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등급 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등급 기구(CERO)는 일본의 게임 등급 심의 기구로, 게임 제작사들이 자체적으로 심사하던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비판에 대응하기 위해 2002년 6월 설립되었다. CERO는 회원제로 운영되며, 게임 내용에 따라 연령 등급을 분류하는데, 2006년 3월부터는 전체 이용가, 12세 이상, 15세 이상, 17세 이상, 18세 이상으로 등급을 구분한다. CERO는 게임의 내용 기술 아이콘을 제정하여 게임 패키지 뒷면에 표시하도록 하고, 심사를 통해 등급을 결정하며, 등급에 대한 의견과 비판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검열 - 고토바가리
고토바가리는 남북한 언어 명칭 차이 논의에서 '한글'이 문자 체계, '한국어'가 언어로 구분되어 사용되는 배경을 설명하며 올바른 언어 사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언어학적 용어이다. - 일본의 검열 - 에로그로넌센스
에로그로넌센스는 1920년대 말부터 1930년대 중반까지 일본에서 유행한 에로틱하고 그로테스크한 문화를 포괄하는 용어이며, 대공황과 2.26 사건 이후 쇠퇴하고 검열과 탄압 속에서도 언더그라운드 문화로 이어졌다. - 게임 등급 심의 - 범유럽 게임 정보
범유럽 게임 정보(PEGI)는 유럽의 비디오 게임 콘텐츠 등급 시스템으로, 연령 등급과 내용 설명자를 통해 부모가 자녀에게 적합한 게임을 선택하도록 돕고, 유럽 대부분 국가에서 공식 등급 시스템으로 채택되었으며 IARC 공동 설립을 통해 전 세계 디지털 게임 등급 분류를 간소화하는 데 기여한다. - 게임 등급 심의 -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ESRB)는 비디오 게임의 콘텐츠를 등급으로 분류하는 미국의 자율 규제 기구이다. - 2002년 설립 - 아프리카 연합
아프리카 연합은 아프리카 대륙의 거의 모든 독립국가를 회원국으로 하는 정부간 국제기구이며, 경제 통합과 정치적 안정을 증진시키고 아프리카 대륙의 통합을 목표로 하며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 2002년 설립 - 월드컵공원
월드컵공원은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위치한 대규모 생태공원으로, 과거 쓰레기 매립지였던 난지도를 복원하여 2002년 월드컵을 기념하며 평화의 공원, 하늘공원, 노을공원, 난지천공원, 난지한강공원 등 5개의 테마공원으로 조성되었다.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등급 기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명칭 |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등급 기구 (Computer Entertainment Rating Organization) |
일본어 명칭 | 特定非営利活動法人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レーティング機構 (Tokutei Hieiri Katsudō Hōjin Konpyūta Entāteinmento Rētingu Kikō) |
약칭 | CERO |
설립일 | 2002년 7월 |
설립 형태 | 비영리 단체 |
국가 | 일본 |
위치 | 도쿄도지요다구 |
대표 | 와타나베 카즈야 |
산업 분야 | 비디오 게임 콘텐츠 등급 시스템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조직 | |
기원 |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협회 |
주요 인물 | 이사장 시마다 진로 |
활동 | |
활동 지역 | 일본 |
주안점 | 게임 소프트웨어의 연령별 등급을 실시함으로써 일반 시민 및 사용자에게 게임 소프트웨어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청소년의 건전한 육성을 도모하며 사회의 윤리 수준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 |
활동 내용 | 게임 소프트웨어 심사 사업 및 심사원 모집, 연수, 육성 사업 게임 소프트웨어 환경 조사, 연구 및 심사 시스템 개선, 확충 사업 게임 소프트웨어의 연령별 등급 제도 보급 계발 사업 사회의 윤리 수준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국내외 단체와의 교류 협력 사업 |
2. 설립 배경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등급 기구(CERO) 설립 이전에는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PlayStation, PlayStation 2), 세가, 마이크로소프트(Xbox), 닌텐도(닌텐도 게임큐브, 게임보이 어드밴스) 등 각 게임기 제조사(라이센서)가 자체 심사 기준으로 게임을 심사했다.[12] 그러나 동일 게임이라도 라이센서 간 심사 기준 차이로 내용 수정이 불가피한 경우도 있었다.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등급 기구(CERO)는 회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CERO의 목적에 동의하여 입회한 개인 및 단체를 정회원으로, 목적에 동의하고 찬조하기 위해 입회한 개인 및 단체를 찬조회원으로 정의한다.[14] 국내 시장에서 게임을 판매할 때 CERO의 심사가 강제화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게임 제작사가 심사를 받기 위해 회원으로 가입하였다.[14]
CERO는 게임물의 내용에 따라 연령 등급을 분류한다. 초기에는 4개의 등급으로 분류하다가 2006년 3월 이후 5개의 등급으로 변경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게임 소프트웨어 비판에 대응하며, 타 국가보다 늦었던 레이팅을 보완하기 위해[12] 2002년 6월,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협회(CESA) 관련 단체로 설립되었고,[11] 같은 해 10월 심사를 시작했다.[12]
2002년 당시 게임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강했고, 일본 사회 분위기도 좋지 않았다. 게임 업계 자체는 레이팅 제도를 필요로 하지 않았지만, 사회 전반에 대한 입장 표명을 위해 CERO가 만들어졌다.[13]
3. 회원
4. 등급 분류
; 설립 초기 (2002년~2006년)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등급 기구(CERO)는 설립 초기, 게임물의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4개의 등급으로 분류하였다.[25][26]등급 구분 비고 전체 이용가 설립 당초부터 설정되어 있던 등급 구분. 12세 이상 15세 이상 18세 이상 교육·데이터베이스 나중에 추가된 등급 구분이지만, 설립 당초부터 설정이 예정되어 있었다.
대상 연령을 정하지 않고, 교육 또는 데이터베이스 계통에 해당하며, 게임성을 가지지 않는 소프트웨어가 구분된다.심사 예정 2003년에 추가된 등급 구분으로, 판매 촉진물 등에 표시되는 "심사 예정"은 판매 촉진물 등에,
"CERO 규정 적합"은 체험판에 표시된다. 이들에 대해서는 후에 CERO의 심사를 받을 예정 또는 진행 중이라는 의미가 있다.CERO 규정 적합
; 2006년 3월 이후
2006년 3월 이후, CERO는 5개의 등급으로 게임을 분류하고 있다.[27] 등급은 패키지 앞면에 표시되며, 'D(17세 이상 대상)' 등급은 일반적인 성인용 게임, 'Z(18세 이상만 대상)' 등급은 정부의 규제가 필요한 게임에 부여된다.[28]마크 등급 설명 한국 게임물관리위원회 비교 전 연령 대상/全年齢対象일본어 연령 제한이 적용되는 표현 및 콘텐츠가 없어 모든 연령대에 적합하다.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전체 이용가 12세 이상 대상/12才以上対象일본어 12세 이상에게 적합한 표현 및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다. 게임물관리위원회의 12세 이용가 15세 이상 대상/15才以上対象일본어 15세 이상에게 적합한 표현 및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다. 게임물관리위원회의 15세 이용가 17세 이상 대상/17才以上対象일본어 성인적인 내용을 포함하며, 17세 이상에게 적합한 표현 및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다.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청소년이용불가 18세 이상만 대상/18才以上のみ対象일본어 강한 성인적인 내용을 포함하며, 18세 미만은 구매가 불법이다.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청소년이용불가
"Z" 등급 게임은 유통 및 판매점에서 자율 규제를 통해 해당 연령 미만에게 판매 및 배포를 금지하고, 연령 확인을 필요로 한다.[28] 청소년 보호 육성 조례에 따라 유해 도서로 취급되며,[28] 보호자가 대리 구매하는 경우에도 확인 절차가 필요하다.[29]
2006년 2월 17일, CESA는 3월 이후 심사부터 레이팅 구분을 변경한다고 발표했다.[27] 이전에는 대상 연령 이상 권장에 그쳤고 판매 및 배포에 명확한 제약이 없었지만, 마츠자와 나리후미 가나가와현 지사(당시) 등이 '그랜드 테프트 오토 III'를 유해 도서로 지정하고, 가나가와현과 도쿄도 등 지방 자치단체의 요청으로 레이팅 구분을 재검토했다. 그 결과, 기존의 "18세 이상 대상"을 "Z"와 "D" 두 등급으로 세분화했다.
등급 마크는 게임 상자 앞면 왼쪽 하단에 표시되며, 해당 색상 막대가 상자 측면에 표시된다. (A는 검정, B는 녹색, C는 파란색, D는 주황색, Z는 빨간색)레이팅 구분 대상 연령 뒷표지 띠 색상 설명서 |50px|center]] A 전 연령 대상 검정 () |50px|center]] B 12세 이상 대상 녹색 () |50px|center]] C 15세 이상 대상 파랑 () |50px|center]] D 17세 이상 대상 주황 () |50px|center]] Z 18세 이상만 대상 빨강 ()
'교육/데이터베이스', 'CERO 규정 준수', '심사 예정' 등급도 존재한다. '교육/데이터베이스'는 도서와 같은 교육/유틸리티 소프트웨어에 적용되며, 'CERO 규정 준수'는 체험판, '심사 예정'은 최종 등급을 받지 않은 게임의 예고편 및 광고에 사용된다.[1]
닌텐도의 Wii, 닌텐도 DSi, 소니의 PlayStation 3, PlayStation Portable, 마이크로소프트의 Xbox 등 일부 게임 하드웨어는 연령 제한을 소프트웨어 데이터에 기록하고, 페어렌털 설정을 통해 관리한다.
4. 1. 설립 초기 (2002년~2006년)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등급 기구(CERO)는 설립 초기, 게임물의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4개의 등급으로 분류하였다.[25][26]
등급 구분 | 비고 | |
---|---|---|
전체 이용가 | 설립 당초부터 설정되어 있던 등급 구분. | |
12세 이상 | ||
15세 이상 | ||
18세 이상 | ||
교육·데이터베이스 | 나중에 추가된 등급 구분이지만, 설립 당초부터 설정이 예정되어 있었다. 대상 연령을 정하지 않고, 교육 또는 데이터베이스 계통에 해당하며, 게임성을 가지지 않는 소프트웨어가 구분된다. | |
심사 예정 | 2003년에 추가된 등급 구분으로, 판매 촉진물 등에 표시되는 "심사 예정"은 판매 촉진물 등에, "CERO 규정 적합"은 체험판에 표시된다. 이들에 대해서는 후에 CERO의 심사를 받을 예정 또는 진행 중이라는 의미가 있다. | |
CERO 규정 적합 |
4. 2. 2006년 3월 이후
2006년 3월 이후, CERO는 5개의 등급으로 게임을 분류하고 있다.[27] 등급은 패키지 앞면에 표시되며, 'D(17세 이상 대상)' 등급은 일반적인 성인용 게임, 'Z(18세 이상만 대상)' 등급은 정부의 규제가 필요한 게임에 부여된다.[28]마크 | 등급 | 설명 | 한국 게임물관리위원회 비교 |
---|---|---|---|
전 연령 대상/全年齢対象일본어 | 연령 제한이 적용되는 표현 및 콘텐츠가 없어 모든 연령대에 적합하다. |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전체 이용가 | |
12세 이상 대상/12才以上対象일본어 | 12세 이상에게 적합한 표현 및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다. | 게임물관리위원회의 12세 이용가 | |
15세 이상 대상/15才以上対象일본어 | 15세 이상에게 적합한 표현 및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다. | 게임물관리위원회의 15세 이용가 | |
17세 이상 대상/17才以上対象일본어 | 성인적인 내용을 포함하며, 17세 이상에게 적합한 표현 및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다. |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청소년이용불가 | |
18세 이상만 대상/18才以上のみ対象일본어 | 강한 성인적인 내용을 포함하며, 18세 미만은 구매가 불법이다. |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청소년이용불가 |
"Z" 등급 게임은 유통 및 판매점에서 자율 규제를 통해 해당 연령 미만에게 판매 및 배포를 금지하고, 연령 확인을 필요로 한다.[28] 청소년 보호 육성 조례에 따라 유해 도서로 취급되며,[28] 보호자가 대리 구매하는 경우에도 확인 절차가 필요하다.[29]
2006년 2월 17일, CESA는 3월 이후 심사부터 레이팅 구분을 변경한다고 발표했다.[27] 이전에는 대상 연령 이상 권장에 그쳤고 판매 및 배포에 명확한 제약이 없었지만, 마츠자와 나리후미 가나가와현 지사(당시) 등이 '그랜드 테프트 오토 III'를 유해 도서로 지정하고, 가나가와현과 도쿄도 등 지방 자치단체의 요청으로 레이팅 구분을 재검토했다. 그 결과, 기존의 "18세 이상 대상"을 "Z"와 "D" 두 등급으로 세분화했다.
등급 마크는 게임 상자 앞면 왼쪽 하단에 표시되며, 해당 색상 막대가 상자 측면에 표시된다. (A는 검정, B는 녹색, C는 파란색, D는 주황색, Z는 빨간색)
레이팅 구분 | 대상 연령 | 뒷표지 띠 색상 | 설명서 | |
---|---|---|---|---|
|50px|center]] | A | 전 연령 대상 | 검정 () | |200px]] |
|50px|center]] | B | 12세 이상 대상 | 녹색 () | |200px]] |
|50px|center]] | C | 15세 이상 대상 | 파랑 () | |200px]] |
|50px|center]] | D | 17세 이상 대상 | 주황 () | |200px]] |
|50px|center]] | Z | 18세 이상만 대상 | 빨강 () | |200px]] |
'교육/데이터베이스', 'CERO 규정 준수', '심사 예정' 등급도 존재한다. '교육/데이터베이스'는 도서와 같은 교육/유틸리티 소프트웨어에 적용되며, 'CERO 규정 준수'는 체험판, '심사 예정'은 최종 등급을 받지 않은 게임의 예고편 및 광고에 사용된다.[1]
닌텐도의 Wii, 닌텐도 DSi, 소니의 PlayStation 3, PlayStation Portable, 마이크로소프트의 Xbox 등 일부 게임 하드웨어는 연령 제한을 소프트웨어 데이터에 기록하고, 페어렌털 설정을 통해 관리한다.
5. 내용 기술 아이콘
2004년 4월, CERO는 '내용 기술 아이콘'을 제정하여 전연령 대상 등급을 받은 게임을 제외한 모든 게임에 대해 패키지 뒷면에 표시하도록 했다.[39][40] 내용 기술 아이콘은 게임 내용에 포함된 표현을 아이콘으로 나타낸 것으로, 닌텐도 e숍, PlayStation Store, Xbox Games 스토어에서도 대상 연령과 함께 표시된다.[40]
내용 기술 아이콘은 다음과 같은 9가지 종류가 있다.
콘텐츠 아이콘은 소프트웨어에 따라 표기 순서가 다를 수 있으며, 발매 시기나 레이팅 차이에 따라 동일 타이틀이라도 하드웨어마다 다를 수 있다. 또한, 일부 게임 소프트웨어 공식 사이트에서 콘텐츠 아이콘 정보가 잘못 기재되거나, 패키지에 잘못된 아이콘이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 과도한 폭력, 범죄 등의 표현을 포함하는 "Z" 구분 소프트웨어는 "폭력", "범죄" 또는 둘 중 하나만 부여된다.
6. 심사
CERO의 수석 이사인 와타나베 카즈야에 따르면, 평가자 그룹은 게임 업계와 관련이 없는 다섯 명의 일반인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과거 게임을 평가하여 훈련을 받는다. 심사위원은 공정하고 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20세 이상이고 게임 관련 기업에 종사하지 않는 사람이면 누구나 응모할 수 있다.[47]
심사 절차는 다음과 같다.
# 심사 대상 게임의 영상과 희망하는 연령 구분을 명시한 문진표, 세계관 등을 기술한 자료, 심사 의뢰서를 CERO에 송부한다.
# 이러한 정보를 심사 기준을 바탕으로 작성된 매뉴얼에 따라 3명의 심사위원이 대상 연령을 결정한다.
#:: 게임 소프트웨어에 따라 여러 타이틀을 하나의 패키지로 수록하는 형식(옴니버스 게임)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수록된 모든 타이틀을 심사한다.
#:: 여러 타이틀을 수록하는 경우 ("A・B" 구분이 혼재되는 것처럼) 대상 연령 구분이 혼재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대상 연령이 가장 높은 쪽을 채택한다. 다음은 메이커에서 명시한 내용이다.
#::: 레벨 파이브(LEVEL-5)에서 발매한 『GUILD01』에서는 각자 게임의 단독 판매에서 『CRIMSONSHROUD』가 "B" 구분이 되었고, 『해방 소녀』, 『렌탈 무기상 de 오마세』, 『AERO PORTER』의 3개 타이틀이 "A" 구분이 되었다.[48]
#::: 반다이남코 엔터테인먼트(Bandai Namco Entertainment)에서 발매한 남코 뮤지엄 Vol.2에서는 수록 타이틀 중 『롤링 선더(Rolling Thunder)』만이 "12세 이상 대상" 구분이 되었다.[49]
#:::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Konami Digital Entertainment)에서 발매된 『파워프로군 포켓 대시』는 게임보이 어드밴스판 발매 당시(2006년) "전 연령"으로 지정되었지만, 2021년에 발매된 『파워프로군 포켓 R』의 특전으로 닌텐도 스위치에 이식[50]되면서 재심사를 통해 레이팅이 "B"로 상향되었다.
# 심사 결과를 메이커에 반송한다. 여기서 메이커가 동의하면 심사를 종료하고,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심사한다.
# 게임 소프트웨어 완성 후, 보존용으로 소프트웨어 1개를 CERO에 납품한다.
이처럼 진행되며[12][10][47][51], 빠르면 발매 예정일 2~3개월 전에 심사를 종료하고, 늦어도 1개월 전까지 심사를 종료하여 대상 연령이 발표된다.
게임 소프트웨어 심사를 의뢰하는 측은 심사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10] 비회원인 경우에도 심사가 가능하지만, 회원의 3배가 된다.[52]
6. 1. 징계 처분 및 재심사 사례
아틀리에 메루루 ~아란드의 연금술사 3~는 처음 출시 한 달 만에 등급이 잘못 매겨져 출하가 중단되었다.[3] 며칠 후 CERO로부터 B 등급을 받아 재출시되었다.[4] 게임 내 일부 암시적인 주제로 인해 A(전연령) 등급이 철회되고 대신 B(12세 이상) 등급을 받았다. 이 게임은 원래 거스트가 검토할 게임의 전체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았다고 주장하여 전체 연령 등급을 받았다. 구체적으로, 작중 남성 캐릭터의 목욕 장면에 남성의 둔부를 노출하는 표현이 문제가 되었다.[55]CERO는 다른 비디오 게임 등급 위원회에 비해 게임 콘텐츠에 더 엄격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2020년에는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II''가 CERO에서 받을 수 있는 최고 등급인 Z(18세 이상) 등급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게임의 성적 콘텐츠 등이 검열을 받았다.[5] 일본 버전에서는 두 등장인물이 키스를 시작한 직후 장면이 잘려나가 다른 버전에서 볼 수 있는 노출이 제거되었다. 또한 게임의 폭력성도 일부 검열되어 게임에서 볼 수 있는 고어와 신체 절단 장면이 일본 버전에서 삭제되었다.[6]
''칼리스토 프로토콜''#REDIRECT 넘겨주기 분류 셸의 일본 출시가 게임의 폭력적인 내용으로 인해 CERO 등급을 받지 못하고 개발자가 필요한 변경을 거부하면서 취소되었다.[7]
2015년 패미통 잡지에 기고한 컬럼 모음집에서 비디오 게임 개발자이자 대난투 스매시 브라더스 시리즈 제작자인 사쿠라이 마사히로는 폭력보다 성적 콘텐츠에 대한 기준이 더 엄격하다며 CERO를 비판했다. 대난투 스매시 브라더스 for 닌텐도 3DS / Wii U의 팔레트나와 원더 핑크의 캐릭터 모델과 관련하여 CERO와 겪었던 갈등을 언급하며, 개발자들이 CERO가 플레이어가 캐릭터로 팬티 노출 사진을 찍을 수 있다는 이유로 "성적으로 도발적"이라고 간주한 캐릭터 모델을 지속적으로 수정해야 해서 게임이 거의 지연될 뻔했다고 주장했다. 사쿠라이는 이러한 디자인이 결코 선정적인 의도가 없었으며, CERO의 요구를 "터무니없고 솔직히 유치하다"고 비난했다.[8][9]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 일본어판은 발매 전 CERO 심사를 통과하기 위해 PC판을 포함한 모든 플랫폼에서 표현 규제를 할 것이 발표되었으나,[56] 발매 후 당초 발표 내용에 포함되지 않은 ''''유혈 표현'''''' 삭제가 이루어진 것이 밝혀졌다. UBI는 관계 기관과 협의 후 표현 수정을 재검토한 결과라고 해명했지만,[57] CERO는 '동사로부터 일절 연락도 협의 요청도 받지 않았으며 무관계'라고 반론했다.[58] 이후 조사에서 UBI 측의 문제였던 것이 판명되어, ''''유혈 표현''''''을 켜기 위한 패치 배포가 발표되었다.[59] 이후 CERO는 보도 자료를 통해 레이팅 아이콘이 부여된 본작의 '''미심사판'''이 Uplay에서 일시적으로 다운로드 판매되었다고 공표하고, UBI에 설명을 요구하고 있다.[60]
7. 적용 기기
다음은 2020년 10월 기준 CERO 등급 분류가 적용되는 기기 목록이다.[2]
제조사 | 콘솔/기기 |
---|---|
세가(SEGA) | 세가 새턴 |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 PS1 |
닌텐도 | 닌텐도 64 |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Bandai Namco Entertainment) | 원더스완 |
마이크로소프트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
PC 제조사 | PC |
휴대폰 제조사 | 휴대폰 |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업체 |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
8. 레이팅에 대한 의견과 비판
캡콤이 개발·판매하는 몬스터 헌터 시리즈는 "C"(15세 이상 이용가) 등급으로 구분되어 있지만, 초등학생을 주요 독자로 하는 코믹지인 월간 코로코로 코믹 등에서 매호마다 다루어지고 있다. 또한 2019년부터는 같은 "C" 등급인 포트나이트의 특집을 구성하고 있다. 편집부는 "레이팅은 알고 있지만, 독자들의 요구가 있어 독자적인 판단으로 다루고 있다"고 밝혔으며, 개발자는 "초등학생도 게임을 알았으면 하는 마음이 있다"고 밝힌 뒤 "레이팅은 어디까지나 참고 사항이다. 법률 규제가 아니며,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그에 대해 한 학부모는 "초등학생의 구매 의욕을 부추기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2009년 8월에는 반다이 남코 게임스(후의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의 DS용 소프트 '아이돌마스터 디어리 스타즈'가 "C" 등급이지만, 초등학생 여아를 주요 독자로 하는 코믹지 나카요시나 미취학 남아를 주요 독자로 하는 TV 매거진에서 다루어지거나, 반다이 남코 자체가 편집·발행하는 게임 판매점용 프리 페이퍼인 Side-BN에 이 작품을 "여자아이에게도 추천하는 주목 게임"으로 선전하는 등, 저연령 여아 대상 판촉을 공공연히 하고 있었다.
닌텐도도 패미통 크로스 리뷰의 제작사 앙케이트에서 "B"(12세 이상 이용가)·"C" 등급의 소프트에 관해서도 "누구나 즐길 수 있다"는 취지를 소개하고 있다('패미통'에서는 "Z"(18세 이상 이용가) 등급의 소프트도 특집으로 다루는 경우가 있지만, 기사를 게재할 때 "패미통'의 게재 기준에 따라 고려하고 있다"는 단서를 란외에 기재하고 있다). 닌텐도 또한 최초의 "D"(17세 이상 이용가) 등급 게임 소프트 '참격의 REGINLEIV'를 발매하는 등, 레이팅에 배려한 게임 제작과는 선을 긋는 움직임을 보여왔다.
8. 1. 잡지 게재에 관하여
CERO는 등급 심의와 관련하여 여러 논란을 겪었다. 아틀리에 메루루 ~아란드의 연금술사 3~는 출시 한 달 만에 등급이 잘못 매겨져 출하가 중단되었다가 며칠 후 B 등급(12세 이상)을 받아 재출시되었다.[3][4] 게임 내 일부 암시적인 주제로 인해 A 등급(전연령)이 철회되었는데, 거스트는 검토를 위해 게임의 전체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II는 Z 등급(18세 이상)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성적 콘텐츠 등이 검열되어, 정사 장면이 삭제되고 노출이 제거되었다.[5] 또한, 폭력성도 일부 검열되어 고어와 신체 절단 장면이 일본 버전에서 삭제되었다.[6] ''칼리스토 프로토콜''의 일본 출시는 폭력적인 내용으로 인해 CERO 등급을 받지 못하고 개발자가 변경을 거부하면서 취소되었다.[7]
비디오 게임 개발자이자 대난투 스매시 브라더스 시리즈 제작자인 사쿠라이 마사히로는 패미통 잡지에 기고한 컬럼에서 폭력보다 성적 콘텐츠에 대한 기준이 더 엄격하다며 CERO를 비판했다.[8][9] 대난투 스매시 브라더스 for 닌텐도 3DS / Wii U의 팔레트나와 원더 핑크의 캐릭터 모델과 관련하여 CERO와 겪었던 갈등을 언급하며, 플레이어가 캐릭터로 팬티 노출 사진을 찍을 수 있다는 이유로 "성적으로 도발적"이라고 간주된 캐릭터 모델을 지속적으로 수정해야 했고, 이 때문에 게임이 거의 지연될 뻔했다고 밝혔다. 사쿠라이는 이러한 디자인이 결코 선정적인 의도가 없었으며, CERO의 요구를 "터무니없고 솔직히 유치하다"고 비난했다.[8][9]
8. 2. 레이팅 제도에 따른 영향
일본PTA전국협의회의 조사에 따르면, 보호자들이 레이팅 제도를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Z 등급 게임을 중·고등학생이 보유하는 등 레이팅의 실효성 문제로 이어진다.'포 아너' 대회에서는 15세 플레이어가 우승하는 사례가 발생하여 연령 제한 규칙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대난투 스매시 브라더스 SPECIAL'은 CERO A 등급을 받았지만, 이로 인해 일부 캐릭터의 등장이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아틀리에 메루루 ~아란드의 연금술사 3~는 처음 출시 당시 등급 오류로 인해 출하가 중단되었다가, 암시적인 주제로 인해 CERO B(12세 이상) 등급으로 재출시되었다.[3][4] 거스트는 검토를 위해 게임의 전체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아 이러한 문제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CERO는 다른 비디오 게임 등급 위원회에 비해 콘텐츠 심의가 엄격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5]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II는 CERO Z(18세 이상) 등급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성적 콘텐츠와 폭력성이 검열되어 일본 버전에서는 정사 장면과 고어, 신체 절단 장면이 삭제되었다.[5][6] ''칼리스토 프로토콜''은 폭력적인 내용으로 인해 CERO 등급을 받지 못했고, 개발자가 수정을 거부하면서 일본 출시가 취소되었다.[7]
사쿠라이 마사히로는 패미통 컬럼에서 CERO가 폭력보다 성적 콘텐츠에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다며 비판했다.[8][9] 대난투 스매시 브라더스 for 닌텐도 3DS / Wii U 개발 과정에서 CERO가 팬티 노출 사진을 찍을 수 있다는 이유로 팔레트나와 원더 핑크의 캐릭터 모델을 "성적으로 도발적"이라고 판단하여 지속적인 수정을 요구했고, 이로 인해 게임 출시가 지연될 뻔했다고 밝혔다.[8][9] 사쿠라이는 이러한 디자인이 선정적 의도가 없었으며 CERO의 요구가 "터무니없고 유치하다"고 비난했다.[8][9]
일본 마이크로소프트는 Xbox Game Pass 서비스 지연 이유로 CERO의 존재를 언급하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CERO - Ratings Wiki Guide - IGN
http://www.ign.com/w[...]
2018-04-21
[2]
웹사이트
Rating System|CERO (official homepage)
https://www.cero.gr.[...]
2024-11-11
[3]
웹사이트
Atelier Meruru game held back in Japan due to rating
http://www.animenews[...]
Anime News Network
2011-11-01
[4]
웹사이트
Atelier Meruru PS3 RPG age rating changed to 12+
http://www.animenews[...]
2011-07-31
[5]
웹사이트
The Last of Us 2 Censors Abby Scene in Japan
https://gamerant.com[...]
2024-02-08
[6]
웹사이트
How The The Last of Us Part II Was Censored in Japan
https://www.youtube.[...]
YouTube
[7]
웹사이트
The Callisto Protocol Cancels Japanese Release After Refusing to Censor Violence
https://www.pushsqua[...]
Gamer Network
2022-10-27
[8]
서적
桜井政博のゲームを遊んで思うこと2
Kadokawa
2015-06-25
[9]
웹사이트
CERO and Palutena's Censorship
https://sourcegaming[...]
2024-05-03
[10]
웹사이트
インターネット上の違法・有害情報への対応に関する検討会(配付資料3)
https://www.soumu.go[...]
総務省
2008-02-27
[11]
웹사이트
CESA、ゲームソフトに年齢別レーティングを設定する独立機構「CERO」を設立
https://www.watch.im[...]
Impress Watch
2002-06-07
[12]
웹사이트
ゲーム・ソフトの倫理自主規制「年齢別レーティング」,2002年10月から開始
https://xtech.nikkei[...]
日経テクノロジーオンライン
2002-07-29
[13]
웹사이트
海外版と日本版ではどうして表現や内容が違うのか。今,あえてCEROに聞く「レーティング制度」の現状について
https://www.4gamer.n[...]
2022-10-27
[14]
웹사이트
機構の概要
http://www.cero.gr.j[...]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レーティング機構
2008-06-27
[15]
웹사이트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レーティング機構 ゲームソフトに内容を示すアイコンを新設
https://game.watch.i[...]
2023-01-22
[16]
문서
ゲームアーカイブスで配信されるソフトも含む。
[17]
문서
Nintendo Switchのダウンロードソフト(パッケージの販売がないソフト)の一部では、国際年齢評価連合(IARC)のレイティングを採用している。
[18]
문서
バーチャルコンソールで配信されるソフトも含む。
[19]
문서
Xbox Live|Xbox Live インディーゲームは対象外となっている。
[20]
문서
Xbox One、Xbox Series X/Sのダウンロードソフト(パッケージの販売がないソフト)の一部では、国際年齢評価連合(IARC)のレイティングを採用している。
[21]
문서
Microsoft Windows|Windows・macOSなどの非アダルトゲームを含む。
[22]
문서
Microsoft Storeのダウンロードソフト(パッケージの販売がないソフト)の一部では、国際年齢評価連合(IARC)のレイティングを採用している。
[23]
문서
Android (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Android、iPhone(iOS)、Windows Phoneなど。2011年から審査の対象に追加している。
[24]
웹사이트
年齢別レーティング制度とは? - 1. レーティングの適用範囲
https://web.archive.[...]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レーティング機構
2008-06-27
[25]
웹사이트
CEROレーティングマークについて
https://www.jp.plays[...]
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2008-06-27
[26]
웹사이트
『Nintendo みまもり Switch』の設定変更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22-12-31
[27]
웹사이트
CEROのレーティング制度が3月1日をもって変更。18歳未満への販売禁止区分を新設
https://dengekionlin[...]
電撃オンライン
2006-02-17
[28]
웹사이트
CESA、CEROレーティング制度を変更 18歳以上対象ソフトの販売を「自粛」から「禁止」へ
https://www.watch.im[...]
Impress Watch
2006-02-17
[29]
문서
'"CERO年齢別レーティング制度"の第4回実態調査結果について'
[30]
웹사이트
CERO倫理規定(別表3)
https://web.archive.[...]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レーティング機構
2008-04-24
[31]
웹사이트
【お知らせ】「グランド・セフト・オート・サンアンドレアス」海外版と国内版の仕様変更について
http://www.capcom.co[...]
カプコン
2007-01-19
[32]
웹사이트
12月4日発売予定のXbox 360用ソフト「Fallout 3」日本語版と北米版(オリジナル)の表現および内容の違いについて
https://bethesda.net[...]
ベセスダ・ソフトワークス
2007-11-10
[33]
웹사이트
ジャストコーズ3「海外版との仕様の違いについて」
http://www.sqex-ee.j[...]
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2015-11-10
[34]
웹사이트
Game Dudeの「大人のための海外ゲームレポート」 第41回「MadWorld」
https://game.watch.i[...]
GAME Watch
2009-04-08
[35]
웹사이트
プラチナゲームズ『マッドワールド』インタビュー
https://www.famitsu.[...]
ファミ通.com
2008-05-23
[36]
문서
マッドワールド
[37]
문서
任天堂はパソコン上でもニンテンドーeショップを利用可能になって以降これまでに発売されたものも含む3DS、Wii Uソフト。ソニーおよびマイクロソフトは公式サイトにおける一部ゲームソフトの商品情報ページ内。
[38]
문서
マイニンテンドーストア、イーカプコンの2サイト。
[39]
서적
テイルズ オブ ジ アビス PlayStation 2 the Best
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2006
[40]
웹사이트
ゲームソフトのレーティング制度を充実します(コンテンツディスクリプターの新設)
https://web.archive.[...]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レーティング機構
2008-06-27
[41]
웹사이트
Alan Wake
https://marketplace.[...]
マイクロソフト
[42]
웹사이트
テニスの王子様 ぎゅっと!ドキドキサバイバル 海と山のLove Passion
https://web.archive.[...]
コナミ
[43]
문서
当作以降コナミは一部ゲームソフトの公式サイトで行っていたコンテンツアイコンの併記をしていない。
[44]
웹사이트
戦国BASARA 真田幸村伝
https://www.e-capcom[...]
イーカプコン
[45]
웹사이트
パッケージ(化粧紙)のコンテンツディスクリプターアイコン誤表記についてお知らせとお詫び
https://www.d3p.co.j[...]
ディースリー・パブリッシャー
2017-01-11
[46]
문서
暴力、犯罪以外のコンテンツアイコンが表示されているソフトも含まれているため。CERO公式サイト内のタイトル検索ページではコンテンツアイコンは表示されていない。
[47]
웹사이트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レーティング機構//審査員募集
https://www.cero.gr.[...]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レーティング機構
2008-06-27
[48]
웹사이트
「GUILD01」に収録された4作品をニンテンドー3DS™用ダウンロードソフトとしてニンテンドーeショップで配信決定!
https://www.guild-se[...]
レベルファイブ
[49]
웹사이트
ナムコミュージアム Vol.2
https://www.bandaina[...]
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50]
문서
Switchでは2作品はそれぞれ別のゲームソフト扱いだが、Switch版『パワポケダッシュ』の入手は『パワプロクンポケットR』の購入が必要(単独配信の販売予定はない)なので、事実上の1本のパッケージ扱いとなる。
[51]
웹사이트
「このゲームの対象年齢は15歳以上」――誰がどうやって決めている?
https://www.itmedia.[...]
ITmedia
2008-06-27
[52]
웹사이트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レーティング機構が説明会を開催 社会的倫理水準と表現の自由の適合点を探る
https://game.watch.i[...]
Impress Watch
2020-12-09
[53]
간행물
「レーティング取消し」のお知らせ
https://web.archive.[...]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レーティング機構
2011-07-28
[54]
간행물
メルルのアトリエ〜アーランドの錬金術士3〜 レーティング変更のお知らせ
http://atelier-ps3.j[...]
ガスト
2011-07-29
[55]
웹사이트
ジーノのケツがまずかったのかな? ...
https://x.com/mellco[...]
Twitter
2011-07-28
[56]
웹사이트
【UBIDAY2020】「アサシン クリード ヴァルハラ」日本向け規制はPC版でも適用
https://game.watch.i[...]
GAME Watch
2020-12-01
[57]
웹사이트
CERO「『アサシン クリード ヴァルハラ』は流血表現アリで審査通っていた」 日本版の表現修正、UBIの説明に反論
https://nlab.itmedia[...]
ねとらぼ
2020-12-01
[58]
웹사이트
ユービーアイソフト社11月18日付け発表文について
https://www.cero.gr.[...]
2020-11-30
[59]
웹사이트
ユービーアイ、「アサクリ ヴァルハラ」流血表現は「不具合」と追加で報告。修正するパッチを後日配信予定
https://game.watch.i[...]
GAME Watch
2020-12-01
[60]
웹사이트
ユービーアイソフト株式会社「アサシン クリード ヴァルハラ」 未審査版の販売について
https://www.cero.gr.[...]
CERO
2020-12-02
[61]
웹사이트
SFホラー『The Callisto Protocol』日本発売中止へ。CEROのレーティングを通過できなかったため
https://automaton-me[...]
2022-10-27
[62]
웹사이트
どこまでOKでどこからNG? レーティングのあれこれをCEROに聞いてみた
https://web.archive.[...]
Kotaku Japan
2011-02-04
[63]
문서
XboxIndiesGamesについては例外で、複数のユーザによるレイティング判断により決定する。
[64]
웹사이트
国内PlayStation Storeがついに「IARCレーティング」に対応。一部を除き、 CEROの審査なしでリリース可能に
https://automaton-me[...]
Automaton
2022-10-27
[65]
문서
2004年4月以降に発売されたゲームソフトでコンテンツアイコンの併記がない、併記されたコンテンツアイコンがCEROに存在しないまたは他国のレーティング機関のもの、暴力表現の低いソフトが「D」か「Z」に区分されている、開発・発売元メーカーによるゲームソフトの公式サイトにレーティングの記載がない、CERO公式サイト内のタイトル検索に情報が記載されていない、など。
[66]
문서
例として、任天堂は2008年8月までの『[[マリオカートWii]]』を除く「A」区分の自社ゲームソフトの公式サイトにCEROのレーティングの記載がされていなかった。2008年9月以降の一部自社ゲームソフトの公式サイトにもCEROのレーティングの記載がされていないものもある。
[67]
웹사이트
タイトル検索
http://www.cero.biz/[...]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レーティング機構
[68]
문서
任天堂は「Z」区分を除くGBA、DS、Wiiのサードパーティーソフトと自社ゲームソフトを含むWiiバーチャルコンソールの商品情報ページにCEROのレーティングの記載がされていない。
[69]
문서
番外作の『[[モンハン日記 ぽかぽかアイルー村]]』と『[[モンスターハンター ストーリーズ]]』は比較的抑え目な表現のため「A」に区分されている。
[70]
뉴스
過激ゲーム 小学生に人気
静岡新聞社
2008-06-25
[71]
웹사이트
子どもとメディアに関する意識調査 調査結果報告書 平成20年3月
http://www.nrsquare.[...]
社団法人日本PTA全国協議会
2008-03-00
[72]
웹사이트
UBIの公式ゲームイベント CERO Zの18禁ゲームで15歳が優勝してしまう事態に!
https://gogotsu.com/[...]
ゴゴ通信
2017-10-09
[73]
웹사이트
JCGが『フォーオナー』の大会に関するお詫びとルール改定を発表―年齢制限を追加
https://www.gamespar[...]
インサイド
2017-10-11
[74]
웹사이트
“コンソールゲームのサブスク”ついに日本にも! Xbox Game Pass日本サービス詳報 - GAME Watch
https://game.watch.i[...]
Impress Watch
2020-04-08
[75]
웹사이트
CERO特集 第5回 CEROによるレーティングとその弊害
https://www.inside-g[...]
インサイド
2004-02-29
[76]
웹사이트
【CEDEC 2006】セガの名越氏が『龍が如く』にこめた強い信念とは?
https://www.famitsu.[...]
ファミ通.com
2006-08-30
[77]
웹사이트
カプコン稲船さん:CEROは暴力表現だけでなく、全体を見てレーティングしてほしい
https://web.archive.[...]
Kotaku Japan
2010-08-09
[78]
서적
桜井政博のゲームを遊んで思うこと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