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포 배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포 배양은 생체 밖에서 세포를 성장시키고 유지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19세기 말 링거액 개발을 시작으로, 20세기 초 조직 배양의 기본 원리가 확립되었으며, 1940~50년대 바이러스학 연구를 지원하면서 발전했다. 세포 배양은 백신 개발, 단일 클론 항체 생산, 세포 치료제 개발, 약물 스크리닝, 조직 공학, 세포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3차원 세포 배양 기술은 신약 개발, 암 생물학 연구 등에 활용되며, 칩 기반 장기 개발에도 기여한다. 한국은 세포 배양 연구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보이며, 생명윤리학적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2. 역사

19세기 영국의 생리학자 시드니 링거는 동물의 몸에서 꺼낸 심장의 박동 유지를 위해 적합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링거액을 개발했다.[5] 1885년 빌헬름 루는 닭 배아의 수질판 일부를 제거하여 따뜻한 생리식염수에서 며칠 동안 유지함으로써 조직 배양의 기본 원리를 확립했다. 1907년부터 1910년까지 로스 그랜빌 해리슨은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예일 대학교에서의 실험 결과를 발표하여 조직 배양 방법론을 확립했다.[10]

1940년대와 1950년대에 세포 배양 기술은 바이러스학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크게 발전했다. 세포 배양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하면 백신 제조를 위한 정제된 바이러스를 준비할 수 있었다. 조나스 소크가 개발한 주사용 소아마비 백신은 세포 배양 기술을 사용하여 대량 생산된 최초의 제품 중 하나였다. 이 백신은 원숭이 신장 세포 배양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하는 방법을 발견하여 노벨상을 받은 존 프랭클린 엔더스, 토머스 허클 웰러, 프레데릭 채프먼 로빈스의 세포 배양 연구 덕분에 가능해졌다.[1]

3. 포유류 세포 배양의 개념

DMEM 배지


포유류 세포 배양은 1900년대 초 로스 그랜빌 해리슨이 조직 배양 방법을 확립하면서 시작되었다.[10] 1940년대와 1950년대에는 바이러스학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세포 배양 기술이 크게 발전했으며, 조나스 소크의 소아마비 백신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

세포 배양에는 온도, 가스 혼합물(일반적으로 이산화 탄소 5%), 배지 등 여러 요소가 영향을 미친다. 특히 배지는 세포 성장에 필수적인데, pH, 포도당 농도, 성장 인자, 기타 영양소 구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된다. 과거에는 소태아혈청(FBS)과 같은 동물 혈청이 성장 인자 공급원으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바이러스프리온 오염 위험 때문에 최근에는 인간 혈소판 용해물(hPL)이나 화학적으로 정의된 배지로 대체되는 추세이다.[117]

세포는 부착 여부에 따라 현탁 배양 또는 부착 배양으로 성장할 수 있다.[121] 부착 세포는 콜라겐이나 라미닌 등으로 코팅된 표면이 필요하며, 3차원 배양 시스템을 통해 생체 내 조직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할 수도 있다.[122]

Plating 밀도(배양 배지 부피 당 세포 수)는 세포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낮은 Plating 밀도에서는 과립막 세포가 에스트로겐을 생성하지만, 높은 Plating 밀도에서는 프로게스테론을 생성하는 테카 루테인 세포로 나타난다.[120]

3. 1. 세포의 분리

세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조직에서 분리하여 ''생체 외'' 배양할 수 있다. 혈액에서는 백혈구만이 배양에서 증식할 수 있지만, 단핵 세포는 연부 조직에서 콜라게나아제, 트립신 또는 프로나아제 등 세포 외 기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19][20] 또는 조직 조각을 배지에 넣어 증식시켜 얻은 세포를 세포 배양에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 방법을 이식편 배양이라고 한다.

조직에서 직접 배양된 세포는 초대 배양이라고 부른다. 종양에서 얻은 세포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초대 배양 세포는 수명이 제한되어 있다.

불멸화 세포주는 무작위 변이 또는 텔로머레이스 유전자의 인위적인 유전자 발현과 같은 의도적인 변형을 통해 무한히 증식할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한 세포주이다. 많은 세포주가 특정 세포 유형을 대표하는 것으로 확립되어 있다.

3. 2. 배양을 통한 세포 유지

세포는 적절한 온도와 가스 혼합물(일반적으로 동물 세포의 경우 37℃, 이산화 탄소 5%) 조건에서 배양된다.[1] 세포 성장 배지는 배양 시스템에서 가장 흔하게 변화하는 요소이다. 성장 배지의 제조법은 pH, 포도당 농도, 성장 인자 및 기타 영양소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1] 배지를 보충하는 데 사용되는 성장 인자는 종종 소태아혈청(FBS), 송아지 혈청, 말혈청, 돼지 혈청과 같은 동물 혈액의 혈청에서 파생된다.[1]

이러한 혈액 유래 성분은 특히 의료 생명공학기술 응용 분야에서 바이러스 또는 프리온으로 배양물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1] 현재는 이러한 성분의 사용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고 인간 혈소판 용해물(hPL)을 사용함으로 그 단점을 줄일 수 있다.[117] hPL은 FBS 또는 기타 동물 혈청을 직접 대체하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했다. 또한, 화학 배지를 사용하여 혈청 흔적(인간 또는 동물)을 제거할 수 있지만 이는 다른 세포 유형에서 항상 달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1] 대체 전략에는 미국, 호주 및 뉴질랜드와 같이 BSE/TSE 위험이 최소인 국가에서 동물 혈액을 조달하고[118] 세포 배양을 위해 전 동물 혈청 대신 혈청에서 추출한 정제된 영양 농축액을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119]

한국에서는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동물 유래 성분을 최소화하거나 배제하는 배양 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다.

Plating 밀도(배양 배지 부피 당 세포 수)는 일부 세포 유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Plating 밀도가 낮을수록 과립막 세포는 에스트로겐 생성을 나타내지만 Plating 밀도가 높으면 프로게스테론을 생성하는 테카 루테인 세포로 나타난다.[120]

세포는 현탁액 또는 부착 배양으로 성장할 수 있다.[121] 일부 세포는 혈류에 존재하는 세포와 같이 표면에 부착되지 않고 자연적으로 부유 상태로 존재한다. 부착 조건이 허용하는 것보다 더 높은 밀도로 성장할 수 있도록 현탁액 배양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변형된 세포주도 있다. 부착 세포는 부착 특성을 증가시키고 성장 및 분화에 필요한 기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세포외 기질(콜라겐 및 라미닌) 성분으로 코팅될 수 있는 조직 배양 플라스틱 또는 미세 담체와 같은 표면이 필요하다. 고형 조직에서 유래한 대부분의 세포는 부착되어 있다. 부착 배양의 또 다른 유형은 2차원 배양 접시와 달리 3차원 환경에서 세포를 성장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Organotypic 배양이다.[1] 이 3D 배양 시스템은 생화학적 및 생리학적으로 생체 내 조직과 더 유사하지만 많은 요인(확산 등)으로 인해 유지 관리하기가 기술적으로 어렵다.[122]

3. 3. 세포 배양 기초 배지

세포 배양에는 MEM, DMEM, RPMI 1640, 햄 F-12 등 다양한 종류의 배지가 사용된다. 이러한 배지들은 세포의 생존과 증식에 필수적인 영양소를 공급하며, 각각 다른 조성을 가지고 있다.

배양 배지는 일반적으로 탄소원 (포도당, 글루타민), 아미노산, 비타민, 염, pH 지시약 (페놀 레드), 완충 용액 등으로 구성된다. 탄소원은 세포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아미노산은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구성 요소를 제공하며, 비타민은 세포의 생존 및 성장을 촉진한다. 염은 세포 내외의 환경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pH 지시약은 배지의 pH 변화를 알려주고, 완충 용액은 pH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3. 3. 1. 세포 배양 배지의 구성 요소

구성 요소기능
탄소원 (포도당/글루타민)에너지원
아미노산단백질의 구성 요소
비타민세포 생존 및 성장을 촉진
평형 염 용액세포 내 최적의 삼투압을 유지하고 효소 반응, 세포 부착 등 효소 반응의 보조 인자로 작용하는 필수 금속 이온을 제공하는 등장성 이온 혼합물
페놀 레드 염료pH 지시약. 페놀 레드의 색상은 pH 7–7.4에서 주황색/빨간색에서 산성(낮은 pH)에서는 노란색으로, 염기성(높은 pH)에서는 보라색으로 변함.
중탄산염 /HEPES 완충 용액배지에서 균형 잡힌 pH를 유지하는 데 사용됨.



세포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 MEM
  • DMEM
  • RPMI 1640
  • 햄 F-12
  • IMDM
  • Leibovitz L-15
  • DMEM/F-12
  • GMEM


세포 배양 배지의 조성은 pH, 포도당 농도, 성장 인자 및 기타 영양소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배지에 첨가되는 성장 인자는 주로 태아 소 혈청(FBS), 송아지 혈청, 말 혈청, 돼지 혈청과 같은 동물 혈액의 혈청에서 유래한다. 하지만 이러한 혈액 유래 성분은 바이러스나 프리온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있어, 특히 의료 생명공학 분야에서 문제가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동물 혈청 사용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고, 인간 혈소판 용해물(hPL)을 사용하는 추세이다.[21] hPL은 FBS를 대체하여 종간 오염 우려를 없애고,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또한, 화학적으로 정의된 배지를 사용하여 혈청(인간 또는 동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도 있지만, 모든 세포 유형에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다른 대안으로는 BSE/TSE 위험이 낮은 국가(미국, 호주, 뉴질랜드 등)에서 동물 혈액을 조달하거나,[22] 혈청 대신 정제된 영양 농축액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23]

3. 3. 2. 전형적인 성장 조건

매개변수설명
온도37°C
이산화 탄소(CO2)5%
상대 습도95%



세포 배양에서 전형적인 성장 조건은 위와 같다. 이러한 조건은 대부분의 동물 세포 배양에 적합하며, 세포의 생존과 증식을 돕는다.

3. 4. 세포주 교차 오염

세포주 교차 오염은 세포 배양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에게 문제가 될 수 있다.[27] 여러 연구에 따르면, 실험에 사용된 세포의 15~20%가 다른 세포주로 오염되었거나 잘못 식별된 것으로 나타났다.[28][29][30] 세포주 교차 오염 문제는 약물 스크리닝 연구에 자주 사용되는 NCI-60 패널의 세포주에서도 발견되었다.[31][32] 미국 유형 배양 콜렉션(ATCC), 유럽 세포 배양 콜렉션(ECACC), 독일 미생물 및 세포 배양 콜렉션(DSMZ) 등 주요 세포주 저장소들은 연구자들로부터 잘못 식별된 세포주를 제출받았다.[31][33] 이러한 오염은 세포 배양주를 사용하여 생성된 연구의 질에 문제를 야기하며, 주요 저장소들은 현재 모든 세포주 제출물을 인증하고 있다.[34] ATCC는 세포주 인증에 단일 반복 서열(STR) DNA 지문 분석을 사용한다.[35]

세포주 교차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초기 계대 배양에서 세포주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인증하는 것이 권장된다. 세포주 재고를 동결하기 전, 활성 배양 중 2개월마다, 그리고 세포주를 사용한 연구 데이터를 발표하기 전에 인증을 반복해야 한다. 세포주 식별에는 아이소자임 분석, 인간 백혈구 항원(HLA) 유형 분석, 염색체 분석, 핵형 분석, 형태학 및 STR 분석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35]

세포주 교차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불멸의 HeLa 세포주이다. HeLa 오염은 1960년대 초 미국에서 비인간 배양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종내 오염은 1970년대에 19개 세포주에서 발견되었으며, 1974년에는 소련에서 온 5개의 인간 세포주가 HeLa 세포로 밝혀졌다. 50개 이상의 세포주를 분석한 후속 연구에서는 절반이 HeLa 표지자를 가지고 있었지만, 오염된 HeLa 세포가 원래 세포주와 혼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 중의 비말을 통한 HeLa 세포 오염도 보고되었다. HeLa 세포는 1978년 백신 시험에서 조나스 소크에 의해 사람에게 알리지 않고 주입되기도 했다.[36]

3. 5. 기타 기술적 문제

세포는 일반적으로 배양 상태에서 계속 분열하므로, 가용 면적 또는 부피를 채울 때까지 성장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37]

  • 배지 내 영양분 고갈
  • 배지 pH 변화
  • 세포자멸사/괴사 (사멸) 세포 축적
  • 세포 간 접촉은 세포 주기 정지를 자극하여 세포 분열을 멈추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접촉 저해로 알려져 있다.
  • 세포 간 접촉은 세포 분화를 자극할 수 있다.
  • 유전 및 후성 유전 변화는 변화된 세포의 자연 선택으로 이어져 분화 감소 및 증식 능력이 증가된 비정상적이고 배양에 적응된 세포의 과성장을 초래할 수 있다.


배양 배지 선택은 영양 성분과 농도의 차이로 인해 세포 배양 실험 결과의 생리학적 관련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8] 최근에는 CRISPR 및 RNAi 유전자 침묵과 암 세포주의 대사 프로파일링에서 생성된 데이터 세트에 대한 체계적인 편향이 나타났다.[38] 영양소의 생리학적 수준을 더 잘 나타내는 성장 배지를 사용하면 생체 외 연구의 생리학적 관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최근에는 Plasmax[40] 및 Human Plasma Like Medium (HPLM)과 같은 배지가 개발되었다.[41]

4. 배양 세포의 조작

배양 세포 조작에는 배지 변경, 세포 계대배양, 세포 형질주입 등이 있다. 이러한 조작은 세균, 효모 등 다른 세포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무균 기술을 사용하며, 생물 안전 작업대나 층류 작업대에서 진행된다.[1] 항생물질(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및 항진균제(암포테리신 B)를 배지에 첨가하기도 한다.

세포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산으로 인해 pH가 감소하므로, 산·염기 지시약을 첨가하여 영양소 고갈을 측정한다. 부착 배양은 흡인을 통해 배지를 직접 제거하고 교체할 수 있다.

4. 1. 세포의 Passage

계대배양(Subculture, 또는 세포 분열)은 소수의 세포를 새로운 용기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세포는 정기적으로 분열하면 더 오랫동안 배양할 수 있는데, 이는 세포 밀도가 높아지는 것과 관련된 노화를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탁 배양은 소량의 배양액에 소수의 세포가 포함되어 신선한 배지의 더 큰 부피로 희석되어 쉽게 계대배양된다. 부착 배양의 경우, 먼저 세포를 떼어내야 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트립신-EDTA 혼합액을 사용하지만, 다른 효소 혼합물도 사용 가능하다. RAW 세포와 같은 일부 세포 배양은 고무 스크레이퍼로 용기 표면에서 기계적으로 긁어낸다.

4. 2. 형질 전환 및 형질 도입

세포를 조작하는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는 형질 주입을 통해 외래 DNA를 도입하는 것이다. 이는 세포가 특정 유전자를 발현하도록 하기 위해 수행된다. 최근에는 RNA 간섭 구조를 형질 주입하여 특정 유전자나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DNA는 형질도입 또는 형질전환이라고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러스를 통해 세포에 삽입될 수 있다. 바이러스는 기생체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번식 과정의 일부로 DNA를 세포에 도입하는 데 매우 적합하다.[1]

5. 일반적인 세포주

세포 배양에는 특정 세포 유형을 대표하는 다양한 세포주가 사용된다. 이 세포주들은 무작위 돌연변이나 텔로머라아제 유전자와 같은 의도적인 변형을 통해 무한정 증식할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한 것들이다.[1]

대표적인 세포주
종류세포주 예시
인간DU145 (전립선암), H295R (부신피질암), HeLa (자궁경부암), KBM-7 (만성 골수성 백혈병), LNCaP (전립선암), MCF-7 (유방암), MDA-MB-468 (유방암), PC3 (전립선암), SaOS-2 (골육종), SH-SY5Y (신경모세포종, 골수종에서 클론됨), T-47D (유방암), THP-1 (급성 골수성 백혈병), U-87 MG (교모세포종)
영장류Vero (아프리카 녹색 원숭이 신장 상피), COS-7 (아프리카 녹색 원숭이 신장 섬유아세포), MA-104 (아프리카 녹색 원숭이 신장 상피)
MC3T3 (배아 두개골)
쥐 종양GH3 (뇌하수체 종양), PC12 (갈색세포종)
식물담배 BY-2 세포 (세포 현탁 배양으로 유지, 식물 세포의 모델 생물)
기타MDCK (개 신장 상피), Xenopus A6 (신장 상피), 제브라피쉬 AB9


5. 1. 인간 세포주

호에히스트 염색 시약으로 세포핵이 파랗게 염색된 HeLa 세포 배양 세포. HeLa 세포는 최초로 수립된 세포주 중 하나이며, 자궁경부암으로 사망한 헨리에타 랙스의 종양에서 채취한 세포가 기원이다.


사람을 기원으로 하는 세포주는, 그 원천이 되는 생체로부터 분리되어 생존하며, 후에 이익을 창출하는 의학적 처치의 발견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생명윤리학에서 논의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 분야의 선구적인 결정에서, 캘리포니아 주 대법원은 ''Moore v.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사건에서, 사전 동의를 받은 환자는 절제된 기관에서 얻어진 세포주에 대해 소유권을 갖지 않는다고 판시했다.[42]

5. 2. 영장류 세포주

Vero영어 (버빗원숭이속 신장 상피 세포)[43][44]는 영장류 세포주 중 하나이다. 이 세포주는 특정 속성을 가진 세포를 선택하거나 클로닝하여 1차 배양 또는 세포주에서 파생된다. 세포주는 배양에 적응되었지만, 유한한 분열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비영구화된 세포는 40~60번의 계대 배양 후 분열을 멈추고 증식 능력을 잃게 된다.

영장류 세포주
세포주생물기원 조직형태
Vero아프리카 녹색 원숭이신장상피
COS-7아프리카 녹색 원숭이신장섬유아세포
MA-104아프리카 녹색 원숭이신장상피


5. 3. 쥐 세포주

MC3T3 세포주는 쥐의 배아 두개골에서 유래하였다.[16]

세포주의미생물기원 조직형태
MC3T3배아 두개골


5. 4. 쥐 종양 세포주

GH3영어 (뇌하수체샘종)과 PC12영어 (크롬친화세포종) 등이 쥐 종양 세포주에 해당한다.[16]

5. 5. 식물 세포주

담배 BY-2 세포는 세포 현탁 배양으로 유지되며, 식물 세포의 모델 생물로 사용된다.[16]

5. 6. 기타 종 세포주

6. 세포 배양의 응용

세포 배양은 여러 분야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다. 1940년대와 1950년대 바이러스학 연구를 위해 세포 배양 기술이 크게 발전하면서 백신 생산에 기여하였고,[1] 단일클론 항체 생산, 세포 치료제 개발, 약물 스크리닝 및 독성 평가, 조직 공학 및 재생 의학, 세포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백신 생산: 조나스 소크의 소아마비 백신과 같이 세포 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백신을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 단일클론 항체 생산: 세포 융합 기술을 이용하여 특정 항체를 생산하는 단클론 항체를 만들 수 있다.
  • 세포 치료제 개발: 줄기 세포 배양을 통해 세포 수를 늘리고 특정 세포 유형으로 분화시켜 이식에 사용하거나, 치료제 개발을 위한 물질을 얻을 수 있다.
  • 약물 스크리닝 및 독성 평가: 세포 배양은 신약 후보 물질의 효능과 독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 조직 공학 및 재생 의학: 세포 배양은 인공 장기 및 조직 개발에 필수적인 기술이다.
  • 세포 농업: (배양) 육류와 같은 세포 농업 제품 생산에도 세포 배양 기술이 사용된다.
  • 3차원 세포 배양: 3차원 세포 배양은 생체 내 환경을 모방하여 생리학적으로 더 정확한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19세기 영국의 생리학자 시드니 링거염 용액을 개발하여 동물 심장의 박동 유지에 기여했고,[5] 1885년 빌헬름 루는 조직 배양의 기본 원리를 확립했다. 1907년 로스 그랜빌 해리슨은 개구리 배아 세포 배양을 통해 신경 세포 분화를 입증했으며,[10] 1913년에는 기니피그 각막 조직에서 백신 바이러스 배양에 성공했다.[6] 고틀리프 하버란트는 식물 조직 배양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모든 식물 세포가 완전한 식물로 생성될 수 있다는 ''전형성'' 개념을 주장했다.[12][13][14]

최근에는 3차원 세포 배양 기술이 발전하면서 신약 개발, 암 생물학, 재생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칩 기반 장기 시스템은 미세 유체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세포의 미세 환경을 모방하고 제어하여 질병 모델링 등에 활용될 수 있다.

6. 1. 백신 생산

세포 배양 기술은 1940년대와 1950년대에 바이러스학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크게 발전했다. 세포 배양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하면 백신 제조를 위한 정제된 바이러스를 준비할 수 있었다.[1] 조나스 소크가 개발한 주사용 소아마비 백신은 세포 배양 기술을 사용하여 대량 생산된 최초의 제품 중 하나였다. 이 백신은 원숭이 신장 세포 배양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하는 방법을 발견하여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받은 존 프랭클린 엔더스, 토마스 허클 웰러, 프레데릭 채프먼 로빈스의 세포 배양 연구 덕분에 가능해졌다. 세포 배양은 소아마비, 홍역, 볼거리, 풍진, 수두 등 많은 질병에 대한 백신 개발에 기여했다.[1]

H5N1 유행의 위협으로 인해, 인플루엔자 백신에 세포 배양을 사용하는 연구가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다. 이 분야의 새로운 아이디어로는 인간 아데노바이러스(흔한 감기 바이러스)를 벡터로 사용하는 것과 같은 재조합 DNA 기반 백신[78][79] 및 새로운 보조제가 있다.[80]

6. 2. 단일 클론 항체 생산

단클론 항체는 세포 융합 기술을 이용하여 생산한다. 면역화된 동물의 비장 (또는 혈액)에서 분리된 림프구를 불멸화된 골수종 세포주(B 세포 계열)와 융합하여 하이브리도마를 만든다. 이 하이브리도마는 1차 림프구의 항체 특이성과 골수종의 불멸성을 모두 갖는다. 융합되지 않은 골수종 세포는 선택적 배지 (HA 또는 HAT)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1차 림프구는 배양에서 빠르게 죽기 때문에 융합된 세포만 생존한다. 이후 필요한 항체를 생산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선별 과정을 거친다.[42]

6. 3. 세포 치료제 개발

줄기 세포 배양은 세포 수를 늘리고 세포를 이식할 다양한 체세포 유형으로 분화시키는 데 사용되며,[45] 치료제 개발을 목적으로 줄기 세포가 방출하는 분자 및 엑소좀을 수확하는 데에도 사용된다.[46]

동물 세포 배양에서 재조합 DNA (rDNA) 기술로 생산되는 생물학적 제품에는 효소, 합성 호르몬, 면역생물학적 제제 (단일클론 항체, 인터류킨, 림포카인), 항암제 등이 있다. 포유류 세포는 발현된 단백질이 올바르게 접히고 인간과 유사한 당화 및 번역 후 변형을 갖도록 보장한다.[47]

6. 4. 약물 스크리닝 및 독성 평가

세포 배양은 신약 후보 물질의 효능 및 독성을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 세포 배양 기술은 1940년대와 1950년대에 바이러스학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크게 발전했으며, 이를 통해 백신 제조를 위한 정제된 바이러스를 준비할 수 있었다. 조나스 소크가 개발한 주사용 소아마비 백신은 세포 배양 기술을 사용하여 대량 생산된 최초의 제품 중 하나였다.[1]

동물 세포주 대량 배양은 바이러스 백신 및 기타 생명공학 제품 생산의 기본이다. 또한 세포 배양은 세포 농업의 핵심 기술이며, 동물 없는 농업을 달성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간주된다.[48]

6. 5. 조직 공학 및 재생 의학

세포 배양은 조직 공학 및 재생 의학 분야에서 인공 장기 및 조직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이다. 세포 배양 기술을 통해 손상된 조직이나 장기를 복구하고 대체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1996년에는 재생 조직을 사용하여 요도의 작은 부분을 대체하는 최초의 사례가 보고되었는데,[7][8][9] 이는 조직 샘플을 채취하여 스캐폴드 없이 신체 외부에서 배양한 후 다시 적용하는 기술이 짧은 거리(1cm 미만)에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인간 줄기 세포 배양은 세포 수를 늘리고, 이식에 필요한 다양한 체세포 유형으로 분화시키는 데 사용된다.[45] 또한, 줄기 세포 배양은 치료제 개발을 위해 줄기 세포가 방출하는 분자 및 엑소좀을 수확하는 데에도 활용된다.[46]

세포 배양은 조직 배양 및 조직 공학의 기본 구성 요소이며, 세포를 ''시험관 내''에서 배양하고 유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인간 세포 배양의 주요 응용 분야 중 하나는 간엽 줄기 세포를 배양하고 향후 사용을 위해 동결 보존하는 줄기 세포 산업이다.

6. 6. 세포 농업

세포 배양은 세포 농업의 핵심 기술이며, (배양) 육류, 우유, 향료, 코뿔소 뿔과 같이 기존 농산물을 세포와 미생물로부터 생산하는 새로운 방법과 새로운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8] 따라서 이는 동물 없는 농업을 달성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간주된다.

6. 7. 3차원 세포 배양

3차원 세포 배양은 생체 내 환경을 더 잘 모사하여, 생리학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3차원 세포 배양은 "생물학의 새로운 차원"으로 칭송받아 왔으며,[64] 현재 신약 개발, 암 생물학, 재생 의학, 나노 물질 평가 및 기본적인 생명 과학 연구를 포함한 연구 분야에서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66][67][68]

3차원 세포 배양은 지지체 또는 매트릭스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배양할 수 있다. 지지체 기반 배양은 무세포 3차원 매트릭스 또는 액체 매트릭스를 사용하며, 지지체-프리(free) 방법은 일반적으로 현탁액에서 생성된다.[69]
3차원 세포 배양 기술

  • 스캐폴드 기반: 1988년, 에릭 시몬(Eric Simon)은 전기 방사를 사용하여 세포 기질로 사용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나노 및 서브마이크론 크기의 폴리스티렌과 폴리카보네이트 섬유 스캐폴드를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초기 연구 결과, 다양한 세포 유형이 폴리카보네이트 섬유에 부착되어 증식하며, 2차원 배양에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평평한 형태와는 달리, 전기 방사 섬유에서 배양된 세포는 일반적으로 생체 내에서 관찰되는 보다 조직형의 둥근 3차원 형태를 나타냈다.[1]
  • 하이드로젤 기반: 자연적인 세포외 기질(ECM)은 세포의 생존, 증식, 분화 및 이동에 중요하기 때문에, 자연 ECM 구조를 모방한 다양한 하이드로겔 배양 매트릭스는 생체 내 유사 세포 배양에 대한 잠재적인 접근 방식으로 간주된다.[77] 하이드로겔은 높은 수분 보유력을 가진 상호 연결된 기공으로 구성되어 있어 영양분과 기체와 같은 물질의 효율적인 수송을 가능하게 한다. 동물 ECM 추출물 하이드로겔, 단백질 하이드로겔, 펩타이드 하이드로겔, 고분자 하이드로겔, 그리고 목재 기반 나노셀룰로오스 하이드로겔을 포함하여, 3차원 세포 배양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천연 및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하이드로겔이 있다.
  • 자기 부상: 자기 부상 3D 세포 배양 방법(MLM)은 네오디뮴 자기 구동기를 사용하여 공간적으로 변화하는 자기장 내에서 자기 나노 입자 어셈블리로 처리된 세포를 유도하여 3D 조직을 배양하고, 표준 페트리 접시의 공기/액체 계면까지 세포를 부상시켜 세포 간 상호 작용을 촉진함으로써 3D 조직을 성장시키는 응용 분야이다. 자기 나노 입자 어셈블리는 자성 산화철 나노 입자, 금 나노 입자 및 고분자 폴리리신으로 구성된다. 3D 세포 배양은 500개의 세포에서 수백만 개의 세포 또는 단일 접시에서 고처리량 저용량 시스템까지 배양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
  • 기타: 저부착 플레이트, 행잉 드롭 플레이트,[72][73] 회전 세포 배양 등.


3차원에서 세포를 배양하면 유전자 발현 시그니처가 광범위하게 변하며, 생리적 상태에서 조직을 부분적으로 모방한다.[74] 3차원 세포 배양 모델은 단층 배양보다 생체 내(in vivo)와 유사한 세포 성장을 보였으며, 세 가지 배양 모두 세포 성장을 유지할 수 있었다.[75] 3차원 배양이 개발됨에 따라 종양 모델을 설계하고 악성 형질전환 및 전이를 조사하는 데 큰 잠재력을 가지게 되었으며, 변화, 상호 작용 및 세포 신호 전달을 이해하기 위한 통합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76]

6. 8. 칩 기반 장기 (Organ-on-a-chip)

칩 기반 장기(Organ-on-a-chip, OoC) 시스템은 미세 유체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조직을 배양함으로써 세포의 미세 환경을 모방하고 제어한다. 이는 조직 공학, 생체 재료 제작, 세포 생물학 등을 결합하여 실험실에서 인간 질병을 연구하기 위한 생체 모방 모델을 구축할 수 있게 한다. 최근 3D 세포 배양 과학의 발전은 OoC 개발로 이어졌으며, OoC는 제약 연구, 약물 개발, 질병 모델링 등에 유용한 전임상 단계로 간주된다.[85][86] OoC는 동물 실험과 임상 연구 사이의 간극을 메울 수 있는 중요한 기술이며, ভবিষ্যতে 약물 전달 및 병태생리학적 연구를 위한 생체 내 연구를 대체할 가능성도 있다.[87]

7. 윤리적 고려 사항



사람을 기원으로 하는 세포주는, 그 원천이 되는 생체로부터 분리되어 생존하며, 후에 이익을 창출하는 의학적 처치의 발견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생명윤리학에서 논의의 대상이 되어 왔다.[110] 이 분야의 선구적인 결정에서, 캘리포니아 주 대법원은 ''Moore v.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사건에서, 사전 동의를 받은 환자는 절제된 기관에서 얻어진 세포주에 대해 소유권을 갖지 않는다고 판시했다.[110]

참조

[1] 서적 Viruses and Man: A History of Interaction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4
[2] 논문 Characterizing the mechanics of cultured cell monolayers 2012-10
[3] 웹사이트 Some landmarks in the development of tissue and cell culture https://www.ncbi.nlm[...] 2006-04-19
[4] 웹사이트 Cell Culture http://www.bioteach.[...] 2006-04-19
[5] 웹사이트 Whonamedit - Ringer's solution http://www.whonamedi[...] whonamedit.com 2014-06-09
[6] 논문 Studies on the Cultivation of the Virus of Vaccinia 1913
[7] 웹사이트 Growing new organs https://www.ted.com/[...] 2021-08-23
[8] 웹사이트 Animals and alternatives in testing http://caat.jhsph.ed[...] 2006-04-19
[9] 논문 Working together to respond to the challenges of EU policy to replace animal testing 2006-02
[10] 웹사이트 An unsung hero of medical research http://www.yalealumn[...] 2002-02
[11] 논문 Plant Tissue Cultures from a Hormone Point of View 1936-06
[12] 간행물 Kulturversuche mit isolierten Pflanzenzellen 1902
[13] 논문 Gottlieb Haberlandt 1934-10
[14] 서적 Plant Tissue Culture https://www.springer[...] Springer 2003
[15] 논문 Cultivation of Tissues in Vitro and ITS Technique 1911-03
[16] 서적 Tissue Culture Technique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12-01
[17] 웹사이트 Phase I Final Report: Fibrous Substrates for Cell Culture (R3RR03544A) https://www.research[...] 2017-05-22
[18] 서적 Biology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mpany 2007
[19] 논문 Methods for isolating atrial cells from large mammals and humans 2015-09
[20] 논문 Methods in cardiomyocyte isolation, culture, and gene transfer 2011-09
[21] 간행물 Evaluation of human platelet lysate versus fetal bovine serum for culture of mesenchymal stromal cells 2014-02-16
[22] 웹사이트 'Post - Blog | Boval BioSolutions, LLC' http://www.bovalco.c[...] bovalco.com 2014-12-02
[23] 웹사이트 LipiMAX purified lipoprotein solution from bovine serum http://www.selborneb[...] 2010-02-02
[24] 논문 Cell plating density alters the ratio of estrogenic to progestagenic enzyme gene expression in cultured granulosa cells 2010-04
[25] 논문 Automated and online characterization of adherent cell culture growth in a microfabricated bioreactor 2014-10
[26] 논문 Organotypic brain slice cultures: A review 2015-10
[27] 논문 Line of attack 2015-02
[28] 논문 False human hematopoietic cell lines: cross-contaminations and misinterpretations 1999-10
[29] 논문 Cross-contamination: HS-Sultan is not a myeloma but a Burkitt lymphoma cell line 2001-12
[30] 논문 Identity tests: determination of cell line cross-contamination 2006-06
[31] 논문 Cell biology. Cases of mistaken identity 2007-02
[32] 논문 A case study in misidentification of cancer cell lines: MCF-7/AdrR cells (re-designated NCI/ADR-RES) are derived from OVCAR-8 human ovarian carcinoma cells 2007-01
[33] 논문 Widespread intraspecies cross-contamination of human tumor cell lines arising at source 1999-11
[34] 논문 HeLa cells 50 years on: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2002-04
[35] 논문 Doing good science: Authenticating cell line identity http://www.promega.c[...] 2008-10-28
[36] 논문 Henrietta Lacks, HeLa Cells, and Cell Culture Contamination 2009-09-01
[37] 논문 Genetic and epigenetic instability in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38] 논문 Mind your media 2020-12
[39] 논문 Inferring cancer dependencies on metabolic genes from large-scale genetic screens 2019-04
[40] 논문 Improving the metabolic fidelity of cancer models with a physiological cell culture medium 2019-01
[41] 논문 Physiologic Medium Rewires Cellular Metabolism and Reveals Uric Acid as an Endogenous Inhibitor of UMP Synthase 2017-04
[42] 웹사이트 Moore v. Regents of University of California (1990) 51 C3d 120 http://online.ceb.co[...] Online.ceb.com 2012-01-27
[43] 논문 A brief history of the mortality and immortality of cultured cells 1998-09
[44] 웹사이트 Worthington tissue guide http://www.worthingt[...] 2013-04-30
[45] 논문 Improving the expansion and neuronal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through culture surface modification
[46] 논문 Therapeutics from Adult Stem Cells and the Hype Curve 2016-05
[47] 논문 Expression of mammalian proteins for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a review 2022-11-01
[48] 논문 Cell migration analysis: A low-cost laboratory experiment for cell and developmental biology courses using keratocytes from fish scales 2017-11
[49] 논문 Tissue cells feel and respond to the stiffness of their substrate 2005-11
[50] 논문 Substrate elasticity regulates skeletal muscle stem cell self-renewal in culture 2010-08
[51] 논문 Soft substrates promote homogeneous self-renewal of embryonic stem cells via downregulating cell-matrix tractions 2010-12
[52] 논문 Matrix elasticity directs stem cell lineage specification 2006-08
[53] 논문 Tensional homeostasis and the malignant phenotype 2005-09
[54] 논문 Matrix crosslinking forces tumor progression by enhancing integrin signaling 2009-11
[55] 논문 Matrix rigidity regulates cancer cell growth and cellular phenotype 2010-09
[56] 논문 Feedback amplification of fibrosis through matrix stiffening and COX-2 suppression 2010-08
[57] 논문 Myofibroblast contraction activates latent TGF-beta1 from the extracellular matrix 2007-12
[58] 논문 Increased stiffness of the rat liver precedes matrix deposition: implications for fibrosis 2007-12
[59] 논문 Functional modulation of ES-derived hepatocyte lineage cells via substrate compliance alteration 2008-05
[60] 논문 Engineering hepatocellular morphogenesis and function via ligand-presenting hydrogels with graded mechanical compliance 2005-02
[61] 논문 Mechanically activated integrin switch controls alpha5beta1 function 2009-01
[62] 논문 Traction dynamics of filopodia on compliant substrates 2008-12
[63] 논문 Role of YAP/TAZ in mechanotransduction 2011-06
[64] 웹사이트 drug discovery@nature.com http://www.nature.co[...] Nature.com 2013-03-26
[65] 논문 Epithelial cell coculture models for studying infectious diseases: benefits and limitations
[66] 논문 Organotypic 3D cell culture models: using the rotating wall vessel to study host-pathogen interactions 2010-11
[67] 논문 Three-dimensional tumor models: Promoting breakthroughs in nanotheranostics translational research 2020-06
[68] 논문 Photothermal effect by NIR-responsive excretable ultrasmall-in-nano architectures 2019
[69] 논문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systems and their applications in drug discovery and cell-based biosensors 2014-05
[70] 논문 Nanofibrillar cellulose hydrogel promotes three-dimensional liver cell culture 2012-12
[71] 논문 Nanotechnology in fertilizers 2010-02
[72] 논문 384 hanging drop arrays give excellent Z-factors and allow versatile formation of co-culture spheroids 2012-05
[73] 논문 Endogenously Triggerable Ultrasmall-in-Nano Architectures: Targeting Assessment on 3D Pancreatic Carcinoma Spheroids 2018-09
[74] 논문 The transcriptional landscape of a hepatoma cell line grown on scaffolds of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2021-04
[75] 논문 Comparison of 2D and 3D cell culture models for cell growth, gene expression and drug resistance 2020-02
[76] 논문 3D Cell Culture Systems: Tumor Applicatio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2021-11
[77] 논문 Hydrogels as extracellular matrix mimics for 3D cell culture 2009-07
[78] 간행물 Quickie Bird Flu Vaccine Created https://www.wired.co[...] 2006-01-26
[79] 논문 Protection of mice and poultry from lethal H5N1 avian influenza virus through adenovirus-based immunization 2006-02
[80] 웹사이트 NIAID Taps Chiron to Develop Vaccine Against H9N2 Avian Influenza https://www.niaid.ni[...] 2004-08-17
[81] 논문 The advantages of co-culture over mono cell culture in simulating in vivo environment http://dx.doi.org/10[...] 2012-09
[82] 논문 Advances in tissue engineering through stem cell-based co-culture 2014-02-03
[83] 논문 Lab-on-a-chip: microfluidics in drug discovery https://www.nature.c[...] 2006-03
[84] 논문 From cells-on-a-chip to organs-on-a-chip: scaffolding materials for 3D cell culture in microfluidics https://pubs.rsc.org[...] 2020
[85] 논문 Organ-on-a-chip: recent breakthroughs and future prospects 2020-02-12
[86] 논문 A guide to the organ-on-a-chip 2022-05-12
[87] 논문 Organ-on-a-Chip: A New Paradigm for Drug Development 2021-02
[88] 논문 Collective cell migration of primary zebrafish keratocytes 2014-08
[89] 논문 The composition and dynamics of cell-substratum adhesions in locomoting fish keratocytes https://cdr.lib.unc.[...] 1997-11
[90] 논문 Insect cells as factories for biomanufacturing https://zenodo.org/r[...] 2012
[91] 논문 A single bone marrow-derived stromal cell type supports the in vitro growth of early lymphoid and myeloid cells 1987-03
[92] 논문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7 ovarian carcinoma cell lines and one granulosa tumor cell line: growth features and cytogenetics 1993-02
[93] 논문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human prostatic cancer cell line: DuCaP
[94] 논문 Promiscuous T-cell recognition of a rubella capsid protein epitope restricted by DRB1*0403 and DRB1*0901 molecules sharing an HLA DR supertype 1998-03
[95] 웹사이트 Whonamedit - Ringer's solution https://www.whonamed[...] whonamedit.com 2015-07-14
[96] 웹사이트 Animals and alternatives in testing http://caat.jhsph.ed[...] 2015-07-14
[97] 웹사이트 'Post - Blog | Boval BioSolutions, LLC' http://www.bovalco.c[...] bovalco.com 2014-12-02
[98] 웹사이트 LipiMAX purified lipoprotein solution from bovine serum http://www.selborneb[...] 2010-02-02
[99] 논문 Cell plating density alters the ratio of estrogenic to progestagenic enzyme gene expression in cultured granulosa cells 2010-04
[100] 논문 Line of attack http://www.sciencema[...] 2015-02-27
[101] 논문 False human hematopoietic cell lines: cross-contaminations and misinterpretations 1999-10
[102] 논문 Cross-contamination: HS-Sultan is not a myeloma but a Burkitt lymphoma cell line http://www.bloodjour[...] 2001-12
[103] 논문 Identity tests: determination of cell line cross-contamination 2006-06
[104] 논문 Cell biology. Cases of mistaken identity 2007-02
[105] 논문 A case study in misidentification of cancer cell lines: MCF-7/AdrR cells (re-designated NCI/ADR-RES) are derived from OVCAR-8 human ovarian carcinoma cells 2007-01
[106] 논문 Widespread intraspecies cross-contamination of human tumor cell lines arising at source 1999-11
[107] 논문 HeLa cells 50 years on: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2002-04
[108] 논문 Doing good science: Authenticating cell line identity https://www.promega.[...]
[109] 논문 Genetic and epigenetic instability in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110] 웹사이트 Moore v. Regents of University of California (1990) 51 C3d 120 http://online.ceb.co[...] Online.ceb.com null
[111] 논문 再生医療の事業化における自動培養装置のポジション https://doi.org/10.4[...] 日本医療機器学会
[112] 저널 인용 Characterizing the mechanics of cultured cell monolayers.
[113] 웹인용 Some landmarks in the development of tissue and cell culture https://www.ncbi.nlm[...] 2006-04-19
[114] 웹인용 Cell Culture http://www.bioteach.[...] 2006-04-19
[115] 저널 인용 Methods for isolating atrial cells from large mammals and humans
[116] 저널 인용 Methods in cardiomyocyte isolation, culture, and gene transfer
[117] 간행물 Evaluation of human platelet lysate versus fetal bovine serum for culture of mesenchymal stromal cells 2014-02-16
[118] 웹인용 "Post - Blog | Boval BioSolutions, LLC" http://www.bovalco.c[...] bovalco.com 2014-12-02
[119] 웹인용 LipiMAX purified lipoprotein solution from bovine serum http://www.selborneb[...] 2010-02-02
[120] 저널 인용 Cell plating density alters the ratio of estrogenic to progestagenic enzyme gene expression in cultured granulosa cells
[121] 저널 인용 Automated and online characterization of adherent cell culture growth in a microfabricated bioreactor.
[122] 저널 인용 Organotypic brain slice cultures: A review
[123] 저널 인용 Line of attack
[124] 저널 인용 False human hematopoietic cell lines: cross-contaminations and misinterpretations
[125] 저널 인용 Cross-contamination: HS-Sultan is not a myeloma but a Burkitt lymphoma cell line
[126] 저널 인용 Identity tests: determination of cell line cross-contamination
[127] 저널 인용 Cell biology. Cases of mistaken identity
[128] 저널 인용 A case study in misidentification of cancer cell lines: MCF-7/AdrR cells (re-designated NCI/ADR-RES) are derived from OVCAR-8 human ovarian carcinoma cells
[129] 저널 인용 Widespread intraspecies cross-contamination of human tumor cell lines arising at source
[130] 저널 인용 HeLa cells 50 years on: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131] 저널 인용 Doing good science: Authenticating cell line identity http://www.promega.c[...] 2008-10-28
[132] 저널 인용 Genetic and epigenetic instability in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133] 저널 인용 Mind your media https://rdcu.be/b8pq[...]
[134] 저널 인용 Inferring cancer dependencies on metabolic genes from large-scale genetic screens. https://www.ncbi.nlm[...]
[135] 저널 인용 Improving the metabolic fidelity of cancer models with a physiological cell culture medium. https://www.ncbi.nlm[...]
[136] 저널 인용 Physiologic Medium Rewires Cellular Metabolism and Reveals Uric Acid as an Endogenous Inhibitor of UMP Synthase. https://www.ncbi.nlm[...]
[137] 저널 인용 A single bone marrow-derived stromal cell type supports the in vitro growth of early lymphoid and myeloid cells
[138] 저널 인용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7 ovarian carcinoma cell lines and one granulosa tumor cell line: growth features and cytogenetics
[139] 저널 인용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human prostatic cancer cell line: DuCaP
[140] 저널 인용 Promiscuous T-cell recognition of a rubella capsid protein epitope restricted by DRB1*0403 and DRB1*0901 molecules sharing an HLA DR supertyp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