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강고릴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로스강고릴라는 서부로랜드고릴라보다 작고 손과 발이 짧으며, 나이지리아와 카메룬 국경 지대의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에 서식하는 고릴라의 아종이다. 멸종 위기에 처한 종으로,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은 사냥, 서식지 파괴, 그리고 인간과의 갈등이다. 2000년에는 아프리카 플라이스토세 시대의 건조한 시기에 먹이 자원 감소에 대응하여 서부로랜드고릴라에서 분화되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크로스강고릴라는 12,000km² 범위에 걸쳐 11개 지역에 집중적으로 서식하며, 둥지, 식단, 행동 양상 등 다양한 생태적 특징을 보인다. 현재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위급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보존을 위해 다양한 국제적, 지역적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릴라 - 동부고릴라
동부고릴라는 중앙아프리카 동부 지역에 서식하며 산악고릴라와 동부저지대고릴라의 두 아종으로 나뉘는 고릴라의 한 종으로, 서식지 파괴, 밀렵, 질병 등으로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고릴라 - 서부고릴라
서부고릴라는 고릴라속에 속하며, 검은색, 짙은 회색 또는 갈색-회색 털을 가지고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잎, 줄기, 과일 등을 먹고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나이지리아의 포유류 - 아프리카물소
아프리카물소는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소과의 동물로, "검은 사신"이라 불릴 만큼 성질이 거칠고 서식지 파괴와 질병으로 인해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었다. - 나이지리아의 포유류 - 베이츠피그미영양
- 카메룬의 포유류 - 검은코뿔소
검은코뿔소는 1758년 린네에 의해 명명된 코뿔소과의 아프리카 서식 포유류로, 뾰족한 윗입술을 이용해 잎과 잔가지를 먹지만,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개체수가 급감하여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카메룬의 포유류 - 봉고 (동물)
봉고는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숲에 사는 가장 큰 영양으로, 짙은 밤색 털과 흰색 줄무늬가 특징이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크로스강고릴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포 | |
분포 지역 | 나이지리아와 카메룬의 국경 지역 |
분류 | |
아종 | 크로스강고릴라 |
학명 | Gorilla gorilla diehli |
명명자 | Matschie, 1904 |
보전 상태 | |
IUCN | CR |
CITES | 부록 I |
특징 | |
서식지 | 약 12,000km² |
개체 수 | 약 300마리 |
기타 | |
지역 활동 계획 | http://www.primate-sg.org/storage/PDF/CRG.Action.Plan.pdf |
관련 연구 | http://primates.squarespace.com/storage/PDF/Cross%20River%20Gorilla.pdf |
2. 형태
크로스강고릴라는 1904년 독일의 포유류학자 파울 마추이(Paul Matschie)에 의해 처음으로 서부고릴라의 새로운 아종으로 기술되었다.[6][46] 이후 형태학적 특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1987년에 그 독특성이 확인되었고,[7][49] 2000년에는 두개골 및 치아 형태, 뼈 구조 분석 등을 통해 서부고릴라의 별개 아종으로 최종 분류되었다.[8][9][50][51] 이는 서부로랜드고릴라와 구별되는 몇 가지 형태적 차이점에 근거한다.[2][10][44][52]
2. 1. 신체 특징

크로스강고릴라는 벨기에 왕립 자연사 박물관 등의 연구에서 현존하는 가장 큰 영장류 중 하나로 묘사되기도 하지만[6][46], 모든 고릴라 아종 중에서 가장 큰 것은 아니다.[11][52] 1987년에 형태학적 특징이 확인되었고, 2000년에 두개골 및 치아 형태, 뼈 분석 등을 통해 서부고릴라의 독특한 아종으로 기술되었다.[7][8][9][49][50][51]
일반적으로 통나무 모양의 큰 가슴을 가지고 있으며, 털은 비교적 균일한 색을 띤다. 얼굴과 가슴에는 털이 없고 검은색 피부가 그대로 드러나며, 귀는 작은 편이다. 눈썹 부분의 피부는 털 없이 서로 연결된 모양이며, 콧구멍 가장자리는 융기되어 있는 특징을 보인다.[6][46]
서부로랜드고릴라와 비교했을 때, 크로스강고릴라는 더 작은 구개(입천장), 더 작은 두개골 금고, 그리고 더 짧은 두개골을 가지고 있다.[2][10][44][52] 치아 크기 역시 서부로랜드고릴라보다 작다.[10][52] 신체 크기나 팔다리뼈의 길이는 서부로랜드고릴라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수컷의 경우 손과 발이 상대적으로 더 짧고 손가락 맞섬(대항 지수) 능력은 더 뛰어나다.[2][44]
신체 크기는 다음과 같다.[6][46]
- 평균 성체 수컷 신장: 165cm 에서 175cm
- 평균 성체 수컷 체중: 140kg 에서 200kg
- 평균 성체 암컷 신장: 140cm
- 평균 성체 암컷 체중: 100kg
3. 진화
크로스강고릴라는 서부고릴라(''Gorilla gorilla'')의 한 아종으로 분류된다. 이 아종의 진화는 플라이스토세 시기 아프리카 대륙의 환경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2][44] 주요 가설에 따르면, 당시 기후가 건조해지면서 먹이 자원이 감소하자 크로스강고릴라의 조상들은 초식 위주의 식성과 지상 생활에 더 적응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이러한 생태적 적응 과정이 결국 서부고릴라의 다른 집단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아종, 즉 크로스강고릴라의 형성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2][44]
3. 1. 격리 및 분화
2000년 에스테반 E. 사르미엔토와 존 F. 오츠는 크로스강고릴라가 아프리카 플라이스토세 시대의 건조기에 먹이 자원이 줄어들고 풀을 먹거나 땅 위에서 생활하는 행동이 늘어나면서 서부고릴라(''Gorilla gorilla'')의 별개 아종으로 진화하기 시작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2][44]이 가설에 따르면, 크로스강고릴라의 조상은 크로스강 수원 근처의 숲이나 카메룬 고원의 다른 지역에 고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이들은 널리 퍼지지 않은 반면, 서부로랜드고릴라(''Gorilla gorilla gorilla'')의 조상은 이 지역 바깥, 즉 사나가 강의 남쪽이나 동쪽으로 퍼져나가면서 크로스강고릴라와 유전적으로나 형태적으로 달라지게 되었다. 연구자들은 크로스강고릴라(''G. g. diehli'')와 서부로랜드고릴라(''G. g. gorilla'')가 같은 지역에 함께 서식했다는 공존의 증거는 없다고 언급했다.[2][44]
4. 서식지
크로스강고릴라는 다른 고릴라 아종처럼 인간의 간섭이 적은 울창한 숲 서식지를 선호한다.[12][53] 몸집이 크기 때문에 생존을 위해 넓고 다양한 환경의 숲이 필요하며,[12][53] 대부분의 멸종 위기 영장류와 마찬가지로 이들의 자연 서식지는 인간이 거주하며 자연 자원을 이용하는 지역과 겹치는 경우가 많다.[13]
이들이 서식하는 숲의 고도는 일반적으로 해발 100m에서 2037m 사이이다.[12][53] 그러나 삼림 벌채와 토지 단편화 등 인간 활동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자연 자원 착취는 크로스강고릴라의 생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14][55]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과거 저지대에서도 발견되었던 크로스강고릴라는 점차 접근하기 어려운 고지대나 언덕 지역으로 서식지를 옮기게 되었다.[15][56]
결과적으로 크로스강고릴라는 다른 고릴라 개체군과 지리적으로 약 200km 이상 떨어져 고립된 상태이다.[15][56]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위급종으로 지정되었으며,[15][56] 서식지의 대부분은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지만, 일부 보호되지 않는 지역도 여전히 존재한다.[16][57]
4. 1. 분포 지역
크로스강고릴라는 나이지리아와 카메룬 국경 지대의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에 서식한다.[2][44] 이 지역은 고릴라 아종 중 가장 서쪽이자 북쪽에 해당하며, 주로 크로스강 발원지 주변의 산림 지대와 산악 지역에 분포가 국한된다.[2] 이들은 인간이 살지 않는 울창한 숲을 선호하며, 큰 몸집 때문에 넓고 다양한 숲 환경이 필요하다.[12][53]이들의 서식지는 다른 고릴라 개체군과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다. 가장 가까운 서부로랜드고릴라(''Gorilla gorilla gorilla'') 개체군과는 약 300km 떨어져 있으며,[2][44] 카메룬 에보 숲(Ebo Forest)의 고릴라 개체군과는 약 250km 거리를 두고 있다.[2] 과거 20세기에는 저지대에서도 발견되었으나, 서식지 감소와 인간 활동으로 인한 자원 착취 등의 요인으로 현재는 주로 고지대나 언덕 지역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56]
서식지의 고도는 일반적으로 해발 100m에서 2037m 사이이다.[12][53] 1996년부터 1999년까지 나이지리아 아피 산(Afi Mountain)에서 수행된 연구는 간접적인 증거(먹이 흔적, 둥지, 배설물 등)를 통해 서식지 유형, 고릴라의 행동 및 식단 등을 파악하는 데 기여했다.[13][54] 2013년 연구에 따르면, 평균 서식 고도(해발 776m)보다 낮은 해발 552m의 마왐비(Mawambi) 언덕과 같은 지역에서도 서식이 확인되었다.[26][53]
크로스강고릴라의 주요 서식지는 다음과 같은 곳에서 확인되었다.[25][65]
국가 | 지역 | 주요 서식지 |
---|---|---|
나이지리아 | 크로스리버주 | 무베 산맥(Mbe Mountains), 아피 강(Afi River) 산림 보호 구역, 보시 확장(Boshi Extension) 산림 보호 구역, 오쾅고(Okwanggo) 산림 보호 구역 |
카메룬 | 남서부 주 | 타카만다(Takamanda) 국립공원, 모네 강(Mone River) 산림 보호 구역, 음불루 숲(Mbulu forest) |
이 지역들은 아피 산에서 카그웨네(Kagwene) 산까지 이어지는 약 8000km2 면적의 비교적 연속된 산림 지대를 포함한다.[25][65] 현재 추정되는 총 서식 범위는 약 12000km2에 달하며,[2][44] 이 범위 내 11개 지역에 주로 분포하지만, 최근 조사를 통해 알려진 지역 외에서도 발견되어 실제 분포는 더 넓을 수 있다.[2] 아피 산에서 카그웨네 산까지의 지역은 험준한 지형과 높은 고도로 인해 인간의 간섭이 적어 고릴라에게 중요한 피난처가 되고 있다.[2][44] 유전 연구 결과는 여러 서식지가 개체의 간헐적인 이동을 통해 유전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시사한다.[2][44]
이들의 서식지는 나이지리아-카메룬 침팬지(''Pan troglodytes ellioti'')와 같은 다른 영장류 아종과 겹치기도 한다.[2][44] 대부분의 서식 지역은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으나, 카그웨네 산과 어퍼 음불루(Upper Mbulu) 사이, 모네 북부(Mone North) 주변 등 일부 지역은 아직 보호 조치가 미흡하다.[16][57]
4. 2. 서식지 감소 및 단편화
크로스강고릴라는 다른 고릴라 아종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간섭이 없는 울창한 숲 서식지를 선호하며, 큰 몸집 때문에 넓고 다양한 환경의 숲을 필요로 한다.[13] 그러나 대부분의 멸종 위기 영장류처럼 크로스강고릴라의 자연 서식지는 인간이 거주하며 자연 자원을 이용하는 지역과 겹치는 경우가 많다.[13] 이들이 서식하는 숲은 주로 해발 100m에서 2037m 사이의 고도에 위치한다.[12][53] 1996년부터 1999년까지 나이지리아 크로스리버주의 아피(Afi) 산에서 진행된 연구에서는 섭식 흔적, 둥지, 배설물 등 간접적인 증거를 통해 서식지 유형, 지형, 기후, 식량 자원의 분포, 그리고 크로스강고릴라의 행동, 식단, 집단 구성 패턴 등이 조사되었다.[13][54]크로스강고릴라의 서식지는 급격한 삼림 벌채와 토지 단편화로 인해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14][55] 이러한 서식지 파괴와 단편화는 고릴라의 생존 공간을 줄이고, 해당 지역의 환경 수용력을 크게 감소시켰다.[14][55] 또한, 서식지 주변에 인간 거주 인구가 많아 고릴라가 이용할 수 있는 자원 역시 제한적이다.[14] 아직 서식 가능한 열대 우림이 남아있다는 연구도 있지만,[14] 인간의 개발 압력과 활동이 계속된다면 이들의 서식지는 계속 줄어들어 결국 사라질 위험에 처해 있다.[14][55] 크로스강고릴라의 생존을 위협하는 주요 인간 활동으로는 사냥, 벌목, 농업 확장, 연료용 목재 채취, 농장 개간, 자연 자원 착취 등이 있다.[14] 몸집이 큰 크로스강고릴라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 부족하고 번식률도 낮아 서식지 변화에 더욱 취약하다.[14][55]
서식지 손실과 자원 착취는 크로스강고릴라를 기존의 저지대 서식지에서 점차 밀어내, 현재는 주로 접근이 어려운 언덕이나 고지대 지역에만 분포하게 되었다.[15][56] 이는 이용 가능한 자원과 서식 공간의 추가적인 감소로 이어졌으며,[15][56] 결과적으로 다른 고릴라 개체군으로부터 약 200km 이상 지리적으로 고립되는 결과를 낳았다.[15][56]
현재 크로스강고릴라는 나이지리아와 카메룬 국경 지대의 험준한 산악 지역 약 12000km2에 걸쳐 14개 정도의 작은 집단으로 나뉘어 서식하고 있다.[27] 추정되는 개체수는 나이지리아에 75~110마리, 카메룬에 125~185마리 정도이다.[27] 과거에는 사냥이 주요 위협 요인이었으나, 현재는 서식지 파괴가 이들의 생존에 훨씬 더 큰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27] 크로스강고릴라는 인간의 활동이 적고 교란되지 않은 울창한 숲을 선호하며, 인간 거주지나 활동 지역 근처에서는 둥지를 만들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27]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위급종으로 분류된 크로스강고릴라의 서식지 대부분은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다.[16][57] 주요 보호 구역으로는 카메룬의 타카만다 국립공원(Takamanda National Park)과 카그웨네 고릴라 보호구역(Kagwene Gorilla Sanctuary) 등이 있으며, 이들 지역에 생존 개체의 상당수가 서식한다.[27] 정부는 보호 구역 내에서 야생동물 관련 법률을 집행하기 위해 보존 담당관과 생태 감시원을 배치했다.[27] 2017년에는 나이지리아 에쿠리(Ekuri) 지역 숲 서쪽으로 계획되었던 고속도로 건설 계획이 크로스강고릴라 서식지에 미칠 심각한 영향을 고려하여 노선이 변경되는 긍정적인 조치도 있었다.[28] 그러나 카그웨네 산과 어퍼 음불루(Upper Mbulu) 사이, 모네 북부(Mone North) 주변 등 일부 지역은 여전히 법적 보호 밖에 놓여 있다.[16][57]
5. 생태
크로스강고릴라는 사회적인 동물로, 주로 우두머리 수컷 한 마리와 여러 마리의 암컷(평균 6~7마리), 그리고 그들의 새끼들로 구성된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21][43] 무리의 크기나 밀도는 서식지의 고도나 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예를 들어 저지대에 사는 무리는 고지대 무리보다 새끼 수가 적은 경향이 있다.[21][43] 이는 저지대의 높은 사냥 압력과 유아 사망률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21] 고지대 무리는 저지대 무리보다 더 높은 밀도로 서식하는 경향이 있다.[21][43]
5. 1. 식단
크로스강고릴라의 식단은 주로 과일, 초본식물, 덩굴식물, 나무 껍질과 수피로 구성된다.[2][44] 식단 구성은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데,[2][44] 기본적으로 과일을 가장 선호한다.[22][44] 하지만 과일이 부족한 건기(북부 지역에서는 약 4~5개월[22], 또는 8~9월과 11~1월[2])에는 덩굴, 나무 껍질, 잎, 초본 식물 등의 섭취 비중이 높아진다.[2][22][44] 덩굴과 나무 껍질은 연중 꾸준히 섭취하는 편이다.[2]크로스강고릴라가 먹는 많은 식량원은 계절성이 강하며, 주로 서식하는 둥지 근처에서 발견되는 밀도가 높고 영양가 있는 식물을 먹는다.[23][44] 나이지리아 크로스강 주의 아피 산에 서식하는 집단의 경우, 주로 생강과에 속하는 Aframomum|아프라모뭄lat 속 식물을 먹지만,[23][64] 우기에는 천남성과의 Amorphophallus difformis|아모르포팔루스 디포르미스lat를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23][64] 이는 특정 계절이나 특정 지역에서만 얻을 수 있는 먹이에 대한 선호를 보여주는 예이다.[64]
5. 2. 둥지
크로스강고릴라의 둥지 짓는 행동(평균 둥지 그룹 크기, 둥지 스타일, 둥지 위치, 둥지 재사용 패턴 등)은 서식지, 기후, 식량 공급, 포식자의 공격 위험 또는 취약성과 같은 다양한 환경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2][62][24] 카메룬의 카그웨네(Kagwene) 고릴라 보호구역 연구에 따르면, 계절은 둥지 위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2][62] 일반적으로 4월부터 11월까지의 우기에는 비를 피하기 위해 나무 위에 둥지를 트는 경향이 강하며, 낮 동안에도 둥지를 만드는 모습이 더 자주 관찰된다.[2][24][62] 반면, 11월 이후 시작되는 건기에는 땅에 둥지를 만드는 경우가 더 많다.[2][62] 밤에 짓는 둥지는 계절과 관계없이 나무보다는 땅에 더 많이 만들어지는 경향이 있다.[2][62]둥지 자리를 다시 사용하는 행동도 흔하며, 약 35%의 둥지 자리가 계절에 상관없이 재사용된다.[2][24][62] 둥지를 함께 만드는 그룹의 평균 크기는 4마리에서 7마리 사이지만, 이는 서식지에 따라 다를 수 있다.[2][24][62] 한 둥지 자리에서는 평균 12.4개의 둥지가 발견되며, 가장 흔하게는 13개의 둥지가 발견된다. 이는 일부 고릴라가 여러 개의 둥지를 만들거나,[24][44] 때로는 최대 26개의 둥지가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여러 그룹이 같은 장소에 모여 둥지를 틀 가능성도 있음을 시사한다.[24][44]
5. 3. 행동
일반적으로 인간과 마주치면 도망치는 경향이 있으며 공격하는 경우는 드물다.[19][58] 하지만 2007년 미국 영장류학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위협에 맞서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했다.[17] 연구진은 고릴라가 나뭇가지나 풀 뭉치를 던지는 사례를 여러 차례 확인했다고 보고했는데,[18] 이는 이례적인 행동으로 평가된다.[19][59][60]특히 카메룬의 카구에네 산에서는 도구를 사용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이 지역 개체군 특유의 행동으로 보인다.[44] 연구자들에게 풀이나 나뭇가지를 던지거나, 돌을 던진 사람에게 풀 뭉치를 던져 대응한 사례 등이 보고되었다.[44] 연구자들은 이러한 행동이 농장 등에서 인간과 접촉한 경험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으며, 고릴라에 대한 지역 민간 전승 때문에 인간이 적극적으로 사냥하지 않아 고릴라 역시 비교적 온건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한다.[44]
둥지 행동(평균 둥지 그룹 크기, 둥지 양식, 둥지 위치, 둥지 재사용 등)은 서식지, 기후, 식량 가용성, 포식 위협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2][62] 카메룬 카구웨네 고릴라 보호구역의 연구에 따르면, 계절에 따라 둥지 위치가 달라지는 경향이 있다. 보통 4월부터 11월까지의 우기에는 나무 위에, 11월 이후 건기에는 땅에 둥지를 짓는 경향이 높다.[2][62] 밤에는 땅에 둥지를 트는 경우가 더 많았다.[2][62] 전반적으로 건기보다 우기에 둥지를 더 자주 만들며, 특히 비를 피하기 위해 우기에는 나무 위 둥지를 선호하고 낮에도 둥지를 만드는 모습이 관찰된다.[2][62] 둥지 자리를 재사용하는 경우도 흔하지만(약 35%), 이는 계절과 특별한 연관성은 없다.[2][62] 둥지를 함께 짓는 그룹의 평균 크기는 4~7마리 정도이지만, 서식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다.[2][62] 한 둥지 자리에서 발견되는 둥지 수는 평균 12.4개(최빈값 13개)이며, 때로는 26개에 달하는 경우도 있어 여러 무리가 같은 장소를 이용할 가능성도 제기된다.[44]
무리(그룹)는 주로 우두머리 수컷 한 마리와 여러 마리의 암컷(평균 6~7마리), 그리고 그들의 새끼들로 구성된다.[21][43] 저지대에 서식하는 무리는 고지대 무리보다 새끼 수가 적은 경향이 있는데, 이는 저지대의 높은 사냥 압력과 유아 사망률 때문으로 추정된다.[21][43] 고지대 무리는 저지대 무리보다 더 높은 밀도로 서식한다.[21][43]
주요 먹이는 과실, 초본식물, 덩굴식물, 수피 등이며, 먹이 종류는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2][44] 과실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이지만,[22] 과일이 부족한 건기에는 덩굴이나 나무 껍질, 풀잎 등을 더 많이 먹는다.[2][22][44][63] 주로 둥지 주변에서 영양가 높은 식물을 찾아 먹는다. 예를 들어, 크로스강 주 아피 산(Afi Mountain)에서는 생강과의 식물(아프라모뭄속)을 주로 먹고, 우기에는 천남성과 식물(안코마네스속)을 선호하는 등 특정 시기나 장소에서 얻을 수 있는 먹이를 즐겨 찾는다.[64]
6. 개체수 감소 및 위협 요인
크로스강고릴라의 개체 수는 1995년부터 2010년 사이에 59%나 감소했는데, 이는 같은 기간 다른 유인원 아종들의 감소율보다 훨씬 높은 수치이다.[31][70] 이러한 개체수 감소는 약 30년 전부터 시작되어 심각한 수준으로 계속되고 있다.[31][70] 현재 전체 개체 수는 약 300마리로 추정되며, 나이지리아와 카메룬 국경 지대의 약 10~14개[16][66] 지역에 분산되어 서식하고 있다.
개체수 감소의 주요 원인은 인간 활동에 의한 서식지 파괴 및 단편화이다.[27][32][66][71] 농경지 확장, 벌목, 광산 개발 등으로 인해 숲이 줄어들고 조각나면서 고릴라들이 고립되고 있으며, 이는 근친 교배를 유발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16][32] 또한, 부시미트를 위한 사냥, 전통 의학적 목적의 뼈 사용[16][33][57][72], 불법 애완동물 거래[2][44] 등 직접적인 사냥 역시 개체수 감소의 주요 위협 요인이다. 이러한 위협으로 인해 크로스강고릴라는 인간을 극도로 경계하게 되어 야생에서 목격하기 매우 어렵게 되었다.[31][70]
더불어 에볼라와 같은 질병도 크로스강고릴라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이다.[1][43] 크로스강고릴라는 번식률이 낮아, 설령 위협 요인들이 줄어든다고 해도 개체수가 완전히 회복되는 데 약 75년이 걸릴 것으로 추산된다.[1][43]
이처럼 심각한 위기 상황에도 불구하고, 2020년 봄에 여러 마리의 성체와 새끼 고릴라가 카메라에 포착되면서 보존 노력에 대한 희망적인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35][74] 크로스강고릴라와 같은 유인원은 서식지 내 환경 문제의 중요한 지표 역할을 하며, 이들의 보존은 다른 종들의 생존에도 영향을 미친다.[31]
6. 1. 주요 위협
크로스강고릴라는 여러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으며, 이는 개체수 감소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서식지 파괴와 단편화는 가장 큰 위협 중 하나이다.[27] 인간의 거주 지역 확장, 경작지 개발, 천연자원 이용, 그리고 이로 인한 초원화 등으로 인해 고릴라가 서식할 수 있는 울창한 숲 지역이 줄어들고 여러 조각으로 나뉘고 있다. 현재 크로스강고릴라는 나이지리아-카메룬 국경 지대의 약 12000km2에 걸쳐 14개의 지리적으로 분리된 지역에 소규모 집단으로 나뉘어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7] 이들은 타카만다 국립공원과 카그웨네 고릴라 보호구역 같은 보호 구역 내에 주로 분포하지만, 개발 등 인간 활동의 영향을 받은 지역은 피하는 경향을 보인다.[27] 인간 거주지 근처에서는 둥지를 틀지 않으며[27], 이러한 서식지 단편화는 개체군 간의 이동을 막아 근친 교배를 유발하고 결과적으로 유전자 다양성 감소라는 심각한 문제를 낳고 있다.[16][32]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개체군 격리는 약 400년 전 서부로랜드고릴라와 분화된 이후 인간 활동의 증가로 인해 심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연구자들은 유전자 자리 분석 등을 통해 유전적 변이 감소를 확인하고 있으며, 현재 약 300마리로 추정되는 전체 개체수가 약 10개의 지역으로 분산되어 번식 접촉이 제한적인 상황임을 밝혀냈다.[16] 서식지 보호를 위해 2017년에는 고릴라 서식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에쿠리 지역 숲 서쪽으로 계획되었던 고속도로 노선이 변경되기도 했다.[28]
사냥 역시 개체수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상업적인 부시미트 목적의 사냥은 저지대에서 더욱 심각하며, 이로 인해 고릴라들이 고지대로 밀려나고 개체수가 줄어드는 원인이 되었을 수 있다.[30] 또한 일부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크로스강고릴라의 뼈를 의례적 목적이나 전통 의학적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사냥하는 경우도 있다.[16][33] 법적으로 사냥이 금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지 소비와 외부 거래를 위한 사냥이 계속되고 있으며 법 집행은 거의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현재 크로스강고릴라의 적은 개체수를 고려할 때, 어떤 형태의 사냥이든 개체군의 생존에 치명적인 위협이 되며 지속 불가능한 수준이다.[30] 실제로 크로스강고릴라의 개체 수는 1995년에서 2010년 사이에 59%나 감소했는데, 이는 다른 유인원 아종보다 훨씬 큰 감소폭이다.[31] 사냥꾼의 위협 때문에 고릴라들은 인간과의 접촉을 극도로 꺼리게 되었고, 이로 인해 야생에서 크로스강고릴라를 목격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 되었다.[31]
서식지 문제와 사냥 외에도 여러 위협 요인이 존재한다.
- 질병: 특히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은 사냥과 더불어 크로스강고릴라를 심각한 멸종 위기로 몰아넣는 복합적인 위협이다.[1] 에볼라로 인한 사망률이나 사냥 압력이 줄어든다 해도, 번식률 자체가 낮기 때문에 개체수가 완전히 회복되는 데 약 75년이 걸릴 것으로 추정된다.[1]
- 불법 애완동물 거래: 비록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기록된 사육 개체는 림베 야생동물 센터의 한 마리뿐이지만[2], 애완동물 거래는 과거 다른 고릴라 아종에게 큰 위협이었으며 크로스강고릴라에게도 잠재적인 위험 요소이다.[2] 특히 어린 고릴라를 포획하기 위해 보호하는 어른 개체를 죽이는 경우가 많아 개체수 감소에 악영향을 미친다.[2][34]
- 기타 개발 활동: 광산 개발, 농업 확장, 목재 벌채 등도 서식지를 파괴하고 고릴라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이다.[1]
이러한 심각한 위협에도 불구하고, 2020년 나이지리아 봄에 여러 마리의 성체와 새끼 고릴라가 카메라에 포착되면서 보존 노력에 대한 희망적인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35]
6. 2. 인간과의 갈등
크로스강고릴라는 인간 활동으로 인해 생존에 큰 위협을 받고 있다. 가장 큰 위협 중 하나는 서식지 파괴이다. 인간의 거주지가 확장되고 천연 자원 이용이 늘어나면서 고릴라가 살 수 있는 울창한 숲 지역이 줄어들고 있다.[27] 특히 농업, 벌목, 광산 개발 등으로 서식지가 점점 더 파괴되고 단편화되고 있다.[1][71] 고릴라들은 초원이나 농경지 근처에는 둥지를 틀지 않으려 하기 때문에[27][66], 남은 숲이 조각나면서 고릴라 무리들이 서로 고립되는 문제가 발생한다.[32] 이렇게 서식지가 단편화되면 고릴라 무리 간의 이동이 줄어들거나 불가능해져 근친 교배가 늘어나고, 이는 유전적 다양성의 감소로 이어진다. 유전적 다양성 감소는 장기적으로 고릴라 집단의 생존 가능성을 낮추는 심각한 문제이다.[16] 현재 약 300마리로 추정되는 크로스강고릴라는 약 10개의 고립된 지역에 나뉘어 서식하며 번식을 위한 접촉이 제한적인 상황이다.[16]직접적인 사냥 역시 크로스강고릴라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이다. 부시미트(야생고기)를 얻기 위한 사냥과, 전통 의학이나 의례적 목적으로 뼈를 사용하기 위한 사냥이 이루어지고 있다.[16][33][57][72] 또한, 고릴라를 애완동물로 삼으려는 불법 거래도 위협이 된다. 기록상으로는 림베 야생동물 센터에 포획된 크로스강고릴라 한 마리가 있지만[2][44], 애완동물 거래는 과거 다른 고릴라 아종에게 큰 위협이었으며 크로스강고릴라에게도 잠재적인 위험 요소이다.[2][44] 특히 어린 고릴라를 선호하기 때문에, 사냥꾼들은 새끼를 잡기 위해 이를 보호하는 어른 고릴라를 죽이는 경우가 많다.[2][34][44][73] 이러한 사냥의 위협 때문에 크로스강고릴라는 인간을 극도로 경계하고 접촉을 피하게 되었으며, 야생에서 목격하기 매우 어려워졌다.[31][70]
인간 활동은 고릴라의 행동에도 영향을 미친다. 크로스강고릴라는 인간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인간 거주지 근처에는 둥지를 틀지 않으며[27][66], 국립공원 내에서도 개발 등 인간의 교란이 심한 남쪽 지역은 회피하는 경향을 보인다.[27][66]
이러한 서식지 파괴, 사냥,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 등 복합적인 위협으로 인해 크로스강고릴라의 개체 수는 1995년에서 2010년 사이에 무려 59%나 감소했으며, 이는 다른 유인원 아종보다 훨씬 빠른 속도이다.[31][70] 크로스강고릴라의 번식률이 낮기 때문에, 설령 위협 요인이 줄어든다 해도 개체 수가 완전히 회복되는 데는 75년 이상 걸릴 것으로 추정된다.[1][43]
다행히 크로스강고릴라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나이지리아와 카메룬 정부는 보호구역 내에서 야생동물 보호 법률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보존 및 생태 경비원을 임명했다.[27] 2017년에는 크로스강고릴라 서식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었던 고속도로 건설 계획이 환경단체의 노력 등으로 인해 노선이 변경되기도 했다.[28][67] 2020년 봄에는 여러 마리의 성체와 새끼 고릴라가 카메라에 포착되어 보존 과학자들에게 희망을 주기도 했다.[35][74]
7. 보전
크로스강고릴라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심각한 위기(Critically Endangered) 종으로 분류되며, 모든 아프리카 유인원 중에서 가장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2014년 조사에서는 야생에 성숙한 개체가 250마리 미만으로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1][43] 이는 서부 로랜드 고릴라가 에볼라 바이러스 등의 요인으로 심각한 위기에 처한 것과 비교해도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다만 2012년 컨서베이션 인터내셔널의 "세계 25대 멸종 위기 영장류 목록"에는 포함되지 않았다.[36][75]
크로스강고릴라의 생존은 부시미트를 노린 불법 사냥과 계속되는 서식지 파괴로 인해 크게 위협받고 있다. 또한 개체군이 여러 지역에 흩어져 있어 근친 교배의 위험도 안고 있다. 이 고릴라는 특정 열대 식물의 씨앗을 퍼뜨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생태계 보전을 위해서도 보호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위기에 대응하여 지역 사회의 전통적인 보호 노력과 더불어[37][76][38][77], 나이지리아와 카메룬 정부를 중심으로 한 국제적인 협력과 보호 구역 지정[39][78][40][79][41][80][42][81] 등 다각적인 보전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7. 1. 보전 노력
크로스강고릴라는 아프리카 유인원 중 가장 심각한 멸종 위기 상태에 놓여 있다. 2014년 조사에서는 야생에 성숙한 개체가 250마리 미만으로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1][43] 이는 서부 로랜드 고릴라가 에볼라 바이러스 등의 요인으로 심각한 위기에 처한 상황과 비교해도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다만, 2012년 컨서베이션 인터내셔널이 발표한 "세계 25대 멸종 위기 영장류 목록"에는 포함되지 않았다.[36][75] 크로스강고릴라 보전을 위해서는 흩어져 있는 개체군을 연결하여 근친 교배를 막는 것이 중요 과제로 여겨진다. 이들의 서식지는 부시미트를 노린 사냥과 서식지 파괴와 같은 인간 활동의 위협에 둘러싸여 있으며, 특히 나이지리아-카메룬 국경 지대의 보호 서식지가 사냥터와 인접해 있어 위험이 더욱 크다. 크로스강고릴라는 특정 열대 식물의 씨앗을 퍼뜨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인 존재이다.지역 사회의 전통적인 믿음 또한 보전 노력에 기여하고 있다. 2007년 카메룬 레비알렘 지역에서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 주민의 86%가 고릴라를 자신들의 토템적 존재로 여기며 보호해야 한다고 생각했다.[37][76] 이러한 믿음은 고릴라 사냥을 금지하는 강력한 사회적 금기로 작용해왔다. 실제로 지난 15년간 해당 지역에서는 크로스강고릴라 사냥이 보고되지 않아, 이러한 전통이 성공적인 지역 기반 보존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다.[38][77] 하지만 젊은 세대 사이에서는 이러한 전통적 인식이 약화되는 경향도 관찰되어,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37]
국제 사회와 관련국 정부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001년 나이지리아에서는 야생동물 보존 협회 (WCS)와 나이지리아 보존 재단 (NCF) 주도로 크로스강고릴라 보전을 위한 워크숍이 개최되었다. 이 워크숍에서는 크로스강고릴라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카메룬과 나이지리아 정부 및 관련 단체 간의 정기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로 합의했다.[39][78]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여러 보호 구역이 지정되었다. 2008년, 카메룬 정부는 나이지리아와의 국경 지대에 타카만다 국립 공원을 설립했다.[40][79] 이 공원은 인접한 나이지리아의 크로스강 국립 공원과 함께 중요한 초국경 보호 지역을 이루며, 전체 크로스강고릴라 개체수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115마리 정도를 보호하고 있다.[41][80] 이 보호 구역들은 고릴라들이 국경을 넘어 두 공원 사이를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41][80]
같은 해인 2008년, 국제 자연 보전 연맹 (IUCN)의 '크로스강고릴라 행동 계획'에 따라 카메룬 정부는 카그웨네 고릴라 보호 구역을 추가로 설립했다.[42][81] 카메룬 서부의 Mbulu와 Nijikwa 숲 사이에 위치한 이 보호 구역은 약 19.44km2 면적의 험준한 산악 지형을 포함한다.[42][81] 이곳은 크로스강고릴라 서식지 중 가장 높은 고도(최고 2037m)를 포함하며,[42] 전체 면적의 절반가량이 고릴라 서식지로 이용된다.[42][81] 보호 구역 지정 이후, 야생동물 보호 법규 집행을 위한 관리 인력 배치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었다.[27][66]
7. 2. 지역 사회의 역할
일부 지역 사회에서는 크로스강고릴라를 토템으로 여기고 보호하는 전통적인 믿음이 존재한다. 이러한 믿음은 고릴라 보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2007년 카메룬의 레비알렘 지역 5개 마을을 대상으로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6%가 크로스강고릴라 보존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고릴라를 인간과 연결된 중요한 존재로 여기며, 고릴라가 죽으면 인간의 토템 대응자 역시 멸망한다고 믿었다.[37][76]이러한 토템 신앙과 관련된 금기는 크로스강고릴라 사냥을 강력하게 금지하는 역할을 해왔다. 특히 공식적인 법 집행이 부족한 지역에서 이러한 전통은 고릴라 보호에 중요한 버팀목이 되어왔다. 실제로 해당 지역에서는 지난 15년 동안 토템 금기로 인해 크로스강고릴라 사냥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이는 성공적인 지역 기반 보존 전략으로 평가받는다.[37][38][77]
하지만 젊은 세대, 특히 18세에서 25세 사이의 청년층 사이에서는 이러한 전통적인 토템 관습을 따르는 경향이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크로스강고릴라 개체수 감소의 한 원인으로 여겨진다.[37][76] 또한, 모든 전통 관습이 고릴라 보호에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며, 일부 관습은 오히려 사냥을 조장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전통 관습을 보존 노력에 활용할 때는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37]
7. 3. 국제 협력
크로스강고릴라는 아프리카 유인원 중 가장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2014년 조사에 따르면 야생에 성숙한 개체는 250마리 미만으로 추정된다.[1][43] 이러한 상황에서 크로스강고릴라를 보호하기 위한 국제적인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2001년 4월, 나이지리아에서는 야생동물 보존 협회(WCS)와 나이지리아 보존 재단(NCF)의 주도로 크로스강고릴라 보존을 위한 국제 워크숍이 개최되었다. 이 워크숍은 다른 서부고릴라와 구별되는 크로스강고릴라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워크숍에서는 보존을 위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 목록을 마련하고, 카메룬과 나이지리아 양국 정부 및 관련 보존 단체 간의 정기적인 회의와 협력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39][78]
이러한 국제적 노력의 결과로 구체적인 보호 지역이 설정되었다. 2008년, 카메룬 정부는 나이지리아와의 국경 지대에 타카만다 국립 공원을 설립했다.[40][79] 이 공원은 인접한 나이지리아의 크로스강 국립 공원과 함께 중요한 초국경 보호 구역을 형성하며, 전체 크로스강고릴라 개체수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115마리 정도를 보호한다. 이를 통해 고릴라들이 국경을 넘어 두 공원 사이를 안전하게 이동하며 서식지를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41][80]
같은 해인 2008년 4월 3일,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크로스강고릴라 행동 계획의 일환으로 카메룬 정부는 카그웨네 고릴라 보호 구역을 추가로 설립했다.[42] 이 보호 구역은 카메룬 서부의 Mbulu 숲과 Nijikwa 숲 사이에 위치하며, 면적은 19.44km2이다. 험준한 산악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발 최고 2037m에 달하는 고지대를 포함하여 크로스강고릴라 분포 지역 중 가장 높은 고도 범위를 보호한다. 보호 구역 내 토지의 약 절반 정도가 고릴라 서식지이며, 나머지 지역은 초원이나 경작지로 구성되어 있다.[42][81] 보호 구역 지정으로 야생동물 관련 법 집행을 위한 보호 담당자와 생태 경비원 배치가 기대되었다.[27][66]
참조
[1]
iucn
"''Gorilla gorilla ssp. diehli''"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웹사이트
Regional Action Plan for the Conservation of the Cross River Gorilla (''Gorilla gorilla diehli'')
http://www.primate-s[...]
IUCN/SSC Primate Specialist Group and Conservation International, Arlington, VA, USA
2013-10-21
[4]
웹사이트
Cross River Gorilla
http://primates.squa[...]
2013-10-21
[5]
간행물
World's rarest gorilla ready for its close-up
http://www.eurekaler[...]
2009-12-16
[6]
웹사이트
"''Gorilla gorilla diehli'' Taxonomy and Nomenclature"
http://www.naturalsc[...]
2013-10-25
[7]
학술
Morphological distinctiveness of Nigerian gorilla crania
[8]
학술
"Cross River gorillas: A distinct subspecies, ''Gorilla gorilla diehli'' Matschie, 1904"
http://digitallibrar[...]
[9]
문서
Stumpf, RM, JD Polk, JF Oates, WL Jungers, CP Heesy, CP Groves, & JG Fleagle (2002). Patterns of diversity in gorilla cranial morphology. In: Gorilla Biology: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A. Taylor and M Goldsmith,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35-61.
[10]
웹사이트
"The Cross River Gorillas: A Distinct Subspecies, ''Gorilla gorilla diehli'' Matschie 1904"
http://digitallibrar[...]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3-10-27
[11]
웹사이트
"The Cross River Gorillas: A Distinct Subspecies, ''Gorilla gorilla diehli'' Matschie 1904"
http://digitallibrar[...]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3-10-27
[12]
학술
"The Cross River Gorillas (''Gorilla gorilla diehli'') at Mawambi Hills, South-West Cameroon: Habitat Suitability and Vulnerability to Anthropogenic Disturbance"
[13]
Dissertation
"Ecology of Cross River gorillas (''Gorilla gorilla diehli'') on Afi mountain, Cross River State, Nigeria."
Graduate Center, City University of New York
[14]
학술
"Remote Sensing Analysis Reveals Habitat, Dispersal Corridors and Expanded Distribution for the Critically Endangered Cross River ''Gorilla gorilla gorilla diehli''"
[15]
학술
"Impact of human activities on Cross River gorilla (''Gorilla gorilla diehli'') habitats in the Mawambi Hills, southwest Cameroon"
[16]
학술
"Genetic Analysis Reveals Population Structure And Recent Migration Within The Highly Fragmented Range Of The Cross River Gorilla (''Gorilla gorilla diehli'')"
[17]
간행물
Tool use during display behavior in wild cross river gorillas
[18]
뉴스
World's Most Endangered Gorilla Fights Back
https://www.scienced[...]
2007-12-11
[19]
웹사이트
Video - Rare Gorillas Caught on Camera
http://video.nationa[...]
2012-05-09
[20]
웹사이트
Nyango:Gorilla In Our Midst
https://crossrivergo[...]
2012-10
[21]
문서
Walsh, P.D., Tutin, C.E.G., Oates, J.F., Bailie, J.E.M., Maisels, F., Stokes, E.J., Gatti, S., Bergl, R.A., Sunderland-Groves, J. 7 Dunn. A. 2008. Gorilla Gorilla. Ln: IUCN 2013.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3.1.
[22]
문서
Ferris S., 2005 Chapter 7: Western Gorilla (''Gorilla gorilla'') in World Atlas of Great Apes and their Conservation Caldecott JO, Miles L.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World Conservation Monitoring Cent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g. 109-111.
[23]
서적
Gorilla Biology: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Cambridge
[24]
학술
"Nesting Behavior of ''Gorilla gorilla diehli'' at Kagwene Mountain, Cameroon: Implications for Assessing Group Size and Density"
2009-02-17
[25]
문서
March 1957; Critchley, 1968; Harcourt et al., 1989; Oates et al., 1990; JLG, unpublished data
[26]
문서
Etiendem D.N., Funwi-Gabga N., Tagg N. Hens L. Indah E.K., 2013. "The Cross River Gorillas (''Gorilla gorilla diehli'') at Mawambi Hills, South-West Cameroon: Habitat Suitability and Vulnerability to Anthropogenic Disturbance Folia Primatol Vol. 84, No. 1
[27]
학술
Nest site ecology of the cross river gorilla at the Kagwene Gorilla Sanctuary, Cameroon, with special reference to anthropogenic influence
2010-09-24
[28]
웹사이트
Nigeria Values Safety of Gorillas Over New Superhighway
http://www.goodnewsn[...]
GoodNewsNetwork
2017-05-04
[29]
학술
Historical sampling reveals dramatic demographic changes in western gorilla populations
2011-04-01
[30]
서적
Conservation Biology of the Cross River Gorilla (Gorilla gorilla diehli)
UMI Dissertations Publishing
[31]
학술
Recent decline in suit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African great apes
[32]
문서
Sawyer, S. (n.d). Applying resource selection functions at multiple scales to prioritize habitat use by the endangered Cross River gorilla. 19(8), 943-955.
[33]
문서
Adams, J. S., and T. O. McShane. 1996. The myth of wild Africa: conservation without illus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California, USA
[34]
문서
Eniang, E., December 2001. Bushmeat Trade and Primate Conservation around Cross River National Park. Gorilla Journal 23.
[35]
웹사이트
Rare gorillas in Nigeria captured on camera with babies
https://news.yahoo.c[...]
2020-07-08
[36]
웹사이트
Primates in Peril: The World's 25 Most Endangered Primates 2012– 2014
http://www.conservat[...]
IUCN/SSC Primate Specialist Group (PSG), International Primatological Society (IPS), Conservation International (CI), and Bristol Conservation and Science Foundation, Bristol, UK. 40 pp.
2013-10-25
[37]
논문
Traditional Knowledge Systems and the Conservation of Cross River Gorillas: a Case Study of Bechati, Fossimondi, Besali, Cameroon
[38]
논문
The relations among threatened species, their protection, and taboos
[39]
논문
Cross River Gorilla Workshop
[40]
뉴스
Protection boost for rare gorilla
http://news.bbc.co.u[...]
2008-11-28
[41]
뉴스
New National Park Protects World's Rarest Gorilla
http://newswise.com/[...]
2008-11-28
[42]
논문
A GIS Habitat Map for the Kagwene Gorilla Sanctuary, Cameroon
http://www.berggoril[...]
2008-12
[43]
간행물
"''Gorilla gorilla ssp. diehli''"
[44]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45]
웹사이트
Regional Action Plan for the Conservation of the Cross River Gorilla (''Gorilla gorilla diehli'')
http://www.primate-s[...]
IUCN/SSC Primate Specialist Group and Conservation International, Arlington, VA, USA
2024-03-24
[46]
웹사이트
"''Gorilla gorilla diehli'' Taxonomy and Nomenclature"
http://www.naturalsc[...]
2024-03-24
[47]
뉴스
World's rarest gorilla ready for its close-up
http://www.eurekaler[...]
2024-03-24
[48]
웹사이트
Cross River Gorilla
http://primates.squa[...]
2013-10-21
[49]
논문
Morphological distinctiveness of Nigerian gorilla crania
[50]
논문
Cross River gorillas: A distinct subspecies, ''Gorilla gorilla diehli'' Matschie, 1904
https://doi.org/10.1[...]
[51]
문서
Patterns of diversity in gorilla cranial morphology.
https://experts.illi[...]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52]
논문
The Cross River Gorillas: A Distinct Subspecies, ''Gorilla gorilla diehli'' Matschie 1904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53]
논문
The Cross River Gorillas (''Gorilla gorilla diehli'') at Mawambi Hills, South-West Cameroon: Habitat Suitability and Vulnerability to Anthropogenic Disturbance
[54]
Dissertation
Ecology of Cross River gorillas (''Gorilla gorilla diehli'') on Afi mountain, Cross River State, Nigeria.
Graduate Center, City University of New York
[55]
논문
Remote Sensing Analysis Reveals Habitat, Dispersal Corridors and Expanded Distribution for the Critically Endangered Cross River ''Gorilla gorilla gorilla diehli''
[56]
논문
Impact of human activities on Cross River gorilla (''Gorilla gorilla diehli'') habitats in the Mawambi Hills, southwest Cameroon
[57]
논문
Genetic Analysis Reveals Population Structure And Recent Migration Within The Highly Fragmented Range Of The Cross River Gorilla (''Gorilla gorilla diehli'')
[58]
웹사이트
Video - Rare Gorillas Caught on Camera
http://video.nationa[...]
2024-03-24
[59]
논문
Tool use during display behavior in wild cross river gorillas
[60]
웹사이트
World's Most Endangered Gorilla Fights Back
https://www.scienced[...]
2007-12-11
[61]
웹사이트
Nyango:Gorilla In Our Midst
https://crossrivergo[...]
2024-03-24
[62]
논문
Nesting Behavior of ''Gorilla gorilla diehli'' at Kagwene Mountain, Cameroon: Implications for Assessing Group Size and Density
2009-02-17
[63]
문서
Western Gorilla (''Gorilla gorilla'') in World Atlas of Great Apes and their Conservation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World Conservation Monitoring Cent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4]
서적
Gorilla Biology: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Cambridge
[65]
문서
March 1957; Critchley, 1968; Harcourt et al., 1989; Oates et al., 1990; JLG, unpublished data
[66]
논문
Nest site ecology of the cross river gorilla at the Kagwene Gorilla Sanctuary, Cameroon, with special reference to anthropogenic influence
2010-09-24
[67]
웹사이트
Nigeria Values Safety of Gorillas Over New Superhighway
http://www.goodnewsn[...]
GoodNewsNetwork
2024-03-24
[68]
논문
Historical sampling reveals dramatic demographic changes in western gorilla populations
2011-04-01
[69]
서적
Conservation Biology of the Cross River Gorilla (Gorilla gorilla diehli)
UMI Dissertations Publishing
[70]
논문
Recent decline in suit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African great apes
[71]
논문
Applying resource selection functions at multiple scales to prioritize habitat use by the endangered Cross River gorilla.
[72]
서적
The myth of wild Africa: conservation without illus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3]
간행물
Bushmeat Trade and Primate Conservation around Cross River National Park
2001-12
[74]
웹사이트
Rare gorillas in Nigeria captured on camera with babies
https://news.yahoo.c[...]
2020-07-08
[75]
웹사이트
Primates in Peril: The World's 25 Most Endangered Primates 2012– 2014
https://web.archive.[...]
IUCN/SSC Primate Specialist Group (PSG), International Primatological Society (IPS), Conservation International (CI), and Bristol Conservation and Science Foundation, Bristol, UK.
2024-03-24
[76]
논문
Traditional Knowledge Systems and the Conservation of Cross River Gorillas: a Case Study of Bechati, Fossimondi, Besali, Cameroon
[77]
논문
The relations among threatened species, their protection, and taboos
[78]
논문
Cross River Gorilla Workshop
[79]
웹사이트
Protection boost for rare gorilla
http://news.bbc.co.u[...]
2008-11-28
[80]
웹사이트
New National Park Protects World's Rarest Gorilla
https://web.archive.[...]
2024-03-24
[81]
논문
A GIS Habitat Map for the Kagwene Gorilla Sanctuary, Cameroon
https://web.archive.[...]
2008-12
[82]
기타
[83]
기타
[84]
저널
http://www.primat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