]

메흐메트-쿨의 패배는 코사크들에게 잠깐의 휴식을 제공했지만, 1583년 4월, 그가 다시 그 지역으로 돌아왔다.[41] 그는 10명[41]에서 50명[42]에 이르는 소규모 코사크 부대에게 기습적으로 포로로 잡혔다. 며칠 후, 메흐메트-쿨은 쿠춤에게 자신이 살아있고 건강하다고 전하는 사자를 보냈고, 코사크들과 예르마크에게 조공을 바치는 사람들에 대한 공격을 중단할 것을 요청했다.[43]

예르마크는 이 시기를 이용하여 이르티시 강과 오브 강을 따라 이동하며 지역 부족 왕자들을 완전히 정복했다. 이르티시 강변 요새에 2,000명의 충성스러운 전사들과 함께 요새를 구축한 오스티야크 데미안 왕자를 만났는데, 데미안이 금으로 장식된 우상을 소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예르마크와 그의 부하들이 방어를 돌파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예르마크의 군대는 결국 승리했지만, 요새에 들어가 보니 우상은 없었다. 예르마크는 화기를 휘두르며 사제들과 전사들을 해산시킨 후, 다른 8명의 왕자들과 연합한 오스티야크 왕자 사마르를 정복하기로 결정했다. 사마르가 자신의 야영지 주변에 경비를 배치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고 기습 공격을 가하여 사마르를 죽이고 그의 부대를 해산시켰다. 그 후 다른 8명의 왕자들로부터 조공을 받았다. 이 정복 후, 강을 따라 계속 이동하여 중요한 오스티야크 도시인 나짐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는데, 이 전투에서 예르마크의 친구인 아타만 니키타 판과 여러 코사크들이 목숨을 잃었다. 예르마크는 오브 강을 따라 이동하여 여러 개의 작은 요새를 정복했고, 강이 3~4벌스트(vers) 폭으로 넓어진 지점에 도달한 후, 원정을 중단하고 부대를 카실릭으로 돌아갔다.[44]

3. 3. 최후

1584년 8월, 예르마크는 부하라 상인들을 구출하기 위해 군사를 이끌고 나섰으나, 이는 쿠춤 칸이 흘린 거짓 정보였다.[40][57] 예르마크는 카쉴리크로 돌아가려 했으나, 폭풍우[57] 또는 부하들의 피로[69] 때문에 이르티시강의 작은 섬에서 야영하게 되었다.[40][69]

1584년 8월 4일에서 5일 밤, 예르마크와 그의 부대는 경계 없이 잠들었고, 쿠춤 칸의 군대는 이 틈을 타 기습 공격을 가했다.[5] 폭풍우 소리와 어둠 속에서 쿠춤 칸의 군대는 쉽게 접근했고, 예르마크 부대는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학살당했다.[40][5] 전설에 따르면, 예르마크는 차르에게 하사받은 무거운 갑옷 때문에 강을 건너지 못하고 익사했다고 한다.[5]

예르마크의 시체는 7일 후 타타르 어부에게 발견되었고,[57] 그의 갑옷은 타타르 추장들에게 나누어졌다.[5] 1585년 8월 5일 또는 6일에 벌어진 와가이강 전투에서 예르마크의 부대는 시비르 칸국의 잔당에게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다. 예르마크 자신도 이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전사했다.

4. 시베리아 원정의 결과 및 영향

예르마크의 시베리아 원정은 단순한 군사적 승리가 아니라 러시아 역사와 시베리아 지역 전체에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예르마크 사후, 코사크들은 사기가 저하되어 지휘권이 글루호프에게 넘어갔다.[75] 이들은 카실릭을 버리고 러시아로 후퇴했으나, 차르가 보낸 증원군을 만나 카실릭으로 돌아가 방어 시설을 재정비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타타르인들이 도시를 탈환하면서 이는 실패했다. 타타르의 입장이 강력해 보였지만, 쿠춤의 지휘를 받지 않아 이전만큼 안정적이지 않았다. 이후 차르가 보낸 증원군이 합류하면서 러시아군의 전투력은 크게 향상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인들은 카실릭을 다시 공격하지 않고, 1587년 토볼스크를 건설하여 새로운 정착지를 마련했다.[73]

예르마크의 노력은 러시아의 확장과 정착의 기반을 마련했다. 그의 원정 직후 상인과 농민들이 시베리아로 이주하여 모피 자원을 이용하고자 했다.[76] 예르마크의 전설이 퍼지면서 이러한 경향은 더욱 가속화되었다.[77] 1586년에는 튜멘이 건설되었고,[74] 시베리아 농업이 발전하기 시작했다.[78]

예르마크는 시베리아 확장에 코사크가 참여하는 선례를 만들었고, 이들의 탐험과 정복은 동쪽에서 러시아 제국의 영토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79] 보리스 고두노프의 지휘 아래 요새화 프로젝트가 시작되면서 더 많은 사람들이 시베리아로 이주했다.[80] 1590년 토볼스크는 시베리아의 주요 도시이자 행정 중심지가 되었고,[81] 1593년에는 베레조프라는 무역 중심지가 설립되었다.[82] 17세기에는 모피가 차르 재정 수입의 25~33%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했다.[76] 예르마크 사망 15년 후, 오브 강 유역은 러시아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83] 17세기 전반에는 예니세이스크 요새(1619년), 야쿠츠크시(1632년)가 건설되었고, 1639년에는 오호츠크 해에 도달했다.[84]

예르마크의 정복은 시베리아에 대한 러시아의 정책을 방어에서 공격으로 전환시켰다.[7] 차르의 개입을 이끌어냈고, "시베리아 차르"라는 칭호를 사용하게 했다.[85] 정복된 사람들로부터 공물을 얻는 시스템을 확립했다.[86] 미래의 탐험가들은 예르마크의 전략, 즉 통일되지 않은 쿠춤의 영토를 이용하여 지역에 영향력을 확립하는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을 주목했다.[32]

러시아 전역에는 예르마크의 업적을 기리는 여러 동상과 기념비가 세워졌다. V. A. 베클레미셰프는 노보체르카스크에 예르막 기념비 건립 프로젝트를 시작했다.[89] 마르크 안토콜스키가 디자인한 예르막 동상은 토볼스크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러시아 국립 박물관에 있다.[91]

예르막의 이름을 딴 두 척의 쇄빙선이 건조되었다.[92] 상이르티시 강 상류에는 예르막의 이름을 딴 도시가 있으며,[92] 페름주에는 예르막 암석이라 불리는 산이 있다.[93]

4. 1. 러시아의 시베리아 지배 강화

예르마크의 시베리아 원정 이후, 러시아는 시베리아에 대한 지배를 강화하고 동쪽으로 영토를 넓혀 나갔다. 시베리아의 풍부한 모피 자원은 러시아 경제에 큰 도움이 되었다.

예르마크가 스트로가노프 가문에 고용되어 시베리아 원정을 시작한 것은 1582년 봄이었다.[3] 그의 임무는 스트로가노프 가문의 영토였던 토볼 강과 이르티시 강 유역을 점령하는 것이었다.[31] 시베리아 칸국을 정복한 후, 예르마크는 8,000km에 달하는 여정을 거쳐 베링 해협까지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1582년 9월 1일, 예르마크는 추소바야 강변의 국경 요새에서 시베리아 원정을 시작했다.[33] (다른 자료에서는 1579년 또는 1581년에 시작했다고도 한다.)[23][34] 추바시 곶 전투에서 승리하고 카실릭을 점령하면서 "시베리아 정복"이 시작되었다.[4]

예르마크는 오스티야크인들의 조공(야사크)을 받아 코사크 부대에 식량을 공급했다.[38] 이르티시 강과 오브 강을 따라 이동하며 여러 부족을 정복하고, 나짐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44]

예르마크는 이반 4세에게 자신의 정복을 알리고 지원을 요청했다. 이반 4세는 예르마크를 "시베리아의 왕자"로 칭하고[60] 지원군을 파견했다.[55]

예르마크 사후, 러시아는 튜멘(1586년)을 시작으로 시베리아에 도시를 건설하고 식민지화를 추진했다.[74] 토볼스크는 시베리아의 주요 도시이자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81] 17세기 전반에는 예니세이스크 요새(1619년), 야쿠츠크시(1632년)가 건설되었고, 1639년에는 오호츠크 해에 도달했다.[84]

그러나 시베리아 원주민들은 러시아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으며, 조공을 바치는 등 억압과 착취를 겪었다.

4. 2. 코사크의 역할 변화

예르마크의 원정 이전 코사크는 주로 러시아 정부에 반항하는 무리로 여겨졌다. 그러나 예르마크는 이반 뇌제에게 편지를 보내고 그의 심복 이반 콜조를 파견하여 코사크의 이미지를 반란군에서 모스크바 차르가 인정하는 군인으로 바꾸었다.[87] 이로써 예르마크의 코사크는 사실상 군사 시스템에 통합되어 차르의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87]

이러한 변화는 러시아 국경에서 문제를 일으켰던 코사크들에게 일종의 압력 해소 밸브 역할을 했다. 가능한 한 많은 코사크를 동쪽의 정복되지 않은 땅으로 보냄으로써 러시아 영토 국경 지역은 안정을 찾을 수 있었다.[77] 예르마크의 지원 요청은 정부와의 유대 관계로 인해 훗날 러시아 통치자들로부터 상당한 호의를 얻는 새로운 유형의 코사크를 탄생시켰다. 시베리아에서 코사크라는 이름은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증원군으로 파견된 병사들도 종종 이 칭호를 채택했다.[88]

이러한 변화에는 비판도 따랐다. 일부는 예르마크를 코사크의 배신자로 보았고, 그의 죽음을 코사크 규범에서 벗어나 차르의 꼭두각시가 된 것에 대한 처벌로 여겼다. 공교롭게도 차르의 상징인 그의 갑옷이 그를 죽음으로 이끌었다.[69]

예르마크의 유물은 그의 사후 수년 동안 상당한 힘과 명성을 유지했다. 특히 그의 갑옷을 찾는 일은 시베리아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예르마크 사후 수십 년 뒤, 러시아 정부를 도왔던 한 몽골 지도자가 토볼스크의 보예보다(귀족)에게 접근, 타타르족이 소유한 예르마크의 갑옷을 얻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이전에 10가구의 노예와 1,000마리의 양을 제공했지만 타타르족에게 거절당했기 때문이었다. 타타르족은 갑옷에 신성한 속성이 있다고 믿었지만, 보예보다의 개입으로 판매에 동의했다. 몽골인은 예르마크 갑옷의 힘을 확신하고 더는 그들의 힘을 두려워하지 않아 러시아 정부에 대한 봉사를 거부했다.[69]

5. 평가 및 유산

예르마크는 1947년 이반 피리예프 감독의 영화 《시베리아 땅의 이야기(Skazanie o zemle sibirskoi)》에 등장한다. 이 영화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부상을 입고 음악에 대한 믿음을 잃은 피아니스트 안드레이가 시베리아 제지 공장에서 일하기 위해 시베리아로 이주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시베리아에서 안드레이는 모스크바에서 사랑했던 여가수와 재회하지만, 두 사람의 재회는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안드레이는 시베리아 북쪽 깊은 곳으로 향한다. 그는 소련 건설 프로젝트의 웅장함에 매료되어 ‘시베리아 땅의 이야기’라는 제목의 합창 교향곡을 작곡한다. 이후 시베리아 깊은 곳에서 사랑하는 여인과 다시 만나고, 두 사람은 모스크바로 돌아가 안드레이의 교향곡이 음악원에서 연주되는 성과를 이룬다. 교향곡은 그의 삶을 이야기하는 동시에 관객에게 시베리아의 “신비롭고, 야생적이며, 은회색” 풍경을 보여준다. 또한 “땅의 엄청난 힘”을 묘사하며 “러시아와 소련이 시베리아를 정복한 극도의 영웅주의”를 전달한다. 교향곡은 예르마크를 “안개와 박무 속을 헤쳐 시베리아와 싸우러 온” 위대한 인물로 묘사한다.[94]

러시아 우표에 그려진 예르마크 (2009)


이후 영화는 러시아 역사와 시간에 따른 러시아 풍경의 변화를 보여주는 시각적 몽타주를 선보인다. 예르마크는 군대를 이끌고 전투에 참여하는 “판토마임 영웅”으로 그려진다. 사이먼 프랭클린과 엠마 위디스는 “여기서 감독은 민중의 상상력과 그가 불러일으키는 풍경을 이용하는데, 그것은 분명 서사시의 풍경이다. 전투가 끝나면 자연 그 자체가 예르마크 업적의 위엄을 표현한다. 불은 번개로 변하고 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자연이 러시아의 힘 앞에 굴복하면서 자연의 정복이 완료되고 시베리아는 정복된다.”라고 설명한다.[95] 몽타주는 이어서 풍경이 더 부드럽고, 평평하며, 온화하게 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안드레이는 예르마크의 후손들이 시베리아를 지배해 온 과정을 설명한다.[96]

1996년, 블라디미르 크라스노폴스키와 발레리 우스코프 감독은 빅토르 스테파노프, 이리나 알피오로바, 니키타 지구르다가 출연한 시베리아 정복에 관한 역사 드라마 영화 《예르마크》를 제작했다.[97]

5. 1. 러시아 민족 영웅으로서의 이미지

노브고로드에 있는 러시아 천년 기념비의 예르마크


노보체르카스크의 예르막 동상, 예르막 기념비


19세기 예르마크를 묘사한 루보크(민중판화)


예르마크는 러시아에서 시베리아 정복의 영웅으로 널리 추앙받고 있다. 러시아 전역에는 그의 업적을 기리는 여러 동상과 기념비가 세워졌다.[89] V. A. 베클레미셰프는 돈 코사크 지역의 수도인 노보체르카스크의 대성당 광장에 예르막을 기리는 기념비 건립 프로젝트를 1903년에 시작했다. 이 기념비에서 예르마크는 왼손에 연대기를 상징하는 깃발을, 오른손에 라이벌인 쿠춤 칸의 의식 모자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89] 기념비 뒷면에는 “감사하는 후손들이 시베리아 정복자, 돈 코사크 아타만 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에게 바칩니다. 돈 코사크 군 창설 300주년을 기념하여. 그는 1584년 8월 5일 이르티시 강의 물결 속에서 생을 마감했습니다.”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90] 토볼스크상트페테르부르크의 러시아 국립 박물관에도 마르크 안토콜스키가 디자인한 예르막 동상이 있다.[91]

예르마크의 이름을 딴 두 척의 쇄빙선이 있다. 1898년 영국 뉴캐슬어폰타인에서 건조된 최초의 예르막은 그 유형의 최초의 주요 선박 중 하나였으며, 1974년 취역한 두 번째 예르막은 인상적인 신형 선박의 첫 번째였다.[92] 이르티시 강 상류에는 예르마크를 기념하여 그의 이름을 딴 도시가 있다.[92] 페름주에 있는 세 개의 절벽으로 이루어진 산은 예르막의 이름을 따서 예르막 암석이라고 불린다. 전설에 따르면 예르마크와 그의 부대는 이 절벽 옆에서 혹독한 시베리아 겨울 중 하나를 보냈다고 한다.[93]

예르마크는 이반 피리예프(Ivan Pyryev) 감독의 1947년 영화 《시베리아 땅의 이야기》(Skazanie o zemle sibirskoi)에 등장한다. 이 영화에서 예르마크는 “안개와 박무 속을 헤쳐 시베리아와 싸우러 온” 위대한 인물로 소개된다.[94] 그는 군대를 이끌고 전투에 나서는 “판토마임 영웅”으로 묘사되며, 자연 그 자체가 예르마크의 업적의 위엄을 표현한다.[95] 궁극적으로 예르마크는 러시아 전체를 형성한 정복을 시작한 영웅으로 묘사된다. 1996년, 블라디미르 크라스노폴스키(Vladimir Krasnopolsky)와 발레리 우스코프(Valeri Uskov) 감독은 시베리아 정복에 관한 역사 드라마 영화 《예르마크》를 제작했다.[97]

예르마크에 관한 많은 민요와 시가 영웅적인 그의 이미지 형성에 기여했다.[100] 18세기 이후 러시아 전역에서 예르마크의 활약상에 관한 150곡 이상의 노래가 수집되어 퍼져 나갔다.[92] 이 중에는 예르마크가 코사크 부대와 함께 해적 행위와 약탈을 저지른 이야기를 하는 노래도 있다.[101] I. I. 드미트리예프(1760-1837)는 극적인 시 "예르막"을 썼고, 콘드라트 릴레예프(1795-1826)는 1821년에 "예르막의 죽음"이라는 제목의 시를 썼다.[101]

예르마크에 대한 전설은 시베리아 소수민족 사이에서도 전해진다. 아베 시게오는 저서 『코사크』에서 예르마크와 시빌 칸국과의 전투에 대해 당시의 사실 관계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고, 예르마크 등을 묘사한 여러 연대기는 각각 구전 전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예르마크의 유해와 의복은 여러 가지 기적을 가져왔다는 민간 신앙도 있었다고 기록했다.

5. 2. 비판적 시각

예르마크의 시베리아 원정은 러시아의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의 일환으로, 원주민들에게는 억압과 착취의 역사를 초래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예르마크는 쿠춤 칸의 지배하에 있던 시베리아 여러 민족들이 통합되지 않았고, 서로 다른 인종, 언어, 종교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이용했다. 많은 이들이 단지 문제를 피하기 위해 공물을 바쳤고, 누구에게 바치는지는 중요하지 않았기 때문에, 예르마크는 이러한 점을 활용하여 빠르게 지역에 영향력을 확립했다.[32]

예르마크는 코사크의 이미지를 바꾸는 데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반 4세에게 편지를 보내고 그의 부관 이반 콜조를 보냄으로써, 예르마크는 코사크의 이미지를 반란군에서 모스크바 차르가 인정하는 군인으로 바꾸었다.[87] 그러나 일부는 예르마크를 코사크의 배신자로 보았고, 그의 죽음을 차르의 꼭두각시가 된 것에 대한 처벌로 여기기도 했다.[69]

5. 3. 한국에 미친 영향

예르마크의 시베리아 정복은 러시아의 동진을 가속화하여, 훗날 연해주와 만주 지역에서 조선 및 대한제국과 러시아 간의 갈등을 야기하는 원인이 되었다. 특히, 러시아의 남하 정책은 한반도의 안보에 지속적인 위협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이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비극의 역사적 배경 중 하나로 볼 수 있다.[76][77][79]

참조

[1] 서적 Lincoln
[2] 서적 Lincoln
[3] 서적 Lincoln
[4] 서적 Lincoln
[5] 서적 Wright
[6] 서적 Rasputin
[7] 서적 Wright
[8] 서적 Lincoln
[9] 서적 Armstrong
[10] 서적 Semyonov
[11] 서적 Rasputin
[12] 서적 Rasputin
[13] 서적 Rasputin
[14] 서적 Semyonov
[15] 서적 Armstrong
[16] 서적 Semyonov
[17] 서적 Armstrong
[18] 서적 Semyonov
[19] 서적 Kivelson
[20] 서적 Semyonov
[21] 서적 Lincoln
[22] 서적 Lincoln
[23] 서적 Rasputin
[24] 서적 Kivelson
[25] 서적 Lincoln
[26] 서적 Lincoln
[27] 서적 Lincoln
[28] 서적 Armstrong
[29] 서적 Armstrong
[30] 서적 Armstrong
[31] 서적 Semyonov
[32] 서적 Semyonov
[33] 서적 Lincoln
[34] 서적 Armstrong
[35] 서적 Semyonov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없음
[72] 서적 없음
[73] 서적 없음
[74] 서적 없음
[75] 서적 없음
[76] 서적 없음
[77] 서적 없음
[78] 서적 없음
[79] 서적 없음
[80] 서적 없음
[81] 서적 없음
[82] 서적 없음
[83] 서적 없음
[84] 서적 없음
[85] 서적 없음
[86] 서적 없음
[87] 서적 없음
[88] 서적 없음
[89] 서적 없음
[90] 웹사이트 Monument to the legendary Cossack Ermak – Sights – the Official Web site of the City of Novocherkassk http://www.novochgra[...]
[91] 서적 없음
[92] 서적 없음
[93] 웹사이트 Climbing routes official travel portal of Perm Region https://web.archive.[...] 2011-12-23
[94] 서적 없음
[95] 서적 없음
[96] 서적 없음
[97] 웹사이트 Ermak (TV Mini Series 1996– ) https://www.imdb.com[...]
[98] 서적 없음
[99] 서적 없음
[100] 서적 없음
[101] 서적 없음
[102] 서적 없음
[103] 논문 Yermak Timofeyevich in Russian Folk Poetry https://www.jstor.or[...] 1923
[104] 뉴스 Monument to the legendary Cossack Ermak - Sights - The Official Web site of the City of Novocherkassk http://www.novochgra[...] 2024-12-12
[105] 영화 Ermak https://www.imdb.com[...] Mosfilm, Zhanr, Drefa Atelier 2024-12-12
[106] 문서 ヴァシリー・ティモフェーヴィッ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