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시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시그는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에 속한 도시로, 1573년 스페인 식민지 개척자들이 정착하면서 시작되었다. 파시그 강을 중심으로 발달했으며, 초기에는 농업 도시였다. 필리핀 독립 이후 메트로 마닐라에 편입되었고, 1975년 리잘 주에서 분리되었다. 1995년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로 전환되었으며, 2006년 울트라 스탬피드 사건, 2009년과 2012년 태풍으로 인한 홍수 피해를 겪었다. 2020년 리잘 주의 주도가 안티폴로로 이전되었다. 파시그는 현재 30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르티가스 센터를 중심으로 상업 및 경제 활동이 활발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트로 마닐라 - 파사이
    파사이는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에 위치한 도시로, 스페인 식민지 시대 농업 지역에서 시작하여 도시로 성장했으며,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상원, 대규모 상업 시설 등이 위치해 있다.
  • 메트로 마닐라 - 케손시티
    케손시티는 마닐라 과밀화 해결을 위해 계획적으로 건설되었으나 주택 가격과 교통 문제로 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한때 필리핀 수도이자 주요 기관과 대학이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며, 현재는 290만 이상의 인구를 가진 도시이다.
  •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파시그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메트로 마닐라 내의 파시그 위치
메트로 마닐라 내의 파시그 위치
기본 정보
슬로건"Pasig: Umaagos ang Pag-asa"
영어: "Pasig: Hope Flows!" (파시그: 희망이 흐른다!)
국가필리핀
위치마닐라 수도권
면적31km²
인구 (2020년)803,159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에메랄드 애비뉴
에메랄드 애비뉴
탕할랑 파시게뇨
탕할랑 파시게뇨
파시그 대성당
파시그 대성당
파시그 시의 플라자 리잘
플라자 리잘
파시그 강
파시그 강
카룬초 애비뉴
카룬초 애비뉴
캐피톨 커먼스
캐피톨 커먼스
정치 및 행정
시장비코 소토 (무소속)
부시장로버트 야워스키 주니어 (악시온 데모크라티코)
하원 의원로만 로물로 (무소속)
지방 자치 단체}} (Bar랑가이스)
역사
설립일1573년 7월 2일
시 승격 및 고도 도시화1995년 1월 21일
경제
빈곤율% ()
지리
고도m
최대 고도136 m
최소 고도-1 m
기타 정보
시간대PST
UTC 오프셋+8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서비스 제공자
전기}}
마닐라 워터
언어
종교
주요 종교로마 가톨릭 교회, 개신교, 필리핀 독립 교회, 복음주의
축제
축제일12월 8일
가톨릭 교구파시그 로마 가톨릭 교구
수호 성인원죄 없는 잉태

2. 역사

파시그는 스페인 식민지 이전 시대부터 중요한 지역이었다. 1600년대 초부터 일본 제국주의 시대까지, 마닐라 등지에서 온 1000명이 넘는 가톨릭 신자들이 파리안 크릭(Parian Creek)을 따라 리살 주에 있는 순례 대성당으로 향했다.[12]

1600년대에 호아킨 마르티네스 데 수니가(Fr. Joaqin Martinez de Zuñiga) 신부는 파시그 시의 인구 조사를 실시했는데, 그 결과 절반은 필리핀 원주민, 나머지 절반은 중국계 필리핀인이었다.[12] 이들은 멕시코 군인들로 구성된 부대에 의해 관리되었으며, 1636년, 1654년, 1670년, 1672년에 산티아고 요새의 멕시코에서 온 라틴 아메리카 군인들이 파시그를 따라 순찰했다.[13] 이들 중 일부는 파시그와 인근 지역에 정착했다.[14]

1762년부터 1764년까지 마닐라의 영국 점령 기간 동안, 영국군은 파시그 강을 통해 군대를 이동시켜 카인타와 타이타이를 점령했다. 이들은 파시그 대성당을 군사 본부로 사용하고, 종탑을 감시탑으로 활용했다.

1742년, 아우구스티누스회 수사 도밍고 디아즈(Fray Domingo Diaz)는 파리안 크릭 위에 다리를 건설하도록 명령했다.

카티푸네로들은 1896년 5월 2일 밤, 파리안 크릭을 통해 비밀리에 접근하여 "아삼블레아 마그나"(대중 집회)를 열었다. 같은 해 8월 29일에는 파시그노스 노동자들이 카티푸난에 합류하여 "무니시피오 델 고베르나도르실로"와 인접한 민병대 주둔지를 기습 공격했는데, 이는 "나그사바도 사 파시그"(파시그 토요일 봉기)로 알려진 사건이다.

미국 통치 시대 파식이 리살 주의 주도였을 당시의 의사당 건물 잔해


1933년경 파식의 항공 사진


필리핀-미국 전쟁 중인 1901년 6월 11일, 리살 주가 신설되면서 파식은 리살 주에 편입되었고, 새 주의 주도로 지정되었다.[16] 1939년에는 오공(우공 노르테) 마을이 퀘존 시로 분리되었다.[1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비투캉 마녹(Bitukang Manok)은 생태계 붕괴를 겪었다. 1960년대 후반에는 마리키나 강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하수구로 변했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정권 시기, 파시그에는 많은 인권 운동가들이 거주했다. 아우구스토 "밥빗" 산체스(Augusto "Bobbit" Sanchez)와 호비토 살롱가(Jovito Salonga)가 대표적이다.[18][19] 1970년대 초 경제 위기 상황에서 많은 파시그 주민들은 1분기 폭풍 시위에 참여했다.[23] 계엄령 선포 이후, 산호세 마을의 바하이 나 티사(Bahay na Tisa)는 학생들의 모임 장소로 활용되었으며, "자유의 집"으로 알려지게 되었다.[25] 벤프레스 빌딩(Benpres Building)은 필리핀 경찰(Philippine Constabulary)에 의해 폐쇄되었다.[27]

독재 정권 몰락 이후, "파야니그 사 파시그(Payanig sa Pasig)" 재산은 대통령 부정축재 조사위원회(Presidential Commission on Good Government)에 의해 압류되었다.[28]

1975년 11월 7일, 파시그는 리살 주에서 분리되어 메트로 마닐라의 일부가 되었다. 1994년, 파시그는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로 전환되었고, 1995년 주민투표를 통해 비준되었다.

2006년, 울트라 스탬피드(ULTRA Stampede) 사건이 발생하여 71명이 사망했다. 2009년과 2012년에는 온도이 태풍과 계절풍으로 인한 홍수로 큰 피해를 입었다.

2020년, 로드리고 두테르테(Rodrigo Duterte) 대통령은 리살 주의 주도를 파시그에서 안티폴로(Antipolo)로 이전하는 법률에 서명했다.[29]

2. 1. 초기 역사

1573년 스페인 식민지 개척자들이 정착지를 건설하고 시우다드-무니시팔 데 파시그(Ciudad-Municipal de Pasig)라 명명하기 이전 파시그의 역사에 대한 직접적인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10]

비투캉 마녹의 일부


하지만 남아있는 족보 기록과 구전 역사는 비투캉 마녹 강(현재는 거의 사라져 파리안 크릭으로 알려짐) 유역에 번영했던 이전 식민지 시대 바랑가이에 대해 이야기하며, 이것이 결국 현대의 파시그가 되었다.[11]

이 강은 물길의 구불구불한 모양 때문에 "비투캉 마녹"(타갈로그어로 "닭의 내장]")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초기 주민들 중에는 타갈로그인과

2. 2. 스페인 식민 시대

1600년대 초부터 일본 제국주의 시대까지, 1,000명이 넘는 가톨릭 신자들이 파리안 크릭(Parian Creek)을 따라 리살 주에 있는 순례 대성당으로 향했다.
[12]

1600년대에 호아킨 마르티네스 데 수니가(Fr. Joaqin Martinez de Zuñiga) 신부는 파시그 시의 인구 조사를 실시했는데, 각 공물은 평균 5~7명의 가족을 나타냈으며 총 3,000개의 공물이 있었고, 그중 절반은 인디오(필리핀 원주민)였고 나머지 절반은 상글레이(중국계 필리핀인)였다.[12] 이 공물들은 파시그 강을 따라 순찰하는 소수의 스페인인 사령관 아래 멕시코 군인들로 구성된 부대에 의해 관리되었다. 파시그 강이 관통하는 인근 산티아고 요새(Fort Santiago)에서 1636년, 1654년, 1670년, 1672년에 산티아고 요새의 멕시코에서 온 22명, 50명, 86명, 81명의 라틴 아메리카 군인들이 파시그를 따라 순찰했다.[13] 이 멕시코인들 중 일부는 임무에서 해방된 후 파시그와 인근 지역에 정착했다.[14]

1762년부터 1764년까지 마닐라의 영국 점령 기간 동안 왕립 영국군이 카인타와 타이타이 마을을 점령하는 데 이 크릭을 사용했다. 영국군은 파시그 대성당 앞 "플라자 센트랄"(Plaza Central)에서 매복 공격을 감행하고, 로마 가톨릭 교구를 군사 본부로 만들었으며, 교회의 종탑을 감시탑으로 사용했다.

1742년, 아우구스티누스회 수사는 사가드(Sagad) 출신의 부유한 "메스티소 데 상글레이"(중국계 메스티소)들과 함께 동양식 탑 스타일의 대리석 지붕이 있는 다리를 크릭 위에 건설하도록 명령했다.

1896년 5월 2일 밤, 카티푸네로들이 이 크릭으로 비밀리에 접근하여 "아삼블레아 마그나"(대중 집회)를 결성했다.

8월 29일, 파시그노스 노동자들은 카티푸난에 합류하여 "무니시피오 델 고베르나도르실로"와 인접한 "과르디아스 시빌"(민병대) 주둔지를 기습 공격했다.

구아니오 주택, "''나그사바도 사 파시그''"의 현장


이 사건은 카티푸난이 달성한 최초의 승리한 반란이었고, "나그사바도 사 파시그"(파시그 토요일 봉기)로 알려지게 되었다.

2. 3. 미국 식민 시대



1901년 6월 11일, 필리핀-미국 전쟁 중에 필리핀 위원회의 법령 제137호에 따라 리살 주가 신설되었다.[16] 파식은 리살 주에 편입되어 새 주의 주도로 지정되었다.

1939년, 오공(우공 노르테) 마을(바랑가이 또는 시티오)은 현재 리비스 지역을 포함하여 새로 설립된 퀘존 시의 일부가 되도록 파식에서 분리되었다.[17] 원래는 동쪽에 인접한 리살 주의 주도였으나, 마닐라 수도권에 편입되었기 때문에 리살 주의 주도는 안티폴로로 이전되었다.

2. 4. 일본 점령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비투캉 마녹(Bitukang Manok)은 서서히 생태계 붕괴를 보였다. 합리적 무지로 인한 수질 오염이 발생했다. 1960년대 후반, 사라져 가는 수로는 되살아나지 못하고 마리키나 강(Marikina River)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하수구로 변했으며, 원래의 흐름은 반대로 나핀단 운하(Napindan Channel) 방향(칼라와안-피나가부탄(Kalawaan-Pinagbuhatan)과 타기그(Taguig) 바랑가이 사이의 파시그 강(Pasig River) 일부)으로 이동하여 공공 상업 시설을 위한 공간을 확보했다.

원래는 동쪽에 인접한 리살 주의 주도였으나, 마닐라 수도권에 편입되었기 때문에 리살 주의 주도는 안티폴로로 이전되었다.

2. 5. 필리핀 독립 이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정권 시절, 파시그에는 저명한 인권 운동가들이 많이 살았다. 그 중 한 명인 아우구스토 "밥빗" 산체스는 변호사이자 출판인이었는데, 그의 출판물 "위클리 포스트"는 파시그 정치인들이 "위클리 페스트"라고 부를 정도로 영향력이 컸다.[18] 또 다른 인권 운동가이자 마르코스 정책의 초기 비판자는 1961년 리살 주 대표로 선출된 야당 인물 호비토 살롱가였다.[19]

마르코스가 2기 집권 중 외채를 이용한 경제 정책으로 1970년대 초 경제 위기가 발생하자,[20][21][22] 많은 파시그 주민들은 1분기 폭풍으로 알려진 시위에 참여했다.[23] 여기에는 파시그 가톨릭 대학교에서 공부한 에만 라카바와 피트 라카바 형제도 포함되었다.[24]

마르코스가 1972년 계엄령을 선포하자 학생들은 모일 수 없게 되었다. 파시그에서 학생들을 보호하고 모임을 허락했던 대표적인 주택 중 하나는 산호세 마을의 바하이 나 티사였다. 이 집은 마르코스를 지지하는 지도자들의 회의 장소이기도 했기 때문에 파시그의 "자유의 집"으로 알려졌다.[25] 이 집은 필리핀 국립 박물관에 의해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었다.[26]

계엄령의 영향을 받은 또 다른 중요한 장소는 벤프레스 빌딩인데, 1972년 9월 23일 모든 언론 매체가 폐쇄되면서 필리핀 경찰에 의해 문을 닫게 되었다.[27]

독재 정권 몰락 후, 마르코스의 측근이 대통령 직속 정부위원회(PCGG)에 가장 먼저 넘긴 재산 중 하나는 "파야니그 사 파시그" 재산이었다. 사업가 호세 야오 캄포스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를 대신하여 이 재산을 보관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 재산은 결국 마르코스 가문의 불명확한 재산의 일부로 대통령 부정축재 조사위원회에 의해 압류되었다.[28]

1975년 11월 7일, 파시그는 리살 주에서 분리되어 메트로 마닐라의 일부가 되었다. 1994년 7월, 파시그는 공화국 법률 제7829호에 따라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로 전환되었고, 1995년 1월 21일 주민투표를 통해 비준되었다.

2006년 2월 4일, ABS-CBN의 낮 시간대 프로그램 ''Wowowee'' 1주년 기념 행사에서 울트라 스탬피드 사건이 발생하여 71명이 사망했다. 이 행사는 필스포츠 아레나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비극으로 인해 취소되었다.

2009년 9월 26일, 온도이 태풍(케트사나)으로 인한 대홍수로 파시그시는 큰 피해를 입었다. 이는 필리핀 역사상 가장 파괴적인 홍수 중 하나였다.

2012년 8월, 집중적인 계절풍 비로 인해 2012년 필리핀 홍수가 발생하여 파시그시가 다시 피해를 입었다. 제너 태풍에 의해 강화된 8일간의 비로 마리키나 강이 범람하여 2009년 온도이 태풍으로 파괴된 지역과 같은 곳이 다시 파괴되었다.

2020년 6월 19일,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은 공화국 법률 제11475호에 서명하여 리살 주의 주도를 파시그에서 안티폴로로 공식적으로 이전했다.[29]

도심 지역의 플라자 리잘. 중앙에는 콘셉시온 맨션이 있고, 맨 오른쪽에는 파시그 대성당이 있다.

3. 지리

파시그는 서쪽으로 케손 시티와 만달루용, 북쪽으로 마리키나, 남쪽으로 파테로스와 타구이그, 동쪽으로는 리살 주의 카인타와 타이타이 시와 접한다. 2023년까지는 남서쪽으로 마카티와도 접했으나, 셈보, 웨스트 렘보, 이스트 렘보 마을이 타구이그에 편입되면서 변경되었다.

파시그 강이 파시그를 관통하며 타구이그와의 남서쪽과 남동쪽 경계를 이루고, 마리키나 강은 케손 시티와의 서쪽 경계를 이룬다. 1986년에 건설된 인공 망가한 홍수로는 북동쪽에서 마리키나 강과 합류하는 지점에서 시작된다.

3. 1. 행정 구역 (바랑가이)

파식의 행정 구역 지도


파식은 행정 구역상 30개의 바랑가이로 나뉜다.[30] 시의회 대표 선출을 위해 바랑가이는 두 개의 선거구로 나뉜다.[31] 제1선거구는 도시의 남부와 서부 지역을, 제2선거구는 북부와 동부 지역을 포함한다. 이들 바랑가이 중 27개는 파식강 북쪽(우안)에, 3개(부팅, 산 호아킨, 칼라와안)는 남쪽(좌안)에 있다.

바랑가이선거구인구면적 ()밀도 (/ha)
바궁 일로그120,344124.95ha163
바궁 카티푸난18794.78ha184
밤방120,80138.41ha542
부팅110,34820.33ha509
카니오간128,084167.94ha167
델라 파스219,804199.79ha99
칼라와안132,145209.91ha153
카파시간14,77421.15ha226
카피톨리오19,20395.24ha97
말리나오14,81728.02ha172
망가한288,078327.03ha269
마이붕가245,555177.37ha257
오란보13,26743.61ha75
팔라티우127,49924.24ha1,134
피나그부하탄2163,598152.35ha1,074
피네다119,49979.85ha244
로사리오273,979414.54ha178
사가드16,03612ha503
산 안토니오111,72782.07ha143
산 호아킨113,82345.07ha307
산 호세11,8179.33ha195
산 미구엘240,19980.05ha502
산 니콜라스12,60230.38ha86
산타 크루스15,6107.28ha771
산타 루시아243,749178.31ha245
산타 로사11,01512.06ha84
산토 토마스112,90410.43ha1,237
산톨란257,933199.25ha291
수밀랑14,33417.18ha252
우공128,737375.38ha77
colspan="5" |


3. 2. 기후

파시그의 건기는 11월부터 4월까지이며, 우기는 5월에 시작하여 11월까지 이어진다. 우기는 8월에 절정에 달하며, 6월부터 9월까지 최대 강수량을 보인다. 연평균 강수량은 2014.8mm이며, 7월에 최대 420mm, 4월에 최소 26.9mm이다. 최고 기온은 4월과 5월에 34°C까지 올라가며, 최저 기온은 1월과 2월에 24°C까지 내려간다.[41]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28°C30°C31°C33°C32°C31°C29°C29°C29°C30°C30°C29°C
평균 최저 기온 (℃)20°C20°C21°C22°C24°C24°C24°C24°C24°C23°C22°C21°C
평균 강수량 (mm)7mm7mm9mm21mm101mm152mm188mm170mm159mm115mm47mm29mm
평균 강우 일수3.33.511.18.118.923.526.425.524.519.610.46.4



필리핀은 지리적 위치 때문에 태풍의 영향을 자주 받는 아시아 국가 중 하나이다. 필리핀은 "태풍대"에 위치해 있으며, 일반적으로 태풍 시즌은 6월에 시작하여 11월에 끝난다. 그러나 태풍은 예측 불가능하므로 연중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41]

4. 인구

필리핀 통계청 인구 조사[34]
연도인구±% p.a.
190311,278
191819,761+3.93%
193927,541+1.59%
194835,828+2.95%
196055,362+3.72%
1970108,595+6.97%
1975138,831+5.00%
1980200,793+7.60%
1990397,679+7.09%
1995471,075+3.23%
2000505,058+1.52%
2007617,301+2.77%
2010669,773+2.92%
2015755,300+2.29%
2020803,159+1.24%



파시그의 인구 증가율은 지속적으로 지역 평균을 상회하여, 메트로 마닐라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했다. 1960년 3% 미만에서 1980년 4.5%, 2015년에는 거의 6%까지 증가했다. 파시그의 인구는 2025년과 2030년 인구 조사 기간 사이에 1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34]

5. 종교

파시그 로마 가톨릭 교구는 2003년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에 의해 필리핀 가톨릭 교회의 교구로 설립되었으며, 무염시태 성모 교구 성당을 중심으로 한다.[35]

파시그는 필리핀 장로교회의 본부이다.[35]

6. 경제

파식 공공 시장


오르티가스 센터


아르코 데 엠페라도르, 아르코비아 시티


역사적으로 파시그는 쌀, 과일, 사탕수수를 생산하는 농업 도시였다.[15] 파시그 시 서쪽 지역은 파시그의 재정 자원이 주로 집중된 곳으로, 수많은 공장, 창고, 상업 시설들이 오르티가스 센터, 파시그 시 중심부, E. 로드리게스 주니어 애비뉴(C-5), 오르티가스 애비뉴(R-5 도로)를 따라 위치해 있다. 메르세데스 애비뉴와 시 중심부 근처 지역에서는 부동산 및 상업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동쪽 지역은 주로 주거 지역이었지만, 현재 마르코스 고속도로를 따라 많은 상업 시설들이 개발되고 있다. 파시그에서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서쪽 지역, 만달루용 시의 동쪽, 그리고 산 안토니오 바랑가이(Barangay) 일부에는 오르티가스 센터가 있다.

오르티가스 센터는 필리핀 최고의 업무 지구 중 하나로, 수많은 고층 사무실 건물, 주거용 콘도미니엄, 상업 시설, 학교, 쇼핑몰이 있다. 아시아 태평양 대학교, 필리핀 통합 변호사 협회 본부도 이곳에 있다. 필리핀 증권 거래소의 구 본사는 ADB 애비뉴에 있으며, 아시아 최대 맥주 생산업체 중 하나인 산미구엘 코퍼레이션 본사도 산미구엘 애비뉴에 있다. 오르티가스 애비뉴에는 로빈슨스 갈레리아 근처에 5성급 호텔 크라운 플라자가 있다. 오르티가스 센터 인근에는 2번째 리살 주 청사의 옛 부지에 건설된 복합 개발 시설인 캐피톨 커먼스가 있다.

E. 로드리게스 주니어 애비뉴(C-5)를 따라 진행되는 주목할 만한 개발 사업으로는 아르코비아 시티, 더 그로브 바이 록웰, 그리고 티엔데시타스 시장이 있는 오르티가스 이스트(구 프론테라 베르데)가 있다. 오르티가스 센터에 있는 식민지 시대 테마의 상업 단지인 엘-푸에블로는 새로운 개념의 카페, 레스토랑, 바를 제공한다. 오르티가스 애비뉴와 메랄코 애비뉴에 있는 상업 중심지 메트로워크(구 파야니그)는 2005년에 설립되었으며 상점, 창고, 노점, 레스토랑, 바로 구성되어 있다. 로빈슨스 랜드의 31ha 규모 통합 타운십 개발 사업인 브리지타운 데스티네이션 에스테이츠는 빅터 기념비와 파시그와 케손 시티를 연결하는 다리를 가지고 있다. 35ha 규모의 도시 단지인 파클링크스는 C-5 근처 파시그에 부분적으로 건설되었다.

7. 정치

파식 시청


파시그 시는 시장, 부시장, 시의회 의원들이 주로 통치한다. 시장은 시의 행정 책임자 역할을 하고, 시의회 의원들은 입법 기관 역할을 한다. 부시장은 임시 공석 발생 시 시장의 책임을 대행하는 것 외에도 시의회 의장 역할을 한다. 두 개의 시 구역은 각각 6명의 의원을 선출한다.[1]

현직 시장은 비코 소토(Vico Sotto)이며, 현직 부시장은 로버트 자워스키 주니어(Robert Jaworski Jr.)이다.[1] 여성은 파시그의 무탸(Mutya ng Pasig)를 나타낸다. 왼쪽 아래에는 로마 가톨릭 파시그 교구(Diocese of Pasig)의 중심인 파시그 대성당(Pasig Cathedral)이 있고, 오른쪽 아래의 공장은 도시의 번영과 발전을 나타낸다.[1]

;제1선거구:[1]

  • 레이문드 프란시스 S. 루스티아 (Raymund Francis S. Rustia)
  • 사이먼 제라드 R. 탄토코 (Simon Gerard R. Tantoco)
  • 폴 로만 C. 산티아고 (Paul Roman C. Santiago)
  • 마크 길 M. 델로스 산토스 (Mark Gil M. Delos Santos)
  • 로데릭 마리오 U. 곤잘레스 (Roderick Mario U. Gonzales)
  • 레히노 S. 발데라마 (Regino S. Balderrama)


;제2선거구:[1]

  • 안젤루 드 레온 (Angelu De Leon)
  • 코라손 M. 레이문도 (Corazon M. Raymundo)
  • 시벨 아실로-구필란 (Syvel Asilo-Gupilan)
  • 노엘 L. 아구스틴 (Noel L. Agustin)
  • 퀸 A. 크루즈 (Quin A. Cruz)
  • 마리온 로살리오 M. 마르티레스 (Marion Rosalio M. Martires)

8. 스포츠

파식 시티 스포츠 센터


필리핀 스포츠 콤플렉스 (필리핀 스포츠 콤플렉스 연구소)는 필리핀의 주요 스포츠 단지 중 하나이다. 메랄코 애비뉴 근처에 있으며, 필리핀 스포츠 위원회(Philippine Sports Commission), 필리핀 올림픽 위원회(Philippine Olympic Committee) 및 일부 국가 스포츠 협회의 사무실이 있다. 중심 시설은 이전 명칭이 울트라(ULTRA)였던 필리핀 스포츠 경기장으로, 필리핀농구협회(Philippine Basketball Association), 동아시아 슈퍼리그(East Asia Super League) 등 여러 리그의 경기를 개최했다.

브리지타운에 건설 예정인 가칭 "UAAP의 본거지(Home of the UAAP)"는 필리핀 대학 체육 협회(UAAP)와 아카리 조명 & 기술 주식회사(Akari Lighting & Technology Corp.)의 파트너십으로 2025년에 착공하여 2027년에 개장할 예정이다. 이 도시의 다른 경기장으로는 이나레스 스포츠 경기장과 파식 스포츠 센터가 있다.

2024년 현재, 파시그 시에는 프로 스포츠 팀이 없다. 파시그 시를 대표했던 마지막 팀은 2023 시즌에 마하리카 필리핀 농구 리그(MPBL)에서 마지막으로 경기를 치른 파식 시티 MCW 스포츠이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이 도시는 메트로폴리탄 농구 협회(MBA)의 파식 파이레이츠(Pasig Pirates) 팀의 연고지였다.

9. 교통

파시그는 도로, 수상, 교량, 철도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오늘날 시민들은 삼륜차, 지프니, 택시, UV 익스프레스, 버스 등을 이용하며, 이는 메트로 마닐라의 교통 체증에 영향을 주고 있다.

9. 1. 도로 교통

식스토 안토니오 박사 애비뉴는 파시그의 주요 남북 도로이다.


파시그는 다음과 같은 주요 도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오르티가스 애비뉴 (R-5)
  • E. 로드리게스 주니어 애비뉴 (C-5)
  • 파시그 블러바드
  • 줄리아 바르가스 애비뉴
  • 쇼 블러바드
  • 메랄코 애비뉴
  • 파이오니어 스트릿
  • 마르코스 고속도로 (Marikina-Infanta Highway)
  • 아망 로드리게스 애비뉴
  • ADB 애비뉴
  • 산 미구엘 애비뉴

9. 2. 수상 교통

파시그강 동쪽 끝에 있으며, 파시그 강 페리 서비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강변에 위치한 시의 바랑가이 이름을 딴 7개의 정거장이 있다.

  • 피네다(Pineda)
  • 산 호아킨(San Joaquin)
  • 밤방(Bambang)
  • 칼라와안(Kalawaan)
  • 피나그부하탄(Pinagbuhatan)
  • 마이붕가(Maybunga)
  • 나그파용(Nagpayong)

9. 3. 교량

파시그 시에는 파시그 강과 마리키나 강을 가로지르는 총 15개의 다리가 있다.

다리 이름지나는 강/수로
C.P. 가르시아 다리파시그 강
카긴하완 다리마리키나 강
마날로 다리마리키나 강
로사리오 다리마리키나 강
산도발 다리마리키나 강
산타 로사 데 리마 다리마리키나 강
줄리아 바르가스 다리 (병렬 다리)마리키나 강
밤방 다리나핀단 수로
나핀단 다리나핀단 수로
칼라와안 다리파시그 강
오르티가스 다리망가한 홍수 방지로
망가한 다리 (다앙 파시그 다리)망가한 홍수 방지로
F.B. 레가스피 다리망가한 홍수 방지로
카운라란 다리파시그 강
산타 모니카-로턴 다리파시그 강
파크링크스 다리마리키나 강


9. 4. 철도

이 도시는 마리키나 시에 위치하고 마르코스 고속도로를 따라 파시그-마리키나 경계 근처에 있는 마리키나-파시그 역과 산톨란 역을 통해 경전철 2호선으로 운행되지만, 마리키나 시에 위치해 있다. 해당 노선의 차량기지는 파시그 산톨란 바랑가이에 있다. 이 도시는 현재 건설 중인 마닐라 지하철과 승인된 MRT 4호선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예정이다. 마닐라 지하철은 오르티가스 센터에 오르티가스 북역과 오르티가스 남역 등 두 개의 역을 갖게 된다.

2000년대 초 마닐라 경전철 시스템이 서비스를 시작하기 훨씬 전, 제2차 세계대전 이전부터 증기 기관차 서비스가 파시그를 운행했다.

마리키나에는 "다앙바칼(Daangbakal)"이라는 거리가 있는데, "슈 어베뉴 확장(Shoe Avenue Extension)", "문딩 어베뉴(Munding Avenue)", "바공 실랑(Bagong Silang)"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산마테오와 몬탈반(로드리게스) 지역에도 비슷한 "다앙바칼"이 있으며, 지도에서 두 도로가 서로 연결되었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사실, 타갈로그어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도로들은 한때 단일 철도 노선이었다. "다앙바칼" 도로의 양쪽은 한때 산마테오-마리키나 경계에 있는 다리로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나 일본 점령기 이후 철도는 대부분 방치되어 별도의 도로로 변형되었고, 철도 연결은 폐기되었다.

몬탈반 지선이라고 불리는 이전 철도는 마닐라의 투투반 역에서 출발하여 트라모(파시그 로사리오 바랑가이)를 지나 마리키나를 거쳐 몬탈반까지 이어졌다.

몬탈반 노선은 1906년에 완공되어 1936년까지 운영되었다.[36]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제국 육군이 이 철도 노선을 사용했다고 한다. 이 철도는 1960년대에 해체되어 일반 도로로 전환되었다.

몬탈반 노선 외에도 안티폴로 노선의 또 다른 철도 지선이 영구적으로 제거되기 전에 도시에 존재했다. 이 노선은 산타 메사에서 안티폴로까지 이어졌다. 안티폴로에도 "다앙바칼"이라는 거리가 있는데, 마리키나와 산마테오의 "다앙바칼" 도로와 마찬가지로 한때 철도 노선이 존재했던 곳이다. 운영은 1917년에 중단되었다.

10. 교육

파식 시의 학교구역사무소(Schools Division Office, SDO)는 시내의 44개 공립학교를 감독한다. 여기에는 28개의 초등학교, 14개의 중등학교, 1개의 고등학교(부팅 고등학교(Buting Senior High School))와 마이붕가(Maybunga)에 있는 리살 실험 스테이션 및 코티지 산업 파일럿 학교(Rizal Experimental Station and Pilot School of Cottage Industries, RESPSCI)가 포함된다. 이들 학교는 지리적으로 10개의 클러스터로 나뉜다.[37]

C. 레이문도 애비뉴(C. Raymundo Avenue)에는 교육재단을 위한 학부모회(Parents for Education Foundation)(Parents for Education Foundation, Inc.)의 본부가 있다. 이 재단은 PAREF 사우스리지 스쿨(PAREF Southridge School), PAREF 우드로즈 스쿨(PAREF Woodrose School), PAREF 노스필드 스쿨(PAREF Northfield School), PAREF 로즈힐 스쿨(PAREF Rosehill School) 등 7개의 학교를 운영한다.

도심 한가운데에는 부엔 콘세호 콜레지오(Colegio del Buen Consejo)(Colegio del Buen Consejo, CBC)가 있다. 이 학교는 파식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 중 하나이며, 파식 로마 가톨릭 교구(Roman Catholic Diocese of Pasig)(Roman Catholic Diocese of Pasig)가 설립한 교육기관 중 하나이다.

리살 고등학교(Rizal High School)


파식 가톨릭 대학교(Pasig Catholic College)(PCC)는 파식 중심부에 위치한 사립 종교계 대학교이다. 1913년 프랑스 외방전교회(CICM) 소속 피에르 코르넬리스 드 브루워(Fr. Pierre Cornelis De Brouwer) 신부가 현재 파식의 무염시태 성모 대성당(Immaculate Conception Cathedral) 자리에 작은 학교로 설립했으며, 파식 로마 가톨릭 교구(Roman Catholic Diocese of Pasig)의 가톨릭 교육 기관의 중심지로 여겨진다.

성 바오로 대학교 파식(St. Paul College Pasig)은 필리핀 스포츠 콤플렉스(ULTRA) 근처에 있었다. 1970년 성 바오로 수녀회(Sisters of St. Paul of Chartres)(SPC)에서 운영하는 교육 기관 중 하나로 설립되었다.

파식 시 과학 고등학교(Pasig City Science High School)(PCSHS)는 파식에서 두 번째로 설립된 과학 고등학교이며, 필리핀 교육부가 도시의 우수한 학생들을 위해 인정한 학교이다. 열대우림 공원 근처에 있다.

리살 고등학교(Rizal High School)(RHS)는 파식에 있다. 필리핀의 국민 영웅인 호세 리살(José Rizal)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학생 수를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중등 교육 기관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과거 기네스 세계 기록(Guinness World Records)에 전체 등록 학생 수가 가장 많은 학교로 기록되었으나, 현재는 인도 루크나우(Lucknow)에 있는 시 미시시피 스쿨(City Mississippi School)(CMS)에 그 자리를 내주었다.[38]

파시그 시립대학교(Pamantasan ng Lungsod ng Pasig)는 카파시간에 있는 지역 대학교로, 파시그 시 거주민 중 가난하지만 똑똑하고 성실한 학생들을 위해 학위 과정을 제공한다. 1999년 비센테 에우세비오(Vicente Eusebio) 시장 재임 시절 설립되었다.

아시아태평양대학교(University of Asia and the Pacific, UA&P)는 오르티가스 센터에 있으며, 1967년 하버드 대학교 출신 두 명의 졸업생이 경제 및 사회 싱크탱크 기관으로 설립한 연구 및 커뮤니케이션 센터(Center for Research and Communication, CRC)를 그 기원으로 한다. 정신적, 교리적 형성은 오푸스데이(Opus Dei)에 맡겨져 있다.

리살 기술대학교(Rizal Technological University, RTU)는 만달루용에 본교가 있는 국립대학교로, 파시그 시 열대우림공원 뒤편에 분교 캠퍼스를 두고 있다. RTU 파시그 캠퍼스는 1994년에 설립되어 공학, 교육, 천문학, 경영 및 창업 분야의 다양한 과정을 제공한다.

아레야노 대학교(Arellano University)는 마닐라에 본교가 있는 사립대학교로, 파시그 시 카니오간(Caniogan) 지역에 안드레스 보니파시오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약 1.29ha 규모의 이 캠퍼스는 1946년에 설립되었다.

MFI 재단(MFI Foundation Inc.)(구 메랄코(Meralco) 재단 연구소)는 오르티가스 애비뉴(Ortigas Avenue)를 따라 오르티가스 센터(Ortigas Center) 근처에 있었다. 1983년에 중간 수준의 기술 인력에 대한 산업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필리핀 정부의 기술교육 및 기술개발청(Technical Education and Skills Development Authority)(TESDA)의 파트너로서, 청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산업 기술 프로그램(ITP)과 숙련 노동자 및 전문가를 위한 기술 훈련 및 MFI 훈련(구 시험 프로그램)이라는 두 가지 주요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도무스콜라 국제학교 (DIS)는 우공(Ugong) 마을에 있으며 초등학생을 위한 국제 바칼로레아 PYP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2000년에 세컨드맘(Second Mom)이라는 이름의 유치원으로 설립되어 현재는 초등 및 중등 교육까지 확장되었다. 이 학교는 TAO Corporation과 제휴하고 있으며, 2015년부터 IB 디플로마 프로그램 후보학교가 되었다.

산도발 애비뉴(Sandoval Avenue)에 있는 세인트 가브리엘 국제학교(Saint Gabriel International School)는 중국계 마닐라 시아멘 국제학교(Manila Xiamen International School)의 자매학교이다. 이 학교는 현지 학생과 외국 학생을 위해 중국어 수업과 ESL 교육을 제공한다.

우공(Ugong) 마을에 있는 또 다른 국제학교는 리들리 국제학교(Reedley International School)이다. 1999년에 설립된 이 학교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이 학교는 싱가포르, 필리핀, 미국 세 가지 교육과정을 채택하고 있다.

11. 국제 관계

파시그는 마루가메(일본)[39], 사우스 샌프란시스코(미국)[40]와 국제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참조

[1] 문서 DILG detail
[2] 뉴스 Bill seeks to make Antipolo City the capital of Rizal https://web.archive.[...] Manila Bulletin 2017-09-23
[3] 웹사이트 THE NEW RIZAL PROVINCIAL CAPITOL https://web.archive.[...] Rizal Provincial Government 2018-01-23
[4] 뉴스 Duterte transfers capital, seat of gov't of Rizal from Pasig City to Antipolo City https://newsinfo.inq[...] Philippine Daily Inquirer 2020-06-22
[5] 뉴스 DAntipolo City now Rizal provincial capital after four decades https://web.archive.[...] CNN Philippines 2020-06-22
[6] 웹사이트 pasiR sandbank, shoal in river or sea https://www.trussel2[...] Robert Blust and Stephen Trussel
[7] 논문 Proto Malayic: The Reconstruction of Its Phonology and Parts of Its Lexicon and Morphology https://core.ac.uk/d[...] Pacific Linguistics 1992
[8] 논문 Issues in Austronesian Historical Phonology https://core.ac.uk/d[...] Pacific Linguistics 2003
[9] 웹사이트 pasiR sandbank, shoal in river or sea https://www.trussel2[...] Robert Blust and Stephen Trussel
[10] 서적 Prehispanic Source Materials for the Study of Philippine History New Day Publishers 1984
[11] 웹사이트 The Saga of Bitukang Manok https://pasigcityhal[...] 2021-02-10
[12] 웹사이트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PRIMERO By Joaquín Martínez de Zúñiga (Original Spanish) http://www.xeniaedit[...]
[13] 논문 Convicts or Conquistadores? Spanish Soldiers in the Seventeenth-Century Pacific https://academic.oup[...]
[14] 논문 Eva Maria Mehl: Forced migration in the Spanish pacific world: From Mexico to the Philippines, 1765–1811 https://www.academia[...]
[15] 서적 Embassy to the Eastern Courts of Cochin-China, Siam, and Muscat http://www.wdl.org/e[...] Harper & Brothers
[16] 법률 An Act Extending the Provisions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Act to the Province of Rizal https://lawyerly.ph/[...] 1901-06-11
[17] 웹사이트 Quezon's City: Corruption and contradiction in Manila's prewar suburbia, 1935–1941 https://www.cambridg[...] 2017-02
[18] 웹사이트 SANCHEZ, Augusto S. http://www.bantayog.[...] 2016-08-05
[19] 뉴스 'Son of Pasig' Jovito Salonga laid to rest in his hometown https://www.rappler.[...] 2016-03-16
[20] 학술지 IMF Stabilization Program and Economic Growth: The Case of the Philippines https://dirp4.pids.g[...] 1992
[21] 학술지 Exchange Rate Movements in the Philippines
[22] 뉴스 Debt, deprivation and spoils of dictatorship {{!}} 31 years of amnesia https://newslab.phil[...] The Philippine Star
[23] 뉴스 5 Important factors why most Pasiguenos can never accept Marcos as a hero https://www.thepasig[...] The Pasig Review 2020-09-11
[24] 뉴스 Eman Lacaba: From a Red Crusader to the Brown Rimbaud https://www.thepasig[...] The Pasig Review 2020-10-20
[25] 뉴스 Pasig's martial law 'freedom house' named important cultural property https://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6] 웹사이트 Pasig City https://www.pasigcit[...] 2020-04-26
[27] 웹사이트 Newsroom Shutdown https://lopez-museum[...] 2016-03-15
[28] 뉴스 PCGG to sell P16.5B 'Payanig sa Pasig' land soon https://newsinfo.inq[...] The Philippine Daily Inquirer 2015-03-26
[29] 법률 An Act Transferring the Capital and Seat of Government of the Province of Rizal from the City of Pasig, Metro Manila to the City of Antipolo, Province of Rizal https://www.official[...] 2020-06-22
[30] 웹사이트 NSCB Philippine Standard Geographic Codes – City of Pasig https://web.archive.[...]
[31] 법률 An Act Providing for Synchronized National and Local Elections and for Electoral Reforms, Authorizing Appropriations Therefor, and for Other Purposes https://lawphil.net/[...] 1991-11-26
[32] 웹사이트 G.R. No. 125646 https://elibrary.jud[...]
[33] 웹사이트 Pasig: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34] 뉴스 Philippine cities with over 1M population to nearly triple by 2025 http://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35] 웹사이트 Contact Us | Presbyterian Church of the Philippines https://web.archive.[...]
[36] 간행물 An Act Authorizing the Manila Railroad Company of the Philippine Islands to Discontinue and Abandon its Railroad Lines Between: (A) the Municipalities Ot Pasig (Rosario) and Montalban, Province of Rizal; (B) the Railroad Station at Paco, Manila and the Municipality of Naic, Province of Cavite; (C) the Municipalities of Batangas and Bauan, Province of Batangas; and (D) the Municipalities of Legaspi and Tabaco, Province of Albay https://thecorpusjur[...] 1936-10-20
[37] 웹사이트 Schools https://sdopasigcity[...] 2023-10-14
[38] 뉴스 Metro police chief inspects world's biggest high school https://www.philstar[...] 2019-09-24
[39] 뉴스 List of Sister City Affiliations with Japan (by country) https://web.archive.[...] 2017-07-15
[40] 웹사이트 Pasig City, Philippines & South San Francisco, California http://www.sister-ci[...] Sister Cities International 2015-02-04
[41] 웹인용 Pasig: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20-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