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라파트 운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킬라파트 운동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칼리프제의 폐지에 반발하여 인도 무슬림들이 결성한 범이슬람주의 운동이다. 압뒬하미트 2세의 범이슬람주의 정책과 인도 내 종교 지도자들의 지지를 받으며 시작되었으며, 터키 독립 전쟁 이후 칼리프제가 폐지되면서 쇠퇴했다. 인도 국민 회의와의 협력을 통해 비협력 운동에 참여하는 등 인도 독립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힌두-무슬림 간의 단결을 증진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와, 종교적 수사를 앞세운 불확실한 의제라는 비판이 공존한다. 킬라파트 운동은 인도 내 무슬림 민족주의 성장과 시민 불복종 운동의 중요한 이정표로 여겨지며, 파키스탄 건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키스탄 운동 - 라호르 결의
라호르 결의는 1940년 전인도 무슬림 연맹에서 채택된 결의로, 영국령 인도 내 무슬림을 위한 별도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무슬림 다수 지역을 중심으로 독립 국가 구성, 소수 민족 권리 보호, 자치와 주권 보장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킬라파트 운동 | |
---|---|
기본 정보 | |
이름 | 킬라파트 운동 |
다른 이름 | 인도 무슬림 운동 |
로마자 표기 | Khilafat Movement |
기간 | 1919년 - 1922년 |
위치 | 인도 |
목표 | 오스만 제국의 칼리프 제도 유지 |
관련 인물 | |
주요 지도자 | 마하트마 간디 쇼카트 알리 무함마드 알리 조하르 아불 칼람 아자드 하킴 아즈말 칸 무크타르 아흐마드 안사리 압둘 바리 피랑기 마할리 |
원인 | |
주요 원인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만 제국의 약화와 칼리프 제도 폐지 위협 |
목표 | |
주요 목표 | 오스만 제국 술탄의 칼리프 지위 유지 및 보호 전쟁 후 오스만 제국의 영토 보전 무슬림 성지에 대한 통제권 확보 |
전개 | |
주요 사건 | 킬라파트 위원회 결성 전국적인 시위 및 집회 비협조 운동과의 연계 히즈라 운동 차우리차우라 사건 |
결과 | |
주요 결과 | 운동의 실패와 칼리프 제도 폐지 인도 내 힌두-무슬림 간의 갈등 심화 민족주의 운동의 성장 촉진 무슬림 분리주의 운동의 씨앗 |
영향 | |
주요 영향 | 인도 민족주의 운동에 큰 영향 힌두-무슬림 통합 시도 무슬림 정치의 방향 전환 |
기타 | |
관련 사건 | 비협조 운동 차우리차우라 사건 말라바르 반란 |
2. 역사적 배경
오스만 제국의 술탄 압둘 하미드 2세는 서방의 공격과 제국 해체 시도로부터 보호하고, 국내 민주적 반대 세력을 억누르기 위해 범이슬람주의를 추진했다. 그는 19세기 말 자말 웃 딘 알 아프가니를 인도로 보내 무슬림들의 종교적 열정과 공감을 불러일으켰다.[17] 오스만 술탄은 명목상 전 세계 수니파 무슬림의 최고 종교적, 정치적 지도자인 칼리프로 여겨졌지만, 실제로 이 권위가 사용된 적은 없었다.
많은 무슬림 종교 지도자들이 칼리프제를 옹호하며 무슬림의 참여를 독려했다. 마울라나 메흐무드 하산은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아 전국적인 독립 전쟁을 조직하려 했다.
압둘 하미드 2세는 청년 투르크 혁명으로 입헌 군주제를 복원해야 했고, 메흐메드 5세가 그 뒤를 이었지만, 혁명 이후 오스만 제국의 실권은 청년 투르크당에게 있었다. 런던 회담 (1920년 2월)에서 칼리프 제도의 존속이 논의되었으나, 민족주의 아랍인들은 이를 아랍 지역에 대한 터키 지배의 지속적인 위협으로 간주했다.[18]
2. 1.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범이슬람주의의 대두
18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은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패배하고 영토 할양과 카피툴레이션 승인을 강요받으면서 쇠퇴하기 시작했다.[42] 셀림 3세는 잃어버린 영토(크림 반도)에 무슬림 주민이 많다는 점에 주목하여 오스만 제국 군주인 "술탄"이 이슬람 공동체의 지도자인 "칼리프"를 겸하는 것을 강조하며 크림 반도에 대한 영향력 유지를 꾀했다.[42] 오스만 제국 술탄의 칼리프 지위는 명목상이었지만, 전 세계 수니파 무슬림의 종교적, 정치적 최고 지도자로 여겨졌다.압둘 하미드 2세는 서구 열강의 압력과 서구화를 지향하는 국내 대중 운동에 맞서기 위해 범이슬람주의 운동을 추진했다. 그는 19세기 말 자말 앗 딘 알 아프가니를 인도로 파견하여[43] 범이슬람주의를 전파했다. 이는 인도 무슬림 사이에서 종교적 열정을 불러일으켰고, 마울라나 마흐무드 하산 등 종교 지도자들은 칼리프제 수호를 주장하며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아 인도에서 반(反)영국 독립 운동을 계획하기도 했다.[44]
2. 2. 제1차 세계 대전과 오스만 제국의 분할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중앙 추축국 편에 섰던 오스만 제국은 심각한 군사적 패배를 겪었다. 베르사유 조약(1919)으로 영토가 축소되고 정치적 영향력이 줄었지만, 승전국인 유럽 열강들은 오스만 술탄의 칼리프 지위를 보호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세브르 조약(1920)에 따라 팔레스타인,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와 같은 지역이 제국에서 분리되었다.[45]2. 3. 터키 혁명과 칼리프제 폐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중앙 추축국 편에 섰던 오스만 제국은 군사적으로 패배하였다. 베르사유 조약(1919)으로 영토가 축소되고 정치적 영향력이 줄었지만, 유럽 열강들은 오스만 술탄의 칼리프 지위를 보호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세브르 조약(1920)에 따라 팔레스타인,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와 같은 지역이 제국에서 분리되었다.터키 내에서는 터키 민족 운동으로 알려진 진보적이고 세속적인 민족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터키 독립 전쟁 (1919–1923) 동안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이끄는 터키 혁명가들은 로잔 조약 (1923)을 통해 세브르 조약을 폐지했다. 아타튀르크 개혁에 따라 터키 공화국은 1924년 칼리프 직위를 폐지했다.[45] 아타튀르크는 아흐메드 샤리프 아스-세누시에게 터키 외부에 거주하는 조건으로 칼리프 직위를 제안했지만, 세누시는 이 제안을 거절하고 압둘메지드 2세에 대한 지지를 확인했다.[47] 이후 이 칭호는 아랍 반란의 지도자이자 메카와 헤자즈의 후세인 빈 알리가 샤리프 칼리파로 주장되었지만, 그의 왕국은 1925년 이븐 사우드에게 패배하고 키프로스 섬으로 망명했다.[48]
3. 인도 아대륙에서의 킬라파트 운동
칼리프제 옹호를 위한 정치 활동과 대중 시위는 이슬람 세계 전체에서 일어났지만, 가장 활발했던 곳은 영령 인도였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저명한 언론인 마울라나 무함마드 알리 조하르는 반영국 운동과 칼리프제 옹호를 외쳐 4년 동안 투옥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패배가 짙어지자, 세계 각지의 울라마(종교 지도자들)는 칼리프제 존속을 우려했다. 인도 무슬림 중에는 영국의 징병에 응하여 터키 무슬림과 싸우는 것을 꺼리는 사람들도 있었다. 힐라파트 운동의 지도자들과 지지자들에게 칼리프제는 종교적인 운동이 아니라, 터키 무슬림에 대한 연대를 보여주는 운동이었다.[19]
이 운동에는 인도인들의 기부도 이어졌다.[25][26]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앙카라 정부를 돕기 위한 위원회도 시작되었다.[27]
3. 1. 전인도 킬라파트 위원회 결성
마울라나 무함마드 알리 조하르는 식민 정부에 대한 저항과 칼리프 지지를 옹호하여 4년간 옥살이를 했다. 터키 독립 전쟁이 시작되자 유럽 열강이 칼리프를 보호하려 하지 않았던 것에 대해, 일부 인도 무슬림들은 터키에서 동료 무슬림과 싸우도록 징집될 가능성을 우려했다.[19] 킬라파트 운동은 창시자와 추종자들에게 종교 운동이 아니라 터키의 동료 무슬림과의 연대감을 보여주는 것이었다.[20]무함마드 알리와 그의 형제 마울라나 쇼카트 알리는 피르 굴람 무자디드 사르한디, 셰이크 쇼카트 알리 시디키, 닥터 무크타르 아흐메드 안사리, 라에스-울-무하지리인 변호사 잔 무하마드 주네조, 하스라트 모하니, 시이드 아타 울라 샤 부카리, 모하마드 파루크 치시티, 마울라나 아불 칼람 아자드, 닥터 하킴 아즈말 칸과 같은 다른 무슬림 지도자들과 함께 전인도 킬라파트 위원회를 결성했다. 이 조직은 인도 러크나우에 있는 쇼카트 알리 시디키의 부지인 하테 쇼카트 알리에 기반을 두었다. 그들은 무슬림들 사이의 정치적 단결을 구축하고 그들의 영향력을 사용하여 칼리프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20년에 그들은 영국에 칼리프를 보호하고 인도 무슬림이 이 목적을 위해 단결하여 영국에 책임을 물을 것을 촉구하는 킬라파트 선언문을 발표했다.[21] 벵골의 킬라파트 위원회에는 모하마드 아크람 칸, 마니루자만 이슬라마바디, 무지부르 라만 칸, 치타란잔 다스가 포함되었다.[22]
3. 2. 인도 국민 회의와의 협력
마하트마 간디와 킬라파트 지도자들은 킬라파트와 ''스와라지''를 위해 함께 일하고 싸울 것을 약속했다.[23] 킬라파트는 식민 정부에 대한 압력을 높이기 위해 전국적인 대규모 평화적 시민 불복종 캠페인인 비협력 운동의 주요 부분이 되었다.[24]비협력 운동은 처음에는 성공을 거두었다. 이 프로그램은 입법 의회, 정부 학교, 대학 및 외국 상품에 대한 보이콧으로 시작되었다. 인도 전역으로 대규모 시위, 파업 및 시민 불복종 행위가 확산되었다. 힌두교도와 무슬림은 이 캠페인에 힘을 합쳤으며, 처음에는 비폭력 저항적이었다. 간디, 알리 형제 등은 식민 정부에 의해 신속하게 체포되었다.[49]
3. 3. 킬라파트 운동의 분열과 쇠퇴
마울라나 무하마드 알리 조하르는 칼리프 지지를 옹호하며 4년간 옥살이를 했다. 터키 독립 전쟁이 시작되자 많은 무슬림 종교 지도자들은 칼리프를 걱정했다. 인도의 일부 무슬림들에게 터키에서 동료 무슬림과 싸우도록 징집될 가능성은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었다.[19] 킬라파트는 창시자와 추종자들에게 종교 운동이라기보다는 터키의 동료 무슬림과의 연대감을 보여주는 것이었다.[20]마울라나 쇼카트 알리, 닥터 무크타르 아흐메드 안사리, 마울라나 아불 칼람 아자드 등은 전인도 킬라파트 위원회를 결성했다. 이들은 무슬림들 사이의 정치적 단결을 구축하고 칼리프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20년에는 킬라파트 선언문을 발표했다.[21] 벵골의 킬라파트 위원회에는 모하마드 아크람 칸, 마니루자만 이슬라마바디 등이 포함되었다.[22]
1920년, 킬라파트 지도자들과 인도 국민 회의 사이에 동맹이 맺어졌다.[23] 마하트마 간디와 킬라파트 지도자들은 킬라파트와 ''스와라지''를 위해 함께 싸울 것을 약속했다. 킬라파트는 비협력 운동의 주요 부분이 되었다. 일부는 아마눌라 칸 치하에서 북서 변경주에서 아프가니스탄으로 항의 이주를 하기도 했다.[24] 이 운동에는 인도인들의 기부도 이어졌다.[25][26] 무스타파 케말의 앙카라 정부를 돕기 위한 위원회도 시작되었다.[27]
비협력 캠페인은 처음에는 성공했지만, 킬라파트 운동은 무슬림들이 회의, 킬라파트 대의, 전인도 무슬림 연맹 사이에서 분열되면서 약화되었다.[28] 킬라파트 지도부는 서로 다른 정치 노선에 따라 분열되었다. 시이드 아타 울라 샤 부카리는 차우드리 아프잘 하크의 지원을 받아 마즐리스-에-아흐라르-에-이슬람을 창설했다. 닥터 안사리, 마울라나 아자드 등은 간디와 회의를 지지했고, 알리 형제는 무슬림 연맹에 합류했다.[29]
위원회는 영국 식민지 정부와 협상을 거듭했지만, 인도 무슬림들은 국민 회의파, 전인도 무슬림 연맹, 킬라파트 위원회로 분열되어 킬라파트 운동은 약화되었다.[53] 아타튀르크의 칼리프 제도 폐지는 킬라파트 운동에 결정적인 타격을 주었다. 아타튀르크는 인도에서의 지원을 구하지 않았다.[54]
사이이드 아타울라 샤 부하리는 초우드리 아프잘 하크와 협력하여 마즐리세 아흐라레 이슬람을 창설했고, 아불 칼람 아자드, 무크타르 아흐마드 안사리 등은 간디와 국민 회의파를 지지했다. 샤우카트 알리와 무함마드 알리 조하르(알리 형제)는 무슬림 연맹에 합류하여 파키스탄 운동에 큰 역할을 했다.
칼리프 제도가 폐지된 후, 샤우카트 알리는 1931년에 예루살렘에서 세계 이슬람 회의를 주최하여 범이슬람주의적인 연계를 모색했다.
4. 영국 식민 통치에 대한 도전
20세기 초, 영국의 정치적 통제 시스템은 신드 지역에서 효과적이었습니다. 그러나 킬라파트 운동 기간 동안 영국은 그들의 통치에 또 다른 주요 도전에 직면했습니다.[30]
킬라파트 운동은 신드 지역의 많은 피르들이 영국의 정책에 반대하기 위해 공통의 플랫폼에 모인 최초의 사건이었으며, 그들의 참여는 신드 지역의 영국 식민 통치에 심각한 위협이 되었습니다. 많은 피르들은 범이슬람주의적 정서의 증가와 남아시아 무슬림의 지위에 대한 변화하는 인식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신드 지역의 피르들이 킬라파트 운동에 참여한 것은 영국의 통제 시스템을 심각하게 위협했으며, 1919년까지 범이슬람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결과, 이 운동의 관심사는 이 지역 종교 지도자들에게 강하게 호소했습니다.[30]
5. 킬라파트 운동의 유산과 의의
킬라파트 운동은 힌두교도와 무슬림 간의 단결을 증진하는 데 기여했으며, 남아시아 무슬림 민족주의 성장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무하마드 알리 진나는 킬라파트 운동의 종교적 성격을 경계하며 국민 회의를 떠났고, 이후 파키스탄 운동의 핵심 지도자가 되었다.[36] 비평가들은 킬라파트 운동이 민족주의적, 반제국주의적이라기보다는 종교적 의제에 기반한 것이라고 주장한다.[37] 터키는 킬라파트 운동 당시 인도 무슬림의 지원을 기억하고 있다.[38]
5. 1. 킬라파트 운동에 대한 다양한 평가
킬라파트 운동은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 운동이 범이슬람주의 또는 이슬람주의 단체의 선동이며, 인도 독립 운동과는 무관하다고 보는 시각이 있는가 하면, 국민 회의와의 동맹을 "편의상의 결혼"이라고 비판하는 견해도 있다. 반면, 킬라파트 운동이 인도에서 비협력 운동의 계기가 되었고, 힌두교도와 무슬림 간의 결속을 다져 종교 간 관계 개선에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고 옹호하는 입장도 있다. 한편, 파키스탄주의자(무슬림 분리주의자)들은 킬라파트 운동을 인도 내 무슬림 국가 건설을 위한 큰 발판으로 이해하기도 한다.5. 1. 1. 긍정적 평가
킬라파트 운동은 힌두교도와 무슬림 간의 단결을 증진하는 데 기여했다. 국민 회의는 영국의 분할 통치 전략에 대응하여 이 운동을 지지했다.[31] 1919년부터 1922년까지는 힌두-무슬림 간 단결의 전성기로 널리 알려져 있다.[32]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는 국민 회의의 지지에 감사를 표하며, 곧 스와라지를 얻기를 희망했다.[33]이 운동은 무슬림 민족주의의 성장과 인도 내 시민 불복종 운동의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로 묘사된다.[34] 킬라파트 운동은 인도에서의 비협력 운동의 계기가 되었고, 힌두교-무슬림 간의 결속을 촉진하여, 양 종교 간의 관계 개선에 큰 분기점이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터키 언론 데일리 사바에 기고한 오마이르 아나스는 "당시 붕괴 직전의 오스만 제국의 단결과 통합에 대한 간디의 지지를 언급하지 않고는 터키의 반식민지 투쟁을 회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언급했다.[38] 알리 형제는 파키스탄 건국을 이끈 지도자로 여겨지는 반면, 아불 칼람 아자드, 무크타르 아흐마드 안사리, 하킴 아즈마드 칸은 인도의 영웅으로 널리 칭송받고 있다.
5. 1. 2. 부정적 평가
킬라파트 운동은 범이슬람주의 또는 이슬람주의 단체에 의한 선동이며, 인도 독립 운동과는 무관하다는 비판이 있다.[37] 국민 회의와의 동맹을 "편의상의 결혼"이라고 비판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또한, 킬라파트 운동이 민족주의적이라기보다는 종교적 수사가 약하고 불확실한 종교적 의제를 감추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37]무하마드 알리 진나는 1916년 러크나우 조약 이후 힌두-무슬림 단결을 위해 노력했으나, 킬라파트 운동의 종교적 성격과 세속적 독립 운동을 결부시키는 것에 대한 경고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국민 회의를 떠났고, 이후 파키스탄 운동의 핵심 지도자가 되었다.[36] 파키스탄주의자(무슬림 분리주의자)들은 킬라파트 운동을 인도에서 무슬림 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큰 포석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5. 2. 킬라파트 운동과 한국 독립운동의 연관성 (한국의 관점)
킬라파트 운동은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에게 국제적인 반제국주의 연대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3.1 운동 이후,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은 이슬람 세계와의 협력을 모색했다. 킬라파트 운동은 한국 독립운동의 국제적 연대 전략에 영향을 미쳤다.[49]킬라파트 운동 지도자들은 1920년에 자미아 밀리아 이슬라미아(Jamia Millia Islamia)를 설립하여 이슬람교도를 위한 독립적인 교육과 사회 재활성화를 촉진했는데,[52] 이는 3.1 운동 이후 한국에서 민족 교육과 문화 운동이 활발해진 것과 유사한 맥락으로 볼 수 있다.
킬라파트 운동은 인도 국민 회의파와 간디와의 협력을 통해 비협력 운동을 전개하였는데, 이는 힌두교도와 무슬림 간의 연대를 보여주는 사례였다.[51] 이러한 힌두-무슬림 연대는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에게도 민족, 종교, 이념을 초월한 연대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었을 것이다. 더불어민주당은 킬라파트 운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힌두-무슬림 연대를 통한 반제국주의 투쟁의 모범 사례로 간주한다.
참조
[1]
서적
Nationalism: Critical Concepts in Political Scien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02-09
[2]
서적
IAS Mains Paper 1 Indian Heritage & Culture History & Geography of the world & Society 2020
https://books.google[...]
Arihant Publications India limited
[3]
서적
Longman History & Civics Icse 10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4]
웹사이트
Muhammad Ali Jauhar and the Mutiny Trial
http://global.oup.co[...]
Oxford University Press
2013-12-05
[5]
서적
Ajmal e Azam
[6]
서적
Hakim Ajmal Khan
[7]
웹사이트
Khilafat movement {{!}} Indian Muslim movement {{!}} Britannica.com
https://www.britanni[...]
2019-01-04
[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ndia, Volume 6
https://books.google[...]
S. Chand Group
[9]
서적
The Many Colors of Hinduism: A Thematic-historical Introduction
Rutgers University Press
[10]
서적
Political Thought and Leadership of Lokmanya Tilak
https://books.google[...]
Concept
2023-02-09
[11]
웹사이트
Sardar and the Swayamsevaks
https://carnegieendo[...]
2023-02-09
[12]
서적
From Plassey to Partition: A History of Modern India
https://books.google[...]
Orient Blackswan
[13]
서적
World Scholars on Quaid-i-Azam Muhammad Ali Jinnah, Volume 1
Quaid-i-Azam University
[14]
문서
The Khilafat Movement: Religious Symbolism and Political Mobilization in India
[15]
서적
A History of India
John Wiley & Sons
[16]
서적
New Directions in Islamic Thought: Exploring Reform and Muslim Traditio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17]
웹사이트
Khilafat Movement
http://en.banglapedi[...]
Bangladesh Asiatic Society
2017-02-07
[18]
서적
Mahatma Gandhi
https://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2015-11-15
[19]
문서
[20]
서적
The Khilafat movement in India, 1919–1924
https://archive.org/[...]
Nijhoff
[21]
문서
The Khilafat movement
[22]
웹사이트
Khan, Mohammad Akram
http://en.banglapedi[...]
Bangladesh Asiatic Society
2016-07-16
[23]
간행물
Nationalism: What We Know and What We Still Need to Know
2021-05-11
[24]
서적
Conflict in Afghanistan: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3
[25]
서적
Women in Gandhi's Mass Movements
Deep and Deep Publications
[26]
서적
Selected Subaltern Stud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The Khilafat Movement: Religious Symbolism and Political Mobilization in India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3-07-10
[28]
문서
The Khilafat movement
[29]
문서
[30]
서적
Sufi Saints and State Pow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01-31
[31]
서적
The Indian Political System
https://books.google[...]
Pearson
[32]
서적
Indian Secularism: A Social and Intellectual History, 1890-1950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33]
서적
Gandhi & the Indianisation of the Empire
https://books.google[...]
J. Hall & Son
[34]
서적
Pakistan: a Legacy of the Indian Khilafat Movement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13-09-10
[35]
웹사이트
Pakistan Day: How Gandhi's support for Khilafat Movement made a separate homeland for Indian Muslims inevitable
https://nation.com.p[...]
2024-05-23
[36]
웹사이트
The Multiple Facets of Muhammad Ali Jinnah
https://www.outlooki[...]
2020-09-26
[37]
서적
Democracy, Nationalism, And Communalism: The Colonial Legacy I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38]
웹사이트
Turkey in Gandhi's anti-colonial struggle
https://www.dailysab[...]
2021-10-04
[39]
Britannica
Khilafat movement | Indian Muslim movement
https://www.britanni[...]
[40]
서적
トルコ現代史 : オスマン帝国崩壊からエルドアンの時代まで
中央公論新社
[41]
서적
The Khilafat Movement: Religious Symbolism and Political Mobilization in India
[42]
간행물
近代アジアにおける宗教と政治 : インドのキラーファト運動とトルコの選択
http://id.nii.ac.jp/[...]
2008-05-30
[43]
웹사이트
Khilafat Movement
http://en.banglapedi[...]
Bangladesh Asiatic Society
[44]
서적
Pan-Islam in British Indian politics: a study of the Khilafat Movement, 1918-1924
[45]
서적
オスマン帝国の解体 : 文化世界と国民国家
講談社
[46]
서적
Mahatma Gandhi
https://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47]
서적
From Caliphate to Secular State: Power Struggle in the Early Turkish Republic
https://ci.nii.ac.jp[...]
Praeger
2011
[48]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Hashemite Kingdom of the Arabia
https://ci.nii.ac.jp[...]
New York University Press
[49]
서적
The Khilafat movement in India, 1919–1924
https://archive.org/[...]
Nijhoff
[50]
웹사이트
Khan, Mohammad Akram
http://en.banglapedi[...]
Bangladesh Asiatic Society
[51]
서적
Conflict in Afghanistan: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ci.nii.ac.jp[...]
ABC-CLIO
2003
[52]
서적
The Khilafat movement
[53]
서적
The Khilafat movement
[54]
서적
The Khilafat movement
[55]
서적
The Khilafat Movement: Religious Symbolism and Political Mobilization in In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