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치사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사량은 특정 물질의 독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시험 대상의 50%를 사망에 이르게 하는 물질의 양을 의미한다. 1927년 J.W. 트레반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일반적으로 mg/kg 단위로 표현된다. 치사량은 투여 경로, 시험 대상의 유전적 특성, 환경적 요인 등에 따라 달라지며, 동물 실험의 윤리적 문제로 인해 대체 방법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독물 및 극물 단속법에 따라 독극물을 관리하며, 경구 투여 반수 치사량을 기준으로 독물과 극물을 지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급의학 - 응급구조사
    응급구조사는 응급의료 현장에서 환자에게 응급처치를 제공하는 전문 인력이며, 1급과 2급으로 나뉘어 의료법에 따라 응급처치 업무를 수행한다.
  • 응급의학 - 응급실
    응급실은 생명이 위급하거나 급성 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신속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으로, 심폐소생술, 외과적 처치, 각종 검사 및 치료를 제공하며, 국가별로 운영 방식과 응급의료기관의 종류 및 기능에 차이가 있고, 과밀화, 의료진 폭력 등의 문제와 원격 의료 도입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 독물학 - 중독
    중독은 유해 물질 노출로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상태로, 급성·만성, 외인성·내인성으로 분류되며, 다양한 물질이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예방을 위해 안전 수칙 준수와 응급 처치가 중요하다.
  • 독물학 - 중금속
    중금속은 과학적 정의가 불분명한 용어로, IUPAC는 모호성과 오해의 소지를 지적하며 독성 및 환경 오염을 유발하고 미나마타병, 이타이이타이병과 같은 중독 사례가 있는 물질이다.
치사량
치사량
정의특정 물질이나 방사선 등이 생물에게 죽음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양
종류
LD50 (반수 치사량)실험동물에게 투여했을 때 절반이 죽는 양
LDLo (최저 치사량)실험동물에게 투여했을 때 사망 사례가 보고된 가장 낮은 양
LCt50 (반수 치사 농도)실험동물을 특정 농도의 물질에 노출시켰을 때 절반이 죽는 농도
ID50 (반수 감염량)실험동물을 감염시키는 데 필요한 양

2. 역사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2. 1. 개발

1927년 J.W. 트레반이 독성 지표로서 반수 치사량(LD50) 개념을 처음 도입하였다.[2] '반치사량'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치사량 '미만의' 용량을 의미할 수도 있어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LD50은 일반적으로 실험용 쥐와 같은 동물 실험으로 결정된다. 2011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동물 실험 없이 보톡스와 같은 화장품 약품 시험을 위한 LD50 대체 방법을 승인했다.[3]

2. 2. 명칭 관련 논란

'반수 치사량'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데, 특히 비영어권 텍스트 번역에서 그렇지만, 치사량 '미만'의 용량을 의미할 수도 있어 혼란을 야기한다. 이러한 모호함 때문에 현재는 일반적으로 사용을 지양한다.[2]

2. 3. 동물 실험 대체 방법

2011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실험동물을 이용한 동물 실험 없이 보톡스와 같은 화장품 약품을 시험하기 위한 LD50 대체 방법을 승인했다.[3]

3. 단위 및 측정

LD50은 일반적으로 시험 대상의 단위 질량(kg) 당 투여된 물질의 질량(mg)으로 표현되며, mg/kg으로 나타낸다. 보툴리눔과 같이 매우 강한 독성을 가진 물질은 ng/kg, μg/kg 단위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식은 서로 다른 물질의 상대적 독성을 비교하고, 노출된 동물의 크기 변화에 따라 정규화할 수 있게 해준다. 다만, 독성이 항상 체질량에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50% 치사율을 기준으로 측정하므로, 극단적인 측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호함을 피하고 실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LD50이 모든 대상에게 치사량은 아니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일부는 훨씬 적은 양으로 사망할 수 있으며, 다른 일부는 LD50보다 훨씬 높은 용량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특정 목적으로 LD1 및 LD99(각각 시험 개체군의 1% 또는 99%를 죽이는 데 필요한 용량)와 같은 측정이 사용되기도 한다.[1]

안전성 평가에는 최소 치사량(LDLo), 최소 치사 농도(LCLo), 최소 중독량(TDLo) 등을 사용한다. 방사선 피폭의 경우 치사량은 흡수 선량(시버트)으로 평가한다.

반수 치사량 표기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시안화 칼륨 LD50=7 mg/kg (햄스터·성체·경구)

이는 "시안화 칼륨(청산 칼륨)을 여러 햄스터 성체에 체중 1 kg 당 7 mg을 경구 투여하면 반수가 사망에 이른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데이터는 동물 실험 외에도 중독 사고 사례, 인체 실험(나치 독일 등)에서 얻어졌다. 치사량은 조건에 따라 크게 변동하므로, 안전 확보를 위해 알려진 치사량에 대해 1~3자리 정도의 여유를 확보해야 한다. 의약품의 경우, 약효량과 치사량 사이에 큰 차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한민국 독물 및 극물 단속법에서는 경구 투여 반수 치사량을 기준으로 LD50=50 mg/kg 이하를 독물, LD50=300 mg/kg 이하를 극물로 지정한다.

현재는 동물 복지 관점에서 실험 동물 수를 줄이기 위해 정확한 반수 치사량 대신 대략적인 값만 구하고 있다.

3. 1. 투여 경로

LD50 수치는 종종 투여 경로와 함께 명시되는데, "LD50 i.v."와 같이 표현한다. 많은 물질은 경구 투여 시 정맥 내 투여보다 독성이 덜하기 때문이다.[1] 이와 관련된 지표로 LD50/30 또는 LD50/60이 있으며, 치료 없이 각각 30일 또는 60일 이내에 개체군의 50%를 치사시키는 용량을 나타낸다.[1] 이러한 지표는 방사선에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60일 이상 생존하면 일반적으로 회복된다.[1]

어떤 물질에 대한 치사량은 약물 투여 방식(경구 투여, 피하 주사, 가스나 에어로졸로 흡입, 피부 접촉, 정맥 주사, 복강 내 투여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변화한다.[1]

3. 2. 관련 지표

LD50/30 또는 LD50/60은 치료 없이 각각 30일 또는 60일 이내에 개체군의 50%를 치사시키는 용량을 나타낸다. 이러한 지표는 방사선에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60일 이상 생존하면 일반적으로 회복된다.[1]

4. 인간에 대한 추정

인간에 대한 LD50 값은 인간 세포 배양 결과를 외삽하여 추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모델 유기체(주로 쥐)를 사용한 동물 실험을 통해 LD50 값을 측정하고, 이를 인간에게 외삽하기도 하지만, 오차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시험 동물의 생물학은 인간과 중요한 측면에서 다르므로(예: 쥐 조직은 시드니 깔때기 그물 거미의 독에 대해 인간 조직보다 약 50배 덜 반응), 동물 실험 결과는 주의해서 해석해야 한다.[5] 제곱-세제곱 법칙 또한 관련된 척도 관계를 복잡하게 만든다.

5. 한계

LD50은 검사 대상 집단의 유전적 특성, 검사 대상 동물 종, 환경적 요인, 투여 방식 등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어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12] 종 간에도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쥐에게 비교적 안전한 물질이 사람에게는 매우 유독할 수 있으며(아세트아미노펜 중독),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초콜릿의 테오브로민 중독). 독사 독액의 경우, 쥐, 래트, 인간의 생리학적 차이로 인해 LD50 결과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6. 동물 권리 문제

동물 권리 및 동물 복지 단체들은 일부 물질의 경우 동물이 느리고 고통스럽게 죽게 만든다는 이유로 동물에 대한 LD50 실험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여왔다.[1] 영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들이 경구 LD50을 금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으며,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는 2001년에 경구 실험에 대한 요구 사항을 폐지했다.[1]

7. 다양한 물질의 반수 치사량

반수 치사량(LD50)은 특정 물질을 섭취하거나 흡입했을 때 실험 대상의 절반이 사망하는 양을 의미한다. 이는 물질의 독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아래에서는 다양한 물질의 반수 치사량을 경구 투여 기준과 기체 흡입 기준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285px

7. 1. 물질별 반수 치사량 (경구 투여 기준)

명칭반수 치사량(mg/kg)함유하는 것・용도
보툴리누스 독소(A)[15]0.000000015~0.00000037보툴리누스균
폴로늄0.0000056~0.00037방사성 원소
파상풍 독소0.000002파상풍
마이토톡신0.00005~0.000128유독 와편모조류
팔리톡신0.00025말미잘
다이옥신(2,3,7,8-TCDD)[16]0.0006~0.002산업 부산물
베로톡신0.001병원성 대장균・이질균 등
VX0.002~0.02화학 무기
테트로도톡신0.01복어 외
리신0.03피마자
플루토늄0.05방사성 원소
마이크로시스틴[17]0.05남세균
아코니틴0.05~0.1투구꽃
α-아마니틴[18]0.1독버섯(독우산광대버섯 등)
플루오로아세트산[19]0.1살서제
사린[20]0.35화학 무기
d-튜보쿠라린0.6쿠라레, 화살독
콜히친[21]0.6콜키쿰 외・의약품
스트리크닌0.6~2마전, 살서제
니코틴1~7담배
청산 칼륨3~7시약 (소위 ''청산가리')
아비산나트륨10시약 (소위 ''비소')
파라티온10농약 (유기 인계)
황린[22]10시약
염화 칼륨10~15
메타미도포스10~30농약 (유기 인계)
석시닐콜린[23]10~50근이완제
비타민 D22영양소
독약・독극물의 경계값30
아세트산탈륨[24]30~40시약
아밀로펙틴[25]30~5000식품 첨가물
아지드화 나트륨[26]46시약
DDT[27]110농약 (유기 염소계)
모르핀120~500양귀비, 마약
메스암페타민135각성제
카페인200차・커피 등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8]200시약
파라쿼트[29]250제초제 (피리디늄계)
말라티온[30]250~600농약 (유기 인계)
메탄올250~600연료 등
극약・극물의 경계값300
2,4-D375~666제초제 (유기 염소계)
아세틸살리실산400의약품 (아스피린 등)
스코폴라민1200다투라 등・의약품
붕산[31]2000~4000시약・의약품
염화 마그네슘[32]2800~4700간수의 주성분
염화 나트륨3000~3500식염
에탄올[33]5000~14000주류
비타민 C12000영양소
설탕15000~36000
순수[34]86000~360000


7. 2. 물질별 반수 치사 농도 (기체)

다음은 기체의 반수 치사 농도를 나타낸 표이다. 반수 치사 농도는 ppm 단위로 표기된다.

명칭반수 치사 농도(ppm)함유하는 것・용도
VX 가스0.2~0.3화학 무기
사린1.2화학 무기
이페리트23화학 무기
디보란[36]29, 40반도체 제조용
포스겐[37]79공업 원료・화학 무기
시안화 수소180공업 원료・화학 무기
알신[38]250 mg/m3, 600 mg/m3반도체 제조용
황화 수소[39]500~800화산 가스(온천 포함) 등
염소655공업 원료・화학 무기・수영장 등 소독제
클로로아세토페논[40]1400최루 가스
일산화 탄소[40]1500유기물의 불완전 연소
실란[41]9600반도체 제조용
이산화 탄소[39]100000~150000동물 등 생명 활동 등의 배출물 등



위 표는 일본 학술 회의의 유기 화학 무기의 안전한 폐기 기술[42]과 도야마현 고압 가스 안전 협회의 자료[43]를 참고하여 작성되었다.

8. 한국의 독극물 관리

한국에서는 독물 및 극물 단속법에 따라 독극물을 지정하고 관리한다. 경구 투여 반수 치사량(LD50)을 기준으로 LD50=50 mg/kg 이하를 독물, LD50=300 mg/kg 이하를 극물로 지정한다. (독물 및 극물 단속법#판정 기준 참조).

최근에는 정확한 반수 치사량을 구하기보다는 대략적인 값만을 구하고 있다. 이는 정확한 값을 구하는 것에 학술적인 의미가 없다는 점과 동물 복지 관점에서 실험 동물 수를 줄이기 위함이다.

참조

[1] 논문 Cytotoxic Activity of Herbal Medicines as Assessed in Vitro: A Review 2023-01
[2] 웹사이트 What is an LD50 and LC50 http://www.ccohs.ca/[...] 2015-06-26
[3] 뉴스 In U.S., Few Alternatives To Testing On Animals https://www.washingt[...] 2011-06-26
[4] 간행물 REGISTRY OF TOXIC EFFECTS OF CHEMICAL SUBSTANCES (RTECS)
COMPREHENSIVE GUIDE TO THE RTECS https://www.cdc.gov/[...] 2013-05-16

[5] 웹사이트 Vision and Roadmap for the 21st Century http://ntp.niehs.nih[...] National Toxicology Program 2011-10-29
[6] 웹사이트 What is an LD50 and LC50 http://www.ccohs.ca/[...] 2015-06-26
[7] 웹사이트 Allergan Receives FDA Approval for First-of-Its-Kind, Fully in vitro, Cell-Based Assay for BOTOX® and BOTOX® Cosmetic (onabotulinumtoxinA) http://agn.client.sh[...] Allergan Web site 2012-08-15
[8] 서적 Fish Physiology: Euryhaline Fishes, Volume 32 Academic Press
[9] 서적 Encyclopedia of Genetics, Genomics, Proteomics and Informatics https://archive.org/[...] Springer
[10] 웹사이트 MSDS Glossary http://www.utexas.ed[...] 2015-05-31
[11] 웹사이트 The MSDS HyperGlossary: LC-Lo, Lowest Lethal Concentration http://www.ilpi.com/[...] 2015-05-31
[12] 서적 A Textbook of Modern Toxicology Wiley-Interscience
[13] 웹사이트 Thirty-Two Years of Measurable Change http://www.ari-onlin[...] 2007-02-11
[14] 논문 Death of LD50 2001-02-01
[15] 저널 JAMA 2001;285:1059-1070 http://www.sc.fukuok[...]
[16] 웹사이트 http://www.sc.fukuok[...]
[17] 웹사이트 http://www.avis.ne.j[...]
[18] pdf http://www.j-poison-[...]
[19] 웹사이트 http://www.jaish.gr.[...]
[20] 기타 0.01 mg/kg와의 자료(코바야시 야스나 외, 응급 의학 19: 1793-1802, 1995)와 28 mg/kg와의 자료([http://www.jissi.jp/~aeml/data/phc/kasumi/kasumi08_3.html]) 등, 여러 설이 있음.
[21] pdf http://www.nacalai.c[...]
[22] 웹사이트 RTECS ([[:en:Registry of Toxic Effects of Chemical Substances]])에 따른 값 http://www.jaish.gr.[...]
[23] pdf http://cache.healthc[...]
[24] pdf http://www.invitroge[...]
[25] 웹사이트 가공 형태에 의한 독성 변화가 높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상태가 있다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https://chem.nlm.nih[...]
[26] 웹사이트 http://www.tokyo-eik[...]
[27] 웹사이트 http://www.umin.ac.j[...]
[28] pdf http://www.sceti.co.[...]
[29] 웹사이트 http://japr.or.jp/ka[...]
[30] 웹사이트 http://www.k-erc.pre[...]
[31] 웹사이트 http://www.maruishi-[...]
[32] pdf http://www.kishida.c[...]
[33] 기타 매우 개인차가 크다.
[34] 위키 수중독 참조
[35] 웹사이트 https://onlinelibrar[...]
[36] 웹사이트 マウス・4 h, ラット・4 h http://po6.nsk.ne.jp[...]
[37] 웹사이트 http://plaza.umin.ac[...]
[38] 웹사이트 マウス・10 min、サル・10 min http://po6.nsk.ne.jp[...]
[39] 문서 1h
[40] 문서 1 h
[41] 웹사이트 マウス・4 h http://po6.nsk.ne.jp[...]
[42] 웹사이트 http://www.city.ube.[...]
[43] 웹사이트 http://plaza.umin.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