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우노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우노스는 고대 그리스어로 카우노스, 라틴어로 카우누스라고 불린 고대 도시이다. 터키 남서부 해안의 쾨체이즈-달리안 특별 환경 보호 구역에 위치하며, 카리아어, 리키아어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신화에 따르면 밀레토스의 아들인 카우노스가 건설했으며, 기원전 9세기 유물이 발견되는 등 오랜 역사를 지닌다. 페르시아, 그리스, 로마 제국 등의 지배를 거치며 델로스 동맹에 가입하고, 헬레니즘 문화를 수용했다. 로마 시대에는 번성했지만, 비잔틴 시대 이후 쇠퇴하여 15세기에 버려졌다. 주요 유적으로는 아크로폴리스, 원형 극장, 팔라이스트라 등이 있으며, 4세기부터 가톨릭 명목 주교가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라주의 지리 - 할리카르나소스
할리카르나소스는 터키 보드룸에 있던 고대 도시로, 마우솔레움이 건설되어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꼽혔으며, 헤로도토스 등 유명 인물을 배출하였다. - 물라주의 지리 - 크니도스
크니도스는 튀르키예 다트차 반도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 도시로, 도리아 헥사폴리스의 일원이었으며 헬레니즘 시대 의학 학교로 유명했고, 프락시텔레스의 조각상과 크니도스 해전 기념 사자상이 있는 유적지이다. - 카리아의 지리 - 밀레토스
밀레토스는 이오니아 지역의 고대 도시로서, 무역과 식민 활동으로 번성했고 밀레토스 학파의 중심지였으며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아 현재 튀르키예에 유적지로 남아있다. - 카리아의 지리 - 미우스
미우스는 에게해의 메안데르 강 어귀에 위치했던 고대 도시로, 이오니아 도시 중 하나였으며, 리디아와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았고, 이오니아 반란의 배경이 되었으며,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 쇠퇴했으며, 스트라보 시대에 밀레투스에 통합되었다. - 물라주의 건축물 - 할리카르나소스
할리카르나소스는 터키 보드룸에 있던 고대 도시로, 마우솔레움이 건설되어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꼽혔으며, 헤로도토스 등 유명 인물을 배출하였다. - 물라주의 건축물 - 크니도스
크니도스는 튀르키예 다트차 반도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 도시로, 도리아 헥사폴리스의 일원이었으며 헬레니즘 시대 의학 학교로 유명했고, 프락시텔레스의 조각상과 크니도스 해전 기념 사자상이 있는 유적지이다.
카우노스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달리안, 뮈글라 주, 튀르키예 |
지역 | 카리아 |
유형 | 정착지 |
건축 시기 | 기원전 10세기 |
폐허 시기 | 서기 15세기 |
점유 | 프로토게네스, 제논 |
상태 | 폐허 |
접근성 | 공개 |
웹사이트 | 카우노스 고고학 유적지 |
역사 | |
관련 민족 | 프로토게네스, 제논 |
기타 |
2. 명칭
신화에 따르면 카우노스는 카리아 왕 밀레토스와 키아네의 아들이자 아폴론의 손자인 왕 카우노스에 의해 건국되었다. 카우노스에게는 비블리스라는 쌍둥이 여동생이 있었는데, 그녀는 오빠에 대한 깊고도 이성적이지 못한 사랑을 품게 되었다. 그녀가 자신의 감정을 담아 오빠에게 연애 편지를 썼을 때, 그는 추종자들과 함께 다른 곳으로 이주하기로 결심했다. 그의 쌍둥이 여동생은 슬픔에 미쳐 그를 찾아 헤맸고 자살을 시도했다. 신화에 따르면 칼비스 강은 그녀의 눈물에서 생겨났다고 한다.
카우노스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유물은 기원전 9세기 또는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원시 기하학 암포라의 목 부분이다. 기원전 6세기에는 이곳에 사람이 살았음을 보여주는 유물들이 발견되었지만, 카우노스 자체에서 발견된 건축물은 기원전 4세기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 없다.[16]
이 도시는 일반적으로 고대 그리스어로 카우노스(Καῦνος)로 알려졌으며, 로마인들은 카우노스를 라틴어로 Caunus라고 불렀다.[5][6][7]
카리아어로 카우노스 이름은 ''Kbid''(𐊼𐊬𐊹𐊢, 크비드)였다. 카우노스 시민, 즉 '카우니아인'은 ''Kbdyn''(복수형 ''Kbdynš'', 𐊼𐊬𐊢Ε𐊵𐊯, 크비딘)라고 불렸는데, 이러한 용어는 은화[8][9]와 석조 비문에 사용되었다.[10] 이 용어는 헬레니즘 시대에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7]
리키아어 텍스트, 예를 들어 레토온 삼중 언어 비문에서 이 도시는 ''Xbide''(𐊜𐊂𐊆𐊅𐊁, 크비데)라고 불렸고, 카우니아인들은 ''Xbidẽñni''(𐊜𐊂𐊆𐊅𐊚𐊑𐊏𐊆, 크비데니)라고 불렸다.[11][12]
3. 신화
4. 역사
헤로도토스의 저서 역사에 따르면, 페르시아 장군 하르파고스가 기원전 546년 페르시아의 침략 당시 리키아인, 카리아인, 카우니아인을 상대로 진격했고, 카우니아인들은 격렬하게 저항했지만 결국 패배했다.[17] 카우니아인들은 자신들이 크레타 출신이라고 주장했지만, 헤로도토스는 카리아어와 카우니아어의 유사성을 근거로 이들이 원래 이 지역 주민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했다. 그는 또한 카우니아인들의 사회적 음주 방식이 이웃 민족들과 큰 차이를 보인다고 덧붙였다.[18]
크세르크세스 1세가 페르시아 전쟁에서 패배한 후, 카우노스는 델로스 동맹에 가입하여 처음에는 1 탈렌트의 세금을 냈지만, 기원전 425년에는 10배로 인상되었다.[21] 이는 카우노스가 농업, 소금, 절인 생선, 노예, 소나무 수지, 검은 매스틱, 말린 무화과 등의 수출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번창하는 항구로 발전했음을 보여준다.[21]
387년 안탈키다스 평화 이후 카우노스는 다시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사트라프 마우솔로스 (기원전 377–353년) 통치 기간 동안 도시는 확장되고 그리스적 특성을 갖게 되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기원전 334년 이 도시를 마케도니아 제국의 지배 하에 두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카우노스는 전략적 요충지였기 때문에 디아도코이 간 영유권 분쟁이 벌어졌으며, 로마 공화국의 영향력 확대로 이어졌다. 기원전 189년, 로마 원로원은 카우노스를 로도스 관할하에 두었으나, 기원전 167년 반란으로 로마는 로도스의 임무를 해제했다. 기원전 129년, 로마는 카우노스를 리키아에 할당했다.
기원전 88년, 미트리다테스 6세의 침공으로 카우노스인들은 로마인 거주자를 살해했지만, 기원전 85년 평화 조약 이후 다시 로도스의 관할하에 놓였다. 로마 통치 시대 동안 카우노스는 원형 극장 확장, 로마 시대 목욕탕과 팔레스트라 건설 등으로 번창하는 항구가 되었다.
카우노스는 초기에 기독교화되었으며, 로마 제국이 기독교를 채택하면서 '''카우노스-헤기아'''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625년 이후 무슬림 아랍과 해적, 13세기에는 투르크 부족의 침략에 직면했다. 14세기 투르크 부족의 카리아 정복으로 해상 무역이 감소하고 경제 침체가 발생했다. 15세기에는 투르크가 카리아 북쪽 전체를 점령했고, 말라리아 유행으로 도시는 버려졌다. 이후 지진으로 파괴되고 잊혀졌다가, 1840년 리처드 호스킨이 유적지를 방문하면서 다시 알려지게 되었다.[2]
4. 1. 초기 역사
카우노스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유물은 기원전 9세기 또는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원시 기하학 암포라의 목 부분이다. 도시 성벽 서쪽 문에서 발견된 조각상, 수입된 아티카 도자기 조각, S-SE 방향의 도시 성벽은 기원전 6세기에 이곳에 사람이 살았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카우노스 자체에서 발견된 건축물은 기원전 4세기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 없다.
4. 2. 페르시아 지배기
카우노스는 헤로도토스의 저서 역사에 처음 언급된다. 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 장군 하르파고스가 기원전 546년 페르시아의 침략 당시 리키아인, 카리아인, 그리고 카우니아인을 상대로 진격했다고 기록한다.[16] 카우니아인들이 하르파고스의 공격에 격렬하게 저항했지만 결국 패배했다고도 기록한다.[17] 카우니아인들이 자신들의 기원을 크레타라고 말했음에도 불구하고,[18] 헤로도토스는 카리아어와 카우니아어 사이에 유사성이 있다는 점을 근거로, 카우니아인이 이 지역의 원래 거주민일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고 생각했다. 그는 카우니아인의 생활 방식과 이웃인 카리아인 및 리키아인의 생활 방식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고 덧붙였다. 가장 눈에 띄는 차이점 중 하나는 그들의 사회적 음주 방식이었는데, 마을 사람들 - 남녀노소 모두 - 이 모여 좋은 와인을 즐기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었다.
헤로도토스는 카우노스가 이오니아 반란 (기원전 499–494년)에 참여했다고 언급한다.[19]
기원전 4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중요한 카리아어 비문이 이곳에서 발견되었으며, 1996년에 발견된 그리스어와 카리아어의 이중 언어 비문이 포함되어 있다. 이 비문들은 카리아 문자를 해독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20]
4. 3. 그리스의 영향과 델로스 동맹
크세르크세스 1세가 페르시아 전쟁에서 패배하고 페르시아군이 서부 아나톨리아 해안에서 점차 철수하면서, 카우노스는 델로스 동맹에 가입했다. 처음에는 1 탈렌트의 세금만 지불했지만, 기원전 425년에는 그 액수가 10배로 인상되었다.[21] 이는 당시 이 도시가 번창하는 항구로 발전했음을 나타내는데, 농업의 증가와 소금, 절인 생선, 노예, 소나무 수지, 검은 매스틱(배 건조 및 수리에 사용되는 타르의 원료), 말린 무화과와 같은 카우노스 수출품에 대한 수요 증가 때문으로 보인다.[21] 기원전 5세기와 4세기 동안, 이 도시는 헬레니즘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고대 이름인 키비드 대신에 카우노스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도시 건국에 대한 신화는 아마도 이 시기에 시작되었을 것이다.
4. 4. 다시 페르시아의 지배로
387년 안탈키다스 평화 이후 카우노스는 다시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페르시아 통치자들이 카우노스를 카리아 속주에 편입시킨 기간 동안 도시는 크게 변화했는데, 특히 사트라프 마우솔로스 (기원전 377–353년)의 통치 기간 동안 두드러졌다. 도시는 확장되었고, 테라스로 모델링되었으며, 광대한 지역에 걸쳐 성벽이 세워졌다. 도시는 점차 그리스적 특성을 갖게 되었으며, 아고라와 그리스 신들에게 헌정된 신전이 세워졌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기원전 334년 이 도시를 마케도니아 제국의 지배 하에 두었다.
4. 5.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카우노스는 전략적 요충지였기 때문에 디아도코이 간 영유권 분쟁이 벌어졌으며, 안티고노스 왕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셀레우코스 제국 사이에서 주인이 바뀌었다.
헬레니즘 왕국 간 갈등으로 로마 공화국은 이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장하여 상당수 헬레니즘 왕국을 병합했다. 기원전 189년, 로마 원로원은 카우노스를 로도스 관할하에 두었고, 당시 이곳은 로도스 페라이아로 알려졌다.
기원전 167년, 카우노스와 서부 아나톨리아의 여러 도시들이 로도스에 반란을 일으켰고, 그 결과 로마는 로도스에게서 임무를 해제했다. 기원전 129년, 로마는 서부 아나톨리아의 상당 부분을 포괄하는 아시아 속주를 설립했다. 카우노스는 이 속주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리키아에 할당되었다.
기원전 88년, 미트리다테스 6세는 로마의 추가 확장을 막기 위해 이 속주를 침공했다. 카우노스인들은 그와 협력하여 도시 내 모든 로마인 거주자를 살해했다. 기원전 85년 평화 조약 이후, 로마는 이 행동에 대한 처벌로 카우노스를 다시 로도스 행정부 관할하에 두었다. 로마 통치 시대 동안 카우노스는 번창하는 항구가 되었다. 도시의 원형 극장은 확장되었고, 로마 시대 목욕탕과 팔레스트라가 건설되었다. 아고라 분수는 개조되었고 새로운 신전이 세워졌다.
4. 6. 비잔틴 시대와 쇠퇴
카우노스는 초기에 기독교화되었으며, 로마 제국이 공식적으로 기독교 신앙을 채택했을 때, 그 이름은 '''카우노스-헤기아'''로 변경되었다.
625년 이후, 카우노스는 무슬림 아랍과 해적들의 공격에 직면했다. 13세기에는 투르크 부족의 침략이 있었다. 그 결과 아크로폴리스의 오래된 성은 벽으로 요새화되어 전형적인 중세 시대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4세기에는 투르크 부족이 카리아의 일부를 정복하면서 해상 무역이 급격히 감소했다.
그로 인한 경제 침체로 많은 카우노스인들이 다른 곳으로 이주했다. 15세기에는 투르크가 카리아 북쪽 전체 지역을 점령했고, 카우노스는 말라리아 유행에 시달렸다. 이로 인해 도시는 버려지게 되었다. 고대 도시는 지진으로 심하게 파괴되었고 점차 모래와 빽빽한 초목에 덮였다. 왕립 해군 측량 기사인 리처드 호스킨이 카우노스 의회와 이 도시의 주민들을 언급하는 법률 석판을 발견하기 전까지 이 도시는 잊혀졌다. 호스킨은 1840년에 유적지를 방문하여 1842년에 보고서를 발표하여[22] 고대 도시에 대한 지식을 다시 알렸습니다.[2]
5. 주요 유적
카우노스는 쾨체이즈-달리안 특별 환경 보호 구역에 위치하여 뛰어난 경관과 풍부한 야생 동물을 자랑하는 고고학 및 생태학적 중요성을 지닌 유적이다. 도시 유적은 고대 칼비스 강 서쪽 강둑, 달리안 근처에 있으며, 주요 볼거리는 다음과 같다.[2]
- 아크로폴리스(페르시콘): 높이 152m의 바위에 위치하며 비잔틴 제국 시대 성벽으로 요새화되었다. '임브로스'라고 불렸으며, 타르벨로스 산("외레메즈 산") 기슭에 있었다.
- * 헤라클리온: 아크로폴리스 옆의 작은 요새로, 기원전 5세기까지 바다까지 뻗어 있었고 남쪽과 북쪽에 두 개의 항구가 있었다. 아크로폴리스에서는 고대 도시, 달리안, 달리안 강, 하구, 이즈투주 해변을 조망할 수 있으며, 작은 요새는 남쪽 항구 근처의 전통적인 ''달리안''(어장)을 내려다본다.
- 원형 극장: 아크로폴리스 경사면에 있는 헬레니즘 및 로마 시대의 특징을 가진 극장으로, 지름 75m, 27도 각도로 건설되었다. 500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태가 양호하여 공연에 사용되기도 한다.
- 팔라이스트라: 로마 목욕탕, 풍향 측정 플랫폼, 돔형 비잔틴 바실리카가 있다.
- * 로마 목욕탕: 사회적 만남의 장소였으며, 규모를 통해 로마 제국의 힘을 과시하려 했다. 비잔틴 시대에는 해체되어 냉탕이 교회로 재사용되었다.
- * 풍향 측정 플랫폼: 기원전 150년경 건설된 원형 건물로, 도시 계획에 사용되었다. 비트루비우스는 ''건축 십서''에서 주된 풍향에 따라 거리를 계획하여 도시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기록했다.
- * 돔형 비잔틴 바실리카: 서기 5세기에 건설되었으며, 4세기 건물 기초 위에 이전 건물 자재로 만들어졌다. 내부 벽은 회반죽과 프레스코로 장식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카우노스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비잔틴 건축물이며, 옆에서 모자이크가 발굴되었다.
- 항구 아고라, 스토아, 님파이움:
- * 항구 아고라: 쉴륄클뤼 호수 앞 평지에 위치하며, 기원전 4세기부터 로마 시대 말까지 경제, 정치, 사회적 만남의 장소였다. 영향력 있는 로마인들의 청동 조각상 받침대 잔해가 있으나, 조각상 자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비잔틴 시대 제련소가 발견되어 조각상이 녹여졌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 스토아: 아고라 북쪽에 위치하여 햇빛과 비를 막아주었으며, 초기 헬레니즘 시대(기원전 3세기)에 만들어졌으나 일부는 초기 로마 시대에 속한다.
- * 님파이온: 헬레니즘 시대에 만들어졌으며, 분수 유역은 로마 시대에 확장되었다. 하드리아누스 황제 시대 비문은 항구 막힘을 보상하기 위해 상인과 보트 소유자에 대한 통행세 완화를 기록하고 있다.
- 사원: 여섯 개의 사원이 발굴되었으며, 두 개는 헬레니즘 시대, 네 개는 로마 시대의 것이다. 기원전 3세기의 테라스 사원이 가장 매력적이며, 원 안에서 발견된 오벨리스크는 카우노스 왕의 상징으로, 옛 동전에도 묘사되어 있다.
카우노스 고고학 유적지 외부에는 다음과 같은 유적들이 있다.
- 달리안 강 암석 무덤: 기원전 4~2세기에 만들어진 여섯 개의 암석 무덤으로, 달리안의 주요 볼거리이다. 헬레니즘 시대 사원 정면을 닮았으며, 두 개의 이오니아식 기둥, 삼각형 박공, 톱니 모양 프리즈가 있는 아치트레이브, 야자 잎 모양 아크로테리온을 갖추고 있다.
- 카우노스 성벽: 기원전 4세기 마우솔로스 통치하에 세워진 성벽으로, 도시 규모와 인구에 비해 과도하다. 해상 및 상업 항구로서의 도시 미래에 대한 기대가 컸음을 보여준다. 내항 서쪽에서 시작하여 도시 북쪽과 북서쪽 언덕을 따라 달리안 맞은편 절벽 꼭대기까지 이어진다. 칸드르 급수대에서 시작하는 성벽을 따라 걷는 길이 있으며, 규칙적인 사각형 블록과 배치 방식은 헬레니즘 시대 건축 기술을 보여준다. 일부는 잘 보존되어 있고, 다른 부분은 무너져 재건되었다.
- 칸드르 항구 니치 무덤: 고대 네크로폴리스에 위치하며, 고대 그리스인과 로마인은 집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죽은 자를 매장했다. 니치 무덤이 가장 흔하며, 유해는 항아리에 넣어져 니치에 안치되었다. 퀴질테페 바위에 파낸 수십 개의 니치 무덤이 있다.
6. 저명한 인물
- 프로토게네스, 기원전 4세기의 그리스 화가[1]
- 카우노스 출신 제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서기, 기원전 3세기[2]
7. 가톨릭 명목 주교
가톨릭 교회는 이 교구를 라틴어화된 이름인 '''카우누스'''로 명목 주교에 포함시켰다.[23][24][25] 명목상 복원된 이후(늦어도 1911년) 수도 미라 대교구의 리키아 관구 주교로 활동했다.[26]
1972년부터 공석이었으며,[27] 다음과 같은 주교급(최하위) 직책을 가진 사람들이 있었다:[26]
이름 | 소속 | 출생 국가 | 직책 | 재임 기간 |
---|---|---|---|---|
후벤시오 후안 오스피탈 데 라 푸에블라 | 어거스틴 수도회 | 스페인 | 북 후난 자치교구 湖南北境 (중국) 교황 대리 및 은퇴 | 1911년 9월 18일 – 1957년 10월 4일 |
안젤로 바르비스티 | 예수 성심회 | 이탈리아 | 에스메랄다스 자치교구(에콰도르) 교황 대리 | 1957년 11월 14일 – 1972년 9월 17일 |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Greek From the Beginning to Late Antiqu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Köyceğiz-Dalyan, a journey through history within the labyrinth of nature
Faya Kültür Yayınları-1
[3]
서적
Dalyan 2005 Gezi Kitabı/Travel book
[4]
뉴스
History surfaces from Köyceğiz Lake, Land of Lights
2010-10-28
[5]
학술
Notes and Inscriptions from Caunus
https://www.cambridg[...]
1953
[6]
학술
Notes and Inscriptions from Caunus (Continued)
https://www.cambridg[...]
1954
[7]
서적
Die Inschriften von Kaunos
https://www.worldcat[...]
C.H. Beck
2006
[8]
학술
THE EARLY COINAGE OF KAUNOS
https://www.academia[...]
[9]
학술
COIN EVIDENCE FOR THE CARIAN NAME OF KERAMOS
https://www.degruyte[...]
2000
[10]
학술
DIE KARISCH-GRIECHISCHE BILINGUE VON KAUNOS. Eine zweisprachige Staatsurkunde des 4. Jh.s v. Chr.
https://www.degruyte[...]
1997
[11]
서적
The Rhodian Peraea and Islands
Oxford University Press
1954
[12]
학술
KAUNOS IN LYKISCHEN INSCHRIFTEN
https://www.degruyte[...]
1998
[13]
문서
Ovid, Metamorphoses
[14]
문서
Antoninus Liberalis, Metamorphoses
[15]
문서
Parthenius, Love Romances
[16]
문서
Herodotus I.171
[17]
문서
Herodotus I.176
[18]
문서
Herodotus I.172
[19]
문서
Herodotus V.103
[20]
서적
The Carian Language
https://books.google[...]
BRILL
[21]
뉴스
Ancient Caria: In the garden of the sun
Hürriyet Daily News
2011-03-28
[22]
학술
Narrative of a Survey of Part of the South Coast of Asia Minor; And of a Tour into the Interior of Lycia in 1840-1; Accompunied by a Map
https://archive.org/[...]
1842
[23]
문서
Le Quien
[24]
웹사이트
Caunus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25]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26]
웹사이트
Titular See of Caunas, Turkey
http://www.gcatholic[...]
[27]
웹사이트
Caunus (Titular See)
http://www.catholic-[...]
[28]
서적
A History of Ancient Greek From the Beginning to Late Antiqu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