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단 오구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단 오구르는 오고타이 칸의 아들로, 몽골 제국의 서방 원정에 참여하여 폴란드, 헝가리 등 동유럽을 침공했다. 1251년 몽케 칸의 즉위를 지지하여 숙청을 피했으며, 이후 쿠빌라이 칸을 지지하며 몽골 제위 계승 전쟁에서 활약했다. 감숙성 일대를 영지로 받았으며, 아릭부케 군을 격파하는 등 쿠빌라이를 지지하는 세력으로 활동하다가 1261년 또는 1262년 경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고타이 칸국 - 퇴레게네 카툰
오고타이 칸의 아내인 퇴레게네 카툰은 오고타이 칸 사후 섭정을 맡아 제국을 다스리며 아들 귀위크를 칸으로 옹립하려 했으나, 권력 투쟁과 내부 갈등을 심화시켜 몽골 제국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오고타이 칸국 - 쿠툴룬
쿠툴룬은 13세기 몽골 카이두 칸의 딸이자 뛰어난 무예와 용맹으로 명성을 떨친 전사 공주로, 자신을 레슬링으로 이기는 남자와 결혼하겠다는 조건으로 수많은 구혼자를 물리쳤으며 아버지의 정치적 조언자 역할을 하고 투란도트 설화의 모티브가 되었다. - 몽골 제국의 장군 - 우량카다이
우량카다이는 몽골 제국의 장수로서 수부타이의 아들이며 젤메의 조카이고, 몽골의 유럽 침략, 남송 정복, 대월 침공 등 여러 원정에 참여하여 군사적 능력을 발휘했으며 쿠빌라이 칸과 함께 대리국 정벌과 남송 공격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황위 계승 전쟁에서 쿠빌라이를 지지했다. - 몽골 제국의 장군 - 수부타이
수부타이는 1175년 또는 1176년 몽골에서 태어나 칭기즈칸과 오고타이 칸 시대에 활약하며 금나라, 호라즘, 루스 등지에서 혁신적인 전술로 몽골 제국 영토 확장에 기여한 명장이다. - 몽골 제국의 황족 - 두아
두아는 13세기 후반에서 14세기 초반 차가타이 칸국의 칸으로, 카이두의 지원으로 칸위에 올랐으나 카이두 사후 원나라와의 갈등 속에서 차가타이 칸국을 카이두 세력으로부터 벗어나게 했으며, 그의 통치는 모굴리스탄 칸국 건국에 영향을 주었다. - 몽골 제국의 황족 - 오굴 카미시 카툰
오굴 카이미시는 13세기 몽골 제국 귀유크 칸의 황후이자 섭정이었으나, 정치적 능력 부족과 몽케 칸과의 대립으로 암살 음모 혐의를 받아 처형당하며 오고타이 가문과 툴루이 가문의 권력 다툼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카단 오구르 | |
---|---|
개요 | |
![]() | |
인물 정보 | |
이름 | 카단 |
가문 | 오고데이 가문 |
왕조 | 보르지긴 |
아버지 | 오고데이 칸 |
어머니 | 에르게네 |
2. 생애
카단은 오고타이 칸의 첩 에르게네에게서 태어났으며, 아버지와 어머니 양쪽에서 그의 유일한 형제는 멜리크였다.[1] 집사에 따르면, 카단은 어린 시절 차가타이의 오르도에서 양육되었다.[4]
1236년 오고타이 칸의 명으로 서방원정군이 편성되자, 카단은 이복 형 귀위크 칸, 사촌 몽케 칸과 함께 서방 원정에 파견되었다. 1241년 카단은 바이다르, 오르다 칸의 군대와 폴란드를 침공하여 루블린, 자비호스트, 산도미에시 등을 약탈했다. 이후 마조비아를 공격했고, 바이다르는 크라쿠프와 비톰을 불태웠으며, 오르다 칸은 리투아니아 남서쪽 국경을 공격했다. 이들은 실레시아의 수도 브로츠와프를 공격할 예정이었으나, 레그니차 전투에서 헝가리 군을 패배시킨 후[1] 예상외로 몽골군 사상자가 발생하여 보헤미아의 벤체슬라우스 1세 본진을 직접 공격하는 것을 주저했다. 카단은 바이다르 군대와 연합하여 보헤미아로 진격, 보급로를 차단하여 보헤미아 국왕이 헝가리의 벨라 4세를 돕지 못하게 했다. 카단의 군대 일부는 모라비아를 공략한 후 헝가리로 갔다.[1]
1241년부터 1242년까지 카단이 이끄는 군대는 동유럽을 정복하고, 헝가리, 폴란드, 달마티아, 불가리아를 공략했다. 1241년 겨울, 카단은 죄르로 가는 길에 부다를 점령, 파괴하고 세케슈페헤르바르를 포위했지만, 해빙으로 인해 퇴각했다. 카단은 헝가리의 벨라 4세를 추격하기 위해 자그레브를 거쳐 달마티아로 진격했다. 1242년 3월 벨라 4세는 크로아티아의 클리스 요새에서 카단의 추격을 피해 트로기르로 피신했다. 카단은 보급품 부족으로 헝가리인 포로들을 처형하고 벨라 4세를 쫓아 두브로브니크까지 남하했으나, 슈코더 근처에서 오고타이 칸의 사망 소식을 접했다.[1]
1242년 4월 카단은 아드리아해 주변을 원정했다가 동쪽으로 귀환했다.[1] 1251년 쾨덴과 함께 몽케 칸을 지지하여 몽케 칸 집권 이후에도 숙청되지 않고 오고타이 한국의 북서쪽 감숙성 일대를 영지로 받았다.[4]
1260년 쿠빌라이와 아리크부케 사이에 전쟁이 벌어지자, 쿠빌라이 편에 서서 서부 지역 군대를 지휘했다. 카단은 아리크부케와 교전하여 1260년 말 감숙성 북서부 고장 근처에서 아리크부케 군대를 격파하고 지휘관들을 처형했다.[12][13] 집사에 따르면 아란타르를 죽인 것은 카단이라고 한다.[4] 1261년 쿠빌라이가 친히 아리크부카를 정벌할 때 출정하여 시무투 전투에서 아리크부카를 패주시켰다. 1261년 혹은 1262년 경에 사망했다.
2. 1. 생애 초기
카단은 오고타이 칸과 그의 후궁 에레게네 비자 사이에서 태어났다. 몽골어로 '바위'를 뜻하는 이름을 가진 카단은, 라시드 알딘에 따르면 오고타이 칸의 여섯 번째 아들이었다. 그의 어머니 에레게네 비자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지만, 집사에는 동생 멜리에게 6명의 아들이 있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집사에 따르면, 카단은 어린 시절 차가타이 한국으로 보내져 숙부 차가타이 칸의 궁정에서 성장했다. 성인이 된 후 몽골로 돌아왔다.
1241년 초, 카단의 군대는 폴란드의 루블린, 자비호스트, 산도미에시를 약탈했다. 이후 마조비아를 공격했고, 크라쿠프와 비톰을 불태웠다. 레그니차 전투에서는 실레시아 공작 헨리 2세와 폴란드 군대를 격파하며 큰 승리를 거두었다. 하지만 몽골군의 피해도 커서, 카단은 보헤미아 군대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피했다.
1241-42년 겨울, 카단은 부다를 약탈하고 세케슈페헤르바르를 포위했지만, 이른 해빙으로 인해 철수해야 했다. 이후 크로아티아에서 헝가리의 벨라 4세를 추격했으나, 크로아티아의 클리스 요새에서 첫 군사적 실패를 경험했다.[1] 보급 부족으로 헝가리 포로들을 처형한 카단은 두브로브니크를 향해 남쪽으로 이동하던 중 아버지 오고타이 칸의 사망 소식을 듣고 중앙 유럽에서 철수했다. 이 과정에서 불가리아를 약탈하여 불가리아의 칼리만 1세로부터 조공을 받았다.
1251년, 카단은 몽케 칸의 즉위를 지지했으며, 구유크의 장군 엘지게데이를 체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툴루이 내전에서는 쿠빌라이 칸을 지지하며 아릭 부케에 맞서 싸웠고, 아릭 부케와의 전투에서 그의 장군 알란다르를 살해했다.
2. 2. 몽골의 서방 원정 참여
1236년 오고타이 칸의 명으로 서방원정군이 편성되자, 이복 형 귀위크 칸, 사촌 몽케 칸과 함께 서방 원정에 파견되었다. 카단과 귀위크는 카라코룸을 출발, 바투의 휘하에서 원정군 1개 부대를 이끌었다. 1237년 바시키르와 볼가 불가리아, 모라비아를 원정하였다.[1]1237년 겨울부터 1238년 카단은 바슈르, 볼가 불가리아, 모르드빈스 원정에 참여했다. 1238년 루스를 공략하고, 노브고르드 대공국을 정벌했다. 노브고르드에서 대초원으로 돌아오는 길에 카단의 군대는 부리의 군대와 함께 군사를 동쪽으로 돌려 이동, 랴잔 대공국을 정복하였다. 1238년 5월 초 카단은 7주간 주력군을 이끌고 코젤스크 대공국에 접근, 그해 7월 3일만에 코젤스크를 점령했다. 1238년 말 카단은 몽케 칸을 따라 북코카서스에서 서부 키르키스족을 정복했다. 1239년 겨울부터 1240년에 카단은 몽케, 귀위크, 부리 등과 함께 민스크시를 3개월간 포위 공격하는데 참여했다. 며칠간의 연속 격전 끝에 승리, 저항한 주민들을 보복하였다.[1]
1241년 카단은 바이다르, 오르다 칸의 군대와 폴란드를 침공했다. 1241년 초, 카단의 군대는 폴란드 내에서 분리되어 루블린, 자비호스트, 산도미에시 등을 약탈했다. 그런 다음 카단은 마소비아를 공격했고, 바이다르는 철수하여 폴란드 수도인 크라코와 바이툼을 불태웠고 오르다 칸은 리투아니아의 남서쪽 국경을 공격했다. 이들은 실레지아의 수도 브로츠와프를 공격할 예정이었다. 바이다르는 도시를 포위하기 시작했지만 카단은 오르다 칸과 함께 북쪽으로 진군하여 레그니카로 진군하여, 보헤미아의 바츨라프 1세와 합류하기 전인 실레지아 공작 하인리히 2세, 폴란드 대공의 군대를 발슈타트에서 격파했다. 마소비아의 콘라트 1세의 일부 군대를 물리친 후 카단의 군대는 그해 4월 레그니카에서 바이다르 군대 및 오르다의 군대와 합류했다. 1241년 4월 9일 레그니카 전투에서 헝가리 군을 패배시켰다.[1]
그러나 예상외로 몽골군 사상자가 발생하여 카단은 보헤미아의 바츨라프 1세의 본진을 직접 공격하기를 주저했다. 카단은 바이다르 군대와 연합, 보헤미아로 돌진했고, 보급로를 차단하여 보헤미아의 국왕이 헝가리의 벨라 4세를 돕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카단의 군대 일부는 모라비아를 공략하게 한 후, 헝가리로 갔다.[1]
1241년부터 1242년 카단이 이끄는 군대는 동부 유럽을 정복하고, 헝가리, 폴란드, 달마티아, 불가리아를 공략, 정복했다. 1241년 4월 9일 레그니카 전투는 역사에 기록되었다. 서방 원정의 막판에 카단의 군대는 볼린 공국을 점령한 후, 본진과 분리되어 키예프 함락에 참여했다. 귀위크는 아버지 오고타이 카안의 명령을 받고 몽골로 귀환했고, 카단은 바투 및 수부타이와 함께 볼호로프에 도착, 볼호로프 주민들은 몽골의 종주권과 조공을 바치는데 동의했다. 볼호로프를 떠나 카르파티아산맥 주변을 정복하고 헝가리를 침공, 헝가리의 최남단 경로를 이동하여 북쪽까지 갔다. 1241년 드로에 전투에서 헝가리군을 참패시켰다. 카단의 군대는 헝가리의 바라딘, 아라드, 페레그, 에그레스, 티미쇼아라, 알바이울리아를 차례대로 함락시켰다.[1]
1241년~1242년 겨울, 카단은 구이르로 가는 길에 부다를 점령, 파괴하였다. 또한 이탈리아인 용병들을 고용해서 세케슈페헤르바르를 점령하게 하는 동안, 카단은 해빙이 마을 주변의 땅을 점령했다가 곧 퇴각했다. 카단은 헝가리의 벨라 4세를 찾기 위해 1개 투멘을 부여받아 헝가리 남부로 보내졌다. 카단은 먼저 자그레브에서 헝가리 왕을 찾았고, 자그레브를 황폐화시킨 뒤 달마티아로 진격해 벨라 4세를 추격했다. 1242년 3월 벨라 4세는 크로아티아의 클리스 요새에서 카단의 추격 소식을 접하고 트로기르로 피신했다. 카단은 이때 헝가리인 포로들을 앞세웠으나 보급품의 부족으로 헝가리인 포로들을 처형했다. 벨라 4세는 카단의 추격을 피해 트로기르에서 라구사로 피신했다. 카단은 스쿠타리에 근처까지 갔다가 아버지 오고타이 칸의 사망 소식을 접하였다.[1]
1242년 4월 카단은 군단을 이끌고 아드리아해 주변을 원정했다가 동쪽으로 귀환했다.[1]
2. 3. 귀환 이후
1251년 새로운 대칸을 선출할 때 카단은 코단과 함께 몽케 칸을 지지했다. 몽케 칸이 집권했을 때 오고타이의 후손들은 대부분 숙청되었으나, 카단은 몽케를 지지했기 때문에 그의 가족은 살아남았다. 카단은 오고타이 한국의 북서쪽 감숙성 일대를 영지로 받았다.[4]1257년 10월 몽케 칸의 남송 친정군이 출발할 때, 카단은 카라차르의 아들 토크토와 함께 몽케 칸의 남송 원정대에 참여하여 배편으로 남중국해를 거쳐 1258년 2월 남송에 도착했다. 1259년 8월 몽케 칸이 남송 원정 도중 사천성 조어산에서 사망하자, 몽케 칸의 동생 아리크부카와 쿠빌라이가 서로 대칸이 되려고 경쟁하였다. 카단은 쿠빌라이 지지를 선언했다. 1260년 연경에서 열린 쿠릴타이에 참여, 쿠빌라이를 추대하였다.[9]
1260년 봄, 쿠빌라이와 아릭부케 사이에 전쟁이 벌어지자, 그는 쿠빌라이의 편에 섰으며, 쿠빌라이 군대의 서부 지역 군대에서 활동했다. 곧 그의 명으로 아릭부케와 교전했으며 1260년 말, 카단은 감숙성 북서부 고장(姑臧) 근처에서 아릭부케의 오른쪽 군대를 지휘한 아란타르 장군과 쿤두카이 장군의 군대를 격파하고, 그들을 처형했다.[12][13] 쿠빌라이와 아리크부카 사이의 전투 중 일시적으로 하서 지방을 포기하는 안이 나왔으나, 카단은 옹구트부의 안출 등과 합류, 바친, 왕량신 등 3명과 각각 군대를 이끌고 아란타르 군을 상대했다. 바람이 심하게 불 무렵 왕량신이 아란타르 군과 교전, 카단은 아란타르 군대의 도주 경로를 파악하고 매복해 있다가 아란타르, 군두카이 군을 기습공격하여 몰살시켰다. 집사에 의하면 아란타르를 죽인 것은 카단이라 한다.[4]
1261년 쿠빌라이가 친히 아리크부카를 정벌할 때 출정, 카단은 시무투 전투에서 아리크부카를 패주시켰다. 1261년 혹은 1262년 경에 사망했다.
3. 몽골 제국 제위 계승 전쟁에서의 역할
1251년 새로운 대칸을 선출할 때 카단은 코단과 함께 몽케 칸을 지지했다.[4] 몽케 칸 즉위 후, 오고타이의 후손들은 대부분 숙청되었으나 카단은 몽케를 지지했으므로 그의 가족은 살아남았다. 카단은 오고타이 한국의 북서쪽 감숙성 일대를 영지로 분봉받았다. 몽케 칸의 남송 친정이 시작되자 카단은 카라차르 가문의 토탁과 함께 오고데이 가문을 대표하여 몽케 군에 참여했다.[8]
1259년 8월 몽케 칸이 남송 원정 도중 사천성 조어산에서 사망하자, 몽케 칸의 동생 아리크부카와 쿠빌라이가 서로 대칸이 되려고 경쟁하였다. 카단은 쿠빌라이 지지를 선언했고, 1260년 연경에서 열린 쿠릴타이에 참여, 쿠빌라이를 추대하였다.[9] 호경은 가사도에게 보낸 서간에서 쿠빌라이 파의 주요 인물로 카단(합단) 대왕, 모게(마가) 대왕, 타차갈(탑찰) 국왕 등 3명의 이름을 거론하며, 카단은 「선제의 종결 시, 솔선하여 [쿠빌라이를] 추대했다」고 기술하고 있다.[10]
1261년 혹은 1262년 경에 사망했다.
3. 1. 아리크부카와의 전투
1260년 봄, 쿠빌라이와 아릭부케 사이에 전쟁이 벌어지자, 카단은 쿠빌라이의 편에 섰으며, 쿠빌라이 군대의 서부 지역 군대에서 활동했다. 곧 쿠빌라이의 명으로 아릭부케와 교전했으며, 1260년 말 감숙성 북서부 고장(姑臧) 근처에서 아릭부케의 오른쪽 군대를 지휘한 아란타르 장군과 쿤두카이 장군의 군대를 격파하고, 그들을 처형했다.[4][12][13] 제위 계승 전쟁에서 카단은 쿠빌라이파의 좌익군으로, 서방 전선에서 활약했다. 서방 전선에서의 전투는 아리크부케의 유력자 중 한 명 아람다르가 군대를 이끌고 남하하여, 하서 지방의 코덴 울루스에 큰 타격을 입히고, 하서 일대를 점령하면서 시작되었다.[11]쿠빌라이와 아리크부카 사이의 전투 중 일시적으로 하서 지방을 포기하는 안이 나왔으나, 카단은 옹구트부의 안추르 등과 합류, 바친, 왕량신(汪良臣) 등 3명과 각각 군대를 이끌고 아란타르 군을 상대했다. 바람이 심하게 불 무렵 왕량신이 아란타르 군과 교전, 카단은 아란타르 군대의 도주 경로를 파악하고 매복해 있다가 아란타르, 군두카이 군을 기습공격하여 몰살시켰다. 집사에 의하면 아란타르를 죽인 것은 카단이라 한다.[4]
카단 군과 아람다르 군이 대치한 날은 매우 강한 바람이 부는 날이었기 때문에, 왕량신은 군사들에게 말을 내리고 칼을 사용하여 공격하게 했고, 왕량신이 직접 적병 수십 명을 베는 분전으로 아람다르 군은 열세에 놓였다. 게다가 카단 군은 아람다르 군의 도주 경로에 매복하여 이를 크게 격파하고, 마침내 주장인 아람다르 쿤두카이를 살해했다.[12][13]
1261년 쿠빌라이가 친히 아리크부카를 정벌할 때 출정, 카단은 시무투 전투에서 아리크부카를 패주시켰다.
4. 평가
일부 서방 문헌에서는 카단 오구르의 이름을 그의 조카 카이두나 이복 형제 코단과 혼동하기도 한다.[2]
다른 우구데이계 왕족들과 달리 카단은 툴루이 가문을 지지하여 자신의 지위를 유지하는 데 성공했지만, 그의 자손들은 다른 우구데이 왕족에게 합류하였다. 카단의 아들 중 한 명인 킵차크 또는 치바크는 오고타이 칸의 다른 아들 카시 가문의 카이두와 차가타이 한국의 바라크 사이의 동맹을 중재했으며, 이후 카이두 울루스에 참여했다. 또 다른 아들 예순투아는 카이산의 공격으로 알타이 산맥에서 원나라에 항복할 때까지 카이두 우르스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카단의 후손 카라차크는 1308년 원 무종으로부터 용왕(隴王)에 봉해지고 수뉴금인을 받았다. 카라차크의 후손들은 용왕직을 세습하였다.
일설에는 15세기의 북원의 칸 굴리치 울루그 테무르 칸이 카단 오구르의 후손이라는 설이 있다.
5. 가계
카단은 오고타이 칸과 그의 후궁 에레게네 비자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친동생으로 멜리가 있었다. 몽골어로 '바위'를 뜻하는 이름인 카단은 라시드 알딘에 따르면 오고타이 칸의 여섯 번째 아들이었고, 생모 에레게네 카툰은 오고타이 칸의 첩이었다.[15] 그의 어머니 에레게네 비자에 대한 인품과 사적은 전해지지 않으며, 친동생 멜리 역시 이름만 전해질 뿐 행적은 기록에 남아있지 않다. 다만, 페르시아어 사서 집사에는 멜리에게 6명의 아들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15]
카단은 어려서 차가타이 한국으로 보내져 숙부 차가타이 칸의 궁정에서 성장했다. 성인이 된 후 귀국하였으며, 일부 서방 문헌에서는 그의 이름을 조카 카이두나 이복 형제 코단과 혼동하기도 한다.[15]
카단의 아들에 대해서는 『원사』로 대표되는 동방의 한문 사료와 『집사』로 대표되는 서방의 페르시아어 사료의 기술이 다르다. 『집사』는 카단의 아들이 7명이라고 명시하고 돌지(دورجی/Dūrjī), 예술(ییسور/Yīsūr), 키프차크(قبچاق/Qibchāq), 카단 우부크(قدان اوبوک/Qadān ūbūk), 쿠름시(قورمشی/Qūrmshī), 예예(ییه/Yeye), 아지키(اجیقی/Ajīqī)라는 이름을 들고 있다. 『오족보』에서는 아지키 대신 에브겐(ابوکان/Abūkān)이라는 이름을 싣는다. 『원사』「종실세계표」는 돌지(覩爾赤/dǔěrchì) 왕, 에브겐(也不干/yěbúgān) 대왕, 예술(也速児/yěsùér) 대왕, 예순 투아(也孫脱/yěsūntuō) 대왕, 코니치(火你/huǒnǐ) 대왕이라는 5명의 아들 이름을 든다.[16] 돌지, 예술, 에브겐은 이름이 일치하지만, 나머지 아들들이 동일 인물의 다른 이름인지, 전혀 다른 인물인지는 불분명하다.[16]
카단은 다른 우구데이계 왕족들과 달리 툴루이 가문을 지지하여 지위를 유지했지만, 그의 아들들은 다른 우구데이 왕족과 협력하는 길을 선택했다. 카단의 아들 중 한 명인 킵차크는 카이두와 바라크의 동맹 관계 구축을 중재하여 카이두 울루스 성립에 큰 역할을 했다. 또 다른 아들 예순 투아는 카이산의 공격으로 알타이 산맥에서 원나라에 항복했다.[15]
카단의 후손 카라차크는 1308년 원 무종으로부터 용왕(隴王)에 봉해지고 수뉴금인을 받았으며, 카라차크의 후손들은 용왕직을 세습하였다.[15] 일설에는 15세기의 북원의 칸 굴리치 울루그 테무르 칸이 카단 오구르의 후손이라는 설이 있다.[15]
이름 | 한자 | 페르시아어 표기 |
---|---|---|
오고타이 칸 | 窩闊台 | اوگتاى قاآن|Ūgtāī Qā'ānfa |
카단 오굴 | 合丹 | قدان اغور|Qadān āghūrfa |
돌지 왕 | 覩爾赤 | دورجی|Dūrjīfa |
소세 대왕 | 小薛 | سوسه|Sūsefa |
싱기발 대왕 | 星吉班 | |
아스키바 | اسکبه|Askibafa | |
예술 대왕 | 也速児 | ییسور|Yīsūrfa |
키프차크 | قبچاق|Qibchāqfa | |
쿠릴 | قوریل|Qūrīlfa | |
카단 우부크 | قدان اوبوک|Qadān ūbūkfa | |
쿠름시 오굴 | Qurmši oγulmn|قورمشی|Qūrmshīfa | |
예예 | ییه|Yeyefa | |
오르크 테무르 | اورک تیمور|Ūrk tīmūrfa | |
이시 테무르 | ایش تیمور|Yīsh tīmūrfa | |
에브겐 대왕 | 也不干 | ابوکان|Abūkānfa |
롱 왕 코랑사 | 火郎撒 | |
예순 투아 대왕 | 也孫脱 | |
코니치 대왕 | 火你 | |
요주 대왕 | 咬住 | |
노카이 대왕 | 那海 |
참조
[1]
웹사이트
Prošlost Klisa
http://portal.klis.c[...]
2010-03-23
[2]
서적
"The Devil's Horsemen: The Mongol Invasion of Europe"
Atheneum
1979
[3]
논문
2004
[4]
논문
1996
[5]
기타
元史巻3憲宗本紀
[6]
논문
2012
[7]
논문
2004
[8]
논문
2004
[9]
기타
元史巻4世祖本紀1
[10]
논문
2004
[11]
기타
元史巻4世祖本紀1
[12]
기타
元史巻126廉希憲伝
[13]
기타
元史巻159商挺伝
[14]
논문
1992
[15]
논문
2015
[16]
논문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