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음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음력은 달의 주기를 기준으로 날짜를 계산하는 역법으로, 기원전 8000년경의 유물이 발견되는 등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태음력은 한 달의 시작을 초승달, 천문학적 삭, 보름달 다음 날 등을 기준으로 정하며, 한 달의 길이는 29일 또는 30일로 한다. 순수 태음력은 계절 변화와 날짜의 불일치를 보정하지 않지만, 태음태양력은 윤달을 두어 이를 보완한다. 이슬람력(히즈라력)은 순태음력의 대표적인 예시이며, 동아시아에서 음력으로 불리는 달력은 태음태양력의 일종이다. 태음력은 어업 등에서 조석을 예측하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음력 - 이슬람력
    이슬람력은 이슬람교에서 사용하는 태음력으로, 무함마드의 메디나 이주를 원년으로 하며, 12개의 달로 구성되어 종교적 목적과 공식 연대 표기에 사용된다.
  • 태음력 - 바빌로니아력
    바빌로니아력은 메소포타미아에서 사용된 태음태양력으로, 니푸르 달력에서 유래하여 메톤 주기를 통해 태음태양력으로 전환되었으며, 후대 달력에 영향을 미쳤고 7일 주기와 성일/악일 개념, 그리고 행정력(도식력)을 포함한다.
태음력
개요
종류의 삭망월을 기준으로 하는 역법
설명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날짜를 세는 역법이다.
특징태양의 황도상 위치를 고려하지 않는다.
계절의 변화와는 차이가 발생한다.
명칭
한자太陰暦
로마자 표기Taeumnyeok
상세 정보
1년의 길이약 354일 (12삭망월)
1개월의 길이일 (약 29.5일)
오차 보정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보정한다.
사용 문화권이슬람 문화권 (이슬람력)
동아시아 문화권 (음력)
역사
기원고대 사회에서 달의 변화를 관찰하며 시작됨.
사용 역사농경 사회에서 계절 변화 예측에 어려움이 있어 태음태양력으로 발전함.
태음력의 종류
주요 종류이슬람력
음력 (주로 태음태양력 형태로 사용)
참고 사항
오해음력은 태음력으로 오해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태양의 움직임도 함께 고려하는 태음태양력이다.
같이 보기태양력
태음태양력
역법
달력
음력
이슬람력

2. 역사

스코틀랜드 워런 필드에서 발견된 태음력은 기원전 8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는 중석기 시대에 해당한다.[2][3] 일부 학자들은 더 이른 시기의 음력 달력을 주장하는데, 라펜글뤼크는 기원전 17,000년경 라스코 동굴 벽화의 표식을, 마샤크는 기원전 27,000년경 뼈 막대기의 표식을 근거로 제시하지만, 그들의 연구 결과는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다.[4][5] 학자들은 고대 수렵인들이 후기 구석기 시대부터 달에 대한 정기적인 천문 관측을 수행했다고 주장해왔다.[6] 새뮤얼 L. 메이시는 달을 시간 측정 도구로 사용한 시기를 28,000~30,000년 전으로 추정한다.[7]

3. 한 달의 시작

음력과 태음태양력은 한 달의 첫날을 정하는 방식이 서로 다르다. 일부는 초승달이 처음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하는데, 대부분의 이슬람교에서 사용하는 히즈라력이 대표적인 예이다. 반면, 히브리력중국력과 같은 일부 태음태양력에서는 특정 시간대에 천문학적인 삭이 발생하는 날을 한 달의 시작으로 삼는다. 또 다른 달력으로는, 예를 들어 일부 힌두력에서는 각 달이 보름달 다음 날부터 시작된다.

4. 한 달의 길이

각 음력 주기의 길이는 평균값에서 약간씩 다르다. 또한 관측은 불확실성과 기상 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달의 시작을 결정하기 위한 고정된 산술 규칙을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표준 이슬람력이다. 표준 이슬람력은 30년 주기이며 11개의 윤년이 355일이고 19년이 354일이다. 장기적으로 볼 때 약 2,500 태양년 또는 2,570 음력년에 하루의 정확도를 가진다. 또한 단기적으로 관측과 최대 1~2일 정도 차이가 난다. 이 알고리즘은 8세기에 무슬림 천문학자들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이는 이슬람 음력에서 각 달의 첫날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초승달의 대략적인 날짜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었다.[8]

5. 태음태양력

아시아권에서는 일반적으로 동아시아태음태양력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며, 한국에서는 흔히 음력(陰曆)이라고 한다. "음력"이라고 불리는 대부분의 달력은 실제로는 태음태양력이다.[16] 이 달력은 달의 주기를 관찰하여 만들어지며, 주기적인 윤일을 사용하여 태양년과 전체적으로 일치하도록 한다.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되었던 태양 시민 달력은 초기 음력 달력에서 유래된 흔적을 보여주었으며, 종교적 및 농업적 목적으로 함께 사용되었다. 현재의 태음태양력에는 중국력, 한국력, 베트남력, 힌두력, 히브리력 및 태국 음력이 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윤일은 2년 또는 3년마다 한 달을 추가하는 것이다. 일부 태음태양력은 태양 주기뿐만 아니라 달 주기에 의해 영향을 받는 연간 자연 현상에 의해서도 조정된다. 이에 대한 예로는 식용 파롤로 벌레가 해변에 대량으로 나타나는 세 달을 포함하는 뱅크스 제도의 태음태양력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달의 마지막 분기에 발생하며, 파롤로의 생식 주기가 달과 동기화되기 때문이다.[9]

태음력의 특정 월일의 계절이 해마다 어긋나는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윤달을 두어 계절의 어긋남을 조절한 것이 태음태양력이다(한편, 윤달을 두지 않는 태음력을 순태음력·순수태음력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태음태양력은 월상의 일치와 계절의 일치를 모두 실현하고 있다(다만 계절이 일치하는 정밀도는 높지 않다). 동아시아에서 단순히 태음력·음력이라고 할 경우, 과거의 태음태양력인 중국력이나 왜력 등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들이 폐지된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구력과 거의 동의어이다.[15]

6. 순태음력

의 차고 기욺을 기준으로 하여 만든 역법으로, 이슬람력(회회력)이 여기에 속한다.[12]

달은 지구를 공전하며 그 주기는 거의 일정하다. 그 주기 평균은 평균 삭망월이라고 하며, 2015년 시점에서는 29.530589일이다. 태음력에서는 1 삭망월을 1달(한 달)로 하고, 12달을 1년(1 태음년)으로 한다. 1 태음년은 29.530589일 × 12 = 354.36707일이다. 1달(한 달)이 29일인 달(소월)과 30일인 달(대월)을 각각 6번씩 설정하여 1 태음년을 354일로 하면 1년에 0.36707일의 오차가 발생하므로 3년에 한 번 정도 소월의 일수를 1일 늘려 1 태음년을 355일로 할 필요가 있다. 태음력에서는 이 1 태음년이 355일이 되는 해가 윤년이며, 히즈라력에서는 30년 동안 11번 윤년을 설정하고 있다(0.36707일 × 30 = 11.0121일).

1 태양년(365.242189일)에 비해 약 11일 짧아 계절에 대해 3년에 1달 이상의 오차가 발생한다. 순수 태음력에서는 이 오차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같은 날짜라도 해마다 계절이 차차 바뀌어가 대략 33년 만에 원래 계절로 돌아오게 된다.

역사적으로 사용되어 온 순수 태음력은 거의 히즈라력에 한정된다. 그 히즈라력도 이슬람 이전의 태음태양력에서 파생된 것으로, 일부 달 이름이 계절에 유래하고 있다는 것(라비 알 아왈달 = 제1의 봄의 달, 등)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 1 태음년(태음력의 1년)은 354.36707일이며, 이는 지구의 공전 주기(회귀년)인 365.24219일보다 약 11일 짧다. 한편, 계절의 주기는 지구의 공전 주기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태음력에서는 특정 월일의 계절이 해마다 변동하며, 약 8년마다 사계절 중 하나(약 88일)씩 빨라지고, 약 33년 만에 계절을 한 바퀴 돈다. 예를 들어, 북반구를 기준으로 할 때, 히즈라력 1428년의 라마단 (9월)은 서기 2008년 9월경으로 초가을이지만, 히즈라력 1410년의 그것은 서기 1990년 4월경으로 중춘이었다.

윤달을 두어 계절의 어긋남을 조절한 것이 '''태음태양력'''이다.

7. 태음력과 계절 (순태음력)

'''순태음력'''은 의 차고 기욺을 기준으로 만든 역법으로, 이슬람력(회회력)이 대표적이다.[12] 1 태음년은 354.36707일로, 1 태양년(365.242189일)보다 약 11일 짧다. 계절은 지구의 공전 주기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순태음력에서는 특정 날짜의 계절이 매년 변하며, 약 8년마다 사계절 중 하나씩 빨라지고, 약 33년 만에 계절을 한 바퀴 돈다. 예를 들어 북반구 기준 히즈라력 1428년 라마단(9월)은 2008년 9월경 초가을이지만, 1410년 라마단은 1990년 4월경 중춘이었다.

이처럼 십수 년 이상의 시간 규모에서는 월일과 계절이 무관하지만, 짧은 시간 규모에서는 작년과 올해 라마단의 계절이 거의 같은 것처럼 계절 변화가 크지 않다. 이는 태양력에서 긴 시간 규모에서는 날짜와 월상이 무관하지만, 지난달과 이번 달 같은 날의 월상은 거의 같다는 것과 비슷하다.

7. 1. 태음태양력과의 관계

아시아권에서는 일반적으로 동아시아태음태양력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며, 한국에서는 흔히 음력(陰曆)이라고 한다.[16] 음력에서는 한 달에 29일과 30일을 번갈아서 쓰며, 그렇게 하면 한 해가 354일이 되어 지구의 태양 공전 주기와 어긋나게 된다. 이때 순태음력에서는 윤달이 없으나, 태음태양력에서는 19년에 일곱 번씩 윤달을 둔다.[16] 이렇게 19년에 일곱 번 윤달을 두는 방법을 장법(章法)이라고 한다.

"음력"이라고 불리는 대부분의 달력은 실제로는 태음태양력이다. 이 달력의 달은 달의 주기를 관찰하여 만들어지며, 주기적인 윤일을 사용하여 태양년과 전체적으로 일치하도록 한다.

달은 지구를 공전하며 그 주기는 거의 일정하다. 그 주기 평균은 평균 삭망월이라고 하며, 2015년 시점에서는 29.530589일이다.[12] 태음력에서는 1 삭망월을 1달(한 달)로 하고, 12달을 1년(1 태음년)으로 한다. 1 태음년은 29.530589일 × 12 = 354.36707일이다.

한편, 1 태음년은 1 태양년(365.242189일)에 비해 약 11일 짧아 계절에 대해 3년에 1달 이상의 오차가 발생한다. 순수 태음력에서는 이 오차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같은 날짜라도 해마다 계절이 차차 바뀌어가 대략 33년 만에 원래 계절로 돌아오게 된다.

태음력의 특정 월일의 계절이 해마다 어긋나는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윤달을 두어 계절의 어긋남을 조절한 것이 '''태음태양력'''이다. 한편, 윤달을 두지 않는 태음력을 '''순태음력'''·'''순수태음력'''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태음태양력은 월상의 일치와 계절의 일치를 모두 실현하고 있다(다만 계절이 일치하는 정밀도는 높지 않다). 동아시아에서 단순히 태음력·음력이라고 할 경우, 과거의 태음태양력인 중국력이나 왜력 등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들이 폐지된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구력과 거의 동의어이다.[15]

태음력은 삭망월로 1개월을 정하고 있지만, 12개월로 1년을 정하고 있는 것은 1회귀년(1태양년)도 기원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8. 태음력 기반 역법

의 차고 기욺을 기준으로 하여 만든 역법으로, 이슬람의 이슬람력(회회력)이 여기에 속한다.


  • 히즈라력 (이슬람력, 히즈라 태음력) - 이슬람 세계에서의 역법. 과거에는 공식 역법으로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종교 행사 외에는 태양력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9. 태음력의 이용

연안 어업에서는 조수의 간만에 따라 작업 시간이 크게 좌우된다. 현재는 조석표가 기록된 태양력 달력도 존재하지만, 어부들은 태음력을 사용하여 간조·만조 시각을 산출하거나, 대조(매월 1일과 16일경), 소조(매월 8일경과 23일경)를 판단한다.

참조

[1] 서적 Explanatory Supplement to the Astronomical Almanac https://archive.org/[...]
[2] 뉴스 Scotland lunar-calendar find sparks Stone Age rethink http://phys.org/news[...] Phys.org 2013-07-27
[3] 간행물 Time and a Place: A luni-solar 'time-reckoner' from 8th millennium BC Scotland 2013-07-16
[4] 문서 Our beautiful, dry, and distant texts https://books.google[...]
[5] 뉴스 Oldest lunar calendar identified http://news.bbc.co.u[...] BBC News 2013-03-14
[6] 간행물 Did the Pre-Indo-Europeans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e Western Zodiac? https://www.research[...] 2005-01-01
[7] 서적 Encyclopedia of Tim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4
[8] 웹인용 The Arithmetical or Tabular Islamic Calendar https://webspace.sci[...] Mathematical Institute, Utrecht University 2024-01-04
[9] 문서 The Melanesians: Their anthropology and folklore Oxford, Clarendon Press
[11]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11] 서적 国語辞典 旺文社 1986-10-20
[12] 문서 理科年表 平成27年
[13] 문서 すなわち日本の旧暦(天保暦など)では十五日はいつでも満月に近い
[14] 문서 すなわち北半球では八月は暑い
[15] 문서 現代において旧暦の日付について述べる場合は、一般的に最後の公的な太陰太陽暦であった時憲暦(中国)や天保暦(日本)による日付を指す。ただし、日本の年中行事|伝統行事や占いなどで現在主に使用されている旧暦と本来の天保暦とでは、日付などにわずかなずれが生じる場合もある(詳細は「旧暦#「旧暦」の計算」を参照)。
[16] 문서 2년 내지 3년에 한 번씩 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