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푸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샨은 베다 시대부터 힌두교에서 숭배되는 태양신 중 하나이다. 결혼, 여행, 길, 가축을 보호하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죽은 자의 영혼을 저승으로 인도하는 신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리그베다에서는 아디티야로서 하늘을 가로지르며 양떼와 양치기를 수호하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염소가 끄는 전차를 탄다. 다크샤 야즈나 신화에서 루드라(시바)에게 이빨이 부러지는 사건을 겪기도 하며, 마하바라타와 푸라나에서는 아디티의 아들들인 열두 아디티야 중 한 명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디트야 - 바마나
    바마나는 힌두교 신화에서 비슈누의 다섯 번째 화신으로, 난쟁이 모습으로 아수라 왕에게 땅을 요구한 후 거대한 모습으로 세상을 되찾았다는 전승을 가진 신이다.
  • 아디트야 - 사비트르
    사비트르는 리그베다에 등장하는 신으로, 황금빛 외형과 황금빛 전차를 소유하고 유동적인 것과 고정적인 것의 군주이자 죽은 영혼을 인도하며 빛과 생명을 부여하는 존재이다.
  • 동물의 남신 - 포세이돈
    포세이돈은 그리스 신화에서 바다, 지진, 말을 다스리는 중요한 신으로, 다양한 칭호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 전역과 이탈리아에서 숭배받았지만, 신화 속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적인 행위도 나타난다.
  • 동물의 남신 - 마르스
    마르스는 로마 신화에서 전쟁과 농업을 관장하는 신으로, 주피터와 유노의 아들이자 용기를 상징하는 네리오와 배우자 관계이며, 생명력과 야생의 힘을 상징하는 존재로 로마에서 숭배받았다.
  • 리그베다의 신 - 브리하스파티
    브리하스파티는 힌두교 신화에서 지혜를 상징하는 신이자 데바들의 스승으로, 천문학에서는 목성을 지칭하며, 힌두교 점성술에서 목요일에 숭배된다.
  • 리그베다의 신 - 비슈바카르마
    비슈바카르마는 힌두교에서 우주의 건축가이자 신성한 제작자로 묘사되는 신으로, 원래 최고신에 대한 별칭이었으며 창조 도구를 든 모습으로 표현되고, 그의 탄생을 기념하는 비슈바카르마 푸자는 매년 9월에 기념된다.
푸샨
기본 정보
신의 종류힌두 신
역할회의, 결혼, 여행, 도로, 가축의 신
무기황금 도끼, 송곳, 고삐
탈것염소가 끄는 전차
소속데바, 아디트야
부모아디티와 카샤파
배우자수르야
그리스 신화 대응판 또는 헤르메스
로마 신화 대응파우누스 또는 머큐리
행성태양

2. 어원

'푸샨'이라는 이름은 산스크리트어 동사 '푸시'(पुष्यति, puṣyati)에서 파생되었으며, "번성하다, 번창하다, 번성하게 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1] 이는 푸샨이 부와 번영을 가져다주는 신으로 여겨졌음을 보여준다.

3. 신화

리그베다에서 푸샨은 하늘을 가로지르면서 양 떼와 양치기들을 수호하는 아디티야로 묘사되며, 때때로 여러 신들의 예언자 역할을 했다.[22]

타이티리야 삼히타, 라마야나, 마하바라타, 푸라나에 따르면 루드라(시바)는 신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야즈나인 다크샤 야즈나에서 초대받지 못해 폭주하였으며, 이에 푸샨이 루드라를 진정시키려고 그를 붙잡다가 이빨이 부러졌다고 한다.[23][24]

마하바라타푸라나에서 푸샨은 아디티의 아들인 열두 명의 아디티야 중 한 명으로 묘사된다.[10]

3. 1. 리그베다에서의 푸샨

리그베다에서[22] 푸샨은 하늘을 가로지르면서 양 떼와 양치기들을 수호하는 아디트야로 묘사되며, 때때로 여러 신들의 예언자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푸샨에게 바쳐진 리그베다의 찬송가는 10개이며, 그 중 하나는 소마와 푸샨에게, 다른 하나는 인드라와 푸샨에게 공동으로 바쳐졌다.[4] 그의 전차는 염소들이 끈다.[1][5] 때때로 그는 하늘을 가로질러가는 태양을 몰고 가는 것으로 묘사된다. 그는 양떼와 가축의 수호자로서의 태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푸샨은 또한 카비(Kavi)로 여겨지는데, 이는 여러 신들의 별칭이 되었고, 나아가 "왕"을 의미하는 칭호가 되었다.

그는 땋은 머리와 수염을 가지고 있으며, 금색 도끼, 송곳, 자극을 가지고 다닌다.[6][7] 그는 죽을 먹으며, 샤타파타 브라흐마나에는 이가 없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그는 신들이 그에게 준 태양의 딸인 수르야와 결혼했다. 그는 길을 아는 자이자 도로의 수호자이다.[1] 이러한 역할에서 그는 늑대와 매복자 등 도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험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한다. 그는 또한 신성한 길과 관련이 있으며, 땅과 하늘 사이의 길에 익숙하여 영혼을 천국으로 인도할 수 있다.[7] 그는 소, 말, 양을 보호하기 위해 불려지며, 잃어버린 가축을 찾아달라고 요청받는다.[5][7]

타이티리아 삼히타에 나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루드라는 여러 신을 기리는 중요한 희생제인 다크샤 야즈나에서 제외되었다. 그는 분노하여 화살로 희생제를 꿰뚫고 푸샨이 공물을 먹으려 할 때 그의 이를 부러뜨렸다. 이 이야기의 후기 버전은 라마야나, 마하바라타, 푸라나에서 발견된다. 이 버전에서, 루드라(또는 시바)는 희생자였던 그의 장인 다크샤가 그를 초대하지 않았기 때문에 화가 났다. 시바는 분노하여 푸샨을 발로 차서 그가 공물을 먹을 때 그의 이를 부러뜨렸다.[8] 푸라나 버전에서는, 시바가 그의 헝클어진 머리카락 한 가닥에서 만들어낸 비라바드라가 푸샨의 이를 부러뜨렸다.[9]

마하바라타푸라나에서 푸샨은 아디티의 아들인 열두 명의 아디티야 중 한 명으로 묘사된다. 마하바라타에 나열된 아디티의 다른 열한 아들은 수르야, 아르야만, 트바슈타, 사비트리, 바가, 다타, 미트라, 바루나, 암샤, 인드라, 비슈누(바마나데바의 형태로)이다.[10]

3. 2. 다크샤 야즈나 신화

타이티리야 삼히타, 라마야나, 마하바라타, 푸라나에 따르면, 다크샤 야즈나는 신들에게 중요한 야즈나였는데 루드라(시바)는 초대받지 못했다. 이에 루드라는 폭주하였고, 푸샨은 루드라를 진정시키려고 그를 붙잡다가 이빨이 부러졌다고 한다.[23][24]

타이티리아 삼히타 판본에 따르면, 루드라는 여러 신을 기리는 다크샤 야즈나에서 제외되자 분노하여 화살로 희생제를 꿰뚫었다. 푸샨이 공물을 먹으려 할 때 루드라가 그의 이를 부러뜨렸다. 라마야나, 마하바라타, 푸라나 판본에서는 루드라(시바)가 자신의 장인이자 희생제 주관자인 다크샤에게 초대받지 못해 분노했다. 시바는 분노하여 푸샨을 발로 차서 그가 공물을 먹을 때 그의 이를 부러뜨렸다.[8] 푸라나 판본에서는 시바가 그의 헝클어진 머리카락 한 가닥에서 만들어낸 비라바드라가 푸샨의 이를 부러뜨렸다.[9] 샤타파타 브라흐마나에는 푸샨이 이가 없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3. 3. 아디티야로서의 푸샨

마하바라타푸라나에서 푸샨은 열두 아디티야(아디티의 아들) 중 한 명으로 묘사된다.[10] 마하바라타에 따르면 아디티의 다른 열한 아들은 수르야, 아르야만, 트바슈타, 사비트리, 바가, 다타, 미트라, 바루나, 암샤, 인드라, 비슈누(바마나데바의 형태)이다.[10]

4. 상징과 역할

푸샨은 리그베다에서 10개의 찬송가가 바쳐진 중요한 신이다. 그 중 하나는 소마와 푸샨에게, 다른 하나는 인드라와 푸샨에게 공동으로 바쳐졌다.[4] 그의 전차는 염소가 끈다.[1][5] 때때로 그는 하늘을 가로질러 가는 태양을 몰고 가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양떼와 가축의 수호자로서의 태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푸샨은 또한 카비(Kavi)로 여겨지는데, 이는 여러 신들의 별칭이자 "왕"을 의미하는 칭호가 되었다.

그는 땋은 머리와 수염을 가지고 있으며, 금색 도끼, 송곳, 자극을 가지고 다닌다.[6][7] 그는 죽을 먹으며, 샤타파타 브라흐마나에는 이가 없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그는 신들이 그에게 준 태양의 딸인 수르야와 결혼했다.

푸샨은 길을 아는 자이자 도로의 수호자이다.[1] 이러한 역할에서 그는 늑대와 매복자 등 도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험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한다. 그는 또한 신성한 길과 관련이 있으며, 땅과 하늘 사이의 길에 익숙하여 영혼을 천국으로 인도할 수 있다.[7] 그는 소, 말, 양을 보호하며, 잃어버린 가축을 찾아달라는 요청을 받는다.[5][7]

참조

[1] 서적 A Vedic Reader for Students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Oxford) 1917
[2] 서적 The Oxford Introduction to Proto-Indo-European and the Proto-Indo-European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3] 간행물 "Wodan, Hermes und Pushan," Festskrift tillägnad Hugo Pipping pȧ hans sextioȧrsdag den 5 November 1924 1924
[4] 문서 Rigveda http://www.sacred-te[...]
[5] 서적 The Rig Veda: An Anthology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6] 서적 The Rigveda –– Earliest Religious Poetry of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Vedic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of Hindu Mythology and Religion, Geography, History, and Literature https://archive.org/[...] Trübner & Co.
[9] 서적 Hindu Mythology, Vedic, and Puranic http://www.sacred-te[...] Thacker, Spink & Co.
[10]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4-04-18
[11] 서적 『リグ・ヴェーダ』6巻58・4
[12] 서적 『リグ・ヴェーダ』6巻58・2
[13] 서적 『リグ・ヴェーダ讃歌』解説、p.38
[14] 서적 『リグ・ヴェーダ』6巻58・3
[15] 서적 『リグ・ヴェーダ』6巻54・1
[16] 서적 『リグ・ヴェーダ』6巻54・10
[17] 서적 『リグ・ヴェーダ』6巻54・8
[18] 서적 『[[ブリハダーラニヤカ・ウパニシャッド]]』1・4・13(ジョルジュ・デュメジル『大天使の誕生』1章5節)
[19] 서적 ジョルジュ・デュメジル『ミトラ=ヴァルナ』10章2節
[20] 서적 A Vedic Reader for Students https://archive.org/[...] 2017-03-25
[21] 서적 The Oxford Introduction to Proto-Indo-European and the Proto-Indo-European World
[22] 문서 Rigveda http://www.sacred-te[...]
[23]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of Hindu Mythology and Religion, Geography, History, and Literature https://archive.org/[...]
[24] 서적 Hindu Mythology, Vedic, and Puranic http://www.sacred-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