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스카나의 군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스카나의 군주는 토스카나 지역을 통치했던 군주들을 의미하며, 토스카나 변경백국, 피렌체 통치 시기, 토스카나 대공국, 에트루리아 왕국, 프랑스 통치 시기, 이탈리아 통일 이후의 명목상 작위 주장자들을 포함한다. 9세기부터 1197년까지는 보니파치 가문, 아를 가문, 제 가문, 카노사 가문 등이 변경백으로 통치했으며, 1197년 이후에는 피렌체, 피사, 시에나 등 여러 공화국으로 분열되었다. 1569년부터 1737년까지는 메디치 가문이 대공국을 통치했으며, 1737년부터 1801년까지는 합스부르크-로렌 가문이, 1801년부터 1807년까지는 부르봉파르마 가문이, 1807년부터 1814년까지는 프랑스가, 1814년부터 1860년까지는 합스부르크-로렌 가문이 통치했다. 1860년 이탈리아 통일 이후에는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이 명목상 작위 주장자로 남아있다.

2. 토스카나 변경백국 (812년–1197년)

9세기에는 변경백들이 토스카나 변경백령의 일부였던 이 지역을 통치했다.[6] 11세기부터 이 지역은 피사, 피렌체, 시에나, 루카, 아레초 등을 포함한 여러 독립 도시로 분할되었다.[6]

토스카나 변경백은 다음과 같다:

이름재위 기간
보니파초 3세1002년 - 1012년
라니에리 디 토스카나1014년 - 1024년
콘라트 2세 폰 샤이언-다하우1120년 - 1127년
하인리히 10세1135년 - 1139년
울리히 폰 아템스1139년 - 1152년
벨프 6세1152년 - 1167년
라이날트 폰 다셀1160년 - 1163년
크리스티안 1세 폰 부흐1163년 - 1173년
필리포 디 즈베비아1195년 - 1197년


2. 1. 보니파초 가문

보니파치 가문은 본래 루카 백작이었으나, 점차 영토를 확대해 나갔다.

  • 보니파초 1세 (812년 - 813년)
  • 보니파초 2세 (828년 - 834년) - 보니파초 1세의 아들
  • 아가누스 (835년 - 845년) - 가계가 아님
  • 아달베르토 1세 (847년 - 886년) - 보니파초 2세의 아들
  • 아달베르토 2세 (886년 - 915년) - 아달베르토 1세의 아들
  • 구이도 (915년 - 929년) - 아달베르토 2세의 아들
  • 람베르토 (929년 - 931년) - 아달베르토 2세의 아들

2. 2. 보소 가문

이들은 본래 이탈리아의 군주 위그 다를의 친척들(대부분 서자)이며, 위그 다를이 보니파초 가문을 없앤 후 이들에게 이 작위를 임명하였다.

  • 보소네: 931년–936년
  • 움베르토: 936년–961년
  • 우고: 961년–1001년

2. 3. 보니파초 가문 (재건)


  • 보니파초 4세 (1027년 - 1052년)
  • 페데리코 (1052년 - 1055년) - 보니파초 4세의 아들
  • 마틸데 (1052년 - 1056년) - 보니파초 4세의 딸
  • 베아트리체 디 바르 (1052년 - 1076년) - 보니파초 4세의 아내, 페데리코와 마틸데의 섭정
  • * 고프레도 1세 (1054년 - 1069년) - 베아트리체의 남편, 로렌 공작 (3세), 아르덴 가문 소속
  • * 고프레도 2세 (1069년 - 1076년) - 마틸데의 남편, 하 로렌 공작 (4세), 아르덴 가문 소속
  • 마틸데 (복위) (1076년 - 1115년)
  • * 구엘포 (1089년 - 1095년) - 마틸데의 남편, 바이에른 공작 (벨프 2세), 벨프 가문 소속

2. 4. 비왕조 시기


  • 보니파치 가문

: 본래는 루카 백작이었으나, 점차 영토를 확대해 나갔다.

이름재위 기간
보니파초 1세812년 - 813년
보니파초 2세828년 - 834년
아가노835년 - 845년
아달베르토 1세847년 - 886년
아달베르토 2세886년 - 915년
귀도915년 - 929년
람베르토929년 - 931년



;아를 가문

: 이탈리아 왕 우고는 전 토스카나 변경백 가문을 배제하고 자신의 친족에게 변경백위를 주었다.

이름재위 기간
보초네931년 - 936년
우베르토936년 - 961년
우고961년 - 1001년



; 제 가문

이름재위 기간
보니파초 3세1002년 - 1012년
라니에리 디 토스카나1014년 - 1024년



;카노사 가문

이름재위 기간
보니파초 4세1027년 - 1052년
페데리코1052년 - 1055년
마틸데1052년 - 1056년
베아트리체 디 바르1052년 - 1076년
고프레도 1세1054년 - 1069년
고프레도 2세1069년 - 1076년
마틸데 (복위)1076년 - 1115년
구엘포1089년 - 1095년



; 제 가문

이름재위 기간
콘라트 2세 폰 샤이언-다하우1120년 - 1127년
하인리히 10세1135년 - 1139년
울리히 폰 아템스1139년 - 1152년
벨프 6세1152년 - 1167년
라이날트 폰 다셀1160년 - 1163년
크리스티안 1세 폰 부흐1163년 - 1173년
필리포 디 즈베비아1195년 - 1197년


2. 5. 카노사 가문

이들은 카노사 백작 가문의 후손이다.[1]

  • 보니파초 4세: 1027년–1052년[1]
  • 페데리코: 1052년–1055년[1]
  • 마틸데: 1052년–1115년[1]
  • * 베아트리스 드 바르(페데리코와 마틸데의 어머니로서 섭정): 1052년–1055년[1]
  • * 고드프루아 2세 드 바스로타링기아(베아트리스의 남편이자 페데리코와 마틸데의 계부로서 섭정): 1053년–1069년[1]
  • * 고드프루아 3세 드 바스로타링기아(마틸데의 남편으로서 섭정): 1069년–1076년[1]
  • * 겔포 5세(마틸데의 남편으로서 공동 섭정): 1089년–1095년[1]

2. 6. 비왕조 시기


  • 라보도 (1116–1119)[1]
  • 코라도 (1119/20–1129/31)[2]
  • 람프레트 (c. 1131)[3]
  • 엥겔베르트 (1134/5–1137)[4]
  • 엔리코 (1137–1139)[5]
  • 울리히 폰 아템스 (1139–1152, 황제 대리)[6]
  • 벨프 6세 (1152–1160)[7]
  • 벨프 7세 (1160–1167)[8]
  • * 라이날드 폰 다셀 (1160–1163, 황제 대리)[9]
  • * 크리스티안 1세 폰 부흐 (1163–1173, 황제 대리)
  • 벨프 6세 (1167–1173)
  • 필리프 (1195–1197)

::1197년에 필리프는 독일의 군주로 선출되었고, 다수의 토스카나 귀족, 도시, 주교들은 교황의 지지와 함께 토스카나 동맹을 결성하였다.

  • 프리드리히 폰 안티오히아 (1246–50, 황제 대리)

3. 피렌체 통치 시기 (1382년–1569년)

1382년부터 1569년까지 피렌체는 알비치 가문과 메디치 가문의 통치를 받았다. 1494년부터 1512년까지, 그리고 1527년부터 1530년까지는 공화정이 복귀되기도 했다.

지롤라모 사보나롤라는 1494년부터 1498년까지 신정 정치를 주장하며 피렌체를 통치했으나, 실각 후 처형되었다. 피에로 소데리니는 1502년부터 1512년까지 정의의 기수로서 피렌체를 이끌었지만, 메디치 가문이 복귀하면서 망명했다.[1]

1512년 조반니 데 메디치 추기경이 피렌체의 통치자가 되었으나, 교황으로 선출되면서 로마로 이동했다. 이후 줄리아노 데 메디치, 로렌초 데 메디치, 줄리오 데 메디치 추기경이 차례로 피렌체를 통치했다. 1523년에는 이폴리토 데 메디치 추기경과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가 공동 통치했으나, 시민들에 의해 추방되었다.

1530년,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는 독일의 지원을 받아 피렌체에 복귀했고, 1532년에는 피렌체 공작에 봉해졌다.

3. 1. 알비치 가문 참주 시기 (1382–1434)

3. 2. 메디치 가문 참주 시기 (1434–1531)

이름재위 기간비고
코시모 데 메디치1434년–1464년
피에로 1세 데 메디치1464년–1469년통풍 걸린 자
로렌초 데 메디치1469년–1492년마니피코
줄리아노 데 메디치1469년–1478년
피에로 2세 데 메디치1492년–1494년불운한 자, 시민에 의해 추방
공화정으로 수복1494년–1512년지롤라모 사보나롤라 (1494년–1498년, 실각·처형), 피에로 소데리니 (1502년–1512년, 메디치 가문 복귀로 망명)
조반니 데 메디치1512년–1513년교황 레오 10세로 선출
줄리아노 데 메디치1513년–1516년
로렌초 2세 데 메디치1516년–1519년
줄리오 데 메디치1519년–1523년교황 클레멘스 7세로 선출
이폴리토 데 메디치1523년–1527년시민에 의해 추방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1523년–1527년시민에 의해 추방
공화정으로 수복1527년–1530년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1530년–1531년1532년에 피렌체 공작에 봉해짐


3. 3. 메디치 가문의 피렌체 공작 (1531년–1569년)

#이름시작종료전임자와의 관계
1알레산드로1532년 5월 1일1537년 1월 6일 
2코시모 1세1537년 9월 20일1569년 8월 21일알레산드로의 사촌

4. 토스카나 대공국 (1569년–1860년)

9세기에 변경백들이 토스카나 변경백령의 일부였던 이 지역을 통치했습니다. 11세기부터 이 지역은 피사, 피렌체, 시에나, 루카, 아레초 등을 포함한 여러 독립 도시로 분할되었습니다. 그러나 피렌체의 영토 확장을 통해 토스카나는 단일 지도자 아래 다시 결합되기 시작했고, 1569년 토스카나 대공국이 창설되면서 더욱 명확해졌습니다. 대공국은 수 세기 동안의 정치적 분열 이후, 대부분의 지역이 단일 지도자의 통치 하에 놓이게 된 최초의 시기였습니다. 대공국의 영토는 오늘날의 토스카나 지역 전체를 거의 포함했지만, 루카 공화국, 피옴비노 공국, 마사 에 카라라 공국, 그리고 프레시디 국가는 예외였습니다.[7]

토스카나 대공국은 1569년 코시모 1세가 초대 대공으로 즉위하면서 시작되었으며, 메디치 가문의 통치는 1737년 잔 가스토네가 후사 없이 사망할 때까지 이어졌습니다. 이후 1738년 빈 조약에 따라 로렌 출신의 프란체스코 2세 스테파노가 토스카나 대공위를 계승했습니다.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는 부르봉파르마 가문이 에트루리아 왕국을 세워 토스카나 지역을 통치하기도 했으나, 나폴레옹 몰락 이후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이 복위하여 1860년까지 통치했습니다.

1849년과 1859년에는 혁명으로 인해 레오폴도 2세가 일시적으로 축출되기도 했습니다. 레오폴도 2세는 1859년 아들 페르디난도 4세에게 양위했지만, 페르디난도 4세는 토스카나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임시 정부에 의해 폐위되었습니다.[9] 결국 1860년 토스카나는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에 합병되었습니다.[9]

4. 1. 메디치 가문의 토스카나 대공 (1569년–1737년)

코시모 1세의 아들4코시모 2세1609년 2월 7일1621년 2월 28일페르디난도 1세의 아들5페르디난도 2세1621년 2월 28일1670년 5월 23일코시모 2세의 아들6코시모 3세1670년 5월 23일1723년 10월 31일페르디난도 2세의 아들7잔 가스토네1723년 10월 31일1737년 7월 9일코시모 3세의 아들



초상화이름생존 기간재위 기간배우자가문계승
코시모 1세1519년 6월 12일 – 1574년 4월 21일1569년 8월 21일 – 1574년 4월 21일(1) 톨레도의 엘레오노라
1539년 6월 29일
피렌체
11명의 자녀
(2) 카밀라 마르텔리
1570년
1명의 딸
메디치조반니 데이 팔레 반데 네레의 아들, 후에 토스카나의 초대 대공이 됨.
프란체스코 1세1541년 3월 25일 – 1587년 10월 19일1574년 4월 21일 – 1587년 10월 17일(1) 오스트리아의 조안나
1565년 12월 18일
피렌체
8명의 자녀
(2) 비앙카 카펠로
1579년 6월 10일
1명의 아들
메디치코시모 1세의 아들
페르디난도 1세1549년 7월 30일 – 1609년 2월 3일1587년 10월 19일 – 1609년 2월 7일로렌의 크리스티나
1589년
피렌체
9명의 자녀
메디치코시모 1세의 아들
코시모 2세1590년 5월 12일 – 1621년 2월 28일1609년 2월 17일 – 1621년 2월 28일오스트리아의 마리아 마달레나
1608년
8명의 자녀
메디치페르디난도 1세의 아들
페르디난도 2세1610년 7월 14일 – 1670년 5월 23일1621년 2월 28일 – 1670년 5월 23일비토리아 델라 로베레
1637년 4월 6일
4명의 자녀
메디치코시모 2세의 아들
코시모 3세1642년 8월 14일 – 1723년 10월 31일1670년 5월 23일 – 1723년 10월 31일오를레앙의 마르그리트 루이즈
1661년 4월 17일
루브르
3명의 자녀
메디치페르디난도 2세의 아들
잔 가스토네1671년 5월 24일 – 1737년 7월 9일1723년 10월 31일 – 1737년 7월 9일작센-라우엔부르크의 안나 마리아 프란치스카
1697년 7월 2일
뒤셀도르프
후사 없음
메디치코시모 3세의 아들



토스카나 대공국은 수 세기 동안의 정치적 분열 이후, 대부분의 지역이 단일 지도자의 통치 하에 놓이게 된 최초의 시기였습니다. 대공국의 영토는 오늘날의 토스카나 지역 전체를 거의 포함했지만, 루카 공화국, 피옴비노 공국, 마사 에 카라라 공국, 그리고 프레시디 국가는 예외였습니다.[7]

4. 2.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의 토스카나 대공 (1737년–1801년)

프란체스코 2세 스테파노는 1738년 빈 조약에 따라 토스카나를 받았다.[1] 그는 로렌 출신으로, 마리아 테레지아와 결혼하여 16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의 차남 레오폴도 1세는 합스부르크-로렌 출신으로, 마리아 루이사 오브 스페인과 결혼하여 역시 16명의 자녀를 두었다. 레오폴도 1세의 차남 페르디난도 3세는 루이사 오브 나폴리와 시칠리아와 결혼하여 6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이후 마리아 페르디난다 오브 작센과 재혼하였으나 후사는 없었다.

초상화이름생애통치 기간배우자가문계승
프란체스코 2세 스테파노1708년 12월 8일 – 1765년 8월 18일1737년 7월 12일 – 1765년 8월 18일마리아 테레지아
1736년 2월 12일

16명의 자녀
로렌프란체스코 1세의 고손자, 빈 조약에 따라 토스카나를 받음[1]
레오폴도 1세1747년 5월 5일 – 1792년 3월 1일1765년 8월 18일 – 1790년 7월 22일마리아 루이사 오브 스페인
1764년 2월 16일
마드리드
16명의 자녀
합스부르크-로렌프란체스코 2세 스테파노의 차남
페르디난도 3세1769년 5월 6일 – 1824년 6월 18일1790년 7월 22일 – 1801년 8월 3일(1) 루이사 오브 나폴리와 시칠리아
1790년 9월 19일

6명의 자녀
(2) 마리아 페르디난다 오브 작센
1821년 5월 6일
피렌체
후사 없음
합스부르크-로렌레오폴도 1세의 차남


4. 3. 부르봉파르마 가문의 에트루리아 왕 (1801년–1807년)

부르봉-파르마가는 나폴레옹에 의해 "왕"으로 임명되었으며, 이 시기는 에트루리아 왕국 시대였다. 에트루리아 왕국은 토스카나 대공국을 대체하기 위해 나폴레옹이 만든 것으로, 오늘날의 토스카나 지역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8]

초상화이름생몰년재위 기간배우자가문계승
루도비코 1세1773년 7월 5일 – 1803년 5월 27일1801년 3월 21일 – 1803년 5월 27일마리아 루이사 (스페인)
1795년 8월 25일
마드리드
자녀 2명
부르봉-파르마프란체스코 2세 스테파노의 손자
루도비코 2세1799년 12월 22일 – 1883년 4월 16일1803년 5월 27일 – 1807년 12월 10일마리아 테레사 (사보이)
1820년 9월 5일
루카
자녀 2명
부르봉-파르마루도비코 1세의 아들


4. 4. 프랑스 통치 시기 (1807–1814)

엘리자 보나파르트는 1809년부터 1814년까지 토스카나 대공국을 통치했다.[1]

4. 5.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의 토스카나 대공 (1814년–1860년)

1814년부터 1860년까지 토스카나 대공국을 통치한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의 대공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재위 기간전임자와의 관계비고
페르디난도 3세1814년 4월 27일 ~ 1824년 6월 18일(재건)
레오폴도 2세1824년 6월 18일 ~ 1859년 7월 21일페르디난도 3세의 아들1849년 혁명으로 일시 축출되었다가 복위[9]
페르디난도 4세1859년 7월 21일 ~ 1860년 3월 22일레오폴도 2세의 아들토스카나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임시 정부에 의해 폐위[9]



레오폴도 2세는 1849년 2월 21일부터 4월 12일까지, 그리고 1859년 4월 27일에 혁명으로 권좌에서 쫓겨났다.[9] 그는 1859년 7월 21일에 아들 페르디난도 4세를 위해 퇴위했지만, 페르디난도 4세는 토스카나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8월 16일 임시 정부에 의해 폐위되었다.[9] 1860년 3월 22일, 토스카나 대공국은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에 합병되었다.[9]

5. 명목상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의 작위 주장자들 (1860년–현재)

이름재위 기간
페르디난도 4세1860년–1908년
주세페 페르디난도1908년–1921년
피에트로 페르디난도1921년–1948년
고트프리트1948년–1984년
레오폴도 프란체스코1984년–1993년
시지스몬도1993년–현재


참조

[1] 웹사이트 COSIMO I de' Medici, duca di Firenze, granduca di Toscana in "Dizionario Biografico" https://www.treccani[...] 2023-06-30
[2] 웹사이트 Storia della famiglia Medici di Firenze https://www.skuola.n[...] 2023-06-30
[3] 웹사이트 ALESSANDRO de' Medici, primo duca di Firenze in "Dizionario Biografico" https://www.treccani[...] 2023-06-30
[4] 웹사이트 La dinastia dei Medici: chi furono i signori di Firenze che governarono per centinaia di anni https://www.visitflo[...] 2023-06-30
[5] 웹사이트 Palazzo Pitti: il più prestigioso edificio di Firenze dai Medici ai Savoia https://www.tuscanyp[...] 2019-08-29
[6] 웹사이트 Toscana in "Dizionario di Storia" https://www.treccani[...] 2023-05-27
[7] 서적 Storia d'Italia. Il Granducato di Toscana. I Medici
[8] 웹사이트 Kingdom of Etruria {{!}} historical kingdom, Europ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6-30
[9] 웹사이트 LA FINE DEL GRANDUCATO DI TOSCANA https://www.postpopu[...] 2014-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