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널 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널 교회는 11세기 초 노르웨이에서 기독교 확산과 함께 등장한 독특한 건축 양식의 교회이다. 초창기에는 땅에 기둥을 박는 방식이었으나, 습기에 약해 돌 위에 나무 기둥을 세우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12세기부터 14세기까지 전성기를 누렸으나, 흑사병과 종교 개혁 이후 쇠퇴하여 석조 교회나 통나무 교회로 대체되었다. 19세기 노르웨이 민족주의 운동과 함께 가치를 재조명받아 보존 노력이 시작되었고, 현재 노르웨이에는 28개의 통널 교회가 남아 있다. 통널 교회는 A형과 B형으로 나뉘며, 내부 구조와 장식에서 바실리카 양식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문의 도상학은 기독교적 상징과 이교적 모티프가 혼합되어 나타나며, 현대에도 보존 및 복원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널 교회 - 보르군드 통널 교회
보르군드 통널 교회는 1180년에서 1250년 사이에 노르웨이에 건설된 가장 오래된 통널 교회 중 하나로, 수직 나무 널빤지 벽, 가파른 지붕, 용머리 장식 등의 독특한 건축 양식을 지니며 노르웨이의 중요한 문화유산이자 건축적 상징으로 여겨진다. - 통널 교회 - 우르네스 통널 교회
우르네스 통널 교회는 1130년경 노르웨이에 지어진 가장 오래된 목조 교회로, 기독교와 바이킹 건축 양식이 혼합된 독특한 우르네스 양식과 북쪽 출입구의 동물 조각으로 유명하며, 여러 차례 증축과 복원을 거쳐 현재는 주요 관광지이다. - 교회 건축 - 금박
금박은 5000년 전 고대 이집트에서 처음 만들어진 금속 박편으로, 내구성과 가소성을 이용하여 장식, 건축, 불상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소량으로 넓은 면적을 장식할 수 있고 식용으로도 사용되지만 순도 및 과다 섭취에 유의해야 한다. - 교회 건축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통널 교회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통널 교회 |
종교 | 기독교 |
위치 | 노르웨이 |
역사 | |
건축 시기 | 12세기 ~ 13세기 |
현존하는 교회 수 | 약 28채 |
중요 보존 지역 |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 등재 고려 중 |
건축 특징 | |
주요 재료 | 목재 |
건축 양식 | 우르네스 스타일 (Urnes style) |
지붕 구조 | 여러 겹의 박공 지붕 |
장식 | 용머리 장식 정교한 목조 조각 |
내부 구조 | 높은 중앙 공간과 주변 통로 |
종류 | |
기둥 수에 따른 분류 | 단일 기둥 교회 (One-post churches) 중간 기둥 교회 (Middle-post churches) 성판 교회 (Stave churches of the A-frame type) |
기타 분류 | 보르군 유형 (Borgund type) 카우팡에르 유형 (Kaupanger type) |
주요 통널 교회 | |
노르웨이 | 보르군 통널 교회 (Borgund Stave Church) 우르네스 통널 교회 (Urnes Stave Church) - 유네스코 세계유산 헤달 통널 교회 (Heddal Stave Church) 링케뷔 통널 교회 (Ringebu Stave Church) 골 통널 교회 (Gol Stave Church) |
스웨덴 | 헤데스타 통널 교회 (Hedared Stave Church) |
기타 지역 | 왕 교회, 카르파치 (왕 교회, 폴란드 카르파치에 위치, 원래 노르웨이 방 교회) |
관련 용어 | |
스타브 | (Stave) - 수직 하중 지지 목재 기둥 |
레그빌 | (Leggvill) - 수평 목재 |
실 | (Sill) - 토대 |
참고 문헌 | |
서적 | Hoftun, Oddgeir (2002). Stavkirkene – og det norske MidtAlerSamfunnet (통널 교회 – 그리고 노르웨이 중세 사회). Kristiansand: Høyskoleforlaget. ISBN 82-7634-417-3. Bugge, Gunnar; Mezzanotte, Bernardino (1993). Stave Churches. Oslo: Roya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SBN 82-7177-139-7. |
2. 역사
스타브 교회는 11세기 초 노르웨이에서 기독교가 확산되면서 등장했다. 초기에는 땅에 직접 기둥을 박는 통널 구조(post church)가 주를 이루었으나, 습기로 인한 부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돌 기초 위에 나무 기둥을 세우는 스타브 구조(stave construction)로 발전했다. 뢰르달 스타브 교회는 이러한 유형의 교회로 여겨진다. 후기 교회에서는 기둥을 돌 기초 위에 놓인 솟아오른 하부 틀 위에 설치했는데, 이것이 가장 성숙한 형태의 스타브 교회이다.
로렌츠 디트릭슨은 스타브 교회가 원래 작았으며 나중에 더 큰 규모로 지어졌다고 보았다. 그는 뫼르 양식의 가장 젊은 교회들이 가장 크다고 지적하며, 79개 교회의 평면도와 면적을 계산했다. 그 결과, 9개 중 가장 큰 교회는 모두 280 m2가 넘는 퓌오르드, 볼다, 노르달이 있는 순뫼레에 있었다. 이는 우르네스, 호페르스타드보다 3배 더 큰 규모이다. 디트릭슨에 따르면, 순뫼레의 스타브 교회의 큰 규모는 부분적으로 나중의 확장의 결과였다.[25] 호콘 크리스티에는 이 뫼르 양식의 교회들이 더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고 다른 양식들보다 크고 길었다고 보았다.[4] 로어 하우글리드는 중세 노르웨이 스타브 교회의 대부분(80–90%)이 단순한 단일 본당 건물(A형)이었으며 대부분 비교적 작았다고 추정했다. 하우글리드는 이들을 "일반적인 노르웨이 스타브 교회"라고 불렀다.[9]
12세기부터 14세기까지 스타브 교회 건축이 절정에 달했으며, 노르웨이 전역에 수천 개의 스타브 교회가 세워졌다. 굴라팅 법과 프로스타팅 법 등 중세 노르웨이 법률은 가톨릭 교회가 석조 건물을 선호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타브 교회가 표준 교회 건축물이었음을 보여준다.[11] 종교 개혁 이전 노르웨이의 모든 목조 교회는 통널로 건설되었다. 통나무 건물은 노르웨이에서 통널 건물보다 더 젊으며, 서기 1000년경 주거 건물에 도입되었다. 통널 건물은 통나무 기술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13][25]
14세기 중반 흑사병의 유행과 종교 개혁 이후 스타브 교회는 점차 쇠퇴하고 석조 교회나 통나무 교회로 대체되었다. 17세기 이후에는 새로운 교회가 거의 건설되지 않았으며, 기존 스타브 교회들도 유지 보수의 어려움과 화재 등으로 인해 많이 파괴되었다. 1800년경에는 노르웨이에 여전히 322개의 통널 교회가 알려져 있었으며, 대부분은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 있었다. 주요 교회가 석조 건물인 경우, 부속 교회는 통널 교회일 수 있었다.[11] 1400년대와 1500년대에는 노르웨이에 새로운 교회가 지어지지 않았다.[21]
19세기에는 노르웨이의 민족주의 운동과 함께 스타브 교회의 가치가 재조명되었고, 보존 노력이 시작되었다. 1950년에서 1970년 사이에 롬 통널 교회와 킨사르비크 교회와 같은 석조 교회 아래에서 더 오래된 건물에서 나온 기둥 구멍이 발견되었으며,[11] 이 발견은 통널 교회의 기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로렌츠 디트리크손은 그의 저서 ''De norske Stavkirker''("노르웨이의 스타브 교회") (1892)에서 스타브 교회가 "로마네스크 양식의 바실리카를 돌에서 나무로 훌륭하게 번역한 것"이라고 주장했다.[25] 페르 요나스 노르드하겐은 바실리카 이론을 거부하지 않지만, 두 가지 경로를 따라 발전했으며 바실리카가 더 크고 기술적으로 더 정교한 교회로 발전했다고 제안했다.[29]
1990년대에는 노르웨이에서 교회 방화 사건이 급증했는데, 이 중에는 판토프트 목조 교회를 비롯한 여러 통널 교회가 포함되었다.[39] 이러한 방화 사건은 주로 노르웨이 블랙 메탈 씬의 멤버들에 의해 저질러졌으며, 이들은 노르웨이의 기독교에 대한 상징적인 "보복"으로 이러한 행동을 묘사했다.[44]
스타브 교회는 역사적 기록, 건축 양식, 연륜 연대기 및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연대를 측정할 수 있다. 2019년에 발표된 광전자 연대 측정법 연구 결과는 사용된 목재의 연도에 대한 조정된 추정치를 제시했다. 우르네스, 코팡에르, 호페르스타드에 있는 교회에 대한 조사가 특히 철저하게 이루어졌다.[59]
2. 1. 한국과의 관계
통널 교회는 한국의 전통 목조 건축, 특히 불교 사찰 건축과 비교 연구될 수 있다. 두 건축 양식 모두 나무를 주재료로 사용하며, 기둥과 보를 결합하는 구조적 특징을 공유한다.[13][25]3. 건축
통널 교회는 노르웨이에서 주로 발견되는 중세 시대 목조 교회 건축 양식이다.
통널 교회는 크게 A형(단일 신랑 교회)과 B형(지붕이 솟은 교회)으로 구분된다. A형 교회는 돌로 된 낮은 기초 위에 4개의 튼튼한 문지방 빔을 놓고, 그 위에 모서리 기둥과 벽 판자를 세워 벽을 구성한다. B형 교회는 4개의 지면 보를 ⌗ 모양으로 배치하고, 그 위에 내부 기둥을 세워 중앙 본당 위에 지붕을 올린다.
로렌츠 디트릭슨은 통널 교회가 원래 작았으며 나중에 더 큰 규모로 지어졌다고 보았다. 그는 건축 기술의 발전을 그 배경으로 생각했다. 그는 뫼르 양식의 가장 젊은 교회들이 가장 크다고 지적하면서, 가장 큰 9개 교회가 모두 순뫼레에 있었다고 언급했다. 호콘 크리스티에 따르면, 이 뫼르 양식의 교회들은 더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고 다른 양식들보다 크고 길었다. 로어 하우글리드는 중세 노르웨이 통널 교회의 대부분(80–90%)이 단순한 단일 본당 건물(A형)이었으며 대부분 비교적 작았다고 추정했다.
과거 유럽 북서부에 많이 존재했지만, 현재는 대부분 석조의 근대적인 교회로 재건축되어, 가장 많이 남아있는 노르웨이 국내에서도 불과 28동[63]만 남아있다. 노르웨이 국외에 남아있는 중세 시대의 스타브 교회는 15세기에 스웨덴의 헤다레드에 세워진 헤다레드 통널 교회, 노르웨이에서 건축되어 1842년에 독일의 크룸휘벨 (현 폴란드의 카르파츠)로 이전한 방 통널 교회, 영국의 에식스 주 그린스테드에 남아있는 성 안드류 교회, 3동 뿐이다.
3. 1. 건축 기술

통널 교회(Stave Church) 건축 기술은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울타리 구조물과 흙에 박힌 기둥이 있는 후기 교회에서 유래되었음이 밝혀졌다. 바이킹 시대 건물에서도 비슷한 울타리 구조가 발견된다.
통나무를 반으로 쪼개어 땅에 박거나 박고 지붕을 얹는 방식은 단순하지만 매우 튼튼했다. 자갈에 박으면 벽은 수십 년, 심지어 수 세기 동안 지속될 수 있었다. 마리아 마이너 교회의 고고학적 발굴에서 이러한 여러 교회의 기둥 구멍이 발견되었다.
기둥 교회에서는 벽이 받침대로 지지되어 기둥만 땅에 박혀 있었다. 이러한 교회는 기둥이 있던 자리에 뚜렷한 구멍을 남겨 고고학 유적지에서 쉽게 발견된다. 때때로 일부 목재가 남아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또는 연륜 연대 측정을 사용하여 교회의 연대를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우르네스 스타브 교회 아래에서 이러한 두 교회의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가장 오래된 교회 구조물 아래에서 기독교 무덤이 발견되었다. 헴세 스타브 교회 아래에서는 울타리 구조의 단일 교회가 발견되었다.
이후 땅에 박힌 기둥이 습기에 취약하여 썩는다는 것을 알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둥을 큰 돌 위에 올려 수명을 크게 늘렸다. 뢰르달 스타브 교회가 이러한 유형으로 여겨진다. 후기 교회에서는 기둥을 돌 기초 위에 놓인 솟아오른 하부 틀 위에 설치했다. 이것이 가장 성숙한 형태의 통널 교회이다.
통널 교회는 독립 기둥이 없는 A형과 지붕이 솟아 있고 독립된 내부 기둥이 있는 B형으로 분류된다. B형은 다시 카우팡거 스타브 교회 그룹과 보르군 스타브 교회 그룹으로 나뉜다. 카우팡거 그룹은 측면을 따라 전체 아케이드 기둥 열과 중간 기둥이 있으며, 돌 주두를 모방한 디테일을 가지고 있어 바실리카의 인상을 준다. 보르군 그룹은 기둥이 중간 지점에서 반원형 홈이 있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수평 이중 "핀서 빔"으로 연결되어 양쪽에서 기둥 열을 잡고 있다. 기둥과 위쪽 및 아래쪽 핀서 빔 사이에 가로 버팀대가 삽입되어 매우 견고한 상호 연결을 형성하며, 돌 바실리카의 트리포리움과 유사하다. 이 설계로 중간 기둥의 독립된 하부 부분을 생략할 수 있었다.
많은 통널 교회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외곽 갤러리 또는 순례 통로가 있었거나 지금도 있는데, 이는 판자벽에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는 혹독한 기후로부터 교회를 보호하고 행렬을 위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A형 교회의 기초에는 돌로 된 낮은 기초 위에 4개의 튼튼한 문지방 빔이 있고, 이들은 모서리 노치에서 상호 연결되어 단단한 문지방 프레임을 형성한다. 모서리 기둥은 하단에서 교차 절단되어 모서리 노치 위에 맞물리고 이를 덮어 습기로부터 보호한다. 문지방 빔 위에는 벽 판자의 하단이 들어 맞는 홈이 있고, 마지막 벽 판자는 쐐기 모양이며 제자리에 박혀 있다. 벽이 판자로 채워지면 프레임은 벽 판자의 상단 끝을 고정하는 홈이 있는 벽 판자로 완성된다. 전체 구조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돌 기초 위에 놓인 문지방 프레임과 문지방, 모서리 기둥 및 벽 판자로 구성된 4개의 벽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벽 판자는 주 서까래 한 쌍과 교차하는 "가위 서까래" 한 쌍으로 구성된 지붕 트러스를 지지한다. 측면 버팀을 위해 추가 나무 브래킷이 서까래 사이에 삽입된다. 모든 조각은 다른 조각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되어 매우 견고한 구조를 만든다. 그러나 혹독한 날씨에 취약한 모든 지점은 덮여 있다.
- '''단일 예배당 교회'''는 정사각형 예배당과 더 좁은 정사각형 성가대석을 가지고 있다. 12세기 초에 흔했다.
- '''장방형 교회'''는 예배당과 성가대석의 폭이 같은 직사각형 평면을 가지고 있다. 예배당은 일반적으로 전체 길이의 2/3를 차지한다. 13세기 말에 흔했다.
- '''중앙 기둥 교회'''는 지붕 구조에 연결되어 꼭대기까지 닿는 단일 중앙 기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붕은 A형 교회의 중앙 부분이 솟아 있지 않은 단순한 엉덩이 지붕이다. 노르웨이의 누메달과 할링달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유형의 교회에 대한 이러한 변형은 12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노르웨이의 단일 예배당 교회로는 그립, 할토렌, 운드레달, 헤달, 레인리, 에이드스보르, 롤라그, 우브달, 노레, 호이요르, 뢰르달, 가르모가 있다. 노르웨이 외부에 남아있는 이 유형의 유일한 교회는 스웨덴의 헤다레드 교회이며, 할토렌 교회와 유사점을 보인다.
석조 기초 위에 네 개의 거대한 지면 보가 기호처럼 배치되어 있으며, 그 끝은 교차하는 맞춤 이음에서 1~2미터 정도 튀어나와 있다. 이 보의 끝은 외부 벽의 문지방을 지지하여 별도의 수평 프레임을 형성한다. 높은 내부 기둥은 내부 지면 보 프레임 위에 배치되어 중앙 본당 위에 있는 주요 지붕을 지지한다. 문지방의 외부 프레임에는 주요 벽 판자가 놓여 있으며, 중앙 공간을 둘러싼 펜티스 또는 통로 위의 지붕을 지지한다. 따라서 지붕은 바실리카처럼 두 단계로 기울어져 있다. 높은 내부 기둥은 괄호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통로 서까래로 외부 벽에도 연결되어 있어 측면으로 튼튼한 구조를 만든다. 기둥 상단에 가까울수록, 그 사이에 삽입된 짧은 문지방이 위쪽 벽을 지지한다. 기둥 상단에는 벽판이 싱글 네이브 교회와 유사한 지붕 트러스를 지지한다.
'''카우팡에르 그룹'''은 카우팡에르, 우르네스, 호페르스타드, 롬으로 구성된다.
'''보르군 그룹'''은 보르군, 골, 헤게, 회레, 로멘, 링게부, 외예로 구성된다.
과거 유럽 북서부에 많이 존재했지만, 현재는 대부분 석조의 근대적인 교회로 재건축되어, 가장 많이 남아있는 노르웨이 국내에서도 불과 28동[63]만 남아있다.
3. 1. 1. 통널 공법 (Palisade Work)

통널 공법은 가장 오래된 기술로, 방을 둘러싸고 지붕을 지탱하는 흙 기둥이나 널빤지로 이루어진 자립형 벽 구조이다.[1] 쪼개진 통나무를 사용하면 벽 내부를 평평하게 만들고, 가장자리를 수평으로 맞추거나 맞물림 홈을 만들 수 있었다. 통널 교회는 노르웨이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초기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기둥이나 널빤지에 타르를 칠하고 하단을 태웠다. 통널 줄은 종종 돌로 채워진 도랑에 배치되었다. 이 기술은 지난 천년이 시작되기 전에 사라진 것으로 오랫동안 여겨졌지만,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12세기 초까지 사용되었다.
이 기술로 남아 있는 유일한 구조물은 잉글랜드 그린스테드 교회 중앙 부분에 있는 벽이다. 이 때문에 이 교회는 오랫동안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구조물로 여겨졌다. 교회의 일반적인 연대는 서기 845년경이었지만, 현대의 연륜 연대기 연대 측정법에 따르면 교회 건축 연대는 서기 1053년 이후 (+10 / −55년)이다.[1]
3. 1. 2. 기둥 공법 (Post Technique)

기둥 판자를 땅에서 들어 올려 더 강력한 모서리 또는 중간 기둥 사이에 고정된 침목 위에 놓음으로써 부패 손상의 위험을 줄였다.[2] 거친 둥근 목재의 흙 더미는 썩기 전에 비교적 오랫동안 견딜 수 있었으며, 조기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하단을 태웠을 수도 있다.
이전 기둥의 잔재가 있는 기둥 구멍은 여러 목조 교회 아래 또는 근처, 그리고 전설에 따르면 교회가 있었음에 틀림없는 장소에서 발견되었다. 노르웨이에서 약 25개의 기둥 건물 잔해가 확인되었으며, 7~8개의 더 많은 간접적인 흔적이 있다. 메레와 킨사르비크와 같은 석조 교회 아래에서도 기둥 교회의 잔해가 발견된다.[2]
노르웨이의 가장 초창기 교회 중 다수가 이 기술을 사용하여 지어졌지만, 그러한 건물은 살아남지 못했다. 유한한 수명이 침목이 있는 실제 목조 교회로 대체된 이유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여러 목조 교회에서 발견된 일부 오래된 재료는 특히 러스터의 우르네스 목조 교회에서 초기 기둥 교회에서 유래된 것으로 생각되며, 이곳에서는 urn 양식의 나무 창고가 있는 많은 건물 부품이 더 오래된 교회에 속했을 것이다. 현재는 재사용된 건물 부품이 원래 현재 교회의 전신에 속했던 것으로 증명되었으며, 연륜 연대 측정법으로 1070–1080년 기간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기둥 교회가 아니라 모서리 기둥과 벽 판자가 침목 위에 서 있는 실제 목조 교회였다.[3]
호콘 크리스티는 기둥이 아래에서 썩어서 기둥 구조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고 가정했다.[4] 요르겐 H. 옌세니우스는 고고학적 자료가 크리스티의 가설을 명확하게 뒷받침하지 못한다고 믿고 있다. 크기 변경 또는 석조 교회로의 전환 역시 발굴된 기둥이 사용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로르달 목조 교회는 1913년까지 땅에 박힌 기둥이 있었을 수 있다. 롬 목조 교회에서는 돌 기초가 채워진 기둥 구멍 위에 거의 직접 놓였다. 옌세니우스는 다른 기초 방법을 제외하고, 기둥 교회가 본질적으로 목조 교회와 유사하다고 믿는다.[5]
3. 1. 3. 스타브 공법 (Stave Work)
하중 지지 구조에 수직 목재를 사용하는 중세 시대 건물 중, 우리 시대까지 남아 있는 것은 스타브 공법이라는 가장 발전된 건축 방식으로 지어진 교회뿐이다.[6] 전체 구조를 석조 기초 위에 들어 올리고 기둥을 침목 위에 놓음으로써 구조물의 수명이 크게 연장되었다.[7] 이 기술은 11세기 초에 개발되었지만, 현재의 통널 교회의 전신에서만 증명되었다. 이것은 또한 실제 통널 교회였는데, 모서리 말뚝과 타일 모두 기존 교회의 기초로 재사용된 침목 위에 놓여 있었기 때문이다.[7]기둥의 기반으로 돌은 로마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침목에 추가적인 벽은 400년대와 600년대부터 사용되었을 수 있다.[8] 교회의 하중을 지탱하는 굵은 기둥 (고대 노르드어: stafr, 현대 노르웨이어: stav)이 그대로 건축 기술의 이름이 되었다.

3. 2. 구조
A형 교회는 돌로 된 낮은 기초 위에 4개의 문지방 빔을 놓고, 그 위에 모서리 기둥과 벽 판자를 세워 벽을 구성한다. 문지방 빔 위에는 벽 판자의 하단이 들어 맞는 홈이 있고, 벽이 판자로 채워지면 프레임은 벽 판자의 상단 끝을 고정하는 홈이 있는 벽 판자로 완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돌 기초 위에 놓인 문지방 프레임과 문지방, 모서리 기둥 및 벽 판자로 구성된 4개의 벽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매우 견고하다. 모든 조각은 다른 조각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다.
- '''단일 예배당 교회'''는 정사각형 예배당과 더 좁은 정사각형 성가대석을 가진다. 12세기 초에 흔했다.
- '''장방형 교회'''(노르웨이어: '''Langkyrkje''')는 예배당과 성가대석의 폭이 같은 직사각형 평면을 가지며, 예배당은 일반적으로 전체 길이의 2/3를 차지한다. 13세기 말에 흔했다.
- '''중앙 기둥 교회'''(노르웨이어: '''Midtmastkyrkje''')는 지붕 구조에 연결되어 꼭대기까지 닿는 단일 중앙 기둥을 가지지만, 지붕은 A형 교회의 중앙 부분이 솟아 있지 않은 단순한 엉덩이 지붕이다. 누메달 (Numedal)과 할링달 (Hallingdal)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유형으로 12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노르웨이의 단일 예배당 교회는 그립, 할토렌, 운드레달, 헤달, 레인리, 에이드스보르, 롤라그, 우브달, 노레, 호이요르, 뢰르달, 가르모 등이 있다.
B형 교회는 4개의 지면 보를 모양으로 배치하고, 그 위에 내부 기둥을 세워 중앙 본당 위에 지붕을 올린다. 높은 내부 기둥은 괄호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통로 서까래로 외부 벽에도 연결되어 측면으로 튼튼한 구조를 만든다. 기둥 상단에는 짧은 문지방이 삽입되어 위쪽 벽을 지지하고, 기둥 상단에는 벽판이 싱글 네이브 교회와 유사한 지붕 트러스를 지지한다.

'''카우팡에르 그룹'''은 카우팡에르, 우르네스, 호페르스타드, 롬으로 구성된다.
'''보르군 그룹'''은 보르군, 골, 헤게, 회레, 로멘, 링게부, 외예로 구성된다.
4. 장식
통널 교회는 바이킹 시대의 전통적인 목조 조각과 기독교적인 상징이 혼합된 독특한 장식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식은 주로 용, 식물 덩굴, 동물 문양 등으로 표현되며, 우르네스 스타브 교회의 문 조각은 특히 '우르네스 양식'으로 불리며 섬세하고 역동적인 표현으로 유명하다.[52]
약 140개의 스타브 교회에서 포털(portal, 출입구) 또는 포털의 일부가 보존되어 있는데, 형태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유형 | 설명 | 수량 |
---|---|---|
단순 프로파일 포털 | 단순한 프로파일 또는 필라스터(pilaster, 벽기둥)로 틀을 이루는 출입구. 주로 끈 문에 사용됨. | 약 20개 |
기둥 포털 | 석조 건축에서 파생. 아치볼트(archivolt, 아치형 곡면 장식)를 지지하는 전체 또는 반 기둥이 있으며, 받침대와 주두가 있음. 정문과 내부 횡단면에 모두 사용됨. | 약 40개 |
빔 포털 | 두 개의 포털 판과 연속적인 장식이 있는 상단 조각으로 구성. 상단 부분은 2~5개의 수평 판으로 구성되며, 혀와 홈으로 서로 접혀 있음. 출입구를 측면에 둔 서 있는 벽 판에 의해 지지됨. | 75개 이상 |
대부분의 포털은 로마네스크 양식이며, 고딕 양식의 특징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포털이 칠해졌을 가능성이 있지만, 확실하게 확인하기는 어렵다. 현재 칠해진 포털의 페인트는 비교적 새로운 것으로 보인다.
4. 1. 도상학
대부분의 통널 교회 문에는 용, "사자", 덩굴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성경 이야기보다는 마법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다.[53] 사자는 악과 싸워 이기는 그리스도를 나타낼 수 있다는 해석도 있다.[52] 헴세달 스테이브 교회의 서쪽 문에는 성 올라프의 순교를 묘사한 기독교적 모티프가 나타난다.[50][51]통널 교회 문의 공통적인 특징은 기념비적이며 고통을 막는 마법을 상징할 수 있는 싸우는 용의 모습이다. 부게(Bugge)는 이것이 기독교적 해석에서의 이교도적 도상학일 수 있다고 보았다.[53] 소그-발드레스(Sogn-Valdres) 문에서 사자는 기독교를 상징하는 덩굴로 대체되기도 하는데, 이는 요한복음 15장 5절("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라")을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홀러(Hohler)는 이러한 해석에 반대하며,[54] 문이 종교적 내용보다는 의뢰인이나 건축가의 의도를 나타내는 지배적인 모티프를 그린 것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그녀는 클레르보의 베르나르(Bernhard of Clairvaux)가 기독교 맥락에서 동물의 사용을 반대했음을 언급하며, 로마네스크 예술의 동물 모티프가 종교적 중요성이 거의 없고, 문은 순수한 통치자의 상징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호프툰(Hoftun)은 소위 이교도 문 모티프 중 많은 부분이 명확한 기독교적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노르웨이 통널 교회의 모티프가 스웨덴과 덴마크의 로마네스크 교회 문, 돌 세례반과 같은 다른 로마네스크 교회 예술에서 발견되는 모티프와 원칙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보았다.[56]
다른 연구자들은 통널 교회 문이 영국의 예술, 필사본, 석조 조각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본다.[57] 이러한 필사본 중 일부는 기독교적 우화 내용을 담은 동물 우화집(동물 우화집(bestiaries))이다. 동물 우화집(bestiaries)의 기원은 2세기에 알렉산드리아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진 ''피지올로구스(Physiologus)''이다.
다음은 통널 교회 문에 나타나는 동물 도상에 대한 몇 가지 예시이다.




5. 현대의 스타브 교회
20세기 이후 스타브 교회(통널 교회)의 보존과 복원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노르웨이 정부는 '스타브 교회 프로그램'을 통해 전통 재료와 기술을 사용하여 스타브 교회를 보존하고 있다.
2001년, 국립 유산 위원회는 통널 교회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의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63]
- 통널 교회를 복원하여 후대에 보존한다.
- 장식과 교회 예술품을 보존한다.
- 연구 및 유실된 부분의 재건을 위한 기초 자료로 통널 교회에 대한 문서를 보완한다.
프로그램의 결과는 2008년 보고서에 문서화되었다. 교회의 하중을 지탱하는 굵은 기둥 (고대 노르드어: stafr, 현대 노르웨이어: stav)은 그대로 건축 기술의 이름이 되었다. 과거에는 유럽 북서부에 많이 존재했지만, 현재는 대부분 석조의 근대적인 교회로 재건축되었다.[63] 노르웨이 외 지역에서도 스타브 교회의 아름다움과 역사적 가치를 기리기 위해 복제품이 건설되고 있다.
5. 1. 목록
노르웨이에는 보르군, 우르네스, 헤달, 롬 등 28개의 스타브 교회가 남아있다.[14] 노르웨이 외에는 스웨덴의 헤다레드 스타브 교회, 폴란드의 방 스타브 교회, 영국의 그린스테드 교회가 있다.교회 이름 | 위치 | 건축 시기 |
---|---|---|
보르군 | 송노피오라네 | 12세기 말 |
에이즈보르 | 텔레마르크 | 13세기 중반 |
플레스베르그 | 부스케루 플레스베르그 | 1200년경 |
가르모 | 오플란 | 1150년경 |
골 | 부스케루 골 (현재 오슬로 노르웨이 문화사 박물관에 위치) | 1212년 |
그립 | 뫼레오그롬스달 | 15세기 후반 |
할탈렌 | 쇠르-트뢰넬라그 | 1170년~1179년 |
헤달 (오플란) | 오플란 | 12세기 후반 |
헤달 (텔레마르크) | 텔레마르크 | 13세기 초 |
헤게 | 오플란 | 1216년 |
호페르스타드 | 송노피오라네 | 1140년 |
회레 | 오플란 | 1179년 |
회위요르 | 베스트폴 안데뷔 | 12세기 후반 |
코우팡에르 | 송노피오라네 | 1190년 |
크베르네스 | 뫼레오그롬스달 | 14세기 후반 |
로멘 | 오플란 | 1179년 |
롬 | 오플란 | 1158년 |
노레 | 부스케루 노레오우브달 | 1167년 |
외예 | 오플란 | 12세기 후반 |
레인리 | 오플란 | 1190년 |
링게부 | 오플란 | 13세기 1/4분기 |
롤라그 | 부스케루 롤라그 | 12세기 후반 |
뢰드벤 | 뫼레오그롬스달 | 1200년경 |
뢸달 | 호르달란 | 13세기 전반 (기둥 교회일 수도 있음) |
토르포 | 부스케루 올 | 1192년 |
운데르달 | 송노피오라네 | 12세기 중반 |
우르네스 | 송노피오라네 | 12세기 전반 (유네스코 세계 유산) |
우브달 | 부스케루 우브달 | 1168년 |
참조
[1]
웹사이트
British Archaeology, no 10, December 1995: News
http://www.britarch.[...]
[2]
논문
De første kirkene i Norge. Kirkebyggingen og kirkebyggere før 1100-tallet.
Universitetet i Oslo
2009
[3]
문서
Krogh 2011 s. 166–170
[4]
서적
Stavkirkene – arkitektur
http://urn.nb.no/URN[...]
1981
[5]
간행물
Bygningstekniske og arkeologiske bemerkninger om trekirker i Norge i vikingtid og middelalder
Collegium Medievale
2010
[6]
문서
Christie 1974 s. 15
[7]
문서
Krogh 2011 s. 74–98
[8]
논문
Trekirkene før stavkirkene.
Arkitekthøyskolen i Oslo
2001
[9]
문서
Hauglid, 1976, s.339–344.
[10]
웹사이트
Verdifulle stavkirker : Riksantikvaren
http://www.riksantik[...]
Riksantikvaren.no
2010-04-30
[11]
서적
Middelalder i tre, Stavkirker
ARFO forlag
2005
[12]
서적
Med kleber og kalk. Norsk steinbygging i mellomalderen.
Samlaget
1997
[13]
문서
Bugge and Mezzanotte, 1994, p. 17.
[14]
서적
Norwegian Stave Churches: A Guide to the29 Remaining Stave Churches
ARFO
[15]
서적
En arv i tre: de norske stavkirkene
Aschehoug
1993
[16]
간행물
Stolper og staver i bygningsteknisk sammenheng.
Norsk institutt for kulturminneforskning
1999
[17]
서적
Takverk i steinkirker fra middelalderen.
Program for forskning om kulturminnevern, Norges forskningsråd
1993
[18]
간행물
Kyrkjehus i ei norrøn homilie
By og Bygd
1976
[19]
서적
Gammelnorsk homiliebok.
Universitetsforlaget
1971
[20]
서적
Gulatingslovi.
Samlaget
1952
[21]
서적
Norsk trearkitektur.
Gyldendal
1947
[22]
서적
Gamle kyrkjer i ny tid
Samlaget
1975
[23]
서적
Heddal stavkirke
http://urn.nb.no/URN[...]
Grøndahl
1954
[24]
간행물
Urnes stavkirkes forløper belyst ved utgravninger under kirken
Foreningen til norske Fortidsminnesmerkers bevaring, Årbok
1958
[25]
서적
De norske stavkirker: studier over deres system, oprindelse og historiske udvikling : et bidrag til Norges middelalderske bygningskunsts historie.
Cammermeyer
1892
[26]
문서
Dietrichson (1892) p. 82
[27]
문서
Dietrichson (1892) p, 83
[28]
서적
Stavkirkene: deres egenart og historie
Cappelen
1997
[29]
서적
Stavkyrkjene
Samlaget
2003
[30]
문서
Bugge og Norgberg-Schultz, 1994, s. 35.
[31]
문서
Islands gudehove
Stenberger
1943
[32]
문서
Hørg, hov og kirke
[33]
논문
Trekirkene før stavkirkene.
Arkitekthøyskolen i Oslo
2001
[34]
문서
Nordhagen 2003
[35]
서적
Fire kirkesteder i Romsdal
Universitetet i Bergen
2014
[36]
서적
Myths and Symbols in Pagan Europe : Early Scandinavian and Celtic Religions
Syracuse University Press
1988
[37]
논문
Norwegian Stave Churches and Their Pagan Antecedents
1997
[38]
뉴스
Norwegian Church Draws Black Metal Fans
https://www.blabberm[...]
2020-10-13
[39]
웹사이트
3 JANUARY 2018J.A. CAMERON Black metal church burnings: a historical view
https://stainedglass[...]
2024-01-06
[40]
비디오
Satan rir Media
Grude, Torstein
1998
[41]
웹사이트
Øystein 'Euronymous' Aarseth
https://web.archive.[...]
2009-10-10
[42]
기타
"#REDIRECT Count' Regrets Nothing"
http://www.burzum.or[...]
[43]
비디오
Until the Light Takes Us
Variance Films
2009
[44]
웹사이트
How the black metal scene in Norway led to the arson of over 50 churches
https://dailyhive.co[...]
2024-01-06
[45]
비디오
Once Upon a Time in Norway
Another World Entertainment
2007
[46]
기타
Kristiansen
[47]
웹사이트
Startside kirken.no
http://www.kirken.no[...]
2018-03-18
[48]
웹사이트
Startside kirken.no
http://www.kirken.no[...]
2018-03-18
[49]
기타
The Expressive Capacity of the Timber Frame
http://epress.lib.ut[...]
School of Geography, Planning and Architecture, Faculty of Engineering, Physical Sciences and Architecture, University of Queensland, QLD 4072, Australia
2013-11-02
[50]
기타
The west portal in Hemsedal Stave Church is preserved
http://www.khm.uio.n[...]
[51]
기타
Hoftun 2002; 2008
[52]
기타
Anker 2005
[53]
기타
Anker 1997
[54]
기타
Anker 2005
[55]
기타
Paulsson 1969
[56]
기타
Hoftun 2002; 2008
[57]
기타
Anker 1997
[58]
기타
Lindkvist 1997
[59]
웹사이트
Stavkirker i Norge er eldre enn antatt
https://gemini.no/20[...]
2019-10-31
[60]
웹사이트
Eit lite hol avslørte ein stor hemmelegheit
https://www.nrk.no/m[...]
2019-12-11
[61]
간행물
Stavkirkeprogrammet 2001–2015. Hva har skjedd så langt?
https://ra.brage.uni[...]
2008
[62]
서적
The Church Explorer's Handbook
Canterbury Press Ltd
2005
[63]
문서
リストによっては29棟などとなっ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