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염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주 염씨는 대한민국 염씨의 본관 중 하나로, 마한의 염사국 수장의 후예를 시조로 한다고 전해진다. 고려 시대에 사도(司徒)를 지낸 염형명을 시조로 하며, 고려 공신으로 삼한벽상공신에 책록되었다. 중시조는 고려 공민왕 때 문하시중을 지낸 염제신이다. 파주 염씨는 파주를 본관으로 하며, 용담 염씨 등의 분파가 있다. 주요 인물로는 염제신, 그의 딸이자 공민왕의 비인 신비 염씨, 염흥방 등이 있다. 파주 염씨는 2015년 대한민국 인구조사에서 57,531명으로 집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주 염씨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이름 | 파주 염씨 |
| 한자 표기 | 坡州 廉氏 |
| 로마자 표기 | Paju Yeom clan |
| 관향 | 경기도 파주시 |
| 시조 | 염형명(廉邢明) |
| 중시조 | 염제신(廉悌臣) |
| 유형 | 씨족 |
| 국가 | 한국 |
| 웹사이트 | 파주염씨 인터넷 족보 |
| 주요 인물 | |
| 연결된 인물 | 염신비 염기훈 염경엽 염한웅 앤드류 염수정 염동진 염상섭 |
| 주요 인물 | 염상 염신약 염승익 염제신 염국보 염흥방 염정수 염규환 염온동 염보현 염길정 염동연 염홍철 염재호 염태영 염동열 염종석 염학권 염기용 염재관 |
| 집성촌 | |
| 집성촌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율전동 강원도 양구군 동면 임당리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전라북도 임실군 신평면 원천리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 용촌리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 함경남도 단천군 함경남도 홍원군 전라남도 나주시 세지면 |
| 기타 정보 | |
| 인구 (2015년) | 63,350명 |
| 관련 정보 | 벽상공신 |
| 가문 정보 | |
| 가문 종류 | 坡州廉氏 坡平廉氏 瑞原廉氏 |
2. 기원
파주 염씨의 득성조(得姓祖)는 염사치(廉斯鑡)로, 마한의 소국으로 추정되는 염사국(廉斯國)의 수장(首長)이었다. 『삼국지(三國志)』 위서 동이전 한전 마한조(魏書 東夷傳 韓傳 馬韓條)에 인용된 『위략(魏略)』에는 우거수(右渠帥) 염사치가 왕망(王莽) 지황 연간(地皇年間, 서기 20∼23)에 낙랑군에 귀화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11]
염형명은 고려 태조 때 사도(司徒)를 지냈고, 후삼국 통일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에 책록되었다.[5]
경기도 파주시의 지명이다. 고구려의 술이홀현(述尔忽縣)인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봉성현(峰城縣)으로 개칭하였고 한주(漢州) 교하군(交河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1183년(고려 명종 13년)에 서원현(瑞原縣)으로 개칭하였다. 1398년(조선 태조 7년)에 서원군(瑞原郡)과 파평현(坡平縣)을 병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라 하였고, 1415년(태종 15년) 교하현(交河縣)을 원평군에 폐합하여 원평도호부(原平都護府)로 승격하였다. 1459년(세조 5년)에 파주목(牧)이 되었다. 1896년에 경기도 파주군이 되었고, 1996년 파주시로 승격되었다.
용담 염씨(龍潭廉氏)는 경기도 여주군 용담리를 본관으로 하는 성씨이다. 조선시대에 무과 급제자 11명을 배출하였는데, 조선 제25대 왕 철종의 생모는 용성부대부인 염씨(龍城府大夫人 廉氏)이다. 2015년 기준으로 용담 염씨 인구는 2,715명이다.
염제신(廉悌臣, 1304년 ~ 1382년)은 고려 말의 문신으로, 공민왕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오르고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에 책봉되었다.[6] 염제신의 딸 신비 염씨는 공민왕의 비이다.
염사치는 낙랑의 토지가 기름지고 백성이 잘 산다는 말을 듣고 그곳에 귀화하려고 가던 도중 한인(漢人) 호래(戶來)를 만났다. 호래는 3년 전 재목을 채벌하기 위해 진한(辰韓) 지방에 왔다가 붙잡혀 노예가 된 1,500명의 한인 중 한 사람이었다. 염사치는 호래를 데리고 낙랑군 함자현(含資縣)에 이르러 한인 나포 사실을 보고하였다. 이후 한군현 당국에서는 그에게 포로 쇄환(刷還)의 임무를 맡겼다. 염사치는 잠중(岑中)에서 큰 배를 타고 진한에 돌아와 이 문제를 놓고 진한 당국과 협상하였다. 그리하여 생존자 1,000명과 이미 죽은 500명에 대한 배상으로 진한인 1만 5,000명과 모한포(牟韓布) 1만 5,000필을 얻어 낙랑군에 돌아갔다. 그는 이 공로로 관책(冠幘)과 전택(田宅)을 받았으며, 자손 대대로 부역(賦役)과 조세(租稅) 면제의 특권을 받았다고 한다.[11]
조선 선조 때 조여적(趙汝籍)이 쓴 《청학집(靑鶴集)》에는 "염씨 출우 대방국야(廉氏 出于 帶方國也)"라고 기록되어 있다. 대방국은 황해도와 경기도 서북부 장단(長湍) 풍덕(豊德) 지역에 위치하였고, 뒤에 고구려가 멸망하면서 신라 등에 투항한 것으로 전한다.
시조 이전의 염씨(廉氏)에 대한 기록으로는 647년(신라 선덕여왕 16년)에 국정에 참여했던 염종(廉宗), 648년(진덕여왕 1년) 6공(六公) 가운데 1인으로 김유신과 함께 대신을 지낸 염장(廉長), 국보 제104호인 경복궁의 '염거화상탑'의 장본인 염거(廉巨) 등이 있다.[12]
3. 역사
2세 염위(廉位)는 군기승(軍器丞), 3세 염가칭(廉可偁)은 병마사(兵馬使), 4세 염현(廉顯)은 우보궐(右補闕), 5세 염한(廉漢)은 병부상서, 6세 염덕방(廉德方)은 태부소경(太府少卿), 7세 염신약은 정당문학(政堂文學)에 오르면서 고려의 문벌 귀족으로 성장하였다.[7]
염신약의 아들 염극모(廉克髦, 1153년 ~ 1217년)는 고려 명종 때 문음(門蔭)으로 벼슬길에 나아가 고종 때 공부(工部)·호부(戶部)의 시랑(侍郞)에 이르렀다.[8]
염극모의 아들 염수장(廉守藏)은 1214년(고려 고종 1년) 과거에 급제한 후 예빈경(禮賓卿)에 이르렀다.[9]
12세 염승익은 충렬왕 때 흥법좌리공신(興法佐理功臣)에 봉해지고, 도첨의중찬으로 치사(致仕)하였다.[10]
염승익의 손자인 '''염제신'''(1304년 ~ 1382년)은 공민왕 때 문하시중에 오르고, 곡성부원군에 책봉되었다.[6] 염제신의 딸은 공민왕비 신비 염씨이다.
중시조 염제신의 맏아들 염국보는 안렴사(按廉使)를 지낸 후 서성군(瑞城君)에 봉해졌고, 둘째 아들 염흥방도 서성군(瑞城君)에 봉해진 후 삼사좌사(三司左使)를 지냈으며, 셋째 아들 염정수는 대제학에 이르렀다.
4. 본관
시조 염형명(廉邢明)이 살던 곳이 봉성현(峯城縣)이므로 처음에는 본관을 봉성(峰城)이라 하였으나, 1354년(공민왕 3년) 중시조 염제신(廉悌臣)이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에 봉해지자 곡성(曲城)으로 개관하였다. 곡성현(曲城縣)이 서원(瑞原)으로 명칭이 바뀜에 따라 다시 본관을 서원(瑞原)으로 고치게 된다. 그러다가 조선 연산군 때 서원(瑞原)이 다시 파주(坡州)로 명칭이 바뀌게 되어 파주(坡州)를 본관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5. 분관
6. 인물
염제신의 아들로는 맏아들 염국보(廉國寶)는 안렴사(按廉使)를 지낸 후 서성군(瑞城君)에 봉해졌고, 둘째 아들 염흥방(廉興邦)도 서성군(瑞城君)에 봉해진 후 삼사좌사(三司左使)를 지냈으며, 셋째 아들 염정수(廉廷秀)는 대제학(大提學)을 역임하였다.
7. 항렬자
19세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현(鉉) 수(洙) 동(東) 섭(燮) 규(圭) 선(善) 철(澈) 식(植) 형(炯) 교(敎) 회(會) 승(承) 채(采) 묵(默) 8. 집성촌
9. 인구
| 연도 | 인구(명) | 가구 수 |
|---|---|---|
| 1985년 | 51,143 | 12,099 |
| 2000년 | 53,539 | 16,628 |
| 2015년 | 63,350 |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 따르면 파주 염씨는 57,531명, 파평 염씨는 5,515명, 서원 염씨는 205명, 곡성 염씨는 99명이다.[1]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파주염씨 坡州廉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3
[4]
웹사이트
염씨(廉氏) 본관(本貫) 파주(坡州)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5]
문서
『고려사』 권7 세가 권제7 문종(文宗) 10년 2월
http://db.history.go[...]
[6]
문서
『고려사』 권111, 열전24
https://terms.naver.[...]
[7]
문서
『고려사』 권99, 열전12
https://terms.naver.[...]
[8]
문서
염극모 묘지명(廉克髦墓誌銘)
https://portal.nrich[...]
1217
[9]
문서
염수장 묘지명(廉守藏墓誌銘)
https://portal.nrich[...]
1265
[10]
문서
『고려사』 권123, 열전36
https://terms.naver.[...]
[11]
문서
海東譯史(해동역사)편 '按後韓(?)書建武中韓廉斯人蘇馬諟來獻光武封爲廉斯邑君則廉斯本邑名而爲氏也착 集韻云測角切人名王莽時有'
[12]
문서
『고려사』 권82 지 권제36
http://db.history.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