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사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사와는 에리트레아 동부에 위치한 홍해 항구 도시로, 세메나위 케이바하리 지방의 주도이다. 고대 악숨 왕국 시대부터 아랍 지리학자들에게 알려졌으며,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 중 하나인 동료 모스크가 위치해 있다. 오스만 제국, 이집트, 이탈리아의 지배를 거쳤으며, 이탈리아 식민지 시대에는 에리트레아 철도와 케이블카가 건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이탈리아 해군의 기지였으며, 에리트레아 독립 전쟁 중에는 격전지였다. 현재는 에리트레아의 주요 항구이자 관광지로, 마사와 국제공항, 해군 기지, 에리트레아 철도, 페리, 국도 P-1호선, 국도 P-6호선 등의 교통 시설을 갖추고 있다. 마사와 해양과학기술대학교와 마사와 경영경제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리트레아의 항구 도시 - 아사브
    아사브는 에리트레아 남부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1869년 건설되어 이탈리아령이 되었으며, 에티오피아 최대 항구였으나 독립과 분쟁으로 교역이 중단되었고, 현재 아랍에미리트의 군사 기지가 건설되어 있다.
  • 에리트레아 - 아스마라
    에리트레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인 아스마라는 기원전 역사를 가지며 이탈리아 점령기에 급성장하여 "작은 로마"로 불리며 다양한 건축 양식을 갖추게 되었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에리트레아 - 케렌
    케렌은 에리트레아 북부의 도시로, 역사적으로 무역로의 중심지이자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으며, 전쟁의 주요 무대였고, 현재는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역사적, 종교적 명소가 있는 곳이다.
마사와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마사와
기타 명칭미츠이와 (일본어)
므츠와으 (티그리냐어)
바체으/바드으 (티그레어)
므츠와 (기즈어)
마싸와으 (아랍어)
마싸우아 (이탈리아어)
마추아 (포르투갈어)
현지 명칭므스웨으 (티그리냐어)
별칭홍해의 진주
지리
위치에리트레아 북부 홍해 북부 주 마사와 지구
면적477km²
고도6m
기후사막 기후 (BWh)
시간대동아프리카 표준시 (EAT)
UTC 오프셋+3
행정
행정 구역홍해 북부 주
하위 행정 구역마사와 지구
행정관키다네 웰데실라세
인구
인구 (2012년)53,090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상징
표어 (티그리냐어)ሉል ቀይሕ ባሕሪ
표어 (번역)홍해의 진주
식별 번호
지역 번호+291 4
기타 정보
추가 정보
마사와 항구
마사와 항구
타울루드 섬 방파제
타울루드 섬 방파제
마사와 시정부 건물
마사와 시정부 건물
성 마리암 정교회 대성당
성 마리암 정교회 대성당
마사와 구시가지
마사와 구시가지

2. 역사

마사와의 역사 지도


마사와는 악숨 왕국 시대부터 아둘리스에 가려진 작은 해안 마을로 시작하여, 오랜 역사를 거쳐 홍해의 주요 항구 도시로 성장했다.

1557년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기 전까지 오랫동안 에티오피아 영토였다. 에티오피아 황제 사르사 뎅겔은 오스만 제국에 패배했고, 이후 마사와와 그 주변은 오스만 제국이 파견한 베자족이 통치했다. 19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후원 아래 이집트(무함마드 알리 왕조)가 통치했지만, 1885년 이탈리아에 점령되었고, 1890년 우찰리 조약으로 이탈리아의 식민지가 되었다.

1993년 5월 24일 에리트레아가 정식으로 독립하면서 세메나위 케이바하리 지방의 주도가 되었지만, 에리트레아 독립 전쟁으로 인해 마을이 큰 피해를 입어 2005년까지도 복구 작업이 진행되었다.

2. 1. 고대와 중세

마사와는 원래 악숨 왕국과 같은 위치에 있던 작은 해안 마을이었으며, 남쪽으로 약 50km 떨어진 인근 항구 아둘리스에 가려져 있었다. 마사와는 초기부터 아랍 지리학자들에게 알려져 있었다. 야쿠비는 그의 ''키타브 알 불단''에서 이 홍해 항구를 현지 티그레어 이름 ''Base''를 변형한 ''Badi''로 언급했고, 알 마수디는 935년에 이를 ''Nase''로 언급했다.[5]

이 도시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인 동료 모스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메카의 무슬림 탄압을 피해 도망온 예언자의 동료들에 의해 지어졌다고 한다. 8세기에 악숨이 멸망한 후, 마사와 주변 지역과 마을 자체는 702년부터 750년까지 우마이야 칼리파조의 지배를 받았다. 베자족은 또한 740년부터 14세기까지 베자 왕국 시대에 마사와를 지배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에리트레아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 중 하나인 셰이크 하나피 모스크가 마사와 섬에 건설되었다. 마사와는 키타아 왕국, 벨긴 왕국, 달락 술탄국 사이에 위치해 있었다.

15세기 초 이 도시는 에티오피아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으며, 마사와는 황제 예샤크 1세의 전쟁가에서 처음 언급되었다.[6] 15세기 중반 황제 자라 야코브는 이 지역에서 그의 통치를 공고히 하고 마사와를 메레브 멜라쉬의 기독교 지방에 편입시켰다. 이 기간 동안 이 항구는 아르메니아와 베네치아 상인들이 자주 드나들었다.[7][8]

1513년 마사와(Maçua)와 아르키코[9]에서 디오고 로페스 데 알베르가리아에 의해 포르투갈은 홍해 지배를 위한 투쟁에서 발판을 마련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에티오피아와 오스만 제국과의 싸움에서 동맹 영토로 진입하는 항구였다. 마누엘 1세는 처음에는 요새 건설을 명령했지만, 실제로 건설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포르투갈 주둔 동안 기존의 저수조와 우물이 포르투갈 해군의 물 공급을 위해 활용되었다.[10] 1541년 D. 조앙 데 카스트로는 엘 토르와 수에즈를 공격하기 위한 항해 경로를 기록한 "Roteiro do Mar Roxo"[11]에서 이 항구를 묘사했다. 아르키코의 선장은 포르투갈의 곤살루 페레이라였으며, 그는 마사와의 항구가 터키의 위협을 받을 때마다 포르투갈 함대의 주둔과 유지를 보장하는 해안의 두 번째 항구였다.[10] 1541년 아달 술탄국은 마사와 전투에서 포르투갈을 매복 공격했다.[12]

298x298px


마사와가 처음 문헌에 등장한 것은 에티오피아 황제이샤크 1세 시대이다. 에티오피아 황제가 총독을 보내 통치를 시작했다는 기록이 있다. 처음에는 마사와 섬에 도시가 건설되었지만, 나중에 아프리카 대륙 측으로 도시가 확대되었다.

2. 2. 오스만 제국과 이집트의 지배

오스만 제국은 1557년에 마사와를 점령하고 하베쉬 에야레트의 수도로 삼으려 했다.[13] 외즈데미르 파샤 휘하의 오스만 군대는 에리트레아의 나머지 지역을 정복하려 했으나, 저항과 예상치 못한 문제로 실패했다. 오스만 당국은 마사와와 주변 지역을 벨루족 귀족에게 맡기고 나이프로 임명하여 수아킨의 오스만 총독에게 복종시키려 했다.[14] 오스만 제국은 마사와 섬에 마사와 구시가지 일부를 건설하여 홍해의 중요한 항구로 만들었으며, 이 건물들은 오늘날까지 남아있다.[15]

19세기의 마사와


1865년 5월, 마사와와 홍해 북동 아프리카 해안 대부분은 오스만 제국의 동의를 얻어 이집트 헤디브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17] 초기에는 건물 수리 미비와 콜레라 만연 등으로 상황이 좋지 않았으나, 이집트 총독 베르너 문칭거의 노력으로 1872년 3월까지 새로운 정부 건물과 세관이 건설되었고, 6월에는 학교와 병원도 설립되었다.[17]

구라 전투 패배 이후 이집트의 지배는 위협받았다. 이집트-에티오피아 전쟁 이후 요하네스 4세 황제는 이집트에게 줄라와 아르키코 양도, 2백만 파운드 배상금 지불, 또는 마사와 항구 반환을 요구했다. 이집트는 이를 거부했고, 라스 알룰라가 3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항구를 공격하려 했으나, 곧 고지대로 돌아가 이집트의 해안선 지배는 유지되었다.[18]

2. 3. 이탈리아 식민지 시대

영국은 이집트가 항구를 지킬 능력이 없다고 판단하고, 스스로 점령하거나 프랑스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원치 않아 1885년 2월 이탈리아의 마사와 점령에 동의했다.[19] 1885년부터 1897년까지 마사와(이탈리아식 표기: '마사우아')는 페르디난도 마르티니 총독이 행정부를 아스마라로 옮기기 전까지 이 지역의 수도였다. 라스 알룰라의 도갈리 공격은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을 촉발하는 데 일조했으며, 이탈리아의 참담한 아드와에서의 패배는 10년 동안 에티오피아 고지대로 더 확장하려던 그들의 희망을 종식시켰고, 새로 형성된 메넬리크 2세에티오피아 제국이 국제적인 인정을 받게 되었다.

이탈리아 식민지는 잦은 지진 피해를 입었다. 도시의 대부분은 1921년 지진으로 완전히 파괴되었고, 항구를 완전히 복구하는 데 1928년까지 걸렸으며,[19] 이는 이탈리아 식민 야망을 초기에 방해했다. 마사와는 아프리카 동해안에서 가장 크고 안전한 항구이자, 홍해에서 가장 큰 심해 항구가 되었다. 1887년부터 1932년까지 이들은 에리트레아 철도를 확장하여 마사와와 아스마라를 연결한 다음 수단 국경 근처의 비시아를 연결했고, 아스마라-마사와 케이블카를 완공했다. 이 케이블카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긴 로프웨이 컨베이어였다.

1928년 마사와에는 15,000명의 주민이 있었고, 그 중 2,500명이 이탈리아인이었다. 이 도시는 아스마라와 유사한 건축 계획으로 개선되었으며, 상업 및 산업 지역이 조성되었다. 파시즘의 부상과 함께 인종 차별 정책이 시행되었고, "인종 법"의 통과와 함께 곧 진정한 아파르트헤이트 시스템이 되었다. 원주민들은 주거 지역, 백인 전용 바와 레스토랑에서 분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법률은 이탈리아 남성과 에리트레아 여성 사이의 식민지 영토에서의 관계를 막지 못했다. 그 결과 메티치(혼혈)의 수가 증가했다. 이탈리아 에리트레아의 주요 항구였던 에밀리오 데 보노는 1932년 항구를 시찰한 후, 항구가 "부두와 화물의 신속한 하역을 위한 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며 재정비해야 한다고 보고했다. 그 결과, 부두가 확장되었고 방파제가 연장되어 5척의 증기선이 동시에 하역할 수 있게 되었으며 항구에는 두 대의 대형 크레인이 설치되었다.[20][21]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동안 마사와는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침공의 기지 역할을 했으며, 이로 인해 도시는 이탈리아 군인들로 넘쳐났다. 한 미국 기자는 침공 절정기에 "거리가 하룻밤 사이에 생겨난 것이 분명했다. 남자들은 완전히 열린 병영에서 잤다 - 아연 도금 철 지붕이 있는 나무 골격 구조였다."[22]라고 보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마사와는 이탈리아 왕립 해군의 홍해 함대의 모항이었다. 동아프리카 전역에서 도시가 함락되었을 때, 많은 수의 이탈리아 및 독일 선박이 마사와 항구 사용을 막기 위해 침몰되었다.

1942년 4월 15일부터, 잠수부이자 구조 전문가인 RNR 중위 피터 키블(당시 두 분야 모두에서 완전 초보자)이 항구 정리를 위해 배정되었다.[23] 그는 전 이탈리아 예인선을 구조하는 단순한 작업에 성공했다. 같은 달, 미국 해군 사령관 에드워드 엘스버그와 그의 소수의 승무원이 인수를 위해 도착했다. 난파선은 즉시 구조되었고 항구는 서비스로 복귀되었으며, 영국의 보호령인 에리트레아의 일부가 되었다. 항구의 부유식 드라이 도크는 지중해에서 온 왕립 해군 함선과 영국 민간 수송선을 유지 및 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렇지 않았다면 적절한 조선소와 도크에 도달하기 위해 남아프리카까지 이동해야 했을 것이다.[24]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마사와 항구는 점령한 영국이 시설의 상당 부분을 해체하거나 파괴하면서 피해를 입었다. 실비아 팽크허스트는 그녀의 저서 ''에리트레아 이브''에서 이러한 행동에 대해 항의했다.[25]

2. 4. 영국 군정과 에티오피아 통치 시기

1921년 해안을 진원지로 하는 비교적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여, 마사와 항구는 많은 물적 손해를 입었고, 다수의 사망자도 발생했다.[32]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군이 주둔하며 함대도 주둔하고 있었지만, 연합국군의 공격으로 항복했고, 극히 일부의 함선만이 탈출했다. 이후 영국군군정을 거쳐 에티오피아 영토가 되었다. 수심이 깊은 양호한 항구로서, 에티오피아 해군의 기지가 있었다.

1952년부터 1990년까지, 에리트레아가 에티오피아와 연방을 이루고 있던 기간 동안, 이전까지 내륙국이었던 에티오피아는 마사와를 에티오피아 해군의 본부로 사용하며 잠시 해상 접근성을 누렸다. 결국 에티오피아는 연방을 해체하고 에리트레아를 강제로 병합했다. 이는 에리트레아 독립 전쟁(1961–1991)으로 이어졌다. 마사와는 에리트레아 독립을 위한 투쟁 과정에서 양측의 격전지였다. 1990년 2월, 에리트레아 인민 해방 전선은 제2차 마사와 전투(펜킬 작전)에서 육상과 해상에서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마사와를 점령했다. 이 전투는 침투한 특공대와 고속정을 이용했다. 이 공격의 성공으로 아스마라에 주둔한 제2 에티오피아군으로 가는 주요 보급선이 차단되었고, 이후 공중 보급에 의존하게 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당시 에티오피아 지도자였던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은 마사와에 대한 공습을 명령했고, 상당한 피해가 발생했다.[26]

2. 5. 에리트레아 독립 전쟁과 독립 이후

1952년부터 1990년까지 에리트레아가 에티오피아와 연방을 이루면서, 이전까지 내륙국이었던 에티오피아는 마사와를 에티오피아 해군의 본부로 사용하며 잠시 해상 접근성을 누렸다. 그러나 에티오피아가 연방을 해체하고 에리트레아를 강제로 병합하면서 에리트레아 독립 전쟁(1961–1991)이 발발했다.[26]

마사와는 독립 전쟁 과정에서 격전지였다. 1990년 2월, 에리트레아 인민 해방 전선은 제2차 마사와 전투(펜킬 작전)에서 육상과 해상 기습 공격으로 마사와를 점령했다. 이 공격으로 아스마라에 주둔한 에티오피아군 보급선이 차단되었고,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은 마사와에 공습을 명령해 큰 피해를 입혔다.[26]

전쟁 기념 광장.


1991년 에리트레아 독립(사실상)으로 에티오피아는 다시 내륙국이 되었고, 에티오피아 해군은 해체되었다.

에리트레아-에티오피아 전쟁 동안 에리트레아-에티오피아 국경이 폐쇄되어 마사와 항구는 비활성화되었다. 2001년 말, 미국이 기증한 15000ton의 구호 식량을 실은 대형 곡물 선박이 전쟁 이후 처음으로 항구에서 처리된 대규모 선적이었다.[27]

3. 지리

에리트레아 동부에 위치하며, 홍해의 마사와 해협에 면하고 있다.[31] 세메나위 케이바하리 지방・마사와 지구에 속하며, 해당 지방 및 지구의 행정부 소재지이다. 홍해 유수의 양항이며, 조선소발전소를 갖추고 있다.[31]

4. 기후

마사와는 쾨펜 기후 구분 ''BWh''에 해당하는 열대 사막 기후를 보인다. 이 도시는 연평균 강수량이 185mm로 매우 적으며, 낮과 밤 모두 극도로 높은 기온을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30°C에 육박하며, 이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기온 중 하나이다. 마사와는 사막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여름철 습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유명하다. 사막의 열기와 높은 습도가 결합되어 체감 온도가 더욱 극심하게 느껴진다. 하늘은 연중 맑고 밝다.[34]

5. 교통

마사와 시내의 버스 정류장


마사와에는 해군 기지와 대형 다우 선착장이 있으며, 아스마라로 가는 에리트레아 철도 노선의 역이 있다. 페리는 달락 제도와 인근의 셰이크 사이드 섬으로 운항한다.[31]

마사와의 교통은 다음과 같다:

5. 1. 해상 교통

마사와는 해군 기지와 대형 다우 선착장이 있는 곳이다. 또한 아스마라로 가는 에리트레아 철도 노선에 역이 있다. 페리는 달락 제도와 인근의 셰이크 사이드 섬으로 운항한다.[31]

  • 마사와 항 - 1655년오스만 제국에 의해 현재 위치에 항구가 건설되었다. 이탈리아 식민지 시대에 현재 규모가 되었다. 항구에서는 아마, 면화, 진주, 소금 등을 수출하고, 면제품, 견제품, 식품 등을 수입하고 있다.[31]

5. 2. 육상 교통

마사와는 해군 기지와 대형 다우 선착장이 있는 곳이다. 또한 아스마라로 가는 에리트레아 철도 노선에 역이 있다. 페리는 달락 제도와 인근의 셰이크 사이드 섬으로 운항한다.

5. 3. 항공 교통

마사와는 해군 기지와 대형 다우 선착장이 있는 곳이다. 또한 아스마라로 가는 에리트레아 철도 노선에 역이 있다. 페리는 달락 제도와 인근의 셰이크 사이드 섬으로 운항한다.

도시의 항공 운송 수요는 마사와 국제공항에서 충족된다.

  • 마사와 항 - 1655년오스만 제국에 의해 현재 위치에 항구가 건설되었다. 이탈리아 식민지 시대에 현재 규모가 되었다. 항구에서는 아마·면화·진주·소금 등을 수출하고, 면제품·견제품·식품 등을 수입하고 있다[31]
  • 마사와 국제공항

6. 교육

마사와 해양과학기술대학교와 마사와 경영경제대학교는 국립대학교이다. 두 대학교 모두 2004년에 아스마라 대학교 해체에 따라 설립되었다.[1][2]

7. 주요 명소

마사와 시에는 사하바 사당[28], 15세기에 지어진 셰이크 하나피 모스크, 다양한 산호 주택 등이 있다. 미완성된 오스만 건축 양식의 건물들을 포함한 많은 건물들이 남아있으며, 지역 바자르도 있다.

이후 건설된 건물로는 베르너 문징거를 위해 1872년부터 1874년까지 지어진 황궁, 성 마리아 대성당, 그리고 1920년대에 지어진 반카 디탈리아가 있다. 에리트레아 독립 전쟁은 마사와 한가운데에 있는 세 대의 전차로 이루어진 기념비로 기념된다.

참조

[1] 웹사이트 World Gazetteer – Eritrea https://archive.toda[...] 2013-02-08
[2] 서적 Lonely Planet Ethiopia and Eritrea Lonely Planet
[3] 웹사이트 Dadfeatured: ITALIAN MASSAUA https://dadfeatured.[...] 2018-07-08
[4] 간행물 Ecology of macrobenthos in the shallow coastal areas of Tewalit (Massawa), Ethiopia 1993-05-01
[5] 서적 History Of Ethiopian Towns
[6] 서적 The Ethiopian Borderlands Essays in Regional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the End of the 18th Century https://books.google[...] Red Sea Press
[7] 서적 A History of Modern Africa: 1800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2012-01-12
[8] 서적 History Of Ethiopian Towns
[9] 학위논문 Gaspar Correia e dois perfis de Governador: Lopo Soares de Albergaria e Diogo Lopes de Sequeira - Em busca de uma causalidade Universidade Aberta
[10] 서적 Da Asia https://books.google[...] Regia Officina Typografica
[11] 웹사이트 D. João de Castro (1500-1548) http://cvc.instituto[...] Instituto Camões
[12] 서적 A Story in Stones: Portugal's Influence on Culture and Architecture in the Highlands of Ethiopia 1493-1634 https://books.google[...] CCB Publishing
[13] 웹사이트 Massawa: Pearl of the Red Sea https://shabait.com/[...]
[14] 서적 The Ethiopian borderlands: Essays in Regional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the End of the 18th Century Red Sea Press
[15] 백과사전 Massawa 2023-08-12
[16] 서적 History of Ethiopian towns from the mid 19th century to 1935
[17] 서적 History of Ethiopian towns from the mid 19th century to 1935
[18] 서적 History of Ethiopian towns from the mid 19th century to 1935
[1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ritrea The [[Scarecrow Press]]
[20] 서적 History of Ethiopian towns from the mid 19th century to 1935
[21] 학위논문 Il Razionalismo nelle colonie italiane 1928-1943: la «nuova architettura» delle Terre d'Oltremare http://www.fedoa.uni[...] Università degli Studi di Napoli "Federico II"
[22] 서적 History of Ethiopian towns from the mid 19th century to 1935
[23] 서적 Ordeal by water Longmans, Green & co
[24] 서적 Under the Red Sea Sun Dodd Mead & Company
[25] 서적 I Didn't Do it for You: How the World Betrayed a Small African Nation Harper-Perennial
[26] 보고서 Ethiopia: "Mengistu has Decided to Burn Us like Wood": Bombing of Civilians and Civilian Targets by the Air Force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1990-07-24
[27] 웹사이트 Horn of Africa, Monthly Review, covering the months between November and December, 2001 http://www.ocha-eth.[...] 2009-02-24
[28] 서적 Massawa: A Guide to the Built Environment Cultural Assets Rehabilitation Project
[29] 웹사이트 Massaw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5-06-24
[30] 웹사이트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reuse-oriented sanitation concepts for Massawa, Eritrea http://www.umb.no/st[...]
[31] 서적 コンサイス地名辞典 三省堂
[32] 서적 The Seismicity of Egypt, Arabia and the Red Sea: A Historical Review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웹사이트 Massawa-climatemp.info http://www.climatete[...] 2012-06-26
[34] 웹인용 Massaw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5-06-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