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문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 문화는 그리스의 역사, 철학, 문학, 예술, 음악, 건축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서구 문화와 세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고대 그리스는 미노아 문명과 미케네 문명을 거쳐 폴리스를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철학, 연극,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다. 비잔틴 제국 시기에는 동로마 제국을 중심으로 동방 정교회와 그리스 문화를 융합하여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했으며, 오스만 제국 지배 하에서도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하며 독립을 쟁취했다. 독립 이후 현대 그리스는 유럽 연합 가입과 경제 발전을 이루었지만, 경제 위기와 사회적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20세기 문학, 음악,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창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문화 - 헬레니즘 문명
헬레니즘 문명은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망 후 로마 제국이 지중해를 지배하기 전까지 그리스 문화와 동방 세계가 융합되어 발전한 문화로, 19세기 독일 역사학자 드로이젠이 처음 사용한 용어이며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크 등이 문화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 그리스의 문화 - 그리스 영화
그리스 영화는 1897년 시작되어 1950년대와 60년대 "황금기"를 거쳐 미할리스 카코야니스, 멜리나 메르쿠리 등의 활약과 《그리스인 조르바》의 성공이 있었지만, 1970년대 이후 어려움을 겪다가 테오 앙겔로풀로스, 요르고스 란티모스 등의 감독을 통해 명맥을 유지하며 "그리스 괴물 파"라는 새로운 흐름으로 주목받고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그리스 문화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민족 | 그리스인 |
축제 | 그리스의 공휴일 |
요리 | 그리스 요리 |
예술 및 문화 | |
연극 | 현대 그리스 연극 |
문학 | |
고대 문학 | 고대 (기원전 4세기까지) |
비잔틴 문학 | 비잔틴 (4~15세기) |
현대 문학 | 현대 (11세기 이후) |
역사 | |
종교 | |
스포츠 |
2. 역사
2. 1. 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 문명은 기원전 3000년경 미노아 문명을 시작으로, 미케네 문명을 거쳐 기원전 8세기부터 폴리스(도시 국가)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다.[3] 미노아 문명은 크레타 섬과 다른 에게 해 제도에서 번영하였으며, 크노소스 궁전과 같은 건축물을 건설했다. 미케네 문명은 미케네, 티린스, 필로스에 궁전 건축물을 세웠다. 그리스 암흑기 이후, 건축 양식은 고대 로마 건축과 신고전주의 건축에 영감을 준 양식으로 발전했다. 파르테논 신전과 에렉테이온 신전과 같은 고대 그리스 신전과 극장이 대표적인 예시이다.[3]

기원전 6세기, 이오니아(소아시아 연안) 지방에서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헤라클레이토스 등 자연 철학자들이 등장하여 세계의 근원에 대한 탐구를 시작했다.[3] 이들은 세계의 물질적 구성의 원리, 즉 시원형질(始源形質)에 대한 의문을 가졌고, 그 결과 ‘물(탈레스)’, ‘무한자(無限者:어떤 무규정한 것, 아낙시만드로스)’, ‘공기(아낙시메네스)’ 등 사변(思辨)에 대한 답변은 여러 가지인데 어느 것이나 자연을 물리적으로 모색하고 있으므로 그들을 이오니아의 자연철학자라고 부른다. 그러나 페르시아 전쟁으로 인해 피타고라스 등이 서쪽 대(大)그리스 식민지(남이탈리아·엘레아)에 옮겨, 이후 얼마 동안 그곳이 학문의 중심지가 되었다(엘레아파).
페르시아 전쟁(기원전 492-449년)에서 승리한 아테네는 델로스 동맹을 주도하며 그리스 세계의 패권을 장악하고, 민주주의와 문화의 황금기를 맞이했다.[3] 페르시아 전쟁의 승리는 그리스인의 문화 창조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 철학이 문학·예술상 크게 변화를 보였으며, 그리스인의 관심의 중심이 신화에서 그리고 자연에서 탈피하여 모두 인간 그 자체에 집중한 것이다. 대승리는 그들에게 인간의 능력과 의지에 대해 자신을 주고, 이것이 ‘인간 관심의 문화’ 창조에 대한 충동이 되었다.

고대 그리스 음악은 리라와 그 시대의 다른 보조 현악기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피타고라스 음계의 구조적 유산과 관련된 수학적 발전 외에는 알려진 바가 적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춤이 신들에 의해 발명되었으며 종교 의식과 관련이 있다고 믿었다. 고대 그리스에는 여러 가지 상호 연관된 회화 전통이 있었으며, 가장 존경받는 예술 형태는 나무 판에 그린 개별적인 이동식 그림이었다. 고대 그리스의 많은 인물 조각이나 건축 조각은 다채롭게 채색되었으며, 폴리크롬(그리스어 ''πολυχρωμία'', ''πολύ'' = 많은, ''χρώμα'' = 색깔에서 유래)으로 묘사된다.[3]

연극은 그리스에서 탄생했으며, 폴리스 고대 아테네가 중심지였다. 디오뉴시아라는 축제의 일부로 제도화되었으며, 디오니소스 신을 기리는 것이었다. 비극(기원전 6세기 후반), 희극(기원전 486년), 그리고 사티로스극이라는 세 가지 극적인 장르가 등장했다.[9]
펠로폰네소스 전쟁(기원전 431-404년)에서 스파르타에 패배한 아테네는 쇠퇴하였고, 이후 마케도니아 왕국의 필리포스 2세와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정복되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 원정으로 그리스 문화는 헬레니즘 세계로 확산되었고, 동서 문화 융합의 계기가 되었다.


서구 문학 전통에서 가장 먼저 기록된 작품은 호머와 헤시오도스의 서사시이다. 초기 그리스 서정시는 서정시 장르를 정의하는 데 기여했다. 아이소포스는 기원전 6세기에 그의 『우화』를 저술했다. 고대 그리스는 연극의 발상지로 여겨지며, 아이스킬로스는 희곡에 대화와 상호 작용하는 등장인물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사실상 "드라마"를 발명했다.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는 종종 역사 연구를 발전시킨 것으로 여겨진다. 철학은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문학에 진입했고, 그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시학』에서 문학 비평의 최초의 기준을 제시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 전통은 그리스 문학의 발전과 함께했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 그리스 철학자들의 저술은 고전 사상, 이슬람 황금기, 그리고 르네상스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19] 의학 분야에서 의사들은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참고하는데, 이는 의학을 과학으로서의 기초를 놓는 데 가장 중요한 인물로 여겨지는 히포크라테스가 제정한 것이다. 고전 그리스 시대(기원전 800년부터 마케도니아의 부상까지)는 그리스 과학의 발전과 가장 흔히 관련되는 시대이다. 밀레토스의 탈레스는 과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피타고라스는 "수의 아버지"로 불리는 수학자였으며, 피타고라스 정리는 일반적으로 그에게 귀속된다. 알렉산더의 정복 이후의 헬레니즘 시대는 이러한 지식을 계승하고 발전시켰다.
2. 2. 중세 그리스: 비잔틴 제국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동로마 제국, 즉 비잔틴 제국은 그리스 문화와 동방 정교회를 중심으로 번영하였다.[4] 비잔틴 제국은 콘스탄티노플을 수도로 하여 천 년 이상 지속되었으며, 동서 유럽과 중동 지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비잔틴 건축은 성 소피아 대성당을 비롯한 웅장한 건축물들을 남겼다.[5] 파르테논이 고대 그리스 종교의 상징이었던 것처럼, 성 소피아 대성당은 기독교의 상징적인 교회로 여겨졌다. 고대에는 사제만 접근할 수 있는 내부에 신의 숭배 조각상이 보관되었기 때문에 외부가 중요했지만, 기독교 예배는 교회 내부에서 거행되었기 때문에 외부는 장식이 거의 없었다.[5] 비잔틴 건축은 대리석 기둥, 금색 배경의 모자이크를 광범위하게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6][7] 호시오스 루카스 수도원의 모자이크는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준다.


비잔틴 미술은 '추상적'이거나 자연주의에 반대되는 성격을 띠며, 상징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 비잔틴 회화는 주로 이콘과 성인전에 집중했다.

비잔틴 음악은 전례 성가가 르네상스 음악의 기초가 되었기 때문에 유럽 음악사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4세기, 5세기, 6세기 그리스-로마 세계 전역에 걸친 기독교의 성장과 비잔티움 제국의 헬레니즘화는 기독교, 그리스, 동방의 영향을 결합한 독특한 문학 형식을 형성하게 되었다.

밀레투스의 이시도루스와 트랄레스의 안테미우스는 성 소피아 대성당의 건축가로서 건축 형태에 관한 수학적 이론과 다중 돔 구조를 창출하는 데 필요한 수학적 조화에 기여했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블루 모스크를 건설한 오스만 건축가 미마르 시난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그리스 정교회는 비잔티움 제국의 그리스 역사에서의 중요성과 그리스 혁명에서의 역할 때문에 현대 그리스의 주요 기관이다.


2. 3. 근대 그리스: 오스만 제국과 독립 전쟁
15세기 중반, 오스만 제국은 비잔틴 제국을 멸망시키고 그리스를 지배하였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 하에서 그리스인들은 민족적, 종교적 정체성을 유지하며 독립을 열망하였다. 크레타가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하에 있던 후기 중세에 번영하였으며, 콘스탄티노플 함락 이후 절정에 달하여 15세기, 16세기, 17세기에 그리스 회화의 중심 세력이 된 크레타 화파는 동서양의 예술적 영향 아래 독특한 회화 양식을 발전시켰다. 이 화파에서 가장 유명한 작가인 엘 그레코는 서유럽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 1669년 크레타가 오스만 제국에 함락된 후, 이오니아 제도 화파는 그리스 후기 비잔틴 회화의 주요 화파로서 크레타 화파를 계승했다.
19세기 초, 그리스 독립 전쟁(1821-1829년)이 발발하여 그리스는 독립을 쟁취하고 근대 국가를 수립하였다. 독립 이후 현대 그리스 국가는 낭만주의 시대를 중심으로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그리스 화가들은 유럽의 요소들을 흡수하여 독특한 그리스 낭만주의 미술 양식의 절정을 이루었다. 이 시대의 주목할 만한 화가로는 니콜라오스 귈지스, 게오르기오스 야코비데스, 니키포로스 뤼트라스, 콘스탄티노스 볼라나키스, 테오도로스 브리자키스 등이 있다.

현대 그리스어는 고대 그리스어 방언인 아티카 방언과 도리아 방언 등의 방언 통합을 통해 형성된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였다. 아다만티오스 코라이스가 그리스어를 고대 형태에 더 가깝게 되돌리고자 하면서 만들어낸 카타레부사는 현대 그리스어와 고대 그리스어의 중간 형태의 그리스어이다.
2. 4. 현대 그리스
현대 그리스는 20세기 초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영토를 확장하고 민족 국가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에 점령되어 큰 피해를 입었고, 전후에는 그리스 내전(1946-1949년)을 겪었다. 1974년 군사 정권이 붕괴되고 민주주의가 회복된 이후, 그리스는 유럽 연합(EU)에 가입하고 경제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심각한 경제 위기를 겪으며 사회적 불안이 심화되었고, 긴축 정책에 대한 반발과 난민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그리스 독립 전쟁 이후 19세기 동안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은 공공 및 민간 건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8] 19세기 아테네와 그리스 왕국의 다른 도시들의 건축은 주로 테오필 한센, 어니스트 질러 등의 건축가들의 영향을 받았다.[8] 한편, 그리스의 교회들은 신비잔틴 양식의 부흥을 경험했다.[8]

현대 그리스 음악계에서는 국내외적으로 유명한 다양한 작곡가와 연주가들이 성공을 거두고 있으며, 전통 그리스 음악은 토착 문화와 서구 및 동구 문화의 영향이 혼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8]







그리스는 의원내각제 공화국으로, 대통령은 다른 공화국들에 비해 의례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총리는 의회 다수당 대표가 선출한다.[8] 그리스는 성문화된 헌법과 그 안에 명시된 권리장전을 가지고 있다.[8] 현 총리는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이다.[8] 제3 헬레닉 공화국의 정치는 보수 정당인 신민주주의당과 사회주의 정당인 파속이라는 두 주요 정당이 주도해왔다.[8]
그리스 정교회는 현대 그리스의 주요 기관이다.[8] 사회에서의 역할과 그리스 문화 전반에서의 더 큰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많은 그리스인들이 적어도 한 달에 한 번 이상 교회에 참석하고 정교회 부활절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8] 그리스 교회는 또한 그리스 헌법에 교회와 국가의 명시적인 분리가 없다는 사실을 통해 제한적인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8] 그리스에는 서트라키아에 상당한 무슬림 소수 민족(약 100,000~150,000명)이 있으며, 그들의 예배 장소는 1923년 로잔 조약 이후 보장되었다.[8]
3. 철학
고대 그리스의 철학 전통은 그리스 문학의 발전과 함께했다.[19] 그리스 학문은 서구와 중동 문명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19]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 그리스 철학자들의 저술은 고전 사상, 이슬람 황금기, 그리고 르네상스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19]
밀레토스의 탈레스는 초자연적인 원인이 아닌 자연적인 원인으로 물리적 세계를 설명하려고 시도한 최초의 고대 철학자로, 많은 사람들에게 과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19]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은 자연의 근본 원리를 탐구했는데, 탈레스는 만물의 근원을 물이라고 주장했고, 헤라클레이토스는 변화와 흐름을 강조했다.
당시 철학은 자연에 대한 관심을 잃어버리고 인간 철학, 즉 시민적 윤리의 학문이 되었다. 민주정치가 발전하면서 변론 능력이 중요해졌고, 이에 따라 프로타고라스, 프로디코스, 고르기아스, 히피아스, 트라시마코스 등의 소피스트들이 변론술과 수사학을 가르치며 상대주의적 진리관을 주장했다. 프로타고라스는 "인간은 만물의 척도"라고 주장했다.
소크라테스는 이러한 풍조에 맞서 보편적 진리의 존재를 믿고 끊임없는 질문과 대화를 통해 진리를 추구했으며, "너 자신을 알라"라는 격언으로 유명하다. 그의 제자 플라톤은 이데아론을 주장하며 현실 세계는 이데아의 불완전한 그림자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그는 『국가』에서 이상적인 국가의 모습을 제시했으며, 그의 데이아로고이는 그리스 문학의 백미로 꼽힌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지식을 집대성·체계화하여 학문으로 분류하고, 논리학, 형이상학, 윤리학, 정치학 등 서양 학문의 기초를 닦았다. 그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행복을 최고의 선으로 보았다.
고전 시대 아테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완벽한 신에 대한 묘사와 헤라클레이토스의 로고스(Logos) 등 일부 종교적 사상을 예고했다. 플라톤은 하늘에는 선한 자에게 상이, 땅 밑에는 악한 자에게 벌이 있다고 생각했다. 영혼은 물질적인 육체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졌고, 물질 세계는 불완전하고 완전히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보았다.
3. 1. 고대 그리스 철학
고대 그리스의 철학 전통은 그리스 문학의 발전과 함께했다.[19] 그리스 학문은 서구와 중동 문명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19]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 그리스 철학자들의 저술은 고전 사상, 이슬람 황금기, 그리고 르네상스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19]밀레토스의 탈레스는 초자연적인 원인이 아닌 자연적인 원인으로 물리적 세계를 설명하려고 시도한 최초의 고대 철학자로, 많은 사람들에게 과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19]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은 자연의 근본 원리를 탐구했는데, 탈레스는 만물의 근원을 물이라고 주장했고, 헤라클레이토스는 변화와 흐름을 강조했다.
당시 철학은 자연에 대한 관심을 잃어버리고 인간 철학, 즉 시민적 윤리의 학문이 되었다. 민주정치가 발전하면서 변론 능력이 중요해졌고, 이에 따라 프로타고라스, 프로디코스, 고르기아스, 히피아스, 트라시마코스 등의 소피스트들이 변론술과 수사학을 가르치며 상대주의적 진리관을 주장했다. 프로타고라스는 "인간은 만물의 척도"라고 주장했다.
소크라테스는 이러한 풍조에 맞서 보편적 진리의 존재를 믿고 끊임없는 질문과 대화를 통해 진리를 추구했으며, "너 자신을 알라"라는 격언으로 유명하다. 그의 제자 플라톤은 이데아론을 주장하며 현실 세계는 이데아의 불완전한 그림자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그는 『국가』에서 이상적인 국가의 모습을 제시했으며, 그의 데이아로고이는 그리스 문학의 백미로 꼽힌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지식을 집대성·체계화하여 학문으로 분류하고, 논리학, 형이상학, 윤리학, 정치학 등 서양 학문의 기초를 닦았다. 그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행복을 최고의 선으로 보았다.
고전 시대 아테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완벽한 신에 대한 묘사와 헤라클레이토스의 로고스(Logos) 등 일부 종교적 사상을 예고했다. 플라톤은 하늘에는 선한 자에게 상이, 땅 밑에는 악한 자에게 벌이 있다고 생각했다. 영혼은 물질적인 육체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졌고, 물질 세계는 불완전하고 완전히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보았다.
3. 2. 헬레니즘 철학
4. 문학
호머의 서사시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는 그리스 신화와 영웅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헤시오도스는 『신들의 계보』와 『노동과 나날』을 통해 신화와 농경 생활을 노래했다.[9][10] 사포와 핀다로스 등 초기 그리스 서정시 시인들은 서정시 장르를 정의하는 데 기여했다.
연극은 그리스에서 탄생했다.[9] 폴리스 고대 아테네가 중심지였으며, 디오니시아라는 축제의 일부로 제도화되었다. 이 축제는 디오니소스 신을 기리는 것이었다. 비극(기원전 6세기 후반), 희극(기원전 486년), 사티로스극의 세 가지 극적인 장르가 등장했다.[9] 아이스킬로스는 희곡에 대화와 상호 작용하는 등장인물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고,[9] 소포클레스와 에우리피데스는 희곡을 더욱 발전시켰다. 소포클레스는 신의론적 모순을 줄거리에서 빼고 섭리와 정의의 조화를 추구한 반면,[9] 에우리피데스는 섭리와 정의의 상호 모순에 대한 비판을 작품에 담았다. 희극 작가 아리스토파네스는 희극을 연극 형식으로서 정의하고 형성했다. 그의 희극은 정치·사회의 풍자를 주제로 삼았으며, 해학과 야유 속에 세속에 대한 비평을 담았다.
산문에서는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의 「역사」를 들 수 있다. 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 전쟁을 흥미롭게 서술하여 역사의 아버지로 불리지만, 정확성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다. 반면 투키디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서술하여 사학사상(史學史上) 높은 평가를 받는다. 철학은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문학에 진입했고, 그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시학』에서 문학 비평의 최초의 기준을 제시했다.
4. 1. 고대 그리스 문학
호머의 서사시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는 그리스 신화와 영웅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헤시오도스는 『신들의 계보』와 『노동과 나날』을 통해 신화와 농경 생활을 노래했다.[9][10] 사포와 핀다로스 등 초기 그리스 서정시 시인들은 서정시 장르를 정의하는 데 기여했다.연극은 그리스에서 탄생했다.[9] 폴리스 고대 아테네가 중심지였으며, 디오니시아라는 축제의 일부로 제도화되었다. 이 축제는 디오니소스 신을 기리는 것이었다. 비극(기원전 6세기 후반), 희극(기원전 486년), 사티로스극의 세 가지 극적인 장르가 등장했다.[9] 아이스킬로스는 희곡에 대화와 상호 작용하는 등장인물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고,[9] 소포클레스와 에우리피데스는 희곡을 더욱 발전시켰다. 소포클레스는 신의론적 모순을 줄거리에서 빼고 섭리와 정의의 조화를 추구한 반면,[9] 에우리피데스는 섭리와 정의의 상호 모순에 대한 비판을 작품에 담았다. 희극 작가 아리스토파네스는 희극을 연극 형식으로서 정의하고 형성했다. 그의 희극은 정치·사회의 풍자를 주제로 삼았으며, 해학과 야유 속에 세속에 대한 비평을 담았다.
산문에서는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의 「역사」를 들 수 있다. 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 전쟁을 흥미롭게 서술하여 역사의 아버지로 불리지만, 정확성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다. 반면 투키디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서술하여 사학사상(史學史上) 높은 평가를 받는다. 철학은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문학에 진입했고, 그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시학』에서 문학 비평의 최초의 기준을 제시했다.
4. 2. 비잔틴 문학
비잔티움 시대에는 연극 예술이 크게 쇠퇴했다. Marios Ploritis에 따르면, 공식적인 국가의 적대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 유일하게 살아남은 형태는 민중극(Μίμος와 Παντόμιμος)이었다.[11] 이후 오스만 시대에는 주요한 민중극으로 카라기오지스(Karagiozis)가 있었다. 현대 그리스 연극으로 이어지는 르네상스는 베네치아 크레타(Venetian Crete)에서 일어났다. 중요한 극작가로는 비첸초스 코르나로스(Vitsentzos Kornaros)와 게오르기오스 코르타치스(Georgios Chortatzis)가 있다.4세기, 5세기, 6세기 그리스-로마 세계 전역에 걸친 기독교의 성장과 당시 비잔티움 제국의 헬레니즘화는 기독교, 그리스, 동방의 영향을 결합한 독특한 문학 형식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는 다시 크레타 시가의 발전, 그리스 동부에서 풍자 시의 성장, 그리고 당시 저명한 역사가들의 출현과 같은 발전을 촉진했다. 비잔틴 문학은 그리스어와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발전하였으며, 찬송가, 성인전, 역사서, 백과사전 등 다양한 장르의 문학 작품들이 창작되었다. 로마노스 멜로도스는 뛰어난 찬송가 작가로 알려져 있다.
4. 3. 근대 그리스 문학
현대 그리스 문학은 11세기부터 그리스어로 쓰여진 문학을 가리키며, 초기 비잔틴 시대의 언어보다 오늘날 그리스인들에게 더 친숙한 언어로 쓰여진 텍스트를 포함한다.크레타 르네상스 시대의 시 ''에로토크리토스(Erotokritos)''는 현대 그리스 문학 초기의 걸작으로 손꼽히며, 그 최고의 업적으로 여겨진다. 이는 1600년경 비첸초스 코르나로스(Vitsentzos Kornaros)(1553–1613)가 쓴 운문 연애소설이다. 크레타 문학의 또 다른 주요 대표는 게오르기오스 호르타치스(Georgios Chortatzis)이며, 그의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은 ''에로필리(Erofili)''이다. 다른 작품으로는 코르나로스의 "아브라함의 희생", 호르타치스의 "파노리아"와 "카추르보스", 안드레아스 트로일로스(Andreas Troilos)의 "로돌리노스 왕(King Rodolinos) ", 익명의 작가들이 쓴 "스타티스(희극)"와 "보스코풀라"가 있다.
훨씬 후에, 디아포티스모스(Diafotismos)는 18세기 그리스인들 사이에서 일어난 이념적, 언어학적, 철학적 운동으로, 유럽 계몽주의의 사상과 가치를 그리스 세계에 전파했다. 아담안티오스 코라이스(Adamantios Korais)와 리가스 페라이오스(Rigas Feraios)는 가장 주목할 만한 인물 중 두 명이다. 1819년, 이아코바키스 리조스 네룰로스(Iakovakis Rizos Neroulos)가 쓴 ''코라키스티카(Korakistika)''는 보다 보수적인 형태의 고대 그리스어 사용을 선호했던 그리스 지식인 아담안티오스 코라이스(Adamantios Korais)와 그의 언어관에 대한 풍자였다.
그리스 독립 전쟁 이전 몇 년 동안, 이오니아 제도(Ionian islands)는 헤프타네스 문학파(Heptanese School (literature))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 주요 특징은 이탈리아의 영향, 낭만주의, 민족주의, 그리고 민중 그리스어(Demotic Greek)의 사용이었다. 주목할 만한 대표자로는 안드레아스 라스카라토스(Andreas Laskaratos), 안드레아스 칼보스(Andreas Kalvos), 아리스토텔리스 발라오리티스(Aristotelis Valaoritis), 그리고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Dionysios Solomos)가 있다.
독립 이후 지식 중심지는 아테네(Athens)로 옮겨졌다. 이 새로운 시대의 주요 인물은 그리스의 "국민 시인"으로 여겨지는 코스티스 팔라마스(Kostis Palamas)였다. 그는 1880년대 그리스 문학 세대의 중심 인물이었고, 소위 새로운 아테네 학파(New Athenian School)(또는 팔라미안 학파)의 공동 설립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 주요 특징은 민중 그리스어(Demotic Greek)의 사용이었다. 그는 또한 올림픽 찬가(Olympic Hymn)의 작가이기도 하다.
20세기로 넘어오면서, 현대 그리스 문학 전통은 20세기 시의 핵심 인물로 여겨지는 콘스탄티노스 카바피스(Constantine P. Cavafy), 고대 그리스와 현대 그리스의 문학을 융합하려 했던 기오르고스 세페리스(Giorgos Seferis), 그리고 노벨 문학상(Nobel Prize for Literature)을 수상한 오디세우스 엘리티스(Odysseas Elytis)의 작품을 포함한다. 니코스 카잔차키스(Nikos Kazantzakis) 또한 ''그리스도의 최후의 유혹''와 ''그리스의 수난''과 같은 작품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은 주요 인물로 여겨진다.
참조
[1]
서적
Herodotus, Father of History
Clarendon Press
2012-06-25
[2]
웹사이트
Greece, Ancient
World Book
2012-07-08
[3]
서적
The Short Story of Architecture
Laurence King Publishing
2019
[4]
서적
Cultura Greciei
Editura științifică și enciclopedică
1979
[5]
서적
Cultura Greciei
Editura științifică și enciclopedică
1979
[6]
서적
The Short Story of Architecture
Laurence King Publishing
2019
[7]
서적
Cultura Greciei
Editura științifică și enciclopedică
1979
[8]
서적
Neoclassical architecture in Greece
[9]
웹사이트
Definition of TRAGEDY
http://m-w.com/dicti[...]
2018-03-27
[10]
서적
Origin of Tragedy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Greek Tragedians
[11]
웹사이트
24 γράμματα / Πολυχώρος Πολιτισμού στο Χαλάνδρι (Θέατρο – Μουσική – Γκαλερί- Βιβλίο) » Το Θέατρο στο Βυζάντιο και την Οθωμανική περίοδο
http://www.24grammat[...]
2018-03-27
[12]
서적
Spices and Seasonings:A Food Technology Handbook
[13]
서적
The Emergence of Civilization; The Cyclades and the Aegean in the Third Millennium B.C.
Taylor & Francis
1972
[14]
서적
The Emergence of Civilization; The Cyclades and the Aegean in the Third Millennium B.C.
Taylor & Francis
1972
[15]
웹아카이브
Historical reference about Ancient Greek cuisine
http://www.focusmm.c[...]
2017-07-26
[16]
서적
Cuisine and Culture: A History of Food and People
https://archive.org/[...]
Wiley
2007
[17]
웹아카이브
Ancient Mashed Grapes Found in Greece
http://dsc.discovery[...]
Discovery News
2008-01-03
[18]
웹사이트
Mashed grapes find re-write history of wine
http://www.zeenews.c[...]
[19]
서적
PHILOSOPHY A Graphic Guide
Icon Books Ltd.
2007
[20]
웹아카이브
Thessaloniki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Profile
http://www.filmfesti[...]
2015-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