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힌두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힌두력은 베다 시대부터 발전해 온 인도의 전통적인 달력 체계이다. 시간 측정과 천체의 움직임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하며, 태양력, 음력, 그리고 이 둘을 결합한 태음태양력을 사용한다. 힌두력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지역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각 지역의 문화와 종교적 전통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거쳤다. 힌두력의 주요 요소로는 태양월, 음력, 요일, 그리고 다섯 가지 구성 요소(판창가)가 있으며,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 음력 간의 불일치를 조정한다. 힌두력은 힌두교 축제 및 행사 날짜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달력 체계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시간 - UTC+05:30
    UTC+05:30은 협정 세계시보다 5시간 30분 빠른 시간대로, 인도와 스리랑카에서 사용되며 인도 표준시와 스리랑카 표준시에 해당한다.
  • 인도의 시간 - UTC+04:51
    1955년까지 봄베이 시간으로 사용된 UTC+04:51은 인도 표준시보다 39분 늦었으며, 1906년 영국령 인도에서 공식 표준시였다가 인도 표준시로 변경되었다.
  • 태음태양력 - 중국력
    중국력은 태음태양력으로 달의 움직임과 태양의 운행을 고려하여 1년의 달 배열을 정하고, 계절 변화를 파악하며, 설날 등 주요 명절 날짜 결정, 천체 현상 예측 등에 활용되어 왔으며, 다양한 역법으로 발전해 현재는 그레고리력과 함께 중국 문화와 삶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태음태양력 - 히브리력
    히브리력은 유대교에서 사용되는 태음태양력으로, 음력 주기에 윤달을 더해 태양년과 일치시키며, 유대교 절기와 축제일을 결정하고, 힐렐 2세에 의해 확립되어 안노 문디 기원법으로 연도를 계산한다.
힌두력
개요
유형태양태음력
문화적 맥락인도 문화권
사용 지역인도 아대륙 및 전 세계 힌두교 공동체
시대칼리 유가
새해다양한 지역에서 다양한 날짜에 기념
달의 종류망갈라, 푸르니망갈라
계절6
날짜 수365일 (윤년은 약 384일)
월 수12 (윤년에 13번째 월 추가)
일 수월: 27-30
주: 7
세부 사항
태양월 이름 (남인도)메샤
브리샤바
미투나
카르카타
심하
칸야
툴라
브리슈치카
다누스
마카라
쿰바
미나
태양월 이름 (동인도)보이샤크호
조이슈토
아샤르
슈라본
보드로
아신
카르틱
오그론
포우시
마그
팔군
초이토
태음월 이름차이트라
바이샤카
제이스타
아샤다
슈라바나
바드라파다
아슈비나
카르티카
마르가시르샤
파우샤
마가
팔구나
아디카 마사 (윤달)
주 이름라비바라 또는 라비
소마바라 또는 소마
망갈라바라 또는 망갈라
부다바라 또는 부다
구루바라 또는 구루
슈크라바라 또는 슈크라
샤니바라 또는 샤니
카람11
요가27
관련 항목
관련 항목인도 달력
힌두 시간 단위
인도 국립 달력

2. 역사적 기원

베다 문화는 베다 의식을 위해 정교한 시간 측정 방법론과 달력을 개발했다.[12][13] 카우시타키 브라만 19.3장에는 6개월 동안 북쪽으로, 6개월 동안 남쪽으로 태양의 상대적 위치가 이동하는 것이 언급되어 있다.[11]

시간 측정은 베다 의식에 중요했으며, ''조티샤''는 의식의 날짜와 시간을 정하기 위해 시간을 측정하고 천체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베다 시대의 분야였다.[12][13][11] 이 연구는 베다의 경전인 베다 사나탄 산스크리티와 관련된 6개의 고대 베당가 중 하나였다.[12][13]

유키오 오하시(Yukio Ohashi)는 이 베당가 분야가 고대 베다 시대의 실제 천문 연구에서 발전했다고 말한다. 베다 조티샤 과학의 텍스트는 서기 2, 3세기에 중국어로 번역되었으며, 천문학에 관한 리그베다 구절은 주강연과 지첸의 저술에서 발견된다. 수바쉬 카크는 그리스 역사가들이 기원전 6676년에 시작된 ''사프타르시'' 달력으로 알려진 마우리아 왕조를 언급했다고 인용했다.[14] 비크라마디티야 왕의 이름을 딴 비크라미 달력은 기원전 57년에 시작된다.[15]

힌두 학자들은 수리야(태양), 달, 행성의 주기를 관찰하고 계산하여 정확한 시간을 유지했다. 5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수리야 시단타''와 같은 텍스트들은 다양한 숭배된 행성에 대한 장을 제시하며 그 뒤에 숨겨진 이야기를 담고 있다.[16] 이 텍스트들의 사본은 약간씩 다른 버전으로 존재하며, 수리야, 행성에 기반한 계산, 그리고 지구에 대한 수리야의 상대적 운동을 제시한다. 데이터의 차이는 텍스트가 생애 동안 열려 있고 수정되었음을 시사한다.[17][18][19]

서기 1천년기의 힌두 학자들은 천문학적 연구를 통해 항성년의 길이를 다음과 같이 계산했다:[20]

힌두 텍스트항성년의 추정 길이[20]
수리야 시단타365일, 6시간, 12분, 36.56초
파울리카 시단타365일, 6시간, 12분, 36초
파라카라 시단타365일, 6시간, 12분, 31.50초
아리아 시단타365일, 6시간, 12분, 30.84초
라구 아리아 시단타365일, 6시간, 12분, 30초
시단타 시로마니365일, 6시간, 12분, 9초



스콧 몽고메리에 따르면, 힌두 달력의 기초가 되는 ''시단타'' 전통은 기독교 시대보다 앞서 존재했으며, 18개의 텍스트가 있었지만 현대 시대에는 5개만 살아남았다. 이 텍스트들은 태양, 달, 행성의 운동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와 공식을 제공하여 미래의 상대적 위치, 춘분, 상승 및 설정, 순행, 역행 운동에 대한 수정, 시차를 예측한다. 이 고대 학자들은 ''트루티''(29.63 마이크로초)의 정확도로 시간을 계산하려고 시도했다. 달력을 위한 천체의 상대적 움직임을 정확하게 추적하기 위해, 그들은 지구의 평균 직경을 계산했는데, 이는 실제 12742km에 매우 가까웠다.

힌두 달력은 5~6세기에 굽타 시대 천문학에서 아리아바타와 바라하미히라에 의해 개선되었다. 이것들은 선행 시대에 ''베당가 요티샤''의 힌두 천문학 전통을 기반으로 했으며, ''수리야 시단타''라고 알려진 여러 (존재하지 않는) 작품에서 표준화되었다.

2. 1. 동남아시아로의 전파

힌두교불교는 14세기부터 시작된 이슬람 정복 이전인 서기 1천 년 동안 동남아시아의 주요 종교였다. 힌두교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우세했으며, 발리에는 두 가지 유형의 힌두력이 있다. 하나는 210일 기반의 파우쿠온력으로, 힌두교 이전의 체계일 가능성이 높다. 다른 하나는 남인도와 유사한 음력 태양력인 발리 사카력으로, 힌두교 방식을 따른다.[24] 발리 힌두교도의 달 이름과 축제는 대부분 다르지만, 그 중요성과 전설은 어느 정도 겹친다.[24]

3. 텍스트

힌두 학자들은 수리야(태양), 달, 행성의 주기를 관찰하고 계산하여 정확한 시간을 유지했다. 태양에 대한 이러한 계산은 5세기에 아리아바타가 쓴 ''아리아바티야'', 6세기에 라타데바가 쓴 ''로마카''와 바라하미히라가 쓴 ''판차 싯단티카'', 7세기의 브라마굽타가 쓴 ''칸다카디야카'', 8세기의 랄라가 쓴 ''시시아디브르디다'' 등 다양한 산스크리트어 천문학 텍스트에 나타난다.[16] 이 텍스트들은 수리야와 다양한 행성을 제시하고 각 행성 운동의 특성을 추정한다.[16] 5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수리야 싯단타''와 같은 다른 텍스트들은 다양한 숭배된 행성에 대한 장을 제시하며 그 뒤에 숨겨진 이야기를 담고 있다.[16]

이 텍스트들의 사본은 약간씩 다른 버전으로 존재한다. 그들은 수리야, 행성에 기반한 계산, 그리고 지구에 대한 수리야의 상대적 운동을 제시한다. 이들은 데이터가 다르며, 텍스트가 그들의 생애 동안 열려 있고 수정되었음을 시사한다.[17][18][19] 예를 들어, 서기 1천년기의 힌두 학자들은 천문학적 연구를 통해 항성년의 길이를 다음과 같이 계산했으며,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20]

힌두 텍스트항성년의 추정 길이[20]
수리야 싯단타365일, 6시간, 12분, 36.56초
파울리카 싯단타365일, 6시간, 12분, 36초
파라카라 싯단타365일, 6시간, 12분, 31.50초
아리아 싯단타365일, 6시간, 12분, 30.84초
라구 아리아 싯단타365일, 6시간, 12분, 30초
시단타 시로마니365일, 6시간, 12분, 9초



힌두 텍스트는 달의 주기를 사용하여 달과 날짜를 설정했지만, 태양의 주기를 사용하여 완전한 해를 설정했다. 이 시스템은 유대교바빌로니아 고대 달력과 유사하며, 12개월에 약 354일인 달력과 1년에 365일 이상인 태양력 사이의 불일치를 설명하는 동일한 과제를 생성한다.[3] 그들은 하늘의 별들로 형성된 별자리에서 ''수리야''(태양, 일출 및 일몰)가 출입하는 것을 관찰하여 태양년을 추적했으며, 이를 각각 30도의 12개 간격으로 나누었다.[21] 다른 고대 인류 문화와 마찬가지로 힌두교도들은 윤달을 사용하는 여러 시스템을 혁신했는데, 이는 평균적으로 32.5개월마다 한 달을 추가하는 것이다. 그들의 달력 유지와 천문 관측이 더욱 정교해짐에 따라 힌두 달력은 복잡한 규칙과 더 큰 정확성을 갖게 되었다.[22][23][21]

4. 천문학적 기반

힌두력은 지구 중심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도는 움직임을 기준으로 한다. 힌두력은 합삭 주기, 항성년, 회귀년 요소를 포함하며, 이러한 요소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여러 변형 달력이 만들어졌다.[54][55][56] 인도의 태음태양력에서는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양월과 삭망월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음월·태음일을 사용한다. 태양월(라시)은 황도 12궁과 마찬가지로 황도 위를 태양이 30도 움직일 때마다 변화한다.[57] 태양월의 길이는 29일부터 32일 사이가 된다.[58] 태음월(마사)은 삭에서 까지를 백분(슈클라·팍샤), 망에서 다음 삭까지를 흑분(크리슈나·팍샤)이라고 부른다. 하나의 달을 백분부터 시작하는 방식을 아만타, 흑분부터 시작하는 방식을 풀리만타라고 부른다. 태음월의 명칭은 최초의 삭이 속하는 태양월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태양이 쌍어궁에 있을 때 삭이 일어나면, 그 달은 차이트라월이 된다.

4. 1. 태양력 요소

힌두력에서 황도대는 라시(Rāśi)라고 불리는 12개의 구획으로 나뉜다. 각 라시는 30°이며, 황도대에서 발견되는 별자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2] 태양이 특정 라시를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태양월이라고 하며, 해당 라시의 이름과 동일하게 불린다. 예를 들어, 태양이 양자리(Meṣa)를 통과하는 기간은 메샤(Meṣa) 월이 된다.

태양월의 이름은 지역 달력마다 다르다. 말라얄람 달력은 산스크리트어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는 반면, 벵골타밀 달력은 산스크리트어 음력 이름을 차용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타밀 달력에서는 메샤(Mesha)를 칫티라이(Chithirai)로, 브리샤(Vrisha)를 바이가시(Vaigasi) 등으로 대체한다.[32]

태양월(라시)과 벵골, 말라얄람 및 타밀 달력에서 해당 이름, 그리고 그레고리력과의 대응은 다음 표와 같다.

힌두 태양 조디악 및 월
#영어/라틴어[32]산스크리트어[32]산스크리트어 의미[32]아삼어벵골어실레티어치타공어말라얄람어오디아어타밀어툴루어그레고리력
1양자리Meṣaব’হাগ (Böhag)বৈশাখ (Boiśākh)ꠛꠂꠡꠣꠉ (Boiśag)বৈশেখ (boisekh)മേടം (Mēḍaṃ)ବୈଶାଖ (Baiśākha)சித்திரை (Śittirai)Paggu4월–5월
2황소자리Vṛṣabha황소জেঠ (Zeth)জ্যৈষ্ঠ (Jyoisthô)ꠎꠦꠑ (Zeṭ)জের (Zeyr)ഇടവം (Iḍavaṃ)ଜ୍ୟେଷ୍ଠ (Jyēṣṭha)வைகாசி (Vaigāsi)Beshya5월–6월
3쌍둥이자리Mithuna쌍둥이আহাৰ (Ahar)আষাঢ় (Āsādh)ꠀꠀꠠ (Aáṛ)আশার (Ashar)മിഥുനം (Mithunaṃ)ଆଷାଢ଼ (Āṣāḍha)ஆனி (Āṉi)Kaarthel6월–7월
4게자리Karkaṭaশাওণ (Xaün)শ্রাবণ (Śrābôṇ)ꠢꠣꠃꠘ (Haun)শন (Shôn)കർക്കടകം (Karkkaṭakam)ଶ୍ରାବଣ (Śrābaṇa)ஆடி (Āḍi)Aati7월–8월
5사자자리Siṁha사자ভাদ (Bhado)ভাদ্র (Bhādrô)ꠜꠣꠖꠧ (Bádô)ভাদো (Bhádô)ചിങ്ങം (Ciṅṅaṃ)ଭାଦ୍ରବ (Bhādraba)ஆவணி (Āvaṇi)Sōna8월–9월
6처녀자리Kanyā소녀আহিন (Ahin)আশ্বিন (Āśhshin)ꠀꠁꠘ (Aín)আশিন (Ashín)കന്നി (Kanni)ଆଶ୍ୱିନ (Āśvina)புரட்டாசி (Puraṭṭāsi)Nirnaal9월–10월
7천칭자리Tulā저울কাতি (Kati)কার্তিক (Kārtik)ꠇꠣꠔ꠆ꠔꠤ (Xatti)হ়াতি (Xhati)തുലാം (Tulāṃ)କାର୍ତ୍ତିକ (Kārttika)ஐப்பசி (Aippasi)Bonthel10월–11월
8전갈자리Vṛścika전갈আঘোণ (Aghün)অগ্রহায়ণ (Ôgrôhāyôn)ꠀꠊꠘ (Agốn)অন (Ôn)വൃശ്ചികം (Vr̥ścikaṃ)ମାର୍ଗଶିର (Mārgaśira)கார்த்திகை (Kārttigai)Jaarde11월–12월
9사수자리Dhanusপুহ (Puh)পৌষ (Poush)ꠙꠥꠡ (Fuś)ফুশ (Fuś)ധനു (Dhanu)ପୌଷ (Pauṣa)மார்கழி (Mārgaḻi)Perarde12월–1월
10염소자리Makara바다 괴물মাঘ (Magh)মাঘ (Māgh)ꠝꠣꠊ (Mag)মাগ (Mag)മകരം (Makaram)ମାଘ (Māgha)தைPuyinthel1월–2월
11물병자리Kumbha물 항아리ফাগুন (Phagun)ফাল্গুন (Phālgun)ꠚꠣꠟ꠆ꠇꠥꠘ (Fálkun)ফন (Fôn)കുംഭം (Kumbham)ଫାଲ୍‌ଗୁନ (Phālguna)மாசிMaayi2월–3월
12물고기자리Mīna물고기চ’ত (Söt)চৈত্র (Choitrô)ꠌꠂꠔ (Soit)চৌত (Söht)മീനം (Mīnaṃ)ଚୈତ୍ର (Chaitra)பங்குனி (Paṅguṉi)Suggi3월–4월



힌두력은 또한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1년을 두 기간으로 나눈다. 태양이 북쪽으로 이동하는 기간을 우타라야나(Uttarāyaṇa), 남쪽으로 이동하는 기간을 닥시나야나(Dakṣiṇāyana)라고 한다.

힌두력은 1년을 6개의 리투(Ṛtu), 즉 계절로 나눈다. 각 리투는 두 개의 태양월에 해당하며, 그레고리력과 대략적으로 대응된다.

태양월(라시)과 힌두 계절 및 그레고리력에 대한 대략적인 대응은 다음과 같다.

Rāśi항성 별자리그레고리력
[23]
Ṛtu
(계절)
Ṛtu in 데바나가리 스크립트Ṛtu의 벵골어 이름Ṛtu의 구자라트어 이름Ṛtu의 칸나다어 이름Ṛtu의 카슈미르어 이름Ṛtu의 말라얄람어 이름Ṛtu의 오디아어 이름Ṛtu의 타밀어 이름Ṛtu의 텔루구어 이름Ṛtu의 티베트어 이름칼라차크라 탄트라 Ṛtu의 티베트어 이름
Mīna3월 중순–바산타वसन्तবসন্ত (Bôsôntô)વસંત ઋતુ (Vasaṃta r̥tu)ವಸಂತ ಋತು (Vasaṃta Ṛtu)سونٛتھ|sõ:tʰksപൂക്കാലം (Pookkaalam)ବସନ୍ତ (Basanta)இளவேனில் (ilavenil)వసంత ఋతువు (Vasaṃta Ṛtuvu)དཔྱིད་ར་བ་དང་དཔྱིད་བར་མ (shid rawa, thang, shid warma)དཔྱིད་ཀ (shid ka)
Vṛṣabha5월 중순–그리쉬마ग्रीष्मগ্রীষ্ম (Grishsho)ગ્રીષ્મ ઋતુ (Grīṣma r̥tu)ಗ್ರೀಷ್ಮ ಋತು (Grīṣma Ṛtu)گرٛێشِم|greʃimksവേനൽ (Venal)ଗ୍ରୀଷ୍ମ (Grīṣma)முதுவேனில் (mudhuvenil)గ్రీష్మ ఋతువు (Grīṣma Ṛtuvu)དཔྱིད་ཐ་མ་དང་དབྱར་ར་བ། (shid dama, thang, yar rawa)སོ་ག(soga)
Karkaṭa7월 중순–바르샤वर्षाবর্ষা (Bôrsha)વર્ષા ઋતુ (Varṣa r̥tu)ವರ್ಷ ಋತು (Varṣa Ṛtu)ؤہراتھ|wəhraːtʰksമഴക്കാലം (Mazhakkalam)ବର୍ଷା (Barṣā)கார் (kaar)వర్ష ఋతువు (Varṣa Ṛtuvu)དབྱར་བར་མ་དང་དབྱར་ཐ་མ (yarwarma, thang, yardama)དབྱར་ག (yarka)
Kanyā9월 중순–샤라드शरद्শরৎ(Shôrôt)શરદ ઋતુ (Śarad r̥tu)ಶರದೃತು (Śaradṛtu)ہَرُد|harudksഇലപൊഴിയും കാലം (Elapzhiyum kalam)ଶରତ (Śarata)குளிர் (kulir)శరదృతువు (Śaradṛtuvu)སྟོན་ར་བ་དང་སྟོན་བར་མ (ston rawa, thang, ston warma)སྟོན་ཁ (stonka)
Vṛścika11월 중순–헤만타हेमन्तহেমন্ত (Hemôntô)હેમંત ઋતુ (Hēmaṃta r̥tu)ಹೇಮಂತ ಋತು (Hēmaṃta Ṛtu)وَنٛدٕ|wandɨksകുളിർക്കാലം (Kulirkkaalam)ହେମନ୍ତ (Hemanta)முன்பனி (munpani)హేమంత ఋతువు (Hēmaṃta Ṛtuvu)སྟོན་ཐ་མ་དང་དགུན་ར་བ (ston da ma, thang, dgun rawa)དགུན་སྟོད (dgun stod)
Makara1월 중순–시시라शिशिरশীত (Śeet)શિશિર ઋતુ (Śiśira r̥tu)ಶಿಶಿರ ಋತು (Śiśira Ṛtu)شِشُر|ʃiʃurksമഞ്ഞുകാലം (Manjnju kaalam)ଶୀତ/ଶିଶିର (Śīta/Śiśira)பின்பனி (pinpani)శిశిర ఋతువు (Śiśira Ṛtuvu)དགུན་བར་མ་དང་དགུན་ཐ་མ (dgun warma, thang, dgun dama)དགུན་སྨད (dgun smad)


4. 2. 음력 요소

힌두력에서 음력 달은 달의 주기, 즉 초승달과 보름달의 규칙적인 발생과 그 사이의 달이 차고 기우는 위상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인도의 태음태양력에서는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양월과 삭망월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음월·태음일을 사용한다.

태음월(마사)은 삭에서 까지를 백분(슈클라·팍샤), 망에서 다음 삭까지를 흑분(크리슈나·팍샤)이라고 부른다. 하나의 달을 백분부터 시작하는 방식을 아만타라고 부르며, 주로 남인도에서 사용한다. 흑분부터 시작하는 방식을 풀리만타라고 부르며, 주로 북인도와 오디샤 주에서 사용한다. 풀리만타의 달은 아만타보다 반 달 먼저 시작한다.[59] 태음월의 명칭은 최초의 삭이 속하는 태양월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태양이 쌍어궁에 있을 때 삭이 일어나면, 그 달은 차이트라월이 된다. 하나의 태양월에 삭이 2번 일어나는 경우, 최초의 삭을 포함하는 달은 여월(아디카·마사, 英語版)이라고 불리며, 윤달에 해당한다.[60] 또한, 드물지만 하나의 태양월에 삭이 한 번도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나의 달이 건너뛴다(결월).[61]

태음일(티티)은 달과 태양의 황경의 차이에 의해 태음월을 30등분한 것을 말한다. 15일이 백분, 15일이 흑분에 속하며, 각각 1부터 15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다. (태양)일의 이름은 일출 시의 태음월, 백분·흑분, 태음일의 명칭에 따른다. 어떤 날이 전날과 같은 날짜가 되는 경우(여일)나, 날짜가 하루 건너뛰는 경우(결일)가 있다.[62]

5. 연도(삼밧, Samvat)

''삼밧(Samvat)''은 네팔인도의 여러 힌두교 달력 체계의 시대를 가리키며, 이는 서력 기원과 유사하다.[27] 역사적으로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 문헌 및 금석문에서 여러 ''삼밧''이 발견되었는데, 이 중 가장 중요한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


  • 비크람 삼밧(Bikram Sambat): 서기 57년에 시작된 북인도 달력으로, ''비크라마 시대''라고도 불린다. 비크라마디티야 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바이샤카 달부터 시작한다. 이 시스템은 서기 1천년 초 이후 특히 북부, 서부, 중부 및 동부 인도 아대륙의 금석문 증거에서 흔히 발견된다.[27]
  • 사카 삼밧: 학계에서 사용되는 두 개의 사카 시대 시스템이 있는데, 하나는 ''구 사카 시대''라고 불리며, 그 기원은 불확실하며 아마도 기원전 1천년경일 것이다. 고대 불교, 자이나교, 힌두교 비문과 문헌에서 사용되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서기 78년의 사카 시대'' 또는 단순히 ''사카 시대''라고 불리며, 남인도의 금석문 증거에서 흔히 발견된다.[27]
  • 동남아시아의 사카 시대: 인도네시아의 힌두교 달력 시스템은 서기 78년 3월에 시작되었다.[28][29] 케두칸 부킷 비문(
    )과 같이 인도네시아 섬에서 발견된 수많은 고대 및 중세 시대의 문헌과 비문에서 이 기준 연도를 사용한다.[30][31]
  • 인도 국가 달력 (현대): 많은 힌두교 달력을 하나의 공식 표준으로 결합한 것이다.[46]


현재는 샤카(사카) 기원(서기 78년)과 비크라마 기원(기원전 58년)의 2종류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65] 기원은 "0년"으로 하여 만으로 세는 방식과 "1년"으로 하여 세는으로 세는 2종류가 있다.[66]

6. 월(Months)

힌두력은 태양월과 음력의 두 가지 유형의 월을 사용한다. 힌두 달의 이름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음력을 기반으로 하는 힌두 달력은 일반적으로 서로 음운론적으로 변형된 형태를 보이며, 태양력을 기반으로 하는 달력도 일반적으로 서로 변형된 형태를 보이는데, 이는 시간 측정에 대한 지식이 고대 인도 아대륙 전역으로 널리 퍼졌음을 시사한다.[1][21]

각 음력 달 동안, 태양은 황도대의 한 별자리(산크란티)를 통과한다. 태양이 메샤 별자리로 들어가는 음력 달은 차이트라로 명명되며, 음력 연도의 첫 번째 달로 지정된다.

다양한 힌두 달력의 음력 달 이름[1]
비크라미
(음력)[23]
산크란티보즈푸리어힌디어칸나다어카슈미르어마이틸리어마라티어메이테이어네팔어펀자브어신디어텔루구어툴루어티베트어그레고리력
차이트라메샤𑂒𑂶𑂞|차이트bhoचैत/चैत्रಚೈತ್ರ (차이트라)ژِتھٕر|치티르ks𑒔𑒻𑒞𑒱 (차이트)चैत्रꯂꯝꯇꯥ|참타mniचैत(차이트)ਚੇਤ|체트paچيٽُ|체투sdచైత్రము (차이트라무)수기ནག་པ་ཟླ་བ3월–4월
바이샤카브르샤𑂥𑂶𑂮𑂰𑂎|바이사크bhoबैसाख/वैशाखವೈಶಾಖ (바이샤카)وَہؠکھ|와햐크ks 또는 بیساکھ|베사크ks𑒥𑒻𑒮𑒰𑒐 (바이샤크)वैशाखꯁꯖꯤꯕꯨ|사지부mniवैशाख (바이샤크)ਵਸਾਖ|바사크paويساکُ|베사쿠sd 또는 وِهاءُ|비하우sdవైశాఖము (바이샤카무)파구ས་ག་ཟླ་བ4월–5월
제예스타미투나𑂔𑂵𑂘|제트bhoजेठ/ज्येष्ठಜ್ಯೇಷ್ಠ (제시타)زیٹھ|제트ks𑒖𑒹𑒚 (제트)ज्येष्ठꯀꯥꯂꯦꯟ|칼렌mniजेठ(제트)ਜੇਠ|제트paڄيٺُ|제투sdజ్యేష్ఠము(제시타무)베샤སྣྲོན་ཟླ་བ5월–6월
아사다카르카𑂄𑂮𑂰𑂜|아사르bhoअसाढ़/आषाढಆಷಾಢ (아샤다)ہار|하르ks𑒁𑒮𑒰𑒜𑓃 (아사드)आषाढꯏꯉꯥ|잉아mniअसार (아사르)ਹਾੜ੍ਹ|하르paآکاڙُ|아카루sd 또는 آهاڙُ|아하루sdఆషాఢము (아샤다무)카르테ཆུ་སྟོད་ཟླ་བ6월–7월
슈라바나심하𑂮𑂰𑂫𑂢|사완bhoसावन/श्रावणಶ್ರಾವಣ (슈라바나)شرٛاوُن|슈라운ks𑒮𑒰𑒍𑒢 (사온)श्रावणꯏꯉꯦꯟ|잉엔mniसाउन (사운)ਸਾਓਣ|사온paسانوَڻُ|사바누sdశ్రావణము (슈라바나무)아티གྲོ་བཞིན་ཟླ་བ7월–8월
바드라파다칸야𑂦𑂰𑂠𑂷|바도bhoभादों/भाद्रपदಭಾದ್ರಪದ (바드라파다)بٲدٕرپؠتھ|바드르퍄트ks𑒦𑒰𑒠𑒼 (바도)भाद्रपदꯊꯧꯋꯥꯟ|토우완mniभदौ (바다우)ਭਾਦੋਂ|바돈paبَڊو|바도sd 또는 بَڊرو|바드로sdభద్రపదము (바드라파다무)소나ཁྲིམས་སྟོད་ཟླ་བ8월–9월
아슈빈툴라𑂄𑂮𑂱𑂢|아신bhoआसिन/आश्विनಆಶ್ವಯುಜ (아슈와유자)ٲشِد|아시드ks𑒂𑒮𑒱𑒢 (아신)आश्विनꯂꯥꯡꯕꯟ|랑반mniअसोज (아소즈)ਅੱਸੂ|아수paاَسُو|아수sdఆశ్వయుజము (아슈와유자무)칸야/니르날ཐ་སྐར་ཟླ་བ9월–10월
카르티카브르슈치카𑂍𑂰𑂞𑂱𑂍|카티크bhoका(र्)तिकಕಾರ್ತೀಕ (카르티카)کارتِکھ|카르티크ks𑒏𑒰𑒞𑒱𑒏 (카티크)कार्तिकꯃꯦꯔꯥ|메라mniकात्तिक (카티크)ਕੱਤਕ|카타크paڪَتِي|카티sdకార్తికము (카르티카무)본텔སྨིན་དྲུག་ཟླ་བ10월–11월
마르가시르샤다누𑂃𑂏ᇂ𑂢|아가한bhoअघन/अग्रहायण, मँगसिर/मार्गशीर्षಮಾರ್ಗಶಿರ (마르가시라)مَنٛجہۆر|만조르ks𑒁𑒑𑒯𑒢 (아가한)मार्गशीर्षꯍꯤꯌꯥꯡꯀꯩ|히양케이mniमंसिर (망시르)ਮੱਘਰ|마가르paناهرِي|나흐리sd 또는 مَنگهِرُ|망기루sdమార్గశిరము (마르가시라무)자르데མགོ་ཟླ་བ11월–12월
파우샤마카라𑂣𑂴𑂮|푸스bhoपूस/पौषಪುಷ್ಯ (푸샤)پوہ|포ks 또는 پۄہ|포ks𑒣𑒴𑒮 (푸스)पौषꯄꯣꯢꯅꯨ|포이누mniपुष (푸쉬)ਪੋਹ|포paپوهُه|포후sdపుష్యము (푸샤무)페라르데རྒྱལ་ཟླ་བ12월–1월
마가쿰바𑂧𑂰𑂐|마그bhoमाघಮಾಘ (마가)ماگ|마그ks𑒧𑒰𑒒 (마그)माघꯋꯥꯛꯆꯤꯡ|왁칭mniमाघ (마그)ਮਾਘ|마그paمانگھُه|망구sdమాఘము (마가무)푸인텔མཆུ་ཟླ་བ1월–2월
팔구나미나𑂤𑂰𑂏𑂳𑂢|파군bhoफा(ल्)गुनಫಾಲ್ಗುಣ (팔구나)پھاگُن|파군ks𑒤𑒰𑒑𑒳𑒢 (파군)फाल्गुणꯐꯥꯢꯔꯦꯜ|파이렐mniफागुन (파군)ਫੱਗਣ|파간paڦَڳُڻُ|파구누sdఫాల్గుణము (팔구나무)마이དབོ་ཟླ་བ2월–3월



힌두력에서 태양과 달의 위치는 12세기 이전에는 시간적으로 등분되었으나, 현재는 천문학적으로 계산된 태양과 달의 참된 황경을 바탕으로 결정된다.[54]

인도의 태음태양력에서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태양월과 삭망월을 기준으로 하는 태음월·태음일을 사용한다. 태음월(마사)은 삭에서 까지를 백분(슈클라·팍샤), 망에서 다음 삭까지를 흑분(크리슈나·팍샤)이라고 부른다. 한 태양월에 삭이 두 번 일어나면, 첫 삭을 포함하는 달은 여월(아디카·마사, 英語版)이라고 부르며, 윤달에 해당한다.[60]

6. 1. 태양월과 계절

힌두력에서 태양월은 태양이 황도대의 특정 라시(Rāśi)를 통과하는 기간을 나타낸다. 태양월의 이름은 지역 달력마다 다른데, 말라얄람 달력은 산스크리트어 이름을 유지하는 반면, 벵골과 타밀 달력은 산스크리트어 음력 이름을 재사용한다.[32]

힌두 태양 조디악 및 월
#영어/라틴어[32]산스크리트어[32]산스크리트어 의미[32]아삼어벵골어실레티어치타공어말라얄람어오디아어타밀어툴루어그레고리력
1양자리Meṣaব’হাগ|Böhagasবৈশাখ|Boiśākhbnꠛꠂꠡꠣꠉ|Boiśagsylবৈশেখ|boisekhctgമേടം|Mēḍaṃmlବୈଶାଖ|Baiśākhaorசித்திரை|ŚittiraitaPaggu4월–5월
2황소자리Vṛṣabha황소জেঠ|Zethasজ্যৈষ্ঠ|Jyoisthôbnꠎꠦꠑ|Zeṭsylজের|Zeyrctgഇടവം|Iḍavaṃmlଜ୍ୟେଷ୍ଠ|Jyēṣṭhaorவைகாசி|VaigāsitaBeshya5월–6월
3쌍둥이자리Mithuna쌍둥이আহাৰ|Aharasআষাঢ়|Āsādhbnꠀꠀꠠ|Aáṛsylআশার|Asharctgമിഥുനം|Mithunaṃmlଆଷାଢ଼|Āṣāḍhaorஆனி|ĀṉitaKaarthel6월–7월
4게자리Karkaṭaশাওণ|Xaünasশ্রাবণ|Śrābôṇbnꠢꠣꠃꠘ|Haunsylশন|Shônctgകർക്കടകം|Karkkaṭakammlଶ୍ରାବଣ|Śrābaṇaorஆடி|ĀḍitaAati7월–8월
5사자자리Siṁha사자ভাদ|Bhadoasভাদ্র|Bhādrôbnꠜꠣꠖꠧ|Bádôsylভাদো|Bhádôctgചിങ്ങം|Ciṅṅaṃmlଭାଦ୍ରବ|Bhādrabaorஆவணி|ĀvaṇitaSōna8월–9월
6처녀자리Kanyā소녀আহিন|Ahinasআশ্বিন|Āśhshinbnꠀꠁꠘ|Aínsylআশিন|Ashínctgകന്നി|Kannimlଆଶ୍ୱିନ|Āśvinaorபுரட்டாசி|PuraṭṭāsitaNirnaal9월–10월
7천칭자리Tulā저울কাতি|Katiasকার্তিক|Kārtikbnꠇꠣꠔ꠆ꠔꠤ|Xattisylহ়াতি|Xhatictgതുലാം|Tulāṃmlକାର୍ତ୍ତିକ|Kārttikaorஐப்பசி|AippasitaBonthel10월–11월
8전갈자리Vṛścika전갈আঘোণ|Aghünasঅগ্রহায়ণ|Ôgrôhāyônbnꠀꠊꠘ|Agốnsylঅন|Ônctgവൃശ്ചികം|Vr̥ścikaṃmlମାର୍ଗଶିର|Mārgaśiraorகார்த்திகை|KārttigaitaJaarde11월–12월
9사수자리Dhanusপুহ|Puhasপৌষ|Poushbnꠙꠥꠡ|Fuśsylফুশ|Fuśctgധനു|Dhanumlପୌଷ|Pauṣaorமார்கழி|MārgaḻitaPerarde12월–1월
10염소자리Makara바다 괴물মাঘ|Maghasমাঘ|Māghbnꠝꠣꠊ|Magsylমাগ|Magctgമകരം|Makarammlମାଘ|Māghaorதை|TaitaPuyinthel1월–2월
11물병자리Kumbha물 항아리ফাগুন|Phagunasফাল্গুন|Phālgunbnꠚꠣꠟ꠆ꠇꠥꠘ|Fálkunsylফন|Fônctgകുംഭം|Kumbhammlଫାଲ୍‌ଗୁନ|Phālgunaorமாசி|MāsitaMaayi2월–3월
12물고기자리Mīna물고기চ’ত|Sötasচৈত্র|Choitrôbnꠌꠂꠔ|Soitsylচৌত|Söhtctgമീനം|Mīnaṃmlଚୈତ୍ର|Chaitraorபங்குனி|PaṅguṉitaSuggi3월–4월



힌두력은 1년을 6개의 계절(리투, Ṛtu)로 나눈다.[23]

Rāśi항성 별자리그레고리력
[23]
Ṛtu
(계절)
Ṛtu in 데바나가리 스크립트Ṛtu의 벵골어 이름Ṛtu의 구자라트어 이름Ṛtu의 칸나다어 이름Ṛtu의 카슈미르어 이름Ṛtu의 말라얄람어 이름Ṛtu의 오디아어 이름Ṛtu의 타밀어 이름Ṛtu의 텔루구어 이름Ṛtu의 티베트어 이름칼라차크라 탄트라 Ṛtu의 티베트어 이름
Mīna3월 중순–바산타वसन्त|Vasantasaবসন্ত|Bôsôntôbnવસંત ઋતુ|Vasaṃta r̥tuguವಸಂತ ಋತು|Vasaṃta Ṛtuknسونٛتھksപൂക്കാലം|Pookkaalammlବସନ୍ତ|Basantaorஇளவேனில்|ilaveniltaవసంత ఋతువు|Vasaṃta Ṛtuvuteདཔྱིད་ར་བ་དང་དཔྱིད་བར་མ|shid rawa, thang, shid warmaboདཔྱིད་ཀ|shid kabo
Vṛṣabha5월 중순–그리쉬마ग्रीष्म|Grīṣmasaগ্রীষ্ম|Grishshobnગ્રીષ્મ ઋતુ|Grīṣma r̥tuguಗ್ರೀಷ್ಮ ಋತು|Grīṣma Ṛtuknگرٛێشِمksവേനൽ|Venalmlଗ୍ରୀଷ୍ମ|Grīṣmaorமுதுவேனில்|mudhuveniltaగ్రీష్మ ఋతువు|Grīṣma Ṛtuvuteདཔྱིད་ཐ་མ་དང་དབྱར་ར་བ།|shid dama, thang, yar rawaboསོ་ག|sogabo
Karkaṭa7월 중순–바르샤वर्षा|Varṣāsaবর্ষা|Bôrshabnવર્ષા ઋતુ|Varṣa r̥tuguವರ್ಷ ಋತು|Varṣa Ṛtuknؤہراتھksമഴക്കാലം|Mazhakkalammlବର୍ଷା|Barṣāorகார்|kaartaవర్ష ఋతువు|Varṣa Ṛtuvuteདབྱར་བར་མ་དང་དབྱར་ཐ་མ|yarwarma, thang, yardamaboདབྱར་ག|yarkabo
Kanyā9월 중순–샤라드शरद्|Śaradsaশরৎ|Shôrôtbnશરદ ઋતુ|Śarad r̥tuguಶರದೃತು|Śaradṛtuknہَرُدksഇലപൊഴിയും കാലം|Elapzhiyum kalammlଶରତ|Śarataorகுளிர்|kulirtaశరదృతువు|Śaradṛtuvuteསྟོན་ར་བ་དང་སྟོན་བར་མ|ston rawa, thang, ston warmaboསྟོན་ཁ|stonkabo
Vṛścika11월 중순–헤만타हेमन्त|Hemantasaহেমন্ত|Hemôntôbnહેમંત ઋતુ|Hēmaṃta r̥tuguಹೇಮಂತ ಋತು|Hēmaṃta Ṛtuknوَنٛدٕksകുളിർക്കാലം|Kulirkkaalammlହେମନ୍ତ|Hemantaorமுன்பனி|munpanitaహేమంత ఋతువు|Hēmaṃta Ṛtuvuteསྟོན་ཐ་མ་དང་དགུན་ར་བ|ston da ma, thang, dgun rawaboདགུན་སྟོད|dgun stodbo
Makara1월 중순–시시라शिशिर|Śiśirasaশীত|Śeetbnશિશિર ઋતુ|Śiśira r̥tuguಶಿಶಿರ ಋತು|Śiśira Ṛtuknشِشُرksമഞ്ഞുകാലം|Manjnju kaalammlଶୀତ|Śītaorபின்பனி|pinpanitaశిశిర ఋతువు|Śiśira Ṛtuvuteདགུན་བར་མ་དང་དགུན་ཐ་མ|dgun warma, thang, dgun damaboདགུན་སྨད|dgun smadbo


6. 2. 음력

힌두력에서 음력 달은 달의 주기, 즉 초승달과 보름달의 규칙적인 발생과 그 사이의 달이 차고 기우는 위상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힌두력의 계산 근거가 되는 태양과 달의 위치는 12세기 이전에는 시간적으로 등분되었다. 예를 들어 태양월은 태양년의 길이를 12등분한 것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천문학적으로 계산된 태양과 달의 참된 황경을 바탕으로 결정된다.[54] 전통적인 력은 축제의 날짜를 알기 위해 중요하며, 매년 판창(pañjikāsa)이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력이 인쇄된다.[55]

현재 사용되는 인도의 전통적인 력에는 태양력도 태음태양력도 있지만, 태양력이 사용되는 지방에서도 종교적인 목적으로는 태음태양력이 사용된다.[56] 인도의 태음태양력에서는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양월과 삭망월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음월·태음일을 사용한다.

태음월(마사)은 삭에서 까지를 백분(슈클라·팍샤), 망에서 다음 삭까지를 흑분(크리슈나·팍샤)이라고 부른다. 하나의 달을 백분부터 시작하는 방식을 아만타, 흑분부터 시작하는 방식을 풀리만타라고 부르며, 풀리만타의 달은 아만타보다 반 달 먼저 시작한다.[59]

태음일(티티)은 달과 태양의 황경의 차이에 의해 태음월을 30등분한 것을 말한다. 15일이 백분, 15일이 흑분에 속하며, 각각 1부터 15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다. 어떤 날이 전날과 같은 날짜가 되는 경우(여일)나, 날짜가 하루 건너뛰는 경우(결일)가 있다.[62]

연초를 태음월의 어느 달로 할 것인가는 3종류가 있으며, 차이트라월(그레고리오력의 3-4월)부터 해가 시작하는 방식이 가장 일반적이지만, 아샤다월(6-7월)부터 시작하는 방식이나 카르티카월(10-11월)부터 시작하는 방식도 있다.[63]

6. 2. 1. 팍샤 (Paksha)

음력 한 달은 두 개의 보름, 즉 ''팍샤''(पक्ष|팍샤sa, 문자 그대로 "측면")로 나뉜다.[5] 달이 커지는 밝은 반쪽은 보름달로 끝나는데, 이를 "가우라 팍샤"(Gaura Paksha) 또는 ''슈클라 팍샤''(Shukla Paksha)라고 한다.[33] 달이 어두워지는 쇠퇴하는 반쪽은 그믐으로 끝나는데, 이를 "바드야 팍샤"(Vadhya Paksha) 또는 ''크리슈나 팍샤''(Krishna Paksha)라고 한다.[5]

6. 2. 2. 아마타(Amānta)와 푸르니만타(Purnimānta) 시스템

인도 아대륙에서는 음력 달을 정하는 두 가지 주요 전통이 있다. 하나는 삭일(초승달)에 음력 달이 끝나는 아마타(Amānta) 전통이고, 다른 하나는 보름날에 음력 달이 끝나는 푸르니만타(Purnimānta) 전통이다.[35]

음력 달 이름의 변화
흑도백도흑도
아마타팔구나(Phālguna)차이트라(Chaitra)
푸르니만타차이트라(Chaitra)바이샤카(Vaishākha)



아마타 전통에서는 매 음력 달마다 밝은 부분(백도, Shukla paksha)이 어두운 부분(흑도, Krishna paksha)보다 먼저 시작된다. 반면, 푸르니만타 전통에서는 매 음력 달마다 흑도가 백도보다 먼저 시작된다. 따라서 백도는 두 전통 모두에서 항상 같은 달에 속하지만, 흑도는 각 전통에서 서로 다른 달과 연관된다.

아마타 전통은 아삼 주, 서벵골 주, 오디샤 주, 타밀나두 주, 케랄라 주를 제외한 대부분의 인도 해안 주( 구자라트 주, 마하라슈트라 주, 고아 주, 카르나타카 주, 안드라프라데시 주, 텔랑가나 주)에서 따르고 있다. 네팔과 빈디야 산맥 북쪽의 대부분 인도 주들은 푸르니만타 전통을 따른다.

푸르니만타 전통은 베다 시대에 따르던 방식이었으나, 기원전 1세기 전에 아마타 전통으로 대체되었다. 이후 비크라마디티아 왕이 기원전 57년에 푸르니만타 전통을 복원했다.[35]

두 전통의 존재는 고대 인도 필사본과 금석문 증거의 연대를 측정하는 데 고려되는 요인 중 하나이다.[35][36]

아만타와 푸르니만타 시스템은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의 역사적인 문헌과 현대 지역 문헌, 축제 달력에서 흑도에서 발생하는 모든 축제나 행사의 날짜를 정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힌두교 축제인 마하 시바라트리는 아마타 시스템에서는 "마가(Magha)"의 흑도 14일에 해당하며, 같은 날짜는 푸르니만타 시스템에서는 "팔구나(Phalguna)"의 흑도 14일로 표현된다.[37] 두 태음태양력 체계는 동일한 날짜를 나타내는 다른 방식이며, 서로 다른 지역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 푸르니만타 시스템은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현대 인도학 문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23][21]

인도의 태음태양력에서는 태양월과 삭망월을 기준으로 하는 태음월·태음일을 사용한다. 태음월(마사)은 삭에서 까지를 백분(슈클라·팍샤), 망에서 다음 삭까지를 흑분(크리슈나·팍샤)이라고 부른다. 하나의 달을 백분부터 시작하는 방식을 아만타, 흑분부터 시작하는 방식을 풀리만타라고 부르며, 풀리만타의 달은 아만타보다 반 달 먼저 시작한다.[59]

6. 2. 3. 음력 달의 목록

힌두 달의 이름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음력을 기반으로 하는 힌두 달력은 일반적으로 서로 음운론적으로 변형된 형태를 보인다.[1][21]

각 음력 달 동안, 태양은 황도대의 한 별자리(산크란티)를 통과한다. 태양이 메샤 별자리로 들어가는 음력 달은 차이트라로 명명되며, 음력 연도의 첫 번째 달로 지정된다.

몇몇 주요 달력을 아래에 요약한다.

다양한 힌두 달력의 음력 달 이름[1]
비크라미
(음력)[23]
산크란티보즈푸리어힌디어칸나다어카슈미르어마이틸리어마라티어메이테이어네팔어펀자브어신디어텔루구어툴루어티베트어그레고리력
차이트라메샤𑂒𑂶𑂞|chaitbhoचैत/चैत्रಚೈತ್ರ (chaitra)ژِتھٕر|t͡sitʰɨrks𑒔𑒻𑒞𑒱 (chait)चैत्रꯂꯝꯇꯥ|camtamniचैत(chait)ਚੇਤ|chētpaچيٽُ|chēṭusdచైత్రము (chaitramu)suggiནག་པ་ཟླ་བ3월–4월
바이샤카브르샤𑂥𑂶𑂮𑂰𑂎|baisākhbhoबैसाख/वैशाखವೈಶಾಖ (vaisākha)وَہؠکھ|wahjakʰks 또는 بیساکھ|beːsaːkʰks𑒥𑒻𑒮𑒰𑒐 (baishakh)वैशाखꯁꯖꯤꯕꯨ|sajibumniवैशाख (baishākh)ਵਸਾਖ|vasākhpaويساکُ|vēsākusd 또는 وِهاءُ|vihāusdవైశాఖము (vaiśākhamu)pagguས་ག་ཟླ་བ4월–5월
제예스타미투나𑂔𑂵𑂘|jeṭhbhoजेठ/ज्येष्ठಜ್ಯೇಷ್ಠ (jyeshta)زیٹھ|zeːʈʰks𑒖𑒹𑒚 (jeth)ज्येष्ठꯀꯥꯂꯦꯟ|kalenmniजेठ(jēṭh)ਜੇਠ|jēṭhpaڄيٺُ|jjēṭhusdజ్యేష్ఠము(jyēsṭhamu)bēshaསྣྲོན་ཟླ་བ5월–6월
아사다카르카𑂄𑂮𑂰𑂜|āsār̤hbhoअसाढ़/आषाढಆಷಾಢ (āshāda)ہار|haːrks𑒁𑒮𑒰𑒜𑓃 (asadh)आषाढꯏꯉꯥ|eengamniअसार (asār)ਹਾੜ੍ਹ|hāṛhpaآکاڙُ|ākhāṛusd 또는 آهاڙُ|āhāṛusdఆషాఢము (āṣāḍhamu)kārteཆུ་སྟོད་ཟླ་བ6월–7월
슈라바나심하𑂮𑂰𑂫𑂢|sāwanbhoसावन/श्रावणಶ್ರಾವಣ (shrāvana)شرٛاوُن|ʃraːwunks𑒮𑒰𑒍𑒢 (saon)श्रावणꯏꯉꯦꯟ|eengenmniसाउन (sāun)ਸਾਓਣ|sāoṇpaسانوَڻُ|sānvaṇusdశ్రావణము (śrāvaṇamu)aaṭiགྲོ་བཞིན་ཟླ་བ7월–8월
바드라파다칸야𑂦𑂰𑂠𑂷|bhādobhoभादों/भाद्रपदಭಾದ್ರಪದ (bhādrapada)بٲدٕرپؠتھ|bəːdɨrpjatʰks𑒦𑒰𑒠𑒼 (bhado)भाद्रपदꯊꯧꯋꯥꯟ|thouwanmniभदौ (bhadau)ਭਾਦੋਂ|bhādōnpaبَڊو|baḍosd 또는 بَڊرو|baḍrosdభద్రపదము (bhadrapadamu)sonaཁྲིམས་སྟོད་ཟླ་བ8월–9월
아슈빈툴라𑂄𑂮𑂱𑂢|āsinbhoआसिन/आश्विनಆಶ್ವಯುಜ (āswayuja)ٲشِد|əːʃidks𑒂𑒮𑒱𑒢 (aasin)आश्विनꯂꯥꯡꯕꯟ|langbanmniअसोज (asoj)ਅੱਸੂ|assūpaاَسُو|asūsdఆశ్వయుజము (āśvayujamu)kanya/nirnālཐ་སྐར་ཟླ་བ9월–10월
카르티카브르슈치카𑂍𑂰𑂞𑂱𑂍|kātikbhoका(र्)तिकಕಾರ್ತೀಕ (kārtika)کارتِکھ|kaːrtikʰks𑒏𑒰𑒞𑒱𑒏 (katik)कार्तिकꯃꯦꯔꯥ|meramniकात्तिक (kāttik)ਕੱਤਕ|kattakpaڪَتِي|katīsdకార్తికము (kārtikamu)bontelསྨིན་དྲུག་ཟླ་བ10월–11월
마르가시르샤다누𑂃𑂏ᇂ𑂢|agahanbhoअघन/अग्रहायण, मँगसिर/मार्गशीर्षಮಾರ್ಗಶಿರ (mārgasira)مَنٛجہۆر|mand͡ʒhorks𑒁𑒑𑒯𑒢 (agahan)मार्गशीर्षꯍꯤꯌꯥꯡꯀꯩ|heeyangkeimniमंसिर (mangsir)ਮੱਘਰ|maggharpaناهرِي|nāhrīsd 또는 مَنگهِرُ|manghirusdమార్గశిరము (mārgaśiramu)jārdeམགོ་ཟླ་བ11월–12월
파우샤마카라𑂣𑂴𑂮|pūsbhoपूस/पौषಪುಷ್ಯ (pushya)پوہ|poːhks 또는 پۄہ|pɔhks𑒣𑒴𑒮 (poos)पौषꯄꯣꯢꯅꯨ|poinumniपुष (puṣ)ਪੋਹ|pohpaپوهُه|pohusdపుష్యము (puṣyamu)perardeརྒྱལ་ཟླ་བ12월–1월
마가쿰바𑂧𑂰𑂐|māghbhoमाघಮಾಘ (magha)ماگ|maːgks𑒧𑒰𑒒 (magh)माघꯋꯥꯛꯆꯤꯡ|wakchingmniमाघ (magh)ਮਾਘ|māghpaمانگھُه|mānghusdమాఘము (māghamu)puyintelམཆུ་ཟླ་བ1월–2월
팔구나미나𑂤𑂰𑂏𑂳𑂢|fāgunbhoफा(ल्)गुनಫಾಲ್ಗುಣ (phalguna)پھاگُن|pʰaːgunks𑒤𑒰𑒑𑒳𑒢 (fagun)फाल्गुणꯐꯥꯢꯔꯦꯜ|fairelmniफागुन (phagun)ਫੱਗਣ|phaggaṇpaڦَڳُڻُ|phaguṇusdఫాల్గుణము (phālguṇamu)māyiདབོ་ཟླ་བ2월–3월


6. 3. 음력과 태양력 간의 조정

힌두력은 열두 개의 음력 달이 약 354일로, 항성년(태양력)의 약 365일과 차이가 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윤달을 도입했다. 이 차이는 약 11일로, 약 32.5개월마다 한 번씩 윤달(아디카 마스, Adhika Maas)을 추가하여 상쇄한다.[22]

힌두 음력 달의 천문학적 기초. Adhika Masa(2년-Bhadrapada)가 반복되는 것을 보여준다; 태양이 Simha Rashi 안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Adhika Masa로 렌더링


윤달은 단순히 추가되는 것이 아니라, 농업 주기와 자연 현상에 맞춰 6개의 음력 계절과 조화를 이루도록 신중하게 선택된다.[22][21]

윤달을 정하는 방법은 오랜 기간에 걸쳐 발전해왔다. 힌두 수학자들은 히브리력의 메토닉 주기와 유사하게 19년 주기로 윤달을 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을 발견했다. 이 주기에서 윤달은 일반적으로 3, 5, 8, 11, 14, 16, 19년 차에 추가된다. 또한, Mārgaśīrṣa, Pausha, Magha 달은 윤달로 지정되지 않는 복잡한 규칙이 있다.[39]

드물게 '크샤야' 달(삭제되는 달)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음력, 태양력, 지구의 움직임이 복잡하게 상호작용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기원전 1년에는 마카라 상크란티와 쿰바 상크란티 사이에 초승달이 없어 파우샤 달이 삭제되었다.[40]

인도의 태음태양력에서는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양월과 삭망월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음월·태음일을 사용한다. 태음월(마사)은 삭에서 까지를 백분(슈클라·팍샤), 망에서 다음 삭까지를 흑분(크리슈나·팍샤)이라고 부른다. 하나의 태양월에 삭이 2번 일어나는 경우, 최초의 삭을 포함하는 달은 여월(아디카·마사, 英語版)이라고 불리며, 윤달에 해당한다.[60]

7. 일(Day)

힌두력에서 하루는 두 가지 방식으로 측정되는데, 하나는 달의 움직임에 기반한 음력일(티티, Tithi)이고 다른 하나는 태양에 기반한 태양일(디바사, Divasa)이다.


  • 디바사(Divasa, दिवस|디바사sa): 일출에서 다음 일출까지의 기간으로 정의되는 태양일 또는 시민일이다. 대부분의 힌두교도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해 왔으며, 관찰하기 쉽고 경험적이다.
  • 티티(Tithi, तिथि|티티sa): 달의 움직임에 대한 복잡한 측정에 기반한 음력일이다. 예를 들어, 음력일(티티)은 오후 중간에 시작하여 다음 오후에 끝날 수 있다.[41]


이 두 가지 일은 힌두력 학자들이 알고 있었지만, 24시간과 같은 태양력의 수학적 척도와 직접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다. 하지만 디바사 시스템은 일반 대중에게 편리하며 일상적인 사용에 사용되었고, 티티는 의식과 축제의 시기를 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힌두력은 디바사와 티티의 불일치를 태양력과 음력과 유사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조정한다.[42]

티티는 베다 경전에 정의되어 있으며, 존 E. 코트는 "태양과 달의 결합된 움직임이 황도대의 12도를 상대적으로 증가(밝은 2주) 또는 감소(어두운 2주)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라고 말한다.[43] 타원 궤도를 감안할 때 티티의 지속 시간은 21.5시간에서 26시간 사이로 다양하다.[43] 그러나 인도 전통에서 일반 대중의 관행은 티티를 일출부터 다음 일출 사이의 태양일로 취급해 왔다.[43]

음력에는 30개의 티티가 있다. 각 티티는 서로 다른 시간 수를 갖도록 하지만, 달력의 전체적인 완전성을 돕는다. 계절에 따른 태양일의 길이 변화와 달의 상대적 움직임을 감안할 때, 티티의 시작과 종료 시간은 계절과 시간에 따라 변하며, 윤일을 통해 주기적으로 디바사와 동기화된다.[44]

인도의 태음태양력에서는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양월과 삭망월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음월·태음일을 사용한다. 태음일(티티)은 달과 태양의 황경의 차이에 의해 태음월을 30등분한 것을 말한다. 15일이 백분, 15일이 흑분에 속하며, 각각 1부터 15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다. 태양일의 이름은 일출 시의 태음월, 백분·흑분, 태음일의 명칭에 따른다. 어떤 날이 전날과 같은 날짜가 되는 경우(여일)나, 날짜가 하루 건너뛰는 경우(결일)가 있다.[62]

7. 1. 요일(Vāsara)

वासर|바사라sa산스크리트어로 요일을 의미한다.[45] वार|바라sa라고도 하며 접미사로 사용된다.[46] 힌두교 및 기타 인도유럽어족 달력의 요일 이름은 정확히 일치하는데, 이는 서기 3세기경에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47][48] 힌두력의 요일은 대칭적으로 60घटिक|가티카sa(24분)로 나뉘며, 각 घटिक|가티카sa는 60पल|팔라sa(24초)로, 각 पल|팔라sa는 다시 60विपल|비팔라sa로 세분화된다.[47]

여러 언어로 된 요일 이름
No.산스크리트어[47][48]라틴어 요일천체아삼어벵골어보지푸리어구자라트어힌디어칸나다어카슈미르어콘칸어말라얄람어마이틸리어마라티어메이테이어(마니푸리어)네팔어오리야어펀자브어(힌두교도와 시크교도)신디어실헤티어타밀어텔루구어우르두어발리어참어
1라비바사라
(라비바사라, 수르야 바사라, 아디트야 바사라)
일요일/dies 솔리스수르야(태양)데우바르/로비바르로비바르에트와르라비바르라비바르바누바라آتھوار|아스와르ks에타르냐야르라빈딘라비바라농마이징아이타바르라비바라아이트바르آچَرُ|아차루sd
또는آرتوارُ|아르트와루sd
로이바르냐이루아디바람레디테아딧
2소마바사라
(소마바사라, 인두 바사라)
월요일/dies 루나에소마, 찬드라()숌바르쇼음바르소마르소마바르소마바르소마바라ژٔنٛدرٕوار|츤드르와르ks소마르싱갈소음딘소마바라닝토우카바솜바르소마바라소마바르سُومَرُ|수마루sd쇼음바르싱갈소마바람
또는
소마
3망갈라바사라
(망갈라바사라, 바우마바사라)
화요일/dies 마르티스망갈라(화성)몽골바르몽골바르망가르망갈라바르망갈라바르망갈라바라بوموار|봄와르ks 또는 بۄنٛوار|봔와르ks망갈라르초바망갈딘망갈라바라레이파크포크파망갈바르망갈라바라망갈라바르مَنگلُ|망갈루sd 또는 اَنڱارو|앙가로sd몽골바르체바망갈라바람앙가라앙가르
4부다바사라
(부다바사라, 사우미야 바사라)
수요일/dies 메르쿠리이부다(수성)부드바르부드바르부드부드바르부드바르부드바라بۄدوار|보드와르ks부드바르부단부드딘부드바라윰사케사부드바르부다바라부다바르ٻُڌَرُ|부다루sd 또는 اَربع|아르바sd부드바르부단부다바람부다부트
5구루바사라
(구루바사라, 브리하스파티 바사라)
목요일/dies 요비스/주피터데바-구루 브리하스파티(목성)브리호스포티바르브리호스포티바르비페/비야페구루바르구루바르 (브리하스파티바라)구루바라برَٛسوار|브라스와르ks 또는 برٛؠسوار|브랴스와르ks비레스타르비아람브리하스파티딘구루바라사골센비히바르구루바라비르바르وِسپَتِ|비스파티sd 또는 خَميِسَ|카미사sd비스토바르비야잔구루바람, 브르하스파티바람또는웨스파티
6슈크라바사라
(슈크라바사라, 브르구바사라)
금요일/dies 베네리스슈크라(금성)슈쿠르바르/슈크로바르슈크로바르슈크라바르슈크라바르슈크라바라شۆکُروار|쇼쿠르와르ks 또는 جُمعہ|주마ks슈크라르벨리슈크라딘슈크라바라에라이수크라바르수크라바라슈카라바르شُڪرُ|슈크루sd 또는 جُمعو|주모sd슈쿠르바르벨리슈크라바람또는수크라
7샤니바사라
(샤니바사라, 스티라바사라)
토요일/dies 사투르니스샤니(토성)쇼니바르쇼니바르사니차르샤니바르샤니바르샤니바라بَٹہٕ وار|바트와르ks셴바르샤니샤니딘샤니바라탕자사니바르사니바라샤니바르, 샤니차르바르, 사니차르바르ڇَنڇَرُ|찬차루sd 또는 شَنسچَرُ|샨스차루sd쇼니바르샤니샤니바람또는사니스카라탕차르


8. 시간의 다섯 구성 요소 (판창가, Panchanga)

베다 달력은 음력일(티티), 태양일(디와스), 항성(낙샤트라), 행성의 결합(요가), 천문 주기(카라나)의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판창가'라고 불린다.[46]


  • 티티 (Tithi, 음력일): 달과 태양의 황경 차이를 기준으로 태음월을 30등분한 것이다. 15일은 백분(밝은 부분), 15일은 흑분(어두운 부분)으로 나뉘며 각각 1부터 15까지 번호가 붙는다.
  • 디와스 (Diwas, 태양일): 일출 시의 태음월, 백분·흑분, 태음일의 명칭에 따라 결정된다.
  • 낙샤트라 (Nakshatra, 항성): 황도를 13°20' 간격으로 나눈 27개의 구역이다. 양자리 0°에서 시작한다.
  • 요가 (Yoga, 행성의 결합): 태양과 달의 경도를 더한 값을 27개의 구역으로 나눈 것이다. 각 구역은 800' ()이다. (자세한 내용은 요가 섹션 참조)
  • 카라나 (Karana, 천문 주기): 티티의 절반에 해당하는 시간 단위이다. 태양과 달 사이의 각거리가 6°씩 증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자세한 내용은 카라나 섹션 참조)


12세기 이전에는 태양과 달의 위치가 시간적으로 등분되었으나, 현재는 천문학적으로 계산된 태양과 달의 황경을 바탕으로 결정된다.[54] 전통적인 력은 축제 날짜를 정하는 데 중요하며, 매년 판창(pañjikāsa)이라는 전통력이 인쇄된다.[55]

8. 1. 요가 (Yoga)

''요가에 대한 주요 기사 참조.''

산스크리트어 단어 요가(Yoga)는 "결합, 연결, 부착"을 의미하지만, 천문학적 맥락에서 이 단어는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의미한다. 태양의 경도와 달의 경도를 더하여 0°에서 360° 사이의 값으로 정규화한다(360보다 큰 경우 360을 뺀다). 이 합계는 27부분으로 나뉜다. 각 부분은 이제 800'과 같다('은 1도의 1/60을 의미하는 의 기호이다). 이러한 부분은 "요가"라고 불린다.

니트야요가의 계산을 보여주는 궤도 시뮬레이션


요가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순번요가 이름
1비스캄바(Viṣkambha)
2프리티(Prīti)
3아유스만(Āyuśmān)
4사우바가(Saubhāgya)
5쇼바나(Śobhana)
6아티간다(Atigaṇḍa)
7수카르마(Sukarma)
8드리티(Dhrti)
9슐라(Śūla)
10간다(Gaṇḍa)
11브리디(Vṛddhi)
12드루바(Dhruva)
13비아그하타(Vyāghatā)
14하르샤나(Harṣaṇa)
15바즈라(Vajra)
16시디(Siddhi)
17비야티파타(Vyatipāta)
18바리아스(Variyas)
19파리가(Parigha)
20시바(Śiva)
21시드다(Siddha)
22사드야(Sādhya)
23슈바(Śubha)
24슈클라(Śukla)
25브라마(Brahma)
26마헨드라(Māhendra)
27바이드리티(Vaidhṛti)



다시 한 번,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 있다. 하루의 일출 동안 활성화된 "요가"는 그날의 지배적인 "요가"이다.

8. 2. 카라나 (Karaṇa)

카라나는 티티의 절반이다. 정확히 말하면, 카라나는 태양과 달 사이의 각거리가 0°에서 시작하여 6°씩 증가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다.

티티는 30개이고, 1 티티 = 2 카라나이므로, 논리적으로 60개의 카라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30개의 티티를 수용하기 위해 해당 슬롯을 채우는 카라나는 11개뿐이다. 실제로 4개의 "고정" (sthira) 카라나와 7개의 "반복" (cara) 카라나가 있다.

4개의 "고정" 카라나는 다음과 같다.

# 샤쿠니 (Śakuni)

# 차투슈파다 (Catuṣpāda)

# 나가 (Nāga)

# 킴스투그나 (Kiṃstughna)

7개의 "반복" 카라나는 다음과 같다.[50]

# 바바 (Vava) 또는 바바 (Bava)

# 발라바 (Valava) 또는 발라바 (Bālava)

# 카울라바 (Kaulava)

# 타이틸라 (Taitila) 또는 타이툴라 (Taitula)

# 가라 (Gara) 또는 가라자 (Garaja)

# 바니자 (Vaṇija)

# 비쉬티 (바드라) (Viṣṭi)

  • 1번째 ''티티'' (슈클라 팍샤(Śukla Pakṣa)의)의 전반부는 항상 ''킴스투그나 카라나''이다. 따라서 이 카라나는 "고정"되어 있다.
  • 다음으로, 7개의 반복되는 카라나가 다음 56개의 절반 ''티티''를 커버하기 위해 8번 반복된다. 따라서 이것들은 "반복" (cara) 카라나이다.
  • 나머지 3개의 절반 ''티티''는 나머지 "고정" 카라나를 순서대로 가져간다. 따라서 이것들도 "고정" (sthira)되어 있다.
  • 따라서 11개의 미리 설정된 카라나에서 60개의 카라나를 얻을 수 있다.


베다의 날은 일출에 시작한다. 특정 날의 일출 시 카라나가 해당 날 전체에 걸쳐 지배적인 카라나가 된다.

9. 축제 달력: 태양력 및 음력 날짜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전통의 많은 휴일은 힌두력 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음태양력의 음력 주기에 따라 정해진다. 하지만, 바이사키, 퐁갈 및 상크란티와 관련된 일부 휴일은 태양 주기를 따른다.[51] 음력 주기 기반 축제의 날짜는 그레고리력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때로는 몇 주씩 차이가 나기도 한다. 태양 주기 기반의 고대 힌두 축제는 거의 항상 매년 같은 그레고리력 날짜에 해당하며, 예외적인 해에 변동이 있더라도 하루 정도의 차이만 난다.[52]

힌두력의 계산 근거가 되는 태양과 달의 위치는 12세기 이전에는 시간적으로 등분되었다. 예를 들어 태양월은 태양년의 길이를 12등분한 것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천문학적으로 계산된 태양과 달의 참된 황경을 바탕으로 결정된다.[54] 전통적인 력은 축제의 날짜를 알기 위해 중요하며, 매년 판창(pañjikā|판지카sa)이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력이 인쇄된다.[55]

현재 사용되는 인도의 전통적인 력에는 태양력도 태음태양력도 있지만, 태양력이 사용되는 지방에서도 종교적인 목적으로는 태음태양력이 사용된다.[56]

10. 지역별 변형

1952년에 임명된 힌두력 개혁 위원회는 인도 전역에서 사용되는 30개 이상의 잘 발달된 달력을 확인했다. 변형 달력으로는 음력을 강조하는 비크라마 달력과 샬리바하나 달력, 태양력을 강조하는 타밀 달력 및 말라얄람 달력 등이 있다.[53] 가장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달력은 서부 및 북인도네팔에서 사용되는 비크라마 달력과 인도 데칸 지역(현재의 텔랑가나, 안드라 프라데시, 카르나타카, 마하라슈트라, 고아 주를 포함)에서 사용되는 샬리바하나 샤카 달력이다.[53]

12세기 이전에는 태양과 달의 위치가 시간적으로 등분되었지만, 현재는 천문학적으로 계산된 태양과 달의 참 황경을 바탕으로 결정된다.[54] 전통적인 력은 축제 날짜를 알기 위해 중요하며, 매년 판창(pañjikāsa)이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력이 인쇄된다.[55]

인도에서는 태양력과 태음태양력이 모두 사용되지만, 태양력이 사용되는 지방에서도 종교적인 목적으로는 태음태양력이 사용된다.[56]

10. 1. 음력 기반 달력

비크람 삼밧(Bikram Samvat)은 서기 57년에 시작된 북인도 달력으로, ''비크라마 시대''라고도 불린다. 비크라미 달력과 관련이 있으며, 비크라마디티야와 관련이 있다. 이 해는 바이샤크 / 바이사카 달부터 시작한다. 이 시스템은 서기 1천년 초 이후 특히 북부, 서부, 중부 및 동부 인도 아대륙의 금석문 증거에서 흔히 발견된다.[27]

사카 삼밧에는 학계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시스템이 있다. 하나는 ''구 사카 시대''라고 불리며, 그 기원은 불확실하며 아마도 기원전 1천년경일 것이다. 고대 불교, 자이나교, 힌두교 비문과 문헌에서 사용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 사카 시대의 시작점은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 두 번째 시스템은 ''서기 78년의 사카 시대'' 또는 단순히 ''사카 시대''라고 불리며, 남인도의 금석문 증거에서 흔히 발견된다.[27]

동남아시아의 사카 시대는 인도네시아의 힌두교 달력 시스템은 서기 1세기 자바에 아지 사카라는 현자와 함께 힌두교도들이 도착했다는 전설에 기인하며, 서기 78년 3월에 시작되었다.[28][29]

음력 주기를 기반으로 하는 달력은 다음과 같다.

달력 이름사용 지역
비크라미 시대북부 및 중부 인도(음력)
구자라트 삼밧구자라트, 라자스탄
신디 삼밧신드족
살리바하나 달력 (샤카 시대)데칸 지역 (마하라슈트라, 고아, 카르나타카, 안드라프라데시, 텔랑가나 주)
사프타리시 시대 달력카슈미르 판디트
칸나다 달력카르나타카
카슈미르 달력카슈미르
마이틸리 달력
메이테이 달력마니푸르
네팔 달력네팔, 시킴
펀자브 달력펀자브
신디 달력신드
텔루구 달력안드라프라데시, 텔랑가나
티베트 달력티베트


10. 2. 태양력 기반 달력

राशि|rāśisa라고 불리는 힌두력의 태양력 기반 달력은 황도대를 12개의 구획으로 나누어 1년 동안 하늘의 다양한 구획과 별자리를 통과하는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한다. 태양이 각 구획을 통과하는 시간을 태양월이라고 하며, 각 구획의 이름과 동일하게 불린다. 실제로는 태양월이 해당 월이 아닌 राशि|rāśisa로 주로 언급된다.

태양월의 이름은 지역 달력마다 다르다. 말라얄람력은 산스크리트어 이름을 대체로 유지하는 반면, 벵골력과 타밀력은 산스크리트어 음력 이름(Chaitra, Vaishaka 등)을 다르게 사용한다. 예를 들어 타밀 달력은 Mesha, Vrisha 등을 Chithirai, Vaigasi 등으로 대체하며, 벵골 달력은 Boiśākh(Choitrô 대신)로 시작하고 Jyoisthô 등이 이어진다. 아삼력 및 오디아력도 비슷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태양월(राशि|rāśisa)과 벵골, 말라얄람 및 타밀 달력에서 사용하는 이름, 그리고 그레고리력에 대응하는 시기를 나타낸 표이다.

힌두 태양 조디악 및 월
#영어/라틴어[32]산스크리트어[32]산스크리트어 의미[32]아삼어벵골어실레티어치타공어말라얄람어오디아어타밀어툴루어그레고리력
1양자리Meṣaব’হাগ|Böhagasবৈশাখ|Boiśākhbnꠛꠂꠡꠣꠉ|Boiśagsylবৈশেখ|boisekhctgമേടം|Mēḍaṃmlବୈଶାଖ|Baiśākhaorசித்திரை|ŚittiraitaPaggu4월–5월
2황소자리Vṛṣabha황소জেঠ|Zethasজ্যৈষ্ঠ|Jyoisthôbnꠎꠦꠑ|Zeṭsylজের|Zeyrctgഇടവം|Iḍavaṃmlଜ୍ୟେଷ୍ଠ|Jyēṣṭhaorவைகாசி|VaigāsitaBeshya5월–6월
3쌍둥이자리Mithuna쌍둥이আহাৰ|Aharasআষাঢ়|Āsādhbnꠀꠀꠠ|Aáṛsylআশার|Asharctgമിഥുനം|Mithunaṃmlଆଷାଢ଼|Āṣāḍhaorஆனி|ĀṉitaKaarthel6월–7월
4게자리Karkaṭaশাওণ|Xaünasশ্রাবণ|Śrābôṇbnꠢꠣꠃꠘ|Haunsylশন|Shônctgകർക്കടകം|Karkkaṭakammlଶ୍ରାବଣ|Śrābaṇaorஆடி|ĀḍitaAati7월–8월
5사자자리Siṁha사자ভাদ|Bhadoasভাদ্র|Bhādrôbnꠜꠣꠖꠧ|Bádôsylভাদো|Bhádôctgചിങ്ങം|Ciṅṅaṃmlଭାଦ୍ରବ|Bhādrabaorஆவணி|ĀvaṇitaSōna8월–9월
6처녀자리Kanyā소녀আহিন|Ahinasআশ্বিন|Āśhshinbnꠀꠁꠘ|Aínsylআশিন|Ashínctgകന്നി|Kannimlଆଶ୍ୱିନ|Āśvinaorபுரட்டாசி|PuraṭṭāsitaNirnaal9월–10월
7천칭자리Tulā저울কাতি|Katiasকার্তিক|Kārtikbnꠇꠣꠔ꠆ꠔꠤ|Xattisylহ়াতি|Xhatictgതുലാം|Tulāṃmlକାର୍ତ୍ତିକ|Kārttikaorஐப்பசி|AippasitaBonthel10월–11월
8전갈자리Vṛścika전갈আঘোণ|Aghünasঅগ্রহায়ণ|Ôgrôhāyônbnꠀꠊꠘ|Agốnsylঅন|Ônctgവൃശ്ചികം|Vr̥ścikaṃmlମାର୍ଗଶିର|Mārgaśiraorகார்த்திகை|KārttigaitaJaarde11월–12월
9사수자리Dhanusপুহ|Puhasপৌষ|Poushbnꠙꠥꠡ|Fuśsylফুশ|Fuśctgധനു|Dhanumlପୌଷ|Pauṣaorமார்கழி|MārgaḻitaPerarde12월–1월
10염소자리Makara바다 괴물মাঘ|Maghasমাঘ|Māghbnꠝꠣꠊ|Magsylমাগ|Magctgമകരം|Makarammlମାଘ|Māghaorதை|TaitaPuyinthel1월–2월
11물병자리Kumbha물 항아리ফাগুন|Phagunasফাল্গুন|Phālgunbnꠚꠣꠟ꠆ꠇꠥꠘ|Fálkunsylফন|Fônctgകുംഭം|Kumbhammlଫାଲ୍‌ଗୁନ|Phālgunaorமாசி|MāsitaMaayi2월–3월
12물고기자리Mīna물고기চ’ত|Sötasচৈত্র|Choitrôbnꠌꠂꠔ|Soitsylচৌত|Söhtctgമീനം|Mīnaṃmlଚୈତ୍ର|Chaitraorபங்குனி|PaṅguṉitaSuggi3월–4월



태양력 기반의 힌두 달력에는 아삼력, 벵골력, 오디아력, 티르후타 판창, 트리푸리력, 말라얄람력, 타밀력, 툴루력, 비크람 삼밧 달력(네팔) 등이 있다.

11. 기타 관련 달력

참조

[1] 서적 Time Measurement and Calendar Construction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2011-09-18
[2] 서적 A Survey of Hinduism: Third Edition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 서적 Sikh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Christian Epigraphy: An Elementary Treatise with a Collection of Ancient Christian Inscriptions Mainly of Roman Origi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Camphor Flame: Popular Hinduism and Society in Ind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서적 Buddhist Festivals Through the Year https://books.google[...] BRB
[7] 서적 Jainism: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I.B.Tauris
[8] 서적 Jains in the World: Religious Values and Ideology in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Ekadasi: Why Ekadasi is celebrated in Hinduism?-by Dr Bharti Raizada https://www.newsgram[...] 2017-05-22
[1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Sanskrit Literature https://archive.org/[...] Williams and Norgate
[12] 서적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 간행물 Jyotisha Rosen Publishing
[14] 잡지 The Mahabharata and the Sindhu-Sarasvati Tradition http://www.ece.lsu.e[...] 2015-01-22
[15] 서적 Sikh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Sûrya-Siddhânta: A Text-book of Hindu Astronom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Reprint), Original: Yale University Press, American Oriental Society
[17] 서적 Antiquities of India: An Account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Ancient Hindustan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18] 서적 Sûrya-Siddhânta: A Text-book of Hindu Astronom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Reprint), Original: Yale University Press, American Oriental Society
[19] 학술지 Arbhatiy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for the Royal Asiatic Society
[20] 서적 Sûrya-Siddhânta: A Text-book of Hindu Astronom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Reprint), Original: Yale University Press, American Oriental Society
[21] 서적 Calendrical Calcu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서적 A History of Science in World Cultures: Voices of Knowled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3] 서적 The Camphor Flame: Popular Hinduism and Society in Ind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서적 Calendrical Calculatio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서적 Middle Indo-Aryan and Jain Studies https://books.google[...] BRILL
[26] 서적 Esoteric Buddhism in Mediaeval Maritime Asia: Networks of Masters, Texts, Icons https://books.google[...] ISEAS-Yusof Ishak Institute
[27] 서적 Indian Epigraphy: A Guide to the Study of Inscriptions in Sanskrit, Prakrit, and the other Indo-Ary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8] 서적 The People Next Door: Understanding Indone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Press
[29] 서적 Religious Celebrations: An Encyclopedia of Holidays, Festivals, Solemn Observances, and Spiritual Commemorations https://books.google[...] ABC-CLIO
[30] 서적 Indonesian Manuscripts in Great Britain: A Catalogue of Manuscripts in Indonesian Languages in British Public Collections https://books.google[...] Yayasan Pustaka Obor Indonesia
[31] 서적 Indonesian Chronology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32] 서적 Brill Encyclopedia of Hinduism Online Bril
[33] 웹사이트 What is Shukla Paksha and Krishna Paksha | Phases of Moon http://www.rockingba[...] 2018-08-20
[34] 서적 The Camphor Flame: Popular Hinduism and Society in Ind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5] 서적 The Gupta Polit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36] 서적 Indian Epigraph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37] 웹사이트 Maha Shivaratri date https://www.drikpanc[...]
[38] 서적 The Hindu Religious Year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39] 서적 The Indian Calendar https://archive.org/[...] S. Sonnenschein
[40] 서적 The Hindu Religious Year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41] 서적 The Hindu Religious Year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42] 서적 The Hindu Religious Year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43] 서적 Jains in the World: Religious Values and Ideology in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4] 서적 The Hindu Religious Year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45] 서적 वासर http://www.ibiblio.o[...] Oxford University Press
[46] 서적 A Survey of Hinduism: Third Edition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7] 서적 The Hindu Religious Year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48]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49] 서적 Punjabi https://books.google[...] Routledge
[50] 서적 Sûrya-Siddhânta: A Text-book of Hindu Astronom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51] 서적 South Asian Folklore: An Encyclopedia : Afghanistan, Bangladesh, India, Nepal, Pakistan, Sri Lank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2] 서적 The Indian Calendar: With Tables for the Conversion of Hindu and Muhammadan Into A.D. Dates, and Vice Versa https://archive.org/[...] S. Sonnenschein
[53] 서적 The Hindu Religious Year https://archive.org/[...] Association Press
[54] 문서 Leow (2001) p.17
[55] 문서 Leow (2001) pp.18-19
[56] 문서 Leow (2001) p.20
[57] 문서 Leow (2001) pp.32-33
[58] 문서 Leow (2001) pp.24-25
[59] 문서 Leow (2001) pp.35-53
[60] 문서 Leow (2001) pp.37-38
[61] 문서 Leow (2001) pp.38-40
[62] 문서 Leow (2001) pp.40-45
[63] 문서 Leow (2001) pp.36-37
[64] 문서 Leow (2001) p.48
[65] 문서 矢野(1992) pp.168-169
[66] 문서 矢野(1992) pp.167-168
[67] 문서 Leow (2001) pp.49-5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