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워 브리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워 브리지는 19세기 후반 런던의 상업 발전에 따라 런던 브리지 하류에 필요해진 새로운 다리로, 호러스 존스와 존 울프 배리의 설계로 1886년 건설을 시작하여 1894년 개통되었다. 현수교와 도개교가 혼합된 독특한 구조로, 템스강을 건너는 주요 교통로이자 런던의 대표적인 랜드마크로 자리 잡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피해를 입기도 했지만, 지속적인 개보수를 통해 현재까지도 운영되고 있으며, 매일 많은 차량, 자전거, 보행자들이 이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워햄리츠구의 박물관 - 런던탑
    런던탑은 1066년 윌리엄 1세가 건설한 요새이자 궁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여러 시대의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탑과 건물들, 수감 및 처형의 역사, 왕실 보석 보관 장소로서의 역할, 그리고 현재는 관광 명소로 운영되는 곳이다.
  • 타워햄리츠구의 관광지 - 카나리 워프
    카나리 워프는 런던 아일 오브 도그에 위치한 주요 비즈니스 지구로, 과거 웨스트 인디아 도크가 있던 자리에 1980년대 재개발을 통해 금융 중심지로 탈바꿈하여 세계적인 금융 기업 본사와 다양한 시설을 갖춘 복합 공간으로 기능한다.
타워 브리지
기본 정보
샤드 테임스에서 바라본 타워 브리지
샤드 테임스에서 바라본 모습
다른 이름런던 타워 브리지
위치런던 자치구
위치 (북쪽)타워햄릿츠구
위치 (남쪽)사우스워크구
지리 좌표51° 30′ 20″ N, 0° 04′ 32″ W
건너는 곳템스강
명명 유래런던탑
유지 관리시티 브리지 재단
문화유산 지정1급 등록 건물
웹사이트타워 브리지 공식 웹사이트
이전 다리런던 브리지
다음 다리엘리자베스 2세 교
종류도개교 / 현수교
총 길이287 미터
높이65 미터
건설 시작1886년 4월 22일
완공1894년
개통1894년 6월 30일
기술 정보
설계자호러스 존스
통과 교통런던 이너 링 로드
최대 경간61 미터
수면 위 높이 (닫힘)8.6 미터
수면 위 높이 (열림)42.5 미터

2. 역사

19세기 후반, 런던 이스트엔드의 상업이 발전하면서 런던 브리지 하류에 새로운 다리가 필요하게 되었다.[4] 그러나 런던 브리지와 런던 타워 사이에는 풀 오브 런던이 있어, 이곳에 입항하는 배들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고정된 다리를 건설하는 것은 불가능했다.[4]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876년에 위원회가 설립되어 디자인 공모를 실시했고, 템스 강을 횡단하는 방법에 대한 50개 이상의 제안이 모였다.[4] 오랜 논의 끝에 1884년 도시 건축가였던 호러스 존스(Horace Jones)의 설계가 승인되었다.[4]

템스 강 상류에 건설된 타워 브리지는 국회의사당의 빅 벤과 함께 런던의 상징적인 건축물이다. 1894년에 총 길이 260m로 완공되었으며, 양 옆으로 솟은 거대한 탑이 있는 우아한 도개교(跳開橋)이다. 도개교를 매단 두 개의 탑은 높이 50m의 철골 탑이다. 다리를 들어 올리는 유압 원리는 당시와 동일하지만, 엔진이 아닌 전기 모터를 사용한다. 탑 안에는 타워 브리지 전시관(Tower Bridge Exhibition)이 있어 도개교의 원리를 알 수 있고, 탑 건설 당시의 증기 엔진도 볼 수 있다.

탑 위에는 유리 통로로 된 인도교가 두 개의 탑을 연결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템스 강뿐만 아니라 런던의 멋진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 타워 브리지는 템스 강 다리 중에서도 야경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며, 밤하늘을 배경으로 조명을 받아 하얗게 빛나는 모습은 런던의 명물로 손꼽힌다.

2. 1. 건설 배경

19세기 말, 런던 동부의 인구와 상업 발전이 증가하면서 런던 브리지 하류에 새로운 다리가 필요하게 되었다.[4] 그러나 런던 브리지와 런던 타워 사이의 런던 풀에는 항만 시설이 있어, 돛단배가 드나들어야 했기 때문에 일반적인 다리를 건설할 수는 없었다.[4]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875년 12월 '특별 교량 또는 지하철 위원회'가 결성되었다.[4] 1876년 12월 7일, 위원회는 런던 브리지 동쪽에 교량이나 지하철을 건설할 것을 권고하는 보고서를 제출했다.[4]

50개 이상의 디자인이 제출되었는데, 그중에는 토목 기사 조셉 바잘게트 경의 디자인도 있었지만, 충분한 높이가 확보되지 않아 거부되었다.[4] 이후 1884년 7월 24일, 브리지 하우스 부동산 위원회는 "기계식 개구부 또는 개구부가 있는 저층 다리"를 건설할 것을 제안하는 보고서를 제출했다.[4]

2. 2. 설계 및 법안

19세기 말 런던 동부의 인구와 상업적 발전이 증가하면서 런던 브리지 하류에 새로운 다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돛단배가 런던 브리지와 런던 타워 사이의 런던 풀에 있는 항만 시설에 접근하는 것을 막을 수 있었기 때문에 전통적인 고정식 다리는 건설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875년 12월 '특별 교량 또는 지하철 위원회'가 결성되었고, 1876년 12월 7일 런던 브리지 동쪽에 교량이나 지하철을 건설할 것을 권고하는 보고서를 제출했다.[4] 50개 이상의 디자인이 제출되었으나, 조셉 바잘게트 경의 디자인을 포함하여 대부분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었다.

1884년 7월 24일, 브리지 하우스 부동산 위원회는 "기계식 개구부 또는 개구부가 있는 저층 다리" 건설을 제안하는 보고서를 제출했고,[4] 위원회의 벨기에, 네덜란드, 뉴캐슬 브리지 방문 후, 1884년 10월 28일 일반 의회 법원에 세 가지 모델(디자인 A: 스윙 브리지, 디자인 B: 스윙 브리지의 변형, 디자인 C: 바스큘 브리지) 중 하나에 따라 건설된 기계식 다리에 대한 제안이 제시되었다.[4] 디자인 C가 채택되어 의회에 제출할 법안이 준비되었다.

1884년 호러스 존스(Horace Jones)와 존 울프 배리(John Wolfe Barry)는 도개교와 현수교를 결합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1885년 8월 14일, 건설을 승인하는 의회법이 국왕의 재가를 받아 '1885년 런던 시청(타워 브리지)법(Corporation of London (Tower Bridge) Act 1885)'이 되었다.[4] 이 법은 다리의 디자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건내용
중앙 개방 경간열렸을 때 트리니티 고조 수위에서 약 41.15m 높이, 닫혔을 때 약 8.84m 높이, 약 60.96m 폭
교각 크기길이 약 56.39m, 폭 약 21.34m
측면 경간 길이각각 약 82.30m
수로 유지건설 중 강 교통을 위해 약 48.77m 폭의 수로 유지
건축 양식런던 탑의 건축 양식과 일치[4]
완공 기한법 통과 후 4년 이내[5]
선박 통행육상 교통에 지장을 주지 않고, 어떤 선박이든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



배리는 "한때 새로운 구조물이 대포를 장착하고 군대가 주둔하기에 적합하도록 만들려고 했다"고 언급했지만, "이후 후자의 아이디어는 대부분 폐기되었다."고 말했다.[4] 그러나 법은 "런던 탑의 지휘관인 선임 장교는 항상 타워 브리지를 점유할 권리를 갖는다"고 규정했다.

당시 타워 브리지와 런던 브리지 사이의 해상 무역 규모는 법의 부록 B에 나타나 있다. 부록 B에는 템스 강 북쪽에 위치한 11개의 부두, 부두 및 선창과 남쪽에 위치한 20개의 선창이 나열되어 있다.

건설 기간 연장을 위해 1889년 8월 12일 '1889년 런던 시청(타워 브리지)법(Corporation of London (Tower Bridge) Act 1889)'과 1893년 6월 29일 '1893년 런던 시청(타워 브리지) 시간 연장법(Corporation of London (Tower Bridge) Extension of Time Act 1893)'이 국왕의 재가를 받았다.[6]

2. 3. 건설 과정

에드워드 크루트웰의 감독하에 1886년 4월 22일에 건설이 시작되었고,[4] 1886년 6월 21일 웨일스 공초석을 놓은 후 8년 동안 진행되었다.[8][9]

건설 작업은 8개의 계약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계약 내용담당 회사계약 금액 (파운드)
다리의 북쪽 접근로 (1887년 2월 시작), 교각 기초와 다리 받침대 (1887년 2월 시작),[10] 북쪽 접근로의 주철 난간 (1887년 12월)존 잭슨189,732[11]
유압 계약 (1887년 12월)W. G. 암스트롱, 미첼 앤 컴퍼니 주식회사85,232
남쪽 접근로 (1888년 7월)윌리엄 웹스터38,383
상부 구조의 금속 공사[12] (1889년 5월)윌리엄 아롤 & 코337,113[47]
조적 상부 구조 (1889년 5월)와 포장 및 조명 (1892년 5월)페리 앤 컴퍼니179,455[11]
총 계약 금액830,005[11]



평균 432명의 노동자가 현장에서 일했지만,[47] 전체적으로 최소 1,200명 이상이 건설에 참여했다.[13] 건설 기간 동안 현장 엔지니어였던 크루트웰은[14] 건설 중 "단" 10건의 치명적인 사고가 있었다고 언급했다. 기초 침하에서 4건, 접근로에서 1건, 나머지 5건은 상부 구조에서 발생했다.[47]

약 71123290.00kg 이상의 콘크리트가 두 개의 교각을 지지하기 위해 강바닥에 설치되었다. 첫 번째 케이슨은 1886년 9월에 시작되었고, 두 교각이 완성된 것은 1890년 1월이었다. 기초 공사가 오래 걸린 이유는 첫 번째 교각의 발판을 제거하여 선박을 위한 160피트의 통로를 확보한 후에 두 번째 교각의 굴착을 연기해야 했기 때문이다.[15]

타워와 보도의 프레임워크에는 약 11176517.00kg 이상의 강철이 사용되었고, 그 후 콘월산 화강암과 포틀랜드 석회암으로 덮어 하부 강철 구조물을 보호하고 다리가 런던 타워와 건축적으로 어울리도록 하였다.

호레이스 존스가 1887년에 사망하면서 존 울프 배리가 건축가로서 그 역할을 이어받았다. 배리는 존스의 원래 벽돌 정면을 더 화려한 빅토리아 시대의 고딕 리바이벌 건축 스타일로 바꾸어 다리를 더욱 독특하게 만들고 인근 런던 타워와 조화를 이루도록 했다.

총 건설 비용은 1,184,000 파운드였다.[9]

2. 4. 개통 및 운영

1895년 타워 브리지 개통 그림, 윌리엄 라이오넬 윌리


1894년 6월 30일 웨일스 공과 알렉산드라 공주가 타워 브리지를 공식적으로 개통하였다.[2] 개통식에는 궁내 대신 캐링턴 경과 내무 장관 H. H. 아스퀴스가 참석하였다.[2] 런던 시의 역사에서 타워 브리지 개통식은 "준 국가적인" 행사로 보도될 만큼 화려하고 역사적인 행사였다.[2]

런던 시청은 1,200명의 노동자와 그들의 아내들을 위해 300GBP의 비용으로 "오락 행사"를 열었고,[3] 다리 건설을 처음부터 담당했던 에드워드 크루트웰이 사회를 맡았다.[3] 저녁 식사 후 각 노동자에게는 기념 파이프와 담배 한 갑이, 각 노동자의 아내에게는 과자 상자가 주어졌다.[3]

의회법에 따라 다리를 건너는 동안 위험에 처한 선박을 돕기 위해 예인선을 대기시켜야 했으며, 이 요구 사항은 1960년대까지 유지되었다.[4]

타워 브리지는 강 북쪽 제방의 아이언 게이트와 남쪽의 레인(현재는 각각 타워 브리지 어프로치와 타워 브리지 로드로 알려짐)을 연결했다.[5] 타워 브리지 개통 전까지 400m 서쪽에 있는 타워 서브웨이는 타워 힐에서 사우스워크의 툴리 스트리트까지 강을 건너는 가장 짧은 길이었다.[5] 1870년에 개통된 타워 서브웨이는 세계 최초의 지하철 중 하나였지만, 불과 3개월 만에 폐쇄되었고 통행료를 받는 보행자 터널로 다시 개통되었다.[5] 타워 브리지가 개통되자 통행료가 없어 대부분의 보행자 통행이 다리를 이용하게 되었고, 수입의 대부분을 잃은 터널은 1898년에 폐쇄되었다.[5]

타워 사이의 높은 고도에 있던 개방형 보행로는 매춘부와 소매치기로 악명이 높았다.[6] 계단으로만 접근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일반 보행자가 거의 사용하지 않았고, 1910년에 폐쇄되었다.[6] 이후 1982년 타워 브리지 전시의 일부로 다시 개장되었다.[6]

2. 5. 20세기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타워 브리지는 런던 항구로 가는 주요 교통 연결로 간주되어 적의 공격 대상이 되었다. 1940년에는 고층 스팬이 직격탄을 맞아 유압 메커니즘이 끊어져 다리가 작동 불능 상태가 되었다. 1941년 4월에는 낙하산 지뢰가 다리 근처에서 폭발하여 도개교, 탑 및 엔진실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19] 1942년에는 기존 엔진이 적의 공격으로 손상될 경우를 대비하여 세 번째 엔진이 설치되었다. 이 엔진은 Vickers Armstrong Ltd.가 뉴캐슬어폰타인 엘스윅 공장에서 제작한 150 hp 수평 교차 복합 엔진이었다. 이 엔진에는 직경 약 2.74m에 9톤 무게의 플라이휠이 장착되었으며 30rpm의 속도로 제어되었다. 이 엔진은 1974년 나머지 시스템이 현대화되면서 불필요해졌으며 런던 시청에 의해 Forncett 산업 증기 박물관에 기증되었다.[19]

사우스워크 구에 있는 다리의 남쪽 부분은 1949년 12월 6일에 영국 지정 건축물 1등급으로 지정되었고,[20] 타워 햄리츠 구에 있는 다리의 나머지 부분은 1973년 9월 27일에 지정되었다.[21]

1960년에는 두 개의 주요 탑을 연결하는 두 보행자 통로의 상단 다리가 수평으로 돌출된 캔틸레버 브리지에서 서스펜션 케이블을 추가하여 현수교로 전환되었다. 이는 통로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었다.[22]

1974년에는 원래의 작동 메커니즘이 BHA 크롬웰 하우스의 제프리 베레스포드 하트웰이 설계한 새로운 전기 유압 구동 시스템으로 대부분 대체되었으며, 원래의 최종 피니언은 현대식 유압 모터로 구동되었다.[23]

1982년에는 타워 브리지 전시회가 개관하여 다리의 쌍둥이 탑, 오랫동안 폐쇄되었던 고층 통로, 빅토리아 시대의 엔진실에 전시되었다. 후자에는 여전히 원래의 증기 엔진과 원래의 유압 기계 일부가 보존되어 있다.[24][25][26]

2000년, 도개교를 수리하고 기타 유지 보수를 위해 한 달 동안 다리가 폐쇄되었다.[27] 도개교의 개폐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컴퓨터 시스템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드러나 2005년 여러 차례 센서가 교체되기 전까지 다리가 열린 상태나 닫힌 상태로 멈추는 결과를 초래했다.[44]

2008년 4월, 당국은 400만 파운드 규모의 다리 개보수를 발표했다. 이 작업에는 기존 페인트를 벗겨내고 금속 표면을 노출시킨 후 파란색과 흰색으로 다시 칠하는 작업이 포함되었다.[28][29] 이전에 다리의 색상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즉위 25주년을 기념하여 빨간색, 흰색, 파란색으로 칠해진 1977년부터였다. 이후 색상은 파란색과 흰색으로 복원되었다.[28][29] 각 구역은 템스강으로 오래된 페인트가 떨어져 오염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계와 플라스틱 시트로 덮였다. 2008년 중반부터 계약업체들은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한 번에 다리의 4분의 1을 작업했지만, 일부 도로 폐쇄는 불가피했다. 완공된 작업은 25년 동안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30] 보도 내부의 개조는 2009년 중반에 완료되었다. 4개의 현수 사슬 개조는 최대 6겹의 페인트가 필요한 최첨단 코팅 시스템을 사용하여 2010년 3월에 완료되었다.[28] 다리의 1급 지정으로 인해 구멍을 뚫지 않고 다리 상부 구조 내에 숨겨진 RGB LED 조명기구를 기반으로 한 조명 시스템이 설치되었다.[31]

2012년 런던 올림픽 기간 동안의 타워 브리지와 올림픽 링


2012년 7월 8일, 런던 올림픽의 일환으로 서쪽 보도는 영국 작곡가 새뮤얼 보돌리(Samuel Bordoli)가 만든 라이브 음악 조각품으로 변모했다. 30명의 클래식 음악가들이 템스강 위에 있는 다리 길이를 따라 올림픽 링 뒤에 배치되었다. 소리는 보도를 따라 앞뒤로 이동하며 다리 구조를 반향했다.[32][33]

올림픽 이후, 링은 타워 브리지에서 제거되었고, 상징은 2012년 하계 패럴림픽을 위해 패럴림픽 게임의 상징으로 교체되었다.[34]

2016년 10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타워 브리지는 모든 차량 통행이 금지되었다.[35] 이는 나무 데크, 리프팅 메커니즘의 구조적 유지 보수 작업과 다리 진입로의 벽돌 아치 방수를 허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기간 동안 다리는 수로 교통에 개방되어 있었다. 3주간의 주말을 제외하고는 보행자에게도 개방되었으며, 무료 페리 서비스가 운영되었다.[36]

3. 구조 및 특징

타워 브리지는 도개교(개폐교), 현수교, 캔틸레버교의 특징을 결합한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1894년 템스 강 상류에 완공되었으며, 총 길이는 260m이다. 설계자는 호레이스 존스이다.[7] 양 옆으로 솟은 두 개의 탑은 높이 50m의 철골 구조로, 다리 중앙 부분은 배가 지나갈 수 있도록 들어 올려진다.

다리의 구조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 해안~교각: 현수교
  • 중앙: 개폐교
  • 상부 보도: 1960년에 현수교로 개조되기 전까지 캔틸레버교


주요 탑은 강철 골격 구조에 화강암과 포틀랜드 석회암으로 덮여 있으며, 내부는 벽돌 구조이다.[47] 각 타워 모서리에는 약 36.42m 길이의 팔각형 강철 기둥이 있다.

다리 전체 길이는 교대부를 포함하여 약 286.51m이며, 난간 사이 폭은 약 18.29m이다. 중앙 개폐 구간은 약 60.96m로, 두 개의 동일한 개폐부(bascule)로 나뉘며, 각 개폐부는 약 30.48m 밖으로 돌출, 약 1070ton의 무게를 가진다. 이 개폐부는 균형을 이루어 5분 안에 들어 올릴 수 있다.[47]

측면 구간은 각각 약 82.30m 길이의 현수교이며, 보행자 통로는 만조 시 강에서 약 43.59m 위에 있고, 엘리베이터와 계단으로 접근할 수 있다.[47]

1974년, 기존 유압 시스템은 BHA 크롬웰 하우스가 설계한 새로운 전기 유압 구동 시스템으로 대부분 교체되었다. 구 시스템의 유일하게 남은 부분은 바스큘의 랙에 맞는 최종 피니언이며, 유압 모터와 기어 장치로 구동된다. 새로운 시스템에서는 유압유로 물 대신 오일을 사용한다.

3. 1. 구조

The Tower Bridge영어의 구조는 원래 호레이스 존스에 의해 설계되었지만, 현재와 같은 높은 수준의 보도 대신 아치를 가지고 있었다. 배의 돛대와 돛대가 아치에 부딪힐 것이라는 우려로 인해 그의 설계는 반대에 직면했고, 존스는 "아치형 형태를 포기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47] 1885년 존 울프 배리가 존스와 협력하여 오늘날과 같은 설계가 가능하도록 "상부 다리에 수평 소핏"이라는 개념을 개발했다.[3] 타워 브리지는 특이하게도 세 가지 유형의 다리를 포함하도록 설계되었다. 해안에서 교각까지의 두 개의 경간은 현수교이고, 중앙의 개폐식 경간은 개폐교이며, 높은 수준의 보도는 1960년에 현수교로 개조되기 전까지 캔틸레버교였다.[1]

주요 타워는 "강철 구조물 골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강암과 포틀랜드 석재로 덮여 있고, 내부 면에는 벽돌 구조가 있다".[47] 각 타워의 각 모서리에는 약 36.42m 길이의 팔각형 강철 기둥이 서 있다. 작은 교대 타워는 "전반적으로 유사하지만...규모가 작다".[47]

교대부를 포함한 다리의 총 길이는 약 286.51m이고, 북쪽 접근로는 약 384.05m, 남쪽 접근로는 약 237.74m이다. 난간 사이의 다리와 접근로 폭은 약 18.29m이고, 개구간은 약 14.94m이다. 가장 가파른 경사는 북쪽이 1:60, 남쪽이 1:40이다.[47]

타워 사이의 중앙 경간은 약 60.96m로 두 개의 동일한 개폐부(bascule)로 나뉘며, 각 개폐부는 약 30.48m 밖으로 돌출되고 각 교각 표면 내에서 약 19.05m 뒤로 연장된다. 각 개폐부는 밸러스트와 포장을 포함하여 약 1070ton의 무게가 나가며,[47] 필요한 힘을 최소화하기 위해 균형을 이루어 5분 안에 들어올릴 수 있다. 아크의 중심 또는 회전점은 각 교각 표면 내부 약 4.04m, 도로 표면 아래 약 1.74m에 위치하며, 82°의 회전 아크를 갖는다.[47][37]

두 개의 측면 경간은 각각 약 82.30m 길이의 현수교이며, 현수봉은 교대부와 다리의 상부 보도 내 봉에 고정되어 있다. 보행자 통로는 만조 시 강에서 약 43.59m 위에 있으며, 엘리베이터와 계단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47] 이 보도는 각 타워에서 약 16.76m 거리의 캔틸레버 다리로 설계되었으며, 거더는 캔틸레버 끝 사이 약 36.58m를 연결한다.[4]

이 구조는 테이교 붕괴 사고 이후 도입된 설계 제약 조건인 제곱 피트당 56파운드(56psi)의 풍압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3]

다리에는 램프처럼 보이도록 칠해진 굴뚝이 있는데, 이는 다리 교각 중 하나에 있는 경비실 벽난로에 연결되어 있다.[38]

3. 2. 유압 시스템

원래의 도개 메커니즘은 6개의 유압 축압기에 저장된 가압수로 작동되었다.[39] 각 교각에는 두 쌍의 엔진이 있었는데, 각 쌍은 직경이 8 ½인치인 더 큰 엔진과 7 ½인치인 더 작은 엔진으로 구성되었다. 8개의 엔진 모두 3개의 실린더를 가지고 있었다. 각 교각에 두 쌍의 엔진이 있는 이유는 중복성을 구축하기 위해서였다. 이 기계는 테이교 붕괴 사고 이후에 확립된 매우 엄격한 기준인 "무역 위원회의 요구 사항의 두 배에 해당"했다.[4]

이 시스템은 뉴캐슬어폰타인의 암스트롱, 미첼 앤 컴퍼니(Armstrong, Mitchell and Company)에서 일하던 해밀턴 오웬 렌델(Hamilton Owen Rendel)이 설계하고 설치했다.[40] 750psi 압력의 물은 한 쌍의 정지형 증기 엔진에 의해 축압기에 펌핑되었다. 각 엔진은 피스톤 테일 로드에서 강제 펌프를 구동했다. 축압기는 각각 램으로 구성되어 원하는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무거운 추를 얹어 놓았다.[37]

전체 유압 시스템과 가스 조명 시스템은 윌리엄 토마스 서그(William Thomas Sugg & Co Ltd)에 의해 설치되었다. 가스 조명은 처음에는 랜턴 내부에 개방형 화염 버너가 있었지만 곧 나중의 백열 시스템으로 업데이트되었다.[41]

1974년에는 원래의 작동 메커니즘이 BHA 크롬웰 하우스가 설계한 새로운 전기 유압 구동 시스템으로 대부분 교체되었다. 구 시스템의 유일하게 남은 부분은 바스큘의 랙에 맞는 최종 피니언이며, 이는 유압 모터와 기어 장치로 구동되었다. 새로운 유압유로 물 대신 오일이 사용된다.

3. 3. 신호 및 제어

원래 다리 아래를 통과하는 강 교통은 몇 가지 규칙과 신호를 따라야 했다. 주간에는 다리 교각 양쪽 끝에 있는 작은 통제실에 설치된 빨간색 세마포 신호를 사용했다. 밤에는 두 교각 모두에 양방향으로 색깔 신호등을 사용했는데, 다리가 닫혔음을 나타내는 빨간색 신호등 2개와 열렸음을 나타내는 녹색 신호등 2개가 있었다. 안개가 낀 날씨에는 꽹과리 소리도 울렸다.[42]

다리를 통과하는 선박은 신호를 표시해야 했다. 낮에는 지름이 최소 약 0.61m인 검은색 공을 높이 달아 볼 수 있게 했다. 밤에는 같은 위치에 빨간색 신호등 2개를 켜야 했다. 안개가 낀 날씨에는 선박의 증기 경적에서 반복적인 경적 소리가 울려야 했다. 각 보행로의 가운데에 검은색 공이 매달려 있거나 (밤에는 빨간색 신호등) 다리를 열 수 없음을 나타냈다. 이러한 신호는 하류 약 지점인 체리 가든 부두에서 반복되었으며, 다리를 통과해야 하는 보트들은 다리 관리자에게 알리기 위해 적절한 신호/신호등을 올리고 경적을 울려야 했다.[42]

신호 장비의 일부 제어 메커니즘은 보존되어 있으며 타워 브리지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42]

4. 교통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타워 브리지는 런던 항구로 가는 주요 교통 연결로 여겨져 적의 공격 대상이 되었다. 1940년에는 고층 스팬이 직격탄을 맞아 유압 메커니즘이 끊어져 다리가 작동 불능 상태가 되었다. 1941년 4월에는 낙하산 지뢰가 다리 근처에서 폭발하여 도개교, 탑 및 엔진실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19]

1974년에는 BHA 크롬웰 하우스의 제프리 베레스포드 하트웰이 설계한 새로운 전기 유압 구동 시스템으로 대부분 대체되었으며, 원래의 최종 피니언은 현대식 유압 모터로 구동되었다.[23]

2000년에는 도개교 수리 및 기타 유지 보수를 위해 한 달 동안 다리가 폐쇄되었다.[27] 원격으로 도개교 개폐를 제어하는 컴퓨터 시스템이 설치되었으나, 신뢰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나 2005년 여러 차례 센서가 교체되기 전까지 다리가 열린 상태나 닫힌 상태로 멈추는 문제가 발생했다.[44]

타워 브리지는 템스강을 건너는 혼잡한 곳으로, 매일 40,000명 이상(자동차 운전자, 자전거 운전자, 보행자)이 이용하고 있다.[44]

4. 1. 도로 교통

타워 브리지는 템스강을 건너는 혼잡한 곳으로, 매일 40,000명 이상(자동차 운전자, 자전거 운전자 및 보행자)이 이용하고 있다.[44] 이 다리는 런던 내부 순환 도로에 있으며, 런던 교통 혼잡료 구역의 동쪽 경계에 위치해 있다. (운전자들은 다리를 건너도 요금이 부과되지 않는다).[45]

구조물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런던 시는 다리를 이용하는 차량에 대해 20mph의 속도 제한과 의 중량 제한을 부과했다. 카메라 시스템은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을 사용하여 다리를 건너는 교통 속도를 측정하여 과속 운전자에게 과태료를 부과한다.[46]

두 번째 시스템은 다른 차량 매개변수를 모니터링한다. 유도 루프와 압전 센서는 각 차량의 무게, 지면에서 섀시의 높이, 차축 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과체중 차량 운전자도 과태료를 받게 된다.[46]

4. 2. 보행자 통행

보행자는 자동차와 트럭 통행을 위해 다리가 내려져 있을 때 도개교 위를 걸어 다닐 수 있다. 선박 통행이 우선이므로, 선박을 위해 다리가 열리면 도개교를 이용하는 차량은 대기한다.[47]

1894년 개통 당시부터 높은 수준의 연결 도로는 보행자 통로였으며, 도개교가 선박 통행을 위해 열려 있는 동안에도 보행자의 이동을 계속 허용하도록 설계되었다. 개통 후 처음 12개월 동안 다리를 이용한 보행자는 하루 평균 약 60,000명이었다.[47] 높은 고도의 개방형 보행로는 매춘부와 소매치기로 악명이 높아져 1910년에 폐쇄되었다가 1982년 타워 브리지 전시의 일부로 다시 개장되었다. 2014년에는 각 방향의 보행자 통로에 유리 바닥이 설치되었다. 엘리베이터는 보행자를 높은 수준의 보행자 다리로 데려다주고 내려준다. 상부 보행로는 도개교의 작동 방식을 둘러보는 투어를 포함하는 타워 브리지 전시회의 일부이다. 보행자는 다리와 상부 보행로를 통해 도시를 조망할 수 있다.[48] 타워 브리지 전시회는 유료이며, 티켓이 필요하다.[48]

4. 3. 수상 교통



타워 브리지 개폐 준비. 개폐 시 낮은 층의 문이 닫히고, 운전자들은 일반 신호등의 빨간 불에 의해 정지 명령을 받으며, 점멸하는 빨간 불은 사용되지 않는다.


도개교는 개통 후 첫 12개월 동안 선박 통행을 위해 6,160번(하루 평균 17번) 올려졌다.[49] 현재 도개교는 1년에 약 1,000번 정도 올려진다.[50] 강 교통량은 현재 크게 줄었지만, 여전히 도로 교통보다 우선시된다. 오늘날에는 교량을 열기 전에 24시간 전에 통보해야 하며, 개방 시간은 교량 웹사이트에 미리 공지된다.[51] 선박이 교량을 개방하는 데는 요금이 부과되지 않는다.[52]

5. 문화적 의의 및 영향

템스 강 상류에 세워진 타워 브리지는 국회의사당의 빅 벤과 함께 런던의 랜드마크로 꼽히는 건축물이다. 1894년에 완공된 타워 브리지는 우아한 도개교(跳開橋)이며, 양 옆으로 솟은 거대한 탑이 특징이다. 탑 안에는 타워 브리지 전시관(Tower Bridge Exhibition)이 있어 도개교의 원리와 당시의 증기 엔진을 살펴볼 수 있다. 탑 위에는 유리 통로로 된 인도교가 있어 템스 강과 런던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

타워 브리지는 런던시에서 "런던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라고 부를 정도로 상징적인 건축물이다.[56] 1938년, 《뉴욕 타임스》의 영화 평론가 벤자민 크리스러는 "영국에는 미국에는 없는 세 가지 독특하고 귀중한 제도가 있다: 마그나 카르타, 타워 브리지, 그리고 알프레드 히치콕이다."라고 썼다.[57] 건축 역사가 댄 크루익생크는 2002년 BBC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시리즈 《영국 최고의 건물》에서 타워 브리지를 4가지 선택 사항 중 하나로 선정했다.[58]

그레이터 런던 사우스 스카우트의 배지에 표시된 타워 브리지


타워 브리지는 보이스카우트 협회의 그레이터 런던 스카우트 지역의 상징이며, 런던 6개 스카우트 카운티의 배지에 등장한다.[63]

중국 쑤저우에는 타워 브리지의 부분적인 복제품이 건설되었는데, 이 복제품은 들어올리는 장치가 없고 4개의 개별 타워가 있다는 점에서 원본과 다르다.[61] 쑤저우의 복제품은 2019년에 개조되어 런던 오리지널 디자인과 다른 새로운 모습을 갖게 되었다.[62]

5. 1. 대중문화 속 타워 브리지

국회의사당의 빅 벤과 함께 런던의 랜드마크로 꼽히는 타워 브리지는 영화, 드라마, 소설,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 등장한다. 템스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 중 가장 야경이 아름다운 다리로 평가받으며, 밤하늘을 배경으로 조명을 받아 하얗게 빛나는 타워 브리지는 런던의 명물로 손꼽힌다.[1]

5. 2. 평가 및 논란

킹스 계단 정원에서 바라본 타워 브리지 측면도


타워 브리지는 런던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중 하나이지만, 20세기 초 일부 전문 평론가들은 타워 브리지의 미학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 헨리 히스코트 스테이섬은 "저속함과 가식, 그리고 구조의 실제 사실을 왜곡하는 악덕을 나타낸다"고 평가했으며, 프랭크 브랑귄은 "전략적 강을 가로질러 놓인 타워 브리지보다 더 터무니없는 구조는 없었다"라고 말했다.[56]

타워 브리지는 상류에 있는 런던 브리지로 오인되기도 한다. 1968년에 애리조나주 레이크 하바수 시티로 옮겨진 옛 런던 브리지를 구입한 로버트 P. 맥컬로크가 타워 브리지를 사려고 했다는 도시 전설이 있지만, 이는 맥컬로크 본인과 다리 판매자인 이반 루킨에 의해 사실이 아님이 밝혀졌다.[60]

6. 타워 브리지 관련 사건 사고


  • 1912년 8월 10일, 선구적인 곡예 비행사 프랜시스 맥클린은 쇼트 브라더스 S.33 수상 비행기를 타고 타워 브리지의 도개교와 높은 보도교 사이를 비행했다.[64] 맥클린은 이 곡예 비행으로 유명해졌고, 이후 런던 브리지, 블랙프라이어스 브리지, 워털루 브리지 아래를 비행했다.
  • 1922년 8월 3일, 13세 소년이 타워 브리지 남쪽 옆 미끄럼틀에서 떨어졌다. 한 남자가 그를 구하기 위해 템스 강으로 뛰어들었지만, 두 사람 모두 버틀러스 워프에 있는 바지선에 끌려 익사했다.[65]
  • 1952년 12월, 78번 2층 버스가 남쪽 강둑에서 타워 브리지를 건너는 동안 다리가 열렸다. 당시에는 다리가 다 열리면 문지기가 경고 벨을 울리고 문을 닫은 후 감시원이 다리를 들어 올리라고 명령했다. 이 과정은 교대 감시원이 근무 중일 때 실패했다. 버스는 남쪽 도개교 가장자리에 가까워지고 있었고 다리가 올라가기 시작했다. 운전사 앨버트 건터는 순식간에 가속 페달을 밟아 아직 올라오지 않은 북쪽 도개교로 약 0.91m의 틈을 뛰어넘어 약 1.83m를 떨어졌다. 심각한 부상은 없었다. 건터는 용감한 행동을 기리기 위해 런던 시 당국으로부터 £10(영국 물가 상승률에 따라 340GBP 상당)을 받았다.[66][67]
  • 1968년 4월 5일, 영국 공군 제1 비행대대의 호커 헌터 FGA.9 제트 전투기가 허가 없이 타워 브리지를 통과하는 비행을 했다. 상급 간부들이 RAF 창설 50주년을 편대 비행으로 기념하지 않는 것에 불만을 품은 조종사는 허가 없이 템스 강을 따라 저고도로 비행하여 국회의사당을 지나 다리 쪽으로 향했다. 그는 추정 300mph로 보도교 아래를 비행했다. 그는 착륙 후 체포되었고, 군사 재판에서 자신을 변호할 기회도 없이 건강상의 이유로 RAF에서 퇴역했다.[68]
  • 1973년 7월 31일, 단발 비글 퍼프가 29세의 주식 중개인 사무원 피터 마틴에 의해 타워 브리지의 보행자 통로 아래로 두 번 비행되었다. 주식 시장 사기 혐의로 보석 중이던 마틴은 그 후 도시의 건물들을 "윙윙거리며" 비행한 다음 레이크 디스트릭트로 북쪽으로 비행했으며, 그곳에서 2시간 후에 그의 항공기가 추락하여 사망했다.[69][70]
  • 1997년 5월,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의 차량 행렬이 타워 브리지가 열리면서 분리되었다. 템스 세일링 바지 '글래디스'는 세인트 캐서린 독스에서 열리는 모임에 맞춰 예정대로 도착했고, 다리는 그녀를 위해 열렸다. 영국 총리 토니 블레어와 함께 ''르 퐁 드 라 투르'' 레스토랑에서 템스 강변에서 점심을 먹고 돌아온 클린턴 대통령은 덜 시간을 잘 맞춰 다리가 올라가려는 순간 도착했다. 다리가 열리면서 차량 행렬이 둘로 나뉘었고, 경호원들을 당황하게 만들었다. 타워 브리지 대변인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미국 대사관에 연락을 시도했지만 전화를 받지 않았다."[71]
  • 1999년 8월 19일, 런던 시의 자유 시민인 제프 스미스는 타워 브리지 위로 양떼 두 마리를 몰고 갔다. 그는 시민들에게 부여된 권리에 대한 논점을 제기하기 위해 자유 시민에게 부여된 고대의 허가를 행사했다.[72]
  • 2003년 10월 31일 해가 뜨기 전, Fathers 4 Justice 운동가는 스파이더맨으로 분장한 채 6일간의 시위를 시작하기 위해 타워 브리지 근처의 약 30.48m 타워 크레인에 올라갔다.[73] 그의 안전과 만약 그가 떨어진다면 차량 운전자들의 안전을 우려한 경찰은 그 지역을 봉쇄하고 다리와 주변 도로를 폐쇄하여 시내와 동런던 전역에 광범위한 교통 체증을 유발했다.[74][75]
  • 2009년 5월 11일, 6명이 타워 브리지 북쪽 타워 내부에서 엘리베이터가 약 3.05m 추락하여 갇히고 부상을 입었다.[76]
  • 2021년 8월 9일, 기술적 고장으로 인해 타워 브리지가 열린 상태로 유지되었다.[77] 다리는 주빌리 트러스트의 톨쉽이 오후 2시부터 통과하도록 열렸지만 갇혔다.[78][79] 다리는 약 12시간 후에 폐쇄되고 다시 차량 통행이 재개되었다.[80]

7. 사진

타워 브리지 개방 1단계


타워 브리지 개방 2단계


타워 브리지 개방 3단계


타워 브리지 개방 4단계


타워 브리지 개방 5단계


타워 브리지 완전 개방

참조

[1] 웹사이트 What type of bridge is Tower Bridge? https://www.towerbri[...] 2024-05-14
[2] 간행물 Henry Marc Brunel: Civil Engineer https://www.jstor.or[...] 2022-03-20
[3] 간행물 Discussion on the Tower Bridge 1897
[4] 서적 History of The Tower Bridge Smith, Elder and Co.
[5] 간행물 Corporation of London (Tower Bridge) Act, 1885 1885-08-14
[6] 서적 The Corporation of London (Tower Bridge) Act 1889 UK Parliament 1889-08-12
[7] 웹사이트 Bridge House Estates https://www.towerbri[...] City of London Corporation 2021-07-01
[8] 웹사이트 Thames – Bridges – Tower Bridge https://www.victoria[...] 2021-06-29
[9] 뉴스 The Opening Of The Towerbridge https://link.gale.co[...] 1894-07-02
[10] 웹사이트 The Divers https://www.towerbri[...] City of London Corporation 2021-06-23
[11] 간행물 The Tower Bridge 1893-12-15
[12] 웹사이트 Sir William Arrol https://www.towerbri[...] City of London Corporation 2021-06-24
[13] 뉴스 The Workmen Entertained 1894-07-04
[14] 웹사이트 About Edward Cruttwell https://heritage.tow[...] 2024-08-27
[15] 간행물 The Foundations of the River-Piers of Tower Bridge https://zenodo.org/r[...] 2024-06-13
[16] 뉴스 The New Tower Bridge - Opening By The Prince 1894-07-02
[17] 뉴스 Tower Bridge: fascinating facts and figures https://www.telegrap[...] 2018-01-08
[18] 웹사이트 Vertigo calling: Walkways at London's Tower Bridge outfitted with glass floors https://www.mnn.com/[...] 2019-10-24
[19] 웹사이트 The Tower Bridge Engine http://oldenginehous[...] Forncett Industrial Steam Museum 2007-02-27
[20] 문서 2019-10-24
[21] 문서 2019-10-24
[22] 웹사이트 What type of bridge is Tower Bridge? https://www.towerbri[...] 2024-05-14
[23] 웹사이트 London's Tower Bridge https://www.phoenixh[...] 2014-10-24
[24] 웹사이트 The Firm: BHA Cromwell House http://www.arbitrato[...] G. M. Beresford Hartwell 2015-06-30
[25] 웹사이트 Tower Bridge, London http://www.hartwell.[...] 2007-02-27
[26] 웹사이트 About Us https://www.towerbri[...] 2024-04-08
[27] 뉴스 Tower Bridge stays down https://link.gale.co[...] 2020-09-14
[28] 웹사이트 Tower Bridge restored to true colours http://www.thetowerb[...] Harris Digital Productions 2017-02-08
[29] 웹사이트 Finishing touches to Tower Bridge http://www.thetowerb[...] Harris Digital Productions 2017-02-08
[30] 뉴스 Tower Bridge to get £4m facelift http://news.bbc.co.u[...] 2008-04-08
[31] 웹사이트 Tower Bridge lighting http://www.eslightin[...] ES Lighting Design 2009-08-27
[32] 웹사이트 Tower Bridge is London's Latest Venue http://www.classicfm[...] 2013-05-28
[33] 웹사이트 Tower Bridge as a musical instrument http://www.classical[...] Classical-Music.com 2013-05-28
[34] 뉴스 London 2012: let the Paralympics preparations begin https://www.theguard[...] 2012-08-18
[35] 웹사이트 Tower Bridge closure https://tfl.gov.uk/s[...] Transport for London
[36] 뉴스 Tower Bridge closes until December for maintenance work https://www.bbc.co.u[...] 2016-10-01
[37] 웹사이트 London's Tower Bridge https://www.phoenixh[...]
[38] 웹사이트 Six amazing things you never knew about Tower Bridge https://www.standard[...] 2018-02-08
[39] 웹사이트 Bridge History http://www.towerbrid[...] City of London Corporation 2003-02-01
[40] 뉴스 Obituary – Hamilton de Marchi Owen Rendel https://link.gale.co[...] 1902-09-19
[41] 웹사이트 History William Sugg & Co Westminster gas lighting cooking heating appliance manufacturer. http://www.williamsu[...]
[42] 웹사이트 Engine Rooms https://www.towerbri[...] City of London Corporation
[43] 웹사이트 Fleet http://www.sailroyal[...] Nautisch Evenementen Bureau
[44] 뉴스 Fix to stop bridge getting stuck http://news.bbc.co.u[...] 2006-01-17
[45] 웹사이트 Transport for London cracks down on damage to Tower Bridge https://tfl.gov.uk/i[...] 2007-02-06
[46] 웹사이트 Bridge Protection Scheme http://www.speedchec[...]
[47] 간행물 "The Tower Bridge: Superstructure" 1896-11-10
[48] 웹사이트 Glass Floors https://www.towerbri[...]
[49] 간행물 "The Tower Bridge: Superstructure" 1896-11-10
[50] 웹사이트 Bridge Lifts http://www.towerbrid[...] City of London Corporation
[51] 웹사이트 Bridge Lift Times http://www.towerbrid[...] City of London
[52] 웹사이트 How often does Tower Bridge open? https://www.towerbri[...] City of London Corporation
[53] 웹사이트 Have your say on Cycle Superhighway Route 4 from Tower Bridge to Greenwich https://consultation[...] 2019-08-01
[54] 웹사이트 Visitor Information https://www.towerbri[...]
[55] 웹사이트 England UK Tourism Industry Stats & Data {{!}} VisitBritain.org https://www.visitbri[...]
[56] 웹사이트 Explore Inside Tower Bridge https://fis.cityoflo[...]
[57] 뉴스 Hitchcock: Master Melodramatist https://www.nytimes.[...] 1938-06-12
[58] 웹사이트 Choosing Britain's Best Buildings http://www.bbc.co.uk[...] 2002-11-01
[59] Youtube Rugby League World Cup 2022 🏉 Trailer 🏟 BBC Trailers https://www.youtube.[...] BBC 2022-10-09
[60] 웹사이트 How London Bridge was sold to the States https://www.watfordo[...] 2002-03-27
[61] 뉴스 From Tower Bridge to Sydney Harbour, welcome to China's city of clones https://www.theguard[...] 2014-06-03
[62] 뉴스 Renovations of Tower Bridge in Suzhou nears completion http://chinaplus.cri[...] 2019-01-30
[63] 웹사이트 South London Scouts - London Scout Region https://southlondons[...] South London Scouts
[64] 뉴스 Frank McClean: Forgotten pioneer of the sky https://www.bbc.co.u[...] 2013-02-25
[65] 뉴스 Man And Boy Drowned At Tower Bridge https://link.gale.co[...] 1922-08-04
[66] 간행물 The Jumping Bus http://www.time.com/[...] 1953-01-12
[67] 뉴스 Tower Bridge: a towering boy's toy http://www.telegraph[...] 2011-04-19
[68] 뉴스 RAF fighter 'buzzes' Thames bridges https://link.gale.co[...] 1968-04-06
[69] 웹사이트 Beagle Pup G-AXIC – Keswick http://www.yorkshire[...]
[70] 뉴스 Gives Suicide Plan To Crash Plane into Tower of London, Dies in Crash 240 Miles Away https://news.google.[...] 1973-08-01
[71] 간행물 Gladys takes the rise out of Bill http://www.rowingser[...] 2007-09-25
[72] 뉴스 Protest Freeman herds sheep over Tower Bridge http://news.bbc.co.u[...] BBC News 2009-11-06
[73] 뉴스 Spiderman protest closes Tower Bridge http://news.bbc.co.u[...] 2008-10-31
[74] 뉴스 Spiderman cordon criticised http://news.bbc.co.u[...] 2008-10-31
[75] 뉴스 "-'Spiderman' cleared over protest" http://news.bbc.co.u[...] 2008-10-31
[76] 뉴스 Six injured in Tower Bridge lift http://news.bbc.co.u[...] 2020-09-14
[77] 뉴스 London's Tower Bridge stuck open after technical failure https://www.bbc.co.u[...] 2021-08-09
[78] 뉴스 Tower Bridge is stuck open after technical fault https://www.standard[...] 2021-08-09
[79] 뉴스 Tower Bridge reopens after 11 hours of being stuck open because of technical fault https://www.mylondon[...] Reach plc 2021-08-09
[80] 뉴스 London's Tower Bridge reopens after technical failure https://www.bbc.co.u[...] 2021-08-10
[81] 문서 Visit all over the World London Bridge http://vizts.com/lon[...]
[82] 문서 London Bridge vs. Tower Bridge http://www.freetours[...]
[83] 문서 「London Bridge」で動画を検索した結果 https://www.google.c[...]
[84] 웹인용 What type of bridge is Tower Bridge? https://www.towerbri[...] 2024-05-14
[85] 저널 Henry Marc Brunel: Civil Engineer https://www.jstor.or[...] 2022-03-20
[86] 저널 Discussion on the Tower Bridge 1897
[87] 저널 "The Tower Bridge: Superstructure" 1896-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