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르 칼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 칼름은 대북방 전쟁 중 핀란드에서 피난 온 부모에게서 태어난 스웨덴의 탐험가이자 식물학자이다. 1740년 웁살라 대학교에서 칼 폰 린네의 제자가 되었으며, 1747년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임명을 받아 북아메리카로 건너가 농업에 유용한 식물을 수집했다. 그는 벤저민 프랭클린과 존 바트람과 교류하고, 펜실베이니아를 중심으로 탐험하며, 17년 주기 매미의 생활 주기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설명을 발표했다. 칼름의 여행기는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으며, 린네는 그를 기려 칼미아속의 이름을 명명했다. 핀란드 조폐창은 그를 기리는 동전을 발행했으며, 그는 핀란드에서 중요한 탐험가로 평가받고 있다.

2. 생애

페르 칼름은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요청으로 붉은 뽕나무 등 유용한 식물을 북아메리카에서 도입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는 핀란드에서 비단 생산을 시작하기 위한 것이었다. 칼름은 1748년 미국 필라델피아에 도착하기 전 영국에서 6개월 동안 머물며 저명한 식물학자들과 교류했다.

칼름의 북미 여행 기록은 "''En Resa til Norra America''" (스톡홀름, 1753–1761)로 출판되었으며, 독일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영어로 번역되었다. 이 책은 동식물뿐만 아니라 원주민과 영국, 프랑스 식민지의 생활상도 소개한다.

그는 17년 주기로 대량 발생하는 "주기 매미"(''Magicicada septendecim'')에 관한 첫 번째 논문을 썼다. 칼 폰 린네는 『식물의 종』(Species Plantarum)에서 신종 60종을 포함한 90종에 대해 칼름을 인용했다. 진달래과의 칼미아속(''Kalmia'')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11년 핀란드 조폐국은 10 유로 기념 은화를 발행했다. 소행성 (2332) 칼름도 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칼름은 대북방 전쟁핀란드에서 부모가 피난 온 스웨덴 옹에르만란드(Ångermanland)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핀란드인 성직자였고, 어머니는 스코틀랜드 출신이었다.[3] 아버지는 그가 태어난 지 6주 만에 사망했다. 전쟁이 끝나자 어머니는 그를 데리고 칼름의 아버지가 루터교 목사였던 오스트로보트니아의 Närpes로 돌아갔다.

칼름은 1735년부터 투르쿠 왕립 아카데미에서 공부했다. 1740년에는 웁살라 대학교에 입학하여 유명한 박물학자 칼 폰 린네의 첫 번째 학생 중 한 명이 되었다. 웁살라에서 칼름은 그의 후원자인 스텐 칼 빌케 남작이 소유한 실험 농장의 감독관이 되었다.[4]

칼름은 1742년부터 1746년까지 스웨덴, 러시아, 우크라이나에서 현장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 기간 동안 투르쿠 왕립 아카데미에서 자연사 및 경제학 강사로 임명되었다. 1747년, 아카데미는 그를 경제학 교수로 승진시켰다.

2. 2. 북아메리카 탐험

칼름은 1748년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도착하여 벤저민 프랭클린과 박물학자 존 바트람의 지원을 받았다.[5] 그는 원래 스웨덴 식민지 뉴 스웨덴의 일부로 설립된 래쿤(현재 뉴저지의 스웨즈보로)의 스웨덴-핀란드 공동체를 기반으로 탐험을 진행했다. 그곳에서 그는 지역 스웨덴 루터교 교회인 트리니티 교회의 임시 목사로도 봉사했다.[5] 칼름은 이후 전 목사 요한 산딘의 미망인인 안나 마가레타 셰만과 결혼했다. 그는 1749년 5월 19일까지 래쿤에 머물렀다.[5]

칼름은 1751년 핀란드로 돌아오기 전에 나이아가라 폭포만큼 서쪽으로, 몬트리올퀘벡만큼 북쪽으로 여행했다.[6]

2. 3. 핀란드 귀국과 학문 활동

칼름은 1751년 핀란드로 돌아와 투르쿠 왕립 아카데미의 교수가 되었다.[6] 그는 학생들을 가르치고 지도하는 것 외에도 투르쿠에 식물원을 설립했다.[6] 1771년 투르쿠에서 사망할 때까지 아카데미에서 가르쳤다.[6]

안데르스 치데니우스는 페르 칼름의 학생이었다.

3. 업적과 영향

페르 칼름은 칼 린네의 제자로, 그의 업적은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칼름의 북미 여행 기록은 ''En Resa til Norra America''(스톡홀름, 1753–1761)로 출판되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로 번역되었다.[7] 이후 미국에서 ''Peter Kalm's Travels in North America: The English Version of 1770''(Wilson-Erickson Inc., 1937)으로 출판되어 식민지 북아메리카 생활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칼름은 북미에 서식하는 17년 주기 매미(''Magicicada septendecim'')의 생태 주기를 최초로 과학적으로 설명했다.[8]

린네는 ''식물의 종''에서 칼름이 발견한 90종의 식물(60종은 신종)을 기록했으며, 칼미아라는 속명은 칼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칼미아 라티폴리아(마운틴 로렐)는 펜실베이니아주코네티컷주의 주화(州花)이기도 하다.

핀란드 조폐창은 칼름을 기념하는 동전을 발행했다.[9] 칼름은 핀란드의 주요 탐험가 중 한 명으로, 핀란드에서는 피에타리 칼름으로 알려져 있다.[10][11][12]

3. 1. 《북아메리카 여행기》

칼름의 북미 여행 기록은 ''En Resa til Norra America''(스톡홀름, 1753–1761)로 출판되었으며, 독일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로 번역되었다.[7] 칼름은 신세계의 동식물뿐만 아니라 그가 만난 아메리카 원주민, 영국인, 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의 생활상도 묘사했다.[7] 미국판은 스웨덴계 미국인 학자이자 문학 역사가인 아돌프 B. 벤슨(1881–1961)에 의해 번역 및 편집되었다. 이 책은 ''Peter Kalm's Travels in North America: The English Version of 1770''(Wilson-Erickson Inc., 1937)으로 출판되었으며, 식민지 북아메리카의 생활에 관한 중요한 표준 참고 자료가 되어 여러 개정판으로 지속적으로 출판되었다.

칼름은 북미 17년 주기 매미인 ''Magicicada septendecim''의 생활 주기에 관한 논문을 썼는데, 이는 이 종의 재발현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설명이었다.[8]

3. 2. 식물학 연구

칼름은 칼 린네의 초기 제자 중 한 명으로, 린네는 ''식물의 종''에서 칼름을 90종(그중 60종은 신종)에 대해 인용했으며, 그중에는 린네가 칼름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칼미아도 포함되어 있다.[7] 칼미아 라티폴리아(마운틴 로렐)는 펜실베이니아 주와 코네티컷 주의 주화이다.

칼름은 북미 17년 주기 매미(''Magicicada septendecim'')의 생활 주기에 관한 논문을 썼는데, 이는 이 종의 재발현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설명이었다.[8]

핀란드 조폐창은 칼름을 기리기 위해 동전을 발행했다.[9] 그는 가장 주목할 만한 핀란드 탐험가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핀란드에서는 피에타리 칼름으로도 알려져 있다.[10][11][12]

3. 3. 기타

칼름의 여행기는 ''En Resa til Norra America''(스톡홀름, 1753–1761)로 출판되었으며,[7] 독일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로 번역되었다. 칼름은 신세계의 동식물뿐만 아니라 그가 만난 아메리카 원주민, 영국, 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의 생활상도 묘사했다.[7] 미국판은 스웨덴계 미국인 학자이자 문학 역사가인 아돌프 B. 벤슨(1881–1961)에 의해 번역 및 편집되어 ''Peter Kalm's Travels in North America: The English Version of 1770''(Wilson-Erickson Inc., 1937)으로 출판되었다. 이 책은 식민지 북아메리카의 생활에 관한 중요한 표준 참고 자료가 되었으며 여러 개정판으로 지속적으로 출판되었다.

칼름은 북미 17년 주기 Magicicada septendecim의 생활 주기에 관한 논문을 썼는데, 이는 이 종의 재발현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설명이었다.[8]

린네는 그의 ''식물의 종''에서 칼름을 90종(그중 60종은 신종)에 대해 인용했으며, 여기에는 린네가 칼름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속인 Kalmia도 포함된다. Kalmia latifolia(마운틴 로렐)는 펜실베이니아주코네티컷주의 주화이다.

핀란드 조폐창은 칼름을 기리기 위해 동전을 발행했다.[9] 그는 가장 주목할 만한 핀란드 탐험가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핀란드에서는 피에타리 칼름으로도 알려져 있다.[10][11][12]

참조

[1] 간행물 Suomalaisten löytöretket 3: Professori Kalm pääsi amerikan lehtiin TIEDE 2003-05
[2] 웹사이트 "Peter Kalm writes to Benjamin Franklin in 1750" (Niagara Falls) https://www.jonathan[...]
[3] 웹사이트 KALM, PEHR http://www.biographi[...] 2019-09-02
[4] 웹사이트 American Journeys http://www.americanj[...]
[5] 웹사이트 Peter Kalm http://www.waymarkin[...]
[6] 웹사이트 Peter Kalm http://faculty.maria[...]
[7] 웹사이트 En Resa til Norra America http://www.abaa.org/[...]
[8] 학술지 Pehr Kalm's Description of the Periodical Cicada, Magicicada septendecim L., from Kongl. Svenska Vetenskap Academiens Handlinger, 17:101-116, 1756, translated by Larson, Esther Louise (Mrs. K.E. Doak) https://kb.osu.edu/d[...] 1953-05
[9] 뉴스 Mint of Finland Issues Pehr Kalm Coin http://news.coinupda[...] Coin Update News
[10] 웹사이트 Uuden mantereen suomalainen tutkija USA:n kahden osavaltion kansalliskukka sai nimensä Pehr Kalmin mukaan Pehr vai Pietari Kalm? https://www.hs.fi/ku[...] 2004-06-19
[11] 웹사이트 Pehr Kalm mittaa Niagaran putokset https://yle.fi/aihe/[...] Yle 2015-11-26
[12] 웹사이트 Tutkimusmatkailija Pehr Kalmin syntymästä 300 vuotta https://www.utu.fi/f[...] University of Turku 2016-03-06
[13] 웹사이트 "Peter Kalm writes to Benjamin Franklin in 1750" (Niagara Falls) http://www.fammed.su[...]
[14] 웹사이트 American Journeys http://www.americanj[...]
[15] 웹사이트 Peter Kalm http://www.waymarkin[...]
[16] 웹사이트 Peter Kalm http://faculty.maria[...]
[17] 웹사이트 En Resa til Norra America http://www.abaa.org/[...]
[18] 학술지 Pehr Kalm's Description of the Periodical Cicada, Magicicada Septendecim L. https://hdl.handle.n[...] 1953-05
[19] 웹사이트 (2332) Kalm = 1935 JE = 1940 GH = 1951 JT = 1962 JY = 1975 VY1 = 1975 XM3 = 1975 XZ1 https://minorplanetc[...] MPC 2021-09-26
[20] 간행물 Suomalaisten löytöretket 3: Professori Kalm pääsi amerikan lehtiin TIEDE 2003-05
[21] 웹사이트 "Peter Kalm writes to Benjamin Franklin in 1750" (Niagara Falls) https://www.jonath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