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함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함산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산으로, 동해안 해안산맥의 최고봉이다. 불국사 선상지를 서쪽에 두고 있으며, 북쪽에는 추령, 남쪽에는 동산령이 있다. 신라 시대에는 동악으로 불리며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성산으로 여겨졌고, 불국사와 석굴암을 비롯한 많은 불교 유적과 유물을 품고 있다. 불국사와 석굴암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석굴암에서는 동해의 일출을 감상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라 - 이두
이두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한국어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신라 시대에 시작되어 한국어의 형태소와 문법 요소를 나타내는 데 활용되었으며 훈민정음 창제 이후 사용이 줄었지만 한국어 표기법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신라 - 팔공산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 경계에 있는 팔공산은 비로봉을 최고봉으로 8개의 봉우리를 가지고 있으며, 갓바위, 사찰, 역사 유적지, 위락시설 등을 갖춘 관광지이자 후삼국 시대 전투가 벌어진 역사적 현장으로 최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경주시의 지리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경주시의 지리 - 2017년 포항 지진
2017년 11월 15일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은 한국 전역과 일본 일부 지역에서 감지되었고, 인명 및 시설 피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연기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지열 발전소의 유체 주입이 지진 발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져 사회적 논란을 야기했다. - 경상북도의 산 - 속리산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산으로, 문장대, 천왕봉을 포함한 봉우리들, 법주사를 비롯한 사찰들, 정이품송 등의 명승지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다. - 경상북도의 산 - 월악산
월악산은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경계에 위치한 신성한 산으로, 아름다운 경관과 역사적 유적, 충주호 등으로 유명하다.
토함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토함산 |
한자 표기 | 吐含山 |
로마자 표기 | Tohamsan |
위치 |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
산맥 | 태백산맥 |
높이 | 745m |
설명 | 신라의 오악 중 동악 |
![]() | |
![]() | |
![]() |
2. 위치 및 지형
태백산맥의 산줄기인 해안산맥은 중앙산맥의 동쪽에 위치하며, 해안을 따라 이어진 구릉성 산지로 울산만에 이른다. 해안산맥 중 토함산은 최고점을 이루며,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낙동정맥의 영남 알프스 백운산에서 갈라져 추술령을 지나, 추령을 거쳐 호미곶까지 약 98km의 경상북도 동해안을 따라 남북으로 뻗어 있는 산맥을 형남기맥, 토함기맥 또는 토함산맥이라고도 부른다.[6][4][3]
경주에서 감포로 가는 국도 제4호선은 추령을 지나며 풍광이 수려하다.[4][3] 서남쪽 기슭에 있는 불국사에서 석굴암이 있는 정상까지 이어지는 8.2km의 자동차 도로도 경치가 훌륭하다.[7]
신라의 수도 서라벌이었던 경주에서 가장 높고, 동해에 가까워 조망이 뛰어나 군사적 요충지였고,[7] 호국의 진산으로 신성시되었다.
2. 1. 형성과정
토함산의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의 불국사 화강암으로 되어 있어, 예로부터 불국사, 석굴암 등 석조 조각의 원료를 제공하였다.[4][3] 원래 이 지역의 기반암은 대구층으로 알려진 백악기 퇴적암류이며, 여기에 화강암류가 관입하였고, 제3기에 화산암과 퇴적암류가 부정합적으로 덮었다.[3] 경상 분지의 백악기 심성암 활동을 대표하는 불국사 화강암류는 전형적으로 칼크-알칼리 계열과 자철석 계열의 화강암이다.[3]2. 2. 주변 환경
산의 서쪽에는 불국사선상지(扇狀地)가 펼쳐져 있다. 북서쪽에는 추령, 남쪽으로는 동산령이 있고, 경주에서 감포에 이르는 도로는 추령을 통과하며, 특히 산세가 웅장하고 경치가 수려하다.[4][3]태백산맥의 한 줄기인 해안산맥(海岸山脈) 중의 한 산인데, 해안산맥은 중앙산맥(中央山脈)의 동쪽에 있어 해안을 따라 연속되는 구릉성 산맥으로 울산만에 이른다. 해안산맥 중에서 토함산을 최고점으로 하며, 경상북도 동해안을 따라 남북으로 달리는 산맥을 토함산맥이라고도 부른다.[10]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의 불국사 화강암으로 되어 있어 일찍부터 불국사, 석굴암 등의 석조 조각물의 원료를 제공하였다.[4][3] 본래 이 지역의 기반암은 대구층이라 알려져 있는 중생대 백악기의 퇴적암류이다. 여기에 화강암류가 관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제3기에 화산암 및 퇴적암류가 부정합적으로 이를 덮었다.[3] 경상분지의 백악기 심성암 활동을 대표하는 불국사 화강암류는 전형적으로 칼크-알칼리 계열과 자철석 계열의 화강암으로 나타난다.[3] 토함산을 비롯한 불국사 경내지 삼림은 주로 소나무림이 폭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사찰 경내지는 100년 내외의 소나무가 외곽부의 경우 약간 수령이 어린 자연상태의 소나무림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

3. 명칭 유래
토함산의 이름 유래에 관한 두 가지 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라 제4대 왕 탈해 이사금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외부에서 이주해 온 최초의 왕이라고 하는 탈해 이사금은 신라에 도착하여 처음으로 토함산에 올랐고, 사후 토함산의 산신이 되었다고 한다.[5] 《삼국유사》에서는 '탈해'를 '토해'로 주로 표기하고 있는데, '토해'와 '토함'이 유사한 발음이기 때문에 인명과 산 이름이 되었다는 것이다.[6]
둘째, 경관에 관한 설이다. 동해 쪽에서 들어온 안개나 구름을 삼켰다가 뱉는 듯한 변화무쌍한 기후 변화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6][7]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따르면, 탈해는 '토해'라고도 불렸는데, '토해'와 '토함'은 비슷한 소리이므로 토함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것이다. 또한, 토함산의 경관은 안개와 구름을 삼키고 동해의 습기와 바람이 변화가 심하여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사납게 굴다가도, 안개와 바람이 걷히면 아름다운 소나무와 산봉우리가 마치 한 폭의 동양화 그림처럼 나타난다고 한다. 동해 바다의 잔잔한 수평선 위로 해가 떠오르고 붉은 태양이 토함산을 넘어갈 때의 전경은 마치 무언가를 토해내는 듯한 인상을 주어, 이러한 변화 때문에 '토함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설도 있다.[10][11]
4. 역사적 중요성
태백산맥의 산줄기인 해안산맥의 한 봉우리인 토함산은 신라의 수도 서라벌(경주)에서 가장 높고, 동해에 가까워 조망이 뛰어나 군사적 요충지였으며[7], 호국의 진산으로 신성시되었다.
4. 1. 불교 유적
신라 시대에 토함산은 오악 중 하나인 동악으로 불리며, 하늘에 제사(중사)를 지낸 성산으로 신성시되었다. 때문에 산 전체가 하나의 유적지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불교 유적과 유물들이 풍부하며, 대한민국 국보로 지정된 것도 많다. 서남쪽 중턱의 불국사와 산정 동쪽의 석굴암(국보 제24호)은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신라 미술의 최고봉이자 집대성인 당시의 불교 건축과 미술을 볼 수 있다.불국사는 『불국사고금창기』에 따르면 540년 (법흥왕 27년) 법흥왕의 어머니인 영제부인의 발원에 의해, 『삼국유사』에 따르면 751년 (경덕왕 10년) 김대성에 의해 창건된 것으로 보이는 사찰로[8], 본당 앞에는 국보 제20호인 불국사 다보탑과 국보 제21호인 석가탑(삼층 석탑)이 있다.[3]
석굴암은 『삼국유사』에 따르면 김대성이 현세의 부모를 위한 불국사와 함께 전생의 부모를 위해 지었다고 한다.[9] 석굴암에서는 동해를 한눈에 볼 수 있으며, 일출・월출 명소이기도 하다. 이곳에서 보는 첫 해돋이는 한국 팔경 중 하나로 꼽힌다. 매년 새해가 되면 한 해의 소원을 비는 사람들이 모이며, 등산객들에게 시산제의 장소로 인기가 많다.[6]
산 중턱에는 성화 채화지가 있으며, 국가의 큰 행사가 있을 때 통상 강화도의 마니산에서 채화하는 한편, 영남 지방에서는 성산인 이곳에서 거행된다.[6]



4. 2. 기타
신라 시대에 토함산은 오악(五岳) 중 하나인 동악(東岳)으로 불리며,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성스러운 산으로 여겨졌다. 이 때문에 산 전체가 하나의 유적지와 같을 정도로 불교 유적과 유물이 풍부하며, 대한민국 국보로 지정된 것도 많다. 산의 서남쪽 중턱에는 불국사가 있고, 산 정상 동쪽에는 석굴암(국보 제24호)이 있는데, 이들은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곳에서는 신라 미술의 정수이자 최고봉이라 할 수 있는 당시의 불교 건축과 미술을 볼 수 있다.불국사는 『불국사고금창기』에 따르면 540년(법흥왕 27년) 영제부인의 발원으로, 『삼국유사』에 따르면 751년(경덕왕 10년) 김대성에 의해 창건된 사찰이다.[8] 본당 앞에는 국보 제20호인 불국사 다보탑과 국보 제21호인 석가탑(삼층 석탑)이 있다.[3]
석굴암은 『삼국유사』에 따르면 김대성이 현세의 부모를 위한 불국사와 함께 전생의 부모를 위해 지었다고 한다.[9] 석굴암에서는 동해를 한눈에 볼 수 있으며, 일출과 월출 명소이기도 하다. 이곳에서 보는 첫 해돋이는 한국 팔경 중 하나로 꼽힌다. 매년 새해가 되면 한 해의 소원을 비는 사람들이 모이며, 등산객들에게 시산제(始山祭) 장소로 인기가 많다.[6]
산 중턱에는 성화 채화지가 있으며, 국가의 큰 행사가 있을 때 통상 강화도의 마니산에서 채화하는 한편, 영남 지방에서는 성산인 이곳에서 거행된다.[6]
5.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토함산 吐含山 (Tohamsan)
http://100.nate.com/[...]
2011-06-10
[2]
웹사이트
doopedia
http://www.doopedia.[...]
두산
2012-10-04
[3]
웹사이트
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12-10-04
[4]
웹사이트
'토함산' - 네이트 백과사전
http://100.nate.com/[...]
SK Communications
2012-10-04
[5]
인용
三國遺事/卷第一#第四脫解王
[6]
웹사이트
고품격 산악 매거진
http://www.emountain[...]
이산미디어
2012-10-05
[7]
웹사이트
観光情報 - テーマ旅行 - 山・山脈 - 吐含山
http://jguide.gj.go.[...]
慶州市文化観光課
2012-10-04
[8]
서적
石窟庵と仏国寺|韓国 世界遺産|阪急交通社
http://www.hankyu-tr[...]
阪急交通社
2012-10-05
[9]
인용
三國遺事/卷第五#大城孝二世父母 神文代
[10]
문서
경상북도사(慶尙北道史)
경상북도사 편찬위원회
1983
[11]
웹인용
토함산(吐含山)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18-04-2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