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로버트 맬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는 1766년 영국에서 태어난 영국의 경제학자이자 인구학자이다. 그는 《인구론》을 통해 인구 증가가 식량 생산을 앞질러 빈곤과 기근을 초래한다는 맬서스 트랩을 주장했다. 맬서스의 이론은 찰스 다윈의 진화론에 영향을 미쳤으며, 경제학, 과학,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맬서스는 과잉 생산 이론을 발전시켰으며, 곡물법을 지지했다. 그의 사상은 19세기 초 '맬서스 논쟁'을 촉발했으며, 존 메이너드 케인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우생학자 - 존 메이너드 케인스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중 한 명으로, 거시경제 이론을 통해 현대 경제학과 정책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 개입을 옹호하는 그의 사상은 현대 경제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잉글랜드의 우생학자 - 로널드 피셔
로널드 피셔는 통계학의 기초를 다지고 집단유전학 발전에 기여한 영국의 통계학자, 유전학자, 진화생물학자이지만, 우생학적 관점과 흡연 옹호 등의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18세기 경제학자 - 프랑수아 케네
프랑수아 케네는 프랑스의 의사이자 경제학자로, 중농학파의 창시자이며, 농업을 부의 유일한 원천으로 보는 경제 순환 모델을 제시하고 자유방임주의 경제 정책을 주창하여 경제학과 프랑스 경제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세기 경제학자 - 버나드 맨더빌
버나드 맨더빌은 네덜란드 출신으로 영국에서 의사이자 철학자, 사회사상가로 활동하며 '사적 악덕이 공공의 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역설적인 주장을 펼쳐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이론에 영향을 주었고 윤리, 경제, 정치, 사회에 관한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했다.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성직자 |
이름 |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 |
출생일 | 1766년 2월 13/14일 |
출생지 | 서리주웨스트콧 잉글랜드 |
사망일 | 1834년 12월 29일 |
사망지 | 서머싯주바스 잉글랜드 |
자녀 | 3명 |
학력 | 케임브리지 대학교 지저스 칼리지 (인문학 석사) |
주요 저서 | 인구론 |
학문적 배경 | |
학파 | 고전 경제학 |
분야 | 인구 통계학 거시 경제학 |
영향을 준 인물 | 데이비드 리카도 윌리엄 고드윈 애덤 스미스 데이비드 흄 에드워드 기번 볼테르 장자크 루소 장 샤를 레오나르 시몽드 드 시스몽디 |
주요 기여 | 맬서스 성장 모델 |
2. 생애
맬서스는 영국 서리주 길드포드에서 태어나 케임브리지 대학교 지저스 칼리지를 졸업하고 성공회 성직자가 되었다. 1798년 익명으로 《인구론》을 발표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 1805년 동인도 회사의 이스트 인디아 컴퍼니 칼리지 교수가 되어 최초의 전업 경제학자라는 기록을 남겼다.
1799년 맬서스는 윌리엄 오터와 함께 유럽 여행을 떠나 독일, 스칸디나비아, 러시아를 방문하며 인구 데이터를 수집했다. 오터는 맬서스 사후 그의 회고록을 작성했다.[40][41] 1802년 아미앵 조약 기간에는 프랑스와 스위스를 여행했다.[42] 1803년에는 링컨셔주 웨일즈비의 교구가 되었다.[25]
1818년 왕립 학회 회원이 되었으며, 1821년 정치경제클럽의 창립 멤버로 활동하며 존 카제노브 등과 교류했다.[55] 1824년 왕립 문학원의 10명의 왕립 연구원 중 한 명으로 선출되었고, 1834년 통계학회의 최초 회원 중 한 명이 되었다.[56]
1827년에는 ''정치경제학 정의''[57]를 출판하여 정치경제학 용어의 정의와 적용 규칙을 제시하고, 장바티스트 세, 데이비드 리카도 등 동시대 경제학자들의 용어 사용을 비판했다.[58] 존 램지 맥컬로흐는 이에 대해 맬서스를 비판하는 서평을 발표했고,[59] 이로 인해 맬서스의 명성은 쇠퇴하기도 했다.[62]
2. 1. 출생과 가족 배경
맬서스는 1766년 영국 서리주 길드포드 인근 웨스트콧에서 부유한 가정의 8남매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115] 그의 아버지 대니얼 맬서스는 데이비드 흄, 장 자크 루소와 개인적인 친분이 있는 계몽주의 사상가였다.[115] 맬서스는 입술입천장갈림증(언청이)을 가지고 태어났으나,[115] 일상 대화에 큰 문제는 없었으며 오히려 대학 시절 웅변대회에서 능변을 떨칠 정도였다.[116][117]2. 2. 학창 시절과 성직 서품
1784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지저스 칼리지에 입학하여[94] 수학, 라틴어, 그리스어, 영어 독법 등 다양한 분야를 공부했다. 집안 내력에 의한 선천성 구개파열(언청이)이 있었지만,[115] 대학 시절부터 각종 웅변대회를 휩쓴 능변가였으며 키가 크고 미남형이었다.[116][117] 1788년 졸업 후, 1791년 박사 학위를 받았고,[95] 1793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전임 교수가 되었다. 1797년 성공회 성직자로 서품되었으며,[97] 앨버리에서 부제로 활동했다.2. 3. 결혼과 교수 생활
1804년, 맬서스는 그의 친척인 헤리어트 에커설과 결혼하여 세 명의 자녀를 두었다.[115] 1805년에는 동인도 회사의 인재 양성 학교인 이스트 인디아 컴퍼니 칼리지로 자리를 옮겨 역사, 정치, 상업, 금융 등을 강의했다. 이곳에서 그는 '정치경제학'(Political Economy) 담당 교수가 됨으로써 최초의 전업 경제학자라는 기록을 가지게 되었다.[115] 국부론의 저자 애덤 스미스는 도덕철학 담당 교수였다.1818년에는 영국 왕립 학회 회원이 되었다.[118]
2. 4. 사망
1834년 맬서스는 장인의 집에서 심장병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하였으며, 바스 대성당에 묻혔다.[118][56]3. 인구 이론 (맬서스 트랩)
맬서스는 1798년 《인구론》을 익명으로 출간하여 1826년까지 6번의 개정판을 내면서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켰다. 그는 인구 증가가 식량 생산 증가보다 빨라 빈곤이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맬서스는 인구 증가를 억제하는 요인으로 '예방적 억제'와 '억압적 억제' 두 가지를 제시했다. 예방적 억제는 출생률을 낮추는 것(피임, 결혼 연기, 독신 등)이고, 억압적 억제는 사망률을 높이는 것(기아, 질병, 전쟁 등)이다.[68] 그는 예방적 억제를 통해 인구를 조절하는 것이 빈곤을 줄이는 길이라고 보았다.
맬서스는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지만 식량 생산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므로 빈곤은 자연 법칙의 결과라고 주장했다. 그는 인구가 생존 가능 규모를 초과하면 빈곤, 악, 곤경 등이 발생한다고 보았다. 그는 전쟁, 빈곤, 기근이 인구 억제에 도움이 된다고 보았으며,[102] 빈민을 구제하는 것은 인구 증가를 부추길 뿐이라고 주장했다.[98] 이러한 주장은 인도주의에 어긋난다는 비판을 받았다.[103]
맬서스의 이론은 찰스 다윈의 진화론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104] 다윈은 맬서스의 이론을 통해 생존 경쟁과 자연 선택의 개념을 발전시켰다.[100]
그러나 맬서스의 이론은 기술 발전과 사회 변화를 고려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29] 유전자 변형 생물(GMO)과 같은 기술 발전으로 식량 생산량이 증가했고,[30] 하버-보슈법을 이용한 질소, 인산 비료의 발명으로 식량 생산량이 크게 늘었다.[106] 또한 산업 혁명으로 식량 생산이 인구 증가를 앞지르기도 했다.[34]
3. 1. 《인구론》의 주요 내용
맬서스는 1798년 《인구론》[119]의 초판을 익명으로 출간하였으며, 1826년까지 6번의 개정판을 출간하였다.[120] 각 개정판에는 새로운 자료, 당시 세계 각국의 인구 통계, 비판에 대한 대응, 자신의 입장 변화 등을 담아 내용을 보강하였다.
맬서스는 역사 속의 모든 인구 증가가 결국 빈곤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인구 증가가 식량과 같은 자원의 증가보다 급격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주장하였다. 1798년 판 《인구론》에 나타난 맬서스의 인구 성장에 대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 생존은 인구 규모에 의해 강한 제약을 받는다.
# 생존 수단이 증가할 때 인구도 증가한다.
# 인구 증가의 압력은 생산력의 증가를 필요로 한다.
# 생산력의 증대는 더 큰 인구 성장을 기대하게 한다.
# 생산력의 증대가 이러한 인구 성장의 필요 정도를 지속적으로 보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인구 성장의 수용력은 한계에 봉착한다.
# 성행위, 노동, 아이 등을 위한 개인의 비용/수익이 인구의 증가 또는 감소를 결정한다.
# 인구가 생존 가능한 규모를 초과하면 자연은 사회 문화적인 잉여 인구에 대해 특정한 효과를 부과하게 된다. 맬서스는 이러한 특정한 효과의 예시로 빈곤, 악, 곤경 등을 들었다.
맬서스는 인구의 자연 증가는 기하급수적인데, 식량의 생산은 산술급수적이므로, 인간의 빈곤은 자연 법칙의 결과라고 하였다. 그는 《인구론》(1798년)에서 인구 증가는 일반적으로 풍요로운 시대와 지역에서 증가하며, 1차 자원에 대한 인구의 규모가 고통을 야기할 때까지 증가한다고 주장했다.
맬서스는 인구를 자원 한계 내로 유지하는 두 가지 유형의 억제를 제시했다. 즉, 사망률을 높이는 '긍정적 억제'(기아, 질병, 전쟁 등)와 출생률을 낮추는 '예방적 억제'(피임, 결혼 연기, 독신 등)이다.[68]
맬서스는 자원이 풍부한 시기에는 인구가 25년 만에 두 배로 증가할 수 있지만,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풍요의 여유는 유지될 수 없어 인구 증가에 제동이 걸린다고 보았다.
그의 에세이 후기 판에서 맬서스는 사회가 인구 증가를 제한하기 위해 인간의 비참함(기아, 질병, 전쟁 등)에 의존한다면, 그러한 비참함이 불가피하게 사회를 괴롭힐 것이고, 변동적인 경제 사이클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명확히 했다. 반면에 결혼 연기와 같은 "예방적 억제"는 모든 사람의 더 높은 생활 수준을 보장하는 동시에 경제적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71]
인구와 경제의 관계에 대해 맬서스는 노동 인구가 식량 생산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면, 인구 증가가 생활비(식량 가격)를 상승시켜 실질 임금이 하락한다고 썼다. 가족을 부양하는 어려움은 결국 인구 증가율을 감소시키고, 인구 감소는 다시 실질 임금 상승으로 이어진다.
두 번째 판과 그 이후 판에서 맬서스는 하위 계층의 빈곤을 완화하는 최선의 수단으로 '도덕적 자제'를 강조했다.[73]
맬서스의 사상은 경제학적으로 인간 이성의 계몽을 통해 이상 사회의 실현을 주장하는 윌리엄 고드윈이나 니콜라 드 콩도르세에 대한 비판으로 여겨진다.
《인구론》에 따르면 인구 억제를 하지 않을 경우, 식량 부족으로 굶어 죽는 것은 인간 스스로의 책임이며, 이러한 사람들에게 생존권이 주어지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101] 맬서스는 전쟁, 빈곤, 기근이 인구 억제를 위해 좋은 것이며[102], 이러한 사람들을 사회가 구제할 수 없고, 구제해서도 안 된다고 생각했다.[103] 이러한 맬서스의 생존권 부정은 언론인 윌리엄 코베트 등으로부터 인도에 반한다는 비판을 받았다.[103]
맬서스는 인구를 통계학적으로 고찰하여 "예방적 억제"와 "억압적 억제"라는 두 가지 제어 장치를 제시했는데, 이 사상은 훗날 찰스 다윈의 진화론, 특히 자연 선택에 관한 고찰에 큰 영향을 미쳤다.[104][100]
3. 2. 인구 억제 요인
맬서스는 인구를 억제하는 요인으로 "예방적 억제"와 "억압적 억제" 두 가지를 제시했다. 그는 예방적 억제를 통해 인구를 조절하는 것이 빈곤과 고통을 줄이는 길이라고 보았다. 맬서스는 인구의 자연 증가는 기하급수적인데, 식량의 생산은 산술급수적이므로, 인간의 빈곤은 자연 법칙의 결과라고 보았다.[119][120]맬서스는 인구 증가가 생존 가능한 규모를 초과하면 자연이 사회 문화적인 잉여 인구에 대해 특정한 효과를 부과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효과의 예시로 빈곤, 악, 곤경 등을 들었다. 그는 전쟁, 빈곤, 기근은 인구 억제를 위해 좋은 것이라고 보았으며,[102] 이러한 사람들을 사회는 구제할 수 없고, 구제해서도 안 된다고 생각했다.[103] 이러한 맬서스의 생존권 부정은 윌리엄 코베트 등으로부터 인도에 반한다는 비판을 받았다.[103]
맬서스의 "예방적 억제"와 "억압적 억제" 사상은 훗날 찰스 다윈의 진화론, 특히 자연 선택에 관한 고찰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104][100]
3. 3. 맬서스 트랩의 극복?
맬서스의 이론은 당시 기술 발전의 한계를 고려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29] 유전자 변형 생물(GMO)과 같은 기술 발전의 결과로 식량 생산이 증가했기 때문이다.[30] 하버-보슈법에 의한 질소 화학 비료의 탄생이나 과인산 석회에 의한 인산 비료의 탄생으로 맬서스의 함정은 극복되었다.[106] 산업 혁명으로 인해 식량 생산이 인구 증가를 앞지를 수도 있게 되었다.[34]4. 경제 이론
1820년대에 맬서스는 데이비드 리카도를 비롯한 정치경제학 주창자들과 지적인 논쟁을 벌였는데, 이를 맬서스-리카도 논쟁이라고 부른다. 두 사람 모두 ''정치경제학 원리''라는 제목의 책을 저술했다. 이 논쟁에서는 정치경제학의 본질과 방법이 검토되었으며, 존 스튜어트 밀 등 다른 학자들의 공격도 있었다.[45] 맬서스는 ''지대의 본질''(1815)에서 경제적 지대를 경제적 잉여로 보았으나,[47] 리카도는 ''정치경제학 및 조세의 원리''(1817)에서 지대를 실제 생산을 초과하는 가치로 정의했다.[46]
이 논쟁은 일반 과잉 생산과 세이의 법칙의 실패 가능성에 대한 논의로 발전했다. 맬서스는 경제 발전과 불균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48] 그는 윌리엄 블레이크의 지지를 받아 자본 축적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49] 레슬리 스티븐은 맬서스와 리카도의 차이를 같은 원리를 받아들인 사람들 사이의 의견 차이로 보았다.[51] 장바티스트 세는 맬서스가 "상품"에만 경제적 정의를 제한한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52]
맬서스는 경제적 보호주의를 옹호하며 곡물법을 지지한 유일한 경제학자였다.[53] 그는 곡물법이 국내 생산을 장려하여 영국의 자급자족을 보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54]
4. 1. 과잉 생산 이론
맬서스는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을 '과잉'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다. 그는 데이비드 리카도와의 논쟁에서 일반 과잉 생산의 가능성을 주장했으며[79], 이는 존 메이너드 케인즈의 유효수요 이론에 영향을 주었다.1820년대에 맬서스와 자유 무역 이론가 데이비드 리카도를 중심으로 정치경제학 논쟁이 벌어졌다. 이들은 ''정치경제학 원리''라는 같은 제목의 책을 저술했다. 맬서스는 경제적 지대를 일종의 경제적 잉여로 보았지만[47], 리카도는 지대를 실제 생산을 초과하는 가치로 간주했다.[46]
이 논쟁은 일반 과잉 생산과 세이의 법칙의 실패 가능성에 대한 논의로 이어졌다. 맬서스는 경제 발전과 불균형의 지속성에 주목했다.[48] 그는 자본 축적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으며,[49] 1820년에 출판한 《정치경제학 원리》에서 시스몽디의 "일반적인 과잉 생산" 견해를 옹호했다.[78][79]
4. 2. 곡물법 논쟁
맬서스는 나폴레옹 전쟁 이후 영국의 곡물법 (수입 곡물에 대한 관세)을 옹호한 유일한 주목할 만한 경제학자였다.[53] 그는 국내 생산을 장려함으로써 곡물법이 영국 자급자족을 보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54]하지만 맬서스의 이러한 주장은 자유 무역을 옹호하던 데이비드 리카도를 비롯한 다른 경제학자들의 비판을 받았다. 맬서스와 리카도의 논쟁은 일반 과잉 생산의 경제적 개념과 세이의 법칙의 실패 가능성에 대한 논의로 이어졌다. 맬서스는 경제 발전과 불균형의 지속성에 중요성을 두었다.[48]
영국 의회는 1815년 곡물법을 제정하여 국내 곡물 가격이 쿼터당 80실링이 될 때까지 외국 곡물의 영국 수입을 금지했다. 이 높은 가격은 식량 가격을 상승시켜 도시 노동자들에게 고통을 주었고, 1819년 런던에서 심각한 폭동과 피털루 학살을 야기했다.[76][77]
이러한 상황에서 맬서스는 1820년 《정치경제학 원리》를 출판하여 시스몽디의 "일반적인 과잉 생산"에 대한 견해를 옹호했다.[79]
5. 영향과 비판
맬서스의 사상은 경제학적으로 인간 이성의 계몽을 통해 이상 사회의 실현을 주장하는 윌리엄 고드윈이나 니콜라 드 콩도르세에 대한 비판으로 여겨진다.
맬서스는 인구를 통계학적으로 고찰한 결과, "예방적 억제"와 "억압적 억제"라는 두 가지 제어 장치에 대한 생각에 도달했다. 이는 훗날 찰스 다윈의 진화론에 큰 영향을 주었다.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맬서스에 대해 "만약 리카도가 아니라 맬서스가 19세기의 경제학의 근간을 이루었다면, 오늘날의 세계는 훨씬 더 현명하고 부유한 곳이 되었을 것이다. 로버트 맬서스는 케임브리지 학파의 시조이다"라고 평가했다.[105]
맬서스의 함정은 하버-보슈법에 의한 질소 화학 비료의 탄생이나 과인산 석회에 의한 인산 비료의 탄생으로 극복되었다.[106]
5. 1. 긍정적 영향
맬서스의 인구 이론은 찰스 다윈, 알프레드 월리스 등의 진화론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122] 특히 자연 선택에 관한 고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100] 다윈은 인류는 지혜가 있어 피비린내 나는 생존 경쟁을 회피하려고 하지만, 동식물 세계에는 이것이 없기 때문에 맬서스의 인구론과 같은 자연 선택이 동식물 세계에서 일어난다고 결론지었다.그의 이론은 사회 정책에도 영향을 미쳤다. 윌리엄 피트 총리의 빈민 지원 중단, 1834년 영국의 신구빈법 제정, 1801년 영국 최초의 근대적 인구 조사 실시 등이 그 예이다.
5. 2. 비판
맬서스의 이론은 발표 당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았다. 19세기 비평가 토머스 칼라일은 맬서스의 책을 읽은 후 "경제학은 우울한 학문(dismal science)"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125] 1820년 윌리엄 고드윈은 맬서스의 인구 이론을 비판하기 위해 《인구에 대하여》를 저술하였다. 존 스튜어트 밀, 나소 윌리엄 시니어와 같은 경제학자들, 로버트 오웬과 같은 산업가, 윌리엄 헤즐리트와 같은 논객, 윌리엄 코베트와 같은 윤리학자 등도 맬서스의 이론에 비판적이었다.[124]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맬서스가 주장하는 생산 수단 상의 인구 압박 문제는 실제로는 인구에 대한 생산 수단의 압박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즉, 자본주의는 값싼 노동력을 지속적으로 얻기 위해 실업 상태에 있는 예비 노동자군을 필요로 하며, 맬서스가 말하는 과잉 인구는 자본주의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상대적 과잉일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헨리 조지에 대한 언급은 원문에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지만, 요약에 따르면 그는 기술 발전과 분업, 자본 투자를 통해 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구 증가는 오히려 생산력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로널드 피셔는 그의 책 《자연 선택의 유전학》에서 맬서스의 이론이 실제 자연 선택과 어긋남을 지적하였다.
맬서스는 인구를 억제하지 않으면 식량 부족으로 굶어 죽는 사람이 생기는 것은 인간 스스로의 책임이며, 이들에게 생존권이 주어지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고 주장했다.[101] 또한 전쟁, 빈곤, 기근은 인구 억제에 좋은 것이라고 보았다.[102] 이러한 맬서스의 생존권 부정은 윌리엄 코베트 등으로부터 인도에 반한다는 비판을 받았다.[103]
맬서스는 구빈법에 대해 빈자에게 인구 증가의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빈자를 빈곤에 머무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여 점진적으로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98]
6.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맬서스의 이론은 한국 사회의 인구 문제와 경제 발전에 대한 논의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과거 한국은 높은 출산율과 제한된 자원으로 인해 맬서스 트랩의 전형적인 사례로 여겨졌다. 그러나 경제 성장과 가족 계획 사업을 통해 인구 증가율을 억제하고 빈곤 문제를 해결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최근 한국 사회는 저출산, 고령화라는 새로운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는 맬서스 이론과는 정반대의 현상이지만, 인구 구조 변화가 사회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는 여전히 맬서스의 통찰이 유효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에서 맬서스의 이론은 인구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맬서스의 이론을 바탕으로, 사회적 불평등 해소와 복지 확대가 저출산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7. 기타 저작
- 1798년 - 소책자 『인구론』을 익명으로 간행하였다.
- 1810년 - 『불환 지폐에 관한 논고』
- 1814년 - 『밀법의 효과에 대한 고찰』
- 1815년 - 『지대의 성질과 증가에 대한 조사』
- 1820년 - 『경제학 원리』: 데이비드 리카도의 경제설에 대한 반론.
; 한국어 번역서
- 『맬서스 북유럽 여행 일기』 (小林時三郎, 니시자와 타모츠 역, 미래사, 2002년)
- 『맬서스 학회 연보』 (맬서스 학회 편, 1991년-2006년도판, 2008년 10월 간행, 유쇼도 출판) 15권
참조
[1]
기타
"Meyers Konversationslexikon"
http://www.retrobibl[...]
Meyers Konversationslexikon
1834-12-15
[2]
서적
Malthus: Founder of Modern Demograph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3]
기타
introduction to Malthus T.R. 1798.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Oxford World's Classics
[4]
서적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Oxford World's Classics
2010-01-18
[5]
서적
Evolution: The History of an Ide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6]
문서
Malthus
[7]
문서
Malthus
[8]
문서
Malthus
[9]
서적
Charles Darwin: Voyaging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1995
[10]
서적
Alfred Russel Wallace: a Life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11]
간행물
Malthus’s Theory of Population
Palgrave Macmillan, London
1987
[12]
논문
"Robbins and Malthus on scarcity, abundance, and sufficiency: The missing sociocultural element."
2010
[13]
논문
"Robbins and Malthus on scarcity, abundance, and sufficiency: The missing sociocultural element."
2010
[14]
서적
The Tate Gallery: An Illustrated Companion to the National Collections of British & Modern Foreign Art
Tate Gallery
1979
[15]
서적
Autobiography
Smith, Elder
1877
[16]
서적
Essays in Biography
Harcourt, Brace & Co.
1933
[17]
기타
Malthus, (Thomas) Robert
[18]
웹사이트
Thomas Robert Malthus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19]
서적
Malthus
Heinemann
1979
[20]
서적
Essays in Biography
Harcourt, Brace & Co.
1933
[21]
웹사이트
Northall (Northolt) | British History Online
https://www.british-[...]
[22]
서적
The Popularization of Malthus in Early Nineteenth-Century England- Martineau, Cobbett, and the Pauper Press
Ashgate
2006
[23]
서적
Progress, Poverty and Population: Re-Reading Condorcet, Godwin and Malthu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97
[24]
서적
Malthus
Heinemann
1979
[25]
기타
[26]
서적
T.R. Malthus: The Unpublished Papers in the Collection of Kanto Gakuen Univers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27]
서적
Population Problems of the Age of Malthu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8]
서적
Malthus Across Nations
Edward Elgar Publishing.
2020
[29]
MSc
Settler Colonialism, Primitive Accumulation, and Biopolitics in Xinjiang, China
London School of Economics
2021-11-18
[30]
학술지
The past and the future of innovation: Some lessons from economic history
2018
[31]
서적
The Malthusian Controversy
Routledge
2013
[32]
서적
The Malthusian moment
Rutgers University Press.
2012
[33]
서적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34]
서적
Limits: Why Malthus was wrong and why environmentalists should car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9
[35]
서적
Utilitarianism and Malthus's Virtue Ethics: Respectable, virtuous and happy
Routledge
2014
[36]
서적
From Malthus' stagnation to sustained growth: social, demographic and economic factors
Palgrave Macmillan
2012
[37]
뉴스
Malthus, the false prophet
https://www.economis[...]
2023-01-30
[38]
뉴스
'The End of Plenty,' by Joel K. Bourne Jr
https://www.nytimes.[...]
2023-01-30
[39]
뉴스
Why Malthus Is Still Wrong
https://www.scientif[...]
2023-01-30
[40]
간행물
[41]
간행물
Otter, William
[42]
서적
Progress, Poverty and Population: Re-Reading Condorcet, Godwin and Malthu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7
[43]
문서
The Essay of the Population Principle
Oxford World's Classics reprint
1798
[44]
서적
T.R. Malthus: The Unpublished Papers in the Collection of Kanto Gakuen Univers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45]
서적
A History of the Modern Fact: Problems of Knowledge in the Sciences of Wealth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
[46]
문서
On The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and Taxation
John Murray
1817
[47]
웹사이트
Thomas Robert Malthus
http://www.d.umn.edu[...]
2019-11-19
[48]
문서
[49]
서적
Riches and Poverty: An Intellectual History of Political Economy in Britain, 1750–1834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6-14
[50]
서적
That Noble Science of Politics: A Study in Nineteenth Century Intellectual History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83
[51]
서적
The English Utilitarians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06
[52]
서적
Jean-Baptiste Say and the Classical Canon in Economics: The British Connection in French Classicism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5
[53]
문서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Oxford World's Classics reprint
1798
[54]
문서
A History of the Theories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English Political Economy from 1776 to 1848
Kelly
1893
[55]
서적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56]
간행물
[57]
서적
Definitions in Political Economy Preceded by an Inquiry into the Rules which Ought to Guide Political Economists in the Definition and Use of Their Terms, with Remarks on the Deviation from These Rules in Their Writings
https://archive.org/[...]
John Murray
1827
[58]
서적
Definitions in Political Economy
http://www.politics-[...]
Berkeley Bridge Press
2016
[59]
간행물
A Review of Definitions in Political Economy by the Rev. T. R. Malthus
1827-03-10
[60]
서적
The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William & Charles Tait
1825
[61]
서적
Definitions in Political Economy
Augustus M. Kelley
1986
[62]
서적
The Popularization of Malthus in Early Nineteenth-Century England: Martineau, Cobbett And the Pauper Pres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06
[63]
서적
Riches and Poverty: An Intellectual History of Political Economy in Britain, 1750–1834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01-26
[64]
문서
[65]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British Economists
Bloomsbury Academic
2007
[66]
서적
Reproductive Physiology and Birth Control
Routledge
2002
[67]
서적
T. R. Malthus: The Unpublished Papers in the Collection of Kanto Gakuen Univers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68]
문서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Oxford World's Classics reprint
1798
[69]
웹사이트
Turchin and Korotayev 2006
http://cliodynamics.[...]
2003
[70]
문서
[71]
문서
Essay (1826), I:2. See also A:1:17
[72]
서적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Two Volumes in One)
https://books.google[...]
Cosimo, Inc.
2011-12-01
[73]
문서
Geoffrey Gilbert, introduction to Malthus T.R. 1798.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Oxford World's Classics reprint, p. xviii
[74]
문서
dates from Malthus T.R. 1798.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Oxford World's Classics reprint: xxix Chronology.
[75]
문서
1800: ''The present high price of provisions'', paragraph 26
[76]
서적
From Adam Smith to Philip Snowden: a History of Free Trade in Great Britain
T. Fisher Unwin
1925
[77]
서적
Industry and Empire: The Birth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New Press
1999
[78]
서적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Considered with a View of their Practical Application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79]
서적
Jean-Baptiste Say: Critical Assessments of Leading Economists
2000
[80]
서적
The History of Economic Thought: A Read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
[81]
서적
The Works and Correspondence of David Ricardo: Vol. 7. Piero Sraffa, (ed.). p. 175
1952
[82]
간행물
Malthusian Models and Irish History
https://www.jstor.or[...]
1980
[83]
서적
Observations on the Population and Resources of Ireland
https://books.google[...]
Joshua Porter
1821
[84]
문서
Stokes (1821), pp. 4-5, 89-91
[85]
서적
A Christmas carol in prose
https://archive.org/[...]
Bradword, Evans
[86]
서적
A companion to Charles Dicke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87]
서적
Brave New World
https://opentextbc.c[...]
Harper & Brothers
1932
[88]
뉴스
Avengers: Infinity War-Thanos, the Malthusian Purple Dude is the Best Villain of MCU
https://www.news18.c[...]
2018-04-27
[89]
뉴스
'Avengers: Infinity War' Is an Extraordinary Juggling Act
https://www.theatlan[...]
2018-04-27
[90]
웹사이트
マルサスとは
https://kotobank.jp/[...]
""
2020-12-27
[91]
웹사이트
Finding the Reverend Malthus at Bath Abbey
https://www.wessexar[...]
Wessex Archaeology Ltd
2020-12-27
[92]
문서
中矢俊博 『やさしい経済学史』 日本経済評論社、2012年、24頁。
[93]
문서
[[ジョン・メイナード・ケインズ]] 『J.M.ケインズ 人物評伝』 75頁より
[94]
문서
小泉祐一郎 『図解経済学者バトルロワイヤル』 ナツメ社、2011年、221頁。
[95]
문서
Venn, J.; Venn, J. A., eds. (1922–1958). "Malthus, Thomas Robert". Alumni Cantabrigienses (10 vols) (online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96]
문서
フランソワ・トレモリエール、カトリーヌ・リシ編著、樺山紘一日本語版監修『ラルース 図説 世界史人物百科』Ⅲ フランス革命ー世界大戦前夜 原書房 2005年 27ページ
[97]
문서
日本経済新聞社編 『世界を変えた経済学の名著』 日本経済新聞社〈日経ビジネス人文庫〉、2013年、150頁。
[98]
웹사이트
経済学史の窓から 第7回 マルサスは陰鬱な科学者か?
http://www.yuhikaku.[...]
[99]
문서
Malthus T. R. 1798.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Oxford World's Classics reprint: xxix Chronology.
[100]
문서
フランソワ・トレモリエール、カトリーヌ・リシ編著、樺山紘一日本語版監修『ラルース 図説 世界史人物百科』Ⅲ フランス革命―世界大戦前夜 原書房 2005年 28ページ
[101]
문서
橘木俊詔 『朝日おとなの学びなおし 経済学 課題解明の経済学史』 朝日新聞出版、2012年、92頁。
[102]
문서
佐藤雅彦・竹中平蔵 『経済ってそういうことだったのか会議』 日本経済新聞社〈日経ビジネス人文庫〉、2002年、388頁。
[103]
문서
橘木俊詔 『朝日おとなの学びなおし 経済学 課題解明の経済学史』 朝日新聞出版、2012年、93頁。
[104]
문서
中矢俊博 『やさしい経済学史』 日本経済評論社、2012年、26頁。
[105]
문서
中矢俊博 『やさしい経済学史』 日本経済評論社、2012年、25頁。
[106]
간행물
独立行政法人農業環境技術研究所「情報:農業と環境 No.104 (2008年12月1日) 化学肥料の功績と土壌肥料学」
http://www.niaes.aff[...]
[107]
서적
제국의 품격
21세기북스
2018
[108]
서적
경제학 무작정 따라하기
길벗
2013-08-26
[109]
백과사전
인구론
[110]
백과사전
인구론
1998-03-15
[111]
서적
이즘과 올로지
랜덤하우스코리아
2009-12-04
[112]
서적
영국사
까치글방
2000-07-05
[113]
서적
종의 기원, 자연선택의 신비를 밝히다
사계절출판사
2010-09-10
[114]
서적
영국사
까치글방
2000-07-05
[115]
백과사전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
https://terms.naver.[...]
[116]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British Economists
Bloomsbury Academic
2007
[117]
서적
Autobiography
Smith, Elder, London
1877
[118]
기타
Malthus, Thomas Robert
[119]
문서
인구의 원리가 미래의 사회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소론 - 고드윈, 콩도르세, 그리고 그 외 작가들에 대한 고찰을 포함하여
[120]
서적
이즘과 올로지
랜덤하우스코리아
2009-12-04
[121]
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122]
서적
이즘과 올로지
랜덤하우스코리아
2009-12-04
[123]
백과사전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
https://terms.naver.[...]
[124]
백과사전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
[125]
서적
경제학 무작정 따라하기
길벗
2013-08-26
[126]
서적
영국사
까치글방
2000-07-05
[127]
서적
종의 기원, 자연선택의 신비를 밝히다
사계절출판사
2010-09-10
[128]
인용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