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해 이사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탈해 이사금은 신라의 제4대 이사금으로, 출생 설화에 따르면 알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그는 남해 차차웅의 사위가 되어 대보 벼슬을 지내다가 유리 이사금 사후 왕위에 올랐다. 재위 기간 동안 왜, 백제, 가야 등 주변 세력과 외교 및 군사적 갈등을 겪었으며, 영토 확장을 위해 노력했다. 65년에는 김알지를 발견하여 신라 김씨 왕조의 기원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80년에 사망하여 금성 북쪽 양정구에 장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탈해 이사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탈해 이사금 |
한자 표기 | 脫解尼師今 |
다른 이름 | 토해 이사금 (吐解尼師今) 탈해 치질금 (脫解齒叱今) 탈해 이질금 (脫解尼叱今) |
칭호 | 이사금 |
신상 정보 | |
![]() | |
출생 | 기원전 19년? 혹은 기원전 5년 |
출생지 | 다파나국 (多婆那國) 혹은 용성국 (龍城國) |
사망 | 80년 음력 8월 (99세 혹은 85세) |
사망 장소 | 신라 서라벌 (駟盧國 徐羅伐) 소천구 미소소정구 동악 양정구 (川丘 未召疏井丘 東岳 壤井丘) |
능묘 | 경주 탈해왕릉 (慶州 脫解王陵) |
아버지 | 함달파왕 (含達婆王) |
어머니 | 직녀국 공주 (本質國 公主) |
배우자 | 아효부인 (阿孝夫人) |
자녀 | 석구추 (昔仇鄒) 김알지 (金閼智) |
재위 | |
즉위 | 57년 |
기간 | 57년 음력 11월 ~ 80년 음력 8월 |
이전 | 유리 이사금 |
이후 | 파사 이사금 |
기타 | |
종교 | 없음 |
씨족 | 월성 석씨 (月城 昔氏) 경주 석씨 (慶州 昔氏) |
묘호 | 태조 (太祖)? |
2. 생애
경주 석씨 가문 출신인 탈해는 왜의 북동쪽으로 1000 리 떨어진 작은 왕국에서 태어났다.[3] 삼국사기에 따르면 이 왕국의 이름은 다파나국(多婆那國)이며, 삼국유사에는 룡성국(龍城國), 정명국(正明國), 완하국(琓夏國), 화하국(花厦國)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4] 아버지는 함달파왕, 어머니는 여국(女國)의 왕비 또는 공주였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탈해는 알에서 태어났는데, 아버지는 이를 불길하게 여겨 상자에 넣어 바다에 띄워 보냈다.[5] 이 알은 계림(오늘날의 경주시) 동쪽에 도착했고, 탈해는 한 노파에 의해 어부로 자랐다. 그는 금속 공예 기술을 가졌다고 주장하며 호공의 집을 빼앗았다고 전해진다.
탈해의 출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8년에 남해왕의 딸(또는 여동생)과 결혼하여 왕위에 올랐을 때는 이미 노인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해의 뒤를 이어 왕위를 제안받았으나, 유리가 먼저 왕위에 올랐고, 유리는 다시 탈해를 후계자로 지명했다.
호공은 신라 건국에 헌신한 최고 관료이자 김알지를 발견한 인물로, 신라 건국의 세 왕족과 관련이 있었다. 일본 출신인 호공처럼, 탈해도 배를 타고 건너왔다. 그의 출생지인 다파나국의 위치는 일본 열도의 어딘가, 동해 쪽 또는 규슈의 일부로 추정된다.[6] 가미가이토 겐이치에 따르면, 신화에는 여러 내용이 섞여 있을 수 있지만, 탈해는 단바 국의 왕이었으며 옥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는 무역로를 따라 신라에 도착했으며, 석씨 가문이 일본과 무역을 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7]
한편, 삼국유사에 기록된 룡성국은 아이누의 국가로 여겨져 왔으며, 탈해는 아이누인으로 여겨져 왔다.[8]
57년, 유리 이사금의 유언에 따라 왕위에 오른 탈해 이사금은 외교에 힘을 기울여 59년 왜와 수교하고, 61년 마한 장수 맹소(孟召)의 항복을 받았다.[20] 그러나 백제와는 잦은 분쟁을 겪었는데, 63년 음력 10월 백제 다루왕의 만남 제안을 거부하고, 64년에는 백제의 공격을 격퇴했다.[20] 66년 백제에게 와산성을 빼앗겼으나 곧 되찾았고, 70년과 74년에도 백제의 침공을 막아냈다.[20] 75년에는 백제가 와산성을 다시 공격하여 함락되었으나 이듬해 회복하고 백제인 2백 명을 모두 죽였다.[20]
65년 시림(始林)에서 김알지를 얻고 시림을 계림으로 개칭한 뒤 국호로 삼았다.[20] 67년 봄 정월, 박씨 귀족들에게 나라 안의 주(州)와 군(郡)을 나누어 다스리게 했고,[20] 음력 2월에는 순정(順貞)을 이벌찬으로 삼아 정치를 맡겼다.[20] 73년에는 왜인이 목출도(木出島)를 침범했으나 각간(角干) 우오(羽烏)가 전사하였다.[20] 75년 가뭄으로 굶주린 백성을 위해 창고를 열어 곡식을 나누어 주었다.[20]
77년 음력 8월, 아찬 길문(吉門)이 황산진(黃山津) 어구에서 가야군과 싸워 1천 기를 베었다.[20] 79년에는 장군 거도를 파견하여 우시산국(于尸山國)과 거칠산국(居柒山國)을 병합하였다.[20]
80년 가을, 탈해 이사금은 사망하여 성 북쪽 양정구(壤井丘)에 장사 지내졌다.[23] 숭신전(崇信殿)이 세워졌으며 1980년 탈해왕릉 앞으로 옮겨졌다.[23] 사후 9대 왕 벌휴 이사금이 즉위하였으나 연대 차이가 심하여 그의 손자 여부는 불확실하다.[23]
2. 1. 출생 설화
삼국사기에 수록된 석탈해 설화에 따르면, 석탈해는 본래 다파나국(多婆那國) 출신으로, 그 나라 왕이 여국(女國) 왕녀를 아내로 맞아 임신 7년 만에 큰 알을 낳았다. 왕은 사람이 알을 낳는 것은 상서롭지 못하다 하여 알을 버리도록 명했고, 왕비는 비단으로 알과 보물을 싸 궤 속에 넣어 바다에 떠내보냈다.[15] 알은 가락국 바닷가에 닿았으나 가야인들은 괴이하게 여겨 건지지 않았고, 진한의 아진포(阿珍浦) 어구에 이르렀다. 이때가 박혁거세 거서간 즉위 39년, 곧 기원전 19년이었다고 하나,[15] 이 기록은 탈해가 왕위에 오른 57년에 그가 62세였다는 삼국사기의 다른 기록과 모순된다.삼국유사 〈가락국기〉에는 탈해가 가야에 먼저 도래하여 김수로왕과 왕위를 놓고 다투다 패배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용성국(龍城國) 출신인 탈해는 왜국의 동북쪽으로 1천 리 먼 곳에서 왔다고 하며, 북방 신화가 강하게 보이는 것을 보아 함경도, 연해주 또는 우산국(울릉도) 출신이라는 추측과 캄차카 반도 또는 인도에서 왔다는 추측, 그리고 자신을 신성시하기 위해 동해 북쪽 멀리에서 왔다고 하며 용궁 전설을 사용했다는 설이 있다.
석탈해의 출신지인 다파나국과 삼국유사에 기록된 용성국은 정확히 어디인지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학자들은 석탈해가 동해를 거쳐 토함산으로 오면서 철기라는 새로운 문명을 들고 왔다는 점에는 동의하고 있다.[16] 한편, 인도 타밀인으로서 촐라국 출신이라는 주장도 있는데, 다파나는 산스크리트어와 고대 타밀어로 태양을 뜻하는 타파나(Tapana)로 보고, 허황옥 신화처럼 중앙아시아의 유목민족이 인도 불교를 실크로드를 통해 동아시아의 한반도에 전파한 것을 신화로 나타냈다는 설이 있다.[17][18][19]
왜국의 동북쪽 천 리에 있는 다파나국에서 탄생했다는 설, 탈해가 배를 타고 건너온 인물임을 보여주는 삽화 등과 함께, 출생지를 일본 열도 내에 위치한다고 보는 시각이 많으며, 단바국, 탄바국, 히고국타마나군, 스오국사바군 등에 비정하는 설이 있다. 이 외에 『삼국유사』의 용성국을 아이누의 부족 국가로 보는 아이누계 설도 있다.
2. 2. 즉위 과정
24년 남해 차차웅이 죽자, 대보였던 탈해는 본래 덕망이 있어 왕위를 사양하고 유리 이사금이 즉위하였다.[20] 57년, 유리 이사금은 유언을 남겨 자신의 뒤를 이어 탈해가 왕위에 오르게 하였다.[20]2. 3. 치세
탈해 이사금은 즉위 초기에 외교에 힘을 기울여 59년 왜와 수교하였으며, 61년 마한의 장수 맹소(孟召)가 복암성(覆巖城)을 바치고 항복했다.[20] 그러나 백제와는 잦은 분쟁을 겪었는데, 63년 음력 10월 백제의 다루왕이 낭자곡성(娘子谷城)까지 땅을 개척하고 만날 것을 제안했으나 거부했다.[20] 64년 음력 8월에는 백제가 와산성(蛙山城)을, 음력 10월에 구양성(狗壤城)을 공격했으나 기병 2천 명을 내어 쫓았다.[20] 66년 백제는 다시 와산성을 빼앗고 수비병 2백 명을 주둔시켰으나 신라는 곧 다시 빼앗았다.[20] 70년에 다시금 백제의 침공이 있었으나 자세한 것은 전하지 않는다.[20] 74년에는 백제군이 변방을 노략, 탈해가 병사를 보내 격퇴했다.[20] 75년 음력 10월 백제가 와산성을 다시 공격하여 함락되었으나 이듬해 음력 9월 회복하고 백제인 2백 명을 모두 죽였다.[20]신채호는 《삼국사기》의 기록에 의문을 제기했다. 신라는 경주 한 귀퉁이의 조그만 나라이고, 백제는 온조왕 당년에 벌써 마한 50여 나라를 차지하였는데, 신라와 똑같이 해마다 2백 명 정도의 군사를 내었다는 것이다. 또한, 백제가 신라보다 몇 갑절 되는 큰 나라로서 늘 먼저 굴복하였다는 것도 의문이라고 하였다. 백제와 신라 사이에 가라(加羅) 6나라와 사벌(沙伐)·감문(甘文) 등 완충국(緩衝國)이 있었는데 백제가 이들과는 한 번의 충돌도 기록이 없고 도리어 신라를 침범했다는 것도 의문이라고 하였다. 신채호는 신라가 백제를 원망하여 백제가 망한 뒤에 그와 관계된 사적을 많이 고치거나 위조하였으며, 중국의 《삼국지》, 《남사》, 《북사》 등에 신라가 처음에 백제의 결제를 받았다는 기록이 도리어 믿을 만한 기록일 것이라고 주장했다.[20]
65년 시림(始林)에서 김알지(金閼智)를 얻고 시림을 계림으로 개칭한 뒤 국호로 삼았다.[20] 67년 봄 정월에 박씨의 귀척(貴戚)으로써 나라 안의 주·군(州郡)을 나누어 다스리게 했는데, 이름을 주주(州主)·군주(郡主)라 하였다.[20] 음력 2월에 순정(順貞)을 이벌찬으로 삼아 정치의 일을 맡겼다.[20] 73년에는 왜인이 목출도(木出島)를 침범해 각간(角干) 우오(羽烏)를 보내 막았으나 이기지 못하고 우오는 전사하였다.[20] 75년 크게 가물어 백성이 굶주렸으므로 창고를 열어 곡식을 나누어 주어 백성을 구제하였다.[20]
77년 음력 8월에 아찬 길문(吉門)이 황산진(黃山津) 어구에서 가야군과 싸워 1천 기를 베었다고 하나, 공격전이었는지 방어전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20] 79년에는 장군 거도를 파견하여 현재의 울산 울주구, 부산 동래구에 해당하는 우시산국(于尸山國)과 거칠산국(居柒山國)을 병합하였다.[20]
2. 4. 사망과 장례
80년 가을, 탈해 이사금은 사망하여 성 북쪽 양정구(壤井丘)에 장사 지내졌다.[23] 숭신전(崇信殿)이 세워졌으며 1980년 경주시 남쪽 탈해왕릉 앞으로 옮겨졌다.[23] 사후 9대 왕 벌휴 이사금이 즉위하였으나 연대 차이가 심하여 그의 손자 여부는 불확실하다.[23]3. 가계
4. 평가 및 의의
석탈해는 박혁거세, 남해 차차웅, 유리 이사금으로 이어지는 박씨 왕조에서 왕위를 이어받은 최초의 석씨 왕이다. 그는 왜, 백제, 가야 등 주변 세력과의 빈번한 갈등 속에서 왕권 강화와 영토 확장에 힘썼다.[3][4][5][6][7][8][9] 특히 김알지 설화는 신라 김씨 왕조의 기원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후대 신라 왕실의 정통성 확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호공은 신라 건국을 위해 헌신한 최고 관료이자 김알지를 발견한 인물로, 신라 건국의 세 왕족과 관련이 있었다. 그는 일본 출신으로 추정되며, 탈해 역시 배를 타고 건너왔다. 그의 출생지인 다파나국의 위치는 일본 열도의 어딘가, 동해 쪽 또는 규슈의 일부로 추정된다. 가미가이토 겐이치에 따르면, 신화이므로 다른 내용들이 섞여 있을 수 있지만, 신라의 탈해는 단바 국의 왕이었으며 그곳에서 옥을 만들었고 무역로를 따라 신라에 도착했다고 한다. 신화의 세부 사항을 제외하더라도 석씨 가문이 일본과 무역을 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삼국유사''에 기록된 ''룡성국''(龍城國|용성국한국어)은 아이누의 국가로 여겨져 왔으며, 탈해는 아이누의 시민으로 여겨져 왔다.
5. 탈해 이사금을 다룬 작품
참조
[1]
웹사이트
三國史記/卷01 - 维基文库,自由的图书馆
https://zh.wikisourc[...]
2020-07-25
[2]
웹사이트
적녀국(積女國)
https://encykorea.ak[...]
2024-02-10
[3]
문서
삼국사기 제1권 신라본기 제1
[4]
문서
삼국유사 기이 제1
[5]
뉴스
Silla, when giants ruled the peninsula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23-11-18
[6]
간행물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Sungkyunkwan University
[7]
서적
倭人と韓人
Kodansha
2003-11-11
[8]
뉴스
[이희용의 글로벌시대] 귀화 성씨의 어제와 오늘
http://www.yonhapnew[...]
Yonhap News
2017-01-17
[9]
뉴스
Silla, when giants ruled the peninsula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23-11-18
[10]
뉴스
이희용의 글로벌시대 귀화 성씨의 어제와 오늘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7-01-17
[11]
문서
삼국유사
[12]
문서
삼국유사 탈해 이사금 설화
[13]
문서
탈해 이사금 출생지
[14]
웹사이트
태조 성한왕과 탈해 이사금 동일인설
https://db.history.g[...]
[15]
문서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1권 탈해 이사금 조
[16]
뉴스
단군 이후 첫 男산신 ‘석탈해’ 왕으로서도 최초로 동악神 좌정
http://san.chosun.co[...]
조선일보
2016-06-28
[17]
문서
다파나국
[18]
뉴스
뉴스메이커
판디아
2006-08-11
[19]
뉴스
뉴스메이커
https://news.naver.c[...]
2006-08-11
[20]
문서
삼국사기 거도열전
[21]
문서
탈해왕 알 크기
[22]
문서
탈해왕 알 크기
[23]
웹사이트
벌휴이사금
http://100.nate.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