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스탄티노폴리스의 소크라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소크라티스는 4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 활동한 동로마 제국의 역사가이다. 그의 주요 저작인 《교회사》(Historia Ecclesiastica)는 305년부터 439년까지의 교회사를 다루며, 카이사레아의 유세비우스의 저술을 잇는 것을 목표로 한다. 소크라티스는 교회 내 분쟁, 아리우스주의, 그리고 정치적 사건들을 균형 잡힌 시각으로 서술했으며, 특히 알렉산드리아의 여성 철학자 히파티아의 죽음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교회사》는 히파티아에 대한 몇 안 되는 정보원 중 하나이며, 노바티아누스파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여 그가 노바티아누스파의 추종자로 여겨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회 역사가 - 클로드샤를 달레
클로드샤를 달레는 프랑스 가톨릭 선교사로, 다블뤼 주교의 자료를 바탕으로 《조선교회사》를 편찬하여 조선의 다양한 모습을 기록하고 비판적으로 조명했으며, 베트남을 거쳐 통킹에서 병사했다. - 교회 역사가 - 데이비드 베빙턴
데이비드 베빙턴은 영국의 역사학자로서,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스털링 대학교 교수를 거쳐 교회사 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저서 『현대 영국에서의 복음주의: 173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역사』에서 복음주의의 핵심 특징인 베빙턴 4각형을 제시했다. - 5세기 사망 - 프루덴티우스
프루덴티우스는 4-5세기 로마 제국에서 활동한 기독교 시인으로, 법률가와 정치인으로 활동하다가 말년에 수도원에서 금욕 생활을 하며 기독교 신앙을 옹호하는 시를 썼으며, 그의 작품은 중세 시대에 널리 읽혔다. - 5세기 사망 - 글리케리우스
글리케리우스는 473년부터 474년까지 서로마 황제를 지냈으나 동로마 제국에 인정받지 못했고, 재위 기간 동안 고트족의 침입을 막고 성직 매매 금지법을 제정했으며, 퇴위 후에는 살로나 주교가 되어 여생을 보냈다. - 5세기 기독교인 - 테오도리쿠스 대왕
테오도리쿠스 대왕은 488년 이탈리아를 정복하고 로마 문화를 부흥시킨 동고트족의 왕으로, 아리우스파 신자였으며 라벤나를 수도로 삼아 통치하다가 말년에 종교적 갈등을 겪었다. - 5세기 기독교인 - 프루덴티우스
프루덴티우스는 4-5세기 로마 제국에서 활동한 기독교 시인으로, 법률가와 정치인으로 활동하다가 말년에 수도원에서 금욕 생활을 하며 기독교 신앙을 옹호하는 시를 썼으며, 그의 작품은 중세 시대에 널리 읽혔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소크라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명 | Socrates |
출생 | 380년 경 |
출생지 | 콘스탄티노폴리스, 동로마 제국(현재의 튀르키예 이스탄불) |
사망 | 439년 (약 59세) |
직업 | 역사학자 |
국적 | 해당 정보 없음 |
활동 기간 | 테오도시우스 왕조 |
사상 | 해당 정보 없음 |
주요 작품 | 교회사 |
2. 생애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그의 ''교회사''(Historia Ecclesiastica)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 책은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와 달리, 교회 문제에서 황제의 역할과 세속사 및 교회사를 모두 강조했다.
2. 1. 교육 및 배경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태어났다. 고대에도 그의 삶에 대해서는 그의 ''교회사''(Historia Ecclesiastica)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다. 그의 스승은 헬라디우스와 암모니우스였는데, 이들은 391년 알렉산드리아의 세라피움 파괴로 이어진 폭력적인 반란에 연루되어 알렉산드리아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왔다.콘스탄티노폴리스의 소크라테스가 후에 소피스트인 트로일루스의 가르침을 받았는지는 증명되지 않았다. 소크라테스의 정확한 직업에 대해서는 확실하지 않지만, 그의 저작을 통해 그가 평신도였음을 추론할 수 있다.
후년에 그는 파플라고니아와 키프로스를 포함한 여러 곳을 여행하며 방문했다.[12]
3. 《교회사》(Historia Ecclesiastica)
《교회사》(Historia Ecclesiastica)는 305년부터 439년까지의 교회사를 다룬다. 카이사레아의 유세비우스의 저술을 잇는 것을 목표로, 콘스탄티누스 1세 시대부터 저술가인 소크라티스의 시대까지 교회가 겪은 일을 중세 그리스어로 서술한다. 소크라테스는 교회 내의 분쟁을 주로 다루었는데, 교회가 평화를 누릴 때는 기록할 만한 내용이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다(7.48.7). 아리우스주의와 같은 신학적 논쟁과 정치적 사건들도 다루었다.
소크라테스는 균형 잡힌 서술을 추구했다. 교회와 정부의 주요 인물들을 언급할 때 과장된 표현을 피했으며, 유세비우스가 콘스탄티누스 대제를 지나치게 칭찬한 것을 비판하기도 했다.[4]
이 책은 알렉산드리아의 여성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히파티아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소크라테스는 히파티아가 키릴루스와의 정치적 갈등에서 오레스테스를 지지했기 때문에 살해되었다고 기록했다.[5][6] 그는 폭도들의 행동을 비난하며, 이러한 폭력이 기독교 정신과는 거리가 멀다고 강조했다.[7][8][9]
소크라테스는 노바티아누스파에 대해 상세히 기록하고 우호적으로 묘사하여, 그가 노바티아누스파의 추종자였을 것이라는 추측을 낳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을 교회에 속한 사람이라고 밝혔다.[10] 그는 테오도로스라는 인물의 권유로 이 책을 쓰기 시작했다고 한다. 테오도로스는 제2권 서문에서 "하느님의 거룩한 사람"으로 언급되며, 수도사나 고위 성직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동시대 역사가인 소조메누스와 테오도레투스는 6세기의 편집본에서 소크라테스와 함께 묶여, 그들의 차이점이 최근까지 모호하게 인식되기도 했다.
3. 1. 집필 목적과 배경
이 역사는 305년부터 439년까지의 연대기를 다루며, 전문가들은 이 책이 439년 또는 그 직후, 그리고 확실히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의 생전에, 즉 450년 이전에 완성되었다고 본다. 이 역사의 목적은 카이사레아의 유세비우스의 작업을 잇는 것이다(1.1). 이 책은 콘스탄티누스 1세 시대부터 저술가의 시대까지 교회가 겪은 일을 간결한 중세 그리스어로 서술한다. 교회 내의 분쟁이 주를 이루는데, 교회가 평화를 누릴 때는 교회 역사가가 기록할 만한 내용이 없기 때문이다(7.48.7). 제5권 서문에서 소크라테스는 교회에 관한 내용 외에 아리우스주의와 정치적 사건들을 다루는 것을 옹호한다.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저술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어떤 테오도로스라는 인물에게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하는데, 그는 제2권의 서문에서 "하느님의 거룩한 사람"으로 언급되며, 따라서 수도사 또는 고위 성직자 중 한 명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3. 2. 주요 내용
이 역사는 305년부터 439년까지의 연대기를 다루며, 전문가들은 이 책이 439년 또는 그 직후, 그리고 확실히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의 생전에, 즉 450년 이전에 완성되었다고 본다. 이 역사의 목적은 카이사레아의 유세비우스의 작업을 잇는 것이다(1.1). 이 책은 콘스탄티누스 1세 시대부터 저술가의 시대까지 교회가 겪은 일을 간결한 중세 그리스어로 서술한다. 교회 내의 분쟁이 주를 이루는데, 교회가 평화를 누릴 때는 교회 역사가가 기록할 만한 내용이 없기 때문이다(7.48.7). 제5권 서문에서 소크라테스는 교회에 관한 내용 외에 아리우스주의와 정치적 사건들을 다루는 것을 옹호한다.소크라테스의 서술은 여러 면에서 균형 잡혀 있다. 그는 교회와 정부의 저명인사들을 언급할 때 과장된 칭호를 사용하지 않으려고 주의하며, 심지어 유세비우스가 그의 저서 ''Vita Constantini''에서 콘스탄티누스 대제를 지나치게 칭찬한 것을 비판하기도 한다.[4]
''교회사''(Historia Ecclesiastica)는 알렉산드리아의 여성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히파티아에 대한 몇 안 되는 정보원 중 하나이다. 소크라테스는 히파티아의 살해를 순전히 정치적인 동기에 의한 것으로 묘사하며, 그녀의 신플라톤주의가 죽음에 어떤 역할을 했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대신 그녀가 지역 행정관 오레스테스를 키릴루스와의 정치적 갈등에서 지지했기 때문에 살해되었다고 주장한다.[5][6] 소크라테스는 폭도들의 행동을 분명하게 비난하며 "대량 학살, 싸움, 그리고 그런 종류의 행동을 용인하는 것은 기독교 정신과 거리가 멀다"고 선언한다.[7][8][9]
소크라테스는 종종 노바티아누스파의 추종자로 여겨지지만, 이는 그가 노바티아누스파에 대해 많은 세부 사항을 제공하고, 아리우스파와 다른 집단과 마찬가지로 그들을 호의적인 어조로 이야기한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그는 자신을 교회에 속한 사람이라고 말한다.[10]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저술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어떤 테오도로스라는 인물에게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하는데, 그는 제2권의 서문에서 "하느님의 거룩한 사람"으로 언급되며, 따라서 수도사 또는 고위 성직자 중 한 명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3. 3. 히파티아에 대한 기록
''교회사''(Historia Ecclesiastica)는 알렉산드리아의 여성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히파티아에 대한 몇 안 되는 정보원 중 하나이다.[5]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 총대주교의 지시에 따른 것으로 추정되는 폭도들은 히파티아를 잔혹하게 살해하였다.[6] 소크라테스는 히파티아의 살해가 순전히 정치적인 동기에 의한 것이라고 묘사하며, 그녀의 신플라톤주의가 죽음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는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 대신 그녀가 지역 행정관 오레스테스를 키릴루스와의 정치적 갈등에서 지지했기 때문에 살해되었다고 주장한다.[5] 소크라테스는 "대량 학살, 싸움, 그리고 그런 종류의 행동을 용인하는 것은 기독교 정신과 거리가 멀다"라고 선언하며 폭도들의 행동을 분명하게 비난한다.[7][8][9]3. 4. 평가와 영향
소크라테스의 서술은 여러 면에서 균형 잡혀 있다. 그는 교회와 정부의 저명인사들을 언급할 때 과장된 칭호를 사용하지 않으려고 주의하며, 심지어 유세비우스가 그의 저서 ''Vita Constantini''에서 콘스탄티누스 대제를 지나치게 칭찬한 것을 비판하기도 한다.[4]《교회사》(Historia Ecclesiastica)는 알렉산드리아의 여성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히파티아에 대한 몇 안 되는 정보원 중 하나이다. 소크라테스는 히파티아의 살해를 순전히 정치적인 동기에 의한 것으로 묘사하며, 그녀가 지역 행정관 오레스테스를 키릴루스와의 정치적 갈등에서 지지했기 때문에 살해되었다고 주장한다.[5][6] 소크라테스는 폭도들의 행동을 분명하게 비난하며 "대량 학살, 싸움, 그리고 그런 종류의 행동을 용인하는 것은 기독교 정신과 거리가 멀다"고 선언한다.[7][8][9]
소크라테스는 종종 노바티아누스파의 추종자로 여겨지지만, 이는 그가 노바티아누스파에 대해 많은 세부 사항을 제공하고, 그들을 호의적인 어조로 이야기한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그는 자신을 교회에 속한 사람이라고 말한다.[10]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저술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어떤 테오도로스라는 인물에게서 비롯되었다고 하는데, 그는 제2권의 서문에서 "하느님의 거룩한 사람"으로 언급되며, 따라서 수도사 또는 고위 성직자 중 한 명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동시대 역사가인 소조메누스와 테오도레투스는 6세기의 편집본에서 소크라테스와 함께 묶였는데, 이는 최근까지 그들의 차이점을 모호하게 만들었다.
참조
[1]
문서
The traditional epithet "Socrates Scholasticus" is not well-founded in any early tradition, according to his most recent editor, Theresa Urbainczyk, ''Socrates of Constantinople: Historian of Church and State''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7.
[2]
서적
Constantine the Empero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3]
문서
'Hist. Eccl.'' 1.12.8, 2.33.30.'
[4]
문서
"[Eusebius was] more intent on the rhetorical finish of his composition and the praises of the Emperor, than on an accurate statement of facts" Socrates Scholasticus, ''Historia Ecclesiastica'', Book 1, Chapter 1
[5]
간행물
Barbarians and Politics at the Court of Arcadiu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6]
웹사이트
Ecclesiastical History
http://www.fordham.e[...]
[7]
간행물
Christianity and the Roman Empire: Background Text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0
[8]
간행물
City and School in Late Antique Athens and Alexandr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
[9]
간행물
Hypatia: The Life and Legend of an Ancient Philosophe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10]
웹사이트
Rev. A. C. Zenos, "Life of Socrates," A Selected Library of the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series 2, vol. ii, eds. Henry Wace and Philip Schaff, (New York: Christian, 1887-1900), p. x-xi
http://www.ccel.org/[...]
[11]
문서
The traditional epithet "Socrates Scholasticus" is not well-founded in any early tradition, according to his most recent editor, Theresa Urbainczyk, ''Socrates of Constantinople: Historian of Church and State''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7.
[12]
문서
''Hist.''
[13]
웹사이트
Rev.
http://www.ccel.org/[...]
[14]
문서
The traditional epithet "Socrates Scholasticus" is not well-founded in any early tradition, according to his most recent editor, Theresa Urbainczyk, ''Socrates of Constantinople: Historian of Church and State''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7.
[15]
서적
Constantine the Emperor
https://books.google[...]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