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링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머스 링컨은 에이브러햄 링컨의 아버지로, 1778년 버지니아에서 태어나 1851년 일리노이에서 사망했다. 링컨은 17세기 영국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청교도 가문의 후손으로, 켄터키, 인디애나, 일리노이 등지에서 농부, 목수 등으로 활동했다. 그는 1806년 낸시 헹크스와 결혼하여 에이브러햄 링컨을 낳았지만, 켄터키의 토지 소유 문제와 노예제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링컨은 종교적 신념과 아들의 교육, 가치관의 차이로 에이브러햄 링컨과 복잡한 관계를 유지했다. 그의 삶은 19세기 미국 개척 시대의 어려움과 가족의 가치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농부 - 지미 카터
지미 카터는 해군 장교와 땅콩 농장 운영을 거쳐 조지아 주지사를 역임하고 도덕적, 진보적 이미지로 미국의 제39대 대통령을 지냈으며, 퇴임 후 카터 센터 설립과 인도주의 활동으로 2002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미국 역대 대통령 중 최장수 기록을 세웠다. - 미국의 농부 - 다이앤 애커먼
다이앤 애커먼은 미국의 작가, 시인, 자연주의 작가로, 다양한 주제를 다룬 작품을 저술하고 존 버로즈 자연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작가로 선정되었다. - 링컨가 - 에이브러햄 링컨
에이브러햄 링컨은 미국의 제16대 대통령으로서 남북 전쟁 승리와 노예 해방 선언을 통해 노예 제도를 폐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독학으로 변호사가 되어 정치 활동을 하다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재임 중 암살당했다. - 링컨가 - 메리 토드 링컨
메리 토드 링컨은 1818년 렉싱턴에서 태어나 에이브러햄 링컨의 부인이자 미국의 영부인이 되었으나, 결혼 후 화려한 생활, 질투심, 히스테리, 남북전쟁, 자녀의 요절, 남편의 암살 등으로 고통받으며 정신병원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사회적 배경, 정신 건강 문제, 영부인 역할 간의 갈등, 그리고 시대에 따른 재해석으로 복잡하게 얽혀있다. - 1778년 출생 - 호세 데 산마르틴
호세 데 산마르틴은 남아메리카 독립을 이끈 아르헨티나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스페인 군 복무 후 독립 운동에 참여하여 칠레와 페루의 독립을 쟁취했으며, 과야킬 회담 이후 은퇴하여 프랑스에서 사망했지만 남미에서 그의 공헌을 기리고 있다. - 1778년 출생 - 베르나르도 오이긴스
베르나르도 오이긴스는 칠레 독립 전쟁의 영웅이자 초대 최고 지도자로, 라틴 아메리카 독립 운동에 참여하여 칠레 독립을 이끌었으며, 자유주의 개혁을 추진했으나 실각 후 페루로 망명하여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
토머스 링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토머스 링컨 |
![]() | |
출생일 | 1778년 1월 6일 |
출생지 | 버지니아주 로킹엄 카운티 |
사망일 | 1851년 1월 17일 |
사망지 | 일리노이주 콜스 카운티 |
직업 | 농부, 목수 |
가족 관계 | |
배우자 | 낸시 행크스 (1806년 결혼, 1818년 사망) 새라 부시 존스턴 (1819년 결혼) |
자녀 | 3명 ( 새라, 에이브러햄 포함) |
친척 | 로버트 토드 링컨 (손자) |
아버지 | 에이브러햄 링컨 대위 |
어머니 | 바스셰바 헤링 |
가문 | 링컨 가문 |
2. 가계 및 초기 생애
토머스 링컨은 존경받는 청교도 직조공이자 사업가였던 새뮤얼 링컨의 후손이다. 새뮤얼 링컨은 잉글랜드 이스트 앵글리아의 노퍽주 출신으로, 1637년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의 힝햄에 정착했다.[3] 링컨 가문 중 일부는 이후 펜실베이니아주 벅스 카운티로 이주하여 퀘이커교도와 교류하기도 했으나, 가문의 독자적인 정체성을 유지했다. 퀘이커교도와 청교도 모두 노예제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4]
주목할 만한 조상으로는 새뮤얼의 손자인 모르데카이 링컨(1686–1736)이 있다. 그는 저명한 정치 가문 출신인 한나 샐터와 결혼하여 부유한 지주이자 철강업자로 펜실베이니아 사회에서 명성을 얻었다. 모르데카이와 한나의 아들인 존 링컨(1716–1788)은 버지니아주 로킹엄 카운티에 정착하여 셰난도어 계곡에 크고 번창하는 농장을 일구었다.
존 링컨은 자신의 장남인 에이브러햄 링컨 대위 (1744–1786)에게 버지니아의 최고급 토지 210acre를 물려주었다. 에이브러햄 링컨 대위는 미국 독립 전쟁 참전 용사였다. 1770년, 그는 버지니아주 로킹엄 카운티 출신의 배스세바 헤링(c. 1742–1836)과 결혼했다. 배스세바는 알렉산더 헤링과 애비게일 해리슨 부부의 딸로, 버지니아의 해리슨 가문과 연결되며 외증조부는 토머스 해리슨이다.
토머스 링컨은 1778년 버지니아 린빌 크릭에서 에이브러햄 링컨과 배스세바 링컨 사이에서 태어났다.
링컨 가족은 1780년대에 버지니아의 땅을 팔고, 당시 서부 변경이었던 켄터키주의 스프링필드 근처로 이주했다. 이는 링컨 가문의 친척인 대니얼 분의 조언에 따른 것으로, 에이브러햄 대위는 켄터키에서 5544acre에 달하는 최고급 토지를 확보했다.
1786년 5월, 여덟 살이었던 토머스 링컨은 아버지가 숲에서 농장을 개척하던 중 미국 원주민에게 살해당하는 비극적인 장면을 목격했다. 당시 상황은 다음과 같이 전해진다: 아버지 에이브러햄과 세 아들 모데카이, 조시아, 토머스가 옥수수밭을 일구던 중 공격을 받았다. 아버지는 즉사했고, 15세의 장남 모데카이는 동생 조시아를 근처 정착지로 보내 도움을 요청하는 한편, 자신은 오두막으로 달려갔다. 오두막 통나무 틈으로 밖을 내다본 모데카이는 아버지 시신 옆에 있던 어린 동생 토머스에게 몰래 다가가는 원주민을 발견했다. 모데카이는 소총으로 그 원주민의 가슴에 달린 은 펜던트를 정확히 명중시켜 동생이 해를 입기 전에 사살했다. 이 사건으로 토머스는 형 모데카이 덕분에 목숨을 건졌다.
2. 1. 켄터키에서의 생활
1786년 5월, 아버지가 원주민에게 살해당하는 것을 목격한 후, 형 모르데카이가 아버지의 재산 대부분을 상속받게 되자 토머스는 스스로 생계를 꾸려나가야 했다.[10] 그는 1786년 9월부터 1788년까지 어머니와 함께 넬슨 군(현 켄터키주 워싱턴 군 스프링필드 근교)의 비치 포크(Beech Fork) 지역으로 이사했다.1795년부터 1802년까지 토머스는 켄터키주에서 다양한 직업을 전전했다. 그는 대장장이로 일하며 성실함, 사회에 대한 기여, 말솜씨, 쾌활함으로 존경을 받았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그를 "방랑" 노동자, 게으르고 배움이 부족한 사람으로 평가하기도 했다.[7][11] 그는 오두막 건설이나 실내 공사 등에도 참여했으며, 농장을 구입했을 때는 1814년 기준으로 카운티의 98개 토지 소유자 중 15번째에 해당할 정도로 상당한 자산을 보유하기도 했다.[7][11] 또한 지역 사회와 컴벌랜드 및 하딘 카운티의 교회에서 활발히 활동했으며, 19세에는 주 민병대에 참여했고 24세에는 컴벌랜드 카운티 순찰대원이 되었다.
1802년에는 켄터키주 하딘 카운티로 이주했으며, 이듬해 엘리자베스타운 북쪽에 위치한 238acre 규모의 농장을 118파운드에 구입했다. 그는 하딘 카운티에서 배심원, 도로 청원인, 교도관 등을 역임하며 지역 사회에 기여했다.[11][12] 1804년에는 누이 낸시 블룸필드와 그녀의 남편 윌리엄 블룸필드, 그리고 어머니 바스시바가 워싱턴 카운티에서 밀크릭(Mill Creek)으로 이사 와 함께 살게 되었다.[7][14] 1805년에는 엘리자베스타운에 집을 지었는데, 벽난로나 계단 등 집의 많은 부분을 직접 만들었다. 이 집은 현재 엘리자베스타운의 프리먼 호수 공원에 링컨 헤리티지 하우스(Lincoln Heritage House)로 복원되어 있다.[14][15] 1806년에는 오하이오 강과 미시시피 강을 따라 뉴올리언스까지 평저선으로 상품을 운송하여 엘리자베스타운의 블릭리 앤 몽고메리 상점에 배달하는 일을 하기도 했다.[11][12]
1806년 6월 12일, 토머스는 워싱턴 카운티 비치랜드에서 낸시 행크스와 결혼했다.[11][12] 이웃들은 낸시를 끈기 있고 훌륭한 여성으로 기억했다.[16][17] 1807년에는 엘리자베스타운 북쪽으로 약 약 8.05km 떨어진 밀크릭에서 장녀 사라가 태어났다.

1809년 초, 토머스는 노린 강(Nolin River)을 따라 호젠빌 근교에 위치한 300acre 규모의 농장을 구입했다. 이 농장은 "깊은 동굴 바닥에서 솟아나는 웅장한 샘(magnificent spring that bubbled from the bottom of a deep cave)" 때문에 싱킹 스프링 농장(Sinking Spring Farm)으로 불렸으며, 훗날 에이브러햄 링컨이 태어난 곳으로 알려지게 된다. 당시 집은 흙 바닥으로 된 방 한 칸짜리 통나무집이었다. 토머스는 더 비옥한 땅을 찾아 1811년에 약 약 16.09km 북동쪽에 있는 놉크릭 농장(Knob Creek Farm)으로 이사했다. 그는 그곳에서 옥수수와 호박을 재배했으며, 매년 도로 측량에도 참여했다. 이때 그는 하딘 카운티의 98명의 부동산 소유자 중 15번째로 부유한 편이었다.[18][19]
하지만 당시 켄터키주의 혼란스러운 토지법과 부정확한 토지 측량 및 경계 설정 때문에 토머스는 경계 분쟁에 휘말려 세 번이나 농장을 잃는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토지 소유권 문제에 실망하고, 노예제가 금지된 새로운 기회를 찾아 1816년 12월 인디애나주로 이주하기로 결정했다. 인디애나주는 공유지 조례에 따라 토지 소유권이 명확했고, 서북부 조례에 의해 노예제가 금지되어 있었다. 아들 에이브러햄 링컨은 훗날 켄터키에서 인디애나로 이주한 주된 이유가 노예제보다는 켄터키의 불안정한 토지 소유권 문제 때문이었다고 회고했다.[10]
3. 결혼과 가족
아버지 에이브러햄 링컨이 사망한 후(1786년 추정), 어머니 밧세바는 가족을 이끌고 켄터키주 워싱턴군의 비치 포크 지역으로 이주했다. 당시 버지니아 법에 따라 장남 모데카이가 아버지의 재산을 상속받았고, 토머스는 어린 나이부터 스스로 생계를 책임져야 했다.[6] 역사학자 데이비드 허버트 도널드는 아버지의 죽음이 토머스가 부유한 농장 상속자가 될 기회를 앗아갔다고 평가했다.[6]
1795년부터 1802년까지 토머스는 여러 지역을 옮겨 다니며 다양한 직업에 종사했다.[10] 19세에는 주 민병대에 복무했고, 24세에는 컴벌랜드군 치안 판사가 되었다.[11] 1802년 하딘군으로 이주하여 이듬해 엘리자베스타운 북쪽 약 11.27km 지점에 위치한 밀 크릭의 238acre 농장을 118파운드에 구입했다.[11][12] 하딘군에서 그는 배심원, 도로 개설 청원자, 군 수감자 경비원 등으로 활동하며 지역 사회와 교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803년에는 누이 낸시 브럼필드와 매형 윌리엄 브럼필드, 그리고 어머니 밧세바가 워싱턴군에서 이주해 와 함께 살기 시작했다.[7][14]
토머스는 목수로서의 재능도 발휘하여, 1805년에는 엘리자베스타운에 있는 하딘 하우스(현재 프리먼 호수 공원 내 링컨 헤리티지 하우스로 복원됨)의 벽난로와 계단 등 주요 목공 작업을 맡았다.[14][15] 1806년에는 엘리자베스타운의 상점을 위해 평저선을 타고 오하이오강과 미시시피강을 따라 뉴올리언스까지 상품을 운송하는 일을 하기도 했다.[12][11]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토머스는 켄터키에서 점차 자리를 잡아가고 가족을 부양할 기반을 마련했다. 그의 결혼과 이후 가족 형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3. 1. 켄터키
1802년 토머스는 켄터키주 하딘 카운티로 이사했으며,[11][12] 이듬해 엘리자베스타운 북쪽에 위치한 238acre의 농장을 118파운드에 구입했다. 그는 하딘 카운티에서 배심원, 도로 청원인, 교도관 등을 역임했다.[11][12] 다음 해에는 누이 낸시 블룸필드 부부와 어머니 바스시바가 워싱턴 카운티에서 밀크릭으로 이사 와 함께 살았다.[7][14]1805년 토머스는 엘리자베스타운에 집을 지었는데, 벽난로와 계단 등 대부분을 직접 만들었다. 이 집은 현재 프리먼 호수 공원에 링컨 헤리티지 하우스로 복원되어 있다.[14][15] 1806년에는 오하이오 강과 미시시피 강을 따라 뉴올리언스까지 평저선으로 상품을 운송하여 엘리자베스타운의 블릭리 앤 몽고메리 상점에 배달하는 일을 하기도 했다.[11][12]
같은 해 6월 12일, 토머스는 워싱턴 카운티 비치랜드에서 낸시 링컨과 결혼했다.[11][12] 이웃들은 낸시를 끈기 있고 훌륭한 여성으로 기억했다.[16][17] 1807년에는 엘리자베스타운 북쪽 약 약 8.05km 떨어진 밀크릭에서 장녀 사라 링컨이 태어났다.
1809년 초, 토머스는 노린 강변의 호젠빌 근처에 있는 300acre 규모의 싱킹 스프링 농장을 구입했다. 이곳은 베치와 토머스 스패로우 부부의 집에서 약 3.22km, 엘리자베스타운에서는 남동쪽으로 약 29.77km 떨어진 곳에 있었다. 집은 흙 바닥으로 된 방 한 칸짜리 통나무집이었지만, "깊은 동굴 바닥에서 솟아나는 웅장한 샘" 때문에 싱킹 스프링 농장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곳은 바로 에이브러햄 링컨이 태어난 곳이기도 하다. 토머스는 더 비옥한 땅을 찾아 1811년에 북동쪽으로 약 약 16.09km 떨어진 놉크릭 농장으로 이사했다. 그는 옥수수와 호박을 재배하며 부를 쌓았고, 1814년에는 하딘 카운티의 98명의 토지 소유자 중 15번째로 부유한 사람이 되었다.[7][11][18][19]
토머스는 대장장이로 일하며 성실함, 사회 기여, 뛰어난 말솜씨, 쾌활함으로 존경받았지만, 한편으로는 "떠돌이" 노동자, 게으르고 무식하다는 평판도 있었다.[7][11] 그는 오두막 건설이나 실내 공사 등에 종사했으며, 지역 사회와 컴벌랜드 및 하딘 카운티 교회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19세에는 주 민병대에, 24세에는 컴벌랜드 카운티 순찰대에 합류했다.[11]
그러나 당시 켄터키 주의 혼란스러운 토지법과 부정확한 토지 측량 및 경계 설정 때문에 토머스는 경계 분쟁에 휘말려 세 번이나 농장을 잃는 경험을 했다. 이러한 문제에 실망한 그는 1816년 12월, 공유지 조례에 따라 토지 소유권이 더 명확하게 보장되는 인디애나주로 이주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인디애나 주는 서북부 조례에 따라 노예제가 금지되어 있었다. 훗날 에이브러햄 링컨은 켄터키에서 인디애나로 이주한 주된 이유가 노예제 문제보다는 켄터키 주의 불안정한 토지 소유권 문제 때문이었다고 회고했다.[10]
3. 2. 인디애나
토머스 링컨은 켄터키주의 혼란스러운 토지 소유권 문제와 노예제에 대한 반감 때문에 1816년 12월 가족을 이끌고 인디애나주로 이주했다. 당시 인디애나주는 북서부 조례에 따라 노예제가 금지되어 있었고, 1785년 토지 조례에 따라 토지를 비교적 명확하게 구입할 수 있었다. 훗날 에이브러햄 링컨은 아버지가 인디애나로 이주한 이유가 "부분적으로는 노예 제도 때문이고, 주로 켄터키의 토지 소유권 문제 때문"이었다고 회고했다.링컨 가족은 1816년 12월, 당시 페리 군이었던 (현재의 스펜서 군) 리틀 피전 강 근처 황무지에 정착했다. 토머스는 아들 에이브러햄과 함께 집을 짓고 땅을 개간하여 농작물을 심었다. 목수로서의 그의 기술은 점차 알려져 수요가 늘어났다[20]. 이듬해 가을에는 아내 낸시의 이모 엘리자베스 스패로우와 삼촌 토머스 스패로우, 그리고 사촌 데니스 행크스도 리틀 피전 크릭으로 이주해왔다. 데니스 행크스는 에이브러햄보다 열 살 많았지만 좋은 친구가 되었다[21][22].
1818년 10월, 아내 낸시가 우유병(milk sickness)에 걸려 10월 5일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23][24]. 토머스는 재혼 상대를 찾기 위해 켄터키주로 돌아가 엘리자베스타운에서 알고 지내던 미망인 사라 부시 존스턴을 만났다. 두 사람은 1819년 12월 2일 결혼했고, 토머스는 사라의 세 자녀(엘리자베스, 마틸다, 존)를 의붓자식으로 맞이하여 함께 인디애나로 돌아왔다[25][26][27][28].
토머스 링컨은 지역 사회 활동에도 참여하여 리틀 피전 침례 교회의 건설을 지원하고 교회의 이사를 맡기도 했다. 1827년 무렵에는 인디애나주에 100acre의 토지를 소유하게 되었다.
3. 3. 일리노이
1830년 초, 토머스 링컨은 일리노이주로 이주한 사촌 존 행크스로부터 긍정적인 소식을 들었다. 행크스는 일리노이의 비옥한 초원은 작물을 심기 전에 숲을 개간하는 힘든 노동이 필요 없다고 전했다.[29] 이에 토머스는 인디애나주의 땅을 팔고[29] 1830년에 먼저 일리노이주 메이컨군으로 이주했으며, 1831년에는 콜스군으로 최종 정착했다.그가 자리 잡은 곳은 찰스턴에서 남쪽으로 약 약 16.09km 떨어진 구스네스트 프레리(Goosenest Prairie)였다. 이 농가 부지는 현재 링컨 통나무집 주립 사적지로 보존되어 있다. 하지만 그가 살았던 원래의 통나무집은 해체되어 1893년 시카고에서 열린 시카고 만국 박람회에 전시된 후 유실되었다.
토머스 링컨은 50대에 콜스군으로 이주한 후 여생을 그곳에서 보냈다. 그는 1851년, 73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집에서 약 약 4.83km 떨어진 샤일로 묘지에 묻혔다. 그의 아내 사라는 1869년 사망할 때까지 그들의 집에 머물렀다.
4. 종교
젊은 시절 원시 침례교(예정론이나 분리 침례교라고도 알려져 있음)의 신자가 되었으며, 결국 교단의 지도자가 되었다.[9] 인디애나주에서는 피전 크릭 침례교회의 이사(관재인)를 맡았으며, 아들 아브라함 링컨과 함께 교회 건물을 짓는 데 도움을 주었다.
토머스 링컨은 종교적 신념에 따라 노예제를 반대했으며,[10] 이는 노예제가 금지된(1787년 북서부 조례) 오하이오 강 북쪽으로 켄터키주에서 인디애나주로 이주하는 결정에 부분적인 이유가 되었다. 이후 일리노이주 콜스 군으로 이주한 뒤에는 아내와 함께 그리스도의 교회 신자가 되었다.
5. 에이브러햄 링컨과의 관계
에이브러햄 링컨의 어머니 낸시 행크스 링컨이 사망한 후, 아버지 토머스와의 관계는 점차 소원해졌다. 토머스는 시력과 건강이 나빠지자 농장 일을 아들 에이브러햄에게 크게 의존하게 되었고, 에이브러햄을 이웃에 보내 일을 시켜 돈을 벌게 하기도 했다. 역사가 마이클 버링게임은 저서 ''에이브러햄 링컨의 내면 세계''에서 젊은 에이브러햄이 "아버지의 노예와 같았다"고 표현하기도 했다.[30][31]
토머스가 아들 에이브러햄을 어떻게 대했는지에 대해서는 역사가들 사이에 의견이 갈린다. 버링게임은 데니스 행크스와 같은 링컨 친척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토머스가 아들에게 가혹하고 적대적이었다고 주장한다. 방문객 앞에서는 체벌을 피했지만, 그들이 떠난 후에는 벌을 주곤 했다는 것이다. 반면 데이비드 허버트 도널드는 토머스가 대체로 온화했으며 가혹한 아버지는 아니었다고 평가한다. 그는 토머스가 아이들을 학교에 보냈고, 에이브러햄의 계모 사라 부시 링컨의 말을 인용하며 토머스가 에이브러햄의 독서를 막기보다 스스로 먼저 일을 처리했다고 주장한다.[1] 하지만 두 역사가 모두 토머스가 에이브러햄이 허드렛일을 소홀히 하거나 어른들의 대화에 끼어들면 때렸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에이브러햄은 나이가 들면서 아버지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 독립하기를 간절히 바랐다.[2]
두 사람 사이의 갈등은 여러 면에서 나타났다. 에이브러햄은 지식에 대한 갈망이 컸으나, 토머스는 아들의 공부보다 당장의 노동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 에이브러햄은 아버지의 교육 부족과 자녀 교육에 대한 진지한 노력의 부족을 비판적으로 보았다. 역사가 로널드 C. 화이트는 토머스에 대한 부정적인 묘사가 교육을 매우 중시했던 아들 에이브러햄에게서 비롯된 측면이 있다고 지적한다. 반면, 에이브러햄은 할아버지의 죽음 이후 토머스가 젊은 시절 겪어야 했던 어려움, 즉 생계를 위해 노동자가 되어야 했던 힘겨운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 토머스가 첫 농장을 사기 위해 육체노동으로 돈을 모으는 과정은 매우 고된 일이었다. 또한, 종교관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토머스는 전통적인 침례교 신자였지만, 에이브러햄은 자유사상가로서 성장했다.[30][31] 일부에서는 토머스가 의붓아들 존 존스턴을 에이브러햄보다 더 편애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에이브러햄이 성인이 되어 집을 떠난 후 아버지와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그는 아버지가 재정적 어려움을 겪을 때 마지못해 몇 차례 도움을 주었지만, 의붓형제 존 D. 존스턴의 반복적인 금전 요구에도 시달렸다. 아버지가 임종을 앞두었을 때, 에이브러햄은 의붓형제에게 보낸 편지에서 만약 지금 만난다면 "즐거운 일보다 더 고통스러울지 의문"이라며 사실상 방문을 거절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결국 그는 아버지의 장례식에 참석하지 않았고, 아버지의 무덤에 묘비를 세워주지도 않았다. 이러한 행동은 아버지와의 긴장되고 소원했던 관계를 반영하는 동시에, 당시 에이브러햄이 겪고 있던 "고통스러운 중년의 위기"와 우울증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토머스 링컨은 살아있는 동안 아들 에이브러햄의 결혼식에 초대받지 못했으며, 며느리 메리 토드 링컨이나 손주들을 한 번도 만나지 못했다.[32] 데이비드 허버트 도널드는 에이브러햄이 아버지에 대해 공개적으로나 사적으로나 단 한마디의 호의적인 말도 남기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이브러햄은 자신의 넷째 아들에게 아버지의 이름인 토머스를 붙여주었다. 도널드는 이를 두고 에이브러햄의 아버지에 대한 기억이 전적으로 불쾌하지만은 않았거나, 어쩌면 장례식 불참 등에 대한 죄책감을 암시하는 것일 수 있다고 추측한다. 한편, 에이브러햄은 엄격하고 요구가 많았던 아버지와의 불행했던 관계에 대한 반작용으로 자신의 자녀들에게는 매우 다정하고 관대한 아버지였다는 평가도 있다.
참조
[1]
서적
Lincoln
Simon & Schuster
1995
[2]
웹사이트
The sad tale of Thomas Lincoln
http://www.abrahamli[...]
2017-12-27
[3]
서적
Abraham and Mary Lincoln, Concise Lincoln Library
SIU Press
[4]
웹사이트
What About Slavery is Unchristian?
http://nationalhuman[...]
National Humanities Center
2013-03-20
[5]
서적
In Lincoln's Footsteps: A Historical Guide to the Lincoln Sites in Illinois, Indiana, and Kentucky Trails Books Guide
Big Earth Publishing
[6]
웹사이트
Lincoln Run, Washington County, Kentucky
http://www.mybirdmap[...]
2013-03-25
[7]
웹사이트
Lincoln Homestead State Historic Site Historic Pocket Brochure
http://www.parks.ky.[...]
Kentucky State Parks
2013-03-22
[8]
서적
The Life of Abraham Lincoln: From His Birth to His Inauguration As President
Applewood Books
[9]
간행물
Allen C. Guelzo | Abraham Lincoln and the Doctrine of Necessity | Journal of the Abraham Lincoln Association, 18.1 | The History Cooperative
http://www.historyco[...]
[10]
서적
Lincoln
Simon and Schuster
[11]
서적
Lincoln
Simon and Schuster
[12]
서적
Abraham Lincoln: The Prairie Years and the War Years
https://books.google[...]
2011-07-01
[13]
웹사이트
Radcliff & Fort Knox: Lincoln in North Hardin County
http://www.radclifft[...]
Radcliff/Ft. Knox Tourism & Convention Commission
2013-03-26
[14]
서적
In Lincoln's Footsteps: A Historical Guide to the Lincoln Sites in Illinois, Indiana, and Kentucky
Big Earth Publishing
[15]
웹사이트
Lincoln Heritage House
http://www.touretown[...]
Elizabethtown Tourism & Convention Bureau
2013-03-25
[16]
서적
Team of Rivals. The Political Genius of Abraham Lincoln.
Simon & Schuster Paperbacks
2013-03-21
[17]
서적
Albion's Seed. Four British Folkways in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paperback
[18]
서적
Lincoln
Simon and Schuster
[19]
서적
Abraham Lincoln: The Prairie Years and the War Years
https://books.google[...]
2011-07-01
[20]
서적
Lincoln
Simon and Schuster
[21]
서적
In Lincoln's Footsteps: A Historical Guide to the Lincoln Sites in Illinois, Indiana, and Kentucky Trails Books Guide
Big Earth Publishing
[22]
웹사이트
Indiana History » Indiana, the Nineteenth State (1816)
http://centerforhist[...]
Center for History
2013-03-20
[23]
서적
Abraham Lincoln: The Prairie Years and The War Years
Sterling Publishing Company
[24]
서적
The Best American History Essays on Lincoln
Macmillan
[25]
서적
Abraham Lincoln: The Prairie Years and the War Years
https://books.google[...]
2011-07-01
[26]
서적
In Lincoln's Footsteps: A Historical Guide to the Lincoln Sites in Illinois, Indiana, and Kentucky Trails Books Guide
Big Earth Publishing
[27]
서적
Lincoln
Simon and Schuster
[28]
서적
The Inner World of Abraham Lincol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9]
서적
Lincoln
Touchstone
[30]
서적
Lincoln
Simon and Schuster
[31]
서적
The Inner World of Abraham Lincol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32]
서적
101 Things You Didn't Know About Lincoln: Loves And Losses! Political Power Plays! White House Hauntings!
Adams M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