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본식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본식물은 줄기가 목질화되지 않고 부드럽고 다육하며, 개화 후 죽거나(또는 뿌리까지) 향료나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식물을 의미한다. 초본식물은 한해살이, 두해살이, 여러해살이로 구분되며, 생장 습성에 따라 분류된다. 한해살이풀은 1년 안에 개화하고 고사하며, 두해살이풀은 2년에 걸쳐 생장하고, 여러해살이풀은 여러 해 동안 생존한다. 초본식물은 리그닌이 지하부에 머물러 목본식물에 비해 키가 작고, 생장이 빠르며, 개척종으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초본식물은 목질이 아닌 관다발식물로, 양치식물과 속씨식물의 일부가 포함된다. 줄기가 목질화되지 않아 부드럽고 다육질이며, 개화 후에는 죽는 특성을 가진다.
초본식물에는 사초류, 목본, 양치식물이 포함된다.[10] 목본은 잎이 넓은 초본식물로 정의되며,[11] 사초류는 진짜 풀, 사초, 골풀 등 풀과 같은 외형을 가진 식물이다.[12][13]
2. 정의
초본식물의 생육 습성은 한해살이, 두해살이, 여러해살이로 나뉜다.[30] 한해살이풀은 발아 후 1년 이내에 개화, 결실하고 죽는다. 두해살이풀은 1년 차에는 영양 생장을 하고, 2년 차에 개화, 결실한다. 여러해살이풀은 지하부가 2년 이상 생존한다. 여러해살이풀이나 두해살이풀의 지하부에는 뿌리 외에도 뿌리줄기, 덩이줄기 등의 지하경과 잎을 포함한 줄기인 인경이 있다.
두해살이풀에는 당근, 황새냉이, 개망초 등이 있고, 여러해살이풀에는 벼과 식물이나 양치식물 대부분, 감자, 모란, 비비추 등이 있다. 바나나처럼 초본식물이지만 목본식물 못지않게 키가 큰 경우도 있다.
성장이 빠른 초본식물, 특히 한해살이풀은 선구종으로서 새로 생긴 땅에 가장 먼저 자리를 잡는다. 고원, 염습지, 사막과 같이 숲이 발달하기 어려운 곳이나 숲 바닥에 서식하기도 한다. 연못이나 호수와 같은 수중 환경, 프레리, 스텝, 사바나 등에서는 초본식물이 우점한다.
관다발식물은 이차 세포벽에 리그닌을 축적하지만, 초본식물은 리그닌 축적이 지하부에 한정된다.
2. 1. "초본 (Herb)"과 "초본성의 (Herbaceous)"
쇼터 옥스퍼드 영어 사전 제4판에 따르면 "herb"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4]
# 줄기가 목질화되어 지속되지 않고 (나무나 관목에서와 같이) 부드럽고 다육하며, 개화 후 죽는 (완전히 또는 뿌리까지) 식물
# 향료 또는 향료, 의약품 등에 사용되는 (자주 방향성) 식물. (참조: 허브)
같은 사전은 "herbaceous"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허브의 특성을 가진; 특히 목질 줄기를 형성하지 않고 매년 뿌리까지 죽는
# 식물학 색상이나 질감이 잎과 유사. scarious와 반대.
식물학 자료마다 "허브"의 정의는 조금씩 다르다. 예를 들어, 헌트 식물 문서 연구소는 "하나 이상의 생육 계절 동안 지속될 때, 싹의 부분이 계절적으로 죽는" 조건을 포함한다.[5] 난초의 일종인 ''팔레놉시스''(Phalaenopsis) 종은 일부 자료(권위 있는 Plants of the World Online)에서 "허브"로 묘사되지만 "잎이 지속되거나 때로는 낙엽성"이다.[6][7] 로저 찰스 캐롤린은 ''Flora of the Sydney Region''의 용어집에서 "허브"를 "목질 줄기를 생산하지 않는 식물"로 정의하고, 형용사 "herbaceous"는 "허브와 유사하며, 식물의 녹색이고 부드러운 질감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8][9]
초본식물은 목질이 아닌 관다발식물로, 양치식물과 속씨식물의 일부가 포함된다.
2. 2. 한국어에서의 정의
쇼터 옥스퍼드 영어 사전 제4판은 "herb"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4]
같은 사전은 "herbaceous"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헌트 식물 문서 연구소는 "하나 이상의 생육 계절 동안 지속될 때, 싹의 부분이 계절적으로 죽는" 조건을 포함하여 "허브"를 정의하기도 한다.[5] 로저 찰스 캐롤린은 ''Flora of the Sydney Region''의 용어집에서 "허브"를 "목질 줄기를 생산하지 않는 식물"로, 형용사 "herbaceous"는 "허브와 유사하며, 식물의 녹색이고 부드러운 질감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8][9]
초본식물은 목질이 아닌 관다발식물로, 양치식물과 속씨식물의 일부가 포함된다.
초본식물의 습성은 크게 한해살이, 두해살이, 여러해살이로 분류된다. 한해살이풀은 지하부를 포함한 식물 전체가 발아 후 1년 이내에 개화·결실하고 고사한다.[30] 두해살이풀은 가을 또는 봄에 발아하여 1년째 여름에는 주로 영양 기간의 성장을 하고, 2년째에 개화·결실한다. 이에 반해, 적어도 지하부가 2년 이상 생존하는 것을 여러해살이풀이라고 한다.[30]
두해살이풀의 예로는 당근, 황새냉이, 개망초 등이 있다. 여러해살이풀에는 벼과 식물이나 양치식물의 대부분이 해당되며, 감자, 모란, 비비추와 같은 식물이 있다.
한편, 목본식물도 형태에 따라 교목, 관목, 아관목, 덩굴식물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바나나 등, 초본식물이면서 목본식물에 못지않은 높이가 되는 것도 있다.
성장이 빠른 초본식물, 특히 한해살이풀 중에는 선구종으로서 천이가 진행되지 않은 토지에 가장 먼저 진출하는 것이 있다. 한편, 고원, 염생습지, 사막과 같은 천이의 중간이 아닌 열린 공간이나, 목본에 둘러싸인 숲 바닥에 생육하는 것도 있다. 연못이나 호수와 같은 수중 환경에서는 초본이 우점하고, 지상에서도 프레리, 스텝, 사바나 등을 형성한다.
관다발식물은 이차 세포벽에 리그닌이라는 복잡한 페놀 고분자를 축적하지만, 초본식물에서는 그것이 지하부에 머문다.
3. 종류 및 특징
초본식물은 대개 키가 작고, 나무나 관목 같은 목본식물과 달리 목화가 부족하며 지상부가 단명성이고 부드러운 녹색 줄기를 갖는다.[14] 반면, 비초본 관다발 식물은 휴면기에도 살아있고 지상부에서 다음 해에 싹을 틔우는 목본식물로, 나무, 관목, 덩굴 식물, 목질의 대나무가 있다. 바나나는 줄기에 목질 조직이 없어 초본식물로 간주된다.[15]
파초속(''Musa'')에 속하는 바나나처럼 상당히 크게 자라는 초본식물도 있다.[16]
초본식물은 목질이 아닌 관다발식물로, 양치식물과 속씨식물의 일부가 포함된다. 목본식물은 형태에 따라 교목, 관목, 아관목, 덩굴식물 등으로 분류된다.
관다발식물은 이차 세포벽에 리그닌을 축적하지만, 초본식물은 지하부에 머문다. 목본은 리그닌으로 이차 세포벽의 강도, 강성, 방수성이 향상되어 대형 지상부를 지지하고 물을 운반할 수 있지만, 발아에서 개화·결실까지 기간이 길다.
초본식물은 한해살이풀, 두해살이풀, 여러해살이풀로 나뉜다. 고원, 염생습지, 사막과 같은 열린 공간이나, 숲 바닥에 생육하기도 하고, 연못이나 호수 같은 수중 환경, 프레리나 스텝, 사바나 등을 형성하기도 한다.
3. 1. 한해살이 초본
대부분의 초본식물은 여러해살이(85%) 수명을 가지지만, 일부는 한해살이(15%) 또는 두해살이(<1%)이다.[27] 한해살이 식물은 생장기 말이나 꽃이 피고 열매를 맺은 후 완전히 죽으며, 새로운 식물은 씨앗에서 자란다.[28]
초본식물은 목질이 아닌 관다발식물로, 양치식물과 속씨식물의 일부가 포함된다. 초본식물의 습성은 크게 한해살이, 두해살이, 여러해살이로 분류된다. 한해살이풀은 지하부를 포함한 식물 전체가 발아 후 1년 이내에 개화·결실하고 고사한다.[30]
성장이 빠른 초본식물, 특히 한해살이풀 중에는 선구종으로서 천이가 진행되지 않은 토지에 가장 먼저 진출하는 것이 있다.
3. 2. 두해살이 초본
대부분의 초본식물은 여러해살이(85%) 수명을 가지지만, 일부는 한해살이(15%) 또는 두해살이(<1%)이다.[27] 초본 두해살이 식물은 가을 또는 봄에 발아하여 1년째 여름에는 주로 영양 생장을 하고, 2년째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다.[30] 줄기가 죽을 수 있지만, 식물의 일부는 계절이 바뀔 때마다 땅속이나 땅 가까이에서 살아남는다(두해살이 식물의 경우, 다음 생장기까지 살아남아 다시 자라고 꽃을 피운 후 죽는다). 새로운 생장은 땅 위나 땅 아래에 남아있는 살아있는 조직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뿌리, 카덱스(지면에서 줄기의 두꺼워진 부분) 또는 구경, 구경, 기는줄기, 뿌리줄기, 덩이줄기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지하 줄기를 포함한다. 초본 두해살이 식물의 예로는 당근, 파스닙, 애기똥풀,[29] 개망초 등이 있다.
3. 3. 여러해살이 초본
대부분의 초본식물은 여러해살이(85%) 수명을 가지지만, 일부는 한해살이(15%) 또는 두해살이(<1%)이다.[27] 초본 여러해살이 식물은 생장기 말에 줄기가 죽을 수 있지만, 식물의 일부는 계절이 바뀔 때마다 땅속이나 땅 가까이에서 살아남는다.
새로운 생장은 뿌리, 카덱스(지면에서 줄기의 두꺼워진 부분) 또는 구경, 구경, 기는줄기, 뿌리줄기, 덩이줄기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지하 줄기를 포함하여 땅 위나 땅 아래에 남아있는 살아있는 조직에서 발생할 수 있다. 초본 여러해살이 식물에는 감자, 작약, 호스타, 박하, 대부분의 고사리 및 대부분의 목초가 있다.[29]
여러해살이풀은 적어도 지하부가 2년 이상 생존하는 식물이다.[30] 여러해살이풀에서 생존하는 지하부에는 뿌리 외에도, 뿌리줄기나 덩이줄기 등의 지하경과 잎을 포함한 줄기인 인경이 있다.
벼과 식물이나 양치식물의 대부분은 여러해살이풀에 해당되며, 감자, 모란, 비비추와 같은 식물이 있다.
여러해살이풀 중에는 뿌리의 이차 목부 나이테로부터 연령을 산출할 수 있는 것이 있다.
4. 생태
비교적 빠르게 성장하는 일부 초본 식물(특히 한해살이풀)은 개척종 또는 초기 천이 종이다. 다른 식물들은 숲의 지면층이나 초원, 염습지, 사막과 같은 자연적으로 열린 서식지 등 많은 안정된 서식지의 주요 식생을 형성한다. 초원, 대초원, 사바나와 같은 일부 서식지는 연못, 시냇물, 호수와 같은 수생 환경과 함께 초본 식물들이 우세하다.[17]
일부 초본 여러해살이풀의 나이는 이차 뿌리 물관부의 연간 성장 고리 분석인 초본연대학으로 결정할 수 있다.[18]
4. 1. 리그닌과의 관계
초본 식물은 관다발식물의 이차 세포벽에 침전되는 복잡한 페놀 중합체인 리그닌을 사용하여 지상에 오래 지속되는 구조물을 생성하지 않는다. 관다발 식물 진화 과정에서 리그닌의 발달은 이차 세포벽에 기계적 강도, 강성 및 소수성을 제공하여 목질 줄기를 만들고 식물이 키가 크게 자라고 식물체 내에서 더 먼 거리까지 물과 영양분을 운반할 수 있도록 했다. 대부분의 목본 식물은 지속적으로 살아있는 리그닌화된 목질 줄기를 생산하는 데 더 많은 시간과 더 많은 자원(영양분과 물)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명이 더 긴 여러해살이풀이므로, 초본만큼 빠르게 열리고 건조한 땅에 정착할 수 없다.4. 2. 수분 공급원
초본 식물의 표면은 이슬의 촉매제 역할을 하며,[19][20] 건조한 기후와 계절에는 강수의 주요 유형이자 식물 생존에 필수적이다.[21][22] 건조 지역에서 초본 식물은 강수 생성자이자 생태계의 기초이다. 이슬로 변하는 수증기 대부분은 토양이나 구름이 아닌 공기에서 온다.[23][24] 초본 식물이 클수록(주요 요인은 표면적) 더 많은 이슬을 생성하므로,[25][26] 초본 식물을 짧게 자르면 물을 줘야 한다. 예를 들어 건조 지역에서 물을 주지 않고 풀을 자주 짧게 자르면 사막화가 발생한다.
5. 기타
(원문 소스에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어 빈 결과가 출력되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도 없습니다.)
5. 1. 목본식물과의 비교
초본식물은 대개 키가 작은 식물로, 나무나 관목과 같은 목본식물과 다르며, 목화가 부족하고 지상부가 단명성이며 종종 계절에 따라 지속되는 부드러운 녹색 줄기를 갖는 경향이 있다.[14] 반면, 비초본 관다발 식물은 휴면기에도 살아있고 지상부에서 다음 해에 싹을 틔우는 지상부 줄기를 가진 목본식물이며, 여기에는 나무, 관목, 덩굴 식물, 목질의 대나무가 포함된다. 바나나 식물도 줄기에 진정한 목질 조직이 없기 때문에 초본식물로 간주된다.[15]목본식물은 형태에 따라 교목, 관목, 아관목, 덩굴식물 등으로 분류된다. 바나나 등 초본식물이면서 목본식물에 못지않은 높이가 되는 것도 있다. 여러해살이풀 중에는 뿌리의 이차 목부 나이테로부터 연령을 산출할 수 있는 것이 있다.
관다발식물은 이차 세포벽에 리그닌이라는 복잡한 페놀 고분자를 축적하지만, 초본식물에서는 그것이 지하부에 머문다. 목본에서는 리그닌에 의해 이차 세포벽의 기계적 강도, 강성, 방수성이 향상되어 대형화된 지상부를 지지하고, 장거리에 걸쳐 물을 운반할 수 있지만, 거기에 자원과 시간을 투자하게 되므로 발아에서 개화·결실까지의 기간이 길어진다.
5. 2. 초본연대학
일부 초본 여러해살이풀의 나이는 이차 뿌리 물관부의 연간 성장 고리 분석인 초본연대학으로 결정할 수 있다.[18]참조
[1]
서적
Flora of the British Isles
[2]
서적
Introduction to the Horticultural Science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4-02-14
[3]
서적
Biology
https://archive.org/[...]
Brooks/Cole Thomson Learning
[4]
서적
Shorter Oxford English dictionary on historical principl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5]
웹사이트
Hunt Institute for Botanical Documentation
https://huntbot.org/[...]
Carnegie Mellon University
2021-08-11
[6]
웹사이트
"''Phalaenopsis''"
http://efloras.org/f[...]
Flora of China
2021-08-11
[7]
웹사이트
"''Phalaenopsis'' - General Description"
https://powo.science[...]
Plants of the World Online
2021-08-11
[8]
서적
Flora of the Sydney region
Reed
1994
[9]
웹사이트
Glossary of Botanical Terms
https://plantnet.rbg[...]
Royal Botanic Garden Sydney
2021-03-08
[10]
서적
Dictionary of Forestry and Wildlife Sciences
https://books.google[...]
Concept Publishing Company
[11]
서적
Encyclopedia of Animal Science (Print)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4-11-16
[12]
서적
The Ecology of Browsing and Grazing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7-09-14
[13]
서적
Ecology of North Americ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5-08-31
[14]
서적
Plant Biology
https://books.google[...]
Garland Science
[15]
웹사이트
Is A Banana A Fruit Or A Herb? | Lexico
https://www.lexico.c[...]
[16]
서적
Bananas
http://www.musalit.o[...]
International Network for the Improvement of Banana and Plantains/International Plant Genetic Resources Institute
2013-01-31
[17]
서적
Tropical Ecosystems and Ecological Concep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08-31
[18]
논문
Herb-chronology as a tool for determining the age of perennial forbs in tropical climates
https://cdnsciencepu[...]
2017-11-09
[19]
학위논문
Predicting air temperatures in city streets on the basis of measured reference data
https://digital.libr[...]
University of Adelaide, South Australia
2005
[20]
논문
A Novel method for monitoring urban dew condensation and its application
https://hrcak.srce.h[...]
2017
[21]
논문
Form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dew in sparse elm woods and grassland in a semi-arid area
https://www.scienced[...]
2017
[22]
논문
Role of dewfall in the water balance of a semiarid coastal steppe ecosystem
2013
[23]
논문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role of dew in arid ecosystem of Gobi desert, inner Mongolia
https://books.google[...]
2004
[24]
논문
Dew water isotopic ratios and their relationships to ecosystem water pools and fluxes in a cropland and a grassland in China
2011
[25]
논문
Measured dewfall and potential condensation on grazed pasture in the Collie River basin, southwestern Australia
https://www.scienced[...]
1994
[26]
논문
Effect of vegetation type and growth stage on dewfall, determined with high precision weighing lysimeters at a site in northern Germany
https://www.scienced[...]
2009
[27]
논문
Revising the global biogeography of annual and perennial plants
2023-12
[28]
서적
A guide to wildflowers in winter: herbaceous plants of northeastern North America
Yale University Press
1995
[29]
웹사이트
Herbaceous Plants Examples
https://biologydicti[...]
2022-04-30
[30]
서적
図説 植物用語辞典
八坂書房
2001
[31]
서적
Gray's Manual of Botany
American Book Co.
1889
[32]
문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