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투발루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발루어는 투발루의 공용어로, 프로토폴리네시아어에서 유래한 언어이다. 사모아어, 길버트어, 영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음운 체계는 5개의 모음과 10~11개의 자음으로 구성된다. 동사, 명사, 형용사, 부사의 어순은 유연하며, VSO 어순을 주로 사용한다. 투발루어는 두 개의 방언군으로 나뉘며, 문학 작품으로는 성경, 찬송가, 사전 등이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투발루가 위협받으면서, 언어 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발루의 언어 - 영어
    영어는 앵글로색슨족의 언어에서 유래하여 잉글랜드에서 발전한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대영제국과 미국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폴리네시아어군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폴리네시아어군 - 마오리어
    마오리어는 뉴질랜드 원주민 마오리족의 언어로, 뉴질랜드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며,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고, 영어의 영향으로 쇠퇴했으나 부흥 운동을 통해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고, 뉴질랜드 문화적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투발루어
언어 정보
이름투발루어
원어 이름Te Ggana Tuuvalu (남부 방언), Te Gagana Tuvalu (북부 방언)
사용 국가투발루, 피지, 키리바시, 나우루, 뉴질랜드
사용 인구투발루 내 10,600명 (2015년), 뉴질랜드 내 2,350명 (2013년)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대양주어군
어계폴리네시아어군
방언남부 방언, 북부 방언
문자로마자
공용어 지정 국가투발루
ISO 639-1없음
ISO 639-2tvl
ISO 639-3tvl
글롯토로그tuva1244
글롯토로그 명칭투발루
IETF 언어 태그tvl-TV
위험도소멸 위기 언어
분포
투발루 위치 (폴리네시아 중심)
투발루어 사용 지역 (투발루)
소멸 위기 언어
투발루어는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지도에서 "심각한 위기"로 분류됨
음운
참고국제음성기호
문화
관련 문화투발루의 문화
관련 항목투발루 관련 주제 템플릿
역사투발루의 역사
요리투발루 요리

2. 명칭

투발루어 원어민은 자신들의 언어를 다양하게 부른다. 투발루어 자체로는 "te ggana Tuuvalutvl"라고 하는데, 이는 "투발루어"를 뜻하며, 보다 비공식적으로는 "te ggana a tatoutvl"라고 하여 "우리 언어"를 의미한다.[2] 바이투푸와 푸나푸티 방언은 함께 표준어로서 "te 'gana māsanitvl"라고 불리는데, 이는 '공용어'를 의미한다.[2] 과거 투발루는 엘리스 제도로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투발루어는 '엘리스어' 또는 '엘리시안'으로도 알려져 있다.[6]

3. 역사

다른 폴리네시아어와 마찬가지로 투발루어는 역사언어학자들이 프로토폴리네시아어라고 부르는 조상 언어에서 유래했으며, 이 언어는 약 2,000년 전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 언어적 영향

투발루어는 미크로네시아어군에 속하는 길버트어와 사모아어, 그리고 점점 더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영어와 상당한 접촉을 해왔다. 길버트어는 누이 섬에서 모어로 사용되었으며, 길버트 제도 식민 통치 시기 투발루인들에게 중요한 언어였다. 사모아어는 선교사들에 의해 도입되어 투발루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19세기 오세아니아 전역의 집중적인 식민화 기간 동안, 투발루어는 사모아인 선교 목사들의 영향을 받았다. 투발루인들을 "기독교화"하려는 시도에서, 사모아어는 공식적인 정부 문서, 읽고 쓰기 교육, 그리고 교회 내에서 사용되면서 널리 사용되었지만, 1950년대에 투발루어로 대체되었다.[7]

영어의 영향은 제한적이었지만 증가하고 있다. 1970년대 정치적 독립 이후, 투발루의 경제적 생존을 위해 영어 지식의 중요성이 커졌다. 영어 구사 능력은 국제적인 의사소통에 중요하며, 종종 비즈니스 및 정부 환경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5. 음운

투발루어의 음운은 5개의 모음(/i/, /e/, /a/, /o/, /u/)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각각 단모음과 장모음으로 나뉜다. 이중모음은 존재하지 않아 모든 모음은 각각 발음된다. 예를 들어, taeao|내일tvl은 네 개의 음절(ta-e-a-o)로 발음된다.

투발루어의 자음은 방언에 따라 10개 또는 11개의 자음(p, t, k, m, n, ŋ, f, v, s, h, l)으로 구성된다. 모든 자음은 짧은 형태와 긴 형태(장음)로 존재하며, 이는 대조적이다. 음소 ŋ는 g로 표기된다.[1]

대부분의 폴리네시아어처럼 투발루어의 음절은 V 또는 CV 형태이다. 모음과 자음 모두 장음과 단음이 존재한다. 어말 자음은 허용되지 않지만, 자음 위치에 대한 제약은 없다. 자음 군집은 존재하지 않는다.[1]

투발루어는 사모아어와 길버트어에서 차용어를 받아들였고 이들은 이미 투발루어 음운 체계에 맞춰졌다. 최근에는 영어에서 외래어를 차용하고 있으며, 오래전에 차용된 영어 단어일수록 표준 음운 체계에 더 잘 적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

강세는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온다. 축약된 자음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다.[8]


  • 복수화: 예시로 nofo|노포tvl (앉다, 단수)와 nnofo|노포tvl (앉다, 복수)가 있다.
  • 중복된 음절의 축약: 예시로 북부 방언에서 lelei|렐레이tvl (좋은)는 남부 방언에서 llei|레이tvl가 된다.
  • 정관사 te|테tvl의 축약: 예시로 te tagata|테 타가타tvl (그 남자)는 ttagata|타가타tvl가 된다.
  • 두 단어의 의미 차이 구분: 예시로 mmala|말라tvl (익힌 것)와 mala|말라tvl (역병)가 있다.


장모음은 복수화 또는 의미 차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5. 1. 모음

투발루어의 음운 체계는 5개의 모음(/i/, /e/, /a/, /o/, /u/)으로 구성된다. 모든 모음은 단모음과 장모음으로 나뉘며, 이는 대립쌍을 이룬다.

모음
rowspan="2" |단모음장모음
전설후설
고모음i|i영어u|u영어iː|iː영어uː|uː영어
중모음e|e영어o|o영어eː|eː영어oː|oː영어
저모음a|a영어aː|aː영어



이중모음은 없으므로 모든 모음은 각각 발음된다. 예를 들어, taeao|내일tvl은 네 개의 별개의 음절(ta-e-a-o)로 발음된다.

5. 2. 자음



투발루어의 음운 체계는 방언에 따라 10개 또는 11개의 자음(p, t, k, m, n, ŋ, f, v, s, h, l)으로 구성된다. 모든 자음은 짧은 형태와 긴 형태(장음)로 존재하며, 이는 대조적이다. 음소 ŋ는 g로 표기된다. 다른 모든 음은 IPA 기호에 해당하는 문자로 표기된다.[1]

5. 3. 음소 배열

대부분의 폴리네시아어와 마찬가지로 투발루어의 음절은 V 또는 CV일 수 있다. 모음과 자음 모두 장음과 단음이 있다. 음절 제약에 따라 어말 자음은 허용되지 않지만, 자음의 위치에 대한 제약은 없다. 투발루어에는 자음 군집이 존재하지 않는다.

5. 4. 차용어의 음운

투발루어 음운 체계에서 어떤 음소가 외래어에만 국한되는 경우는 없다. 현재 투발루어가 외래어를 차용하는 유일한 언어는 영어이며, 사모아어와 길버트어에서 온 차용어들은 이미 투발루어 음운론에 맞춰 적응되었다. 오래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영어 차용어는 최근에 차용된 것보다 표준 음운론에 적응되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1]

5. 5. 강세, 중복 및 장음

강세는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있다. 축약된 자음은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한다.

  • 복수화: 예시로 nofo|노포tvl (앉다, 단수)와 nnofo|노포tvl (앉다, 복수)가 있다.
  • 중복된 음절의 축약: 예시로 북부 방언에서 lelei|렐레이tvl (좋은)는 남부 방언에서 llei|레이tvl가 된다.
  • 정관사 te|테tvl의 축약: 예시로 te tagata|테 타가타tvl (그 남자)는 ttagata|타가타tvl가 된다.
  • 두 단어의 의미 차이 구분: 예시로 mmala|말라tvl (익힌 것)와 mala|말라tvl (역병)가 있다.[8]


장모음은 복수화 또는 의미 차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6. 어순

많은 폴리네시아어와 마찬가지로 투발루어는 일반적으로 동사-주어-목적어(VSO) 어순을 사용하며, 동사 앞에는 종종 동사 표지가 붙는다. 그러나 어순은 매우 유연하며, VSO 규칙에 따르는 문장보다 예외가 더 많다. 베스니어(134쪽)는 VSO가 통계적으로 가장 빈도가 낮은 어순이고, 목적어-동사-주어(OVS)가 가장 빈번한 어순이지만, 여전히 VSO가 통사적으로 기본값이라고 생각한다.[8] 1인칭 대명사나 고유명사를 강조해야 할 경우, 동사 앞에 배치하여 주어-동사-목적어(SVO) 구조가 될 수 있다.[8]

7. 형태론

투발루어에는 어미나 파생 접사가 거의 없다. 대신 조사를 사용하여 문법 관계, 시제, 수 등을 나타낸다. 또한, 부정어나 명령문을 만드는 접사도 존재하며, 모음의 연음 현상은 때때로 의미 변화를 보여주기도 한다.

다음은 잭슨(Jackson)의 "투발루어 소개"에서 발췌한 주요 조사들이다.[8]

조사기능/의미
etvl현재 시제
katvl미래 시제
kaitvl‘언젠가’
ketvl1. ‘해야 한다’ (명령형)
ke natvl명령형 (공손한 표현)
kotvl현재 완료 시제
koitvl‘아직도’ (진행 중인 동작)
ko tootvl‘또한’
otvl‘그리고’, ‘~에’ (동사 연결 접속사)
matvl‘~하지 않도록, 만약 ~한다면’
manatvl‘~하지 않도록’
moitvl‘만약 ~한다면’
netvl과거 시제
(조사 없음)명령문



투발루어에서 가장 흔한 형태소적 장치 중 하나는 재귀적 중복이며, 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잭슨은 재귀적 중복이 기능하는 여섯 가지 방법을 제시했다.[8]


  • 동작의 강조:

:* filemutvl (평화로운, 조용한) → fifilemutvl (매우 평화로운, 조용한)

  • 동작의 약화:

:* fakalogotvl (주의 깊게 듣다, 복종하다) → fakalogologotvl (대충 듣다)

  •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동작:

:* tuetvl (흔들다, 털다) → tuetuetvl (반복적으로 흔들다, 털다)

  • 더 광범위하게 분포된 활동:

:* masaetvl (찢어진, 터진) → masaesaetvl (여러 곳이 찢어진, 터진)

  • 복수화:

:* maavaetvl (분리된, 나뉜) → mavaevaetvl (많은 부분으로 나뉜)

  • 의미 변화:

:* fakaosotvl (유발하다) → fakaosoosotvl (유혹하다)[8]

접두사 faka-tvl는 동사를 더 능동적으로 만들거나 형용사를 ‘~식으로’ 만드는 ‘사역’ 접두사로, 잭슨은 faka-tvl를 투발루어에서 가장 중요한 접두사로 설명한다.[8]

  • 형용사:

:* lleitvl (좋은) → fakalleitvl (좋게 만들다, 더 좋게 하다, 화해시키다)

:* aogaatvl (유용한) → fakaaogaatvl (사용하다)

  • 동사:

:* teletvl (달리다, 작동하다) → fakateletvl (작동시키다, 달리게 하다)

:* fuatvl (생산하다) → fakafuatvl (무엇인가를 생산하게 하다)[8]

8. 동사, 명사, 형용사, 부사

투발루어는 명사보다 동사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명사는 동사에 접미사 –ga|tvl를 붙여서 만들 수 있다. 남부 방언에서는 –ga|tvl를 붙이면 새 명사의 동사 어근의 마지막 모음이 길어진다. 많은 명사는 동사로도 사용될 수 있다.[8]

투발루어는 동사의 사용에 크게 의존한다. 투발루어에는 많은 ‘존재 상태’ 단어가 있는데, 이 단어들은 투발루어에서는 동사이지만 영어에서는 형용사로 분류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사는 앞에 오는 시제 표지(보통 바로 앞에 오지만 때때로 부사에 의해 분리되기도 함)로 식별할 수 있다. 동사는 시제 때문에 형태가 바뀌지 않으며, 복수형에서는 가끔씩만 연음이 일어난다. 수동태 및 상호 동사는 접사를 사용하여 약간의 변화를 겪지만, 이러한 형태는 자주 사용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사모아어에서 차용한 단어에 적용된다.[8]

동사와 형용사의 구분은 종종 동사/시제 표지의 사용과 문장에서 단어의 위치에 의해서만 나타난다. 형용사는 항상 자신이 나타내는 명사 뒤에 온다. 형용사는 명사와 달리 복수형에서 규칙적으로 변화한다(연음에 의해). 많은 형용사는 정관사 te 또는 대명사를 형용사 앞에 붙여 추상 명사가 될 수 있다. 이는 영어에서 형용사에 접미사 -ness를 붙여 명사를 만드는 것과 유사하다.[8]

부사는 일반적으로 자신이 적용되는 동사 뒤에 오지만, 이 규칙에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예외가 있다.[8]

9. 관사

투발루어에는 세 가지 관사가 있다. 정관사 단수형은 te|테tvl, 부정관사 단수형은 se|세tvl 또는 he|헤tvl(방언에 따라 다름), 부정관사 복수형은 ne|네tvl 또는 ni|니tvl(방언에 따라 다름)이다. 투발루어에서 부정관사/정관사 개념은 영어와 다르게 적용된다. 단수 정관사 'te'는 화자와 청자가 알고 있거나 이미 언급한 대상을 가리킨다. 반면 부정관사는 특별히 알려지지 않았거나 언급되지 않은 대상을 가리킨다. 투발루어에서 ‘그것’ 또는 ‘이것’에 해당하는 단어(그 변형 및 파생어 포함)는 보다 명확한 지칭을 나타내는 데 자주 사용된다.

10. 대명사

투발루어 대명사 체계는 다른 많은 폴리네시아어군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독점적(exclusive)포함적(inclusive), 단수, 이중, 복수 형태를 구분한다(아래 표 참조). 그러나 성별은 구분하지 않으며, 관련된 사람이나 사물에 대한 문맥상의 언급에 의존한다.[8] 성별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tangata|남성tvl 또는 fafine|여성tvl을 형용사나 접사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colspan="2" |단수이중복수
1인칭포함적au(aku)|아우(아쿠)tvltaaua|타아우아tvltaatou|타아토우tvl
독점적maaua|마아우아tvlmaatou|마아토우tvl
2인칭koe|코에tvlkoulua|코울루아tvlkoutou|코우토우tvl
3인칭a ia, ia|아 이아, 이아tvllaaua|라아우아tvllaatou|라아토우tvl


10. 1. 소유 대명사

투발루어의 소유 대명사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완전하거나 축약된 관사, 소유의 otvl(소유 불가능) 또는 atvl (소유 가능)을 나타내는 표시, 그리고 인칭 대명사와 관련된 추가 접미사이다. 대상이 소유 가능(''a'' 계급)으로 지정될지 또는 소유 불가능(''o'' 계급)으로 지정될지는 대상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소유 불가능에는 일반적으로 신체 부위, 건강, 출신, 상속을 통해 얻은 물건, 신체와 밀접하게 접촉하는 개인적인 물건, 감정과 감각, 그리고 ‘전통적인’ 소유물(예: 카누, 도끼, 창, 램프)이 포함된다.[1]

11. 방언

투발루어는 북부 투발루어와 남부 투발루어의 두 가지 방언군으로 나뉜다. 북부 투발루어는 나누메아, 나누마가, 니우타오 섬에서 사용되는 방언들을 포함하고, 남부 투발루어는 푸나푸티, 바이투푸, 누쿠페타우, 누쿨라엘레 섬에서 사용되는 방언들을 포함한다.[1] 모든 방언은 상호 이해 가능하며, 음운론, 형태론, 어휘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2] 푸나푸티-바이투푸 방언들은 함께 ‘공용어’를 의미하는 te 'gana māsani|테 가나 마사니tvl라는 표준어로 알려져 있으며, 사실상 국가어이지만, 북부 방언 사용자들은 자신의 지역 사회 외부의 공공 장소에서는 종종 자신의 방언을 사용한다. 투발루의 한 섬인 누이 주민들은 투발루어와 덜 관련된 오세아니아어인 길버티스어 방언을 사용한다.

투발루어는 토켈라우의 세 환초와 스웨인스 섬에 거주하는 약 1,700명의 주민들과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수천 명의 토켈라우 이민자들이 사용하는 토켈라우어와 상호 이해 가능하다.

12. 문학

성경은 1987년 투발루어로 번역되었다. 여호와의 증인은 매달 투발루어로 ''파수대'' 잡지를 발행한다. 또한 제프리 잭슨이 쓴 "투발루어 입문"과 "투발루어 사전"이 있다. 이 외에도 투발루어로 된 서적은 매우 적다. 투발루 미디어부(Tuvalu Media Department)는 투발루어 라디오 방송을 제공하고 페이스북 페이지와 이메일 뉴스레터인 ''페누이 뉴스(Fenui News)''를 발행한다.[9]

투발루 작가 아파에세 마노아(1942년~)는 "전능하신 분을 위한 투발루(Tuvalu for the Almighty)"(Tuvalu mo te Atuatvl)라는 노래를 작곡했는데, 이 노래는 1978년 투발루의 국가로 채택되었다.[10]

13. 구전 전통

투발루어는 오랜 서면 전통이 없지만, 투발루의 음악에서도 볼 수 있는 상당한 양의 구전 전통이 존재한다. 이는 런던 선교회(London Missionary Society)가 파견한 기독교 선교사들의 영향 이전 시대의 자료를 포함한다.[11] 주로 사모아 출신인 선교사들은 기독교 가르침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구전 전통을 억압했을 뿐만 아니라 투발루 음악과 투발루어의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다.[3]

언어학자 토마슨(Thomason)에 따르면, "일부 예술 형식은 표현되는 언어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라고 한다.[13] 투발루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관한 보고서는 전통 노래의 지속 가능성이 투발루어의 활력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12] 투발루어의 문법적 기록은 구어 예술 영역 내에서 특히 다양한 언어적 특징이 보존되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투발루어에서 수동태의 사용은 민담과 고대 노래를 제외하고는 구식이 되었다.

14. 학술 연구 및 주요 출판물

투발루어는 폴리네시아어 중에서도 연구가 가장 부족한 언어 중 하나이다.[1] 영어권에서 투발루어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투발루어 구문론에 대한 최초의 주요 연구는 도널드 길버트 케네디(Donald Gilbert Kennedy)가 1945년에 출판한 ''투발루(엘리스) 제도 언어 편람(Handbook on the language of the Tuvalu (Ellice) Islands)''이다. 니코 베스니어(Niko Besnier)는 기술적, 어휘적 측면에서 투발루어에 관한 가장 많은 학술 자료를 발표했다. 베스니어의 투발루어 기술은 투발루인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표기법과 다른 음소적 표기법을 사용하며, 이 표기법은 때때로 겹자음을 구별하지 않는다. 잭슨(Jackson)의 ''투발루어 소개(An Introduction to Tuvaluan)''는 초심자에게 유용한 안내서이다. 대부분의 투발루인들이 사용하는 표기법은 사모아어를 기반으로 하며, 베스니어에 따르면 투발루어에서 종종 특수한 기능을 하는 모음과 자음의 길이 차이를 잘 다루지 못한다. 본 문서에서는 베스니어의 표기법을 사용하는데, 이는 논의되는 언어적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기 때문이다.

15. 소멸 위기

소수 언어 공동체의 고립은 언어 유지를 '촉진'한다.[13]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은 투발루의 섬들을 위협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몇 년 안에 태평양이 투발루를 집어삼켜 땅뿐만 아니라 사람들과 그들의 언어까지도 잠식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14] 이러한 위험에 대응하여 투발루 정부는 2002년 뉴질랜드와 협정을 맺어 1만 1천 명의 투발루인(섬나라 전체 인구)의 이주를 허용하기로 합의했다.[14]

뉴질랜드로의 투발루인들의 점진적인 재정착은 더 큰 사회로부터의 고립 상실을 의미하며, 이는 투발루인들이 합류하는 더 큰 사회에서 소수 언어 공동체로서 위치하게 한다. 더 많은 투발루인들이 뉴질랜드로 이주하여 그들의 문화와 사회에 통합됨에 따라 상대적 고립은 감소하고 이는 투발루어의 소멸 위기에 기여한다. 2002년 이후 강제 이주로 인한 고립 부족은 투발루어의 위기에 영향을 미쳤으며, 더 많은 투발루인들이 고립된 언어 공동체에서 멀어짐에 따라 소멸 위기는 더욱 심화될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2] 웹사이트 Tuvaluan (Te 'gana Tūvalu) http://www.omniglot.[...] Omniglot 2012-11-06
[3] 서적 Samoan Pastors in Tuvalu, 1865-1899 Suva, Fiji, Pacific Theological College and the University of the South Pacific
[4] 웹사이트 Tuvalu: Millennium Development Goal Acceleration Framework – Improving Quality of Education http://www.undp.org/[...] 2013-10-13
[5] 웹사이트 Tuvalu Language Week kicks off today https://www.3news.co[...] MediaWorks TV 2015-09-27
[6] 웹사이트 Tuvaluan http://www.endangere[...] 2020-11-16
[7] 학술지 Política Linguística na Oceania: Nas fronteiras da colonização e da globalização 2019-09-00
[8] 서적 An introduction to Tuvaluan Suva: Oceania Printers
[9] 웹사이트 Fenui News https://www.facebook[...] 2017-01-26
[10] 웹사이트 National Anthems of the Commonwealth: Melbourne 2006 Edition https://www.chandos.[...] Naxos 2021-03-21
[11] 서적 Songs of Tuvalu Institute of Pacific Studies, University of the South Pacific
[12] 웹사이트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uvalu: a reality or an illusion? http://core.ac.uk/do[...] 1991-00-00
[13] 서적 Endangered Languages: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학술지 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Concepts of Nation and Language 2004-00-00
[15] 웹사이트 Tuvalu Language http://www.tuvaluis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