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두력은 베다 시대부터 발전해 온 인도의 전통적인 달력 체계이다. 시간 측정과 천체의 움직임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하며, 태양력, 음력, 그리고 이 둘을 결합한 태음태양력을 사용한다. 힌두력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지역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각 지역의 문화와 종교적 전통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거쳤다. 힌두력의 주요 요소로는 태양월, 음력, 요일, 그리고 다섯 가지 구성 요소(판창가)가 있으며,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 음력 간의 불일치를 조정한다. 힌두력은 힌두교 축제 및 행사 날짜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달력 체계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인도의 시간 - UTC+05:30 UTC+05:30은 협정 세계시보다 5시간 30분 빠른 시간대로, 인도와 스리랑카에서 사용되며 인도 표준시와 스리랑카 표준시에 해당한다.
인도의 시간 - UTC+04:51 1955년까지 봄베이 시간으로 사용된 UTC+04:51은 인도 표준시보다 39분 늦었으며, 1906년 영국령 인도에서 공식 표준시였다가 인도 표준시로 변경되었다.
태음태양력 - 중국력 중국력은 태음태양력으로 달의 움직임과 태양의 운행을 고려하여 1년의 달 배열을 정하고, 계절 변화를 파악하며, 설날 등 주요 명절 날짜 결정, 천체 현상 예측 등에 활용되어 왔으며, 다양한 역법으로 발전해 현재는 그레고리력과 함께 중국 문화와 삶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태음태양력 - 히브리력 히브리력은 유대교에서 사용되는 태음태양력으로, 음력 주기에 윤달을 더해 태양년과 일치시키며, 유대교 절기와 축제일을 결정하고, 힐렐 2세에 의해 확립되어 안노 문디 기원법으로 연도를 계산한다.
라비바라 또는 라비 소마바라 또는 소마 망갈라바라 또는 망갈라 부다바라 또는 부다 구루바라 또는 구루 슈크라바라 또는 슈크라 샤니바라 또는 샤니
카람
11
요가
27
관련 항목
관련 항목
인도 달력 힌두 시간 단위 인도 국립 달력
2. 역사적 기원
베다 문화는 베다 의식을 위해 정교한 시간 측정 방법론과 달력을 개발했다.[12][13] 카우시타키 브라만 19.3장에는 6개월 동안 북쪽으로, 6개월 동안 남쪽으로 태양의 상대적 위치가 이동하는 것이 언급되어 있다.[11]
시간 측정은 베다 의식에 중요했으며, ''조티샤''는 의식의 날짜와 시간을 정하기 위해 시간을 측정하고 천체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베다 시대의 분야였다.[12][13][11] 이 연구는 베다의 경전인 베다 사나탄 산스크리티와 관련된 6개의 고대 베당가 중 하나였다.[12][13]
유키오 오하시(Yukio Ohashi)는 이 베당가 분야가 고대 베다 시대의 실제 천문 연구에서 발전했다고 말한다. 베다 조티샤 과학의 텍스트는 서기 2, 3세기에 중국어로 번역되었으며, 천문학에 관한 리그베다 구절은 주강연과 지첸의 저술에서 발견된다. 수바쉬 카크는 그리스 역사가들이 기원전 6676년에 시작된 ''사프타르시'' 달력으로 알려진 마우리아 왕조를 언급했다고 인용했다.[14]비크라마디티야 왕의 이름을 딴 비크라미 달력은 기원전 57년에 시작된다.[15]
힌두 학자들은 수리야(태양), 달, 행성의 주기를 관찰하고 계산하여 정확한 시간을 유지했다. 5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수리야 시단타''와 같은 텍스트들은 다양한 숭배된 행성에 대한 장을 제시하며 그 뒤에 숨겨진 이야기를 담고 있다.[16] 이 텍스트들의 사본은 약간씩 다른 버전으로 존재하며, 수리야, 행성에 기반한 계산, 그리고 지구에 대한 수리야의 상대적 운동을 제시한다. 데이터의 차이는 텍스트가 생애 동안 열려 있고 수정되었음을 시사한다.[17][18][19]
서기 1천년기의 힌두 학자들은 천문학적 연구를 통해 항성년의 길이를 다음과 같이 계산했다:[20]
스콧 몽고메리에 따르면, 힌두 달력의 기초가 되는 ''시단타'' 전통은 기독교 시대보다 앞서 존재했으며, 18개의 텍스트가 있었지만 현대 시대에는 5개만 살아남았다. 이 텍스트들은 태양, 달, 행성의 운동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와 공식을 제공하여 미래의 상대적 위치, 춘분, 상승 및 설정, 순행, 역행 운동에 대한 수정, 시차를 예측한다. 이 고대 학자들은 ''트루티''(29.63 마이크로초)의 정확도로 시간을 계산하려고 시도했다. 달력을 위한 천체의 상대적 움직임을 정확하게 추적하기 위해, 그들은 지구의 평균 직경을 계산했는데, 이는 실제 12742km에 매우 가까웠다.
힌두 달력은 5~6세기에 굽타 시대 천문학에서 아리아바타와 바라하미히라에 의해 개선되었다. 이것들은 선행 시대에 ''베당가 요티샤''의 힌두 천문학 전통을 기반으로 했으며, ''수리야 시단타''라고 알려진 여러 (존재하지 않는) 작품에서 표준화되었다.
2. 1. 동남아시아로의 전파
힌두교와 불교는 14세기부터 시작된 이슬람 정복 이전인 서기 1천 년 동안 동남아시아의 주요 종교였다. 힌두교는 인도네시아발리에서 우세했으며, 발리에는 두 가지 유형의 힌두력이 있다. 하나는 210일 기반의 파우쿠온력으로, 힌두교 이전의 체계일 가능성이 높다. 다른 하나는 남인도와 유사한 음력 태양력인 발리 사카력으로, 힌두교 방식을 따른다.[24] 발리 힌두교도의 달 이름과 축제는 대부분 다르지만, 그 중요성과 전설은 어느 정도 겹친다.[24]
3. 텍스트
힌두 학자들은 수리야(태양), 달, 행성의 주기를 관찰하고 계산하여 정확한 시간을 유지했다. 태양에 대한 이러한 계산은 5세기에 아리아바타가 쓴 ''아리아바티야'', 6세기에 라타데바가 쓴 ''로마카''와 바라하미히라가 쓴 ''판차 싯단티카'', 7세기의 브라마굽타가 쓴 ''칸다카디야카'', 8세기의 랄라가 쓴 ''시시아디브르디다'' 등 다양한 산스크리트어 천문학 텍스트에 나타난다.[16] 이 텍스트들은 수리야와 다양한 행성을 제시하고 각 행성 운동의 특성을 추정한다.[16] 5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수리야 싯단타''와 같은 다른 텍스트들은 다양한 숭배된 행성에 대한 장을 제시하며 그 뒤에 숨겨진 이야기를 담고 있다.[16]
이 텍스트들의 사본은 약간씩 다른 버전으로 존재한다. 그들은 수리야, 행성에 기반한 계산, 그리고 지구에 대한 수리야의 상대적 운동을 제시한다. 이들은 데이터가 다르며, 텍스트가 그들의 생애 동안 열려 있고 수정되었음을 시사한다.[17][18][19] 예를 들어, 서기 1천년기의 힌두 학자들은 천문학적 연구를 통해 항성년의 길이를 다음과 같이 계산했으며,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20]
힌두 텍스트는 달의 주기를 사용하여 달과 날짜를 설정했지만, 태양의 주기를 사용하여 완전한 해를 설정했다. 이 시스템은 유대교와 바빌로니아 고대 달력과 유사하며, 12개월에 약 354일인 달력과 1년에 365일 이상인 태양력 사이의 불일치를 설명하는 동일한 과제를 생성한다.[3] 그들은 하늘의 별들로 형성된 별자리에서 ''수리야''(태양, 일출 및 일몰)가 출입하는 것을 관찰하여 태양년을 추적했으며, 이를 각각 30도의 12개 간격으로 나누었다.[21] 다른 고대 인류 문화와 마찬가지로 힌두교도들은 윤달을 사용하는 여러 시스템을 혁신했는데, 이는 평균적으로 32.5개월마다 한 달을 추가하는 것이다. 그들의 달력 유지와 천문 관측이 더욱 정교해짐에 따라 힌두 달력은 복잡한 규칙과 더 큰 정확성을 갖게 되었다.[22][23][21]
4. 천문학적 기반
힌두력은 지구 중심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태양과 달이 지구 주위를 도는 움직임을 기준으로 한다. 힌두력은 합삭 주기, 항성년, 회귀년 요소를 포함하며, 이러한 요소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여러 변형 달력이 만들어졌다.[54][55][56] 인도의 태음태양력에서는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양월과 삭망월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음월·태음일을 사용한다. 태양월(라시)은 황도 12궁과 마찬가지로 황도 위를 태양이 30도 움직일 때마다 변화한다.[57] 태양월의 길이는 29일부터 32일 사이가 된다.[58] 태음월(마사)은 삭에서 망까지를 백분(슈클라·팍샤), 망에서 다음 삭까지를 흑분(크리슈나·팍샤)이라고 부른다. 하나의 달을 백분부터 시작하는 방식을 아만타, 흑분부터 시작하는 방식을 풀리만타라고 부른다. 태음월의 명칭은 최초의 삭이 속하는 태양월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태양이 쌍어궁에 있을 때 삭이 일어나면, 그 달은 차이트라월이 된다.
4. 1. 태양력 요소
힌두력에서 황도대는 라시(Rāśi)라고 불리는 12개의 구획으로 나뉜다. 각 라시는 30°이며, 황도대에서 발견되는 별자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2] 태양이 특정 라시를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태양월이라고 하며, 해당 라시의 이름과 동일하게 불린다. 예를 들어, 태양이 양자리(Meṣa)를 통과하는 기간은 메샤(Meṣa) 월이 된다.
태양월의 이름은 지역 달력마다 다르다. 말라얄람 달력은 산스크리트어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는 반면, 벵골과 타밀 달력은 산스크리트어 음력 이름을 차용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타밀 달력에서는 메샤(Mesha)를 칫티라이(Chithirai)로, 브리샤(Vrisha)를 바이가시(Vaigasi) 등으로 대체한다.[32]
태양월(라시)과 벵골, 말라얄람 및 타밀 달력에서 해당 이름, 그리고 그레고리력과의 대응은 다음 표와 같다.
힌두 태양 조디악 및 월
#
영어/라틴어[32]
산스크리트어[32]
산스크리트어 의미[32]
아삼어
벵골어
실레티어
치타공어
말라얄람어
오디아어
타밀어
툴루어
그레고리력
1
양자리
Meṣa
양
ব’হাগ (Böhag)
বৈশাখ (Boiśākh)
ꠛꠂꠡꠣꠉ (Boiśag)
বৈশেখ (boisekh)
മേടം (Mēḍaṃ)
ବୈଶାଖ (Baiśākha)
சித்திரை (Śittirai)
Paggu
4월–5월
2
황소자리
Vṛṣabha
황소
জেঠ (Zeth)
জ্যৈষ্ঠ (Jyoisthô)
ꠎꠦꠑ (Zeṭ)
জের (Zeyr)
ഇടവം (Iḍavaṃ)
ଜ୍ୟେଷ୍ଠ (Jyēṣṭha)
வைகாசி (Vaigāsi)
Beshya
5월–6월
3
쌍둥이자리
Mithuna
쌍둥이
আহাৰ (Ahar)
আষাঢ় (Āsādh)
ꠀꠀꠠ (Aáṛ)
আশার (Ashar)
മിഥുനം (Mithunaṃ)
ଆଷାଢ଼ (Āṣāḍha)
ஆனி (Āṉi)
Kaarthel
6월–7월
4
게자리
Karkaṭa
게
শাওণ (Xaün)
শ্রাবণ (Śrābôṇ)
ꠢꠣꠃꠘ (Haun)
শন (Shôn)
കർക്കടകം (Karkkaṭakam)
ଶ୍ରାବଣ (Śrābaṇa)
ஆடி (Āḍi)
Aati
7월–8월
5
사자자리
Siṁha
사자
ভাদ (Bhado)
ভাদ্র (Bhādrô)
ꠜꠣꠖꠧ (Bádô)
ভাদো (Bhádô)
ചിങ്ങം (Ciṅṅaṃ)
ଭାଦ୍ରବ (Bhādraba)
ஆவணி (Āvaṇi)
Sōna
8월–9월
6
처녀자리
Kanyā
소녀
আহিন (Ahin)
আশ্বিন (Āśhshin)
ꠀꠁꠘ (Aín)
আশিন (Ashín)
കന്നി (Kanni)
ଆଶ୍ୱିନ (Āśvina)
புரட்டாசி (Puraṭṭāsi)
Nirnaal
9월–10월
7
천칭자리
Tulā
저울
কাতি (Kati)
কার্তিক (Kārtik)
ꠇꠣꠔ꠆ꠔꠤ (Xatti)
হ়াতি (Xhati)
തുലാം (Tulāṃ)
କାର୍ତ୍ତିକ (Kārttika)
ஐப்பசி (Aippasi)
Bonthel
10월–11월
8
전갈자리
Vṛścika
전갈
আঘোণ (Aghün)
অগ্রহায়ণ (Ôgrôhāyôn)
ꠀꠊꠘ (Agốn)
অন (Ôn)
വൃശ്ചികം (Vr̥ścikaṃ)
ମାର୍ଗଶିର (Mārgaśira)
கார்த்திகை (Kārttigai)
Jaarde
11월–12월
9
사수자리
Dhanus
활
পুহ (Puh)
পৌষ (Poush)
ꠙꠥꠡ (Fuś)
ফুশ (Fuś)
ധനു (Dhanu)
ପୌଷ (Pauṣa)
மார்கழி (Mārgaḻi)
Perarde
12월–1월
10
염소자리
Makara
바다 괴물
মাঘ (Magh)
মাঘ (Māgh)
ꠝꠣꠊ (Mag)
মাগ (Mag)
മകരം (Makaram)
ମାଘ (Māgha)
தை
Puyinthel
1월–2월
11
물병자리
Kumbha
물 항아리
ফাগুন (Phagun)
ফাল্গুন (Phālgun)
ꠚꠣꠟ꠆ꠇꠥꠘ (Fálkun)
ফন (Fôn)
കുംഭം (Kumbham)
ଫାଲ୍ଗୁନ (Phālguna)
மாசி
Maayi
2월–3월
12
물고기자리
Mīna
물고기
চ’ত (Söt)
চৈত্র (Choitrô)
ꠌꠂꠔ (Soit)
চৌত (Söht)
മീനം (Mīnaṃ)
ଚୈତ୍ର (Chaitra)
பங்குனி (Paṅguṉi)
Suggi
3월–4월
힌두력은 또한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1년을 두 기간으로 나눈다. 태양이 북쪽으로 이동하는 기간을 우타라야나(Uttarāyaṇa), 남쪽으로 이동하는 기간을 닥시나야나(Dakṣiṇāyana)라고 한다.
힌두력은 1년을 6개의 리투(Ṛtu), 즉 계절로 나눈다. 각 리투는 두 개의 태양월에 해당하며, 그레고리력과 대략적으로 대응된다.
힌두력에서 음력 달은 달의 주기, 즉 초승달과 보름달의 규칙적인 발생과 그 사이의 달이 차고 기우는 위상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인도의 태음태양력에서는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양월과 삭망월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음월·태음일을 사용한다.
태음월(마사)은 삭에서 망까지를 백분(슈클라·팍샤), 망에서 다음 삭까지를 흑분(크리슈나·팍샤)이라고 부른다. 하나의 달을 백분부터 시작하는 방식을 아만타라고 부르며, 주로 남인도에서 사용한다. 흑분부터 시작하는 방식을 풀리만타라고 부르며, 주로 북인도와 오디샤 주에서 사용한다. 풀리만타의 달은 아만타보다 반 달 먼저 시작한다.[59] 태음월의 명칭은 최초의 삭이 속하는 태양월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태양이 쌍어궁에 있을 때 삭이 일어나면, 그 달은 차이트라월이 된다. 하나의 태양월에 삭이 2번 일어나는 경우, 최초의 삭을 포함하는 달은 여월(아디카·마사, 英語版)이라고 불리며, 윤달에 해당한다.[60] 또한, 드물지만 하나의 태양월에 삭이 한 번도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나의 달이 건너뛴다(결월).[61]
태음일(티티)은 달과 태양의 황경의 차이에 의해 태음월을 30등분한 것을 말한다. 15일이 백분, 15일이 흑분에 속하며, 각각 1부터 15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다. (태양)일의 이름은 일출 시의 태음월, 백분·흑분, 태음일의 명칭에 따른다. 어떤 날이 전날과 같은 날짜가 되는 경우(여일)나, 날짜가 하루 건너뛰는 경우(결일)가 있다.[62]
5. 연도(삼밧, Samvat)
''삼밧(Samvat)''은 네팔과 인도의 여러 힌두교 달력 체계의 시대를 가리키며, 이는 서력 기원과 유사하다.[27] 역사적으로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 문헌 및 금석문에서 여러 ''삼밧''이 발견되었는데, 이 중 가장 중요한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
비크람 삼밧(Bikram Sambat): 서기 57년에 시작된 북인도 달력으로, ''비크라마 시대''라고도 불린다. 비크라마디티야 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바이샤카 달부터 시작한다. 이 시스템은 서기 1천년 초 이후 특히 북부, 서부, 중부 및 동부 인도 아대륙의 금석문 증거에서 흔히 발견된다.[27]
사카 삼밧: 학계에서 사용되는 두 개의 사카 시대 시스템이 있는데, 하나는 ''구 사카 시대''라고 불리며, 그 기원은 불확실하며 아마도 기원전 1천년경일 것이다. 고대 불교, 자이나교, 힌두교 비문과 문헌에서 사용되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서기 78년의 사카 시대'' 또는 단순히 ''사카 시대''라고 불리며, 남인도의 금석문 증거에서 흔히 발견된다.[27]
동남아시아의 사카 시대: 인도네시아의 힌두교 달력 시스템은 서기 78년 3월에 시작되었다.[28][29] 케두칸 부킷 비문()과 같이 인도네시아 섬에서 발견된 수많은 고대 및 중세 시대의 문헌과 비문에서 이 기준 연도를 사용한다.[30][31]
인도 국가 달력 (현대): 많은 힌두교 달력을 하나의 공식 표준으로 결합한 것이다.[46]
현재는 샤카(사카) 기원(서기 78년)과 비크라마 기원(기원전 58년)의 2종류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65] 기원은 "0년"으로 하여 만으로 세는 방식과 "1년"으로 하여 세는으로 세는 2종류가 있다.[66]
6. 월(Months)
힌두력은 태양월과 음력의 두 가지 유형의 월을 사용한다. 힌두 달의 이름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음력을 기반으로 하는 힌두 달력은 일반적으로 서로 음운론적으로 변형된 형태를 보이며, 태양력을 기반으로 하는 달력도 일반적으로 서로 변형된 형태를 보이는데, 이는 시간 측정에 대한 지식이 고대 인도 아대륙 전역으로 널리 퍼졌음을 시사한다.[1][21]
각 음력 달 동안, 태양은 황도대의 한 별자리(산크란티)를 통과한다. 태양이 메샤 별자리로 들어가는 음력 달은 차이트라로 명명되며, 음력 연도의 첫 번째 달로 지정된다.
힌두력에서 태양과 달의 위치는 12세기 이전에는 시간적으로 등분되었으나, 현재는 천문학적으로 계산된 태양과 달의 참된 황경을 바탕으로 결정된다.[54]
인도의 태음태양력에서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태양월과 삭망월을 기준으로 하는 태음월·태음일을 사용한다. 태음월(마사)은 삭에서 망까지를 백분(슈클라·팍샤), 망에서 다음 삭까지를 흑분(크리슈나·팍샤)이라고 부른다. 한 태양월에 삭이 두 번 일어나면, 첫 삭을 포함하는 달은 여월(아디카·마사, 英語版)이라고 부르며, 윤달에 해당한다.[60]
6. 1. 태양월과 계절
힌두력에서 태양월은 태양이 황도대의 특정 라시(Rāśi)를 통과하는 기간을 나타낸다. 태양월의 이름은 지역 달력마다 다른데, 말라얄람 달력은 산스크리트어 이름을 유지하는 반면, 벵골과 타밀 달력은 산스크리트어 음력 이름을 재사용한다.[32]
힌두력에서 음력 달은 달의 주기, 즉 초승달과 보름달의 규칙적인 발생과 그 사이의 달이 차고 기우는 위상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힌두력의 계산 근거가 되는 태양과 달의 위치는 12세기 이전에는 시간적으로 등분되었다. 예를 들어 태양월은 태양년의 길이를 12등분한 것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천문학적으로 계산된 태양과 달의 참된 황경을 바탕으로 결정된다.[54] 전통적인 력은 축제의 날짜를 알기 위해 중요하며, 매년 판창(pañjikāsa)이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력이 인쇄된다.[55]
현재 사용되는 인도의 전통적인 력에는 태양력도 태음태양력도 있지만, 태양력이 사용되는 지방에서도 종교적인 목적으로는 태음태양력이 사용된다.[56] 인도의 태음태양력에서는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양월과 삭망월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음월·태음일을 사용한다.
태음월(마사)은 삭에서 망까지를 백분(슈클라·팍샤), 망에서 다음 삭까지를 흑분(크리슈나·팍샤)이라고 부른다. 하나의 달을 백분부터 시작하는 방식을 아만타, 흑분부터 시작하는 방식을 풀리만타라고 부르며, 풀리만타의 달은 아만타보다 반 달 먼저 시작한다.[59]
태음일(티티)은 달과 태양의 황경의 차이에 의해 태음월을 30등분한 것을 말한다. 15일이 백분, 15일이 흑분에 속하며, 각각 1부터 15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다. 어떤 날이 전날과 같은 날짜가 되는 경우(여일)나, 날짜가 하루 건너뛰는 경우(결일)가 있다.[62]
연초를 태음월의 어느 달로 할 것인가는 3종류가 있으며, 차이트라월(그레고리오력의 3-4월)부터 해가 시작하는 방식이 가장 일반적이지만, 아샤다월(6-7월)부터 시작하는 방식이나 카르티카월(10-11월)부터 시작하는 방식도 있다.[63]
6. 2. 1. 팍샤 (Paksha)
음력 한 달은 두 개의 보름, 즉 ''팍샤''(पक्ष|팍샤sa, 문자 그대로 "측면")로 나뉜다.[5] 달이 커지는 밝은 반쪽은 보름달로 끝나는데, 이를 "가우라 팍샤"(Gaura Paksha) 또는 ''슈클라 팍샤''(Shukla Paksha)라고 한다.[33] 달이 어두워지는 쇠퇴하는 반쪽은 그믐으로 끝나는데, 이를 "바드야 팍샤"(Vadhya Paksha) 또는 ''크리슈나 팍샤''(Krishna Paksha)라고 한다.[5]
6. 2. 2. 아마타(Amānta)와 푸르니만타(Purnimānta) 시스템
인도 아대륙에서는 음력 달을 정하는 두 가지 주요 전통이 있다. 하나는 삭일(초승달)에 음력 달이 끝나는 아마타(Amānta) 전통이고, 다른 하나는 보름날에 음력 달이 끝나는 푸르니만타(Purnimānta) 전통이다.[35]
음력 달 이름의 변화
흑도
백도
흑도
아마타
팔구나(Phālguna)
차이트라(Chaitra)
푸르니만타
차이트라(Chaitra)
바이샤카(Vaishākha)
아마타 전통에서는 매 음력 달마다 밝은 부분(백도, Shukla paksha)이 어두운 부분(흑도, Krishna paksha)보다 먼저 시작된다. 반면, 푸르니만타 전통에서는 매 음력 달마다 흑도가 백도보다 먼저 시작된다. 따라서 백도는 두 전통 모두에서 항상 같은 달에 속하지만, 흑도는 각 전통에서 서로 다른 달과 연관된다.
아마타 전통은 아삼 주, 서벵골 주, 오디샤 주, 타밀나두 주, 케랄라 주를 제외한 대부분의 인도 해안 주( 구자라트 주, 마하라슈트라 주, 고아 주, 카르나타카 주, 안드라프라데시 주, 텔랑가나 주)에서 따르고 있다. 네팔과 빈디야 산맥 북쪽의 대부분 인도 주들은 푸르니만타 전통을 따른다.
푸르니만타 전통은 베다 시대에 따르던 방식이었으나, 기원전 1세기 전에 아마타 전통으로 대체되었다. 이후 비크라마디티아 왕이 기원전 57년에 푸르니만타 전통을 복원했다.[35]
두 전통의 존재는 고대 인도 필사본과 금석문 증거의 연대를 측정하는 데 고려되는 요인 중 하나이다.[35][36]
아만타와 푸르니만타 시스템은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의 역사적인 문헌과 현대 지역 문헌, 축제 달력에서 흑도에서 발생하는 모든 축제나 행사의 날짜를 정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힌두교 축제인 마하 시바라트리는 아마타 시스템에서는 "마가(Magha)"의 흑도 14일에 해당하며, 같은 날짜는 푸르니만타 시스템에서는 "팔구나(Phalguna)"의 흑도 14일로 표현된다.[37] 두 태음태양력 체계는 동일한 날짜를 나타내는 다른 방식이며, 서로 다른 지역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 푸르니만타 시스템은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현대 인도학 문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23][21]
인도의 태음태양력에서는 태양월과 삭망월을 기준으로 하는 태음월·태음일을 사용한다. 태음월(마사)은 삭에서 망까지를 백분(슈클라·팍샤), 망에서 다음 삭까지를 흑분(크리슈나·팍샤)이라고 부른다. 하나의 달을 백분부터 시작하는 방식을 아만타, 흑분부터 시작하는 방식을 풀리만타라고 부르며, 풀리만타의 달은 아만타보다 반 달 먼저 시작한다.[59]
6. 2. 3. 음력 달의 목록
힌두 달의 이름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음력을 기반으로 하는 힌두 달력은 일반적으로 서로 음운론적으로 변형된 형태를 보인다.[1][21]
각 음력 달 동안, 태양은 황도대의 한 별자리(산크란티)를 통과한다. 태양이 메샤 별자리로 들어가는 음력 달은 차이트라로 명명되며, 음력 연도의 첫 번째 달로 지정된다.
힌두력은 열두 개의 음력 달이 약 354일로, 항성년(태양력)의 약 365일과 차이가 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윤달을 도입했다. 이 차이는 약 11일로, 약 32.5개월마다 한 번씩 윤달(아디카 마스, Adhika Maas)을 추가하여 상쇄한다.[22]
힌두 음력 달의 천문학적 기초. Adhika Masa(2년-Bhadrapada)가 반복되는 것을 보여준다; 태양이 Simha Rashi 안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Adhika Masa로 렌더링
윤달은 단순히 추가되는 것이 아니라, 농업 주기와 자연 현상에 맞춰 6개의 음력 계절과 조화를 이루도록 신중하게 선택된다.[22][21]
윤달을 정하는 방법은 오랜 기간에 걸쳐 발전해왔다. 힌두 수학자들은 히브리력의 메토닉 주기와 유사하게 19년 주기로 윤달을 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을 발견했다. 이 주기에서 윤달은 일반적으로 3, 5, 8, 11, 14, 16, 19년 차에 추가된다. 또한, Mārgaśīrṣa, Pausha, Magha 달은 윤달로 지정되지 않는 복잡한 규칙이 있다.[39]
드물게 '크샤야' 달(삭제되는 달)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음력, 태양력, 지구의 움직임이 복잡하게 상호작용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기원전 1년에는 마카라 상크란티와 쿰바 상크란티 사이에 초승달이 없어 파우샤 달이 삭제되었다.[40]
인도의 태음태양력에서는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양월과 삭망월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음월·태음일을 사용한다. 태음월(마사)은 삭에서 망까지를 백분(슈클라·팍샤), 망에서 다음 삭까지를 흑분(크리슈나·팍샤)이라고 부른다. 하나의 태양월에 삭이 2번 일어나는 경우, 최초의 삭을 포함하는 달은 여월(아디카·마사, 英語版)이라고 불리며, 윤달에 해당한다.[60]
7. 일(Day)
힌두력에서 하루는 두 가지 방식으로 측정되는데, 하나는 달의 움직임에 기반한 음력일(티티, Tithi)이고 다른 하나는 태양에 기반한 태양일(디바사, Divasa)이다.
디바사(Divasa, दिवस|디바사sa): 일출에서 다음 일출까지의 기간으로 정의되는 태양일 또는 시민일이다. 대부분의 힌두교도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해 왔으며, 관찰하기 쉽고 경험적이다.
티티(Tithi, तिथि|티티sa): 달의 움직임에 대한 복잡한 측정에 기반한 음력일이다. 예를 들어, 음력일(티티)은 오후 중간에 시작하여 다음 오후에 끝날 수 있다.[41]
이 두 가지 일은 힌두력 학자들이 알고 있었지만, 24시간과 같은 태양력의 수학적 척도와 직접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다. 하지만 디바사 시스템은 일반 대중에게 편리하며 일상적인 사용에 사용되었고, 티티는 의식과 축제의 시기를 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힌두력은 디바사와 티티의 불일치를 태양력과 음력과 유사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조정한다.[42]
티티는 베다 경전에 정의되어 있으며, 존 E. 코트는 "태양과 달의 결합된 움직임이 황도대의 12도를 상대적으로 증가(밝은 2주) 또는 감소(어두운 2주)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라고 말한다.[43] 타원 궤도를 감안할 때 티티의 지속 시간은 21.5시간에서 26시간 사이로 다양하다.[43] 그러나 인도 전통에서 일반 대중의 관행은 티티를 일출부터 다음 일출 사이의 태양일로 취급해 왔다.[43]
음력에는 30개의 티티가 있다. 각 티티는 서로 다른 시간 수를 갖도록 하지만, 달력의 전체적인 완전성을 돕는다. 계절에 따른 태양일의 길이 변화와 달의 상대적 움직임을 감안할 때, 티티의 시작과 종료 시간은 계절과 시간에 따라 변하며, 윤일을 통해 주기적으로 디바사와 동기화된다.[44]
인도의 태음태양력에서는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양월과 삭망월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태음월·태음일을 사용한다. 태음일(티티)은 달과 태양의 황경의 차이에 의해 태음월을 30등분한 것을 말한다. 15일이 백분, 15일이 흑분에 속하며, 각각 1부터 15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다. 태양일의 이름은 일출 시의 태음월, 백분·흑분, 태음일의 명칭에 따른다. 어떤 날이 전날과 같은 날짜가 되는 경우(여일)나, 날짜가 하루 건너뛰는 경우(결일)가 있다.[62]
7. 1. 요일(Vāsara)
वासर|바사라sa는 산스크리트어로 요일을 의미한다.[45] वार|바라sa라고도 하며 접미사로 사용된다.[46]힌두교 및 기타 인도유럽어족 달력의 요일 이름은 정확히 일치하는데, 이는 서기 3세기경에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47][48] 힌두력의 요일은 대칭적으로 60घटिक|가티카sa(24분)로 나뉘며, 각 घटिक|가티카sa는 60पल|팔라sa(24초)로, 각 पल|팔라sa는 다시 60विपल|비팔라sa로 세분화된다.[47]
베다 달력은 음력일(티티), 태양일(디와스), 항성(낙샤트라), 행성의 결합(요가), 천문 주기(카라나)의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판창가'라고 불린다.[46]
티티 (Tithi, 음력일): 달과 태양의 황경 차이를 기준으로 태음월을 30등분한 것이다. 15일은 백분(밝은 부분), 15일은 흑분(어두운 부분)으로 나뉘며 각각 1부터 15까지 번호가 붙는다.
디와스 (Diwas, 태양일): 일출 시의 태음월, 백분·흑분, 태음일의 명칭에 따라 결정된다.
낙샤트라 (Nakshatra, 항성):황도를 13°20' 간격으로 나눈 27개의 구역이다. 양자리 0°에서 시작한다.
요가 (Yoga, 행성의 결합): 태양과 달의 경도를 더한 값을 27개의 구역으로 나눈 것이다. 각 구역은 800' (분)이다. (자세한 내용은 요가 섹션 참조)
카라나 (Karana, 천문 주기): 티티의 절반에 해당하는 시간 단위이다. 태양과 달 사이의 각거리가 6°씩 증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자세한 내용은 카라나 섹션 참조)
12세기 이전에는 태양과 달의 위치가 시간적으로 등분되었으나, 현재는 천문학적으로 계산된 태양과 달의 황경을 바탕으로 결정된다.[54] 전통적인 력은 축제 날짜를 정하는 데 중요하며, 매년 판창(pañjikāsa)이라는 전통력이 인쇄된다.[55]
8. 1. 요가 (Yoga)
''요가에 대한 주요 기사 참조.''
산스크리트어 단어 요가(Yoga)는 "결합, 연결, 부착"을 의미하지만, 천문학적 맥락에서 이 단어는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의미한다. 태양의 경도와 달의 경도를 더하여 0°에서 360° 사이의 값으로 정규화한다(360보다 큰 경우 360을 뺀다). 이 합계는 27부분으로 나뉜다. 각 부분은 이제 800'과 같다('은 1도의 1/60을 의미하는 분의 기호이다). 이러한 부분은 "요가"라고 불린다.
니트야요가의 계산을 보여주는 궤도 시뮬레이션
요가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순번
요가 이름
1
비스캄바(Viṣkambha)
2
프리티(Prīti)
3
아유스만(Āyuśmān)
4
사우바가(Saubhāgya)
5
쇼바나(Śobhana)
6
아티간다(Atigaṇḍa)
7
수카르마(Sukarma)
8
드리티(Dhrti)
9
슐라(Śūla)
10
간다(Gaṇḍa)
11
브리디(Vṛddhi)
12
드루바(Dhruva)
13
비아그하타(Vyāghatā)
14
하르샤나(Harṣaṇa)
15
바즈라(Vajra)
16
시디(Siddhi)
17
비야티파타(Vyatipāta)
18
바리아스(Variyas)
19
파리가(Parigha)
20
시바(Śiva)
21
시드다(Siddha)
22
사드야(Sādhya)
23
슈바(Śubha)
24
슈클라(Śukla)
25
브라마(Brahma)
26
마헨드라(Māhendra)
27
바이드리티(Vaidhṛti)
다시 한 번,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 있다. 하루의 일출 동안 활성화된 "요가"는 그날의 지배적인 "요가"이다.
8. 2. 카라나 (Karaṇa)
카라나는 티티의 절반이다. 정확히 말하면, 카라나는 태양과 달 사이의 각거리가 0°에서 시작하여 6°씩 증가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다.
티티는 30개이고, 1 티티 = 2 카라나이므로, 논리적으로 60개의 카라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30개의 티티를 수용하기 위해 해당 슬롯을 채우는 카라나는 11개뿐이다. 실제로 4개의 "고정" (sthira) 카라나와 7개의 "반복" (cara) 카라나가 있다.
1번째 ''티티'' (슈클라 팍샤(Śukla Pakṣa)의)의 전반부는 항상 ''킴스투그나 카라나''이다. 따라서 이 카라나는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7개의 반복되는 카라나가 다음 56개의 절반 ''티티''를 커버하기 위해 8번 반복된다. 따라서 이것들은 "반복" (cara) 카라나이다.
나머지 3개의 절반 ''티티''는 나머지 "고정" 카라나를 순서대로 가져간다. 따라서 이것들도 "고정" (sthira)되어 있다.
따라서 11개의 미리 설정된 카라나에서 60개의 카라나를 얻을 수 있다.
베다의 날은 일출에 시작한다. 특정 날의 일출 시 카라나가 해당 날 전체에 걸쳐 지배적인 카라나가 된다.
9. 축제 달력: 태양력 및 음력 날짜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전통의 많은 휴일은 힌두력 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음태양력의 음력 주기에 따라 정해진다. 하지만, 바이사키, 퐁갈 및 상크란티와 관련된 일부 휴일은 태양 주기를 따른다.[51] 음력 주기 기반 축제의 날짜는 그레고리력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때로는 몇 주씩 차이가 나기도 한다. 태양 주기 기반의 고대 힌두 축제는 거의 항상 매년 같은 그레고리력 날짜에 해당하며, 예외적인 해에 변동이 있더라도 하루 정도의 차이만 난다.[52]
힌두력의 계산 근거가 되는 태양과 달의 위치는 12세기 이전에는 시간적으로 등분되었다. 예를 들어 태양월은 태양년의 길이를 12등분한 것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천문학적으로 계산된 태양과 달의 참된 황경을 바탕으로 결정된다.[54] 전통적인 력은 축제의 날짜를 알기 위해 중요하며, 매년 판창(pañjikā|판지카sa)이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력이 인쇄된다.[55]
현재 사용되는 인도의 전통적인 력에는 태양력도 태음태양력도 있지만, 태양력이 사용되는 지방에서도 종교적인 목적으로는 태음태양력이 사용된다.[56]
10. 지역별 변형
1952년에 임명된 힌두력 개혁 위원회는 인도 전역에서 사용되는 30개 이상의 잘 발달된 달력을 확인했다. 변형 달력으로는 음력을 강조하는 비크라마 달력과 샬리바하나 달력, 태양력을 강조하는 타밀 달력 및 말라얄람 달력 등이 있다.[53] 가장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달력은 서부 및 북인도와 네팔에서 사용되는 비크라마 달력과 인도 데칸 지역(현재의 텔랑가나, 안드라 프라데시, 카르나타카, 마하라슈트라, 고아 주를 포함)에서 사용되는 샬리바하나 샤카 달력이다.[53]
12세기 이전에는 태양과 달의 위치가 시간적으로 등분되었지만, 현재는 천문학적으로 계산된 태양과 달의 참 황경을 바탕으로 결정된다.[54] 전통적인 력은 축제 날짜를 알기 위해 중요하며, 매년 판창(pañjikāsa)이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력이 인쇄된다.[55]
인도에서는 태양력과 태음태양력이 모두 사용되지만, 태양력이 사용되는 지방에서도 종교적인 목적으로는 태음태양력이 사용된다.[56]
10. 1. 음력 기반 달력
비크람 삼밧(Bikram Samvat)은 서기 57년에 시작된 북인도 달력으로, ''비크라마 시대''라고도 불린다. 비크라미 달력과 관련이 있으며, 비크라마디티야와 관련이 있다. 이 해는 바이샤크 / 바이사카 달부터 시작한다. 이 시스템은 서기 1천년 초 이후 특히 북부, 서부, 중부 및 동부 인도 아대륙의 금석문 증거에서 흔히 발견된다.[27]
사카 삼밧에는 학계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시스템이 있다. 하나는 ''구 사카 시대''라고 불리며, 그 기원은 불확실하며 아마도 기원전 1천년경일 것이다. 고대 불교, 자이나교, 힌두교 비문과 문헌에서 사용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 사카 시대의 시작점은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 두 번째 시스템은 ''서기 78년의 사카 시대'' 또는 단순히 ''사카 시대''라고 불리며, 남인도의 금석문 증거에서 흔히 발견된다.[27]
동남아시아의 사카 시대는 인도네시아의 힌두교 달력 시스템은 서기 1세기 자바에 아지 사카라는 현자와 함께 힌두교도들이 도착했다는 전설에 기인하며, 서기 78년 3월에 시작되었다.[28][29]
राशि|rāśisa라고 불리는 힌두력의 태양력 기반 달력은 황도대를 12개의 구획으로 나누어 1년 동안 하늘의 다양한 구획과 별자리를 통과하는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한다. 태양이 각 구획을 통과하는 시간을 태양월이라고 하며, 각 구획의 이름과 동일하게 불린다. 실제로는 태양월이 해당 월이 아닌 राशि|rāśisa로 주로 언급된다.
태양월의 이름은 지역 달력마다 다르다. 말라얄람력은 산스크리트어 이름을 대체로 유지하는 반면, 벵골력과 타밀력은 산스크리트어 음력 이름(Chaitra, Vaishaka 등)을 다르게 사용한다. 예를 들어 타밀 달력은 Mesha, Vrisha 등을 Chithirai, Vaigasi 등으로 대체하며, 벵골 달력은 Boiśākh(Choitrô 대신)로 시작하고 Jyoisthô 등이 이어진다. 아삼력 및 오디아력도 비슷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태양월(राशि|rāśisa)과 벵골, 말라얄람 및 타밀 달력에서 사용하는 이름, 그리고 그레고리력에 대응하는 시기를 나타낸 표이다.
힌두 태양 조디악 및 월
#
영어/라틴어[32]
산스크리트어[32]
산스크리트어 의미[32]
아삼어
벵골어
실레티어
치타공어
말라얄람어
오디아어
타밀어
툴루어
그레고리력
1
양자리
Meṣa
양
ব’হাগ|Böhagas
বৈশাখ|Boiśākhbn
ꠛꠂꠡꠣꠉ|Boiśagsyl
বৈশেখ|boisekhctg
മേടം|Mēḍaṃml
ବୈଶାଖ|Baiśākhaor
சித்திரை|Śittiraita
Paggu
4월–5월
2
황소자리
Vṛṣabha
황소
জেঠ|Zethas
জ্যৈষ্ঠ|Jyoisthôbn
ꠎꠦꠑ|Zeṭsyl
জের|Zeyrctg
ഇടവം|Iḍavaṃml
ଜ୍ୟେଷ୍ଠ|Jyēṣṭhaor
வைகாசி|Vaigāsita
Beshya
5월–6월
3
쌍둥이자리
Mithuna
쌍둥이
আহাৰ|Aharas
আষাঢ়|Āsādhbn
ꠀꠀꠠ|Aáṛsyl
আশার|Asharctg
മിഥുനം|Mithunaṃml
ଆଷାଢ଼|Āṣāḍhaor
ஆனி|Āṉita
Kaarthel
6월–7월
4
게자리
Karkaṭa
게
শাওণ|Xaünas
শ্রাবণ|Śrābôṇbn
ꠢꠣꠃꠘ|Haunsyl
শন|Shônctg
കർക്കടകം|Karkkaṭakamml
ଶ୍ରାବଣ|Śrābaṇaor
ஆடி|Āḍita
Aati
7월–8월
5
사자자리
Siṁha
사자
ভাদ|Bhadoas
ভাদ্র|Bhādrôbn
ꠜꠣꠖꠧ|Bádôsyl
ভাদো|Bhádôctg
ചിങ്ങം|Ciṅṅaṃml
ଭାଦ୍ରବ|Bhādrabaor
ஆவணி|Āvaṇita
Sōna
8월–9월
6
처녀자리
Kanyā
소녀
আহিন|Ahinas
আশ্বিন|Āśhshinbn
ꠀꠁꠘ|Aínsyl
আশিন|Ashínctg
കന്നി|Kanniml
ଆଶ୍ୱିନ|Āśvinaor
புரட்டாசி|Puraṭṭāsita
Nirnaal
9월–10월
7
천칭자리
Tulā
저울
কাতি|Katias
কার্তিক|Kārtikbn
ꠇꠣꠔ꠆ꠔꠤ|Xattisyl
হ়াতি|Xhatictg
തുലാം|Tulāṃml
କାର୍ତ୍ତିକ|Kārttikaor
ஐப்பசி|Aippasita
Bonthel
10월–11월
8
전갈자리
Vṛścika
전갈
আঘোণ|Aghünas
অগ্রহায়ণ|Ôgrôhāyônbn
ꠀꠊꠘ|Agốnsyl
অন|Ônctg
വൃശ്ചികം|Vr̥ścikaṃml
ମାର୍ଗଶିର|Mārgaśiraor
கார்த்திகை|Kārttigaita
Jaarde
11월–12월
9
사수자리
Dhanus
활
পুহ|Puhas
পৌষ|Poushbn
ꠙꠥꠡ|Fuśsyl
ফুশ|Fuśctg
ധനു|Dhanuml
ପୌଷ|Pauṣaor
மார்கழி|Mārgaḻita
Perarde
12월–1월
10
염소자리
Makara
바다 괴물
মাঘ|Maghas
মাঘ|Māghbn
ꠝꠣꠊ|Magsyl
মাগ|Magctg
മകരം|Makaramml
ମାଘ|Māghaor
தை|Taita
Puyinthel
1월–2월
11
물병자리
Kumbha
물 항아리
ফাগুন|Phagunas
ফাল্গুন|Phālgunbn
ꠚꠣꠟ꠆ꠇꠥꠘ|Fálkunsyl
ফন|Fônctg
കുംഭം|Kumbhamml
ଫାଲ୍ଗୁନ|Phālgunaor
மாசி|Māsita
Maayi
2월–3월
12
물고기자리
Mīna
물고기
চ’ত|Sötas
চৈত্র|Choitrôbn
ꠌꠂꠔ|Soitsyl
চৌত|Söhtctg
മീനം|Mīnaṃml
ଚୈତ୍ର|Chaitraor
பங்குனி|Paṅguṉita
Suggi
3월–4월
태양력 기반의 힌두 달력에는 아삼력, 벵골력, 오디아력, 티르후타 판창, 트리푸리력, 말라얄람력, 타밀력, 툴루력, 비크람 삼밧 달력(네팔) 등이 있다.
[1]
서적
Time Measurement and Calendar Construction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2011-09-18
[2]
서적
A Survey of Hinduism: Third Edition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
서적
Sikh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Christian Epigraphy: An Elementary Treatise with a Collection of Ancient Christian Inscriptions Mainly of Roman Origi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Camphor Flame: Popular Hinduism and Society in Ind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서적
Buddhist Festivals Through the Year
https://books.google[...]
BRB
[7]
서적
Jainism: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I.B.Tauris
[8]
서적
Jains in the World: Religious Values and Ideology in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Ekadasi: Why Ekadasi is celebrated in Hinduism?-by Dr Bharti Raizada
https://www.newsgram[...]
2017-05-22
[1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Sanskrit Literature
https://archive.org/[...]
Williams and Norgate
[12]
서적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
간행물
Jyotisha
Rosen Publishing
[14]
잡지
The Mahabharata and the Sindhu-Sarasvati Tradition
http://www.ece.lsu.e[...]
2015-01-22
[15]
서적
Sikh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Sûrya-Siddhânta: A Text-book of Hindu Astronom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Reprint), Original: Yale University Press, American Oriental Society
[17]
서적
Antiquities of India: An Account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Ancient Hindustan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18]
서적
Sûrya-Siddhânta: A Text-book of Hindu Astronom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Reprint), Original: Yale University Press, American Oriental Society
[19]
학술지
Arbhatiy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for the Royal Asiatic Society
[20]
서적
Sûrya-Siddhânta: A Text-book of Hindu Astronom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Reprint), Original: Yale University Press, American Oriental Society
[21]
서적
Calendrical Calcu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서적
A History of Science in World Cultures: Voices of Knowled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3]
서적
The Camphor Flame: Popular Hinduism and Society in Ind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서적
Calendrical Calculatio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서적
Middle Indo-Aryan and Jain Studies
https://books.google[...]
BRILL
[26]
서적
Esoteric Buddhism in Mediaeval Maritime Asia: Networks of Masters, Texts, Icons
https://books.google[...]
ISEAS-Yusof Ishak Institute
[27]
서적
Indian Epigraphy: A Guide to the Study of Inscriptions in Sanskrit, Prakrit, and the other Indo-Ary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8]
서적
The People Next Door: Understanding Indone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Press
[29]
서적
Religious Celebrations: An Encyclopedia of Holidays, Festivals, Solemn Observances, and Spiritual Commemorations
https://books.google[...]
ABC-CLIO
[30]
서적
Indonesian Manuscripts in Great Britain: A Catalogue of Manuscripts in Indonesian Languages in British Public Collections
https://books.google[...]
Yayasan Pustaka Obor Indonesia
[31]
서적
Indonesian Chronology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32]
서적
Brill Encyclopedia of Hinduism Online
Bril
[33]
웹사이트
What is Shukla Paksha and Krishna Paksha | Phases of Moon
http://www.rockingba[...]
2018-08-20
[34]
서적
The Camphor Flame: Popular Hinduism and Society in Ind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5]
서적
The Gupta Polit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36]
서적
Indian Epigraph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37]
웹사이트
Maha Shivaratri date
https://www.drikpanc[...] [38]
서적
The Hindu Religious Year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39]
서적
The Indian Calendar
https://archive.org/[...]
S. Sonnenschein
[40]
서적
The Hindu Religious Year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41]
서적
The Hindu Religious Year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42]
서적
The Hindu Religious Year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43]
서적
Jains in the World: Religious Values and Ideology in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4]
서적
The Hindu Religious Year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45]
서적
वासर
http://www.ibiblio.o[...]
Oxford University Press
[46]
서적
A Survey of Hinduism: Third Edition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7]
서적
The Hindu Religious Year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48]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49]
서적
Punjabi
https://books.google[...]
Routledge
[50]
서적
Sûrya-Siddhânta: A Text-book of Hindu Astronom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51]
서적
South Asian Folklore: An Encyclopedia : Afghanistan, Bangladesh, India, Nepal, Pakistan, Sri Lank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2]
서적
The Indian Calendar: With Tables for the Conversion of Hindu and Muhammadan Into A.D. Dates, and Vice Versa
https://archive.org/[...]
S. Sonnenschein
[53]
서적
The Hindu Religious Year
https://archive.org/[...]
Association Press
[54]
문서
Leow (2001) p.17
[55]
문서
Leow (2001) pp.18-19
[56]
문서
Leow (2001) p.20
[57]
문서
Leow (2001) pp.32-33
[58]
문서
Leow (2001) pp.24-25
[59]
문서
Leow (2001) pp.35-53
[60]
문서
Leow (2001) pp.37-38
[61]
문서
Leow (2001) pp.38-40
[62]
문서
Leow (2001) pp.40-45
[63]
문서
Leow (2001) pp.36-37
[64]
문서
Leow (2001) p.48
[65]
문서
矢野(1992) pp.168-169
[66]
문서
矢野(1992) pp.167-168
[67]
문서
Leow (2001) pp.49-5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