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로카노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로카노족은 필리핀 루손섬 북부에 거주하는 오스트로네시아계 민족으로, 일로카노어를 사용하며 필리핀에서 세 번째로 큰 언어-민족 집단이다. "일로카노"라는 명칭은 "만에서 온 사람들"을 의미하며, 그들의 언어와 문화는 전통적인 신화, 민속, 문학을 포함한다. 일로카노 문학은 서사시 "비아그 니 람-앙"과 단다니우, 파그사사오, 부카네간, 부르부르티아와 같은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출판물이 발전했다. 로마 가톨릭교를 주로 믿으며, 필리핀 독립 교회와 전통적인 정령 신앙도 존재한다. 일로카노족은 필리핀 혁명과 미국 식민지 시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대 필리핀 정치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노카노족 -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는 필리핀 독립 교회의 창립자이자 초대 최고 주교로서, 스페인 식민 통치에 저항한 혁명가이자 필리핀 독립 교회를 설립하여 로마 가톨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민족주의적 종교 운동을 이끌었다.
  • 일노카노족 - 글로리아 로메로
    필리핀의 배우 글리아 로메로는 1949년 데뷔하여 70년이 넘는 연기 경력을 통해 필리핀 영화계의 상징적인 인물로 자리매김했으며, 코카콜라 광고 모델 활동과 《달라강 일로카나》로 FAMAS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는 등 다양한 영화와 TV 프로그램에서 활약하며 여러 차례 수상 및 공로상을 받았다.
  • 필리핀의 민족 - 아티족
    아티족은 필리핀 군도, 특히 파나이섬과 보라카이섬에 거주하는 네그리토계 원주민으로, 비사야족보다 먼저 정착하여 이나티어를 사용하며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수렵 채집 생활을 했으나, 현재는 농업 등에 종사하며 아티-아티한 축제를 통해 문화를 기념하고, 토지 소유권 문제와 차별 속에서 필리핀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다.
  • 필리핀의 민족 - 네그리토
    네그리토는 동남아시아와 안다만 제도에 거주하며 검은 피부와 작은 키를 공유하는 여러 민족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로, 유전적으로는 동아시아계와 파푸아계의 경계에 위치한 여러 분리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렵채집 생활을 해왔으나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로카노족
기본 정보
언어일로카노어
타갈로그어
필리핀 영어
종교주로 로마 가톨릭교회
소수 아글리파얀
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
개신교
하나님의 교회 국제 협회
여호와의 증인
이슬람교
불교
관련 민족잇넥족
발랑가오족
팡가시난족
이발로이족
캉카나에이족
이바낙족
이타웨스족
타갈로그족
오스트로네시아인
1900년경 일로코스 수르 산타카탈리나 출신 일로카노 여성
1900년경 일로코스 수르 산타카탈리나 출신 일로카노 여성
인구
총 인구 (2020년)8,746,169명
주요 거주 지역일로코스 지방
코르딜레라 행정구
카가얀밸리 지방
중앙루손 지방
메트로 마닐라
속사르젠 일부 지역
하와이주, 캘리포니아주
전 세계 필리핀인

2. 어원

일로카노(ilokano)는 ‘일로코’(iloko, yloco의 원시적 형태)에서 기원하며, I-는 '~의'를 뜻하고 look은 만(bay)을 뜻하는 활용어이며, 일로카노어에서 ‘만에서’를 뜻하는 말이다.

19세기 중반의 일로카노 상인


스페인 사람들이 도착하기 전, 일로카노족은 자신들을 "사모이"(“Samtoy,”)라고 불렀는데, 이는 “우리 언어”를 뜻하는 일로카노어 단어인 "sao mi ditoy"의 축약형이다.[1]

"일로카노"(Ilocano, "일로카노"라고도 표기)라는 용어는 "일로코"(Ilóco) 또는 "일로코"(Ilóko)의 스페인어화된 복수형이며, 고어 스페인어 표기로는 "Ylóco"이다. 이는 접두사 ''i-'' ( "~의" 또는 "~에서"를 의미)와 일로카노어의 ''luék'', ''luëk'', 또는 ''loóc'' ( "바다" 또는 "만"을 의미)의 조합에서 파생되었으며, "만에서 온"으로 번역된다. 이는 초기 정착지가 해안 지역과 만 근처에 위치했던 일로카노족의 지리적 기원을 반영한다. 따라서 "일로카노"는 만에서 온 사람들을 의미한다.[2]

또 다른 어원적 설명은 이 용어를 평야, 계곡 또는 땅의 함몰을 의미하는 ''lúku'' 또는 ''lúkung''과 연관시킨다. 이는 "일로카노"라는 용어가 원래 "저지대의 사람들"을 의미하며, ''gúlot'' 또는 ''gúlod'' (산)과 ''luék'' (바다 또는 만) 사이에 위치한 지역의 거주자를 지칭했음을 시사한다.[3]

"Ylocano" 또는 "Ilocano"라는 이름은 원어인 "Ilúko"의 스페인어화된 버전이다. 이는 스페인어의 문법 구조를 따라 민족이나 집단을 나타내기 위해 접미사 ''-ano''를 추가하는데, "아메리카노"(Americano), "아프리카노"(Africano), "멕시카노"(Mexicano)와 같은 용어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적응은 식민주의자의 언어적 관례에 따라 일로카노족의 인종 또는 정체성을 나타낸다.[4]

스페인어가 지명에 미치는 영향 중 하나는 문법적 성의 도입이다. "일로카노"(Ilocano) 또는 "일로카노"(Ilokano)는 일반적으로 남성을 지칭하는 반면, "일로카나"(Ilocana) 또는 "일로카나"(Ilokana)는 여성을 지칭한다. 그러나 "일로카노"는 일반적으로 성 중립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두 성별의 개인에게 모두 적용될 수 있다.[5]

2. 1. 명칭의 유래

일로카노(ilokano)라는 말은 ‘일로코’(iloko, yloco의 원시적 형태)에서 기원하며, I-는 '~의'를 뜻하고 look은 만(bay)을 뜻하는 활용어이며, 일로카노어에서 ‘만에서’를 뜻하는 말이다.

스페인 사람들이 도착하기 전, 일로카노족은 자신들을 "사모이"(“Samtoy,”)라고 불렀는데, 이는 “우리 언어”를 뜻하는 일로카노어 단어인 "sao mi ditoy"의 축약형이다.[1]

"일로카노"(Ilocano, "일로카노"라고도 표기)라는 용어는 "일로코"(Ilóco) 또는 "일로코"(Ilóko)의 스페인어화된 복수형이며, 고어 스페인어 표기로는 "Ylóco"이다. 이는 접두사 ''i-'' ( "~의" 또는 "~에서"를 의미)와 일로카노어의 ''luék'', ''luëk'', 또는 ''loóc'' ( "바다" 또는 "만"을 의미)의 조합에서 파생되었으며, "만에서 온"으로 번역된다. 이는 초기 정착지가 해안 지역과 만 근처에 위치했던 일로카노족의 지리적 기원을 반영한다. 따라서 "일로카노"는 만에서 온 사람들을 의미한다.[2]

또 다른 어원적 설명은 이 용어를 평야, 계곡 또는 땅의 함몰을 의미하는 ''lúku'' 또는 ''lúkung''과 연관시킨다. 이는 "일로카노"라는 용어가 원래 "저지대의 사람들"을 의미하며, ''gúlot'' 또는 ''gúlod'' (산)과 ''luék'' (바다 또는 만) 사이에 위치한 지역의 거주자를 지칭했음을 시사한다.[3]

"Ylocano" 또는 "Ilocano"라는 이름은 원어인 "Ilúko"의 스페인어화된 버전이다. 이는 스페인어의 문법 구조를 따라 민족이나 집단을 나타내기 위해 접미사 ''-ano''를 추가하는데, "아메리카노"(Americano), "아프리카노"(Africano), "멕시카노"(Mexicano)와 같은 용어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적응은 식민주의자의 언어적 관례에 따라 일로카노족의 인종 또는 정체성을 나타낸다.[4]

스페인어가 지명에 미치는 영향 중 하나는 문법적 성의 도입이다. "일로카노"(Ilocano) 또는 "일로카노"(Ilokano)는 일반적으로 남성을 지칭하는 반면, "일로카나"(Ilocana) 또는 "일로카나"(Ilokana)는 여성을 지칭한다. 그러나 "일로카노"는 일반적으로 성 중립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두 성별의 개인에게 모두 적용될 수 있다.[5]

2. 2. 명칭의 변천

스페인 사람들이 도착하기 전, 일로카노족은 자신들을 "사모이"(“Samtoy”)라고 불렀는데, 이는 “우리 언어”를 뜻하는 일로카노어 단어인 "sao mi ditoy"의 축약형이다.[1]

"일로카노"(Ilocano, "일로카노"라고도 표기)라는 용어는 "일로코"(Ilóco) 또는 "일로코"(Ilóko)의 스페인어화된 복수형이며, 고어 스페인어 표기로는 "Ylóco"이다.[1] 이는 접두사 ''i-'' ("의" 또는 "에서"를 의미)와 일로카노어의 ''luék'', ''luëk'', 또는 ''loóc'' ("바다" 또는 "만"을 의미)의 조합에서 파생되었으며, "만에서 온"으로 번역된다.[1] 이는 초기 정착지가 해안 지역과 만 근처에 위치했던 일로카노족의 지리적 기원을 반영한다.[1] 따라서 "일로카노"는 만에서 온 사람들을 의미한다.[1]

또 다른 어원적 설명은 이 용어를 평야, 계곡 또는 땅의 함몰을 의미하는 ''lúku'' 또는 ''lúkung''과 연관시킨다.[1] 이는 "일로카노"라는 용어가 원래 "저지대의 사람들"을 의미하며, ''gúlot'' 또는 ''gúlod'' (산)과 ''luék'' (바다 또는 만) 사이에 위치한 지역의 거주자를 지칭했음을 시사한다.[1]

"Ylocano" 또는 "Ilocano"라는 이름은 원어인 "Ilúko"의 스페인어화된 버전이다.[1] 이는 스페인어의 문법 구조를 따라 민족이나 집단을 나타내기 위해 접미사 ''-ano''를 추가하는데, "아메리카노"(Americano), "아프리카노"(Africano), "멕시카노"(Mexicano)와 같은 용어에서 볼 수 있다.[1] 이러한 적응은 식민주의자의 언어적 관례에 따라 일로카노족의 인종 또는 정체성을 나타낸다.[1]

스페인어가 지명에 미치는 영향 중 하나는 문법적 성의 도입이다.[1] "일로카노"(Ilocano) 또는 "일로카노"(Ilokano)는 일반적으로 남성을 지칭하는 반면, "일로카나"(Ilocana) 또는 "일로카나"(Ilokana)는 여성을 지칭한다.[1] 그러나 "일로카노"는 일반적으로 성 중립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두 성별의 개인에게 모두 적용될 수 있다.[1]

3. 역사

일로칸디아는 일로카노족의 전통적인 거주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일로카노족은 오스트로네시아인의 일원으로, 루손섬 북부에서 카가얀밸리 지방과 루손 중부로 흩어져 살고 있다.

'''칼레 크리솔로고''' 비간 시의 스페인 식민지 시대 도시


1571년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마닐라필리핀의 수도로 지정한 후, 스페인은 북부 루손 지역으로 진출했다. 1572년 레가스피의 손자 후안 데 살세도는 팡가시난을 거쳐 일로코스 지역에 도착하여 원주민들을 "일로카노"라고 칭했다.[14] 스페인인들은 원주민들에게 공물을 요구하고 기독교로 개종시키려 했으나, 푸라오 등에서 저항에 부딪혔다. 살세도는 타구딘, 카오그, 나르바칸, 칸돈, 반타이, 시나이트 등을 거쳐 비간에 펠리페 2세의 아들 페르디난트 왕자를 기리는 "비야 페르난디나 데 비간"을 건설했다. 비간은 이후 스페인 통치의 중심지가 되었고, 살세도는 엔코미엔다를 통해 북부 루손을 지배했다.

1792년 프라이 안드레스 카로는 일로코스 지방의 언어 상황을 기록하며, 스페인과의 상호 작용으로 일로카노어가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고 주장했다.[14]

1660년 안드레스 말롱이 삼발레스 주민과 동맹을 맺고 스페인에 반기를 들었으나, 일로코스는 이에 동참하지 않았다. 말롱의 부하 페드로 구마포스는 일로코스를 침략했으나, 스페인-일로카노 연합군에 패배하고 비간에서 처형되었다.[18] 1661년 페드로 알마잔이 봉기했으나, 역시 스페인군에 의해 진압되었다.[19]

필리핀 혁명필리핀-미국 전쟁에서 마누엘 티니오 장군을 비롯한 일로카노 혁명가들은 필리핀 독립을 위해 싸웠다. 이들은 게릴라 전술을 활용하여 미국에 저항했지만, 1901년 결국 미국의 통제하에 놓였다.

1901년 이 지역은 미국의 식민 통치를 받았고, 1941년에는 일본의 점령을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5년, 일로카노족과 팡가시난족 게릴라를 포함한 미국과 필리핀 연방 연합군은 일본군으로부터 일로코스 지역을 해방시켰다.

필리핀 독립 이후, 엘피디오 키리노,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피델 라모스 등 일로코스 지역 출신 대통령이 배출되었다. 마르코스는 일로카노족의 팡가시난 이주 정책을 펼치고, 코르디예라 행정 구역을 만들어 일로카노족의 영향력을 확대했다.[29],[30]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치하 계엄령 시대에 일로카노족 역시 인권 침해의 희생자가 되었다.[31] 안토니오 L. 마부타스 대주교, 데이비드 부에노 등은 마르코스 독재에 저항했으며, 이들은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 기념관에서 순교자로 칭송받고 있다.[35]

3. 1. 선사 시대

오스트로네시아인의 일원인 일로카노족은 루손섬 북부에 거주한다.[10] 이들은 말레이계 민족에 속하며, 수천 년 전 무역과 화물 운송을 위해 ''비라이'' 또는 ''빌로그''라 불리는 나무 배를 타고 필리핀 북부로 이주했다.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확산에 관한 주류 이론은 "대만 기원" 가설로, 신석기 시대 대만 이주가 현대 오스트로네시아인의 조상 출현으로 이어졌다고 본다.[11]

2021년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남중국 또는 대만에서 기원한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최소 두 차례의 뚜렷한 이주를 통해 필리핀에 도착했다. 첫 번째 이주는 약 10,000년에서 7,000년 전에 발생하여 코르디예라 센트랄 산맥 주변 거주 토착 집단의 조상을 형성했다. 이후 이주는 농업 관행과 함께 추가적인 오스트로네시아 집단을 유입시켜 기존 인구의 언어를 대체했다.[12]

선사 시대 일로카노족은 주변 자연 환경에 영혼이 깃들어 있다고 믿는 애니미즘 신앙을 가졌다. 이들의 신앙 체계에서 두드러진 신은 ''부니'', 창조주 ''파르수아'', 하늘의 주인 ''아포 랑깃''이었다. 그러나 다양한 일로카노 정착지가 존재했고, 이골로트, 타갈로그, 중국인 등 인접 집단의 영향을 받아 각 정착지마다 고유한 신과 여신을 가진 독특한 신앙 체계가 나타났다.[13]

일로카노족은 정착지를 타갈로그어 ''바랑가이''와 유사한 ''일리''라고 불렀으며, ''푸록''이라는 더 작은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사회는 계급 체제로, ''아그투라이'' 또는 ''아리''(추장)와 그 가족이 이끌었다. 추장의 지위는 힘, 부, 지혜를 바탕으로 세습되었으며, 장로 공동체가 통치를 보좌했다. 그 아래에는 무역을 통제하고 추장 지위에 오를 수 있는 부유한 ''바바크낭''이 있었다. 추장과 바바크낭 아래에는 소작농 ''카탈로난''인 ''카일리안스''가 있었고, 가장 아래에는 ''우빙''(하인)과 ''타가부''(노예)가 있어 심각한 사회적, 경제적 불이익을 겪었다.[99]

일로카노는 전통 농업에 종사하고 이골로트, 팡가시난, 타갈로그, 일본인, 중국인, 동남아시아 이웃들과 활발히 교역하는 항해 민족이었다. 이들은 금, 밀랍, 실크, 베틀로 짠 직물(이나벨), 쌀, 면화, 포도주, 철, 유리 구슬, 도자기, 돌과 흙 항아리(''번네이'') 등 다양한 상품을 교환했다.

3. 2. 사회 구조 (식민지 이전)

일로카노족은 마을을 ''일리'', 더 작은 집단을 ''푸록''이라 불렀다. ''일리''의 주민들은 지위, 혈통, 지역 사회에 대한 기여에 따라 역할을 부여받는 계급 사회로 조직되었다.[97]

이 계급 시스템의 최상위는 ''추장''을 의미하는 ''아구투레이'' 또는 ''아리''와 그의 가족이었다.[98] ''아리''는 힘, 부, 지혜로 그 지위를 얻었다. ''아리''는 지역 사회를 통치하고, 정의를 집행하며, 필요할 경우 전쟁에서 백성을 이끌었기 때문에 ''일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지도자적 지위는 일반적으로 세습되었고 남자 상속인에게로 넘어갔으나, 남자 상속인이 없는 경우 강력한 여성이 그 지위를 상속받을 수 있었다. 상속인이 공동체에 의해 약하거나 부적합하다고 여겨지면, ''아리'' 가족은 지위를 잃고 새로운 통치 가문이 권력을 잡을 수도 있었다. ''아리''는 ''일리''의 정의 집행과 통치를 돕는 ''아마엔'' 또는 ''팡라카옌 일리''로 알려진 장로 회의와 함께 통치했다.[99]

''아리'' 아래에는 부유한 계급인 ''바바크낭''이 있었다. 이 계급의 일부 구성원은 부와 영향력으로 인해 ''아리''의 역할을 맡을 수도 있었다. ''바바크낭''은 중국인, 일본인, 이고로트족, 타갈로그족을 포함한 다른 집단과 무역을 했다. 그들이 거래한 상품에는 쌀, 면, 금, 왁스, 철, 유리 구슬, 꿀, ''부르나이''라고 불리는 석기 항아리가 포함되었다. 이 무역 네트워크는 ''바바크낭''이 부를 유지하고 늘리는 데 도움을 주었고, ''일리''에서의 지속적인 영향력을 보장했다.

''바바크낭'' 아래에는 ''아리''를 지원하는 ''카일리안'' 계급이 있었다. ''카일리안''은 항해, 밭에서 일하기, 지역 사회 축제 준비와 같은 일들을 ''아리''를 도왔다. 그들은 봉사에 대한 대가로 ''아리''로부터 직접 선물을 받았다. 이러한 관계는 계급 간의 상호 작용과 상호 이익을 증진시켰다.[100]

사회 계층의 더 아래에는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소작농인 ''카탈로난''이 있었다. 이 농부들은 벼농사를 지어 쌀과 토란과 같은 작물을 재배하는 동시에 면을 위해 건조 농업을 실천했다. 그들은 무역과 생존에 필요한 농산물을 제공했기 때문에 ''일리''의 경제적 안정에 필수적이었다.

식민지 이전 일로카노 사회의 최하층에는 ''우빙''(하인)이 있었고, 그 아래에는 ''타가부''(노예, ''아디펜''이라고도 함)가 있었다. ''타가부''는 해결되지 않은 빚, ''바바크낭'' 또는 ''아리'' 구성원에 대한 모욕, 전쟁 포로, 또는 조상의 빚을 상속받아 노예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노예 제도는 항상 영구적인 것은 아니었지만, 사회 계층의 가장 낮은 고리를 나타냈으며, 상향 이동의 기회가 제한적이었다.[101]

3. 3. 스페인 식민 시대

1571년,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마닐라필리핀의 수도로 지정한 후, 스페인은 북부 루손 지역으로 진출했다. 1572년, 레가스피의 손자 후안 데 살세도는 팡가시난을 거쳐 일로코스 지역에 도달하여 원주민들을 "일로카노"라고 칭했다.[14]

스페인인들은 원주민들에게 공물을 요구하고 기독교로 개종시키려 했으나, 푸라오 등에서 저항에 부딪혔다. 살세도는 타구딘, 카오그, 나르바칸, 칸돈, 반타이, 시나이트 등을 거쳐 비간에 펠리페 2세의 아들 페르디난트 왕자를 기리는 "비야 페르난디나 데 비간"을 건설했다. 비간은 이후 스페인 통치의 중심지가 되었고, 살세도는 엔코미엔다를 통해 북부 루손을 지배했다.

1792년, 프라이 안드레스 카로는 일로코스 지방의 언어 상황에 대해 기록하며, 스페인과의 상호 작용으로 일로카노어가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고 주장했다.[14]

1660년, 산 카를로스(당시 비날라통간)의 지도자 안드레스 말롱은 삼발레스 주민들과 동맹을 맺고 스페인에 반기를 들었으나, 일로코스는 이에 동참하지 않았다. 말롱의 부하 페드로 구마포스는 일로코스를 침략했으나, 스페인-일로카노 연합군에 패배하고 비간에서 처형되었다.[18] 1661년, 일로코스 노르테 주 라오아그의 산 니콜라스 출신 페드로 알마잔이 말롱 반란에 영향을 받아 봉기했으나, 역시 스페인군에 의해 진압되었다.[19]

3. 3. 1. 주요 반란

스페인 제국에 대한 일로카노족의 주요 반란은 다음과 같다:

  • '''말롱 반란 (1660-1661)''': 산 카를로스(당시 비날라통간)의 지도자 안드레스 말롱은 삼발레스 주민들과 동맹을 맺고 스페인 통치에 반기를 들었다. 말롱은 스스로 팡가시난의 왕으로 즉위하고 일로코스 지방, 팜팡가, 카가얀 계곡의 족장들에게 자신을 왕으로 인정하고 스페인 사람들을 죽이라고 요구했다.[15] 그러나 비간, 타구딘 등 스페인의 주요 거점이었던 일로코스는 이에 응하지 않았다. 말롱은 삼발레스 족장 돈 페드로 구마포스를 보내 일로코스와 카가얀을 침략하게 했으나, 스페인-일로카노 연합군에 패배하고 비간에서 처형당했다.[18]

  • '''알마잔 반란 (1661년 1월)''': 일로코스 노르테 주 라오아그의 산 니콜라스 출신의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지도자 페드로 알마잔은 팡가시난에서 일어난 말롱 반란에 영향을 받아 스페인에 대항하여 봉기했다.[19] 알마잔은 스스로 "일로코스의 왕"으로 칭하고, 라오아그 대성당의 마리아 왕관을 권위의 상징으로 사용하며 일로카노 사람들의 지지를 얻었다. 방기 출신의 후안 마그사놉과 라오아그의 고베르나도르실로인 가스파르 크리스토발을 포함한 일로카노 지도자들이 반란에 합류했다. 그러나 반군은 스페인군에 의해 진압되었고, 알마잔은 비간에서 처형되었다.

  • '''필리핀 혁명 (1896-1898) 및 필리핀-미국 전쟁 (1899-1901)''': 마누엘 티니오 장군을 비롯한 일로카노 혁명가들은 필리핀 독립을 위한 투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티니오 장군은 팡가시난, 일로코스 노르테, 일로코스 수르, 아브라, 라 유니온 등 북부 루손의 넓은 지역을 관할하며 스페인군과 미군에 맞서 싸웠다.[26] 블라스 비야모르와 후안 비야모르 형제, 에스타니슬라오 레예스 등도 일로카노 저항군을 이끌었다. 1898년 3월 25일 돈 이사벨로 아바야가 이끄는 일로카노 카티푸네로 부대는 칸돈 마을을 공격하여 스페인군으로부터 수도원과 마을 중심부를 점령했다("칸돈의 외침").[27] 1898년 8월에는 에스타니슬라오 레예스 휘하의 일로카노족 전사들이 비간 전투에서 승리하여 스페인군으로부터 일로코스 수르의 비간 마을을 방어했다.[28] 일로카노족은 게릴라 전술을 활용하여 미국에 저항했지만, 1901년 결국 미국의 통제하에 놓였다.

3. 4. 필리핀 혁명

안드레스 말롱은 1660년 당시 비날라통간으로 알려진 팡가시난 주 산 카를로스의 지도자였으며, 삼발레스 주민들과 동맹을 맺었다. 이들은 스페인 식민 통치자들을 몰아내고 스페인에 협력하는 자들을 처단하려 했다. 말롱은 팡가시난에서 비기독교 공동체의 식민화를 돕는 일을 했었지만, 더 많은 영토를 정복하면서 수적으로 열세인 스페인 군대를 이길 수 있다고 판단했다.[15]

말롱은 삼발레스 동맹군과 함께 스스로 팡가시난의 왕으로 즉위하고 일로코스 지방, 팜팡가, 카가얀 계곡의 모든 족장들에게 편지를 보냈다. 그는 족장들에게 자신을 왕으로 인정하고 스페인 사람들을 모두 죽이라고 요구했다. 만약 그렇게 하지 않으면, 말롱은 그들을 침략하여 벌할 것이라고 경고했다.[15]

당시 일로코스는 스페인이 군인과 선교사를 투입하여 정기적으로 관리하던 지역이었다. 비간, 타구딘과 같은 마을은 스페인 ''엔코미엔다''에 의해 빠르게 정복되었고, 요새와 가톨릭 교회가 건설되어 일로카노 사람들을 스페인 제국에 복속시키려 했다. 스페인은 이고로트와의 금 거래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기 위해 서둘렀다.[16] 그들은 중국 및 일본 해적네덜란드, 영국과 같은 유럽 세력이 무역로를 빼앗는 것을 막으려 했다. 많은 일로카노 족장들은 스페인과의 비교적 최근 역사와 가톨릭 선교사의 영향력 때문에 안드레스 말롱의 제안을 거부했다.

말롱은 거부에 대한 응답으로 삼발레스 족장 돈 페드로 구마포스에게 6,000명의 병력을 주어 일로코스와 카가얀 지역을 침략하도록 보냈다. 구마포스와 그의 군대는 지역의 ''알칼데 시장''과 선교사들의 지휘 하에 1,500명의 스페인 충성 일로카노와 만났다. 삼발레스와 팡가시네 군대는 그들을 빠르게 격파하고 비간까지 진격하여 스페인 요새와 인근 마을을 약탈하고 불태웠다. 많은 스페인 선교사와 식민 당국이 일로코스에서 대피하거나 후퇴하자, 말롱은 스페인 군이 팡가시난에서 자신에게 진격하기 시작했으므로 구마포스에게 자신을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구마포스와 그의 군대가 나르바칸을 통해 남쪽으로 돌아가는 동안, 그들은 일로카노 마을을 약탈하여 보급품을 조달했다. 결국 나르바칸 사람들은 팅기안 동맹군의 도움을 받아 게릴라 전술로 대응했다.[17] 일로카노 사람들의 이러한 보복은 구마포스 군대에 큰 피해를 입혔다.

침략군은 남쪽으로 향하면서 산타 마리아, 산 에스테반, 산티아고, 칸돈의 해안 마을을 약탈하고 불태웠다. 그들이 산타 크루스에 접근했을 때, 구마포스는 팡가시난을 재정복하고 안드레스 말롱을 포획한 스페인 지휘의 군대와 마주쳤다. 말롱의 패배에도 불구하고 구마포스는 그의 군대를 이끌고 전투를 벌였다. 구마포스와 그의 군대는 두 번의 큰 전투 후 패배했다. 구마포스는 비간으로 보내져 교수형에 처해졌다.[18] 일로코스 지방은 1762년까지 스페인에 대한 또 다른 반란을 겪지 않았다.

일로카노 혁명가들은 필리핀 혁명에 크게 기여했으며, 특히 마누엘 티니오 장군의 지도력과 군사적 노력을 통해 일로카노 전투 기술과 무기 스타일을 활용했다. 그는 스페인군에 대한 북부 저항의 핵심 인물이었다. 그의 여단은 팡가시난, 일로코스 노르테, 일로코스 수르, 아브라, 라 유니온, 암부라얀, 레판토-본톡, 벵게트를 포함한 북부 루손의 서부 지역 전체를 주둔했다. 티니오 장군은 이 광대한 지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세 개의 군사 구역으로 나눴다.

마누엘 티니오 y 분독 장군


구역지휘관관할 지역
제1구역카시미로 티니오 중령라 유니온, 벵게트, 암부라얀
제2구역블라스 비야모르 중령남부 일로코스 수르 (타구딘에서 반타이까지), 아브라, 레판토-본톡
제3구역이리네오 데 구즈만 중령북부 일로코스 수르 (스토. 도밍고에서 시나잇까지)와 일로코스 노르테



비야모르 형제인 블라스와 후안은 특히 아브라에서 일로카노 저항을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스페인군에 대한 게릴라 전술은 주요 지역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했다. 일로코스 수르의 비간 출신인 에스타니슬라오 레예스는 이 지역에서 스페인 통제에 맞서 조직하고 방어하는 데 도움을 준 또 다른 중요한 지도자였다.[26] 티니오와 그의 장군들은 북부 루손의 어려운 지형을 이용하여 스페인군을 능가하기 위해 게릴라전에 의존했다. 군사 작전은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블라스 비야모르가 타구딘과 반타이와 같은 도시를 방어했던 일로코스 수르 지역에서 그랬다. 후안 비야모르는 아브라에서의 전략적 작전에 집중하여 이 지역에서 스페인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데 기여했다.

1898년 8월, 일로카노족은 라오아그, 일로코스 노르테를 포함한 여러 도시에서 스페인군을 몰아냈으며, 이는 혁명의 전환점을 보여주는 중요한 승리였다. 이를 통해 혁명가들은 남쪽으로 계속 진격하여 에밀리오 아기날도의 혁명 정부와 협력하는 임시 정부를 수립할 수 있었다.

한편,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 신부는 필리핀 혁명군의 군사 대리인으로 일로코스 노르테에서 별도의 작전을 이끌었다. 나중에 필리핀 독립 교회를 설립한 아글리파이 신부는 이 지역에서 지역 지원을 결집하고 군사 작전을 조직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의 지도력은 종교적일 뿐만 아니라 군사적이기도 하여, 그는 스페인군에 대한 여러 공격을 이끌면서 일로코스 노르테에서 스페인의 통제를 약화시키는 데 기여했다.

일로카노 해방 투사들이 마지막 카티푸네로라고 부르는 '''돈 이사벨로 아바야'''
]

"칸돈의 외침"은 필리핀 혁명의 두 번째 단계 동안 발생한 가장 초기의 봉기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1898년 3월 25일, 돈 이사벨로 아바야가 이끄는 일로카노 카티푸네로 부대는 칸돈 마을을 공격하여 스페인군으로부터 수도원과 마을 중심부를 성공적으로 점령했다.[27]

1898년 8월에 벌어진 "비간 전투"는 일로카노족이 이끈 가장 중요한 승리 중 하나이다. 에스타니슬라오 레예스 휘하의 일로카노족 전사들은 스페인군으로부터 일로코스 수르의 비간 마을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이 전투는 일로카노족이 외세 통제에 저항하려는 결의를 보여주는 데 매우 중요했다.[28]

1899년, 필리핀-미국 전쟁이 격화되면서 티니오와 그의 장군들이 이끄는 일로카노 혁명가들은 미국군에 저항하기 위해 게릴라 전술에 계속 의존했다. 산악 지형에 익숙한 일로카노족은 기습 공격과 매복을 감행하여 미국군이 이 지역을 통제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1901년까지, 이 지역은 결국 장기간의 저항 끝에 미국의 통제하에 놓이게 되었다. 그러나 마누엘 티니오 장군, 비야모르 형제, 에스타니슬라오 레예스의 지도하에 일로카노 혁명가들은 몇 달 동안 미국군을 지연시켜 나머지 국가의 혁명 노력을 위한 귀중한 시간을 벌었다. 일로카노 저항은 1901년 4월에 종식되었다.

3. 5. 미국 식민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필리핀 혁명에서 마누엘 티니오 장군을 비롯한 일로카노 혁명가들은 뛰어난 전투 기술과 무기를 활용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티니오 장군은 북부 저항군의 핵심 인물로서, 팡가시난과 일로코스 노르테, 일로코스 수르, 아브라, 라 유니온, 암부라얀, 레판토-본톡, 벵게트 등 4개의 주요 일로카노 주를 포함하는 북부 루손 서부 지역 전체를 관할했다. 그는 이 광대한 지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세 개의 군사 구역으로 나누었다.

  • 제1구역: 카시미로 티니오 중령 지휘 하에 라 유니온, 벵게트, 암부라얀 관할.
  • 제2구역: 블라스 비야모르 중령 지휘 하에 남부 일로코스 수르(타구딘에서 반타이까지), 아브라, 레판토-본톡 포함.
  • 제3구역: 이리네오 데 구즈만 중령 지휘 하에 북부 일로코스 수르(스토. 도밍고에서 시나잇까지)와 일로코스 노르테 포함.


블라스와 후안 비야모르 형제는 아브라에서 일로카노 저항을 이끌었으며, 게릴라 전술로 주요 지역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일로코스 수르 비간 출신의 에스타니슬라오 레예스는 이 지역에서 스페인 통제에 맞서 조직하고 방어하는 데 기여했다.[26] 티니오와 그의 장군들은 북부 루손의 지형을 이용, 게릴라전을 통해 스페인군을 압도했다. 특히 블라스 비야모르가 타구딘과 반타이를 방어했던 일로코스 수르 지역에서 군사 작전이 매우 효과적이었다. 후안 비야모르는 아브라에서의 전략적 작전을 통해 이 지역에서 스페인의 영향력을 약화시켰다.

1898년 8월, 일로카노족은 라오아그를 포함한 여러 도시에서 스페인군을 몰아내는 데 성공했으며, 이는 혁명의 전환점이 된 중요한 승리였다. 이를 통해 혁명가들은 남쪽으로 진격하여 에밀리오 아기날도의 혁명 정부와 협력하는 임시 정부를 수립할 수 있었다.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 신부는 필리핀 혁명군의 군사 대리인으로 일로코스 노르테에서 별도의 작전을 이끌었다. 필리핀 독립 교회를 설립한 아글리파이 신부는 이 지역에서 지역 지원을 결집하고 군사 작전을 조직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의 지도력은 종교적, 군사적으로, 스페인군에 대한 여러 공격을 이끌면서 일로코스 노르테에서 스페인의 통제를 약화시키는 데 기여했다.

"칸돈의 외침"은 필리핀 혁명의 두 번째 단계 동안 발생한 초기 봉기 중 하나로, 1898년 3월 25일 돈 이사벨로 아바야가 이끄는 일로카노 카티푸네로 부대가 칸돈 마을을 공격하여 스페인군으로부터 수도원과 마을 중심부를 점령했다.[27]

1898년 8월 "비간 전투"에서 에스타니슬라오 레예스 휘하의 일로카노족 전사들은 스페인군으로부터 일로코스 수르의 비간 마을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이 전투는 일로카노족이 외세 통제에 저항하려는 결의를 보여주는 데 중요했다.[28]

1899년, 필리핀-미국 전쟁이 격화되면서 티니오와 그의 장군들이 이끄는 일로카노 혁명가들은 미국군에 저항하기 위해 게릴라 전술을 계속 사용했다. 산악 지형에 익숙한 일로카노족은 기습 공격과 매복을 통해 미국군이 이 지역을 통제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1901년, 장기간의 저항 끝에 이 지역은 미국의 통제하에 놓이게 되었지만, 마누엘 티니오 장군, 비야모르 형제, 에스타니슬라오 레예스의 지도하에 일로카노 혁명가들은 몇 달 동안 미국군을 지연시켜 혁명 노력을 위한 시간을 벌었다. 일로카노 저항은 1901년 4월에 종식되었다.

1901년 이 지역은 미국의 식민 통치를 받았고, 1941년에는 일본의 점령을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5년, 일로카노족과 팡가시난족 게릴라를 포함한 미국과 필리핀 연방 연합군은 일본군으로부터 일로코스 지역을 해방시켰다.

3. 6. 현대사

1901년, 일로카노족은 미국의 식민 통치를 받았고, 1941년에는 일본의 점령을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5년, 일로카노족과 팡가시난족 게릴라를 포함한 미국과 필리핀 연방 연합군은 일본군으로부터 일로코스 지역을 해방시켰다.

3. 6. 1. 독립 이후

필리핀 공화국 역대 대통령 중 엘피디오 키리노,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피델 라모스 세 명이 일로코스 지역 출신이다. 마르코스는 1973년 팡가시난 주를 제3지역에서 제1지역으로 옮겨 일로코스 지역을 넓혔으며, 일로카노족의 팡가시난 이주 정책을 펼쳤다.[29] 또한 같은 해 아브라 주, 마운틴 주, 벵게트 주를 일로코스 지역에 포함시켜 코르디예라 행정 구역을 만들고 코르디예라족에 대한 일로카노족의 영향력을 확대했다.[30] 세 번째 "일로카노" 대통령으로 불리는 피델 V. 라모스는 팡가시난 출신이다.

3. 6. 2. 계엄령 시대

일로카노족은 1972년 9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치하 계엄령 시대에 발생한 인권 침해의 희생자이기도 했다. 이는 해당 지역이 마르코스 행정부를 지지한다는 대중의 인식과는 상반된 일이었다.[31] 착취 반대 농민 연대에 따르면, 일로코스 노르테의 빈타르, 두말네그, 솔소나, 마르코스, 피디그 등 여러 마을의 농부들이 고문을 받았으며,[31] 방구이의 농부 8명과 빈타르의 원주민 3명은 1984년에 강제로 실종되었다.[31]

마르코스의 권위주의 통치에 비판적이었던 일로카노족으로는 아구 출신의 로마 가톨릭 대주교 안토니오 L. 마부타스가 있으며, 그는 교회 관계자들의 고문과 살인에 적극적으로 반대했다.[32][33] 또 다른 저명한 반대자는 인권 옹호자이자 봄보 라디오 라오아그 프로그램 진행자인 데이비드 부에노였으며, 그는 마르코스 행정부 후반과 코라손 아키노 행정부 초기에 일로코스 노르테에서 자유 법률 지원 그룹과 함께 일했다. 부에노는 1987년 10월 22일 위장복을 입은 오토바이 탑승자들에 의해 암살되었는데, 이는 1986-87년 쿠데타와 일치하는 암살 물결의 일부였으며, 1986년 피플 파워 혁명 이후 수립된 민주 정부를 전복하려는 시도였다.[34][35]

다른 비판자로는 산 페르난도, 라 유니온 출신의 학생 운동가 로물로와 아르만도 팔라바이 형제가 있었는데, 이들은 팜팡가에 있는 필리핀 군사 기지에서 고문을 받고 살해되었다.[36] 또한, 치코강 댐 프로젝트에 대한 저항에서 원주민을 돕고자 했지만 군사 작전 중 교전에 휘말려 병원에서 반군 동조자로 몰려 군인에게 살해된 가톨릭 평신도 사회 복지사 푸리피카시온 페드로도 있었다.[37]

부에노, 페드로, 팔라바이 형제는 나중에 필리핀의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 기념관에서 독재에 맞선 투쟁의 순교자로 칭송받았다.[35][36][37]

4. 인구 통계

일로카노족은 약 913만 6천 명으로, 코르디레라스에 사는 소수의 일로카노족은 이고로트족의 혈통을 가지고 있다.

필리핀 내 일로카노족 분포도 (녹색)


필리핀 통계청의 2020년 보고서에 따르면, 일로카노족은 필리핀에서 세 번째로 큰 민족 집단으로, 총 874만 6,169명으로 국가 인구의 8.0%를 차지한다. 이들은 타갈로그족, 비사야족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규모이다.

일로카노족은 필리핀 내외로 널리 퍼져 있지만, 가장 높은 밀집도는 일로코스 지방에 남아 있으며, 약 300만 명이 거주한다.
지역별 일로카노족 인구 (2020년 기준)

지역인구비고
일로코스 지방3,083,391명전체 인구의 5.8%
팡가시난1,258,746명
라 유니온673,312명
일로코스 수르580,484명
일로코스 노르테570,849명[38]
카가얀 계곡2,274,435명전체 인구의 61.8%
이사벨라주1,074,212명
카가얀820,546명
누에바 비스카야261,901명
키리노117,360명
바타네스416명
코르디예라 행정 구역396,713명전체 인구의 22.1%
아브라주145,492명
벵게트 (바기오 시 포함)138,022명
아파야오47,547명
칼링가31,812명
이푸가오26,677명
마운틴주7,163명[38]
중앙 루손1,335,283명전체 인구의 10.8%
타를라크555,000명
누에바 에시하369,864명
삼발레스 (올롱가포 시 포함)183,629명
불라칸97,603명
아우로라65,204명
팜팡가 (안젤레스 시 포함)40,862명
바탄29,121명
수도권762,629명
케손 시213,602명
마닐라112,016명
칼루칸97,212명
타기그54,668명
마카티44,733명
발렌수엘라36,774명
파시그35,671명
칼라바르존330,774명
리잘141,134명
카비테126,349명
라구나44,173명
바탕가스10,402명
케손 (루세나 시 포함)8,716명
미마로파117,635명
서민도로53,851명
팔라완33,573명
비콜 지방15,434명
카마리네스 수르5,826명
알바이3,236명
서부 비사야스3,952명
아클란1,061명
중앙 비사야스4,330명
보홀1,651명
동부 비사야스4,797명
레이테1,840명
삼보앙가 반도20,232명
남삼보앙가7,996명
북부 민다나오30,845명
부키드논23,957명
다바오 지방75,907명
다바오 델 노르테31,333명
속스카르젠248,033명
술탄 쿠다라트97,983명
카라가24,211명
남아구산13,588명
방사모로 자치 지역17,568명
마긴다나오 (코타바토 시 포함)11,262명[38]



일로카노족의 이주는 경제적 필요, 사회적 격변, 더 나은 기회를 찾기 위한 노력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했다.

1920년경 카가얀 계곡으로 이주하는 일로카노족


19세기, 일로카노족은 스페인 식민 통치의 억압적인 환경을 피해 새로운 기회를 찾아 여러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1903년 초, 29만 명 이상의 일로카노족이 중앙 루손, 카가얀 계곡, 메트로 마닐라 등으로 이주했다.[40][41][42]

1906년경 하와이의 필리핀 이민자 가족


1906년에는 많은 일로카노족이 하와이와 캘리포니아의 농업 농장에서 일자리를 찾아 미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1906년 12월, 칸돈(일로코스 수르) 출신의 첫 필리핀 농장 노동자들이 증기선 ''도릭(Doric)''호를 타고 하와이에 도착했다.[46] 1929년까지 하와이로 이주한 일로카노족 이민자는 71,594명에 달했다.[47][48]

오늘날 일로카노족은 전 세계에서 이주민 또는 해외 필리핀 근로자로 발견되며, 여러 국가의 다양한 부문과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

5. 문화

일로카노족의 문화는 그들의 역사와 전통을 반영하며, 특히 스페인의 식민 지배에 대한 저항과 관련된 사건들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바시 반란은 1807년 피디그에서 시작되어 일로코스 지방 전역으로 확산된 사건이다. 이 반란은 스페인 식민 정부가 바시 와인에 대한 독점권을 강요하면서 발생했다. 바시는 일로카노족에게 문화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음료였으며, 출산, 결혼, 죽음과 관련된 의식에 필수적이었다.[66] 바시 생산은 일로코스의 중요한 산업이었기 때문에 스페인의 독점은 큰 문화적, 경제적 피해를 야기했다. 반란은 카베자 데 바라가이 ''페드로 마테오''와 ''사라로고 암바리스토''의 주도로 일어났으며, 참가자들은 비간을 향해 행진했다. 그러나 산 일데폰소에서 스페인 군대의 기습을 받아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고, 생존자들은 처형당했다. 이 반란은 13일 만에 진압되었지만, 일로코스 지방이 일로코스 노르테와 일로코스 수르로 분할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일로카노 문학은 전통적인 신화, 민속, 미신에서 유래한다. 비아그 니 람-앙은 페드로 부카네그가 쓴 서사시로, 주인공 람-앙의 모험을 다루며, 용기, 충성심, 가족과의 유대감 등 일로카노족의 핵심 가치를 담고 있다. (''단다니우'')는 민요, 전쟁 시, 노래(''달롯'')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며, 격언(''파그사사오'')은 도덕적 교훈과 문화적 가치를 담고 있다. 페드로 부카네그의 이름을 딴 문학 결투 ''부카네간''은 참가자들의 재치와 창의력을 겨루는 시적 논쟁이다. 수수께끼(''부르부르티아'')는 비판적 사고와 지역 사회 참여를 촉진하는 언어 유희이다.

일로카노 문학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프란시스코 로페즈가 1621년에 교리 문답을 출판하면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사벨로 데 로스 레예스는 ''히스토리아 데 일로코스''(1890)를 통해 일로코스의 역사를 기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92년에는 루피노 레돈도 신부가 최초의 일로카노 소설인 ''마틸데 데 시나팡안''을 썼다. 20세기에는 레오나 플로렌티노, 마누엘 아르기야, 카를로스 불로산과 같은 작가들이 등장했다. F. 시오닐 호세와 엘리자베스 메디나도 영향력 있는 작가로 활동했다. GUMIL 필리피나스는 필리핀의 일로카노 작가 협회로, 일로카노 문학과 문화 유산을 풍요롭게 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1934년에 창간된 반나와그 잡지는 "북부의 성경"으로 불리며, 현대 일로코 문학의 기반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7]

일로카노족의 음악은 '출생'부터 '사랑', '구애와 결혼', 그리고 '죽음'에 이르기까지 삶의 다양한 단계를 반영한다.[68][69] 전통적인 음악 형태로는 자장가(''두아야''), 결혼식과 구애를 위한 즉흥적인 찬가(''달롯''), 애가(''둥-아우'')가 있다.[70] 만릴리카 응 바얀인 ''아델리타 로물알도 바그칼''은 달롯의 일로카노 구전 전통을 보존하는 데 기여했다.[72][73] 일로카노 민속 음악은 사랑, 가족, 자연, 공동체를 주제로 하며, 파물리나웬, 마낭 비데이, 오 나라니악 아 불란, 반나티란, 둥둥웬 칸토 등이 대표적이다.[75]

일로카노 춤은 코르디예라(이고로트), 스페인, 미국의 영향을 받았으며, 의식, 축하 행사, 사교 모임에서 공연된다. 쿠민탕은 미래를 위해 저축하는 일로카노족의 가치를 반영하는 전통적인 춤 스텝이다.[76] 코리티 스텝은 빠르고 생생한 움직임을, 사가만티카는 고향과의 연결을 상징한다.[76] 아가벨, 아그담다밀리, 비나트바탄, 비니간-비가트, 코민탄, 디낙리산, 하바네라, 일로카나 아 나수디, 인나리센, 호타 아라곤, 킨나로공, 키노톤, 쿠차라 파수키냐, 판당고 라오게냐, 라봉, 사부나네이, 사이미타, 실레레다-앙, 수르티도 반나, 수르티도 노르테, 타덱 인-다야, 탈리프, 빈타레냐 등 다양한 민속 무용이 있다.[77]

일로카노 드라마 또는 연극에는 사르수엘라와 코메디아(모로-모로) 장르가 포함된다.[80] 사르수엘라는 노래, 춤, 대화를 결합한 음악극으로, 디에고와 가브리엘라 실랑, 레오나 플로렌티노, 파드레 부르고스의 삶을 다룬 ''Tres Patrimoño''가 잘 알려져 있다.[81] 모로-모로는 기독교인과 무슬림 간의 갈등을 중심으로 하는 연극 형식이다.[82][83]

일로카노족의 의상은 식민지 이전 시대에는 남성의 경우 바하그와 '코톤'과 비슷한 재킷, 여성의 경우 '살루핑핑'이라는 겉치마를 포함했다.[84] 장신구로는 금과 보석이 사용되었고, 머리카락 관리에는 엔타다 파세올로이데스(고고)와 코코넛 오일이 사용되었다.[85] 치아 관리를 위해 빈랑 껍질과 돌을 사용했으며, 치아를 붉거나 검게 칠하기도 했다.[84] 문신은 이고로트족과 비스아얀족만큼 널리 퍼지지는 않았지만, 신체 예술의 한 형태이자 지위의 상징으로 여겨졌다.[86]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이나벨로 만든 판딜링(치마)과 키모나(블라우스)가 여성들의 전통 의상으로 자리 잡았다.[87] 메스티자 드레스는 프린시팔리아 계급이 입는 옷이었다. 으로 만든 카투콩 또는 타붕가우 모자는 농부와 어부들이 착용했으며, 국가 살아있는 보물로 인정받은 테오필로 가르시아가 대표적인 장인이다.[88]

일로카노 요리는 중국 요리, 스페인 요리, 미국 요리의 영향을 받았으며, 일로코스 지방의 농업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부구옹(멸치 페이스트)은 일로카노 요리의 독특한 맛을 내는 주요 재료이다. 수강 일로코(사탕수수 식초)와 다양한 채소, 제철 과일을 피클로 만드는 ''이나르템''도 중요한 재료이다. 피낙벳, 디넹뎅, 부리디보드, 디낙다칸, 인사라바삽, 이가도, 피나파이탄, 시낭글라오, 일로코스 엠파나다, 바그넷, 포키 포키, 디나르다라안, 라우야 등이 대표적인 일로카노 요리이다. 마룽가이(모링가)는 일로카노 요리의 필수 채소 재료이며,[95] ''아부오스''(베짜는 개미)의 유충과 알을 섭취하는 관습도 있다.[96] 일로카노족의 디저트는 찹쌀, 코코넛, 사탕수수 사탕수수즙을 기반으로 한다. 투피그, 티누봉, 파투팟, 두돌, 발리쿠차, 인키와르, 부카요 등이 대표적인 디저트이다.

일로카노족은 직조, 목공예, 도자기 등 다양한 전통 예술과 공예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다. 이나벨 직조는 마그달레나 가마요와 같은 장인들에 의해 계승되고 있으며,[104] burnáyilo 도자기는 비간에서 두드러지는 공예품이다.[105] 바시는 발효된 사탕수수즙으로 만든 일로카노 와인으로, 바시 반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쿠쿠디시는 전통적인 일로카노족 게임이다. 다른 전통 공예품으로는 다다필란ilo, 틸라르ilo, 둘랑ilo, 알미리스ilo, 용설란ilo 제품, 판데이ilo, 사그-웃ilo 등이 있다.

5. 1. 언어

일로카노족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일로코어 또는 일로카노어를 사용한다. 이 언어는 북부 루손의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발라가오어와 본톡어의 동부 방언과 약간의 상호 이해도를 보인다. 많은 일로카노족은 타갈로그어영어를 제2 언어로 사용하며, 북부 루손과 중부 루손에서 사용되는 다른 지역 언어(팜팡가어, 팡가시난어, 삼발어 등)도 사용한다.[42]

일로카노어는 필리핀 북부 지역의 공용어이며, 7백만 명이 모국어로 사용하고, 2백만 명 이상이 제2 언어로 사용한다.[42]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오스트로네시아 민족의 연대기적 확산


식민지 이전에는 쿠리탄ilo이라는 고유한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일로코스 노르테와 일로코스 수르에서는 쿠리탄ilo 문자를 가르쳐 부활하려는 움직임이 있다.[54]

민다나오에 거주하는 일로카노족과 그 후손들은 힐리가이논어, 세부아노어, 부투아논어, 수리가고논어 등을 사용하거나, 타갈로그어를 사용하거나, 토착 언어를 사용한다. 많은 일로카노족과 그 후손들이 세부아노어를 배우면서 세부아노어 사용 사회에 동화되었고, 자신의 조상 언어를 제2 또는 제3 언어로 사용하기도 한다.[55][56] 삼보앙가 시티와 바실란에 거주하는 일로카노족 및 그 후손들은 차바카노어를 사용한다.

5. 2. 종교

대부분의 일로카노족은 기독교를 믿으며, 주로 로마 가톨릭교회를 따른다. 일부는 북일로코스주에서 시작된 필리핀 독립 교회를 믿는다.[60]

'''파오아이 교회'''는 일로코스 노르테에 위치한 로마 가톨릭 바로크 양식의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 교회이다.


'''로마 가톨릭교'''

1500년대 스페인 사람들이 필리핀에 오면서 로마 가톨릭교가 전파되었고, 일로카노족 사이에서 빠르게 주요 종교가 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사를 포함한 스페인 선교사들은 주민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가톨릭교는 오늘날까지 일로카노족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60]

일로카노 문화에서 가톨릭교의 두드러진 표현 중 하나는 종교적인 축제인 ''피에스타''이다. 각 마을이나 바랑가이(마을)는 수호 성인을 기리기 위해 피에스타를 연다. 피에스타는 행렬, 미사, 거리 퍼레이드 등으로 진행되며, 종교적인 이미지와 함께 음악, 춤, 잔치가 어우러진다. 파오아이 교회 피에스타와 성모 마리아에게 헌정된 다양한 축제가 잘 알려져 있다.[60]

일로카노 사람들은 주요 기독교 축제도 경건하게 지킨다.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 죽음, 부활을 기념하는 성주간에는 십자가의 길 행렬과 재연 등 다양한 의식에 참여한다. 모든 성인의 날과 모든 영혼의 날에는 묘지를 방문하여 친척들의 무덤에 기도, 꽃, 음식을 바친다.[60]

크리스마스 시즌에는 새벽 미사(심방 가비)에 참석하고, 파롤(전통적인 별 모양 랜턴)을 전시하며, 잔치와 선물을 교환한다.[60]

'''기타 교파'''

'''아글리파얀 교회''' 문장


필리핀 독립 교회(아글리파얀 교회)는 1902년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 신부가 일로코스 노르테에서 설립한 교회로, 스페인 식민 지배에 대한 민족주의적 반응으로 나타났다. 이 교회는 로마 가톨릭교와 많은 의식과 관습을 공유하지만, 민족주의를 강조한다.[60]

개신교 교파는 식민지 시대에 미국 선교사들을 통해 소개되었다. 필리핀의 연합 그리스도 교회 및 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와 같은 교파는 지역 전체에 회중을 설립하여 가톨릭 신앙에 대한 대안을 제공했다. 이 개신교 교회는 하나님과의 개인적인 관계, 성경의 권위, 지역 사회 봉사를 강조한다.[60]

'''토착 신앙'''

초기 일로카노족은 정령 신앙을 가졌다. 그들은 날씨, 수확 등 모든 것을 통제하는 신과 영적 존재를 믿었고, 존경, 제물, 의식을 요구했다. 이웃 문화와의 교류와 무역을 통해 신앙은 진화했다.[60]

'''신'''

테오도로 A. 람존의 ''필리핀 언어 그룹 핸드북''(1978)에 따르면, 일로카노 신앙 체계는 자연 세계를 다스리는 여러 주요 신을 가지고 있었다. 최고신은 ''부니''였고, 창조주는 ''파르수아''였다. 다른 신으로는 천국의 지배자 ''아포 랑깃'', 바람의 신 ''아포 앙인'', 태양의 신 ''아포 이닛'', 비의 신 ''아포 투도''가 있었다.[60]

그러나 지역에 따라 종교적 관행에 차이가 있었다. 각 지역은 고유한 신앙을 개발했으며, 이웃 민족의 신념과 토착 신앙을 혼합했다. 예를 들어, 1952년에 기록된 비간의 신화에는 날씨의 신 ''아브라'', 치유의 여신 ''카부라얀'', 수확의 신 ''아니 아니한'', 바람의 신 ''사구데이'', 천둥과 번개의 신 ''레베나도르''가 등장한다.[60]

무역의 영향도 신화에 나타난다. 마리아 마킬링은 타갈로그 신화에서도 발견되는 인물이며, ''"로보"''(늑대를 뜻하는 스페인어)와 같은 상징은 스페인 식민지화의 영향을 보여준다. 마자파힛 제국의 영향으로 힌두교와 동남아시아 신화의 흔적이 람-앙과 같은 서사시에 나타나기도 한다.[60]

'''정령'''

'''아니토''' 북부 부족 (c. 1900, 필리핀)


일로카노 종교의 핵심은 아니토에 대한 믿음이었다. 이 정령들은 물의 정령 ''리타오'', 숲의 하층 식생의 정령 ''카이바안'', 나무의 정령 ''망망키크'' 등 환경의 다양한 측면을 다스렸다. 일로카노족은 이 정령들을 제대로 달래지 않으면 질병이나 불행이 발생한다고 믿었다.[99]

이 정령들의 노여움을 피하기 위해 주문을 외우는 의식을 수행했다. 예를 들어, 나무를 베기 전에 망망키크를 부르고 용서와 보호를 구하는 주문을 외웠다.[99]

:바리 바리.
디캇 아군겟 파리.
타 푸무칸 카미.
이티 파바키르다 카다카미.ilo

아탕이라고 불리는 제물은 정령이 거주한다고 믿어지는 시므안 또는 동굴에 놓였다.[63]

'''우주론'''

일로카노 우주론은 ''수롱''(창조와 삶)과 ''푸유포얀''(죽음과 내세)의 개념을 포함했다. 죽은 자에게 바치는 제물은 하류로 떠내려 보내졌고, 은하수는 하늘의 강으로 여겨졌다.[60]

어떤 창조 신화는 하늘을 창조하고 해, 달, 별을 매달았던 거인 ''아란''과 땅을 산과 계곡으로 만든 ''앙갈로''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앙갈로가 땅에 침을 뱉어 첫 번째 인간이 나타났고, 이 인간을 태운 대나무 통이 일로코스 지역으로 밀려와 일로카노족이 그들의 후손임을 나타냈다.[60]

'''영혼과 내세'''

일로카노족은 네 가지 유형의 영혼을 믿었다. ''카라르아''는 기독교의 영혼, ''카르카르마''는 극심한 공포나 외상의 순간에 몸을 떠날 수 있는 영혼, ''아니와스''는 잠자는 동안 방황하는 영혼, ''아라리아''는 죽은 자의 영혼이다.[61]

일로카노족은 정교한 장례 의식을 치렀고, 죽은 자의 영혼이 내세로 가는 동안 제물이 필요하다고 믿었다. 제물에는 영혼이 내세로 가는 강을 건너는 정령 ''아그라크라키트''에게 통행료를 지불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음식과 돈이 포함되었다.[62]

'''물에 대한 신념'''

물은 일로카노 영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바다와 강의 신인 아포 리타오가 가장 중요한 신들 중 하나였다. 인어 또는 사이레나로 묘사되는 물의 여왕은 존경하지 않는 자들을 죽일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었지만, 존경하는 자들에게는 선물을 주었다.

죽은 사람들은 내세로 가는 강을 안전하게 건너도록 제물을 가지고 묻혔다.[62]

'''음식 제물'''

일로카노의 "아탕" 의식은 악령, 즉 아니토를 달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의식은 장례식과 ''피스타 티 나테이''(만성절)에 행해진다.[63]

아탕 의식 동안에는 ''칸카넨''(찹쌀떡), ''바가스''(익히지 않은 쌀), 삶은 달걀, ''부아''(빈랑), ''가웨드'' 또는 ''판''(후추 잎), ''아포그''(석회 가루), ''바시''(발효 사탕수수 와인), 타바코(담배)와 같은 음식이 준비된다. 전통적으로 아니토에 대한 제물은 ''시므안''이라고 불리는 플랫폼이나 정령이 살고 있다고 믿어지는 나무, 동굴에 놓였다. 그러나 기독교의 영향으로 집이나 묘지에서 떠난 사람의 사진이나 예수, 마리아, 또는 성가족의 이미지 앞에 놓인다. 가족과 조문객들은 죽은 자를 기리고 악령으로부터 보호를 구하기 위해 기도를 드린다.[63]

악어(''노노'')는 일로카노족에게 깊은 존경을 받았으며, 악어를 신성한 존재이자 조상의 상징으로 여겼다. 존경의 표시로 일로카노족은 악어에게 첫 번째 어획물(''파나기아탕'')을 바쳤다.[63]

'''인신 제물'''

''시브롱''은 초기 일로카노 신념에서 중요한 의식이었으며, 인신 제물 및 참수와 관련이 있었다. 공동체 지도자나 프린시팔리아의 구성원이 사망했을 때 수행되었다. ''만니브롱''은 죽어가는 사람이 손가락을 몇 개 드느냐에 따라 처형을 수행하여, 내세로 함께 갈 사람의 수를 상징했다. 어떤 경우에는 손가락을 잘라 상징적인 제물을 바치기도 했다.[64][65]

시브롱의 또 다른 측면은 영적 보호를 위해 건물 기초에 인간의 머리를 놓는 것이었다.[64][65]

참조

[1] 웹사이트 Ethnicity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3-07-04
[2] 웹사이트 ILOCANO | Cassell's Peoples, Nations and Cultures - Credo Reference https://search.credo[...]
[3] 웹사이트 Ilocano Lowland Cultural Community https://web.archive.[...] 2021-11-03
[4] 웹사이트 Politics of Ethnicity among Ilokanos in Hawaii https://www.hawaii.e[...]
[5] 웹사이트 Ilocanos - Document - Gale in Context: World History https://link.gale.co[...]
[6] 웹사이트 Ilocano | peopl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1-12
[7] 웹사이트 History of Ilocos Sur https://mis.ilocossu[...] ILOCOSSUR.GOV.PH 2020
[8] 서적 How the Ilocos Got Its Name (The Origin of the Word Ilocos) 1969
[9] 간행물 Gender-Neutral Language in Philippine Supreme Court Decisions https://teseo.unitn.[...] 2023-06-26
[10] 간행물 "Maiyannatup a Panagripirip:" Towards an Ilokano Indigenous Doing of Philosophy https://www.academia[...] 2019
[11] 서적 The Global Prehistory of Human Migration 2014
[12] 간행물 Multiple migrations to the Philippines during the last 50,000 years 2021-03-30
[13] 웹사이트 Ilokano Mythology & Beliefs • THE ASWANG PROJECT https://www.aswangpr[...] 2023-03-23
[14] 서적 A brief survey of Iloko literature from the beginnings to its present development, with a bibliography of works pertaining to the Iloko people and their language https://quod.lib.umi[...] 1936
[15]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98 https://www.gutenber[...] The Arthur H. Clark Company 1906
[16] 서적 Conquest and Pestilence in the Early Spanish Philippines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9
[17]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98 https://www.gutenber[...] The Arthur H. Clark Comopany 1906
[18] 서적 Pangasinan 1572–1800 University of Philippines Press 1974
[19] 웹사이트 Almazan, Pedro https://philippinecu[...] 2024-11-15
[20] 웹사이트 1660-1661 https://museoilocosn[...] 2009-07-18
[21] 웹사이트 Diego Silang and Maria Josefa Gabriela Silang {{!}} Vigan.ph https://www.vigan.ph[...] 2015-06-14
[22] 웹사이트 DIEGO SILANG https://www.bayaniar[...]
[23] 웹사이트 Gabriela Silang https://www.bayaniar[...]
[24] 웹사이트 The True Story of Diego Silang, A Philippine Patriot https://kahimyang.co[...] 2014-02-09
[25] 웹사이트 National Museum launches virtual edition of 'The Basi Revolt' – Manila Bulletin https://mb.com.ph/20[...] 2021-11-03
[26] 웹사이트 Estanislao Reyes https://www.geni.com[...] 2024-10-24
[27] 웹사이트 Cry Of Candon https://independence[...]
[28] 웹사이트 History – Vigan City http://vigancity.gov[...]
[29] 웹사이트 Presidential Decree No. 1, s. 1972 https://www.official[...] 1972-09-24
[30] 웹사이트 Presidential Decree No. 224, s. 1973 https://www.official[...] 1973-06-22
[31] 뉴스 Ilocanos remember dark days of martial law, vow to continue fight https://www.bulatlat[...] 2012-10-02
[32] 웹사이트 Honoring Davao's Contributions to the Struggle for Rights, Freedom http://www.bantayog.[...] 2018-02-23
[33] 뉴스 Voices from Mindanao: Fear is not a good foundation for getting Mindanao out of the rut https://www.mindanew[...] 2017-07-10
[34] 서적 The Politics of NGOs in Southeast Asia Routledge
[35] 웹사이트 A Tribute to Human Rights Lawyer David Bueno (1988) http://www.bantayog.[...] 2015-08-19
[36] 웹사이트 PALABAY, Armando D. – Bantayog ng mga Bayani http://www.bantayog.[...] 2017-01-18
[37] 웹사이트 MARTYRS & HEROES: PEDRO, Purificacion A. http://www.bantayog.[...] 2016-07-13
[38] 웹사이트 Ethnicity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s://psa.gov.ph/c[...] 2024-10-17
[39] 논문 ILIW: LONGING AND BELONGING IN ILOKANO NARRATIVES OF DISPLACEMENTS https://gaexcellence[...] 2018-12
[40] 웹사이트 Baler And Its People, The Aurorans http://www.aurora.ph[...] 2018-02-21
[41] Youtube Baler and Other Sceneries of Aurora https://steemit.com/[...]
[42] 웹사이트 Lowland Cultural Group of the Tagalogs https://ncca.gov.ph/[...] 2024-02-12
[43] 뉴스 Ilocanos Top Migrants in Mindanao https://news.google.[...] 2000-05-19
[44] 웹사이트 Press Release - Ilocanos of Cebu come together to campaign for Bongbong https://legacy.senat[...]
[45]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Manongs and Story of the Filipino Farm Worker Movement https://www.npca.org[...] 2021-11-03
[46] 웹사이트 The legacy of the Sakadas in Hawaii https://www.hawaiitr[...] 2020-12-20
[47] 논문 America Is in the Heart: Ilocano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1906-1930. 1976
[48] 논문 Lured Abroad: The Case of Ilocano Overseas Workers http://dx.doi.org/10[...] 1994-04
[49] 웹사이트 Uhm Center For Philippine Studies http://www.hawaii.ed[...]
[50] Youtube Zambales Province, Home Province of Subic Bay and Mt. Pinatubo https://subliblog.co[...]
[51] Youtube History of Iba https://www.ibazamba[...]
[52] Youtube Profile of Bataan https://www.visitmyp[...]
[53] Youtube Discovering Bataan https://phinder.ph/b[...]
[54] 웹사이트 Protect all PH writing systems, heritage advocates urge Congress https://newsinfo.inq[...] 2018-04-27
[55] 웹사이트 Ang Pagpangayaw sa Dutang Ginsaad: A History of Migration and Settlement of Ilonggos in Central Mindanao, 1951-1960s https://www.research[...] 2023-09-09
[56] 논문 We Who Seek to Settle Problematizing the Mindanao Settler Identity https://www.academia[...]
[57] 뉴스 "Ilokanos." Junior Worldmark Encyclopedia of World Cultures http://www.encyclope[...] The Gale Group, Inc 1999
[58] 웹사이트 Ilocano in Philippines https://joshuaprojec[...]
[59] 웹사이트 UCLA Language Materials Project http://www.lmp.ucla.[...]
[60] 웹사이트 Ilokano Deities: Philippine Mythology • THE ASWANG PROJECT https://www.aswangpr[...] 2024-10-14
[61] 웹사이트 The Soul According to the Ethnolinguistic Groups of the Philippines https://www.aswangpr[...] 2022-04-19
[62] 웹사이트 Undas 2021 (Atang) https://www.national[...] 2021-11-03
[63] 웹사이트 UNDAS (2021) https://www.national[...]
[64] 서적 Way of the Ancient Healer: Sacred Teachings from the Philippine Ancestral Traditions https://books.google[...] North Atlantic Books 2010
[65] 문서 1890
[66] 웹사이트 Manlilikha ng Bayan teaches Ilocos Sur residents the dallot – University of Northern Philippines http://unp.edu.ph/ma[...] 2024-10-14
[67] 웹사이트 Weekly Ilokano Magazine Bannawag Founded November 3, 1934 https://kahimyang.co[...] 2024-10-18
[68] 웹사이트 Tan-ok ni Ilocano Festival and the Celebration of Guling-Guling [Ilocano Dance Heritage and Performing Arts] https://www.yodisphe[...] 2024-10-21
[69] 논문 Traditional Chants in the Life Cycle of the Ilocanos https://www.ejournal[...] 2006
[70] 웹사이트 Duayya https://museoilocosn[...] 2024-10-21
[71] 웹사이트 Manlilikha ng Bayan teaches Ilocos Sur residents the dallot http://unp.edu.ph/ma[...]
[72] 웹사이트 'Dallot' Queen: Preserving Ilokano oral traditions https://www.pna.gov.[...] 2023-12-22
[73] 웹사이트 Ilocano Adelita Bagcal, Manlilikha ng Bayan for 2023, hailed as 'cultural bearer' https://www.rappler.[...] 2023-12-23
[74] 웹사이트 Pakasaritaan Ti Biag and the Ilocanos' Life History https://www.asiarese[...] 2007-09-25
[75] 웹사이트 The Wonders Of the Ilocos Region: Ethnic Songs and Dances of the Ilocos People https://allaboutiloc[...] 2015-09-28
[76] 문서 '''The Ilocano Dance Heritage''': Living Movements, Moving Lives
[77] 웹사이트 The Wonders Of the Ilocos Region: Ethnic Songs and Dances of the Ilocos People https://allaboutiloc[...] 2015-09-28
[78] 웹사이트 Ilocano Lowland Cultural Community https://ncca.gov.ph/[...] null
[79] 웹사이트 Tan-ok ni Ilocano Festival and the Celebration of Guling-Guling [Ilocano Dance Heritage and Performing Arts] https://www.yodisphe[...]
[80] 논문 A Preliminary List of Iloko Drama https://www.asj.upd.[...] 1974
[81] 웹사이트 Lakwatserong Tsinelas: ZARZUELA ILOKANA: "Tres Patrimoño" https://www.lakwatse[...]
[82] 웹사이트 Moro-moro plays - (Music and Theater in Southeast Asia) - Vocab, Definition, Explanations https://fiveable.me/[...]
[83] 웹사이트 Moro-moro https://www.britanni[...]
[84] 웹사이트 What Did Precolonial Ilokanos Wear? • THE ASWANG PROJECT https://www.aswangpr[...] 2023-03-23
[85] 웹사이트 Gugo (Entada phaseoloides) – National Museum https://www.national[...] 2022-01-19
[86] 웹사이트 The Preconquest Filipino Tattoos https://datupress.co[...] 2018-01-10
[87] 웹사이트 Pandilíng http://museoilocosno[...] 2012-10-17
[88] 웹사이트 The Tabungaw Hat Maker of San Quintin https://www.silverba[...] 2018-05-10
[89] 웹사이트 Authentic Dinakdakan (Warek-warek) https://www.kawaling[...] 2021-08-13
[90] 웹사이트 Insarabasab https://www.angsarap[...] 2014-04-24
[91] 웹사이트 Pinapaitan https://www.angsarap[...] 2013-08-13
[92] 웹사이트 Orange you glad you can now make Ilocos Empanadas at home? Here's how https://www.wheninma[...] 2020-05-20
[93] 웹사이트 Dinardaraan Recipe (Ilocano Dinuguan) https://panlasangpin[...] 2017-01-13
[94] 웹사이트 Lauya (Ilokano Pork Knuckles Stew) http://www.panlasang[...]
[95] 웹사이트 Malunggay https://www.aboutfil[...] 2023-08
[96] Youtube Kapuso Mo, Jessica Soho: Walastik na sarap ng hantik! https://www.youtube.[...] 2018-04-23
[97] 서적 1890
[98] 서적 2004
[99] 서적 1890
[100] 서적 1890
[101] 서적 1890
[102] 웹사이트 The Inabel of Ilocos: Woven Cloth for Everyday https://narrastudio.[...]
[103] 서적 Habi: A Journey Through Philippine Handwoven Textiles The Philippine Textile Council 2013
[104] 웹사이트 Magdalena Gamayo: Weaving history and inabel for over 80 years https://narrastudio.[...] 2021-03-27
[105] 웹사이트 Burnay Jars – Burnay Pottery in Vigan https://www.vigan.ph[...] 2015-06-15
[106] 뉴스 The Art of Making Burnay: A Photo Essay https://www.bulatlat[...] 2022-04-05
[107] 뉴스 Vigan's Traditional Burnay Hurdles the Odds (Part 1) https://www.bulatlat[...] 2022-04-05
[108] 뉴스 21 gunshots for a dictator https://www.panaynew[...] 2020-01-24
[109] 뉴스 AGATEP, Zacarias G. – Bantayog ng mga Bayani http://www.bantayog.[...] 2018-05-18
[110] 뉴스 AQUINO, Jeremias A. – Bantayog ng mga Bayani http://www.bantayog.[...] 2018-05-18
[111] 웹사이트 Honoring Davao's Contributions to the Struggle for Rights, Freedom http://www.bantayog.[...] 2020-02-08
[112] 뉴스 Voices from Mindanao: Fear is not a good foundation for getting Mindanao out of the rut https://www.mindanew[...] 2020-02-08
[113] 뉴스 First Payments Are Made to Victims of Marcos Rule https://www.nytimes.[...] 2022-07-19
[114] 웹사이트 Dictator's son Ferdinand Marcos Jr. takes oath as Philippine president https://www.npr.org/[...] 2022-07-19
[115] 웹사이트 Biography of Senator Ernesto Maceda http://legacy.senate[...] 2020-09-22
[116] 웹사이트 MARTYRS AND HEROES: Bueno, David Triunfante http://www.bantayog.[...]
[117] 웹사이트 Security Overkill in Philippines : Human-Rights Offenses Corrode Aquino's Golden Promise https://www.latimes.[...] 1988-05-03
[118] 뉴스 Rights Coalition Reports the Killing of 10 Monitors https://www.nytimes.[...] 1987-12-27
[119] 웹사이트 PALABAY, Armando D. – Bantayog ng mga Bayani http://www.bantayog.[...] 2020-01-22
[120] AV media Armando Palabay https://www.youtube.[...] Commission on Human Rights of the Philippines
[121] 뉴스 Handfuls of fragrant hay https://www.philstar[...] 2022-04-19
[122] 웹사이트 House in literary classic defies time https://newsinfo.inq[...] 2022-04-19
[123] 웹사이트 Lilia Cuntapay interview in Ilocano https://www.youtube.[...] 2012-09-16
[12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Filipino Women's Writings http://www.filippiin[...]
[125] 웹사이트 Writing Lesbian, Lesbian writing https://www.bulatlat[...]
[126] 웹사이트 New comic book challenges Maria Clara image https://www.thealter[...] 2022-07-19
[127] Tweet "@myzMycel: @japoy_lizardo ilocano ka gayam kuya Japs? O_o"- wen!! ^^ 2013-03-29
[128] 웹사이트 Find out what's happening in New York on BlackPlanet. https://www.blackpla[...]
[129] 웹사이트 Lucrecia Kasilag, grand dame of RP music, dies at 90 http://showbizandsty[...] 2012-08-31
[130] 웹사이트 The big PBB 737 winners https://www.philstar[...]
[131] Tweet "@Missashleyjoyy: @itsJaneOineza Nalpas kamin. ilokana ka gayam. :)" – wen ah. Ni mamang ken papang ko. :) 2013-06-06
[132] Tweet Ilocano kami eh #AskMarkus https://twitter.com/russinigang/status/868006593333346305 … 2017-05-26
[133] Tweet "@jairusdevirus apologies.. Although i'm an Ilocano." 2013-08-12
[134] 웹사이트 Speaking Ilocano only challenge https://www.youtube.[...] 2021-06-12
[135] 웹사이트 Nova Villa, Happy Homebody {{!}} Gallery {{!}} PEP.ph: The Number One Site for Philippine Showbiz http://www.pep.ph/ph[...]
[136] Tweet "@leizion she's ilocana. No I don't. I wish I could though!!!" 2012-09-15
[137] Tweet "@simply_resi: @jhongsample ano po province nyo?"-pangasinan po.ilocano :) 2011-04-13
[138] 웹사이트 Marc Pingris vows to play stingy 'depensang Ilokano' against TnT import Ivan Johnson https://www.spin.ph/[...] 2015-03-31
[139] Tweet "@ofcaldub_ILS my mom is from Sinait. :)" 2015-10-12
[140] 웹사이트 Global Balita | Archive for November 2006 http://globalbalita.[...] 2014-01-04
[141] 웹사이트 Defense Secretary Delfin Lorenzana, a farmer's son who became general https://www.philstar[...] 2023-10-18
[142] 트윗 "@dealwithAYISHA no haha my lola naman is from nueva ecija so half of me is pure ilocano :) I can say nagpudot and magan tayon. Hahaha" 2010-11-02
[143] 트윗 I'm ilocana. I'm cheating. I have a translator. My friend here in cebu teaches me. Heehee 2011-03-26
[144] 웹사이트 Provincial Government of La Union - Official Website http://www.launion.g[...] Launion.gov.ph 2022-08-28
[145] 트윗 "@CarisaManuel it was my dad who was Ilocano and the staple we had once a week was saluyot & labong w/ inihaw na isda." 2013-07-03
[146] 트윗 haan ko ammo ngem ni nanang ko ilokana ☺ RT @aprilonbloom: @coleengarcia AMMUM AGILOKANO TEH? 2011-06-20
[147] 트윗 "@anklethan wen iloKANO ak! Ilocanong American" 2011-11-06
[148] 보도자료 Press Release - Bongbong says "Solid North" alive in South too as Ilocanos in North Cotabato unite to support him https://legacy.senat[...]
[149] 웹사이트 Marilou Diaz-Abaya, Obsessions and Transitions: A Biographical Survey (1/6) https://www.asiancin[...] Asian CineVision 2013-07-23
[150] 트윗 My father s from Abra. I grew up in MLA RT @chrisduran81: @jimparedes oh you're ilocano sir, are you from San Juan, La Union?. 2010-07-01
[151] 트윗 "@KarmaWins80 my father is ilocano, my mother is tagalog/ilocano. Very native. Alejandre though is portuguese italian. I wonder hw we got it" 2011-07-07
[152] 트윗 "@mariceldeleon: @vicegandako ilocano ka?"-opo. Taga batangas kasi tatay ko e. ☺ 2011-10-16
[153] 학술지 "Ili a Baluarte": Revisiting the Cradle of Aglipayanism 2009
[154] 웹사이트 Mindanao Daily Caraga (September 12, 2014) by Mindanao Daily News - Issuu https://issuu.com/su[...] 2024-08-09
[155] 학술지 Carlos Bulosan, Filipino Writer-Activist: Between a Time of Terror and the Time of Revolution https://www.jstor.or[...] 2008
[156] 뉴스 YouTube sensation Mikey Bustos and how to be 'Pilipino' – Pinoy Abroad – GMA News Online http://www.gmanetwor[...]
[157] 웹사이트 Will Gina Ortiz-Jones become the first Filipina American in Congress? {{!}} INQUIRER.net http://usa.inquirer.[...] 2018-07-09
[158] 뉴스 The Eyes of the Hurricane http://www.sfweekly.[...] SF Weekly 2010-03-10
[159] 웹사이트 Ana Julaton: Her Side of the Ring http://www.mightyglo[...] Mightygloves.com 2009-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