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이모트립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이모트립신은 췌장에서 합성되는 단백질 분해 효소로, 펩타이드 결합의 가수분해를 촉매하는 세린 프로테아제이다. 키모트립신은 키모트립시노겐의 활성화를 통해 생성되며, 활성 부위의 세린 잔기를 활용하여 기질을 분해한다. 의학적으로는 백내장 수술에 사용되었으며, 키모트립시노겐 B1, B2, 키모트립신 C 등의 동종 효소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백질분해효소 - 파파인
    파파인은 파파야에서 추출되는 파파인 유사 단백질 분해 효소 계열의 효소로, 육류 연화, 세포 분리, 상처 관리 등에 사용되지만, 알레르기 반응과 같은 부작용으로 사용 중단 권고가 내려지기도 했다.
  • 단백질분해효소 - 펩신
    펩신은 테오도어 슈반이 발견한 최초의 효소 중 하나로, 위 주세포에서 펩시노젠 형태로 생성되어 위산에 의해 활성화되어 단백질을 분해하며, 산성 환경에서 가장 활발하게 작용하고 펩스타틴에 의해 억제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된다.
  • EC 3.4.21 - 트롬빈
    트롬빈은 혈액 응고 과정에서 중요한 세린 프로테아제 효소로서, 프로트롬빈 활성화를 통해 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전환시켜 혈전 형성을 촉진하고, 혈소판 활성화, 혈관 수축, 단백질 C 활성화, 질병 발병 등 다양한 생리활성과 의학 및 식품 분야 응용 가능성을 가진다.
  • EC 3.4.21 - 단백분해효소 K
    단백분해효소 K는 칼슘 이온에 의해 활성화되어 소수성 아미노산을 선호하는 단백질 분해 효소로, 넓은 pH 범위에서 안정적이며 핵산 정제 시 뉴클레아제 비활성화에 효과적이고 분자생물학 연구에 다양하게 활용된다.
카이모트립신
효소 정보
소 카이모트립시노겐의 결정 구조
소 소 카이모트립시노겐의 결정 구조
EC 번호3.4.21.1
CAS 번호9004-07-3
GO 코드0004263
효소 반응 정보
기능소화 효소
카이모트립신 C 정보
EC 번호3.4.21.2
CAS 번호9036-09-3

2. 활성화

키모트립신은 췌장에서 합성된다. 처음에는 비활성 상태인 전구체, 즉 키모트립신노겐 형태로 만들어진다. 트립신은 키모트립신노겐의 Arg15 – Ile16 위치의 펩타이드 결합을 절단하여 활성화시키고, π-키모트립신을 생성한다. 이어서, Ile16 잔기의 아미노기 (-NH3+)는 Asp194의 곁사슬과 상호 작용하여 효소 활성에 중요한 "옥시아니온 구멍"과 소수성 "S1 포켓"을 생성한다. 게다가, 키모트립신은 스스로 14–15, 146–147 및 148–149 위치에서 절단을 통해 자가 활성화를 유도하여 최종적으로 α-키모트립신을 생성한다. 이 α-키모트립신은 중간 단계인 π-키모트립신보다 더 활성이 높고 안정적인 형태이다.[6] 결과적으로 활성화된 α-키모트립신 분자는 이황화 결합을 통해 상호 연결된 3개의 폴리펩타이드 사슬로 구성된다.

3. 작용 기전 및 반응 속도

Chymotrypsin tetrahedral intermediates
키모트립신이 펩타이드 결합을 촉매하는 가수분해의 분자 메커니즘. 핵심적인 측면은 사면체 중간체 Tet 1이다.


생체 내에서 키모트립신은 많은 생물체의 소화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 분해 효소의 일종인 세린 프로테아제이다. 이 효소는 펩타이드 결합가수분해 반응을 촉진하는데, 이 반응은 열역학적으로는 유리하지만 촉매 없이는 매우 느리게 진행된다. 키모트립신은 주로 트립토판, 티로신, 페닐알라닌, 류신과 같은 특정 아미노산 잔기의 카복실 말단(C-말단) 쪽 펩타이드 결합을 선택적으로 절단한다.

키모트립신의 활성 부위에는 Ser195, His57, Asp102의 세 가지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촉매 삼잔기가 존재한다. 이 세 잔기는 서로 협력하여 펩타이드 결합 분해 반응을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반응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1. 아실화 단계:

  • His57 잔기의 이미다졸 고리가 일반 염기로 작용하여 Ser195 잔기의 하이드록실기로부터 양성자를 제거한다. 이 과정은 Asp102 잔기와의 수소 결합을 통해 안정화되며, His57의 염기성을 높여준다.
  • 양성자를 잃은 Ser195의 산소 원자는 강력한 친핵체가 되어 기질 단백질의 펩타이드 결합에 있는 카보닐기의 탄소 원자를 공격한다.
  • 이 공격으로 인해 불안정한 사면체 형태의 반응 중간체가 형성된다. 이 중간체의 음전하를 띤 산소 원자(옥시아니온)는 활성 부위 내의 '옥시아니온 홀'이라는 구조에 의해 안정화된다. 옥시아니온 홀은 주사슬 아마이드의 수소 원자들과의 수소 결합을 통해 중간체를 안정시킨다.
  • 사면체 중간체는 불안정하여 곧 분해되면서 펩타이드 결합이 끊어진다. 이때 생성물의 일부(새로운 N 말단을 가진 펩타이드 조각)는 떨어져 나가고, 나머지 부분(아실기)은 Ser195 잔기에 공유 결합으로 연결된 '아실-효소 중간체'를 형성한다.


2. 탈아실화 단계:

  • 분자가 활성 부위로 들어온다.
  • His57 잔기가 다시 일반 염기로 작용하여 물 분자로부터 양성자를 제거하고, 물 분자를 활성화시켜 친핵성을 높인다.
  • 활성화된 물 분자(하이드록사이드 이온)가 아실-효소 중간체의 카보닐 탄소를 공격하여 두 번째 사면체 중간체를 형성한다. 이 중간체 역시 옥시아니온 홀에 의해 안정화된다.
  • 두 번째 사면체 중간체가 분해되면서 Ser195와 아실기 사이의 결합이 끊어진다. 이로써 반응 생성물의 나머지 부분(새로운 C 말단을 가진 펩타이드 조각)이 방출되고, Ser195의 하이드록실기는 원래 상태로 돌아가 효소가 재생된다.[11]


키모트립신의 촉매 반응 속도는 두 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아실-효소 중간체가 빠르게 형성되는 '폭발적 단계(burst phase)'이고, 두 번째는 아실-효소 중간체가 느리게 가수분해되어 효소가 재생되는 '안정 상태 단계(steady-state phase)'이다. 이러한 반응 양상은 미카엘리스-멘텐식을 따르며, 기질과 생성물이 번갈아 효소에 결합하고 떨어져 나가는 특징 때문에 '핑퐁 메커니즘'이라고도 불린다.

한편, 키모트립신은 시험관 내 환경에서는 펩타이드 결합뿐만 아니라 아마이드 결합도 가수분해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N-아세틸-L-페닐알라닌 p-니트로페닐 아마이드와 같은 인공 기질 유사체를 효소 분석(enzyme assay)에 사용한다. 이 기질이 분해되면 ''p''-니트로페놀레이트라는 노란색 물질이 생성되는데, 이 물질은 410 nm 파장의 빛을 흡수하므로 흡광도 측정을 통해 반응 속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속도론적 연구와 억제제 분석은 키모트립신의 작용 기전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1]

4. 의학적 이용

카이모트립신은 백내장 수술 중에 사용되어 왔다.[9] 이 약은 Zolyse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었다.[10]

5. 동종 효소

카이모트립신의 동종 효소 정보
효소 이름유전자 기호EntrezGene IDUniProt IDEC 번호염색체 위치
키모트립시노젠 B1CTRB11504P175383.4.21.116q23.1
키모트립시노젠 B2CTRB2440387Q6GPI13.4.21.116q22.3
키모트립신 C (칼데크린)CTRC11330Q998953.4.21.21p36.21


참조

[1] 논문 Chymotrypsinogen: 2.5-angstrom crystal structure, comparison with alpha-chymotrypsin, and implications for zymogen activation 1970-04
[2] 서적 Chymotrypsinogens — chymotrypsins
[3] 간행물 Chapter 33 - Evaluation of exocrine pancreatic function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20-01-01
[4] 논문 Chymotrypsin: molecular and catalytic properties 1986-12
[5] 논문 Mapping the active site of papain with the aid of peptide substrates and inhibitors 1970-02
[6] 서적 Fundamentals of Enzymology EDTECH 2019
[7] 논문 Mechanism of the -Chymotrypsin-Catalyzed Hydrolysis of Amides. pH Dependence of kc and Km. 1971
[8] 논문 Concerning a reported change in rate-determining step in chymotrypsin catalysis 1973
[9] 논문 Chymotrypsin in cataract surgery 1960-04
[10] 웹사이트 Final List of Withdrawn Applications for Biological Products That Were Removed From the Orange Book on 3-23-20 {{!}} FDA https://www.fda.gov/[...] 2024-04-05
[11] 서적 Protein Structure and Function "[[オックスフォード大学出版局]]"
[12] 논문 Chymotrypsinogen: 2.5-angstrom crystal structure, comparison with alpha-chymotrypsin, and implications for zymogen activation 1970-04
[13] 문서 (우리말샘) 카이모트립신 등
[14] 서적 Chymotrypsinogens — chymotrypsins
[15] 논문 Chymotrypsin: molecular and catalytic properties 1986-12
[16] 논문 Mapping the active site of papain with the aid of peptide substrates and inhibitors 197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