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135년은 남송, 금나라, 일본, 서하, 고려 등 여러 국가에서 연호가 사용된 해이다.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이 발발하고, 악비가 이끄는 송나라 군대가 금나라에 대한 반격을 시작했다. 휘종 황제가 사망하고, 금의 희종이 즉위했다. 유럽에서는 잉글랜드 왕 헨리 1세가 사망하고 스티븐이 왕위에 오르면서 내전이 발생했다. 이 해에는 여러 인물이 태어나고 사망했으며, 1135년은 다양한 사건들이 일어난 해로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35년 - 묘청의 난
묘청의 난은 1135년 묘청이 서경 천도와 금나라 정벌을 주장하며 일으킨 반란으로, 개경 문벌 귀족 세력과의 갈등 속에 발생했지만 김부식의 정부군에 의해 진압되었고, 고려 시대 정치와 사상적 갈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 1135년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연도 | 1135년 |
| 세기 | 12세기 |
| 십년대 | 1130년대 |
| 발생 사건 | |
| 날짜 미상 | 잉글랜드 내전이 시작되다. 마푸체인들이 콘셉시온에서 페루의 군대를 격파하다. |
| 1월 1일 | 레온 왕국의 알폰소 7세가 사라고사를 정복하다. |
| 4월 | 알모라비데 왕조의 이븐 알 무스타파가 마라케시에서 반란을 일으키다. |
| 5월 27일 | 로마에서 미카엘 4세의 가짜 교황이 선출되다. |
| 7월 13일 | 스페인 알폰소 7세가 라리오하의 칼라오라를 정복하다. |
| 8월 31일 | 잉글랜드의 헨리 1세가 사망하고, 잉글랜드 왕위 계승 분쟁이 시작되다. |
| 12월 22일 | 스티븐 왕이 잉글랜드의 왕으로 즉위하다. |
| 탄생 | |
| 날짜 미상 | 존 피츠길버트, 앵글로-노르만 기사 (1187년 사망) 페리네 드 몽벨, 프랑스 영주 (1187년 사망) |
| 1월 17일 | 장 조르주, 프랑스 귀족 (1187년 사망) |
| 2월 4일 | 아나스타시아, 보헤미아의 공주 (1195년 사망) |
| 11월 23일 | 베르트랑드 드 블랑케포르, 프랑스 성전 기사단 단장 (1182년 사망) |
| 사망 | |
| 날짜 미상 | 제프리, 프랑스 생클로드 주교 헨리 1세, 잉글랜드 왕 (1068년 또는 1069년 출생) 미르자 아제르바이잔의 술탄 무스타르시드, 아바스 칼리파 (1092년 출생) 알폰소 요르단, 툴루즈 백작 (1103년 출생) 피에르 드 셰 프랑스 주교 |
| 12월 19일 | 콘라드 2세, 보헤미아의 왕자 |
2. 연호
- 南宋|남송중국어 소흥(紹興) 5년
- 金|금중국어 천회(天會) 13년
- 日本|일본일본어 조쇼(長承|장승일본어) 4년 / 호엔(保延|보연일본어) 원년
- 西夏|서하중국어 대덕(大德) 원년
- 리 왕조(李朝) 티엔쯔엉바오뜨(天彰寶嗣) 3년
3. 기년
| 지역 | 국가 | 연호 |
|---|---|---|
| 동아시아 | 남송 | 고종 9년 |
| 금 | 태종 13년 / 희종 원년 | |
| 고려 | 인종 13년 | |
| 서하 | 숭종 50년 | |
| 일본 | 장승 4년, 보연 원년 / 황기 1795년 | |
| 대위국 | 천개 원년 (사년호) | |
| 동남아시아 | 리 왕조 | 신종 8년 |
| 기타 | 간지 | 을묘 |
| 불멸기원 | 1689년 | |
| 율리우스력 | 1180년 |
4. 사건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이 1135년에 일어났다. 김부식은 이로 인해 정지상, 백수한, 묘청을 살해하였다.[1]
4. 1. 동아시아
- 금송 전쟁 - 악비가 이끄는 송나라 군대가 북쪽 중국의 여진족이 지배하는 금나라에 대한 반격을 시작했다. 악비는 회하에서 패들휠 선박을 이용하여 금나라 군대를 물리쳤다.[1]
- 6월 4일 - 휘종 황제가 흑룡강성(만주) 유배지에서 사망했다. 휘종은 1127년 포로로 잡힌 이후 아들 친종 황제와 함께 억류되어 있었다.[2]
- 금 희종이 제3대 황제로 즉위(-1149년)했다.
4. 2. 서아시아
- 봄 – 다마스쿠스의 셀주크 통치자 샴스 알-물크 이스마일이 모술의 셀주크 통치자 이마드 알-딘 젠기에게 사절을 보내 다마스쿠스의 보호를 요청하고 그 대가로 보호를 받기로 한다. 젠기는 유프라테스 강을 건너 하마 시를 함락시킨다. 그는 다마스쿠스를 포위하지만 보급 부족으로 포위를 해제해야 했다. 젠기는 다마스쿠스에서 철수하고, 그의 셀주크 군대는 마알랏과 아타리브의 요새를 점령한다.[1]
- 8월 29일 – 17년간의 통치 후 압바스 칼리프 알무스타르시드가 바그다드에서 암살당했다. 그의 아들 알라시드 빌라가 압바스 칼리파의 통치자로 (1138년까지) 그를 계승했다.
4. 3. 유럽
- 1월 7일 - 노르웨이의 하랄드 4세 국왕이 덴마크 지원군과 에리크 2세 국왕의 지원을 받아 귀환한다. 하랄드 4세는 조카이자 공동 통치자인 마그누스 4세를 사로잡아 눈을 멀게 하고 거세한 뒤 문크홀멘 섬에 있는 니달홀름 수도원에 감금한다.[2]
- 5월 26일 - 알폰소 7세 레온-카스티야 국왕이 레온 대성당에서 "전 스페인 황제"(Imperator totius Hispaniae)로 즉위한다. 즉위식에는 그의 매형인 라몬 베렝게르 4세 바르셀로나 백작, 레이몽 5세 툴루즈 백작 등 그를 봉건 영주로 인정한 다른 스페인 귀족들이 참석한다.[2]
- 여름 - 로제르 2세 시칠리아 국왕이 시칠리아 원정군을 이끌고 살레르노에 상륙한다. 그는 군대를 나누어 아베르사와 알리페 도시를 정복한다. 로제르 2세는 나폴리를 포위하지만, 도시 내의 열악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함락시키지 못하고 메시나로 돌아간다.[2]
- 8월 15일 - 로타르 3세 신성 로마 제국 황제가 에리크 2세에게 봉신의 맹세를 받고 그를 제후(Reichstag)에서 제국 공후로 임명한다. 헝가리와 폴란드에 대한 그의 외교 사절단은 조공을 받는 결과를 가져온다. 볼레스와프 3세 공작은 포메라니아 공국과 뤼겐 공국을 독일의 봉토로 받는다.[2]
- 로타르 3세는 요한 2세 콤네누스 황제를 대신하여 비잔티움 제국 사절단을 접견한다. 그들은 로제르 2세에 대한 원정을 시작하기 위해 로타르에게 많은 재정적 지원을 제공한다. 협상은 몇 달 동안 지속된다.[2]
- 9월 - 가르시아 4세 나바라 국왕이 알폰소 7세와 결별하고 카스티야 왕국과 레온 왕국에 대항하여 포르투갈 백국과 공동 전선을 형성한다.[2]
- 10월 - 콘라트 3세 프랑코니아 공국 공작이 로타르 3세와의 대립에서 이탈리아 왕 칭호를 포기한다. 그는 사면을 받고 자신의 영지를 회복한다.[2]
- 교황청의 고용인인 피사 공화국 사람들이 아말피 공화국 도시를 약탈한다.[2]
- 무어인 함대가 카탈루냐의 항구 도시 엘나(프랑스 남부)를 습격한다.
- 12월 1일 - 35년간 통치했던 잉글랜드 왕국의 왕 헨리 1세가 노르망디 공국의 리옹라포레에서 사망한다. 그의 뒤를 이어 조카인 블루아의 스티븐(윌리엄 정복자의 손자)이 왕위를 주장하며 헨리 1세의 딸인 마틸다(황후)의 왕위 계승 주장과 대립하여 무정부 시대로 알려진 내전이 장기화된다.[2]
- 12월 26일 - 블루아의 스티븐이 런던의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윌리엄 드 코르베유 대주교에 의해 왕으로 즉위한다. 임신 중이던 마틸다와 남편인 앙주의 제프리 5세 ("미남")는 안전을 위해 노르망디로 피신하여 스티븐을 몰아내고 자신이 잉글랜드 왕위를 계승할 계획을 세운다.[2]
4. 4. 북아프리카
로제르 2세가 이끄는 시칠리아 원정군이 메시나에서 출항하여 제르바 섬(현재 튀니지)을 점령했다.[1] 함마디드 왕조(현재 알제리)는 마흐디야(현재 튀니지)를 공격했다.[2]5. 탄생
- 아부 야쿠브 유수프, 알모하드 칼리파국의 칼리파(d. 1184년)
- 아다치 모리나가, 일본 무사 승려(d. 1200년)
- 알베르토 디 키아티나, 이탈리아 대주교이자 성인(d. 1202년)
- 앙드레 드 브리엔, 프랑스 귀족 (추정)
- 보구밀, 그니에즈노 대교구 대주교 (추정)
- 부르한 알딘 알마르기나니, 아랍 하나피파 법학자(d. 1197년)
- 콘라트 폰 호헨슈타우펜, 독일 귀족(d. 1195년)
- 페르난두 아폰수, 포르투갈 대수도원장(d. 1207년)
- 플랑드르의 게르트루드, 사보이 백작부인(d. 1186년)
- 하프사 빈트 알하지 알루쿠니야, 안달루시아 시인(d. 1190년)
- 헨리 핏츠 에일윈, 런던 시장(d. 1212년)
- 헤르만 4세, 바덴 변경백과 베로나 변경백 (d. 1190년)
- 휴 드 윌로비, 잉글랜드 귀족(d. 1205년)
- 잉에 1세 ("곱추"), 노르웨이 국왕(d. 1161년)
- 요아힘 디 피오레, 이탈리아 신학자이자 신비주의자(d. 1202년)
- 카를 요운손, 아이슬란드 성직자이자 시인(d. 1213년)
- 마그누스 하랄드손, 노르웨이 국왕 (추정)
- 마이모니데스, 알모라비드 철학자이자 의사(d. 1204년)
- 나바라의 마르가레타, 시칠리아 왕비 (추정)
- 미나모토노 요시시게, 일본 사무라이(d. 1202년)
- 샤라프 알딘 알투시, 페르시아 수학자(d. 1213년)
- 시모네 도리아, 제노바 제독 (추정)
- 로저 드 뉴버그, 잉글랜드 귀족(d. 1192년)
- 체링겐의 루돌프, 독일 대주교(d. 1191년)
- 토팅턴의 샘슨, 잉글랜드 수도사이자 수도원장(d. 1211년)
- 워켈린 드 더비 (또는 페러스), 노르만 귀족(d. 1190년)
- 흰손의 윌리엄, 프랑스 대주교(d. 1202년)
- 효종 (송), 중국 송나라 황후(d. 1207년)
- 3월 30일 - 모세 마이모니데스, 코르도바 출신의 유대교 랍비, 철학자(+ 1204년)
- 안다 모리나가,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고케닌(+ 1200년)
- 알-파딜, 팔레스타인 출신의 파티마 칼리파국, 아이유브 왕조의 관료(+ 1200년)
- 후지와라 나리노리, 헤이안 시대의 공경, 가인(+ 1187년)
- 페트로닐라, 아라곤 왕국 여왕, 바르셀로나 백작 라몬 베렝게르 4세의 왕비 (+ 1174년)
6. 사망
- 정지상 - 고려의 명사
- 묘청 - 고려의 승려
- 2월 1일 - 샴스 알-물크 이스마일, 셀주크 왕조의 통치자 (1113년 출생)
- 2월 6일 - 엘비라 카스티야 여왕, 시칠리아 왕국의 여왕 (1100년 출생)
- 2월 9일 - 태종, 금나라의 황제 (1075년 출생)
- 5월 - 라니에르, 몬페라토 변경백 (1084년 출생)
- 6월 4일 - 휘종, 송나라의 황제 (1082년 출생)
- 8월 9일 - 바르티슬라프 1세, 포메라니아 공국의 공작 (1091년 출생)
- 8월 29일 - 알-무스타르시드, 압바스 칼리프 (1092년 출생)
- 12월 1일 - 헨리 1세, 잉글랜드 왕국의 왕 (1068년 출생)
- 압드 알-마지드 이븐 압둔, 안달루시아 시인 (1050년 출생)
- 제럴드 드 윈저, 잉글랜드 귀족 (1075년 출생)
- 기젤라 부르고뉴 여공, 몬페라토 변경백부인, 프랑스 귀족 여성 (1075년 출생)
- 하랄드 케샤, 덴마크의 왕 (1080년 출생)
- 양홍옥, 중국 여성 장군 (1102년 출생)
- 메긴하르트 1세, 슈폰하임 백작, 독일 귀족 (추정 날짜)
- 원무 객친, 중국 선종 승려 (1063년 출생)
- 3월 21일 - 행존, 헤이안 시대의 천태종 승려, 가인 (1055년 출생)
- 6월 27일 - 겐 신가, 헤이안 시대의 공가, 무쓰 수 (1079년 출생)
- 12월 31일 - 하인리히, 라우지츠 변경백
- 양시, 북송의 유학자 (1053년 출생)
- 라종언, 북송, 남송의 유학자 (1072년 출생)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출판사 정보 없음)
[2]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출판사 정보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