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언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탕언보는 일본 육군사관학교 출신으로,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서 활동한 중국의 군인이다. 중일 전쟁에서 일본군의 전술에 정통했으나, 장제스의 중국 공산당 토벌 우선 정책으로 인해 병력과 물자 부족에 시달렸다. 타이얼좡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1944년 허난-후난-광시 전투에서 패배했다. 국공 내전 시기에는 국민당을 지지하며 장제스를 따랐으나, 군사적 실패와 부정부패 의혹으로 인해 장제스의 신임을 잃고 말았다. 이후 대만으로 이동하여 치료를 받던 중 일본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화시 출신 - 오유충
오유충은 명나라 군인으로,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파병되어 평양성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조선에 장기간 주둔했다. - 진화시 출신 - 황대선
황대선은 중국 진나라 시대의 실존 인물인 황초평으로, 도교 수행을 통해 신통력을 얻은 신선으로 여겨지며 홍콩에서 숭배받고 그의 이름이 붙은 사원, 지역, 지하철역 등이 존재하며 그의 생애는 드라마와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중화민국의 군인 - 리덩후이
리덩후이는 중화민국의 정치인으로, 장징궈 총통에 의해 발탁되어 총통직을 승계한 후 대만의 민주화 개혁을 주도하며 '대만 민주주의의 아버지'로 불리지만, 양안 관계에서는 양국론을 제시하여 중화인민공화국과 긴장 관계를 형성하기도 하고 퇴임 후에는 대만 독립 운동을 지지했다. - 중화민국의 군인 - 돤치루이
단기서는 중국 북양군벌 시대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북양무비학당 졸업 후 독일에서 군사학을 수학했고, 위안스카이의 심복으로 활동하며 여러 차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나, 1920년 직환전쟁 패배 후 은퇴하고 1924년 임시집정을 거쳐 상하이에서 사망했다. - 중국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중국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마오안잉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소련 유학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은 논란을 낳았고 중국과 북한에서 기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탕언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명 | 철인 |
출생일 | 1899년 9월 20일 |
사망일 | 1954년 6월 29일 |
출생지 | 저장성우이현 |
사망지 | 일본도쿄 |
묘지 | 우즈산 군사묘지 |
군사 경력 | |
군종 | 중화민국 육군 |
복무 기간 | 1926년–1954년 |
최종 계급 | [[File:17陆军一级上将.png|40px]] 상장 |
지휘 | 제13군단, 제20군, 제3전구 |
부대 | 제89사단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제2차 중일 전쟁 태아장 전투 허난-후난-광시 전투 국공 내전 멍량구 전투 상하이 전투 |
서훈 | 청천백일훈장 |
기타 이력 | |
기타 이력 | 정치인 |
본명 | |
중국어 (번체) | 湯恩伯 |
중국어 (간체) | 汤恩伯 |
병음 | Tāng Énbó |
로마자 표기 | T'ang En-po |
일본어 | とう おんはく |
한국어 | 탕언보 |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탕언보는 1932년 중화민국 제89사단 사령관, 1937년 타이위안 평정 사령부 전선군 사령관을 역임했다. 1937년부터 1938년까지 제13군 군장과 제20집단군 사령관을 겸임했고, 1938년부터 1940년까지 제31집단군 사령관을 지냈다. 1944년에는 제1전구와 제4전구 부사령관을 역임했으며, 1944년부터 1945년까지 제3방면군 사령관, 1949년에는 상하이 방어 사령관을 역임했다.
2. 1. 일본 유학 및 귀국
1916년(중화민국 5년)에 저장성립 제7중학교에 입학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항저우 체육 전과 학교로 전학하여 1920년 (민국 9년)에 졸업하고 저장군에 가입했다.그 후 탕언보는 일본으로 유학을 가서 1922년 3월에 메이지 대학 법과에 입학했다. 1924년 (민국 13년) 자금 부족으로 귀국했지만, 저장군 제1사 사장인 천이로부터 자금 원조를 받아 다시 유학, 일본 제국 육군육군사관학교 제18기 포병과를 1927년 여름에 졸업했다. 이러한 경위로 탕언보는 천이를 은사로 숭배하게 되었다.
귀국 후 탕언보는 천이의 추천으로 저장군에서 소교 참모로 승진했다. 1928년 (민국 17년) 말, 중앙 육군 군관 학교 군사 교관으로 임명되어 제6기 상교 대대장이 되었다. 이때 탕언보는 보병 연대의 조전 교재를 집필하여 교육장 장즈중에게 높게 평가받았다.
2. 2. 국민당군 복무
1928년 말, 탕언보는 중앙 육군 군관 학교 군사 교관으로 임명되어 제6기 상교 대대장이 되었다. 이때 보병 연대의 조전 교재를 집필하여 교육장 장즈중에게 높게 평가받았다. 1930년 중원 대전에 교도사 제1여 소장 여단장으로 참전했고, 전쟁 후 제4사 부사단장 겸 제18여 여단장으로 승진했다.3. 중일 전쟁
탕언보는 1899년 저장성 우이현에서 태어나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기 때문에, 중일 전쟁 당시 일본군의 전술을 잘 이해하고 있었다. 장제스는 자신의 정예 부대를 일본군과의 전투보다 중국 공산당을 몰살하는 데 사용하려 했고, 지방 군벌들은 장제스의 명령을 무시하고 자신의 세력 유지에만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탕언보의 초기 항전은 어려움을 겪었다. 탕언보는 타이얼좡 전투에서 승리에 기여하기도 했지만, 1944년 허난-후난-광시 전투에서는 일본군의 공격을 막지 못하고 36일 만에 37개 도시와 마을을 잃는 큰 패배를 당했다.
3. 1. 초기 항전
탕언보는 일본 육군사관학교 출신으로,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푸쭤이가 이끄는 제7집단군에 편입된 제13군 군장으로서 일본군에 맞섰다. 탕언보는 창핑 난커우 진을 수비하며 일본군과 격전을 벌였다. 1937년 9월, 제20군단 사령으로 승진하여 3개 군을 이끌게 되었고, 1938년에는 제20군단이 제5전구에 편입되어 쉬저우 외곽에서 일본군을 요격, 이후 타이얼좡 전투 승리에 기여했다.3. 2. 허난-후난-광시 전투 (1944)
1944년, 탕언보는 제1전구 부사령관으로서 일본군의 대륙타통작전에 맞섰다. 당시 탕언보는 40만 대군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병력 배치가 허술하고 군대의 질도 균일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군 12만 명이 허난성으로 쳐들어오자 탕언보는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결국 36일(38일) 만에 37개 도시와 마을을 잃는 등 큰 패배를 겪었다. 탕언보는 군복을 벗고 취사병으로 변장하여 겨우 탈출할 정도였다. 이 패배로 인해 군 내부에서 문책론이 대두되었으나, 장제스의 비호로 처벌받지 않고 해임되는 선에서 마무리되었다.
3. 3. 전후 복귀
탕언보는 제3방면군 사령관으로 복귀하여 광시성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다.[1]4. 국공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탕언보는 공산당에 맞서 싸웠다. 국공 내전에서 초반에 군사적 실패를 겪으며 망설이기도 했으나, 넷째 첩의 설득으로 장제스를 따르기로 결심했다. 탕언보는 자신의 스승 천이가 공산당으로 전향할 것을 제안했다는 사실을 장제스에게 알렸고, 이로 인해 천이는 체포되어 1950년 타이베이에서 처형되었다.
그러나 이 일로 탕언보는 장제스의 신임을 잃었다. 상하이 전투 당시 탕언보가 측근을 통해 일본 도피를 준비했다는 사실이 구정강 등에 의해 폭로되면서, 그의 입지는 더욱 약화되었다.
4. 1. 초기 지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탕언보는 공산당 세력에 대항하는 투쟁에 참여했다. 국공 내전이 시작되자 육군 부총사령 겸 난징 위수 사령관으로 승진하여 쑤중 해방구를 공격했다. 1947년 3월, 제1병단 사령에 임명되어 산둥성의 해방구를 공격했으나, 멍량구 전투에서 장링푸가 이끄는 정예 부대인 제74사단을 잃는 등 큰 손실을 입고 해임되었다.4. 2. 상하이 방어 및 샤먼 철수
1949년 1월, 탕언보는 징후항 경비 총사령에 임명되어 장강을 방패 삼아 수도 방위 임무를 맡았다. 이때 천이로부터 공산당에 내응할 것을 은밀히 제안받았으나, 탕언보는 즉시 이를 장제스에게 보고했고, 천이는 체포되었다.4월 21일부터 중국 인민해방군이 장강 도하를 시작하자, 탕언보는 방어선을 지키지 못하고 사흘 만에 난징을 잃었다. 이후 인민해방군의 진격에 속수무책으로 밀려, 5월 하순에 샤먼으로 도주하여 샤먼 수정 총사령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9월, 샤먼마저 함락되면서 탕언보는 대륙에서 쫓겨나 진먼 섬으로 물러났다.
4. 3. 진먼 전투 (1949)
1949년 10월 24일, 인민해방군이 진먼 섬에 상륙을 시작하자, 탕언보는 장제스에게 진먼 섬 포기 허가를 전보로 요청했다. 그러나 장제스는 이를 허락하지 않고, 군사 고문 네모토 히로시를 파견하여 굳게 지킬 것을 명령했다. 탕언보는 필사적으로 반격했고, 공군의 원조와 인민해방군 측의 준비 부족으로 진먼을 사수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초기의 진먼 포기 자세는 장제스의 불만을 샀고, 타이완 천도 후 탕언보는 군 지휘권을 박탈당하고 총통부 전략 고문 지위만 부여받았다.5. 몰락과 죽음
1949년 5월 6일, 탕언보의 절친한 친구가 50만달러를 미국의 한 친구 계좌로 송금했고, 이 돈은 일본의 왕문성과 롱쭤량에게 보내졌다.[1] 같은 해 7월, 왕문성과 롱쭤량은 도쿄 교외에 22개의 방이 있는 저택을 구입했다.[1] 그러나 1950년 2월 2일, 로이터 통신이 도쿄에서 장제스가 중국 고위 관리를 통해 도쿄 교외에 저택을 구입했다는 소식을 발표하면서 이 사실이 우연히 공개되었다.[1] 이로 인해 탕언보는 장제스의 완전한 불신을 사게 되었다.[1]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완으로 도주한 후, 탕언보는 병을 얻어 치료를 위해 일본으로 보내졌으나, 1954년 도쿄에서 수술을 받던 중 사망했다.
5. 1. 장제스의 불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탕언보는 공산주의 세력에 대항하는 투쟁에 참여했다. 국공 내전에서의 군사적 실패로 처음에는 망설였지만, 곧 그의 넷째 첩이 그에게 장제스를 확고히 따르고 중국 국민당과 함께 하도록 설득했다.[1] 그 결과 탕언보는 자신의 스승이자 상관이었던 천이가 그에게 공산주의로 전향할 것을 요청했다고 장제스에게 알렸고, 천이는 체포되었다.[1] 천이는 1950년 6월 18일 타이베이 마치창딩에서 처형되었으며 타이베이현 우구에 묻혔다.[1]이러한 일련의 사건으로 탕언보는 장제스의 신임을 잃었다.[1] 상하이 전투 당시 탕언보가 측근 왕원청(王文成)과 롱쭤량(龙佐良)에게 일본에 거처를 마련하도록 요청하여 일본으로 도피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구정강(谷正纲)과 같은 다른 국민당 간부들이 발견하여 장제스에게 폭로하면서 탕언보의 입지는 더욱 약화되었다.[1]
1949년 5월 6일, 탕언보의 절친한 친구가 50만달러를 미국의 한 친구 계좌로 송금했고, 이 돈은 이 계좌를 통해 일본의 왕원성과 롱쭤량에게 보내졌다.[1] 1949년 7월, 왕원성과 롱쭤량은 도쿄 교외에 22개의 방이 있는 저택을 구입했다.[1] 그러나 이 모든 사실은 1950년 2월 2일, 로이터 통신이 도쿄에서 장제스가 중국 고위 관리를 통해 도쿄 교외에 저택을 구입했다는 소식을 발표하면서 우연히 공개되었다.[1] 탕언보의 정적들은 오랫동안 탕언보의 모든 행적을 추적하며 그를 몰락시킬 적절한 기회를 기다렸다는 소문이 있었지만, 이러한 주장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1] 그 결과 탕언보는 장제스의 완전한 불신을 사게 되었고, 장제스는 "상하이와 동남부 해안에서 우리의 패배가 그렇게 빨랐던 것은 당연하다. 그는 (탕언보) 이미 도망갈 준비를 하고 있었어!"라고 분노하여 외쳤다고 한다.[1]
5. 2. 타이완 철수 이후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완으로 철수한 후, 탕언보는 병을 얻어 치료를 위해 일본으로 보내졌다. 그러나 1954년 도쿄에서 수술을 받던 중 사망했다.5. 3. 사망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완으로 도주한 후, 탕언보는 병을 얻어 치료를 위해 일본으로 보내졌다. 그러나 탕언보는 1954년 도쿄에서 수술을 받던 중 사망했다.6. 평가
탕언보는 중일전쟁과 국공내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국민당 군 지휘관이었지만, 전략적 판단 부족과 부패로 인해 비판받기도 한다.
6. 1. 부정적 평가
탕언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산주의 세력에 대항하는 투쟁에 참여했다. 국공 내전에서의 군사적 실패로 처음에는 망설였지만, 넷째 첩의 설득으로 장제스를 따르고 중국 국민당과 함께 하기로 결심했다. 탕언보는 자신의 스승이자 상관이었던 천이가 공산주의로 전향할 것을 요청했다고 장제스에게 알렸고, 이로 인해 천이는 체포되어 1950년 6월 18일 타이베이 마치창딩에서 처형되었다.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로 탕언보는 장제스의 신임을 잃었다. 상하이 전투 당시 탕언보가 측근에게 일본에 거처를 마련하도록 요청하여 일본으로 도피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구정강 등 다른 국민당 간부들에게 알려져 장제스에게 폭로되면서 탕언보의 입지는 더욱 약화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
서적
《民國百人傳》第二冊
傳記文學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