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탕그리스니르와 탕그뇨스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탕그리스니르와 탕그뇨스트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신 토르의 전차를 끄는 두 마리의 염소이다. 이름은 각각 "이를 드러내는 자"와 "이를 가는 자"를 의미하며, 《고 에다》와 《산문 에다》에 언급된다. 토르는 이 염소들을 잡아먹고 뼈를 가죽에 덮어 부활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탕그리스니르와 탕그뇨스트는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르 - 요르문간드
    요르문간드는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로키와 앙그르보다의 자식인 거대한 뱀으로, 오딘에 의해 바다에 던져졌지만 미드가르드를 둘러쌀 정도로 자라 꼬리를 물고 있으며, 토르와의 낚시 조우 및 라그나로크 전투, 꼬리를 문 모습으로 세상의 순환을 상징하는 모티프로 전해진다.
  • 토르 - 시프
    시프는 북유럽 신화에서 토르의 아내이자 울의 어머니로, 아름다운 금발을 가진 여신이며 로키에 의해 머리카락이 잘리는 일화로 유명하고, 다산과 곡물과 관련된 여신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 신화의 음식 - 선악과
    선악과는 여러 종교 경전과 신화에 등장하는 금단의 열매로, 창세기에서는 하나님이 먹지 말라고 금지한 열매이며, 이를 어긴 아담과 이브는 에덴동산에서 쫓겨났고, 꾸란에서는 이 열매를 먹으면 죄인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해석과 함께 유혹과 탐닉의 은유로도 사용된다.
  • 신화의 음식 - 황금사과
    황금 사과는 그리스 신화, 북유럽 신화, 아일랜드 신화 등 다양한 신화와 문학, 대중문화에서 상징적인 존재로 등장하며, 여러 작품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 아이템이나 상징으로 활용된다.
  • 노르드 신화의 생물 - 트롤
    트롤은 노르드 신화에서 유래하여 악마, 귀신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 신화적 존재로, 요툰의 한 종류로 묘사되며 인간에게 적대적인 특징을 갖고, 스칸디나비아 민속에서는 햇빛에 닿으면 돌로 변하는 늙고 어리석은 존재로 나타나며, 대중문화에서는 괴물이나 인기 캐릭터, 온라인에서는 악성 댓글을 다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노르드 신화의 생물 - 요르문간드
    요르문간드는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로키와 앙그르보다의 자식인 거대한 뱀으로, 오딘에 의해 바다에 던져졌지만 미드가르드를 둘러쌀 정도로 자라 꼬리를 물고 있으며, 토르와의 낚시 조우 및 라그나로크 전투, 꼬리를 문 모습으로 세상의 순환을 상징하는 모티프로 전해진다.
탕그리스니르와 탕그뇨스트
기본 정보
프리츠 클레베르크의 토르의 염소 그림
프리츠 클레베르크의 토르의 염소 그림
고대 노르드어Tanngrisnir, Tanngnjóstr
의미이빨을 가는 자, 이빨을 부수는 자
신화 속 역할
관련 신토르
역할토르의 전차를 끄는 염소 한 쌍
특징뼈를 모아 가죽을 덮으면 되살아남.
토르의 식량 공급원
이름
탄그리스니르 (Tanngrisnir)이빨을 가는 자
탄그뇨스트 (Tanngnjóstr)이빨을 부수는 자

2. 어원

탕그리스니르non(Tanngrisnir)는 "이를 드러내는 자, 으르렁거리는 자"로, 탕그뇨스트non(Tanngnjóstr)는 "이를 가는 자"로 번역된다. 학자 루돌프 시메크는 이 이름들이 기록될 당시에는 새로운 이름이었으며,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지어낸 것일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1] 탕그뇨스트non(Tanngnjóstr)는 현대 영어로 '''탕기오스트'''(Tanngiost)로 표기되기도 한다.[2]

3. 문헌 자료

탕그리스니르와 탕그뇨스트는 노르드 신화에서 신 토르의 마차를 끄는 두 마리의 염소이다. 이 염소들은 《고 에다》와 《산문 에다》에 등장한다.

《고 에다》에서는 염소들의 이름이 직접 언급되지는 않지만, 토르가 염소들을 미드가르드에 묶어두거나, 염소를 타고 요툰헤임으로 가는 모습이 묘사된다. 〈힘리스크비다〉에서는 토르가 "염소의 주인"으로 불리며, 염소들이 다리를 절뚝거리는 사건이 로키의 탓이라고 언급된다. 〈트림스크비다〉에서는 토르가 염소를 타고 요툰헤임으로 가는 장면이 묘사되는데, 이때 염소들이 달리는 모습이 박진감 넘치게 표현된다.

《산문 에다》에서는 〈길피의 속임수〉에서 염소들의 이름이 탕그리스니르와 탕그뇨스트로 명확히 언급된다. 토르가 염소들을 잡아먹고 뼈와 가죽을 이용해 다시 살려내는 이야기가 등장하며, 이 과정에서 농부의 아들 햘피가 염소 뼈를 훼손하여 염소가 다리를 절게 된다. 이 사건으로 인해 햘피와 그의 누이 뢰스크바는 토르의 하인이 된다. 〈시어법〉에서는 염소 이름 목록에 탕그리스니르와 탕그뇨스트가 다시 한번 등장한다.

3. 1. 고 에다

토르가 염소 중 한 마리가 다리를 절뚝거리는 것을 알아차리는 모습, 로렌츠 프뢸리히(Lorenz Frølich)의 삽화 (1895년)


토르의 염소는 ''고 에다''의 두 시에 언급되어 있지만, 이름으로는 언급되지 않는다. ''고 에다''의 시 ''힘리스크비다''에서 토르는 "훌륭한 뿔"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 염소를 인간인 에길과 함께 미드가르드에 묶어두고, 토르와 신 티르는 요툰 힘르의 홀로 향한다.[3] 같은 시에서 토르는 "염소의 주인"이라고 불린다.[4]

힘르와 그의 머리 많은 군대를 죽인 후, 토르의 염소는 다리를 절뚝거리는 탓에 "반쯤 죽은" 채로 쓰러진다. 이 시는 이것이 로키의 잘못이라고 말하지만, "당신은 이미 이것을 들었다"고 말하며, 시인보다 더 현명한 다른 사람이 용암 거주자가 그의 아이들로 어떻게 보상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할 수 있다고 한다.[5]

''고 에다'' 시 ''트림스크비다''의 한 연은 토르가 염소를 타고 요툰헤임으로 가는 모습을 묘사한다.

벤자민 소프 번역:헨리 아담스 벨로우 번역:


3. 2. 산문 에다

요하네스 게르츠의 ''토르'' (1910)


산문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 제21장에는 왕좌에 앉은 하이가 신 토르에게는 전차를 끄는 두 마리의 염소가 있으며, 이 염소들의 이름은 탕그리스니르와 탕그뇨스트라고 말한다.[8]

제44장에서 왕좌에 앉은 서드는 토르와 로키가 토르의 두 염소가 끄는 전차를 타고 가다가 한 농가의 집에 들러 하룻밤 묵게 된 이야기를 마지못해 들려준다. 토르는 염소들을 잡아 껍질을 벗기고 솥에 넣었다. 염소 요리가 완성되자 로키와 토르는 저녁 식사를 시작했다. 토르는 농부 가족에게 함께 식사할 것을 권했고, 그들은 그렇게 했다.[9]

식사가 끝나자 토르는 염소 가죽을 불 반대편에 놓고 농부들에게 염소 뼈를 가죽 위에 던지라고 말했다. 농부의 아들인 햘피는 염소 뒷다리 뼈 하나를 가져가 칼로 갈라 골수를 꺼냈다.[10]

농가의 집에서 하룻밤을 보낸 토르는 해가 뜨기 전에 일어나 옷을 입었다. 토르는 망치 묠니르를 들고 들어올려 염소 가죽을 축복했다. 염소들은 다시 살아났지만, 두 마리 중 한 마리가 뒷다리를 절뚝거렸다. 토르는 이 새로운 절름거림을 알아차리고, 누군가가 자신의 염소 뼈를 함부로 다루었다고, 전날 밤 식사 중에 뒷다리 뼈를 부러뜨린 사람이 있다고 외쳤다. 서드는 더 이상 이야기를 끌 필요가 없다고 말하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덧붙였다.



토르가 눈썹을 눈 아래로 드리우는 것을 본 농부가 얼마나 무서웠을지는 누구나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눈 자체를 보는 것만으로도 그는 쓰러질 것 같았다. 토르는 손가락 관절이 하얗게 될 정도로 망치 자루를 꽉 쥐었고, 농부와 그의 모든 가족은 예상대로 간절히 소리 지르며 용서를 구하고, 모든 재산으로 배상하겠다고 했다.[9]



토르는 자신이 농부들을 얼마나 두렵게 했는지 깨닫고 진정했으며, 그들에게서 그들의 자녀인 햘피와 뢰스크바를 배상으로 받았다. 두 아이는 그의 하인이 되었고, 그 이후로 계속 그렇게 지냈다. 염소들을 뒤로 하고 넷은 요툰헤임으로 떠났다.[9] 염소는 제48장에서 다시 언급되는데, 토르는 염소나 동료 없이 어린 소년의 모습으로 인간의 영역인 미드가르드로 향한다고 묘사된다.[11]

산문 에다의 시어법 제75장에는 두 염소의 이름이 염소의 이름 목록에 나타난다.[12]

4. 학술적 해석 및 이론

루돌프 지멕은 탕그리스니르와 탕그뇨스트가 매일 밤 신들과 에인헤랴르에게 먹히고 다시 살아나는 짐승 세흐림니르와 연결되며, 이는 샤머니즘적 희생 의식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13]

스칸디나비아 민속에는 마법으로 음식을 보충하는 마녀 이야기가 종종 등장하는데, 주로 청어가 그 음식으로 나온다. 하지만 같은 음식을 반복해서 먹으면 쇠약해질 것을 우려하여, 민간 설화에서는 청어를 먹을 때 뼈를 부러뜨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러한 민간 신앙과 탕그리스니르와 탕그뇨스트에 대한 고대 노르드 설화에서 뼈를 부러뜨리면 음식 재생이 중단된다는 주제적 유사성은 레이문트 크비델란드와 헤닝 셈스도르프가 둘 사이의 연관성을 강조하게 만들었다.[14]

5. 대중문화 속 탕그리스니르와 탕그뇨스트

마블 코믹스에서 탕그리스니르와 탕그뇨스트는 투스그나셔와 투스그라인더(Toothgnasher and Toothgrinder)로 각색되었다.[15]

영화화된 ''스피드 레이서'' 만화 프랜차이즈에서는 탕그리스니르의 이름을 딴 경주차가 등장하는데, 고토름 단네스쇨드(Gothorm Danneskjøld)가 운전하며, 바이킹 복장을 하고 토르-악신(Thor-Axine)이라는 회사의 후원을 받는데, 이는 마차를 가리킨다.

유희왕 트레이딩 카드 게임에서는 탕그리스니르와 탕그뇨스트 모두 "노르딕 비스트" 몬스터 카드로 표현된다. 그들은 그들의 주인 토르를 포함하여 북유럽 신화의 다른 등장인물과 생물들을 대표하는 다른 카드들과 함께 사용하도록 의도되었다.

릭 라이어던의 책 ''매그너스 체이스와 아스가르드의 신들: 서머의 검''에 탕그리스니르와 탕그뇨스트가 모두 등장한다. 그들은 책에서 각각 마빈(Marvin)과 오티스(Otis)로 불리며, 신 토르가 매일 희생하여 다음 날 부활하는 존재로 묘사된다.

헤이데볼크의 노래 "Een met de storm"에서 "돈더고드"(천둥의 신)는 토르의 두 염소를 암시하며 "복켄카르"(염소 마차)를 타고 구름 위를 달린다.

2018년 비디오 게임 ''갓 오브 워''에서 탄기오스트의 그립(Grip of Tanngiost)은 리바이어던 도끼에 사용할 수 있는 충격 피해를 입히는 칼자루다.

두 염소는 덴마크 발할라 코믹스 시리즈와 이를 기반으로 한 애니메이션 영화에 등장한다. 신 토르는 양 한 마리를 도살하여 요리하지만 뼈를 부러뜨리는 것을 강력히 경고한다. 로키는 티알페(Þjálfi)에게 염소 다리뼈에서 골수를 빨아들이도록 설득한다. 토르가 다음 날 아침 염소를 부활시켰을 때, 그는 염소 중 한 마리가 다리를 절뚝거리는 것을 발견하고 분노한다. 그 결과, 토르는 티알페와 그의 누이를 자신의 하인으로 둔다.

두 염소는 게임 슈퍼 오토 펫에 탄그노스트(Tandgnost)와 탄그리스너(Tandgrisner)로 등장한다. 그들을 모두 소환하는 이그드라실 열매라는 음식이 있다.

참조

[1] 서적 Simek 2007
[2] 서적 Faulkes 1995
[3] 서적 Larrington 1999
[4] 서적 Larrington 1999
[5] 서적 Larrington 1999
[6] 서적 Thorpe 1866
[7] 서적 Belows 1823
[8] 서적 Faulkes 1995
[9] 서적 Faulkes 1995
[10] 서적 Faulkes 1995
[11] 서적 Faulkes 1995
[12] 서적 Faulkes 1995
[13] 서적 Simek 2007
[14] 서적 Kvideland and Sehmsdorf 2010
[15] 간행물 Thor, Something Old, Something New Marvel Comics 1984
[1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7]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