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케손시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케손시티는 필리핀 루손섬에 위치한 메트로 마닐라의 도시로, 1939년 필리핀 제2대 대통령 마누엘 케손의 비전에 따라 건설되었다. 필리핀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자, 161.11km²의 면적으로 메트로 마닐라에서 가장 넓다. 필리핀의 금융, 상업, 미디어,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지이며, 다양한 정부 기관과 교육 시설이 위치해 있다. 142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6개의 선거구로 나뉘어 국회의원을 선출한다. 열대 몬순 기후에 속하며, 매년 많은 태풍의 영향을 받는다. 케손시티는 마르코스 시대의 정치적 격변과 피플 파워 혁명의 주요 무대였으며, 현재는 정보통신기술(ICT)과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육성하며 경제 발전을 이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손시티 -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는 1859년 예수회가 설립한 필리핀의 사립 대학교로, 케손 시티에 메인 캠퍼스를 두고 다양한 분야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며 사회 참여를 강조한다.
  • 필리핀의 옛 수도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메트로 마닐라 - 파사이
    파사이는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에 위치한 도시로, 스페인 식민지 시대 농업 지역에서 시작하여 도시로 성장했으며,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상원, 대규모 상업 시설 등이 위치해 있다.
  • 메트로 마닐라 - 마카티
    마카티는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에 있는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로, 아얄라 가문의 영향으로 필리핀의 주요 금융 및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시설과 국제적인 위상을 갖추고 있다.
케손시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케손 시티
원어 명칭Lungsod Quezon
별칭'별들의 도시', QC
국가필리핀
지역메트로 마닐라
지방해당 없음
행정 구역1구에서 6구
하위 행정 구역바랑가이 (142개)
설치 (시)1939년 10월 12일
고도 (평균)17 m
최대 고도796 m
최소 고도-2 m
시장조이 벨몬테 (SBP)
부시장지안 소토 (SBP)
유권자1,463,723명 (2022년)
정부 형태지방 정부
면적161.11 km²
인구 (2020년)2,960,048명
가구 수758,031 가구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통계Taga-QC, QCitizen
인구 순위1위
시간대PST
UTC 오프셋+8
우편 번호1100 ~ 1138
지역 코드2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경제
소득 등급1등급
빈곤율3.65% (2021년)
총수입₱ 29,642,821,089.18 (2021년)
자산₱ 130,796,282,427.42 (2021년)
지출₱ 27,208,432,375.54 (2021년)
부채₱ 8,330,261,896.34 (2021년)
서비스 제공
전기메랄코
통신해당 없음
케이블 TV해당 없음
해당 없음
기후
기후열대 몬순 기후
기타 정보
주요 언어타갈로그어
주요 종교가톨릭
축제일해당 없음
가톨릭 교구쿠바오 가톨릭 교구, 노발리체스 가톨릭 교구
수호성인라나발 드 마닐라 성모
이미지 정보
케손 애비뉴와 케손 기념관
케손 애비뉴와 케손 기념관
니노이 아키노 공원과 야생동물 센터
니노이 아키노 공원과 야생동물 센터
케손 시청
케손 시청
필리핀 대학교 딜리만 캠퍼스
필리핀 대학교 딜리만 캠퍼스
이스트우드 시티
이스트우드 시티
바나웨 거리
바나웨 거리
아라네타 시티
아라네타 시티
로마자 표기
공식 명칭 로마자 표기Lungsod Quezon

2. 역사

케손시티는 필리핀의 수도였던 도시로, 그 이름은 필리핀 제2대 대통령이자 케손시티 건설을 추진했던 마누엘 케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1930년대 마닐라는 인구 과밀, 공공 주택 부족, 위생 및 교통 체증 등 여러 도시 문제에 직면해 있었다.[15] 마누엘 케손 대통령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리오 오브레로'(근로자 공동체) 주택 프로젝트를 시작했지만 실패했다.[15] 그는 일반 시민들이 살 수 있는 도시를 꿈꿨고, 알레한드로 로세스(Alejandro Roces Sr.)의 제안으로 토지 매입을 추진했다.[15]

1938년 10월 14일, 인민 주택 공사(PHC)가 설립되어 딜리만 부동산을 매입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토지를 분양했다.[15] 필리핀 대학교 캠퍼스 이전 계획과 맞물려 케손시티 건설이 추진되었다.[15] 1939년 10월 12일, 케손 시티 헌장으로도 알려진 제502호 영연방 법률이 통과되어 케손시티가 건설되었다.[19] 이 도시는 원래 발린타왁 시티(Balintawak City)로 명명될 예정이었지만, 나르시소 라모스와 에우헤니오 페레스 의원이 케손 대통령의 역할을 기념하여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도록 법안을 수정했다.[20][21][15]

1972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계엄령 선포는 케손시티의 언론 매체인 GMA 채널 7과 ABS-CBN 채널 2를 포함, 마르코스의 승인을 받지 않은 모든 언론 매체의 즉각적인 폐쇄로 이어졌다.[37] 캠프 크레임은 마르코스 독재 정권의 인권 침해가 많이 발생한 장소였다.[37]

1986년 피플 파워 혁명으로 마르코스는 권좌에서 물러났다. 마르코스 독재 시대를 기념하는 세 개의 주요 기념비는 모두 케손 시티에 있다.[51] 피플 파워 기념비와 EDSA 성지는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으며, 반타요그 응가 므가 바야니는 20년간의 마르코스 정권 하에서 투쟁한 영웅과 순교자들을 기리기 위해 건설되었다.

1998년 케손시티 북쪽 15개 바랑가이(Barangay)를 분리하여 노발리체스시(City of Novaliches)를 건설하는 법안이 통과되었으나,[54][55][56] 1999년 주민투표에서 케손시티 주민들은 압도적인 다수로 노발리체스 분리에 반대했다.

2022년 케손시티 정부는 시내 주요 도로 여러 곳에서 무인 단속 정책을 전면 시행하기 시작했다.

2. 1. 영연방 시대

케손 시티의 이름은 필리핀 제2대 대통령이자 케손 시티 건설의 비전을 제시한 마누엘 케손에서 따왔다.


케손 시티가 건설되기 전, 현재 시티가 위치한 지역은 칼루칸, 마리키나, 로드리게스(몬탈반), 파시그, 산 마테오, 산 후안(델 몬테) 등 리잘 주(1901년부터)에 속한 여러 마을의 일부였다.

2. 1. 1. 새로운 수도 건설 계획

1930년대 마닐라는 여러 도시 문제를 겪고 있었다.[15] 비논도, 인트라무로스, 키아포, 산 니콜라스, 톤도 등지의 비공식 정착민 지역에 수천 명의 주민들이 밀집해 살면서 공공 주택이 부족했고, 위생 및 교통 체증 문제도 심각했다.[15] 이러한 문제로 파사이, 산 펠리페 네리(만달루용), 산 프란시스코 델 몬테, 마카티, 산 후안 델 몬테 등 마닐라 외곽 지역 개발이 이루어졌다.[15]

대통령 마누엘 케손은 마닐라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바리오 오브레로'(근로자 공동체) 주택 프로젝트를 시작했지만 실패했다.[15] 그는 일반 시민들이 살 수 있는 도시를 꿈꿨고, 알레한드로 로세스(Alejandro Roces Sr.)의 제안으로 토지 매입을 추진했다.[15]

1938년 10월 14일, 인민 주택 공사(PHC)가 설립되어 딜리만 부동산을 매입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토지를 분양했다.[15] 수도권 상수도 시스템을 확장하고, 도로와 고속도로를 건설했다.[15] 케손은 건축가 후안 M. 아레야노에게 도시 설계 초안을 맡겼다.[15]

케손 시티 건설을 위해 딜리만 부동산 등 8개의 광대한 부동산이 매입되었다.[15] 필리핀 대학교 캠퍼스 이전 계획과 맞물려 케손 시티 건설이 추진되었다.[15] 1939년 6월 8일, UP 이전을 공포하는 제442호 연방법이 통과되면서 마리키나 부동산 일부와 딜리만 부동산의 추가 토지가 새로운 대학교 캠퍼스로 추가되었다.[15]

2. 1. 2. 케손시티 건설

대통령 마누엘 케손은 마닐라의 도시 문제, 특히 공공 주택 부족, 위생 및 교통 체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리오 오브레로"(근로자 공동체)라는 주택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5]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실패했고, 빈민가가 되었다.[15]

케손은 일반 시민들이 살고 번영할 수 있는 도시를 꿈꿨고, 이를 위해 상당한 규모의 토지를 매입할 것을 제안받았다.[15] 1938년 10월 14일, 인민 주택 공사(PHC)가 설립되어 딜리만(Diliman) 부동산을 매입하고, 토지를 구획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했다.[15] 수도권 상수도 시스템 서비스와 도로 및 고속도로가 건설되었고, 건축가 후안 M. 아레야노가 도시 설계 초안을 작성했다.[15]

필리핀 대학교를 마닐라에서 딜리만으로 이전하는 계획은 케손 시티 건설의 또 다른 전례가 되었다.[15] 1939년 6월 8일, UP 이전을 공포하는 제442호 연방법이 통과되었다.[18]

1939년 10월 12일, 케손 시티 헌장으로도 알려진 제502호 영연방 법률이 통과되어 케손 시티가 건설되었다.[19] 이 도시는 원래 발린타왁 시티(Balintawak City)로 명명될 예정이었지만, 나르시소 라모스와 에우헤니오 페레스 의원이 케손 대통령의 역할을 기념하여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도록 법안을 수정했다.[20][21][15]

케손 시티 건설을 위해 여러 마을의 바랑가이들이 편입되었다.[15] 1941년 제659호 영연방 법률은 시 경계를 변경하여 왁왁 골프 앤 컨트리 클럽 지역과 하부 바랑카, 예수스 드 라 페냐 바랑가이를 만달루용마리키나로 환원하고, 캠프 크레임을 케손 시티에 편입시켰다.[15][23]

케손은 윌리엄 파슨스(William Parsons)에게 도시 마스터플랜 작성을 요청했고, 파슨스가 사망한 후 해리 T. 프로스트(Harry T. Frost)가 그 뒤를 이어 후안 M. 아레야노, 알피어스 D. 윌리엄스(Alpheus D. Williams), 웰턴 베켓(Welton Becket)과 함께 1941년 케손 시티 마스터플랜을 만들었다.[15]

2. 2. 일본 점령 시대

1941년 필리핀 박람회가 새로 설립된 케손시에서 개최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초의 격화되는 혼란으로 참가자는 현지인으로 제한되었다.[15] 1941년 12월 일본군의 폭격으로 마닐라 일부가 파괴되면서 전쟁이 필리핀에 도래하였다. 1942년 1월 1일, 케손 대통령은 긴급 조치로 행정명령 제400호를 발표하여 호르헤 B. 바르가스를 시장으로 하는 대마닐라 시를 설립하였다. 이는 마닐라 시와 칼룩칸, 마카티, 만달루용, 파라냐케, 파사이, 산 후안 마을을 통합한 것이었다.[25][26]

일본 제국군이 태평양 전쟁 중 필리핀을 점령한 후, 1942년 대마닐라 시는 12개 지역으로 재편되었는데, 그중 두 지역은 케손 시를 나누어 형성되었다. 발린타왁은 산 프란시스코 델 몬테, 갈라스, 라 로마, 뉴 마닐라, 산타 메사 에스테이트, 와크 와크 골프 앤 컨트리 클럽, 그리고 현재의 산 후안 그린힐스를 포함하였고, 딜리만은 딜리만 자체, 쿠바오, 대학 지역, 그리고 현재 마리키나의 동쪽 부분으로 구성되었다.[27]

같은 해, 케손 연구소 환자들은 인트라무로스의 산 후안 데 디오스 병원으로 이송되었고, 일본군은 이 시설을 자체 부상자 치료에 사용하였다. 일본군은 일부 도로명을 변경하였는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사우스 애비뉴를 티목 애비뉴로 변경한 것이다.

1944년 미국군이 루손으로 돌아왔을 때, 현재의 E. 데 로스 산토스 애비뉴인 54번 국도와 같이 일부 도로에 번호를 부여하였다. 1945년 세르히오 오스메냐 대통령은 대마닐라 시를 해산하여 통합되었던 도시와 마을들을 분리하고 전쟁 전 상태로 회복시켰다.[28] 이 지역은 그 후 필리핀 행정위원회의 통치를 받았다. 같은 해, 인정받는 게릴라 부대의 지원을 받은 미국 육군, 필리핀 연방군, 필리핀 경찰 소속 필리핀과 미군 연합군이 케손 시를 몇 달 만에 해방하여 일본군을 축출하였다. 당시 칼룩칸에 속해 있던 노발리체스와 요새화된 뉴 마닐라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바리오 탈리파파와 대학 지역에서도 소규모 교전이 있었다.

2. 3. 전후 및 독립 시대

1948년 7월 17일, 엘피디오 키리노 대통령은 공화국법 제333호에 서명하여 케손시티를 필리핀의 수도로 지정했다.[29] 이 법은 수도 계획 위원회를 설립했고, 위원회는 도시의 마스터플랜을 개발하고 시행할 책임을 맡았다.[4] 수도로서 케손시티는 북쪽으로 확장되었고, 바에사, 바그바그, 반랏, 카부야오, 노발리체스 프로퍼(바얀/포블라시온), 파송푸틱, 파송타모, 푸가드 라윈, 산 바르톨로메, 탈리파파 등 노발리체스의 바랑가이들이 칼루칸에서 케손시티로 편입되었다. 이러한 영토 변화로 칼루칸은 두 개의 비연속적인 부분으로 나뉘게 되었다.[4] 케손시티는 1949년 10월 12일 공식적으로 수도로 취임식을 가졌으며, 키리노 대통령은 헌법 힐스(Constitution Hills)에 건설될 예정인 의사당 건물의 기공식을 거행했다.[4]



1950년 6월 16일, 공화국법 제537호에 의해 케손시티 헌장이 개정되어 시의 경계가 153.59km2로 변경되었다.[30] 정확히 6년 후인 1956년 6월 16일, 공화국법 제1575호에 의해 시의 영토에 대한 추가 개정이 이루어져 그 면적이 151.06km2로 정의되었다.[31] 그러나 1995년 GIS 그래픽 플롯에 따르면, 케손시티의 총 면적은 161.11km2이며, 이는 토지 면적 측면에서 메트로 마닐라에서 가장 큰 지방자치단체이다.[32][4]

쿠바오(Cubao) 지역은 딜리만(Diliman) 지역 남쪽에 위치한 상업 중심지이다. 에드사 도로와 오로라대로(Aurora Boulevard (R-6))가 교차하는 지역 중심부에는 아라네타(Araneta) 가문이 소유/개발한 35헥타르 규모의 상업지역인 "아라네타 센터(Araneta Center)"가 있다. 아라네타 센터의 중심부는 뉴욕매디슨 스퀘어 가든을 본떠 만들어졌으며, 많은 쇼핑몰이 즐비하다. 전 권투 헤비급 챔피언 무하마드 알리의 이름을 딴 "알리 몰(The Ali Mall)", "파머스 플라자(The Farmers Plaza)", "게이트웨이 몰(The modern Gateway Mall)" 등이 있다. 또한, "플라자 페어(Plaza Fair)", "루스탄스(Rustan's)", "숍와이즈(Shopwise Supercenter)", 그리고 "마크로(Makro)" 등의 백화점도 있다. 그리고 중심부에는 "빅 돔(The Big Dome)"이라고도 불리는, 수용 인원 5만 명의 "아라네타 콜로세움(Araneta Coliseum)"이 있다. 이곳에서는 많은 뮤지컬 쇼, 아이스 스케이팅 쇼, 서커스, 종교 의식, 레슬링, 닭싸움, 프로 농구 경기 등이 열린다.

아라네타 센터 북쪽 에드사 도로변에는 많은 장거리 버스터미널이 있으며, 루손섬 각지와 사마르섬, 레이테섬, 일로일로시 등이 있는 비사야 제도로 향하는 출발점이 된다.

에드사 도로를 따라 달리는 "마닐라 메트로레일 3호선 (Manila MRT Blue Line(MRT-3))"과 오로라대로를 따라 달리는 "마닐라 경전철 2호선(Manila LRT Purple Line(MRT-2))" 환승도 가능하다.

2. 4. 마르코스 행정 시대

1972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계엄령 선포는 케손시티의 언론 매체인 GMA 채널 7과 ABS-CBN 채널 2를 포함, 마르코스의 승인을 받지 않은 모든 언론 매체의 즉각적인 폐쇄로 이어졌다.[37] 많은 학생, 언론인, 학자, 정치인들이 체포되었고, 이들 중 상당수는 케손시티 거주자였다. 마르코스의 계엄령 선포 방송 발표 다음 날 아침, 약 400명의 체포자가 케손시티 남서쪽 끝에 있는 캠프 크레임에 모였는데, 이들은 수천 명의 마르코스 독재 정권 하의 정치범 중 최초의 피해자들이었다.[37]

캠프 크레임은 마르코스 독재 정권의 인권 침해가 많이 발생한 장소였으며, 그중 첫 번째 사건은 학생 언론인 릴리오사 힐라오가 캠프 크레임에서 살해당한 사건이었다.[38] 케손시티 주민들이 특히 겪은 학대 사례 중에는 사망 당시 프로젝트 6에 살았던 프리미티보 미하레스와 그의 16세 아들 보예트 미하레스,[39] 쿠바오 로마 가톨릭 교구의 사회복지사 푸리피카시온 페드로가 바탄의 병원 방에서 군인에게 살해당한 사건이 있었다.[40]

1974년 성심 수련원 급습은 노발리체스의 가톨릭 신학교가 공산주의 지도자들이 숨어 있다는 의심으로 급습당한 사건으로, 마르코스 독재 정권의 몰락으로 이어진 중요한 순간 중 하나였다. 당시 필리핀 예수회 수장이었던 베니뇨 마요 신부와 호세 블랑코 신부를 비롯하여 학생 가톨릭 액션(SCA)이라는 청년 단체 회원 21명이 체포되면서 "이전까지 중립적이었던 필리핀 중산층"에게 마르코스의 권력이 너무 커졌다는 사실을 인식시키는 데 기여했다.[41][42]

국제적인 압력으로 마르코스가 시민권을 회복하기 시작하면서 필리핀 역사의 다른 중요한 순간들이 케손시티에서 일어났다. 언론인 조 버고스는 1977년 케손시티에 기반을 둔 WE 포럼 신문을 창간했고, 1982년 11월에는 보니파시오 길레고 대령이 쓴 기사를 게재하여 많은 마르코스 훈장들을 깎아내렸다.[43] 1984년 9월 웰컴 로톤다 시위 해산에 대한 언론 보도는 80세의 전 상원의원 로렌조 타난다와 71세의 마닐라 타임즈 창립자 치노 로세스가 허약한 몸에도 불구하고 물대포를 맞았고, 학생 지도자 피델 네멘조(후에 필리핀 대학교 딜리만 총장)가 거의 사망할 정도로 총격을 당했음을 보여주었다.

1983년 8월, 암살당한 야당 지도자 니노이 아키노의 장례식은 케손시티 웨스트 트라이앵글의 타임스 스트리트에 있는 아키노 가족 집에서 시작되어 산타 메사 하이츠의 산토 도밍고 교회에서 열린 장례 미사를 거쳐 마닐라 기념공원에 최종 매장되었다.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200만 명의 인파가 행렬에 참여하면서 장례식은 진행되었다. 이 경험은 많은 필리핀 사람들을 독재에 저항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고, 마르코스에 대한 항의 시위가 거의 매주 발생하면서 피플 파워 혁명으로 마르코스가 축출될 때까지 계속되었다.[44]

1975년 11월 7일 대통령령 제824호로 메트로 마닐라 지역이 통합 행정 구역으로 설립되었다.[45] 이 지역은 필리핀의 4개 도시와 인접한 13개 마을을 포함하는 별도의 정부 단위였다. 1976년 6월 24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마닐라를 필리핀 수도로 재지정했다. 대통령령 제940호는 마닐라가 역사적으로 필리핀 국민과 세계에 무역, 상업, 교육, 문화의 중심지였음을 명시했다.[46] 마르코스는 이멜다 마르코스를 메트로 마닐라 초대 주지사로 임명했고, 이멜다는 마닐라를 "인간의 도시"로 재브랜딩하며 대규모 건축 사업을 시작했다.[47]

1978년 3월 31일, 마르코스 대통령은 마누엘 케손 대통령의 유해를 마닐라 북쪽묘지에서 케손 기념관으로 이전하도록 명령했다.[48][49] 이곳에는 케손 대통령과 아우로라 아라곤 케손 여사의 묘소, 그리고 케손 대통령의 삶을 기리는 박물관이 있다.

2. 4. 1. 계엄령 이전

1948년 7월 17일, 엘피디오 키리노 대통령은 공화국법 제333호에 서명하여 케손시티를 필리핀의 수도로 지정했다.[29] 이 법은 수도 계획 위원회를 설립했고, 위원회는 도시의 마스터플랜을 개발하고 시행할 책임을 맡았다.[4] 수도로서 케손시티는 북쪽으로 확장되었고, 바에사, 바그바그, 반랏, 카부야오, 노발리체스 프로퍼(바얀/포블라시온), 파송푸틱, 파송타모, 푸가드 라윈, 산 바르톨로메, 탈리파파 등 노발리체스의 바랑가이들이 칼루칸에서 케손시티로 편입되었다. 이러한 영토 변화로 칼루칸은 두 개의 비연속적인 부분으로 나뉘게 되었다.[4] 케손시티는 1949년 10월 12일 공식적으로 수도로 취임식을 가졌으며, 키리노 대통령은 헌법 힐스에 건설될 예정인 의사당 건물의 기공식을 거행했다.[4]

1950년 6월 16일, 공화국법 제537호에 의해 케손시티 헌장이 개정되어 시의 경계가 153.59km2로 변경되었다.[30] 정확히 6년 후인 1956년 6월 16일, 공화국법 제1575호에 의해 시의 영토에 대한 추가 개정이 이루어져 그 면적이 151.06km2로 정의되었다.[31] 그러나 1995년 GIS 그래픽 플롯에 따르면, 케손시티의 총 면적은 161.11km2이며, 이는 토지 면적 측면에서 메트로 마닐라에서 가장 큰 지방자치단체이다.[32][4]

2. 4. 2. 계엄령 이후

1972년 9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계엄령 선포는 케손시티의 언론 매체인 GMA 채널 7과 ABS-CBN 채널 2를 포함하여 마르코스의 승인을 받지 않은 모든 언론 매체의 즉각적인 폐쇄로 이어졌다.[37] 동시에 많은 학생, 언론인, 학자, 정치인들이 체포되었는데, 그들 중 상당수가 케손시티 거주자였다. 마르코스의 계엄령 선포 방송 발표 다음 날 아침, 약 400명의 체포자가 케손시티 남서쪽 끝에 있는 캠프 크레임에 모여 있었는데, 이들은 수천 명의 마르코스 독재 정권 하의 정치범 중 최초의 피해자들이었다.[37]

캠프 크레임은 마르코스 독재 정권의 인권 침해가 많이 발생한 장소였으며, 그중 첫 번째 사건은 학생 언론인 릴리오사 힐라오가 캠프 크레임에서 살해당한 사건이었다.[38] 케손시티 주민들이 특히 겪은 학대 사례 중에는 사망 당시 프로젝트 6에 살았던 프리미티보 미하레스와 그의 16세 아들 보예트 미하레스,[39] 쿠바오 로마 가톨릭 교구의 사회복지사 푸리피카시온 페드로가 바탄의 병원 방에서 군인에게 살해당한 사건이 있었다.[40]

1974년 성심 수련원 급습은 공산주의 지도자들이 숨어 있다는 의심으로 노발리체스의 가톨릭 신학교가 급습당한 사건으로, 마르코스 독재 정권의 몰락으로 이어진 중요한 순간 중 하나였다. 당시 필리핀 예수회 수장이었던 베니뇨 마요 신부와 호세 블랑코 신부를 비롯하여 학생 가톨릭 액션(SCA)이라는 청년 단체 회원 21명이 체포되면서 "이전까지 중립적이었던 필리핀 중산층"에게 마르코스의 권력이 너무 커졌다는 사실을 인식시키는 데 기여했다.[41][42]

국제적인 압력으로 마르코스가 시민권을 회복하기 시작하면서 필리핀 역사의 다른 중요한 순간들이 케손시티에서 일어났다. 언론인 조 버고스는 1977년 케손시티에 기반을 둔 WE 포럼 신문을 창간했고, 1982년 11월에는 보니파시오 길레고 대령이 쓴 기사를 게재하여 많은 마르코스 훈장들을 깎아내렸다.[43] 1984년 9월 웰컴 로톤다 시위 해산에 대한 언론 보도는 80세의 전 상원의원 로렌조 타난다와 71세의 마닐라 타임즈 창립자 치노 로세스가 허약한 몸에도 불구하고 물대포를 맞았고, 학생 지도자 피델 네멘조(후에 필리핀 대학교 딜리만 총장)가 거의 사망할 정도로 총격을 당했음을 보여주었다.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는 1983년 8월, 암살당한 야당 지도자 니노이 아키노의 장례식이 케손시티 웨스트 트라이앵글의 타임스 스트리트에 있는 아키노 가족 집에서 시작되어 산타 메사 하이츠의 산토 도밍고 교회에서 열린 장례 미사를 거쳐 마닐라 기념공원에 최종 매장되었다.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200만 명의 인파가 행렬에 참여하면서 장례식은 진행되었다. 이 경험은 많은 필리핀 사람들을 독재에 저항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고, 마르코스에 대한 항의 시위가 거의 매주 발생하면서 피플 파워 혁명으로 마르코스가 축출될 때까지 계속되었다.[44]

2. 4. 3. 마르코스 시대의 물리적, 행정적 변화

1975년 11월 7일 대통령령 제824호로 메트로 마닐라 지역이 통합 행정 구역으로 설립되었다.[45] 이 지역은 필리핀의 4개 도시와 인접한 13개 마을을 포함하는 별도의 정부 단위였다. 1976년 6월 24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마닐라를 필리핀 수도로 재지정했다. 대통령령 제940호는 마닐라가 역사적으로 필리핀 국민과 세계에 무역, 상업, 교육, 문화의 중심지였음을 명시했다.[46] 마르코스는 이멜다 마르코스를 메트로 마닐라 초대 주지사로 임명했고, 이멜다는 마닐라를 "인간의 도시"로 재브랜딩하며 대규모 건축 사업을 시작했다.[47]

1978년 3월 31일, 마르코스 대통령은 마누엘 케손 대통령의 유해를 마닐라 북쪽묘지에서 케손 기념관으로 이전하도록 명령했다.[48][49] 이곳에는 케손 대통령과 아우로라 아라곤 케손 여사의 묘소, 그리고 케손 대통령의 삶을 기리는 박물관이 있다.

2. 5. EDSA 민중 권력 혁명

1986년, 코라손 아키노와 하이메 신 추기경이 이끈 비폭력적인 피플 파워 혁명으로 마르코스는 권좌에서 물러났다. 1986년 2월 22일부터 25일까지 수천 명의 사람들이 마르코스 정부에 맞서 민중항쟁과 시민저항의 일환으로 캠프 크레임과 캠프 아기날도 사이의 EDSA로 몰려들었다.[50]

2. 5. 1. 기념비

마르코스 독재 시대를 기념하는 세 개의 주요 기념비는 모두 케손 시티에 있다.[51] 피플 파워 기념비와 EDSA 성지는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으며, EDSA 성지는 필리핀 민주주의 회복에 가톨릭교회가 수행한 역할의 상징이다. 반타요그 응가 므가 바야니는 20년간의 마르코스 정권 하에서 투쟁한 영웅과 순교자들을 기리기 위해 케손 애비뉴를 따라 건설되었다. 반타요그의 기념의 벽은 계엄령 시대의 저명한 인물들을 기리고 있다.[52][53]

2. 6. 현대

1998년 2월 23일, 피델 라모스 대통령은 8535호 공화국 법률에 서명하여 케손시티 북쪽 15개 바랑가이(Barangay)를 분리하여 노발리체스시(City of Novaliches)를 건설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54][55][56] 당시 시장인 이스마엘 "멜" 마타이 주니어는 투표 대상을 케손시티 전체로 확대하려 했으며, 노발리체스 분리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였다. 그러나 1999년 10월 23일 주민투표에서 케손시티 주민들은 압도적인 다수로 노발리체스 분리에 반대했다. 마타이의 뒤를 이어 2001년부터 2010년까지 펠리시아노 벨몬테 주니어가 케손시티 시장을 역임했다.

2001년 5월 1일, 조셉 에스트라다 전 대통령의 체포에 항의하는 바랑가이 홀리 스피릿 주민 수천 명이 EDSA 성지에서 말라카냥궁까지 행진하여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대통령에 반대하는 5.1 폭동에 참여했다.[57]

EDSA 성지


2010년 지방 선거에서 벨몬테 시장 재임 당시 부시장을 지낸 배우 허버트 "비스텍" 바우티스타가 시장으로 당선되었다. 바우티스타 시장 재임 기간 동안 필리핀 최초의 LGBT 위원회인 케손시티 자긍심 위원회(Quezon City Pride Council)가 설립되었다.[58] 그는 또한 "비스텍빌(Bistekville)"이라는 사회 주택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019년, 바우티스타의 뒤를 이어 부시장이자 전 케손시티 시장 펠리시아노 벨몬테 주니어의 딸인 조이 벨몬테가 시장이 되었다. 2022년 재선된 조이 벨몬테 시장은 케손시티 시민 위원회를 설립했다. 참여, 책임 및 투명성 조례에 따라 위원회는 시 정부가 인증한 약 2,232개의 시민 사회 단체를 포괄하는 조직으로, 시민 참여를 증진하고 위원회가 시 정부에서 시민의 “눈, 귀, 목소리”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59]

2020년 3월 15일부터 케손시티는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지역 봉쇄 조치를 받았다. 가장 엄격한 봉쇄 조치는 2020년과 2021년에 시행된 루손 강화 지역 봉쇄였으며, 당시 케손시티에서 10만 명 이상이 감염되고 1,200명 이상이 사망했다. 이후 2021년 경보 수준 시스템(ALS)으로 격하되었고, 봉봉 마르코스 대통령이 2023년 7월 21일 공중 보건 비상 사태를 해제할 때까지 유지되었다.[60]

프로젝트 지역(The Project Areas)에는 필리핀 전 대통령인 케손, 키리노, 마르코스에 의해 케손 시 최초의 주택 단지 분양 프로젝트 지역으로 개발된 로하스(Roxas)=프로젝트 1, 키리노 A(Quirino-A)=프로젝트 2, 키리노 B(Quirino-B)=프로젝트 3, 프로젝트 4, 카미아스(Kamias)=프로젝트 5, 프로젝트 6, 프로젝트 7, 프로젝트 8이 있다.

2. 6. 1. 무접촉 단속 정책

2022년 7월 1일, 케손시티 정부는 시내 주요 도로 여러 곳에서 무인 단속 정책을 전면 시행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키리노 고속도로, E. 로드리게스 시니어 애비뉴, 아우로라 대로, 웨스트 애비뉴, 이스트 애비뉴, 카미아스 로드, P. 투아손 대로 등 일부 교차로에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가 설치되었다. 교통 법규를 위반한 운전자에게는 우편으로 위반 통지서가 발송된다. 시 거주민은 14일 이내에, 비거주민은 14일 이후에 통지서를 받게 된다. 시스템에 등록된 모든 교통 위반 사항은 전용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벌금은 온라인으로 납부할 수 있다.[61]

하지만 이 정책은 운전자들이 제대로 길을 찾는 데 모호한 지시가 있는 여러 교차로 때문에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E. 로드리게스 시니어 애비뉴와 길모어 애비뉴 교차로에서 가장 오른쪽 차선이 케손시티의 자전거 도로 네트워크에 의해 절반으로 나뉘어져 있어, "잘못된 차선으로 회전"했다는 이유로 딱지를 떼였다며 여러 운전자가 소셜 미디어에 불만을 제기했다.[62]

3. 지리

퀘손 시티 고도 지도. 도시 동쪽 경계를 따라 고도가 낮아지는 것은 서부 계곡 단층의 길이를 따른 것이다.


케손시티는 루손섬에 있는 메트로 마닐라에서 가장 큰 도시로, 면적은 1995년 GIS 그래픽 플롯 기준 이다.[32] 도시의 경계는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 최종적으로 공화국 법률 제1575호에 의해 로 설정되었다.[4] 한편, 필리핀 통계청은 로, 필리핀 화산지진연구소와 호주 지구과학 연구소는 로 면적을 산정하기도 했다.[64][65]

케손시티는 북쪽으로 로드리게스와 산호세 델 몬테, 동쪽으로 마리키나산마테오, 남동쪽으로 파시그, 남쪽으로 만달루용산후안, 남서쪽으로 마닐라, 서쪽과 북서쪽으로 칼로오칸발렌수엘라와 경계를 접한다. 이 도시는 메트로폴리스 북동쪽에 위치한 과달루페 고원에 자리 잡고 있으며, 남서쪽의 마닐라 저지대와 동쪽의 마리키나 강 계곡 사이에 있다. 케손시티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라 메사 유역 보호 구역의 북쪽 끝으로 해발 이다.[66] 도시의 동쪽 경계에는 마리키나 계곡 단층대의 서부 계곡 단층이 지나간다.

케손시티의 지형은 기복이 심한 편이다. 이 도시는 마리키나, 파식, 산후안, 툴라한, 메이카우얀 강 등 5개의 강 유역에 속하며, 이들 강의 지류와 하천을 포함하면 총길이가 약 에 달한다.[63]

3. 1. 바랑가이 및 선거구

케손 시티는 행정 구역상 142개의 바랑가이로 나뉘어 있다. 이들 바랑가이는 6개의 선거구로 나뉘며, 각 선거구는 하원 의원 한 명이 대표한다. 각 선거구에는 시의원 6명이 있다. 제2선거구는 바랑가이 수는 가장 적지만 노발리체스 저수지를 포함하여 면적이 가장 넓다.[67]

선거구바랑가이 수인구 (2015년)[67]주요 바랑가이
제1선거구37409,962알리시아, 바공 파가아사, 바하이 토로, 발링가사, 붕가드, 다마르, 다마얀, 델 몬테, 카티푸난, 마리블로, 마삼봉, N.S. 아모란토(긴통 실라히스), 나용 칸루란, 파앙 분독, 파기빅사 나용, 팔톡, 파라이소, 필-암, 라몬 마그사이사이, 살바시온, 산 안토니오, 산 이시드로 라브라도르, 산 호세, 산타 크루스, 산타 테레시타, 산토 크리스토, 탈라얀, 베테랑스 빌리지, 웨스트 트라이앵글
제2선거구5688,773바공 실랑간, 바타산 힐스, 코먼웰스, 홀리 스피릿, 파야타스
제3선거구37324,669아미한, 바곰부하이, 바곰바얀, 바야니한, 블루 릿지 A, 블루 릿지 B, 캠프 아기날도, 클라로, 디오키노 조벨, 두얀-두얀, E. 로드리게스, 이스트 카미아스, 에스코파 I, 에스코파 II, 에스코파 III, 에스코파 IV, 리비스, 로욜라 하이츠, 망가, 마릴라그, 마사가나, 마탄당 발라라, 밀라그로사, 판솔, 키리노 2-A, 키리노 2-B, 키리노 2-C, 키리노 3-A, 세인트 이그나티우스, 산 로케, 실랑간, 소코로, 타굼파이, 우공 노르테, 빌라 마리아 클라라, 웨스트 카미아스, 화이트 플레인즈
제4선거구38446,122바공 리푸난 응 크라메, 보토칸, 센트럴, 크리스통 하리, 다마양 라기, 도냐 아우로라, 도냐 이멜다, 도냐 호세파, 돈 마누엘, 이스트 트라이앵글, 호스슈, 이매큘레이트 컨셉션, 칼루수간, 카무닝, 카운라란, 크루스나 리가스, 라긴 한다, 말라야, 마리아나, 오브레로, 올드 캐피톨 사이트, 팔리그사한, 피냐한, 피나가이사한, 록사스, 세이크리드 하트, 산 이시드로 갈라스, 산 마르틴 드 포레스, 산 비센테, 산토 니뇨, 산톨, 시카투나 빌리지, 사우스 트라이앵글, 타탈론, 티처스 빌리지 이스트, 티처스 빌리지 웨스트, U.P. 캠퍼스, U.P. 빌리지, 발렌시아
제5선거구14535,798바그바그, 카프리, 페어뷰, 그레이터 라그로, 굴로드, 칼리 가야한, 나가이상 나용, 노스 페어뷰, 노발리체스 프로퍼, 파송 푸틱 프로퍼, 산 아구스틴, 산 바르톨로메, 산타 루시아, 산타 모니카
제6선거구11531,592아폴로니오 샘슨, 바에사, 발론-바토, 쿨리아트, 뉴 에라, 파송 타모, 상가단, 사우요, 탈리파파, 탄당 소라, 우낭 시가우


3. 2.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케손시티는 열대 몬순 기후(Am)에 속한다. 이 도시는 12월부터 4월까지 건조기를 가지며, 이 기간은 다시 서늘한 건조기와 따뜻한 건조기로 나뉜다. 그리고 5월부터 11월까지는 장마가 이어져 일부 지역에서는 폭우가 내린다.

케손시티의 주요 기상 관측소는 PAGASA 과학정원에 위치해 있다. 관측 결과에 따르면, 최고 기온은 38.5°C까지, 최저 기온은 14.9°C까지 기록되었다.[143][144] 4월부터 5월까지 1.5개월 동안은 더운 계절로, 일평균 최고 기온이 32.8°C에 달한다. 반면, 11월부터 2월까지 2.6개월 동안은 서늘한 계절로, 평균 기온이 30.5°C 이하이다.

매년 약 20개의 태풍이 필리핀에 상륙하여 케손시티와 나머지 메트로 마닐라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몇 년 동안, 남서 계절풍인 ''하바가트''(Habagat)로 인한 폭우가 태풍만큼 파괴적인 결과를 초래하여 홍수와 산사태를 일으켜 강가에 사는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기록 (°C)34.7°C35.6°C36.8°C38°C38.5°C38°C36.2°C36.1°C35.6°C35.4°C35°C34.9°C38.5°C
평균 최고 기온 (°C)30.6°C31.5°C32.9°C34.6°C34.4°C33.1°C31.8°C31.2°C31.5°C31.7°C31.6°C30.7°C32.1°C
평균 기온 (°C)26°C26.5°C27.8°C29.4°C29.8°C29.1°C28.2°C27.9°C27.9°C27.8°C27.4°C26.6°C27.8°C
평균 최저 기온 (°C)21.4°C21.5°C22.6°C24.1°C25.1°C25°C24.5°C24.6°C24.4°C23.9°C23.2°C22.4°C23.6°C
최저 기온 기록 (°C)15.5°C15.1°C14.9°C17.2°C17.8°C18.1°C17.7°C17.8°C20°C18.6°C15.6°C15.1°C14.9°C
평균 강우량 (mm)27.1mm24.4mm32.9mm41.7mm211.9mm322.7mm516.6mm568.5mm500.3mm283.6mm141.4mm114.5mm2785.6mm
평균 강우일 수 (≥ 1.0 mm)4345121721212115128143
평균 상대 습도 (%)77737068737983858482818078



출처: 필리핀대기지구물리천문청(PAGASA)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61년~2020년)[143][144]

4. 도시 구역

케손시는 행정적으로 6개의 입법구로 나뉜다. 그러나 도시의 역사적 기원에 따라 비입법적 또는 비공식적인 구역으로도 나뉜다. 예를 들어, 입법구로 나열되지 않은 산 프란시스코 델 몬테 구역은 원래 프란체스코회 선교사인 프레이 페드로 바우티스타가 소유한 푸에블로였다.[72] 딜리만 사각형은 퀘존시티의 시 중심지로 계획되었다.[73]

발린타왁에 있는 탄당 소라 국립 사당은 필리핀 혁명의 주요 인물인 멜초라 아키노를 기리고 있다.


쿠바오 소코로에 있는 역사적인 소코로 급수탑은 현재 소코로 바랑가이청으로 사용되고 있다.


뉴 마닐라의 발레테 드라이브는 필리핀 민속에서 유령이 출몰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소위 흰 옷을 입은 여자가 나타난다고 한다.



  • '''바고 반타이''': 시의 서중부에 위치하며, SM 노스 EDSA 뒤편의 주거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알리시아, 라몬 마그사이사이, 산토 크리스토 바랑가이와 바궁 파가아사의 북부 지역으로 구성된다. 바고 반타이는 1930년대 초 산 프란시스코 델 몬테의 산 페드로 데 바우티스타 교구 관할하에 작은 비시타로 시작되었다.[75] 이 지역은 노스 애비뉴와 웨스트 애비뉴에서부터 콩그레셔널 애비뉴와 페르난도 포 주니어 애비뉴를 거쳐 프로젝트 7까지 이어지는 북부 EDSA 구간의 일부를 차지한다.
  • '''쿠바오''': 시의 남부에 위치한 쿠바오는 35헥타르 규모의 아라네타 시티의 중심지로, 알리 몰, 파머스 플라자, 게이트웨이 몰과 같은 유명한 쇼핑몰과 스마트 아라네타 콜리세움과 같은 상징적인 랜드마크가 있는 복합 용도 타운십 개발 지역이다. 쿠바오 대성당은 쿠바오 로마 가톨릭 교구의 본당이다.
  • '''딜리만''': 딜리만은 퀘존시티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도시가 원래 설립된 곳이다. 이 지역의 이름은 약용 고사리 종인 ''Stenochlaena palustris''의 타갈로그어에서 유래했다.[76][77] 딜리만에는 수많은 국가 정부 기관과 필리핀대학교 딜리만, FEU–FERN 대학, 뉴 에라 대학교와 같은 유명한 대학들이 위치해 있다. 북쪽, 서쪽, 남쪽 (티목), 동쪽 애비뉴로 둘러싸인 딜리만 사각형은 병원, 정부 건물 및 유흥가로 유명하다. 사우스 트라이앵글과 라긴 한다 바랑가이의 여러 거리는 보이스카우트 22명이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한 것을 기념하여 명명되었다. 티목 애비뉴와 토마스 모라토 애비뉴 교차로의 회전교차로 중앙에는 기념비가 있다. 이곳은 "스카우트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ABS-CBN과 GMA와 같은 주요 상업 방송 미디어 및 텔레비전 네트워크는 딜리만 사각형 내에 본사를 두고 있다. PTV, RPN, IBC, PBS도 딜리만에 본사를 두고 있다.
  • '''갈라스''': 퀘존시티의 갈라스-산톨 지구는 마닐라 시와의 남서쪽 경계에 위치한다. 도시의 초기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공인들의 이름을 딴 도냐 이멜다, 도냐 호세파, 도냐 아우로라, 돈 마누엘 바랑가이가 이 지역에 위치한다. 산토 니뇨, 산톨, 산 이시드로 바랑가이는 삼팔록과 산타 메사의 경계 역할을 한다. SM 시티 산타 메사는 아라네타 애비뉴 끝에 위치하며, 산 후안, 퀘존시티, 마닐라 세 도시의 경계를 넘나드는 교차 지점으로 설정되어 있다.
  • '''라 로마''': 라 로마는 도시의 남서쪽에 위치한다. 주요 거리인 N.S. 아모란토 애비뉴 (레티로)와 A. 보니파시오 애비뉴를 따라 5개의 바랑가이가 있다. 이 지역은 특히 르촌에 전념하는 많은 유명한 필리핀 요리 인물과 업체의 발상지로 유명하다. 근처의 라 로마 묘지는 이 지역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뉴 마닐라''': 뉴 마닐라는 수도에서의 삶의 스트레스를 피하고 싶어하는 도시의 부유한 가족들이 대부분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마닐라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원래 산 후안의 일부였지만, 모 도시에서 분리되어 퀘존시티를 형성했다. 주목할 만한 주민으로는 뉴 마닐라의 원래 토지 소유주인 헤마디-이스마엘 가족과 LVN 스튜디오의 가장인 도냐 나르시사 데 레온이 있다. 또한 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의 제2 행정 장관인 에라뇨 마날로의 출생지이기도 하다.[78] 뉴 마닐라는 또한 유령이 출몰하는 곳으로 알려진 발레테 드라이브로도 유명하며, 필리핀 민속에 따르면 지나가는 운전자들에게 도움을 청하는 흰 옷을 입은 여자의 영혼이 도로를 배회한다고 한다.[79][80]
  • '''노발리체스''': 노발리체스는 퀘존시티에서 가장 큰 구역이며, 바타산 힐스 이후 도시의 북부 대부분을 차지한다. 메트로 마닐라의 대부분의 물 공급원인 라 메사 유역 보호구역과 댐과 저수지가 포함되어 있다. 원래 칼루칸의 일부였지만, 1948년 후자가 수도로 선포되면서 퀘존시티에 편입되었다. 1948년 퀘존시티에 편입되기 전에 노발리체스는 이미 1864년 지도에 등장했으며, 1855년 스페인에 의해 타라, 말린타, 피에다드, 마이실로의 아시엔다에서 조직되었다. 1856년에는 자치 시가 되었지만 1901년 칼루칸에 흡수되었다. 노발리체스는 여전히 역사적인 경계로 알려져 있다. 북쪽 칼루칸 전체에서 북쪽 부라칸과의 경계인 마릴라오 강둑까지, 서쪽 발렌술아의 역사적인 폴로 지역의 일부, 그리고 북동쪽과 동쪽의 퉁쿵 만가의 상류 지역과 옛 타라 나병원까지는 여전히 많은 주민들이 오늘날까지 고려하는 노발리체스의 옛 영토로 여겨진다.
  • '''프로젝트 1''': 로하스 바랑가이 또는 로하스 지구로도 알려져 있다. 로하스 바랑가이는 1948년 마누엘 로하스 대통령의 행정 명령에 따라 필리핀 홈사이트 주택 공사가 수행한 최초의 주택 프로젝트였다.[81]
  • '''프로젝트 2''': 키리노 2-A, 키리노 2-B, 키리노 2-C 바랑가이로 구성된다. 아노나스로 특히 알려져 있다.
  • '''프로젝트 3''': 키리노 3-A, 아미한, 클라로, 두얀-두얀 바랑가이로 구성된다. 아노나스로 특히 알려져 있다.
  • '''프로젝트 4''': 쿠바오 옆 동쪽 지역에 위치한다.
  • '''프로젝트 5''': E. 로드리게스 바랑가이로도 알려져 있다.
  • '''프로젝트 6''': 딜리만의 프로젝트 6은 필리핀 어린이 의료 센터 (PCMC)와 재향군인 기념 의료 센터 (VMMC)와 같은 병원과 필리핀 과학 고등학교 본교의 본거지로 알려진 부유한 바랑가이이다. 감찰원 사무실과 니노이 아키노 공원 및 야생 동물 센터가 여기에 위치한다.
  • '''프로젝트 7''': 프로젝트 7은 붕가드와 베테랑스 빌리지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82]
  • '''프로젝트 8''': 프로젝트 8은 바하이 토로, 바에사, 상가단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83]
  • '''산 프란시스코 델 몬테''': 1590년 성 페드로 바우티스타에 의해 푸에블로로 설립된 산 프란시스코 델 몬테는 퀘존시티에서 가장 오래된 구역으로 여겨진다. 옛 마을의 원래 면적은 프로젝트 7과 8, 티목 애비뉴의 일부를 포함한다. 동쪽은 웨스트 애비뉴, 북쪽은 에피파니오 드 로스 산토스 애비뉴, 남쪽은 퀘존 애비뉴, 서쪽은 아라네타 애비뉴로 경계가 지정되어 있다. 원래 산 후안의 일부였지만, 모 도시에서 분리되어 퀘존시티를 형성했다. 이 지역은 산 안토니오, 파라이소, 팔톡, 마리블로, 마삼봉, 맨레사, 다마얀, 델 몬테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 SFDM은 무성한 식물과 광천수가 있는 언덕이 많은 지형을 특징으로 하며, 그 중심에는 산 페드로 바우티스타 성소가 프란체스코회 수사들을 위한 휴양지이자 수도원으로 건립되었다. IBC의 본사가 여기에 위치해 있다.
  • '''산타 메사 하이츠''': 산타 메사 하이츠는 중산층과 중상층 가족들이 많이 거주하는 부유한 지역이다. 대부분 주거 지역이다. 루르드 성모 국립 사당과 라 나발 성모 국립 사당이 있다. 앤젤리쿰 대학, 퀘존시티 루르드 스쿨, 퀘존시티 세인트 테레사 대학과 같은 유명한 가톨릭 교육 기관이 여기에 위치해 있다. 코먼웰스 시대에 산타 메사 하이츠는 마닐라 교외 도시 한계 바로 외곽에 위치한 대학의 이상적인 장소로 여겨졌다. 또한 아시아 레스토랑과 음식 허브 천국으로 유명한 차이나타운과 같은 곳인 바나웨 거리의 위치이기도 하다.
  • '''퀘존시티 차이나타운'''은 세계에서 가장 큰 차이나타운이다. 2005년 8월 25일 시 조례 3039호에 의해 조성되었으며, 2015년 10월 5일 관광 지구로 선포되었다.[84]


케손시는 루손섬 메트로 마닐라의 1/4에 달하는 면적을 차지하는 메트로 마닐라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 도시의 남서쪽에는 마닐라시가, 서쪽과 북서쪽에는 칼로오칸시와 발렌수엘라시가 인접해 있다. 또한, 남쪽에는 산후안시가 위치하며, 만달루용시와 파시그시와도 접해 있다. 동쪽에서는 마리키나시와 접하고, 리살주와도 접해 있다. 북쪽에서는 마릴라오 강을 경계로 불라칸주와 접하고 있다.

도시는 여러 지역으로 나뉘어 있지만, 그 경계는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는 않다. 주로 주거 지역별로 나뉘어 있으며, 남쪽에는 딜리만, 코먼웰스, 프로젝트 지역, 쿠바오, 카미아스, 카무닝, 뉴 마닐라, 산 프란시스코 델 몬테, 그리고 산타 메사 하이츠가 포함된다. 또한, 북쪽에는 노발리체스 지역이 있으며, 여기에는 페어뷰와 라그로가 포함된다.

5. 도시 경관



마닐라에서 딜리만으로 필리핀 대학교를 이전한 것이 케손 시티 건설의 전례가 되었다.


1930년대 마닐라는 인구 과밀, 공공 주택 부족, 위생 및 교통 체증 문제에 직면했다.[15] 비논도, 인트라무로스, 키아포 등 중심 지역은 비공식 정착민들로 붐볐고, 파사이 등 외곽 지역으로 인구가 분산되었다. 대통령 마누엘 케손은 "바리오 오브레로"(근로자 공동체) 주택 프로젝트를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작가 알레한드로 로세스(Alejandro Roces Sr.)의 제안으로 일반 시민을 위한 새로운 도시 건설을 구상했다.[15] 1938년, 인민 주택 공사(PHC)가 설립되어 딜리만(Diliman) 부동산을 매입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토지를 분양했다. 필리핀 대학교를 마닐라에서 딜리만으로 이전하는 계획도 케손 시티 건설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15]

1938년, 대통령 마누엘 케손은 마닐라의 과밀화와 군사적 취약성을 이유로 새로운 수도 건설을 추진했다.[54][55] 그는 미국 건축가 윌리엄 E. 파슨스에게 의뢰하여 딜리만 지역을 선정하고 도시 계획을 수립하게 했다. 파슨스 사후, 해리 프로스트가 후안 아레야노 등과 협력하여 1941년 마스터플랜을 완성했다.[54][55]

새로운 도시 중심에는 400ha 규모의 중앙공원이 계획되었고, 노스 애비뉴 등으로 둘러싸였다. 25ha 규모의 타원형 부지에는 필리핀 의회 건물이, 타원형 양쪽에는 말라카냥궁(현재 베테랑 기념 의료 센터)과 필리핀 대법원 단지(현재 이스트 애비뉴 의료 센터 부지)가 계획되어 정부의 삼권을 효율적으로 배치했다.[54][55]

5. 1. 건축

케손시티의 건축물은 아르데코, 브루탈리즘, 국제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및 현대 양식 등 다양한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케손시티에는 또한 수많은 기념물과 박물관이 있다. 1939년 케손시티가 설립되었을 당시에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의 바하이 나 바토와 미국의 신고전주의 양식 건축에서 발전한 아르데코 양식이 주류를 이루었다. 당시 건물들을 국제적인 현대 양식으로 설계한 것은 1945년 독립을 예상하며 필리핀이 앞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주려는 의도적인 선택이었다.[85]

1952년부터 1978년까지 건설된 케손 기념관은 아르데코 양식으로 설계되었다. 이 기념관은 케손시티의 상징이 되었으며, 기단에는 마누엘 케손과 그의 부인 아우로라를 위한 박물관과 묘소가 있다. 1948년 케손시티가 수도가 되면서 마닐라에서 케손시티로 많은 정부 건물이 이전되었다. 엘피디오 키리노, 라몬 마그사이사이, 카를로스 가르시아,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수많은 정부 건물이 건설되었다. 그러나 건축의 "필리핀화(Filipinization)"는 마르코스 대통령 시대에 시작되었다. 필리핀 폐병센터, 필리핀 심장센터, 필리핀 신장센터와 같은 케손시티의 많은 정부 병원들이 건설되었고 "디자이너 병원"으로 여겨졌다.[86] 바타상 팜반사와 같은 정부 건물에는 전통 필리핀 디자인 모티프가 통합되었는데, 이는 '바하이 쿠보'와 '바하이 나 바토'에서 영감을 받았다.[87] 마르코스 시대에 건설된 대부분의 정부 건물과 구조물은 마르코스 가문의 "건물 단지"와 관련이 있다.[88]

필리핀 심장센터(Philippine Heart Center)는 필리핀의 대표적인 병원 중 하나로, 브루탈리즘 양식으로 설계되었다.

5. 2. 마스터플랜



1930년대 마닐라는 인구 과밀, 공공 주택 부족, 위생 및 교통 체증 문제에 직면했다.[15] 비논도, 인트라무로스, 키아포 등 중심 지역은 비공식 정착민들로 붐볐고, 파사이 등 외곽 지역으로 인구가 분산되었다.[15]

대통령 마누엘 케손은 "바리오 오브레로"(근로자 공동체) 주택 프로젝트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15] 작가 알레한드로 로세스(Alejandro Roces Sr.)의 제안으로 케손은 일반 시민을 위한 새로운 도시 건설을 구상했다.[15] 1938년, 인민 주택 공사(PHC)가 설립되어 딜리만(Diliman) 부동산을 매입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토지를 분양했다.[15] 필리핀 대학교를 마닐라에서 딜리만으로 이전하는 계획도 케손 시티 건설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15]

1938년, 대통령 마누엘 케손은 마닐라의 과밀화와 군사적 취약성을 이유로 새로운 수도 건설을 추진했다.[54][55] 그는 미국 건축가 윌리엄 E. 파슨스에게 의뢰하여 딜리만 지역을 선정하고 도시 계획을 수립하게 했다. 파슨스 사후, 해리 프로스트가 후안 아레야노 등과 협력하여 1941년 마스터플랜을 완성했다.[54][55]

새로운 도시 중심에는 400ha 규모의 중앙공원이 계획되었고, 노스 애비뉴 등으로 둘러싸였다. 25ha 규모의 타원형 부지에는 필리핀 의회 건물이, 타원형 양쪽에는 말라카냥궁(현재 베테랑 기념 의료 센터)과 필리핀 대법원 단지(현재 이스트 애비뉴 의료 센터 부지)가 계획되어 정부의 삼권을 효율적으로 배치했다.[54][55]

6. 인구

2020년 필리핀 인구조사에 따르면, 케손시티의 인구는 2,960,048명으로, 필리핀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89] 1939년 도시 설립 당시 39,013명이었던 인구는 1980년에 1,165,865명으로 100만 명을 돌파했고, 2000년에는 2,173,931명으로 200만 명을 돌파했다.[89]

케손시티의 인구밀도는 18,222명/km²로, 메트로 마닐라의 인구밀도(20,247명/km²)보다 낮다.[89] 2020년 기준으로 인구가 가장 많은 바랑가이는 코먼웰스(198,285명)이며, 인구가 가장 적은 바랑가이는 키리노 3-A(1,140명)이다.[89]

2015년 기준 케손시티의 평균 가구 규모는 4.3명이며, 평균 연령은 28세이다.[89] 여성(50.71%)이 남성(49.29%)보다 약간 더 많으며, 어린이와 청소년(0~30세)이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58.78%)을 차지한다.[89]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는 타갈로그어이며, 도시 인구의 46.78%가 모어로 사용한다.[89] 그 외 비사야/비니사야어, 비콜어, 일로카노어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된다.[89]

케손시티 인구 조사[89]
연도인구±% p.a.
193939,013
1948107,97711.97%
1960397,99011.65%
1970754,4526.61%
1975956,8644.86%
19801,165,8654.04%
19901,669,7763.64%
19951,989,4193.33%
20002,173,9311.89%
20072,679,4502.92%
20102,761,7201.12%
20152,936,1161.22%
20202,960,0480.16%
출처: 필리핀 통계청


6. 1. 종교

케손 시티는 주로 로마 가톨릭 도시이며, 인구의 약 86.25%가 가톨릭 신자이다.[89] 케손 시티에는 로마 가톨릭 교구인 쿠바오 교구와 노발리체스 교구의 교구청이 있다.

무염시태 대성당 (Immaculate Conception Cathedral) 쿠바오


규모 면에서 그 다음으로는 다양한 프로테스탄트 종파들이 있는데, 최근 수십 년 동안 회원 수가 크게 증가했으며 케손 시티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89][90][91] 세 번째로 큰 종교는 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이며, 그 중앙 성전(INC Central Temple)과 본사는 코먼웰스 애비뉴 뉴 에라에 위치해 있다.[89]

중앙 성전 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 뉴 에라


마지막으로, 케손 시티에는 상당수의 이슬람교 신자들이 있으며, 이슬람교는 케손 시티에서 네 번째로 큰 종교이다.[89]

케손 시티에는 프로테스탄티즘이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여러 복음주의, 프로테스탄트 및 카리스마 교회들이 본부, 교회 및 신학교를 이 도시에 두고 있다. 필리핀 교회 협의회(NCCP), 필리핀 복음주의 교회 협의회(PCEC) 및 필리핀 그리스도 연합 교회(UCCP)의 본부는 이 도시에 위치해 있다. 필리핀 성공회는 뉴 마닐라 캐시드럴 하이츠에 국가 사무실과 성 마리아와 성 요한 국가 대성당을 두고 있다.

예수는 주님 교회 전 세계(JIL)는 이 도시에 많은 지부를 두고 있다. 현재 발린타왁에 12층, 5,000석 규모의 예배 센터인 JIL 코너스톤 센터를 건설 중이다.[92] 예수 기적 선교회는 아모란토 스포츠 콤플렉스에서 매주 예배를 드리며 수천 명이 참석한다.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LDS 교회)는 우공 노르테 그린 메도우즈 주택단지 템플 드라이브에 마닐라 필리핀 성전과 선교사 훈련 센터를 두고 있다. 필리핀 독립 교회(아글리파이안 교회)는 아폴로니오 샘슨에 있는 십자가에 못 박히신 주 예수님 교구, UP 딜리만 캠퍼스 내에 있는 성십자가 교구, 그리고 발링가사에 있는 부활 교구 등 이 도시에 세 개의 교구를 두고 있다. 여호와의 증인 필리핀 지부 사무실은 루즈벨트 애비뉴에 위치해 있다. UCKG 헬프센터(하나님의 왕국 만국 교회)의 본부는 쿠바오 아라네타 시티의 구 케손 극장에 위치해 있다. 이 도시에는 또한 수많은 하나님의 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구약시대의 말씀) 교회가 있다.

이 도시에 본 교회를 두고 있는 다른 교회로는 생명의 빵 국제 선교회, 더 처치 소 블레스트, 피플 오브 그레이스 펠로우십, 타버내클 오브 페이스 인터내셔널, 워드 오브 호프 크리스천 패밀리 처치 등이 있다.

6. 2. 빈곤, 주택 및 도시 빈민가

다마양 라기의 빈민가


2013년 기준, 케손시티에는 151,890개의 건축물에 196,818가구의 비공식 거주민 가족이 거주하고 있다. 이들 중 48,927가구는 수로, 도로의 권리(right of ways) 또는 기타 위험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93]

케손시티 사회화 주택 및 황폐 지역 개발 태스크포스(주택 태스크포스)는 시 정부 내 사회화 주택의 필요를 해결하는 주요 기관이다.[89] 이 기관의 목표는 다양한 시 부서를 지휘하고 조정하여 주택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기타 지역 사회 개발 관련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다.[89] 시의 사회화 주택 프로그램의 목표는 시의 비공식 거주민과 빈민가 주민에게 안전하고 쾌적하며 지속 가능한 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에는 민간 부문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 및 지방 정부 기관 간의 협력이 포함된다.[94] 시의 대표적인 주택 프로그램은 비스텍빌(Bistekville) 커뮤니티이며,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재임했던 전 시장 허버트 "비스텍" 바우티스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95] 그의 이름이 공공 사업 프로젝트에 붙여졌기 때문에 이 명명은 정치적 '에팔(epal)'의 한 형태로 여겨져 어느 정도 논란이 되었다. 2018년 기준, 케손시티에는 7,184명의 수혜자를 가진 37개의 비스텍빌 프로젝트가 있다.[96] 또한, 홀리 스피릿 바랑가이에는 국가주택청(NHA)이 건설한 960개의 주택 유닛이 있다.[97]

7. 경제

퀘손 시티는 필리핀의 금융, 소매, 운송, 관광, 부동산, 엔터테인먼트, 뉴미디어, 전통 미디어, 통신, 광고, 법률 서비스, 회계, 의료, 보험, 연극, 패션, 예술 분야의 중심지이다. 필리핀 국가경쟁력위원회는 매년 도시 및 지방자치단체 경쟁력 지수(CMCI)를 발표하여 경제 역동성, 정부 효율성, 인프라를 기준으로 도시, 지방자치단체 및 주를 평가하는데, 퀘손 시티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필리핀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도시로 선정되었고, 2020년에는 명예의 전당 상을 수상했다.[98] 2019년 기준으로 퀘손 시티는 마카티(Makati)에 이어 필리핀에서 두 번째로 부유한 도시이며, 총 자산은 964억필리핀 페소에 달했고,[100][101] 부채는 216.23999999999998억필리핀 페소였다.[101]

이스트우드 시티(Eastwood City)

7. 1. 정보 통신 기술

케손시는 스스로를 필리핀의 ICT 수도라고 홍보한다.[102] 케손시는 2015년에 개발된 컴퓨터 기반 부동산 평가 및 지불 시스템을 도입한 필리핀 최초의 지방자치단체(LGU)였으며, 약 40만 개의 부동산 단위와 지불 기록 기능을 갖추고 있다.[54][55] PEZA에 따르면, 이 도시에는 이스트우드 시티 사이버파크(바구음바얀 소재, 필리핀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IT 파크)를 포함하여 33개의 ICT 파크가 있다.[103]

바구음바얀에 위치한 이스트우드 시티는 필리핀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사이버파크입니다.


정보통신기술부와 국가통신위원회의 본사가 이 도시에 있다.

7. 2.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케손시는 주요 스튜디오들이 위치하고 대부분의 필리핀 배우와 여배우들이 거주하는 곳이기 때문에 "필리핀의 엔터테인먼트 수도"[102]이자 "별들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103] 영화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케손시는 케손시 영화 개발 위원회(QCFDC)를 설립했다. 또한 매년 10월 또는 11월에 자체 영화제인 QCinema 국제 영화제를 개최하여 국내외 영화, 다큐멘터리, 단편 영화를 선보이고 제작자들에게 지원금을 제공한다.[104][105][106]

케손시는 필리핀 주요 방송 네트워크의 본거지이다. 이 도시에는 지역 텔레비전 네트워크 11개, 케이블 TV 6개, AM 라디오 방송국 7개, FM 라디오 방송국 4개가 있다.[4] ABS-CBN, GMA 네트워크와 같은 필리핀의 주요 상업 방송 네트워크는 이 도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1992년부터 2013년까지 TV5는 이 도시에 본사를 두었으나, 2013년에 만달루용으로 이전했다. 하지만 TV5의 이전 노발리체스 본사는 여전히 대체 스튜디오로 사용되고 있으며, 노발리체스에 있는 송신소는 여전히 네트워크에서 사용 및 운영되고 있다.[107] RPN, IBC, PTV와 같은 국영 미디어 및 텔레비전 네트워크 또한 이 도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이 도시의 소규모/종교 방송사에는 CEBSI (구 CBS), DZCE-TV, EBC (넷 25)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와 제휴하고 있다. UNTV는 멤버스 교회 오브 갓 인터내셔널과 제휴한 또 다른 소규모/종교 방송 네트워크이다. 마닐라 로마 가톨릭 대교구가 소유하고 운영하는 DZRV-AM은 이 도시에 스튜디오를 두고 있다. 이 도시의 주요 방송 시설에는 필리핀에서 가장 높은 통신 타워인 넷 25 타워(약 276.45m), RPN의 사우스 타워 (약 149.96m), GMA의 파워 타워 (약 236.83m), IBC의 센트럴 타워 (약 198.12m), TV5의 위성 타워 (약 200.01m), ABS-CBN/AMBS의 밀레니엄 송신기 (약 219.46m), ABS-CBN 방송 센터, GMA 네트워크 센터, 노발리체스에 있는 TV5의 대체 스튜디오, UNTV 방송 센터가 있다. 이전에는 마탄당 발라라의 방송 도시가 바나하우 방송 공사 (BBC), 라디오 필리핀 네트워크 (RPN), 인터컨티넨탈 방송 공사 (IBC)의 본거지였다.

8. 정부

케손시는 소득에 따라 특별시[108][109]이자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HUC)로 분류된다. 정부 부처인 토지개혁부, 농무부, 환경·자원부, 주택·도시개발부, 정보통신기술부, 내무 및 지방정부부, 국방부, 사회복지개발부가 케손시티에 있다. 감사원과 감찰원과 같은 독립적인 헌법 기구와 세금소송법원 및 산디간바얀과 같은 특별 법원도 케손시티에 있다.

케손시티에는 두 곳의 국가 정부 센터(NGC)가 있다. 첫 번째는 딜리만 사각형에 위치하며, 노스, 사우스, 이스트, 웨스트 애비뉴로 둘러싸여 있다. 토지개혁부, 농무부, 환경·자원부, 주택·도시개발부 (필리핀 주택청 포함) 그리고 내무 및 지방정부부의 본부가 이곳에 있다. 국세청, 중앙은행 보안시설 단지, 토지등기청, 운수국, 필리핀 전력공사(NAPOCOR/NPC), 필리핀 송전공사(TransCo), 필리핀 대기지구물리천문청(PAGASA), 필리핀 우주청(PhilSA), 필리핀 통계청(PSA), 사회보장제도(SSS)도 케손시티에 있다.

두 번째는 커먼웰스 애비뉴, 바타산 힐스에 있다. 1949년 마스터플랜의 중심이자 국가 시민 센터가 될 예정이었던 바타상 팜반사 단지가 이곳에 있으며, 감사원(COA), 공공 변호사 사무소(PAO), 산디간바얀이 있다.

8. 1. 지방 정부

케손 시청, 시 정부 청사


케손시는 소득에 따라 특별시[108][109]이자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HUC)로 분류된다. 시장은 최고 행정 책임자이며 메트로 마닐라 위원회의 일원이다. 시장은 38명으로 구성된 케손 시 의회의 의장을 역임하는 부시장의 지원을 받는다. 시의회 의원들은 시 내 4개의 의원구 대표와 리가 응가 브랑가이 및 상구니앙 카바타안의 지방 회장으로 선출된다.

현직 시장은 마리아 호세피나 "조이" 벨몬테이며, 이전에는 시 부시장을 역임했고 전 시장이자 하원 의장인 펠리시아노 벨몬테 주니어의 딸이다. 현직 부시장은 전 시의원이자 배우 티토 소토(전 상원 의장이자 시 부시장)와 헬렌 감보아의 아들인 지안 소토이다. 시장과 부시장은 각 임기가 3년인 최대 3개의 임기로 제한된다. 시장은 시 조례를 집행하고 공공 서비스를 개선하는 모든 시 부서를 이끄는 행정 책임자 역할을 한다. 시의회 의장을 겸임하는 부시장은 시의회에서 통과된 조례의 제정 및 공포를 감독한다.

1939년 설립부터 1959년까지 케손 시 시장은 대통령이 임명했다. 노르베르토 S. 아모란토는 최초로 선출된 시장이었으며 22년 동안 그 직책을 역임하여 시에서 가장 오랫동안 재직한 시장이었다.[21]

이 도시는 필리핀의 정기 공휴일 및 비근무일을 준수한다. 매년 8월 19일에 케손시와 케손 주 모두에서 마누엘 L. 케손의 탄생을 기념하기 위해 기념하는 케손시의 날은 특별 비근무일이다.[110]

8. 2. 국가 정부

필리핀 하원(하원)을 비롯하여 부처인 토지개혁부, 농무부, 환경·자원부, 주택·도시개발부, 정보통신기술부, 내무 및 지방정부부, 국방부, 사회복지개발부가 케손시티에 있다. 감사원과 감찰원과 같은 독립적인 헌법 기구와 세금소송법원 및 산디간바얀과 같은 특별 법원도 케손시티에 있다.

내무 및 지방정부부(DILG)의 본부인 DILG-NAPOLCOM 센터


이스트 애비뉴에 있는 중앙은행 보안시설 단지


사회보장제도 본사


케손시티에는 두 곳의 국가 정부 센터(NGC)가 있다. 첫 번째 국가 정부 센터는 딜리만 사각형에 위치하며, 노스, 사우스, 이스트, 웨스트 애비뉴로 둘러싸여 있다. 필리핀 의사당 건물은 케손 기념 공원 부지에 건설될 예정이었고, 행정부 관저는 현재 베테랑 기념 의료 센터(VMMC) 자리에, 대법원은 현재 이스트 애비뉴 의료 센터(EAMC) 자리에 건설될 예정이었다. 부처인 토지개혁부, 농무부, 환경·자원부, 주택·도시개발부 (필리핀 주택청 포함) 그리고 내무 및 지방정부부의 본부가 이곳에 있다. 케손시티에 위치한 다른 정부 기관으로는 국세청, 중앙은행 보안시설 단지, 토지등기청, 운수국, 필리핀 전력공사(NAPOCOR/NPC), 필리핀 송전공사(TransCo), 필리핀 대기지구물리천문청(PAGASA), 필리핀 우주청(PhilSA), 필리핀 통계청(PSA), 사회보장제도(SSS)가 있다.

두 번째 국가 정부 센터는 커먼웰스 애비뉴, 바타산 힐스에 위치해 있다. 1949년 마스터플랜의 중심이자 국가 시민 센터가 될 예정이었던 바타상 팜반사 단지가 이곳에 있다. 감사원(COA), 공공 변호사 사무소(PAO), 산디간바얀이 이곳에 있다.

9. 스포츠

아모란토 스포츠 콤플렉스 수영장


케손시티는 스포츠 분야에서 길고 훌륭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케손시티에는 아모란토 스포츠 콤플렉스, 케손시티 스포츠 클럽, 스마트 아라네타 콜리세움 등 주목할 만한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시설이 있다. "마닐라의 스릴"로 알려진 무하마드 알리조 프레이저 간의 유명한 권투 시합은 아라네타 콜리세움에서 열렸으며, 이 경기를 위해 경기장 이름을 "필리핀 콜리세움"으로 변경했고 전 세계 10억 명 이상이 시청했다. 케손시티는 1981년, 1991년, 2005년, 201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경기장으로도 사용되었다.

아라네타 콜리세움에서는 1978년과 2023년 FIBA 농구 월드컵을 포함한 다양한 스포츠 행사와 필리핀 농구 협회 경기가 열렸다.

농구는 필리핀에서 매우 중요한 스포츠이다. 케손시티는 2018년 마하랄리카 필리핀 농구 리그에 참가한 남자 프로 농구팀인 케손시티 토다 악시온의 연고지이다. 도시 주변의 대부분의 바랑가이에는 농구 코트(또는 임시 농구 코트)가 있으며, 도로에 코트 표시가 그려져 있다. 더 큰 바랑가이에는 매년 여름 바랑가이 간 리그가 열리는 지붕이 있는 코트가 있다.

케손시티는 국가 정부 소유 골프장에서 운영되는 베테랑 기념 골프 클럽과 캠프 아기날도 골프 클럽 등 골프 코스로도 유명하다. 마탄당 발라라의 캐피톨 힐스 골프 앤 컨트리 클럽은 마리키나 계곡이 내려다보이는 언덕에 위치한 사유지인 18홀 골프 코스이다. 도시 건설 초기에는 그린힐스가 와크 와크 골프 앤 컨트리 클럽과 함께 케손시티의 일부로 간주되었으나, 이후 골프 코스는 만달루용으로 환원되었다.

10. 의료

케손시티 보건부는 시의 공중보건을 담당한다. 본부는 바타산 도로를 따라 바타산 힐스에 있는 바타산 사회위생 클리닉 건물에 있다. 시에는 60개의 정부 및 민간 소유 병원이 있다.[102] 현재 시 소유 및 관리 병원은 바하이 토로(프로젝트 8)에 있는 케손시티 종합병원, 산 바르톨로메 노발리체스에 있는 노발리체스 지구병원, 바타산 힐스에 있는 로사리오 맥랭 바우티스타 종합병원 등 세 곳이다. 또 다른 시 소유 병원인 비사야스 애비뉴 의료센터는 현재 건설 중이다.[111]

세인트 루크 의료센터 – 케손시티(SLMC)는 국내 최고의 민간 병원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스트 애비뉴 의료센터(EAMC), 키리노 기념 의료센터, 그리고 국방부가 운영하는 55ha 면적의 베테랑 기념 의료센터(VMMC) 등 여러 국영 병원이 있다. 또한 정부는 필리핀 폐센터, 국립 신장 이식 연구소(NKTI), 필리핀 심장센터, 필리핀 정형외과 센터 등 시내에 여러 전문 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시에는 필리핀 어린이 의료센터(케손 애비뉴)와 E. 로드리게스 시니어 애비뉴에 있는 국립 어린이 병원 등 두 곳의 국영 어린이 병원이 있다. 필리핀 군대는 V. 루나 종합병원(AFP 의료센터)을 운영한다.

시의 의료 서비스는 케손 연구소와 같은 비영리 단체에서도 제공한다. 에이스 의료센터, 베르나르디노 종합병원, 캐피톨 의료센터, 코먼웰스 병원 및 의료센터, 델로스 산토스 의료센터, 딜리만 닥터스 병원, 극동대학교 – 니카노르 레이스 의학 재단 의료센터, J. P. 시오손 종합병원, 세인트 루크 의료센터 – 케손시티, UERM 기념 병원, 유나이티드 닥터스 의료센터, 빌라로사 병원, 월드 시티 의료센터 등 많은 민간 병원이 있다.

11. 교육

필리핀 대학교 딜리만 캠퍼스 내에 있는 국립과학단지(NSC)


퀘손시티 교육구청(SDO QC)은 시내 97개 공립 초등학교와 46개 공립 고등학교를 관할한다. 1950년 초등학생 20,593명, 고등학생 310명이었던 시내 공립학교 학생 수는 2013-14학년도에는 초등학생 258,201명, 고등학생 143,462명으로 증가했다.[112] 퀘손시티는 필리핀에서 공립학교 수가 가장 많은 도시이다.[113] 2015년 기준으로, 시내 초등학교 5곳과 고등학교 4곳이 필리핀에서 가장 학생 수가 많은 15개 공립학교에 포함된다.[114] 퀘손시티 과학고등학교(QueSci)는 1998년부터 수도권 국가과학고등학교로 지정되었다. 필리핀 과학고등학교는 필리핀 과학기술부에서 운영하는 필리핀 최고의 과학고등학교이다.

퀘손시티 과학 체험 센터는 필리핀 최초의 과학 체험 센터로 여겨진다. 퀘손시티 공공도서관(QCPL)은 시 전역에 20개의 지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중앙 도서관은 퀘손시티청 단지 내에 있다.

11. 1. 고등 교육

필리핀 대학교 딜리만(UPD)과 필리핀 폴리테크닉 대학교 케손시티 분교는 케손시티에 있는 두 개의 국립 대학교이다. 시에서 운영하는 케손시티대학교(QCU)는 산 바르톨로메, 산 프란시스코, 바타산 힐스 등 시 전역에 세 개의 캠퍼스를 두고 있다.[112]

사립 대학교로는 AMA 컴퓨터 대학교, 필리핀 중앙 대학(CCP), FEU 딜리만, 칼라야안 대학, 국립 비즈니스 및 예술 대학(NCBA), 필리핀 기술 대학교(TIP) 등이 있다.

케손시티에는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AdMU), 성모 마리아 순결한 마음 대학, 성 바울 대학교 케손시티, 성 페드로 포베다 대학, 케손시티 시에나 대학, UST 엔젤리쿰 대학과 같은 명문 가톨릭 교육 기관들이 있다. 또한 복음주의 계열의 그레이스 크리스천 대학, 성공회에서 운영하는 아시아 트리니티 대학교, 이글레시아니크리스토가 설립한 뉴 에라 대학교(NEU)와 같은 다른 종파 대학들도 있다.

의과대학으로는 FEU 니카노르 레이스 의학 재단, 세인트루크 의과대학, 캐피톨 메디컬 센터 대학, 동부 대학교 라몬 막사이사이 기념 의료 센터(UERMMMC)가 있다.

12. 인프라

케손시티의 상수도는 서부와 북부 지역은 메이닐라드 워터 서비스가, 남동부 지역은 마닐라 워터가 제공한다. 마닐라 워터가 건설한 노발리체스-발라라 수도교 4호선(NBAQ4)은 메트로 마닐라에서 가장 큰 급수 인프라 프로젝트이다.[120] NBAQ4는 길이 7.3km, 직경 3.1m이며, 하루 1000kL의 용량을 갖고 있다.[121] 라 메사 댐과 저수지는 도시 최북단에 위치하며, 27km2 이상의 면적을 차지한다. 이 저수지는 라 메사 유역과 에코파크를 포함하고 있다.

라 메사 에코파크가 있는 라 메사 유역 보호구역에는 라 메사 댐과 저수지도 포함되어 있다


케손시티의 전력은 메트로 마닐라의 유일한 전력 공급업체인 메랄코(Meralco)가 제공한다. 2019년 10월 기준으로 케손시티에는 26,776개의 LED 가로등이 있다.[116]

케손시티는 통신 산업 자유화로 전화 및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더 많은 업체의 혜택을 받았다. 주요 통신 회사로는 PLDT/스마트 커뮤니케이션즈(Smart Communications), 글로브 텔레콤(Globe Telecom), 디토 텔레커뮤니티(Dito Telecommunity), 멀티미디어 및 이스턴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Eastern Telecommunications Services, Inc.)가 있다.[4]

파야타스 매립지는 메트로 마닐라에서 가장 큰 매립지였다. 1970년대에 케손시티 북동쪽에 위치한 동명의 바랑가이에 설립되었다. 1995년 톤도의 스모키 마운틴이 폐쇄되자, 쓰레기 재활용을 하던 사람들이 파야타스 매립지로 이주하여 무허가 주택지를 형성했다. 2000년 7월 10일, 파야타스 산사태로 218명에서 700명 사이의 사망자가 발생했다.[124] 이 사건 이후, 필리핀에서 2000년 생태적 고형 폐기물 관리법(Republic Act No. 9003)이 통과되었다.[125] 파야타스 매립지는 2004년 관리형 처리 시설로 재구성되었지만 2010년 12월에 폐쇄되었다.[126] 2011년 1월에 기존 매립지 근처에 별도의 매립지가 설립되었으나,[127] [126] 2017년 12월에 폐쇄되었다.[125]

2007년 파야타스 매립지. 2017년 영구 폐쇄됨.

12. 1. 교통

케손시티의 교통은 육상 교통이 중심이다. 2006년 마닐라 수도권 개발청(MMDA) 교통 운영 센터에 따르면, 케손시티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교통 수단은 개인 교통 수단으로 전체 교통량의 82.49%를 차지한다.[115] 버스, 지프니, 택시와 같은 대중교통은 13.72%, 트럭과 밴 같은 산업 및 상업용 차량은 3.79%를 차지한다.[115]

EDSA 인근 카무닝 역


마닐라 수도권 스카이웨이는 케손시티를 통과하는 유일한 고가도로이며, 북부와 남 루손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유료 도로이다. 제안된 남동 마닐라 수도권 고속도로(C-6 고속도로)는 케손시티 일부를 연결하며, 북쪽 종착역은 바타산 힐스에 위치할 예정이다.

Three-lane toll plaza
타탈론에 위치한 마닐라 수도권 스카이웨이 3단계의 케손 애비뉴 요금소


케손시티에서 이동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대중교통 수단으로는 정해진 노선과 요금으로 운행되는 지프니, 시내버스, UV 익스프레스가 있다. 케손시티에서 운행되는 모든 대중교통 수단은 민간이 소유하고 운영하며 정부의 허가를 받았다. 2020년 9월, 케손시티는 교통 부문에서 에너지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기술을 장려하기 위해 선정된 바랑가이에 276대의 전기 삼륜차(e-trikes)를 배포했다.[116]

A bus next to a bus stop
웰컴 로톤다 인근 케손시티 버스 서비스 버스


2021년, 케손시티 정부는 케손시티 버스 증강 프로그램에 따라 시 전역 8개 노선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이 서비스는 '''시티 버스''' 및 '''QCity 버스 서비스'''라고도 한다.[117][118] 2023년 4월 28일, 케손시티 조례 제SP-3184호(2023년 시리즈) 또는 "Q 시티 버스 조례"를 통해 케손시티 교통 및 운송 관리 부서에 프로그램이 배치되어 서비스가 영구화되었다.[119]

12. 1. 1. 철도 시스템

케손시티는 경전철 1호선(LRT-1), 경전철 2호선(LRT-2), 지하철 3호선(MRT-3)의 서비스를 받는다. LRT-1은 EDSA(AH26/C-4)의 북쪽 부분을 따라 운행하며, 1호선, 7호선, 지하철과 연결되는 노스 트라이앵글 공용역에서 끝난다. LRT-2는 아우로라대로(R-6/N59/N180)를 통과하여 케손시티를 마닐라, 산후안, 마리키나, 파시그, 카인타, 안티폴로와 연결한다. MRT-3는 EDSA(AH26/C-4)를 통과하여 케손시티를 만달루용, 마카티, 파사이와 연결한다.

EDSA와 아우로라대로 교차로, LRT-2와 MRT-3의 고가교가 보임. 위를 지나는 LRT-2 열차


케손시티 내에서 건설 중인 철도 노선은 지하철 4호선(MRT-4), 지하철 7호선(MRT-7), 마닐라 지하철(MMS)이다. 1호선, 3호선, 7호선, 마닐라 지하철을 연결하는 노스 트라이앵글 공용역은 현재 EDSA와 노스 애비뉴 교차로에 건설 중이다.

12. 1. 2. 항공

이 도시는 남쪽에 있는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과 북쪽에 있는 클라크 국제공항을 이용할 수 있다. 미래에는 인접한 불라칸주에 건설 예정인 뉴 마닐라 국제공항도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모든 공항은 케손 시티 시 경계 밖에 위치해 있다.

12. 2. 유틸리티



케손시티의 상수도 서비스는 서부와 북부 지역은 메이닐라드 워터 서비스(Maynilad Water Services)가, 남동부 지역은 마닐라 워터(Manila Water)가 제공한다. 마닐라 워터가 건설한 노발리체스-발라라 수도교 4호선(NBAQ4)은 메트로 마닐라에서 가장 큰 급수 인프라 프로젝트이다.[120] NBAQ4는 길이 7.3km, 직경 3.1m이며, 하루 1000kL의 용량을 갖고 있다.[121] 라 메사 댐과 저수지는 도시 최북단에 위치하며, 27km2 이상의 면적을 차지한다. 이 저수지는 라 메사 유역과 에코파크를 포함하고 있다.

케손시티의 전력은 메트로 마닐라의 유일한 전력 공급업체인 메랄코(Meralco)가 제공한다. 2019년 10월 기준으로 케손시티에는 26,776개의 LED 가로등이 있다.[116]

케손시티는 통신 산업 자유화로 전화 및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더 많은 업체의 혜택을 받았다. 주요 통신 회사로는 PLDT/스마트 커뮤니케이션즈(Smart Communications), 글로브 텔레콤(Globe Telecom), 디토 텔레커뮤니티(Dito Telecommunity), 멀티미디어 및 이스턴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Eastern Telecommunications Services, Inc.)가 있다.[4]

파야타스 매립지는 메트로 마닐라에서 가장 큰 매립지였다. 1970년대에 케손시티 북동쪽에 위치한 동명의 바랑가이에 설립되었다. 1995년 톤도의 스모키 마운틴이 폐쇄되자, 쓰레기 재활용을 하던 사람들이 파야타스 매립지로 이주하여 무허가 주택지를 형성했다. 2000년 7월 10일, 파야타스 산사태로 218명에서 700명 사이의 사망자가 발생했다.[124] 이 사건 이후, 필리핀에서 2000년 생태적 고형 폐기물 관리법(Republic Act No. 9003)이 통과되었다.[125] 파야타스 매립지는 2004년 관리형 처리 시설로 재구성되었지만 2010년 12월에 폐쇄되었다.[126] 2011년 1월에 기존 매립지 근처에 별도의 매립지가 설립되었으나,[127] [126] 2017년 12월에 폐쇄되었다.[125]

12. 2. 1. 상수도, 전력 및 통신



케손시티의 상수도 서비스는 도시 서부와 북부 지역은 메이닐라드 워터 서비스(Maynilad Water Services)가, 남동부 지역은 마닐라 워터(Manila Water)가 제공한다. 마닐라 워터가 건설한 노발리체스-발라라 수도교 4호선(NBAQ4)은 메트로 마닐라에서 가장 큰 급수 인프라 프로젝트이다.[120] NBAQ4는 길이 7.3km, 직경 3.1m이며, 하루 1000kL의 용량을 갖고 있다.[121] 라 메사 댐과 저수지는 도시 최북단에 위치하며, 27km2 이상의 면적을 차지한다. 이 저수지는 라 메사 유역과 에코파크를 포함하고 있다.

케손시티의 전력 서비스는 메트로 마닐라의 유일한 전력 공급업체인 메랄코(Meralco)가 제공한다. 2009년 12월 기준으로 메랄코는 케손시티에 총 512,255명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는데, 그 중 주택용은 461,645명(90.1%), 상업용은 49,082명(9.6%), 산업용은 1,110명(0.2%)이다. 가로등은 418개 계정이 있다.[4][122] 2019년 10월 기준으로 케손시티에는 26,776개의 LED 가로등이 있다.[116]

통신 산업의 자유화로 케손시티는 전화 및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더 많은 업체의 혜택을 받았다. 케손시티에서 운영되는 주요 통신 회사로는 PLDT/스마트 커뮤니케이션즈(Smart Communications), 글로브 텔레콤(Globe Telecom), 디토 텔레커뮤니티(Dito Telecommunity), 멀티미디어 및 이스턴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Eastern Telecommunications Services, Inc.)가 있다.[4]

12. 2. 2. 생활 폐기물



파야타스 매립지는 메트로 마닐라에서 가장 큰 매립지였다. 1970년대에 케손시티 북동쪽에 위치한 동명의 바랑가이에 설립되었다. 매립지가 위치한 지역은 과거 농촌 마을과 논으로 둘러싸인 계곡이었다.[123] 1995년 톤도의 스모키 마운틴이 폐쇄되자, 그곳에 거주하며 쓰레기 재활용을 하던 사람들이 파야타스 매립지로 이주하여 매립지 주변에 무허가 주택지를 형성했다. 2000년 7월 10일, 거대한 쓰레기 더미가 인근의 무허가 주택지에 붕괴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치명적인 파야타스 산사태가 발생하여 218명에서 700명 사이의 사망자가 발생했다.[124] 이 비극적인 붕괴 이후, 필리핀에서 2004년까지는 무분별한 매립지 폐쇄, 2006년까지는 관리 매립지 폐쇄를 의무화하는 2000년 생태적 고형 폐기물 관리법(Republic Act No. 9003)이 통과되었다.[125] 2004년 파야타스 매립지는 관리형 처리 시설로 재구성되었지만 2010년 12월에 폐쇄되었다.[126] 2011년 1월에 기존의 무분별한 매립지 근처에 별도의 매립지가 설립되었다.[127] [126] 새로운 매립지는 2017년 12월에 폐쇄되었다.[125]

13. 자매 도시

케손시티는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의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13. 1. 아시아

국가도시
필리핀알리시아 [128]
필리핀바나이바나이 [128]
필리핀카가얀데오로 [129]
필리핀칼라시아오 [128]
일본지바 [130]
필리핀코타바토시 [128]
필리핀다바오시 [128][131]
필리핀제너럴 산토스 [128][132]
하갓냐 [130]
필리핀일로일로시 [128][133]
필리핀라 트리니다드 [128]
필리핀푸에르토 프린세사 [128]
필리핀푸라 [128]
필리핀록사스시 [134]
필리핀사당가 [128]
중국선양 [135][136]
타이완타이베이 [137]
필리핀와오 [128]
미얀마양곤 [138]
중국위취현 [130]


13. 2. 아메리카

국가도시
Venezuela|베네수엘라영어카라카스미란다 주[130][139]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댈리 시티캘리포니아주[130]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포트 월턴 비치플로리다주[130]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케노샤위스콘신주[130]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마우이 군하와이주[130]
Canada|캐나다영어뉴 웨스트민스터브리티시컬럼비아주[130]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솔트레이크시티유타주[130]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하가냐[130]


14. 국제 관계

케손시티는 여러 도시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메트로 마닐라의 자매 도시 목록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케손시티에는 키프로스 영사 대리점이 있다.[142]

14. 1. 협력 도시

메트로 마닐라의 자매 도시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14. 2. 영사관

케손시티의 영사관
국가유형출처
키프로스영사 대리점[142]


15. 예술 작품

작가작품명제작 연도
페르난도 아모르솔로쿠바오 풍경1924년
페르난도 아모르솔로노발리체스 풍경1925년
도미나도르 카스타네다풍경 (딜리만 필리핀대학교 캠퍼스)1941년
마카리오 비탈리스미라 닐라1963년


16. 주요 인물


  • 크리스 아키노Kris Aquino영어 (여배우)
  • 안젤리카 파가니반 (여배우)
  • 조비 마르셀로 (레이싱 드라이버)
  • 코코 마르틴Coco Martin영어 (배우)
  • 레지 리 (배우)
  • 코비 파라스 (농구 선수)

참조

[1] 뉴스 QC, 'City of Stars,' goes indie https://entertainmen[...] 2012-07-21
[2] 뉴스 Quezon City to host festival of Filipino films https://www.manilati[...] The Manila Times 2018-08-05
[3] 문서 DILG detail
[4] 웹사이트 Quezon City History https://quezoncity.g[...] Quezon City Government 2020-09-22
[5] 웹사이트 Philippine ZIP Codes Directory http://zip-codes.phi[...]
[6] 사전 Quezon City
[7] 웹사이트 Quezon City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8] 사전 Quezon City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9] 사전 Quezon City
[10] 법률 Tandang Sora Holiday Act of 2019 https://hrep-website[...] House of Representatives of the Philippines 2019
[11] 웹사이트 Resolution 956 s. 2017: Approving the Comprehensive Land Use Plan of Quezon City, 2011-2025 https://hlurb.gov.ph[...] Housing and Land Use Regulatory Board 2017-09-14
[12] 서적 Quezon City at 75 Resurgent & Resilient Erehwon Artworld Corporation for the Local Government of Quezon City through the Communications Coordination Center 2014
[13] 웹사이트 History of Quezon City Public Library http://www.qcpublicl[...] 2006-11-21
[14] 법률 Dividing Region IV into Region IV-A and Region IV-B, Transferring the Province of Aurora to Region III and for Other Purposes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02-05-17
[15] 웹사이트 Quezon's City: Corruption and contradiction in Manila's prewar suburbia, 1935–1941 https://www.cambridg[...] 2017-02
[16] 웹사이트 A Capital City at the Margins: Quezon City and Urbanization in the Twentieth-Century Philippines https://www.academia[...] Academia 2019-01
[17] 웹사이트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Diliman History https://upd.edu.ph/h[...]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Diliman
[18] 법률 An Act to Direct the Transfer of the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to a Site Outside the City of Manila, Appropriating Funds Therefor https://thecorpusjur[...] The Corpus Juris 1939-06-03
[19] 법률 An Act to Create Quezon City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939-10-12
[20] 웹사이트 The Envisioned City of Quezon https://quezoncity.g[...] Quezon City Government
[21] 웹사이트 FAST FACTS: Quezon City https://www.rappler.[...] Rappler 2013-10-12
[22] 웹사이트 Caloocan City History https://caloocancity[...] Caloocan City Government
[23] 법률 An act to amend sections two, three, twelve, nineteen, twenty, twenty-one, twenty-four, and twenty-seven of Commonwealth Act numbered five hundred and two, and inserting new sections therein, to be known as sections thirteen-A, twenty-one-A, twenty-one-B, twenty-one-C, twenty-one-D, twenty-one-E, twenty-one-F, A and twenty-one-G https://lawlibrary.c[...] Chan Robles Virtual Law Library 1941-06-21
[24] 지도 Manila, Philippines map https://www.flickr.c[...] American Red Cross Service Bureau 1945-08
[25] 법률 Creating the City of Greater Manila https://www.official[...] 1942-01-01
[26] 웹사이트 Historical Background http://ncr.emb.gov.p[...]
[27] 지도 Map of the City of Manila https://assets.isu.p[...] Division of Drafting and Surveys, Office of the City Engineer and Architect, City of Manila
[28] 법률 Reducing the Territory of the City of Greater Manila https://www.official[...] 1945-07-26
[29] 법률 An Act to Establish the Capital of the Philippines and the Permanent Seat of the National Government, to Create a Capital City Planning Commission, to Appropriate Funds for the Acquisition of Private Estates Within the Boundary Limits of Said City, and to Authorize the Issuance of Bonds of the National Government for the Acquisition of Private Estates, for the Subdivision Thereof, and for the Construction of Streets, Bridges, Waterworks, Sewerage and Other Municipal Improvements in the Capital City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948-07-17
[30] 법률 An Act to Revise the Charter of Quezon City https://www.chanrobl[...] Chan Robles Virtual Law Library 1950-06-16
[31] 법률 An Act To Amend And Repeal Certain Sections Of Republic Act Numbered Five Hundred Thirty-Seven, Otherwise Known As The Revised Charter Of Quezon City https://lawphil.net/[...] The Lawphil Project - Arellano Law Foundation, Inc. 1956-06-16
[32] 웹사이트 About the City https://quezoncity.g[...] Quezon City Government
[33] 학술지 IMF Stabilization Program and Economic Growth: The Case of the Philippines https://dirp4.pids.g[...] 1992
[34] 학술지 Exchange Rate Movements in the Philippines
[35] 뉴스 Debt, deprivation and spoils of dictatorship {{!}} 31 years of amnesia https://newslab.phil[...]
[36] 서적 Passionate Revolutions: The Media and the Rise and Fall of the Marcos Regime Ohio University Press
[37] 서적 Dictatorship and revolution : roots of people's power Conspectus 1988
[38] 뉴스 Liliosa Hilao: First Martial Law detainee killed 2015-09-00
[39] 뉴스 Family secret: How Primitivo Mijares disappeared https://newsinfo.inq[...] 2022-05-22
[40] 서적 The Story of Puri Schoenstatt Editions USA
[41] 서적 The anti-Marcos struggle : personalistic rule and democratic transition in the Philippines https://www.worldcat[...] New Day 2024-01-16
[42] 서적 Socdem : Filipino social democracy in a time of turmoil and transition, 1965-1995 https://www.worldcat[...] Friedrich-Ebert-Stiftung 2011
[43] 뉴스 Manila Newspaper Closed by Marcos https://www.nytimes.[...] 2019-01-28
[44] 뉴스 Ninoy's funeral was the day Filipinos stopped being afraid of dictators 2021-05-31
[45] 간행물 Creating the Metropolitan Manila and the Metropolitan Manila Commission and for Other Purposes http://www.lawphil.n[...] The Lawphil Project - Arellano Law Foundation, Inc. 2020-04-21
[46] 간행물 Establishing Manila as the Capital of the Philippines and as the Permanent Seat of the National Government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20-04-21
[47] 서적 Edifice Complex: Power, Myth, and Marcos State Architecture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48] 웹사이트 Official Week in Review: July 30 – August 5, 1979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979-08-06
[49] 웹사이트 Museo ni Manuel Quezon http://nhcp.gov.ph/m[...] 2020-04-21
[50] 웹사이트 Edsa people Power 1 Philippines http://www.stuartxch[...] Angela Stuart-Santiago 2007-12-03
[51] 서적 Taming People's Power: The EDSA Revolutions and Their Contradictions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52] 뉴스 7 more 'heroes' added to 'Bantayog ng mga Bayani' wall 2018-12-01
[53] 뉴스 Braving the storm http://www.theguidon[...] Ateneo de Manila University 2019-06-06
[54] 웹사이트 Milestones in History http://www.quezoncit[...] 2015-09-14
[55] 웹사이트 Quezon City Brief History, Philippines (Official Website of PhilTravelcenter.com – Quezon City Metro Manila, Philippines) http://info.philtrav[...] 2015-09-14
[56]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8535 https://laws.chanrob[...] 1998-02-23
[57] 뉴스 Gloria: I feel great... but I got scared https://books.google[...] The Philippine Daily Inquirer, Inc. 2001-05-03
[58] 뉴스 1st sa 'Pinas 'Pride' council, itatatag sa QC http://www.abante.co[...] Abante 2014-10-22
[59] 뉴스 QC puts up People's Council https://newsinfo.inq[...] Philippine Daily Inquirer 2022-05-27
[60] 간행물 Lifting of the State of Public Health Emergency Throughout the Philippines Due to COVID-19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23-10-10
[61] 뉴스 QC's No-Contact Apprehension will apply on these roads https://www.autoindu[...] 2022-08-01
[62] 뉴스 Motorists call out QC No Contact Apprehension "Trap" https://www.autoindu[...] 2022-08-01
[63] 웹사이트 Chapter 7: Risk Profile https://quezoncity.g[...] Quezon City Government 2016-05-16
[64] 웹사이트 An Update on the Earthquake Hazards and Risk Assessment of Greater Metropolitan Manila Area http://www.mbc.com.p[...]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2013-11-14
[65] 웹사이트 Enhancing Risk Analysis Capacities for Flood, Tropical Cyclone Severe Wind and Earthquake for the Greater Metro Manila Area Component 5 – Earthquake Risk Analysis http://ndrrmc.gov.ph[...]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and Geoscience Australia 2016-05-16
[66] 웹사이트 Safe cities – Quezon City, Philippines http://info.worldban[...] World Bank 2015-07-26
[67] 웹사이트 Population of Legislative Districts by Region, Province, and Selected Highly Urbanized / Component City : 2015 https://psa.gov.ph/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1-08-01
[68] 웹사이트 QC-TOD http://www.lcp.org.p[...] Quezon City Department of Public Order and Safety / Quezon City Planning and Development Office 2018-01-23
[69] 웹사이트 Quezon City Climate https://weatherspark[...] Weather Spark 2021-08-31
[70] 웹사이트 Science Garden Quezon City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1991–2020 https://pubfiles.pag[...]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22-05-03
[71] 웹사이트 Science Garden Quezon City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pubfiles.pag[...]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22-05-03
[72] 웹사이트 Rename Del Monte Avenue after FPJ? https://opinion.inqu[...] 2020-10-15
[73] 서적 A Capital City at the Margins: Quezon City and Urbanization in the Twentieth-Century Philippines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2019
[74] 뉴스 Significance of Katipunan Tree in Novaliches cited https://www.pna.gov.[...] 2018-06-12
[75] 웹사이트 Grand Parade at the Santo Niño de Bago Bantay in Quezon City https://renz15.wordp[...] 2020-01-18
[76] 웹사이트 Non-Timber Forest Products Exchange Programme http://www.ntfp.org/[...] 2015-09-14
[77] 웹사이트 Update Magazine Sept-Dec 2014 http://www.upd.edu.p[...]
[78] 웹사이트 The ghosts of New Manila's Millionaire's Row and the spirits of 42 Broadway Avenue https://news.abs-cbn[...]
[79] 서적 Tales from the 7,000 Isles: Filipino Folk Stori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1
[80] 뉴스 Balete may be official "haunted" site https://news.google.[...] 2005-11-01
[81] 서적 History of QC barangays Publication Services, Quezon City Public Library 2019
[82] 서적 History of QC barangays Publication Services, Quezon City Public Library 2019
[83] 서적 History of QC barangays Publication Services, Quezon City Public Library 2019
[84] 뉴스 Banawe historical preservation sought https://tribune.net.[...] 2024-02-12
[85] 서적 Arkitekturang Filipino: a history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in the Philippines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Press 2008
[86] 서적 Arkitekturang Filipino: a history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in the Philippines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Press 2008
[87] 서적 Arkitekturang Filipino: a history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in the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Press
[88] 뉴스 Edifice complex {{!}} 31 years of amnesia https://newslab.phil[...]
[89] 웹사이트 Chapter 3: Demographic Profile and Social Development https://quezoncity.g[...] Quezon City Government
[90]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91] 간행물 The Philippines in figures
[92] 웹사이트 JIL Church Worldwide Groundbreaking Ceremony https://jilworldwide[...] Jesus Is Lord Church Worldwide 2013-01-28
[93] 웹사이트 Quezon City Socialized Housing Program https://lcp.org.ph/U[...] League of Cities of the Philippines
[94] 웹사이트 Cities100: In Quezon City, resilient communities are replacing vulnerable, informal settlements https://www.c40knowl[...] C40 Knowledge Hub 2019-10
[95] 웹사이트 Bistekville: Home sweet home for QC's homeless https://manilastanda[...] ManilaStandard.net 2016-10-12
[96] 웹사이트 Herbert opens 2 new buildings for QC's poor https://www.manilast[...] ManilaStandard.net 2018-09-23
[97] 웹사이트 Home for the masses https://business.inq[...] Inquirer.net 2018-06-23
[98] 웹사이트 2020 Rankings https://cmci.dti.gov[...] Cities and Municipalities Competitive Index
[99] 웹사이트 Quezon City automates business registration process https://www.manilati[...] The Manila Times 2020-10-03
[100] 웹사이트 Makati is richest city for third straight year — COA report https://cnnphilippin[...] CNN Philippines 2021-01-14
[101] 웹사이트 Makati still PHL's richest city https://businessmirr[...] BusinessMirror 2021-01-14
[102] 웹사이트 Economy https://quezoncity.g[...] Quezon City Government 2020-09-23
[103] 웹사이트 A fair view of the city https://business.inq[...] 2019-07-06
[104] 웹사이트 Quezon City forms Film Development Commission http://manilastandar[...]
[105] 웹사이트 Quezon City launches QCinema Film Fest http://www.rappler.c[...] 2013-10-03
[106] 웹사이트 QC, 'City of Stars,' goes indie https://entertainmen[...] 2012-07-21
[107] 뉴스 Kapatid network's new home | Entertainment, News, The Philippine Star | philstar.com http://www.philstar.[...]
[108] 웹사이트 Income Classification Per DOF Order No. 23-08, dated July 29, 2008 http://blgf.gov.ph/w[...] Bureau of Local Government Finance
[109] 웹사이트 Position Classification and Compensation Scheme in Local Government Units http://www.dbm.gov.p[...]
[110] 웹사이트 Proclamation No. 137, Series of 1949 https://lawphil.net/[...] The Lawphil Project - Arellano Law Foundation, Inc.
[111] 웹사이트 Konstruksyon ng bagong ospital sa QC, pasisimulan na http://www.radyopili[...] Radyo Pilipinas Uno 2021-02-01
[112] 웹사이트 Schools Division Office Quezon City https://quezoncity.g[...] Quezon City Government
[113] 웹사이트 A Short Primer on How the Quezon City Public Education System is Organized http://stepforward.p[...] Step Forward Foundation
[114] 웹사이트 LIST: Top 15 public schools with biggest population https://news.abs-cbn[...] ABS-CBN News 2015-06-01
[115] 웹사이트 History https://quezoncity.g[...] Quezon City Government 2020-09-22
[116] 뉴스 Quezon City (Philippines) Sustainable Procurement Profile https://glcn-on-sp.o[...] Global Lead City Network on Sustainable Development
[117] 웹사이트 Quezon City QCity Bus Service https://quezoncity.g[...] 2021-05-31
[118] 뉴스 QC gov't to continue offering free bus rides amid return to office, face-to-face classes https://interaksyon.[...] 2022-06-24
[119] 법률 Q City Bus Ordinance https://quezoncity.g[...] 2023-04-28
[120] 뉴스 Novaliches-Balara Aqueduct 4 (NBAQ4) project: Connecting Vision, People and Experience https://mwss.gov.ph/[...] Metropolitan Waterworks and Sewerage System
[121] 뉴스 Novaliches-Balara Aqueduct 4 (NBAQ4) Project https://cmcgruppo.co[...] Cmc
[122] 웹사이트 CLUP 2011-2025 Final Version https://quezoncity.g[...] Quezon City Government
[123] 서적 Public Health and Social Justice Volume 31 of Public Health/Vulnerable Populat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24] 서적 Cities in a globalizing world https://books.google[...] Earthscan
[125] 뉴스 Environmentalists hail closure of Payatas dumpsite https://newsinfo.inq[...] 2017-08-06
[126] 웹사이트 Quezon City Local Government - Background (Domestic Solid Waste) https://www.quezonci[...] Quezon City Government
[127] 뉴스 Time ticking for Payatas landfill https://www.rappler.[...] 2014-03-06
[128] 뉴스 QC eyes sister city ties with Naga City https://manilastanda[...] Manila Standard 2017-02-15
[129] 뉴스 8 Sister Cities of Cagayan de Oro – International and Local Cities https://www.projectl[...] Project LUPAD
[130] 뉴스 Quezon City eyes ties with five cities https://manilastanda[...] Manila Standard 2017-01-30
[131] 뉴스 Quezon City, Davao City renew sisterhood ties https://www.pna.gov.[...] 2018-07-24
[132] 뉴스 GenSan to continue rollout of priority tourism projects https://www.pna.gov.[...] 2020-10-06
[133] 뉴스 Iloilo City invites sister cities for Charter Day anniversary https://www.pna.gov.[...] 2018-06-29
[134] 뉴스 QC, Roxas City Now Sister Cities https://www.manilati[...] The Manila Times 2013-03-18
[135] 뉴스 QC has new sister city https://news.google.[...] Kamahalan Publishing Corp. 1993-05-26
[136] 뉴스 Quezon City renews sister-cities ties with Shenyang https://www.manilati[...] The Manila Times 2019-05-28
[137] 뉴스 Taipei City Council-International Sister Cities https://www.tcc.gov.[...] Taipei City Council
[138] 뉴스 Quezon City and Yangon Region Ink Sister City Agreement https://dfa.gov.ph/d[...]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2017-02-06
[139] 웹사이트 Sister cities of Quezon City http://en.sistercity[...]
[140] 웹사이트 The City of Osaka's International Network https://www.city.osa[...] Osaka City Government Economic Strategy Bureau
[141] 웹사이트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https://www.facebook[...] Quezon City Government 2021-08-08
[142] 웹사이트 Consulate General of Cyprus in Manila, Philippines https://www.embassyp[...] EmbassyPages 2021-07-08
[143] 웹인용 Science Garden Quezon City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1991–2020 https://pubfiles.pag[...] 필리핀 기상청 2022-05-03
[144] 웹인용 Science Garden Quezon City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pubfiles.pag[...] 필리핀 기상청 2022-05-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