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지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칸지카는 브라질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음식이다. 브라질 남부와 남동부, 연방구에서는 '칸지카'나 '칸지캉'으로 불리며, 어원은 킴분두어 '칸지카'이다. 북동부에서는 '뭉군자' 또는 '뭉구자'로 불리며, 킴분두어 '무쿤자'에서 유래되었고, '익힌 옥수수'를 의미한다. 북동부 지역 안에서는 '밍가우 지 밀류' 또는 '밍가우 지 밀류 브랑쿠'로 불리기도 하며, '샤 지 부후'로 불리기도 한다. 칸지카는 말린 옥수수 알을 물에 불려 우유, 연유, 코코넛밀크, 향신료 등을 넣고 끓여 만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라질의 후식 - 고이아바다
고이아바다는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구아바 열매를 주재료로 하여 설탕, 레몬즙 등을 첨가하여 만든 다양한 질감의 디저트이며, 빵이나 크래커와 함께 먹거나 브라질에서는 치즈와 함께, 포르투갈에서는 케이크 속 재료로 사용되는 등 지역별로 다양한 이름과 활용법을 가진다. - 브라질의 후식 - 파스텔 드 나타
파스텔 드 나타는 포르투갈의 대표적인 크림 페이스트리로, 18세기 리스본의 제로니무스 수도원에서 유래되어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포르투갈 문화와 미식의 상징이다. - 포리지 - 폴렌타
폴렌타는 옥수수 가루를 끓여 만든 이탈리아 요리로, 고대 로마 시대 곡물 죽에서 유래하여 옥수수가 주재료가 되었으며, 이탈리아 북부에서 주식으로 여겨지다 이탈리아 전역과 브라질로 퍼져 다양한 조리법으로 사랑받고 있다. - 포리지 - 겨
겨는 쌀의 겉껍질로, 과거 구들장 난방 연료나 베갯속 재료 등 다양한 용도로 쓰였다. - 유제품 요리 - 둘세 데 레체
둘세 데 레체는 우유와 설탕을 농축하여 만든 라틴아메리카의 전통 디저트로, 국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여러 유사 디저트가 존재하고, 필리핀과 스페인을 거쳐 전래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며, 다양한 디저트와 음료에 활용되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 유제품 요리 - 페라
페라는 우유와 밀가루로 만든 인도 과자이며,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되었고,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힌두교 종교 의식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칸지카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죽 |
주재료 | 칸지카, 우유, 설탕, 계피 |
다른 이름 | 뭉군자, 뭉그자 |
국가 | 브라질 |
2. 이름
브라질 남부와 남동부, 연방구에서는 주로 "칸지카(칸지카/canjicapt)"나 확대형인 "칸지캉(칸지캉/canjicãopt)"으로 불린다. 어원은 킴분두어 "칸지카(칸지카/kanjikakmb)"이다.
북동부에서는 "뭉군자(뭉군자/mungunzápt)"나 "뭉구자(뭉구자/munguzápt)"로 불린다. "무군자(무군자/mugunzápt)", "뭉쿤자(뭉쿤자/muncunzápt)", "무쿤자(무쿤자/mucunzápt)", "망구자(망구자/manguzápt)" 등의 철자가 쓰이기도 한다. 어원은 킴분두어 "무쿤자(무쿤자/mu'kunzakmb)"이며, "익힌 옥수수"를 뜻한다. 아프리카계 브라질인 문화·종교에서는 조미하지 않고 조리한 버전이 "무쿤자"나 "에보"로 불리기도 한다. 이 지역에서 "칸지카"로 부르는 음식은 남부와 남동부에서는 "쿠라우"로 불린다.
북동부 지역 안에서 북부와 경계를 접하는 메이우노르치(마라냥과 피아우이)에서는"옥수수 죽"이라는 뜻의 "밍가우 지 밀류(밍가우 지 밀류/mingau de milhopt-br)"라 불리며, 북부의 파라에서는 "흰옥수수 죽"이라는 뜻의 "밍가우 지 밀류 브랑쿠(밍가우 지 밀류 브랑쿠/mingau de milho brancopt-br)"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 "당나귀/바보 차"라는 뜻의 "샤 지 부후(샤 지 부후/chá de burropt-br)"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2. 1. 북동부 지역
브라질 북동부에서는 "뭉군자(mungunzápt)"나 "뭉구자(munguzápt)"로 불린다. "무군자(mugunzápt)", "뭉쿤자(muncunzápt)", "무쿤자(mucunzápt)", "망구자(manguzápt)" 등의 철자가 쓰이기도 한다. 어원은 킴분두어 "무쿤자(mu'kunzakmb)"이며, "익힌 옥수수"를 뜻한다. 아프리카계 브라질인 문화·종교에서는 조미하지 않고 조리한 버전이 "무쿤자"나 "에보"로 불리기도 한다. 이 지역에서 "칸지카"로 부르는 음식은 남부와 남동부에서는 "쿠라우"로 불린다.북동부 지역 안에서 북부와 경계를 접하는 메이우노르치(마라냥과 피아우이)에서는"옥수수 죽"이라는 뜻의 "밍가우 지 밀류()"라 불리며, 북부의 파라에서는 "흰옥수수 죽"이라는 뜻의 "밍가우 지 밀류 브랑쿠()"로 알려져 있다.
2. 2. 기타 지역
브라질 남부와 남동부, 연방구에서는 주로 "칸지카(canjicapt)"나 확대형인 "칸지캉(canjicãopt)"으로 불린다. 어원은 킴분두어 "칸지카(kanjikakmb)"이다.북동부에서는 "뭉군자(mungunzápt)"나 "뭉구자(munguzápt)"로 불린다. "무군자(mugunzápt)", "뭉쿤자(muncunzápt)", "무쿤자(mucunzápt)", "망구자(manguzápt)" 등의 철자가 쓰이기도 한다. 어원은 킴분두어 "무쿤자(mu'kunzakmb)"이며, "익힌 옥수수"를 뜻한다. 아프리카계 브라질인 문화·종교에서는 조미하지 않고 조리한 버전이 "무쿤자"나 "에보"로 불리기도 한다. 이 지역에서 "칸지카"로 부르는 음식은 남부와 남동부에서는 "쿠라우"로 불린다.
북동부 지역 안에서 북부와 경계를 접하는 메이우노르치(마라냥과 피아우이)에서는"옥수수 죽"이라는 뜻의 "밍가우 지 밀류()"라 불리며, 북부의 파라에서는 "흰옥수수 죽"이라는 뜻의 "밍가우 지 밀류 브랑쿠()"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 "당나귀/바보 차"라는 뜻의 "샤 지 부후()"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3. 만들기
말린 노란옥수수나 흰옥수수 알을 물 불려 뒀다가 쓴다. 옥수수에 우유, 연유, 코코넛밀크, 정향, 계피를 넣고 저으며 익혀 내는데, 우유와 크림을 섞어 쓰기도 하며, 땅콩이나 파소카를 넣어 만들기도 한다. 코코넛을 갈아 넣는 경우도 있다.
3. 1. 재료 및 조리법 변형
말린 노란옥수수나 흰옥수수 알을 물에 불려 뒀다가 쓴다. 옥수수에 우유, 연유, 코코넛밀크, 정향, 계피를 넣고 저으며 익혀 내는데, 우유와 크림을 섞어 쓰기도 하며, 땅콩이나 파소카를 넣어 만들기도 한다. 코코넛을 갈아 넣는 경우도 있다.참조
[1]
서적
The Formation of Candomble: Vodun History and Ritual in Brazil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9-07-05
[2]
서적
The Formation of Candomble: Vodun History and Ritual in Brazil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9-07-05
[3]
서적
브라질의 역사
https://books.google[...]
한국학술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