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야딜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야딜드어는 독특한 자음 체계와 단순한 모음 체계를 가진 언어이다. 음운론적으로 변두리음, 설단음, 설첨음 위치에서 파열음, 비음, 접근음 등을 포함하는 자음 음소와 단모음 및 장모음 형태의 모음 음소를 갖는다. 카야딜드어는 주격-대격 언어이며 교착어로서, 접미사를 사용하고, 형태론적으로 하나의 문법 자질이 여러 문법 자질과 동일하게 실현되는 특징을 보인다. 격 체계가 복잡하며, Evans(1995a)는 이를 하나의 문법 범주로 분석한 반면, Round(2013)는 다른 분석을 제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언어 - 노퍽어
    노퍽어는 핏케언 섬 주민들이 노퍽섬으로 이주한 후 영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2004년 노퍽 아일랜드의 공식 언어가 되었으나 현재는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언어 - 영어
    영어는 앵글로색슨족의 언어에서 유래하여 잉글랜드에서 발전한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대영제국과 미국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소멸위기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소멸위기언어 - 브르타뉴어
    브르타뉴어는 브리튼 제도에서 유래한 켈트어로서 콘월어, 웨일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프랑스어 억압으로 화자가 감소했으나 부활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인 하부 브르타뉴 서부 지역의 언어이다.
카야딜드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카야딜드어
로마자 표기Kayardildeu
지역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 사우스 웰즐리 제도
민족카이아딜트족, 양갈족
사용자 수8명 (2016년 센서스)
언어 계통거대-파마-늉안 어족?
탕카어족
방언카야딜드어
관련 언어얀칼어/냥가어(두 개의 다른 언어)
언어 코드
ISO 639-3gyd
Glottologkaya1318
Glottolog 관련어카야딜드어-얀칼어
AIATSISG35
AIATSIS 이름카야딜드어
AIATSIS2G37
AIATSIS 이름2얀칼어
ELP24887
ELP 이름2얀칼어
언어 상태
카야딜드어는 유네스코 세계 위험에 처한 언어 아틀라스에 의해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됨
카야딜드어는 유네스코 세계 위험에 처한 언어 아틀라스에 의해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됨

2. 음운론

카야딜드어는 자음 체계가 비교적 복잡한 데 비해, 모음 체계는 /a, i, u/ 세 가지 기본 모음과 각각의 장모음으로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단순하다.[7] 자세한 음소 목록과 음운 규칙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2. 1. 자음

카야딜드어는 변자음, 설단음, 설첨음의 세 가지 주요 조음 위치에서 자음을 구분한다. 각 위치에서 파열음, 비음, 접근음 등이 나타난다. 전체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9]

카야딜드어 자음소
rowspan=2|변자음설단음설첨음
양순음연구개음치음경구개음치경음권설음
파열음p ⟨b⟩k ⟨k⟩t̪ ⟨th⟩c ⟨j⟩t ⟨d⟩ʈ ⟨rd⟩
비음m ⟨m⟩ŋ ⟨ng⟩n̪ ⟨nh⟩ɲ ⟨ny⟩n ⟨n⟩ɳ ⟨rn⟩
전동음colspan=2|r ⟨rr⟩
설측음colspan=2|l ⟨l⟩
접근음w ⟨w⟩j ⟨y⟩ɻ ⟨r⟩



음성학적으로 단어의 시작 위치(어두)에서는 설첨음 중 권설음만이 나타나고, 치경음은 나타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어두 위치에서 권설음과 치경음의 구분은 의미가 없다.[10]

2. 2. 모음

카야딜드어는 세 개의 기본 모음 /i, u, a/를 가지며, 각각에 해당하는 장모음 /iː, uː, aː/가 있다.[9][7] 장모음은 철자에서 모음 글자를 두 번 써서 나타낸다(⟨ii⟩, ⟨uu⟩, ⟨aa⟩).[9]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카야딜드어 모음소[9][7]
전설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i ⟨i⟩, iː ⟨ii⟩u ⟨u⟩, uː ⟨uu⟩
저모음a ⟨a⟩, aː ⟨aa⟩


2. 3. 음소배열론

음절 구조는 최소 CV, 최대 CVCC이다. 모음 사이에는 1~3개의 자음이 올 수 있으며, 허용되는 자음군의 종류는 정해져 있다. 형태소 경계에서 허용되지 않는 자음군이 만들어질 경우, 형태음운론적 규칙이 적용되어 허용되는 자음군으로 바뀐다.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모든 단어는 자음으로 시작해 모음으로 끝난다.

2. 4. 운율론

음운론적 단어의 경계는 통사론적 단어의 경계와 일치한다. 단어의 강세는 변별적이지 않으며 예측 가능하다. 주강세는 단어의 첫 음절에 온다. 제2강세의 위치를 결정하는 규칙은 복잡하며 무표적인 위치는 뒤에서 두 번째 음절이다.[11]

운율단위(breath group영어)의 끝에 놓인 어말의 /a/는 탈락된다. 단, 어말의 탈격 접미사 -(k(i))na와, 영어와 라르딜어 차용어는 예외이다.[12] 예를 들어 ‘카야딜드’라는 단어의 기본형은 ‘Kayardildagyd’이지만 홀로 쓰이거나 문장 끝에 올 경우 ‘Kayardildgyd’로 소리난다.

3. 형태론

카야딜드어는 주격-대격 언어이며 교착어이고 의존어표시 언어이다. 카야딜드어의 모든 접사는 접미사이다.[13]

카야딜드어 형태론의 특이한 점은 하나의 문법자질이 다른 여러 문법자질과 동일하게 실현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14] 예를 들어 '-ki/'라는 형태는 명사 등에 붙어 처격이라는 이나 ‘Instantiated|실현됨eng’이라는 양태성을 실현하기도 하고, 동사 등에 붙어 ‘Immediate|직면시제eng’라는 시제를 실현하기도 하며, 특정한 종속절의 단어들에 붙어 주절과의 관계를 표시하기도 한다. '-inja/'라는 형태는 사격이라는 격이나 ‘Emotive|감정적eng’이라는 양태성을 실현하기도 하고, 권고법이라는 법을 실현하기도 하며, 역시 주절과 종속절의 관계를 표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동일한 실현은 우연이 아니며 실제로 동일한 형태론적 요소로 간주되며, 역사언어학적 증거도 이를 뒷받침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Evans (1995a, p. 101)는 명사류에 표시되는 다양한 문법 기능들을 이라는 하나의 문법범주가 수행하는 기능으로 분석했다. 그에 따르면 카야딜드어에서 격은 명사 간 관계 표시(Adnominal case|관형적 격eng), 문법관계 표시(Relational case|관계적 격eng), 절의 시제·상·법 표시(Modal case|양태적 격eng), 명사와 명사화된 동사 간 관계 표시(Associating case|연관적 격eng), 주절과 종속절 간 관계 표시(Complementizing case|보문적 격eng) 등 다섯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이 분석에 따르면, 카야딜드어에서는 한 단어에 격 표지가 최대 4겹까지 붙을 수 있으며, 시제·상·법이나 절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도 격이 사용된다고 보았다. Evans는 격에 대한 Mel’cuk (1986)의 기준(일치, 통사적 의존성 구분)을 인용하며 자신의 분석을 뒷받침했다.

한편 Round (2013)는 이러한 분석에 반대하며, 관형적 격과 관계적 격만을 진정한 격으로 인정했다. 그는 양태적 격과 연관적 격은 'athematic TAM|비어간성 시상법eng'이라는 굴절범주로, 보문적 격은 'complementization|보문화eng'와 'sejunct|분리성eng'이라는 두 개의 굴절범주로 나누어 분석했다.

Round (2013)는 카야딜드어 형태론을 설명하기 위해 기존의 형태소 이론 대신 'morphome|모폼eng' 이론을 제시했다. 모폼은 형태론의 기본 단위로, 고유한 형태와 이형태, 분포적 제약을 가지지만 형태소와 달리 고유한 의미를 반드시 가지지는 않는다. 즉, 서로 다른 문법 기능들이 동일한 모폼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ki/'의 다양한 기능은 처격이라는 하나의 문법범주가 수행하는 여러 기능이 아니라, '-ki/'라는 모폼으로 실현되는 여러 다른 문법범주들(처격, 실현됨, 직면시제, 보문화 등) 각각의 기능으로 해석된다.

3. 1. 격 표지

카야딜드어는 주격-대격 언어이며 교착어이고 의존어표시 언어이다. 카야딜드어의 모든 접사는 접미사이다.[13]

카야딜드어 형태론의 특이한 점은 하나의 문법자질이 다른 여러 문법자질과 동일하게 실현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14] 예를 들어 '/-ki/'라는 형태는 명사 등에 붙어 처격이라는 이나 ‘실현됨’(Instantiated|영어)이라는 양태성을 실현하기도 하고, 동사 등에 붙어 직면시제(Immediate|영어)라는 시제를 실현하기도 하고, 특정한 종속절의 단어들에 붙어 주절과의 관계를 표시하기도 한다. '/-inja/'라는 형태는 사격이라는 격이나 ‘감정적’(Emotive|영어)이라는 양태성을 실현하기도 하고, 권고법이라는 법을 실현하기도 하며, 역시 주절과 종속절의 관계를 표현하기도 한다. 처격의 '/-ki/'와 양태성의 '/-ki/' 등 각각의 기능에 대응하는 형태들은 다양한 환경에서 (거의) 동일한 이형태를 보이며 동일한 분포적 제약을 따른다. 그러므로 이 같은 동일한 실현은 우연이 아니며 이들은 실제로 동일한 형태론적 요소라고 생각된다. 역사언어학적 증거도 이를 뒷받침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Evans (1995a, p. 101)는 명사류에 표시되는 다양한 문법기능들을 이라는 하나의 문법범주가 수행하는 기능이라 분석하였다. 그에 따르면 카야딜드어에서 격은 다음의 다섯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동사에 붙는 시상법 접미사 중에도 그가 말한 격 접미사와 똑같이 생긴 것들이 있지만, 이것은 격이라고 분석하지 않았다.

# '''관형적 격'''(Adnominal case|영어)은 명사와 다른 명사 간의 관계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소유를 나타내는 속격이 있다.

# '''관계적 격'''(Relational case|영어)은 명사의 문법관계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주어를 나타내는 주격이 있다.

# '''양태적 격'''(Modal case|영어)은 명사류에 붙어 절의 시제·상·법을 표시한다.

# '''연관적 격'''(Associating case|영어)은 명사와 명사화된 동사 간의 관계를 표시한다.

# '''보문적 격'''(Complementizing case|영어)은 절 전체에 표시되며, 주절과 종속절 간의 관계를 표시한다.

이러한 분석에 따라 그는 카야딜드어에서 한 단어에 격표지가 최대 4겹까지 붙을 수 있고, 시제·상·법이나 절 간의 관계를 표시하는 데도 격이 사용된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이 격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확장하면서 그는 격에 대한 Mel’cuk (1986)의 기준을 인용하였다. 이에 의하면 어떤 굴절범주가 격이라 불리려면 첫째로 일치를 보여야 하고, 둘째로 통사적 의존성의 여러 유형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한편 Round (2013)는 이 분석에 반대하였다. 그는 1(관형적 격)과 2(관계적 격)만을 격으로 인정하고, 3(양태적 격)과 4(연관적 격)는 비어간성 시상법(athematic TAM|영어)이라는 굴절범주로, 5(보문적 격)는 보문화(complementization|영어)와 분리성(sejunct|영어)이라는 두 개의 굴절범주로 분석하였다.

Round (2013)는 카야딜드어 형태론은 기존의 형태소 이론으로 설명하기 곤란하다고 주장하며, 대신에 모폼(morphome|영어) 이론에 기반한 설명을 제시했다. 음운론의 기본 단위가 음소이고 통사론의 기본 단위가 단어이듯이, 모폼은 형태론의 기본 단위이며 고유한 형태와 이형태, 분포적 제약 등을 가지고 있다. 모폼과 형태소의 차이점은, 형태소는 형태뿐만 아니라 고유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모폼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서로 다른 문법기능들이 동일한 모폼으로 실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문법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여러 개의 모폼이 필요할 수도 있다. Round (2013)에 따르면 '/-ki/'의 다양한 기능들은 처격이라는 하나의 문법범주가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이 아니라, '/-ki/'라는 모폼으로 실현되는 다양한 문법범주들(처격, 실현됨, 직면시제, 보문화 등) 각각의 기능이다.

Evans(1995a)Round(2013)기본형주요 기능
주격(Nominative)
처격(Locative){-ka}
탈격(Ablative){-kiya}
보유격(Proprietive){-kina[ba]}
사격(Oblique){-ku[ru]}
향격(Allative){-inja}
속격(Genitive){-kir[ing]}
도구격(Instrumental){-karra[n]}
연관격(Associative)비어간성 시상법-nguni
기원격(Origin)비어간성 시상법-nurru
결여격(Privative)비어간성 시상법-wan-
귀결격(Consequential)비어간성 시상법-warri
용도격(Utilitive)비어간성 시상법-ngarrba
용도격(Utilitive)비어간성 시상법-marra


3. 2. 격의 종류 (Evans, 1995a)

격 이름 (Evans, 1995a)기본형
주격(Nominative){-ka}
처격(Locative){-kiya}
탈격(Ablative){-kina[ba]}
보유격(Proprietive){-ku[ru]}
사격(Oblique){-inja}
향격(Allative){-kir[ing]}
속격(Genitive){-karra[n]}
도구격(Instrumental)-nguni
연관격(Associative)-nurru
기원격(Origin)-wan-
결여격(Privative)-warri
귀결격(Consequential)-ngarrba
용도격(Utilitive)-marra


4. 참고 문헌


  • Evans, Nick (1995a). "Current Issues in Australian languages". Goldsmith, John A. 편집. ''The Handbook of Phonological Theory''. Blackwell Handbooks in Linguistics 1판. Blackwell. 723–761쪽.
  • Evans, Nicholas (1995b). ''카야딜드어 문법: Tangkic에 대한 역사적 비교 참고 사항 포함''. Berlin: Walter de Gruyter. ISBN 978-3-11-012795-9. [https://books.google.com/books?id=FWEGD7BSabwC (영어)]

참조

[1] 서적 Australian Languages: Their Nature and Development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Kayardild https://glottolog.or[...] 2024-05-16
[3] 간행물 Learning the World's Languages: Before They Vanish https://www.jstor.or[...] 2000
[4] 웹사이트 Census 2016, Language spoken at home by Sex (SA2+) http://stat.data.abs[...]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17-10-29
[5] 간행물 Commentary: Broadening the Rhetorical and Descriptive Horizons in Endangered-Language Linguistics
[6] 서적 A Grammar of Kayardild: With Historical-comparative Notes on Tangkic Walter de Gruyter
[7] 텍스트
[8] 웨이백 Kayardild http://austlang.aiat[...] Australian Indigenous Languages Database, Australian Institute of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Studies 2016-03-05
[9] 텍스트
[10] 텍스트
[11] 텍스트
[12] 텍스트
[13] 텍스트
[14] 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