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바르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이바르 전투는 628년 무함마드가 이끄는 무슬림 군대와 유대인들이 거주하던 카이바르 오아시스 간에 벌어진 전투이다. 메디나에서 추방된 바누 나디르 부족이 카이바르에 정착하여 무함마드에 대항하는 세력을 규합하고, 주변 부족들과 연합하여 무슬림을 공격하려 하자, 무함마드는 이슬람 공동체의 경제적 기반을 강화하고 세력을 확장하기 위해 카이바르 원정을 결정했다.
무함마드는 1,400명에서 1,800명 사이의 병력을 이끌고 카이바르를 기습 공격했고, 각 요새를 차례로 점령하며 전투를 진행했다. 알리 이븐 아비 탈립의 활약으로 마지막 요새인 알-카무스까지 함락되자, 유대인들은 항복하고 무함마드와 협정을 맺어 딤미의 지위를 얻었다. 전투의 결과로 무함마드는 이슬람 세력의 영향력을 아라비아 반도 내에서 확대했으며, 빼앗은 전리품과 무기를 통해 군사력을 강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대의 역사 - 살로메
살로메는 요세푸스의 기록으로 가계와 결혼 관계가 알려졌으며, 복음서에서 헤로데 안티파스를 위해 춤을 추고 세례자 요한의 목을 요구한 헤로디아의 딸로 묘사되고, 예술 작품, 특히 오스카 와일드 희곡과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오페라를 통해 팜 파탈 이미지로 알려진 인물이다. - 유대의 역사 - 헤로디아
헤로디아는 헤롯 대왕의 손녀로, 헤롯 2세와 결혼하여 딸 살로메를 낳았으며, 이복 삼촌 헤롯 안티파스와 재혼하여 세례자 요한의 처형에 관여하고 유배 생활을 하다 사망한 인물이다. - 이슬람의 역사 - 이슬람 철학
이슬람 철학은 이슬람 세계에서 그리스 철학, 이슬람 신학, 인도 및 페르시아 철학을 바탕으로 발전했으며, 칼람과 팔사파의 두 흐름 속에서 이븐 시나, 이븐 루시드 같은 철학자들을 배출하며 종교, 신비주의, 유럽 철학에 영향을 주었고 동서로 나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 이슬람의 역사 - 맘루크 술탄국
맘루크 술탄국은 1250년부터 1517년까지 이집트와 레반트를 통치한 이슬람 왕조로, 노예 출신 군인인 맘루크들이 세웠으며, 바흐리 왕조와 부르지 왕조 시대를 거쳐 강력한 군사력과 행정 시스템을 기반으로 번성했으나, 내부 분쟁과 흑사병, 유럽의 해상 무역 확장으로 쇠퇴하여 오스만 제국에 멸망, 이슬람 문화의 중심지로서 독특한 문화유산을 남겼다.
카이바르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투 정보 | |
분쟁 | 무함마드의 군사 원정의 일부 |
날짜 | 628년 3월/4월 (히즈라력 7년) |
장소 | 카이바르 (현재의 사우디 아라비아) |
결과 | 무슬림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 1 | 초기 무슬림 |
교전 2 | 카이바르 유대인 |
지원 세력 | 바누 나디르 (유대인) 바누 가타판 (아라비아인) 바누 파자라 (아라비아인) |
지휘관 및 지도자 | |
교전 1 지휘관 | 무함마드 이븐 압둘라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우마르 이븐 알-하타브 아부 바크르 주바이르 이븐 알-아왐 |
교전 2 지휘관 | 마르하브 이븐 알-하리스 |
병력 규모 | |
교전 1 병력 | 1,400 – 1,600명 |
교전 2 병력 | 10,000명 (유대인) 4,000명 (가타판) |
사상자 및 피해 | |
교전 1 사상자 | ~20명 사망 50명 부상 |
교전 2 사상자 | 93명 사망 |
2. 배경
카이바르 전투는 7세기 무함마드가 이끄는 무슬림 세력과 카이바르에 거주하던 유대인들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당시 카이바르는 비옥한 오아시스 지역으로, 유대인들은 농업과 상업에 종사하며 여러 요새를 구축하고 있었다.
625년 메디나에서 추방된 바누 나디르는 카이바르에 정착, 무함마드에 대항하는 세력을 모았다.[28] 이들은 주변 부족을 선동해 무슬림을 공격하려 했고[29][30][31][32], 참호 전투에서 메카인 및 베두인족과 협력해 메디나를 포위 공격하기도 했다.[28]
바누 쿠라이자 또한 메디나 헌장을 위반하고 무함마드를 배신하려는 음모를 꾸몄다는 의혹을 받았다.[12][33] 628년 후다이비야 조약으로 메카와 평화가 유지되면서, 무함마드는 카이바르 원정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20]
2. 1. 7세기 카이바르
7세기 카이바르는 유대인들이 거주하던 비옥한 오아시스 지역이었다. 이들은 농업과 상업에 종사하며, 여러 요새와 방어 시설을 구축하고 무기를 비축해 두었다. 이는 외부 세력의 공격뿐 아니라 내부 분쟁에도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20] 카이바르 유대인들은 상당한 양의 천, 망토, 보석 등을 보유하고 활발한 무역 활동을 벌였다.[20]
오아시스는 알-나타트, 알-시크, 알-카티바의 세 지역으로 나뉘었으며, 각 지역에는 여러 요새가 존재했다. 요새들은 언덕이나 현무암 바위 위에 건설되어 방어 능력을 높였다.[20]
다음은 무슬림이 포위한 카이바르의 주요 요새 목록이다:[23][24][25][26][27]
요새 이름 |
---|
알-바리야 요새 |
쿠타이바 요새 |
카무스 요새 |
알-쿨라 요새 |
알-와틴 요새 |
안-나타 요새 |
아스-살림 요새 |
주바이르 요새 |
아쉬-쉬크 요새 |
제2 바리야 요새 |
나임 요새 |
샤브 요새 |
우바이 요새 |
625년 메디나에서 추방된 바누 나디르는 카이바르에 정착했다. 627년, 나디르 족장 후야이 이븐 아크타브는 참호 전투에 가담하여 메디나를 포위하는데 동참했다.[28] 이후, 후야이는 전투에서 패배하고 쿠라이자가 항복한 후 살해되었다. 후야이의 죽음 이후, 아부 알-라피 이븐 아비 알-후카이크와 우사이르 이븐 자림이 차례로 카이바르에서 바누 나디르를 이끌었다.
2. 2. 무함마드의 카이바르 원정 이유
바누 나디르 부족은 메디나에서 추방된 후 카이바르에 정착하여 무함마드에 대항하는 세력을 규합했다.[28] 이들은 주변 부족들을 선동하여 무슬림을 공격하려 했다.[29][30][31][32] 특히, 바누 나디르의 지도자 후야이 이븐 아크타브는 참호 전투에서 메카인과 베두인족과 협력하여 메디나를 포위 공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8]바누 쿠라이자 부족은 메디나 헌장을 위반하고 무함마드를 배신하려는 음모를 꾸몄다는 의혹을 받았다.[12][33] 이들은 바누 나디르와 협력하여 무슬림을 공격하려 했다는 것이다.
일부 학자들은 무함마드가 이슬람 공동체의 경제적 기반을 강화하고, 아라비아반도 내에서 세력을 확장하기 위해 카이바르 원정을 결정했다고 주장한다.[96][97][98] 카이바르는 비옥한 오아시스 지역으로, 이곳을 장악하면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628년에 체결된 후다이비야 조약으로 메카와의 평화가 유지되면서, 무함마드는 카이바르 원정에 집중할 수 있었다.[20] 이 조약은 무함마드에게 후방의 위협 없이 카이바르를 공격할 수 있는 전략적 이점을 제공했다.
3. 전투 경과
628년 5월, 무함마드가 이끄는 1,400명에서 1,800명의 무슬림 군대가 카이바르를 침략했다.[99] 이들은 100~200마리의 말을 동원했으며, 일부 여성들은 병사 간호를 위해 참전했다.[100] 무슬림 군대는 카이바르 군대(10,000명)보다 병력은 훨씬 적었지만,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3일 만에 카이바르에 도착했다.[101]
카이바르 유대인들은 중앙 집중적인 방어 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각 요새별로 흩어져 저항했다. 무슬림 군대는 카이바르 궁수들의 공격으로 50명 이상의 병사가 죽는 피해를 입었으나, 첩보원을 매수하여 나임 요새를 먼저 공격했다.[102]
무슬림 군대는 주로 원거리에서 화살을 쏘는 전술을 사용했지만, 근접전도 발생했다. 가장 강력한 요새였던 알-카무스 요새는 13일에서 19일간의 포위 공격 끝에 함락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알리 이븐 아부 탈립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알리는 카이바르의 용사 마르합과의 일대일 결투에서 승리하여 그를 죽였다.
4. 전투의 결과
카이바르 유대인들은 항복하고, 무함마드와 협상하여 딤미(보호받는 비무슬림) 지위를 얻었다. 유대인들은 카이바르에 계속 거주하며 경작할 수 있었지만, 수확물의 절반을 무슬림에게 바쳐야 했다.[65] 이븐 히샴의 기록에 따르면, 이 조약에는 무슬림이 원할 때 유대인들을 추방할 수 있다는 조건이 있었는데, 이는 후대에 유대인 추방을 정당화하기 위해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3] 이 협정은 이슬람 율법에서 딤미의 지위와 지즈야(인두세) 징수에 대한 중요한 선례가 되었다.[20][21][22]
전투 후, 무함마드와 그의 추종자들의 세력이 크게 늘어났으며, 베두인 족을 포섭하고 이슬람교 개종 인구가 늘어나 18개월 후 메카를 장악하게 된다.[20][42]
포로 중에는 바누 나디르 족장 후야이 이븐 아크타브의 딸이자 케나나 이븐 알라비의 과부인 사피야 빈트 후야이가 있었다. 동료들은 무함마드에게 사피야의 미모와 가문에 대해 알렸고, 무함마드는 그녀를 자신에게 데려오게 했다. 무함마드는 사피야를 해방시키고 결혼하여, 그녀는 믿는 자들의 어머니 중 한 명이 되었다.[68]
바누 나디르의 재무관이자 사피야의 남편인 케나나 이븐 알라비는 보물의 행방에 대해 거짓말을 하여 고문을 당하고 처형되었다.[68][69][70]
일부 무슬림 전통에 따르면, 유대인 여성인 자이납 빈트 알-하리드가 무함마드를 독살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이 사건으로 무함마드의 건강이 악화되었다.[72][73]
무슬림 학자들은 카이바르 점령이 쿠란 48:20에서 암시된 신성한 약속이었다고 주장한다.[78][79]
5. 전투 이후 상황
무함마드는 항복한 유대인들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율법학자들과 논의했다.[103] 유대인들은 지역을 떠나고 재산을 포기하는 대신, 무슬림은 그들에게 해를 끼치지 않기로 합의했다. 일부 유대인들은 무함마드에게 수확물의 절반을 바치는 조건으로 카이바르에 계속 거주할 수 있도록 요청했고, 무함마드는 이를 허락했다.[103] 이븐 히샴의 기록에는 무슬림이 원할 경우 유대인을 추방할 수 있다는 조건이 있었지만, 현대 학자들은 이것이 후대에 유대인 추방을 정당화하기 위해 추가된 것으로 보고 있다.[92][93] 카이바르 유대인과의 협정은 딤미의 지위를 규정하는 중요한 선례가 되었다.[20][21][22]
카이바르 전투 이후 무함마드의 세력은 크게 확장되었고, 베두인 부족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등 아라비아 반도 내에서 이슬람의 영향력이 커졌다.[20][42]
6. 논란과 해석
주류 수니파의 견해에 따르면, 이 전투는 사히 알-부하리에 언급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무함마드는 "내일 나는 알라가 (무슬림에게) 승리를 허락할 지도력을 가진 사람에게 깃발을 줄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그 후, 그는 깃발을 알리에게 주었다.[74] 시아파 전승에 따르면, 무함마드는 알리를 불렀는데, 그는 유대인 족장을 칼로 쳐서 희생자의 투구, 머리, 몸을 두 동강 냈다. 방패를 잃은 알리는 요새의 두 문을 경첩에서 들어 올려 참호로 들어가 공격자들이 요새에 접근할 수 있도록 다리를 만들었다고 한다. 문은 너무 무거워서 40명의 사람이 다시 제자리에 놓아야 했다. 이 이야기는 시아파가 알리를 영웅의 전형으로 보는 근거가 되었다.[20][75]
어느 날, 무슬림 군인들은 무함마드의 의견과 허가 없이 농장에서 도망친 수십 마리의 당나귀를 죽여 요리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무함마드는 무슬림에게 말, 노새, 당나귀 고기를 금지했는데, 이는 필요에 의해 섭취가 강요될 경우를 제외한다. 유대인들은 한 달 반의 포위 공격 끝에 두 개의 요새를 제외한 모든 요새가 무슬림에게 점령되자 항복했다.[20]
현대 피크 연구자들에 따르면, 카이바르 전투의 여파는 다우드 알-자히리, 아흐마드 이븐 한발, 말리크 이븐 아나스, 무함마드 샤이바니와 같은 다양한 사상 학파의 다양한 이슬람 법학자들이 카이바르 재산의 무슬림 정복자들의 압류 판결과 전투 후 복종한 유대인 주민들을 카이바르 정원과 농장의 노동자로 고용하는 것을 기반으로 했다는 점에서 중요했다.[76][77] 이러한 법학자와 그들의 추종자들은 그러한 관행이 그들의 마드하브에 따라 농지를 경작하기 위한 이슬람 비즈니스 협력의 모델이 되었음을 판결했다.[77][76]
중동,[80] 유럽[81] 및 북미[81][82] 지역의 시위에서 때때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과 관련하여 카이바르 전투가 언급된다. 이 구호의 몇 가지 버전은 다음과 같다.
- خيبر خيبر يايهود جيش محمد سوف يعود|카이바르, 카이바르, 오 유대인들이여, 무함마드의 군대가 돌아올 것이다.ar[83]
- 프랑스어로는, ''Khaybar, Khaybar, Ô Juifs, l'armée de Mohammad va revenir.''[81]
- ''Khaybar, Khaybar ya yahud, jaysh Muhammad qadimun.''—"카이바르, 카이바르, 오 유대인들이여, 무함마드의 군대가 오고 있다."[84] 헤즈볼라의 아바스 알-무사위에 따르면, 이것은 서기 7세기에 벌어진 최초의 전투에서 외쳐진 버전이었다.
- ''Khaybar, Khaybar ya sahyun, Hizbullah qadimun.''—"카이바르, 카이바르, 너 시온주의자들이여, 헤즈볼라가 오고 있다."[84]
제1차 인티파다 동안, 하마스 전단은 팔레스타인인들에게 "카이바르의 기억"을 이스라엘과의 새로운 분쟁으로 재해석하도록 장려했다. "카이바르, 카이바르, 오 유대인들이여, 무함마드의 군대가 돌아올 것이다"라는 구호는 하마스 시위와 벽 낙서에 자주 등장했다.[85]
2006년 레바논 전쟁 동안, 레바논 시아파 민병대 헤즈볼라는 이스라엘 도시에 발사한 미사일에 카이바르라는 이름을 붙였다.[86]
''카이바르''는 또한 2013년 7월 중동에서 방송을 시작한 텔레비전 시리즈의 이름이기도 하다. (라마단 그 해) 카이바르 전투를 배경으로, 카이바르의 유대인과 당시 메디나의 유대인 및 아랍 공동체 간의 관계를 묘사한 드라마이다. MEMRI,[87] 사이먼 비젠탈 센터[88] 및 ADL[89]은 유대인을 이슬람의 적으로 부정적으로 묘사한다고 비판했다.[90]
6. 1. 무함마드의 결혼
무슬림 군대가 알-카무스 성채를 점령하기 위한 몇 차례의 전투는 실패했다.[53] 첫 번째 시도는 아부 바크르가 깃발을 들고 싸웠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그 다음 우마르 이븐 알 카타브가 돌진하여 아부 바크르보다 더 격렬하게 싸웠지만 실패했다. 그날 밤 무함마드는 "신께 맹세컨대, 내일 나는 신과 그의 메신저를 사랑하고, 신과 그의 메신저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깃발을 줄 것이다. 알라가 그에게 승리를 주시리라."라고 선언했다.[54] 다음 날 아침, 쿠라이쉬는 누가 깃발을 들 영예를 얻을지 궁금해했지만, 무함마드는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를 불렀다.[55]6. 2. 케나나 이븐 알라비의 죽음

역사학자들은 마르합 살해 사건에 대해 서로 다르게 묘사한다.[58][59] 사히 무슬림을 포함한 대부분의 역사적 자료는[60] 알리가 카무스 요새 또는 나임 요새를 정복하는 과정에서 마르합을 죽였다고 전한다.[61][62]
알리와 관련된 가장 유명한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 알리가 카무스 요새에 도착했을 때, 그는 전투에 능숙한 유대인 족장인 마르합과 성문에서 만났다. 마르합은 "카이바르는 내가 누구인지 잘 안다. 내 무기는 날카롭고, 나는 시험을 거친 전사다. 때로는 창으로 찌르고, 때로는 칼로 치는데, 사자들은 불타는 분노로 나아간다."라고 외쳤다.[63]
사히 무슬림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전해진다.
> 카이바르는 내가 마르합임을 분명히 안다. 전쟁이 불길을 퍼뜨릴 때, 완전 무장하고 노련한 용맹한 전사(영웅)이다.[60]
알리는 이렇게 답했다.
> 나는 어머니가 하이다르(사자)라고 이름 지은 자이고, 공포스러운 얼굴을 한 숲의 사자와 같다. 나는 나의 상대에게 사(잔) 대신 산다라(모래)의 양을 준다(즉, 그들의 공격을 훨씬 더 격렬한 것으로 되돌려준다).[60]
두 병사는 서로를 공격했고, 두 번째 공격 후 알리는 마르합의 투구를 쪼개 그의 두개골을 갈라 그의 칼을 상대의 이빨에 꽂았다.[64] 또 다른 이야기는 "알리는 마르합의 머리를 쳐서 그를 죽였다"고 묘사한다.[60]
참조
[1]
웹사이트
خيبر - غزوة خيبر - قصة المدينة - د. راغب السرجاني | موقع قصة الإسلام - إشراف د/ راغب السرجاني
http://www.islamstor[...]
[2]
서적
Lings (1983)
[3]
서적
Lings (1983)
[4]
백과사전
Kurayza, Banu
[5]
논문
Collaboration on Experiential Education (1827)
http://dx.doi.org/10[...]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20-10-11
[6]
웹사이트
Manifestations of The Moon of Prophet Hood
https://www.scribd.c[...]
2024-10-01
[7]
논문
Collaboration on Experiential Education (1827)
https://publications[...]
2019-12-01
[8]
서적
Ḥamās: The Islamic Resistance Movement
https://brill.com/di[...]
Brill
2023-11-17
[9]
서적
Global Antisemitism: A Crisis of Modernity Volume IV: Islamism and the Arab World
ISGAP
2014
[10]
논문
The Islamization of the Palestinian-Israeli Conflict: The Case of Hamas
https://www.jstor.or[...]
1998
[11]
논문
Verses and Reality: What the Koran Really Says about Jews
https://www.jstor.or[...]
2018
[12]
웹사이트
Muhammad (sa) and the 600 Jews of Madinah - A False Allegation
https://www.reviewof[...]
2024-10-01
[13]
서적
Muhammad, prophet and statesman
Oxford university press
1964
[14]
백과사전
Ali
[15]
소설
Perang Khaibar (Khaybar War)
2011
[16]
서적
The Jews of Arab Lands: A History and Source Book
https://archive.org/[...]
Jewish Publication Society of America
1979
[17]
서적
Sirat-i-Halbiyyah. 2
Idarah Qasmiyyah Deoband
[18]
서적
The Assassination of Kaʿb b. al-Ashraf. Vol. 32
1990
[19]
논문
Sürgünden Sonra Hayber Yahudileri
https://belleten.gov[...]
2008
[20]
백과사전
Khaybar
[21]
서적
Stillman
[22]
서적
Lewis
[23]
서적
Sirah Nabawiyah
https://books.google[...]
Gema Insani
2020
[24]
서적
Sejarah Lengkap Rasulullah Jilid 2
https://books.google[...]
Pustaka Al-Kautsar
2021-12-29
[25]
서적
Al-Ahkam As-Sulthaniyyah Hukum-Hukum Penyelenggaraan Negara dalam Syariat Islam
https://books.google[...]
Darul Falah
2021-12-29
[26]
서적
Kelengkapan Tarikh Edisi Lux Jilid 2
https://books.google[...]
Gema Insani
2021-12-29
[27]
서적
MUSLIM What You Need to Know About the World's Fastest Growing Religion
https://books.google[...]
Thomas Nelson
2021-12-29
[28]
서적
Stillman
[29]
서적
Muhammad at Medina
[30]
서적
Sirat al-Nabi
[31]
서적
Sirat-i-Halbiyyah
[32]
서적
Muhammad: his life based on the earliest sources
[33]
서적
Muhammad: the prophet of God
[34]
서적
Nomani (1979)
[35]
서적
Fath al-Bari
[36]
문서
Stillman 17
[37]
서적
Ala al-Mawahib
Egypt
[38]
서적
A. Guillaume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문서
Stillman 18
[43]
서적
[44]
서적
The History of al-Tabari: The Victory of Islam
http://muslim-librar[...]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45]
백과사전
Khaybar
http://referencework[...]
Brill Online
2012-04-18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The Life of Muhammad
Shorouk International
[49]
서적
[50]
서적
The History of al-Tabari: The Victory of Islam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51]
학술지
Khaybar, Khaybar, O Jews
http://fulla.augusta[...]
2006-08-14
[52]
서적
[53]
서적
[54]
웹사이트
Sahih Bukhari
https://web.archive.[...]
2013-05-24
[55]
서적
The History of al-Tabari: The Victory of Islam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56]
서적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57]
서적
Al-Sira al-Nabawiyya (The Life of Muhammad)
[58]
웹사이트
The Conquest of Khyber
http://www.al-islam.[...]
Ahlul Bayt Digital Islamic Library Project
2015-07-18
[59]
웹사이트
The Battle of Khaybar
http://www.a2youth.c[...]
A2Youth
2020-02-06
[60]
하디스
[61]
문서
Bukhari, Chap. Ghazwah Khaybar, Muslim, Naza’i
[62]
서적
English Translation of Sirat Ibn Hisham
https://archive.org/[...]
Al-Falah Foundation
[63]
서적
The History of al-Tabari: The Victory of Islam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64]
서적
The History of al-Tabari: The Victory of Islam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65]
서적
[66]
서적
English Translation of Sunan Ibn Majah with Commentary
Riyadh: Darussalam Publishers & Distributors
[67]
서적
The History of al-Ṭabarī Vol. 8
SUNY Press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The Life of Muhammad
Oxford & New York: Routledge
[71]
서적
Nomani (1979), vol. II
[72]
서적
Ibn Ishaq/Guillaume
[73]
서적
Ibn Saad/Haq
[74]
문서
Companions of Muhammad Bukhari :: Book 5 :: Volume 57 :: Hadith 51
[75]
문서
Jafri_
[76]
서적
Fahlefi
[77]
서적
[78]
웹사이트
The Conquest of Khaibar, Witness-Pioneer.com
http://www.witness-p[...]
[79]
서적
The Sealed Nectar
https://books.google[...]
[80]
서적
Crossovers: Anti-Zionism and Anti-Semitism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81]
서적
Jihad and Genocid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82]
서적
American Jihad: The Terrorists Living Among Us
https://archive.org/[...]
The Free Press, Simon & Schuster, Inc.
[83]
웹사이트
Flotilla participants chanted Islamic battle cry invoking killing of Jews
http://palwatch.org/[...]
2010-05-29
[84]
서적
The Shifts in Hizbullah's Ideology: Religious Ideology, Political Ideology, and Political Program
https://books.google[...]
Amsterdam University Press
[85]
학술지
"Martyrdom is Life": Jihad and Martyrdom in the Ideology of Hamas
https://www.tandfonl[...]
2010-07-15
[86]
뉴스
Hizbullah: We fired Khaibar-1 rockets at Hadera
http://www.ynetnews.[...]
2006-08-08
[87]
웹사이트
The Image Of The Jew In The Ramadan TV Show 'Khaybar' – Treacherous, Hateful Of The Other, Scheming, And Corrupt
http://www.memri.org[...]
2013-07-10
[87]
웹사이트
Update: Dish Network Removed Dubai TV In May – Before Dubai TV, Other Arab Channels Began Airing Antisemitic Ramadan Drama Series 'Khaybar'
http://www.memri.org[...]
2013-07-19
[88]
웹사이트
Simon Wiesenthal Center Slams 'Khaybar' Miniseries After Video of Actors Spewing Hate Surfaces
http://www.algemeine[...]
2020-02-11
[89]
웹사이트
ADL Blasts 'Vehemently Anti-Semitic' TV Show 'Khaybar' Currently Airing in Middle East
http://www.algemeine[...]
2020-02-11
[90]
웹사이트
Ramadan series 'Khaybar' is a battle cry against Jews
http://www.jpost.com[...]
2013-07-11
[91]
뉴스
Iran unveils latest version of ballistic missile amid wider tensions over nuclear program
https://www.nbcnews.[...]
2023-05-25
[92]
서적
Stillman
[93]
서적
Lewis
[94]
서적
Lings (1987)
[95]
백과사전
Muhammad
[96]
서적
Stillman
[97]
서적
Watt
[98]
서적
Arabs in History
[99]
서적
Watt (1956)
[100]
서적
Nomani (1979), vol. II
[101]
서적
The Life of Muhammad
Shorouk International
[102]
서적
Lings (1983)
[103]
서적
Watt (195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