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살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살라는 수단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1840년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 군대에 의해 군사 기지로 건설되었다. 고대에는 가쉬 집단의 정착지였으며, 18세기와 19세기에는 수단과 서부 지역을 연결하는 무역로의 핵심 거점이었다. 1885년 마흐디 반란으로 점령되었고, 1894년 이탈리아가 점령했다가 1897년 이집트에 반환되었다. 1940년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군이 점령했으나, 1941년 영국군이 탈환했으며, 1960년대 이후 에리트레아와 에티오피아에서 온 난민들이 유입되었다. 카살라는 열대 사막 기후이며, 카살라 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아스마라, 케렌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단의 주도 - 하르툼
    하르툼은 백나일강과 청나일강 합류 지점에 위치한 수단의 수도이자 하르툼주의 주도로, 나일강 항로의 요충지로서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 수단의 주도 - 알파시르
    알파시르는 수단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르푸르 술탄국의 수도였으며 북 다르푸르 주의 주도이고, 18세기 말 궁정 이전으로 발전했으며, 2021년 유엔 창고 약탈, 2023년 엘 파시르 전투가 있었고 열대 사막 기후를 보인다.
  • 수단의 도시 - 옴두르만
    옴두르만은 수단 하르툼 서쪽 나일 강 건너편에 위치한 도시로, 마흐디스트 운동의 군사 기지에서 시작하여 마흐디 국가의 수도였으며, 수단 내전의 격전지가 되는 등 수단의 정치적 격변 속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주요 문화 및 산업 중심지이다.
  • 수단의 도시 - 헤글리그
    헤글리그는 수단과 남수단 국경 지역의 무글라드 분지에 위치한 곳으로, 아랍어로 "사막 야자"를 의미하며, 남수단의 상당한 원유 매장량을 포함하고 있는 헤글리그 유전과 아비에이 지역 경계 분쟁으로 인해 수단과 남수단 간의 갈등의 중심지이다.
카살라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공식 명칭카살라
원어 명칭아랍어: كسلا
티그리냐어: ከሰላ
일반 정보
국가수단
카살라 주
위치수단 내 위치
좌표북위 15° 27', 동경 36° 24'
인구 (2002년 기준)957,000명

2. 역사

카살라는 1840년 오스만 제국이집트무함마드 알리 군대가 에티오피아 공격 기지로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1885년 마흐디 반란 세력에게 점령되었고, 1894년에는 이탈리아가 점령하여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에 편입시켰다. 1897년 다시 이집트에 반환되었으며, 1899년부터 1956년 수단 독립까지 영-이집트 수단의 일부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0년 동아프리카 전역에서 이탈리아군에게 잠시 점령되었으나 1941년 영국군이 되찾았다. 1960년대 이후로는 인접 지역의 분쟁으로 인해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수단 남부 누바 지역 등에서 온 많은 난민이 유입되었다.[12]

2. 1. 고대

(내용 없음)

2. 1. 1. 마할 테글리노스

마할 테글리노스의 고대 정착지는 초기 가쉬 집단 시대(기원전 2800–2500년경)에 번성했다. 이 시대의 이집트 항아리가 이곳에서 발견되었다.[3] 당시 마할 테글리노스 주민들은 이미 이집트, 누비아, 그리고 남부 아라비아 반도와 교역을 하고 있었다.[4]

마할 테글리노스 정착지는 그 이후에도 계속되었으며, 후기 가쉬 집단 시대(기원전 1900–1700년경)에도 번성했다.[4]

2. 2. 근대

18세기와 19세기 동안 카살라는 마사와와 수아킨의 해안 항구를 수단 및 서부 지역과 연결하는 중요한 동서 무역로의 거점이었다.[5] 1840년, 오스만 제국 통치 하 이집트총독 무함마드 알리 군대가 에티오피아 공격을 위한 군사 기지로 건설하고 도시를 정복했다. 이후 1885년 마흐디 반란이 일어나 마흐디 군대가 카살라를 점령했다.

1894년에는 카살라 전투 이후 이탈리아가 마흐디 군으로부터 도시를 점령하여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에 병합했다. 그러나 1897년, 이탈리아는 자국의 식민지인 에리트레아에 대한 국제적 승인을 얻기 위해 카살라를 이집트 왕국에 다시 반환했다. 1899년부터 카살라는 영-이집트 수단의 일부가 되었고, 이 상태는 1956년 수단이 독립할 때까지 이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0년 7월 4일, 동아프리카 전역의 일환으로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에서 진격해 온 이탈리아군(병력 2,500명, 기병 1개 여단, 탱크 24대)이 카살라를 공격했다. 당시 카살라를 방어하던 영국 식민지군(1,300명)은 격렬한 전투 끝에 패배하여 철수했고, 이탈리아군이 도시를 점령했다.[6] 이탈리아는 이후 에리트레아 독립 영웅이 되는 하미드 이드리스 아와테를 카살라 시장으로 임명하기도 했다. 그러나 1941년 1월 중순, 이탈리아군은 도시에서 철수했고 영국군이 다시 돌아와 점령했다.

1960년대 이후로는 인접한 에리트레아에티오피아 분쟁, 그리고 수단 남부의 누바족 문제 등으로 인해 많은 난민들이 카살라로 유입되었다.[12]

2. 3. 현대

18세기와 19세기 동안 카살라는 마사와와 수아킨 같은 해안 항구와 수단 내륙 및 서부 지역을 잇는 동서 무역로의 중요한 거점이었다.[5] 1840년, 오스만 제국이집트 총독이었던 무함마드 알리 휘하의 군대가 에티오피아 공격을 위한 군사 기지로 카살라를 건설하며 점령하였다. 이후 1885년에는 마흐디 전쟁 중 마흐디 세력이 카살라를 점령하였다.

1894년, 카살라 전투 이후 이탈리아 군대가 마흐디 세력으로부터 도시를 빼앗아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에 병합하려 시도했다. 그러나 1897년, 이탈리아는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 식민 통치에 대한 국제적 승인을 얻는 대가로 카살라를 이집트에 넘겨주었다. 1899년부터 1956년 수단이 독립할 때까지 카살라는 영국과 이집트가 공동으로 통치하는 영-이집트 수단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0년 7월 4일, 동아프리카 전역의 일환으로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에서 진격해 온 이탈리아 군대가 카살라를 침공했다. 이탈리아군은 약 2,500명의 병력과 탱크를 동원하여 1,300여 명의 영국 식민지군을 몰아내고 도시를 점령했다.[6] 이탈리아 점령군은 훗날 에리트레아 독립의 영웅이 되는 하미드 이드리스 아와테를 시장으로 임명하기도 했다. 그러나 1941년 1월 중순, 이탈리아군은 도시에서 철수했고 영국군이 다시 카살라를 장악했다.

1960년대 이후에는 인접한 에리트레아에티오피아에서의 분쟁 및 수단 남부의 누바 지역에서의 갈등 등으로 인해 많은 난민이 카살라로 유입되었다.[12]

3. 기후

카살라 우기의 끝


카살라는 열대 사막 기후(쾨펜 기후 구분 ''BWh'')로, 고온, 적은 강수량, 풍부한 일조량이 특징이다. 4월부터 6월까지가 연중 가장 더운 시기이며, 7월부터 9월까지가 우기로, 습도가 높고 간헐적인 강우가 특징이다. 연중 나머지 기간은 매우 건조하며, 11월부터 3월까지는 강수량이 거의 없다.[7]

4. 교통

과거에는 철도 운행의 중심지였으나, 2006년부터 철도 운행은 중단되었다. 서쪽으로 400km 떨어진 수도 하르툼과 북쪽의 포트수단을 잇는 고속도로 상에 위치하여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하고 있다.

5. 교육

카살라 시에는 국립 카살라 대학교가 있다. 이 대학은 1990년에 기존의 동부 대학교를 대체하여 설립되었으며, 수단 동부 지역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11] 주요 단과대학으로는 의과대학 및 보건 과학 대학, 교육 대학, 경제 및 행정 대학, 컴퓨터 과학 및 IT 대학 등이 있다.

6. 문화

카트미야 모스크와 카트미야 하산 묘


무크람 교외


카살라 동쪽


오스만 제국이 1840년에 건설하고 마흐디 전쟁 중에 손상된 카트미야 모스크는 이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문화 유적지이다. 이곳은 수피교 카트미야 종단의 중요한 장소이다.

카살라 지역의 유아 사망률은 2014년 출생아 1,000명당 62명으로, 전국 평균인 출생아 1,000명당 52명보다 약간 높았다.[10]

7. 자매 도시

8. 유명 인물


  • 부샤라 압델-나디프 (축구 선수)
  • 아이샤 무사 아흐마드 (가수)
  • 하산 알-투라비 (정치인)
  • 무한나드 엘 타히르 (축구 선수)
  • 니자르 하미드 (축구 선수)
  • 누르 우스만 무함메드

참조

[1] 웹사이트 GeoHive https://web.archive.[...] 2007-02-08
[2] 웹사이트 GeoHive https://web.archive.[...] 2007-02-08
[3] 서적 Eastern Sudan in its setting: The archaeology of a region far from the Nile Valley Oxford: Cambridge Monographs in African Archaeology 2017
[4] 논문 On the Origins and Dissemination of Domesticated Sorghum and Pearl Millet across Africa and into India: a View from the Butana Group of the Far Eastern Sahel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18-11-10
[5] 서적 Red Sea Citizens Indiana University Press 2009
[6] 이미지 Map showing in detail the Kassala occupation by Italians (within a green line) http://www.centrorsi[...]
[7]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 Kassala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1-21
[8] 웹사이트 Kassal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6-01-18
[9] 웹사이트 Station Kassala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6-10-22
[10] 웹사이트 MICS survey – Table CM.2 http://mics.unicef.o[...]
[11] 웹사이트 Kassala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11-09-17
[12] 서적 東部・南部アフリカ 朝倉書店 2019-06-10
[13] 웹인용 GeoHive http://www.geohive.c[...] 2007-02-08
[14] 웹인용 Kassal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6-01-18
[15] 웹인용 Station Kassala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6-1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