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바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바호어는 아타바스칸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주로 미국 남서부에 거주하는 나바호족이 사용한다. 나바호족은 자신들의 언어를 'Diné bizaad' 또는 'Naabeehó bizaad'라고 부른다. 이 언어는 성조를 가지며, 복잡한 동사 활용과 SOV 어순을 특징으로 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암호 통신(코드 토커)에 활용되기도 했다. 현재는 영어의 영향으로 사용 인구가 감소하고 있지만, 나바호어 보존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교 교육과 미디어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애서배스카어파 - 도그리브어
도그리브어는 캐나다 북서부 준주에서 사용되는 애타파스칸어족 언어로, 기숙학교 제도로 쇠퇴했으나 활성화 노력과 틀리초 정부의 지원으로 되살아나고 있으며, 교착어 및 다합성어이고 SOV 어순을 사용하는 등의 문법적 특징과 다양한 모음, 자음, 성조를 지닌다. - 나바호어 - 코드 토커
코드 토커는 미국이 전쟁 중 군사 작전 보안 유지를 위해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의 언어로 암호 체계를 구축하여 통신한 암호 통신병으로, 나바호족 코드 토커는 특히 이오지마 전투에서 큰 공헌을 했다. - 나바호어 - 나바호어 문법
나바호어 문법은 동사 중심의 복잡한 체계로, 접두사, 분류사, 서법, 상, 시제 등을 통해 문장의 의미를 풍부하게 표현하며, 동사의 인칭 굴절, 동사 템플릿, 분류사, 어간 변화, 후치사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포합어 - 알류트어
알류트어는 알래스카와 러시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에스키모-알류트족의 언어로, 동부, 아트카, 아투 섬, 코퍼 섬 방언으로 나뉘며, SOV 어순을 따르고 언어 활성화 노력이 진행 중이다. - 포합어 - 모호크어
모호크어는 카니엔케하카어라고도 불리는 이로쿼이어족 언어로, 과거 모호크족의 언어였으나 현재는 사용 인구가 감소하고 있으며, 세 가지 주요 방언과 순음이 없고 명사를 포함하는 문법 구조를 가진다.
나바호어 | |
---|---|
기본 정보 | |
![]() | |
언어 이름 | 나바호어 |
토착어 이름 | (디네 비자드) |
다른 이름 | (나베호 비자드) |
사용 국가 | 미국 |
사용 지역 | 애리조나주, 뉴멕시코주, 유타주, 콜로라도주 |
민족 | 332,129명 나바호족(2021년) |
사용자 수 | 약 170,000명 (2019년 센서스 기준)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 |
어파 | 나데네어파 |
어군 | 애서배스카어군 |
세부 분류 | 남서부 아파치어 |
더 세부 분류 | 서부 아파치어 |
문자 체계 | |
문자 | 라틴 문자 (나바호 문자) |
점자 | 나바호 점자 |
언어 코드 | |
ISO 639-1 | nv |
ISO 639-2 | nav |
ISO 639-3 | nav |
Glottolog | nava1243 |
Glottolog 이름 | 나바호어 |
2. 명칭
"나바호(Navajo)"라는 단어는 테와 단어 Navahutew에서 유래한 외래어이다. Navahutew는 '들판'(navatew)과 '계곡'(hutew)을 뜻하는 어근을 결합하여 '큰 들판'을 의미한다. 이 단어는 오늘날 미국 뉴멕시코주 북서부 지역을 가리키는 말로 스페인어로 차용되었고, 나중에 나바호족과 그들의 언어를 지칭하는 말로 영어로 들어왔다.[2] "Navaho"라는 대체 철자가 있지만 구식으로 간주된다. 베라르 하일(Berard Haile)조차도 개인적인 반대에도 불구하고 "j"를 사용하여 철자를 썼다.[3] 나바호족은 자신들을 Dinénv('사람들')이라고 부르며, 그들의 언어는 Diné bizaadnv('사람들의 언어')[4] 또는 Naabeehó bizaadnv로 알려져 있다.
나바호어는 아타바스칸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다. 나바호어와 아파치어는 이 어족의 가장 남쪽에 위치한 가지를 이룬다. 다른 대부분의 아타바스칸어는 알래스카, 캐나다 북서부, 그리고 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
나바호어를 포함한 아파치어 계열 언어는 1500년경 알버타와 와이오밍을 거쳐 북쪽에서 미국 남서부에 도착한 것으로 추정된다.[12][13] 원시 나바호어로 추정되는 고고학적 유물이 뉴멕시코주 북부 라 플라타, 아니마스, 파인 강 유역에서 발견되었으며, 연대는 1500년경으로 추정된다. 1936년, 언어학자 에드워드 사피어는 원시 아타바스칸어에서 나바호어로의 단어 의미 변화를 추적하여 푸에블로 지역의 옥수수 농사를 짓는 사람들 사이의 새로운 건조한 기후에 나바호족이 도착한 것이 그들의 언어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원시 아타바스칸어에서 "뿔"과 "동물 뿔로 만든 국자"를 의미하는 *''dè:''라는 단어는 나바호어에서 a-deeʼ로 변했는데, 이는 "조롱박" 또는 "조롱박으로 만든 국자"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원시 아타바스칸어의 *''ł-yəx̣s'' "눈이 땅에 쌓이다"는 나바호어에서 ''yas'' "눈"이 되었다. 마찬가지로, 나바호어의 "옥수수"는 ''naadą́ą́ʼ''인데, 이는 "적"과 "음식"을 의미하는 두 개의 원시 아타바스칸어 어근에서 유래하여, 나바호족이 처음 푸에블로 사람들 사이에 도착했을 때 옥수수를 "적의 음식"으로 여겼음을 시사한다.[14][15]
3. 분류
대부분의 아타바스칸어족 언어는 성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특징은 모든 아족에서 독립적으로 진화했다. 원시 아타바스칸어에는 성조가 없었다.[5] 각 경우에 성조는 형태소 끝의 성문 마찰음에서 진화했다. 그러나 이러한 자음이 성조로 발전하는 과정은 일관되지 않았으며, 관련된 형태소 중 일부는 어떤 아타바스칸어에서는 고음으로, 다른 아타바스칸어에서는 저음으로 발음된다. 나바호어와 치피위언어는 원시 아타바스칸어보다 더 최근의 공통 조상이 없고, 상응하지만 반대되는 성조의 쌍이 많다는 점에서, 이러한 성문 마찰음을 다르게 발음했던 원시 아타바스칸어의 서로 다른 방언에서 진화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6] 원시 아타바스칸어는 기원전 500년경에 완전히 분리된 언어로 갈라졌다.[7]
나바호어는 서부 아파치어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유사한 성조 체계[8]와 92% 이상의 어휘를 공유하고, 치리카우아-메스칼레로 아파치어와도 관련이 있다.[9][10] 아파치족 언어 집단이 분리되어 나바호족을 포함한 독립된 사회로 자리 잡은 것은 1300년에서 1525년 사이로 추정된다. 나바호어는 일반적으로 다른 모든 아파치어와 상호 이해 가능한 것으로 여겨진다.[11]
4. 역사
제1차 및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정부는 나바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나바호 코드 토커(Navajo code talkers)로 고용했다. 이 나바호족 군인들과 선원들은 나바호어를 기반으로 한 코드를 사용하여 비밀 메시지를 전달했으며, 전쟁이 끝날 무렵에도 이 코드는 해독되지 않았다.[91][16] 미군은 1차 세계대전에서 쵹타우족과 코만치족의 언어를 사용하여 코드 토커를 운용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의 태평양 전쟁 당시 미군 당국은 나바호어 화자를 태평양 전선의 미군 통신병으로 배치하여, 나바호어로 된 암호를 운용하였다.
이 코드는 영어 알파벳의 각 문자에 나바호어 단어를 사용했다. 메시지는 나바호어 단어가 암호문(ciphertext)이 되는 단순 치환 암호(simple substitution cipher)를 사용하여 암호화 및 복호화할 수 있었다. 2형 코드는 비공식적이었으며 영어를 나바호어로 직접 번역했다. 나바호어에 군사 용어를 설명하는 단어가 없는 경우, 코드 토커들은 설명적인 단어를 사용했다. 예를 들어, 나바호어에는 "잠수함(submarine)"이라는 단어가 없었기 때문에 "철 물고기(iron fish)"로 번역했다.[17][18]
나바호 코드 토커들은 제2차 세계 대전에 대한 공헌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제5해병사단 통신 장교인 하워드 코너(Howard Connor) 소령은 "나바호족이 없었다면 해병대는 이오지마를 점령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19]
나바호족 거주지는 17세기 초, 뉴스페인 총독령의 일부로 합병한 직후 스페인(Spain)에 의해 처음으로 식민화되었다. 1848년 미국-멕시코 전쟁(Mexican–American War) 이후 미국이 이 지역을 합병하자,[92][35] 영어를 사용하는 정착민들은 나바호 어린이들이 자신의 학교에 다니도록 허용했다. 경우에 따라 미국은 나바호족과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 어린이들을 위한 별도의 학교를 설립했다. 19세기 후반에는 종교 선교 단체가 운영하는 기숙학교를 설립했다. 어린이들을 동화(acculturate)시키려는 노력으로 학교 당국은 그들이 영어를 배우고 기독교를 실천하도록 강요했다. 나바호어를 사용하면 학생들은 벌로 가성비누로 입을 헹구는 일이 흔했다.[93][20] 결과적으로 이 학생들이 자라서 자녀를 낳았을 때, 그들은 벌을 받는 것을 막기 위해 자녀들에게 나바호어를 가르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94][56]
로버트 W. 영(Robert W. Young)과 윌리엄 모건은 미국 인디언 사무국(Bureau of Indian Affairs) 나바호 대리점에서 근무하면서 1937년 실용적인 정서법을 개발하고 출판하여 나바호어 사용자들 사이에 교육을 확산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21] 1943년 두 사람은 나바호어 어근을 기준으로 구성된 사전인 "나바호어(The Navajo Language)"를 공동으로 집필했다.[38]
1960년대까지 미국의 원주민 언어 사용은 오랫동안 감소해 왔다. 포장 도로가 건설되고 영어 방송이 부족 지역에 방송되면서 이 시대에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사용은 더욱 빠르게 감소하기 시작했다. 나바호어도 예외는 아니었지만, 미국 다른 어떤 원주민 언어보다 많은 사용자 풀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언어보다 더 오래 지속되었다.[23] 나바호 어린이의 교육 기회를 증진시키기 위해 1950년대에 제정된 연방법은 학교에서 영어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이어져 언어의 쇠퇴에 더욱 영향을 미쳤다.[77]
최근 몇 년 동안 나바호어만 사용하는 화자의 수는 감소했고, 대부분의 젊은 나바호 사람들은 이중 언어 사용자이다.[24] 1990년대에 가까워지면서 많은 나바호 어린이는 나바호어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고 영어만 알고 있다.[25]
2018년 10월 5일, 인기 언어 학습 앱인 듀오링고에서 나바호어 코스의 초기 베타 버전이 출시되었다.[95]
5. 음운론
나바호어는 성조 언어로, 높낮이에 따라 단어의 뜻이 달라진다. 모음은 단모음, 장모음, 비음으로 구분된다. 자음 체계는 상당히 크며, 파열음은 유기음, 무기음, 방출음(격렬음)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46] 방출음은 성문 폐쇄를 통해 발음되는 자음이다.[47] 나바호어에는 모음 뒤에 사용되는 간단한 성문 폐쇄음도 있으며,[47] 모음으로 시작하는 모든 단어는 처음에 성문 폐쇄음으로 발음된다.[48] 마찰음 앞에 또는 를 자주 배치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자음 군집은 드물게 나타난다.[49]
나바호어의 모음은 '''a''', '''e''', '''i''', '''o''' 네 종류가 있으며, 각각 단모음, 장모음, 비음으로 구분된다.[49][50]
나바호어는 고성, 저성, 상승, 하성의 4가지 성조를 가진다.[51]
단모음, 장모음, 비모음과 4개의 성조가 결합하여 다양한 음절 구조가 가능하다.
5. 1. 자음
나바호어는 자음 체계가 상당히 크며, 파열음은 유기음, 무기음, 방출음(격렬음)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 , 와 같이 구분된다.[46] 방출음은 성문 폐쇄를 통해 발음되는 자음이다. 나바호어에는 모음 뒤에 사용되는 간단한 성문 폐쇄음도 있으며,[47] 모음으로 시작하는 모든 단어는 처음에 성문 폐쇄음으로 발음된다.[48] 마찰음 앞에 또는 를 자주 배치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자음 군집은 드물게 나타난다.[49]
나바호어의 자음과 표준 정서법은 다음과 같다.
rowspan="2" colspan="3" | | 양순음 | 치경음 | 치경구개음 | 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일반 | 측음 | 마찰음 | 일반 | 순음화 | 일반 | 순음화 | ||||||
폐쇄음 | 파열음 | 무기음 | ||||||||||
유기음 | () | |||||||||||
방출음 | ||||||||||||
연속음 | 강음 | () | () | () | ||||||||
약음 | () | |||||||||||
유성음 | 일반 | () | ||||||||||
성문화 | () | () | () | () |
rowspan=2 colspan=2| | 양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중설음 | 측음 | 비순음화음 | 순음화음 | |||||
파열음 | 무기음 | b | d | g | ||||
유기음 | t | k | (kw ) | |||||
방출음 | tʼ | kʼ | ʼ | |||||
파찰음 | 무기음 | dz | dl | j | ||||
유기음 | ts | tł | ch | |||||
방출음 | tsʼ | tłʼ | chʼ | |||||
마찰음 | 무성음 | s | ł | sh | h | (hw ) | (h ) | |
유성음 | z | l | zh | gh | (ghw ) | |||
비음 | m | n | ||||||
유음 | y | (w ) |
무성음인 '''ł'''과 달리 유성음 '''l'''은 음운론적으로 영어에서와 같이 접근음이다. 다른 북서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와 마찬가지로 나바호어는 입술소리(순음) 계열의 음운이 비교적 적다. 나바호어 정서법에서 'h'는 두 가지 다른 소리를 하나의 글자로 나타낸다. 'h'는 어간의 첫소리에서 [x]로, 접두사나 어간의 끝소리에서는 [h]로 소리난다.
5. 2. 모음
나바호어에는 '''a''', '''e''', '''i''', '''o''' 네 종류의 모음이 있으며, 각각 단모음, 장모음, 비모음으로 구분된다.[49][50]rowspan="2" | | 전설 모음 | 후설 모음 | ||
---|---|---|---|---|
구개음화 | 비음화 | 구개음화 | 비음화 | |
고모음 | / ː | / ː | ||
중모음 | / ː | / ː | ~ / ː | / ː |
저모음 | / ː | / ː |
- 단모음: '''a''', '''e''', '''i''', '''o'''
- 장모음: '''aa''', '''ee''', '''ii''', '''oo'''
- 비모음: '''ą''', '''ę''', '''į''', '''ǫ'''
장모음과 비모음은 각각 단모음의 길이를 늘이거나 코를 통해 소리내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전설모음 | 후설모음 | |
---|---|---|
고모음 | i | |
중모음 | e | o |
저모음 | a |
전설모음 | 후설모음 | |
---|---|---|
고모음 | ii | |
중모음 | ee | oo |
저모음 | aa |
전설모음 | 후설모음 | |
---|---|---|
고모음 | į | |
중모음 | ę | ǫ |
저모음 | ą |
전설모음 | 후설모음 | |
---|---|---|
고모음 | įį | |
중모음 | ęę | ǫǫ |
저모음 | ąą |
5. 3. 성조
나바호어는 성조 언어로, 고성, 저성, 상승, 하성의 4가지 성조가 있다.- '''고성''': '''''áá''''' 와 '''''éé'''''
- '''저성''': '''''aa''''' 와 '''''ee'''''
- '''상승''': '''''aá''''' 와 '''''eé'''''
- '''하성''': '''''áa''''' 와 '''''ée'''''
단모음, 장모음, 비모음과 4개의 성조가 결합하여 다양한 음절 구조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ą́ą́''''' (장모음, 비모음, 고성)
단모음에는 높은 '''á'''와 낮은 '''a'''의 두 종류가 있으며, 장모음에는 높은 '''áá''', 낮은 '''aa''', 상승 '''aá''', 하강 '''áa'''의 네 종류가 있다.[49]
6. 문법
나바호어는 교착어, 포합어, 굴절어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복잡한 언어이다. 특히 동사가 매우 중요하며, 동사 중심 언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언어에서 명사로 표현되는 많은 개념들이 나바호어에서는 동사로 표현되며, 형용사도 별도의 품사가 아니라 동사의 일종으로 취급된다. 나바호어의 동사 활용은 매우 복잡하며, 모든 동사 어간은 최소한 하나의 접사를 가진다.
6. 1. 유형론
나바호어는 형태론적 유형론 관점에서 분류하기가 쉽지 않다. 교착어처럼 접사(주로 접두사)를 많이 사용하지만, 이 접사들은 예측하기 어렵고 서로 융합되는 경향이 있어 굴절어 또는 융합어적인 특징도 보인다.[52] 일반적으로 동사는 명사보다 더 많은 형태소를 포함하는데, 동사는 평균 11개, 명사는 4~5개의 형태소를 가진다. 그러나 명사의 형태론은 덜 명확하다.[54] 여러 자료에서 나바호어는 교착어,[53][55] 융합어,[56] 심지어 포합어[56][57]로도 분류되는데, 이는 나바호어가 이 세 가지 유형의 특징을 모두 보이기 때문이다.나바호어는 기본적으로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을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8][59] 그러나 일부 화자들은 명사를 인간, 동물, 무생물 세 가지 범주로 나누고, 각 범주 내에서 힘, 크기, 지능에 따라 순위를 매기는 "명사 순위" 체계에 따라 주어와 목적어의 순서를 정한다.[60] 이 경우 순위가 더 높은 명사가 먼저 오기 때문에, 행위의 주체가 모호해질 수 있다.[60] 가장 높은 순위는 인간과 번개가 차지한다.[61] 엘로이스 젤리넥(Eloise Jelinek)과 같은 일부 언어학자들은 나바호어를 어순이 고정되지 않고 의사소통 맥락에 따라 결정되는 담화 구성 언어로 보기도 한다.[62]
6. 2. 동사
목적어전치사
어간 형성 모음
어간 형성 모음
시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