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갈루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타갈루간은 필리핀의 타갈로그족과 그들의 언어를 지칭하는 용어이며, 필리핀 루손 섬의 타갈로그어 사용 지역을 의미하기도 한다. 비밀 결사 카티푸난은 이 용어를 필리핀 제도의 모든 원주민을 포괄하는 의미로 확장했으며, 안드레스 보니파시오는 필리핀 국가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했다. 1896년 카티푸난이 발각되면서 필리핀 혁명이 시작되었고, 보니파시오는 타갈로그 공화국을 수립했다. 이후 마카리오 사카이는 1902년 타갈로그 공화국을 재건했으나 1906년 항복 후 처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미국 전쟁 - 마닐라만 전투
마닐라만 전투는 1898년 스페인-미국 전쟁 중 미국 아시아 함대가 스페인 태평양 함대를 완파하여 미국의 필리핀 점령으로 이어진 해전으로, 조지 듀이 제독의 지휘 아래 미국 함대의 화력 우세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 - 필리핀-미국 전쟁 - 필리핀 제1공화국
필리핀 제1공화국은 에밀리오 아기날도를 대통령으로 1899년 수립된 필리핀 최초의 공화국으로, 미국-스페인 전쟁 후 독립을 선언했으나 필리핀-미국 전쟁으로 1901년 막을 내린, 아시아 최초의 공화국 중 하나이자 필리핀 독립 정신의 상징이다. - 필리핀의 역사 - 후크발라합
후크발라합은 1942년 루손섬에서 결성된 농민 기반 반일 게릴라 조직으로, 일본군 축출과 지주 계급 타도를 목표로 활동했으나, 전후 미국의 반공 정책으로 탄압받으며 필리핀 사회의 불평등과 토지 문제를 드러낸 반란을 일으켰다. - 필리핀의 역사 - 필리핀 자치령
필리핀 자치령은 1935년부터 1946년까지 필리핀 독립을 위해 미국의 타이딩스-맥더피 법에 따라 수립된 10년간의 과도 정부로서, 1935년 헌법 제정과 자치 정부 구성, 국가 방위 체계 구축 등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침략으로 중단되었고 종전 후 필리핀 공화국으로 독립하며 해체되었다. - 옛 공화국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 옛 공화국 - 대한민국 제5공화국
12·12 군사반란으로 권력을 잡은 전두환 신군부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폭력적 진압과 국보위 설치를 통해 수립한 군사정권인 대한민국 제5공화국은 7년 단임 대통령제를 골자로 하는 제8차 헌법 개정을 통해 공식 출범했으나, 권위주의적 요소 유지와 인권 침해 문제, 정치적 억압 등으로 몰락하여 노태우 취임과 함께 종식되었다.
카타갈루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필리핀어) | Republikang Tagalog (타갈로그 공화국) |
공식 명칭 (스페인어) | República Tagala (타갈어 공화국) |
다른 명칭 | Katagalugan (카타갈루간) |
존속 기간 | 1897년 - 1899년 |
정치 | |
정부 형태 | 혁명 정부 |
수도 | 비악나바탁 (1897년); 말로스 (1899년) |
국가 원수 | 최고 의회 의장 |
주요 지도자 | 안드레스 보니파시오 (1897년), 에밀리오 아기날도 (1899년) |
주요 정당 | 카티푸난 |
역사 | |
주요 사건 | 필리핀 혁명 |
건립 | 1897년 |
해체 | 1899년 |
통화 | |
통화 | 필리핀 페소 |
기타 | |
현재 상태 | 소멸됨 |
2. 어원
''타갈로그(Tagalog)''라는 용어는 필리핀의 민족, 언어 집단과 그들의 언어를 모두 지칭한다. ''카타갈루간(Katagalugan)''은 루손(Luzon) 섬에 있는 타갈로그어 사용 지역을 가리키는 말이다.
하지만, 비밀 결사 ''카티푸난(Katipunan)''은 이 용어의 의미를 필리핀 제도의 모든 원주민에게로 확장했다. 그들은 ''타갈로그(Tagalog)''가 이 제도에서 태어난 모든 사람들을 가리키며, 따라서 비사야인, 일로카노인, 팜팡가인 등도 모두 타갈로그인이라고 설명했다.[1][2]
혁명가 카를로스 론퀼로는 ''타갈로그(Tagalog)''가 강가에 정착하기를 선호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타가일로그(tagailog)'''에서 유래했다고 썼다.[1] 이러한 점에서 ''카타갈루간(Katagalugan)''은 "타갈로그 민족"으로 번역될 수 있다.[1]
안드레스 보니파시오는 ''카티푸난''의 창립 멤버이자 최고 지도자로서, 필리핀 국가를 위해 ''카타갈루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도록 장려했다. 당시 "필리피노(Filipino)"는 섬에서 태어난 스페인 사람들에게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보니파시오와 그의 동료들은 "필리피노"와 "필리피나스(Filipinas)"라는 용어를 피함으로써 국가 정체성을 형성하고자 했다.
2. 1. 카타갈루간(Katagalugan)의 의미
''타갈로그(Tagalog)''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필리핀의 민족언어 집단과 그들의 언어를 가리킨다. ''카타갈루간(Katagalugan)''은 필리핀 제도 루손(Luzon) 섬의 타갈로그어 사용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1][2]그러나 비밀 결사 ''카티푸난(Katipunan)''은 ''카타갈루간(Katagalugan)''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필리핀 제도의 모든 원주민으로 확장했다. 카티푸난 교재에서는 ''타갈로그(Tagalog)''의 사용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1][2]
원문 | 현대 마닐라 타갈로그어 번역 | 한국어 번역 |
---|---|---|
Sa salitáng tagalog katutura’y ang lahát nang tumubo sa Sangkapuluáng itó; sa makatuid, 비사야 man, 일로카노 man, 팜팡가 man, etc., ay tagalog din. | Ang salitang Tagalog ay tumutukoy sa lahat ng ipinanganak sa kapuluang ito; samakatuwid, Bisaya man, Ilokano man, Kapampangan man, etc. ay Tagalog din. | 타갈로그(Tagalog)라는 단어는 이 제도에서 태어난 모든 사람들을 가리킨다. 따라서 비사야인, 일로카노인, 팜팡가인 등도 타갈로그인이다. |
혁명가 카를로스 론퀼로(Carlos Ronquillo)는 자신의 회고록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1]
원문 | 현대 마닐라 타갈로그어 번역 | 한국어 번역 |
---|---|---|
'Ang tagalog o lalong malinaw, ang tawag na "tagalog" ay waláng ibáng kahulugán kundi ‘tagailog’ na sa tuwirang paghuhulo ay taong maibigang manirá sa tabíng ilog, bagay na di maikakaila na siyáng talagáng hilig ng tanang anák ng Pilipinas, saa’t saán mang pulo at bayan.'' | 'Ang Tagalog o lalong malinaw, ang tawag na "Tagalog" ay walang ibang kahulugan kundi taga-ilog na sa tuwirang pinanggalingan ay taong mahilig tumira sa tabing ilog, bagay na di maitatanggi na siyang talagang hilig ng lahat ng anak ng Pilipinas, saan mang pulo (o isla) at bayan.'' | 타갈로그(Tagalog) 또는 더 정확히 말하면 "타갈로그"라는 이름은 강가에 정착하기를 선호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타가일로그(tagailog) 외에는 다른 의미가 없다. 이것은 필리핀의 모든 자녀들이 어떤 섬과 마을에 있든 부인할 수 없는 특징이다. |
이러한 점에서 ''카타갈루간(Katagalugan)''은 "타갈로그 민족"으로 번역될 수 있다.[1]
안드레스 보니파시오(Andrés Bonifacio)는 ''카티푸난(Katipunan)''의 창립 멤버이자 후에 최고 지도자(Supremo)가 되어 필리핀 국가를 위해 ''카타갈루간(Katagaluga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장려했다. 당시 "필리피노(Filipino)"라는 용어는 섬에서 태어난 스페인 사람들에게만 사용되었다. 보니파시오와 그의 동료들은 식민지적 뿌리를 가진 "필리피노"와 "필리피나스(Filipinas)"를 피함으로서 "국가 정체성을 형성하려고 했다".
2. 2. 보니파시오의 카타갈루간
1896년 8월 말, 카티푸난 회원들은 칼루칸에 모여 봉기를 시작하기로 결정했다. 이 사건은 나중에 "발린타왁의 함성" 또는 "푸가드 라윈의 함성"으로 불렸다. (정확한 위치와 날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함성이 일어난 다음 날, 카티푸난 최고 의회는 선거를 치렀다.직책 | 이름 |
---|---|
최고 대통령 (Kataas-taasang Pangulo, Presidente Supremo) | 안드레스 보니파시오 |
전쟁 장관 | 테오도로 플라타 |
국무 장관 | 에밀리오 하신토 |
내무 장관 | 아게도 델 로사리오 |
사법 장관 | 브리시오 판타스 |
재무 장관 | 엔리케 파체코 |
위 사실은 카티푸난 회원 피오 발렌수엘라가 감금 중에 스페인 당국에 누설했다. 테오도로 아고닐로는 다음과 같이 썼다.
밀라그로스 C. 게레로 등은 보니파시오를 혁명군의 "사실상" 총사령관으로 묘사했다.
보니파시오의 필리핀 국가 개념에 대한 한 가지 이름은 남아 있는 카티푸난 문서에 나타난다. ''Haring Bayang Katagalugan''("타갈로그 민족의 주권 국가" 또는 "타갈로그 주권 국가") - 때로는 ''Haring Bayan''("주권 국가")으로 축약된다. ''Bayan''은 "국가" 또는 "국민"으로 번역될 수 있다. ''haring bayan''(때로는 ''haringbayan'')이라는 용어는 보니파시오의 신조어로, 라틴어 ''res publica''(공공의 것 또는 공화제)에서 유래한 서구의 "공화국" 개념을 모국어로 표현하고 적용하려는 시도였다. ''haring bayan''은 "주권 국가"와 "주권 국민" 모두를 의미하므로, 주권이 국가/국민에 의해 행사되는 그의 개념은 본질적으로 민주적이고 공화적이였다.
따라서 보니파시오는 1897년 2월에 발행된 스페인 정기 간행물 ''라 일루스트라시온 에스파뇰라 이 아메리카나''(Andrés Bonifacio - Titulado "Presidente" de la República Tagala)에서 "타갈로그 공화국"의 대통령으로 명명되었다. 보니파시오 정부의 또 다른 이름은 다음 달 동일한 정기 간행물에 게재된 반란군 인장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Repúblika ng Katagalugan''(또 다른 형태의 "타갈로그 공화국")이었다.
에밀리오 하신토에게 보낸 보니파시오의 공식 서한과 한 장의 임명장은 보니파시오의 다양한 직함과 명칭을 다음과 같이 보여준다.
- 최고 의회 의장
- 최고 대통령
- 카타갈루간/타갈로그 주권 국가 대통령
- 주권 국가 대통령, 카티푸난 창립자, 혁명 주창자
- 최고 대통령실, 혁명 정부
3.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의 타갈로그 공화국 (1896-1897)
안드레스 보니파시오는 1896년부터 1897년까지 존속했던 타갈로그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었다. 이 국가는 '하링 바양 카타갈루간(Haring Bayang Katagalugan, 타갈로그 민족 주권 국가)'으로도 불렸으며, '바얀(Bayan)'은 '국가' 또는 '국민'을 의미한다. '하링 바얀(haring bayan)'이라는 용어는 보니파시오가 만든 신조어로, 서구의 '공화제' 개념을 필리핀 고유어로 표현한 것이다. 이는 주권이 국민에게 있다는 민주적이고 공화적인 개념을 담고 있다.
보니파시오는 스페인 정기 간행물 ''라 일루스트라시온 에스파뇰라 이 아메리카나''에서 "타갈로그 공화국"의 대통령으로 불렸으며, 그의 정부는 ''Repúblika ng Katagalugan''으로도 알려졌다. 그는 '최고 의회 의장', '최고 대통령', '카타갈루간 대통령', '주권 국가 대통령, 카티푸난 창립자, 혁명 주창자' 등 다양한 직함을 사용했다.
3. 1. 카티푸난 혁명 정부
1896년 8월 말, 카티푸난 회원들은 칼루칸에 모여 봉기를 시작하기로 결정했다. 이 사건은 나중에 "발린타왁의 함성" 또는 "푸가드 라윈의 함성"으로 불렸는데, 정확한 위치와 날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봉기 직후, 카티푸난 최고 의회는 다음과 같이 선거를 치렀다.직책 | 이름 |
---|---|
최고 대통령 (Kataas-taasang Pangulo, Presidente Supremo) | 안드레스 보니파시오 |
전쟁 장관 | 테오도로 플라타 |
국무 장관 | 에밀리오 하신토 |
내무 장관 | 아게도 델 로사리오 |
사법 장관 | 브리시오 판타스 |
재무 장관 | 엔리케 파체코 |
피오 발렌수엘라는 감금 중에 위 사실을 스페인 당국에 누설했다. 테오도로 아고닐로는 혁명 발발 직전에 보니파시오가 카티푸난을 자신의 신뢰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내각'을 중심으로 한 정부로 조직했다고 썼다.[9]
밀라그로스 C. 게레로 등은 보니파시오를 혁명군의 "사실상" 총사령관으로 묘사했다. 이들은 보니파시오가 총사령관으로서 군사 전략 계획 및 명령, 선언 및 법령 준비를 감독하고, 국가에 대한 범죄를 심판했으며, 정치적 분쟁을 중재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보니파시오는 장군들을 지휘하고 전선에 병력을 배치했으며, 그의 지휘 책임에 따라 임기 동안 전국에서 일어난 모든 승리와 패배는 그에게 귀속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보니파시오가 구상한 필리핀 국가의 명칭은 카티푸난 문서에 남아있는 ''Haring Bayang Katagalugan''("타갈로그 민족의 주권 국가" 또는 "타갈로그 주권 국가")이다. ''Bayan''은 "국가" 또는 "국민"으로 번역될 수 있다. ''haring bayan''(때로는 ''haringbayan'')은 보니파시오가 만든 용어로, 라틴어 ''res publica''(공공의 것 또는 공화제)에서 유래한 서구의 "공화국" 개념을 모국어로 표현하고 적용하려는 시도였다. ''haring bayan''은 "주권 국가"와 "주권 국민" 모두를 의미하므로, 주권이 국가/국민에 의해 행사되는 그의 개념은 본질적으로 민주적이고 공화적이였다.
1897년 2월, 스페인 정기 간행물 ''라 일루스트라시온 에스파뇰라 이 아메리카나''는 보니파시오를 "타갈로그 공화국"의 대통령(Andrés Bonifacio - Titulado "Presidente" de la República Tagala)으로 칭했다. 다음 달 같은 간행물에 게재된 반란군 인장 그림에는 보니파시오 정부의 또 다른 이름인 ''Repúblika ng Katagalugan''(또 다른 형태의 "타갈로그 공화국")이 나타나 있다.
에밀리오 하신토에게 보낸 보니파시오의 공식 서한과 임명장에는 그의 다양한 직함과 명칭이 다음과 같이 나타나 있다.
- 최고 의회 의장
- 최고 대통령
- 카타갈루간/타갈로그 주권 국가 대통령
- 주권 국가 대통령, 카티푸난 창립자, 혁명 주창자
- 최고 대통령실, 혁명 정부
1897년 카비테의 이무스 회의에서 권력 투쟁이 발생했고, 테헤로스 협약에서 에밀리오 아기날도를 대통령으로 하는 새로운 반란군 정부가 형성되면서 혁명의 지휘권이 바뀌었다. 보니파시오는 내무부 장관으로 선출되었으나, 다니엘 티로나가 그의 선출에 이의를 제기하자 새 정부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는 테헤로스 의정서, 나익 군사 협정 및 보니파시오의 재판 및 처형으로 이어졌다.
3. 2. 테헤로스 협약과 보니파시오의 죽음
1896년 카비테의 이무스 회의에서 권력 투쟁이 발생했고, 테헤로스 협약에서 에밀리오 아기날도를 대통령으로 하는 새로운 반란군 정부가 구성되면서 혁명의 지휘권에 변화가 생겼다. 안드레스 보니파시오는 내무부 장관으로 선출되었으나, 다니엘 티로나가 그의 선출 자격에 이의를 제기하자 새 정부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는 테헤로스 의정서, 나익 군사 협정과 보니파시오의 재판 및 처형으로 이어졌다.[9]4. 마카리오 사카이의 타갈로그 공화국 (1902-1906)
1901년 에밀리오 아기날도와 그의 부하들이 미군에 체포된 후, 카티푸난의 베테랑 회원인 마카리오 사카이 장군은 1902년 아기날도의 공화국과는 대조적으로 보니파시오의 카티푸난 정부의 연장선상에서 타갈로그 공화국(Republika ng Katagalugantl)을 재건했다.[10] ''Republika ng Kapuluang Katagalugan''에서 ''kapuluan''은 "필리핀 제도" 또는 "Islas Filipinas"와 같이 전체 필리핀 군도를 가리킨다. 사카이는 리살 주 모롱 산악 지대를 근거지로 삼았으며, 프란시스코 카레온을 부통령으로 하여 대통령직을 수행했다.[11] 1904년 4월, 사카이는 미국 식민 정부가 독립을 지지하는 것을 범죄로 간주하던 시기에 필리핀인의 자결권을 선언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11]
사카이의 타갈로그 공화국은 1906년에 종식되었다.
4. 1. 타갈로그 공화국의 재건
1901년 에밀리오 아기날도와 그의 부하들이 미군에 체포된 후, 베테랑 카티푸난 회원인 마카리오 사카이 장군은 1902년 아기날도의 공화국과는 대조적으로 보니파시오의 카티푸난 정부의 연장선상에서 타갈로그 공화국(Republika ng Katagalugantl)을 재건했다.[10] 여기서 ''kapuluan''은 "필리핀 제도" 또는 "Islas Filipinas"와 같이 전체 필리핀 군도를 가리킨다. 사카이는 모롱(현재 리살 주) 산악 지대를 근거지로 삼았으며, 프란시스코 카레온을 부통령으로 하여 대통령직을 수행했다.[11] 1904년 4월, 사카이는 미국 식민 정부가 독립을 지지하는 것을 범죄로 간주하던 시기에 필리핀인의 자결권을 선언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11]직책 | 이름 |
---|---|
최고 대통령 | 마카리오 사카이 |
부통령 | 프란시스코 카레온 |
전쟁 장관 | 도밍고 모리오네스 |
정부 장관 | 알레한드로 산티아고 |
국무 장관 | 니콜라스 리베라 |
이 공화국은 1906년 사카이와 그의 주요 추종자들이 사면을 약속받고 평화로운 "자유의 관문"으로서의 필리핀 의회의 필요성을 확신하여 7월 14일 미국 당국에 항복하면서 종식되었다.[11] 그러나 그들은 며칠 후 카비테에서 열린 환영회에서 체포되어 마닐라의 구 빌리비드 교도소에 수감되었고, 그 이듬해 산적죄로 처형되었다.[11] 일부 생존자들은 일본으로 탈출하여 망명 중이던 카티푸난 베테랑 아르테미오 리카르테와 합류했고, 그는 나중에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괴뢰국가인 제2 필리핀 공화국을 지원하기 위해 돌아왔다.[12][13]
4. 2. 사카이의 항복과 처형
마카리오 사카이와 그의 주요 추종자들은 1906년 사면을 약속받고 필리핀 의회가 평화로운 "자유의 관문"이 될 것이라 믿으며 7월 14일 미국 당국에 항복했다. 그러나 며칠 후 카비테에서 열린 환영회에서 체포되어 마닐라의 구 빌리비드 교도소에 수감되었고, 그 이듬해 산적죄로 처형되었다.[11] 일부 생존자들은 일본으로 탈출하여 망명 중이던 카티푸난 베테랑 아르테미오 리카르테와 합류했고, 그는 나중에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괴뢰국가인 제2 필리핀 공화국을 지원하기 위해 돌아왔다.[12][13]참조
[1]
논문
Andrés Bonifacio and the 1896 Revolution
http://ncca.gov.ph/a[...]
National Commission for Culture and the Arts
2016-07-20
[2]
서적
Reform and Revolution
https://books.google[...]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3]
서적
[4]
서적
Philippine History and Government
National Bookstore Printing Press
[5]
서적
[6]
서적
https://books.google[...]
[7]
서적
https://books.google[...]
[8]
뉴스
Bonifacio for (first) president
http://blogs.gmanews[...]
GMA News
2007-11-27
[9]
서적
[10]
서적
General Macario L. Sakay: Was He a Bandit or a Patriot?
J. B. Feliciano and Sons Printers-Publishers
[11]
웹사이트
Macario Sakay: Tulisán or Patriot?
http://www.bibingka.[...]
Philippine History Group of Los Angeles
1995-08-12
[12]
논문
The Filipino Junta in Hong Kong, 1898–1903: history of a revolutionary organization
https://archive.org/[...]
Naval Postgraduate School
1974-04
[13]
웹사이트
G.R. No. L-2189: The United States, plaintiff-appellee, vs. Francisco Bautista, et al., defendants-appellants.
https://lawphil.net/[...]
The Lawphil Project
1906-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