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클라비헤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클라비헤로는 18세기 멕시코의 예수회 사제이자 역사가이다. 베라크루스에서 태어나 스페인인 아버지와 크리오야 어머니 사이에서 자랐으며, 멕시코 원주민의 언어와 문화를 배우며 성장했다. 그는 사제 서품 후, 멕시코시티에서 신학 및 철학을 연구했으며, 산 그레고리오 대학과 산 하비에르 대학 등에서 교육 활동을 했다. 1767년, 예수회가 스페인 지배령에서 추방된 후 이탈리아 볼로냐로 이주하여 멕시코의 역사를 연구, 저술했다. 대표 저서로 멕시코의 고대 문명을 다룬 《멕시코 고대사》가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저작과 멕시코 문화, 자연 과학, 철학 관련 에세이 등을 남겼다. 클라비헤로는 1787년 볼로냐에서 사망했으며, 멕시코에서 그의 업적을 기려 많은 학교, 도서관 등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하칼리포르니아주의 역사 - 에르난 코르테스
    에르난 코르테스는 16세기 스페인의 콘키스타도르로, 멕시코 원정을 통해 아즈텍 제국을 정복했지만, 정복 과정에서의 잔혹 행위와 아즈텍 문명 파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는 인물이다.
  • 멕시코의 망명자 - 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
    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는 1988년부터 1994년까지 멕시코 대통령을 역임하며 북미 자유 무역 협정 체결과 경제 개방 정책을 추진했으나, 경제 위기와 논란으로 인해 멕시코 역사상 가장 논란이 많은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멕시코의 망명자 - 안토니오 로페스 데 산타 안나
    안토니오 로페스 데 산타 안나는 1794년 멕시코에서 태어나 군인으로 활동하며 멕시코 독립 전쟁에 참전했고, 여러 차례 멕시코 대통령을 역임하며 중앙 집권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텍사스 혁명과 미국-멕시코 전쟁에서 패배하며 멕시코의 영토 손실을 초래했다.
  • 누에바에스파냐 사람 -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는 스페인의 사제이자 역사가로,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스페인의 잔혹 행위를 목격한 후 원주민 옹호에 평생을 바쳤으며, 식민 정책을 비판하고 인디언 인권 옹호에 기여했지만 아프리카 노예제도를 옹호한 과거는 비판받고 있다.
  • 누에바에스파냐 사람 - 페드로 데 알바라도
    페드로 데 알바라도는 1485년 스페인에서 태어난 콘키스타도르로, 에르난 코르테스의 부관으로서 아즈텍 정복에 참여하고 과테말라 총독을 역임했으며, 대사원 학살과 원주민에 대한 잔혹 행위로 비판받다 1541년 사망했다.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클라비헤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세기 클라비헤로 상상도
출생일1731년 9월 9일
출생지베라크루스, 누에바에스파냐, 스페인 제국
사망일1787년 4월 2일 (55세)
사망지볼로냐, 교황령
안장지저명한 인사 로툰다, 멕시코 시티, 멕시코
직업사제
교사
학자
역사가
종교인 정보
존칭 접두사신부
존칭 접미사SJ (예수회)
서명
서명값찾기
웹사이트
웹사이트값찾기
추가 정보
각주값찾기
철학자 정보
가문값찾기
영향받음값찾기
영향줌값찾기
학력값찾기
모교값찾기
지도 교수값찾기
논문값찾기
소속 기관값찾기
지도 학생값찾기
서훈값찾기
사망 원인값찾기
거주지값찾기
종교값찾기
부모값찾기
형제자매값찾기
배우자값찾기
자녀값찾기
친인척값찾기

2. 유년 시절과 교육

클라비헤로는 어린 시절부터 원주민들과 가깝게 지내며 그들의 문화와 언어를 익혔다. 푸에블라의 산 제로니모 대학교와 예수회 산 이그나시오 대학교에서 문법, 철학, 라틴어, 신학을 공부했다. 이후 사제가 되기 위해 신학교에 들어갔지만, 곧 예수회 회원이 되기로 결심하고 멕시코주 테포초틀란의 예수회 대학으로 옮겨 고대 그리스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영어를 배웠다. 1751년에는 푸에블라로 돌아와 철학을 공부하며 르네 데카르트, 아이작 뉴턴,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등 당대 사상가들의 저서를 접했다.[1]

멕시코시티의 산 페드로 이 산 파블로 대학교에서 신학과 철학 연구를 마쳤다. 그는 "18세기 멕시코 인문주의자"로 알려진 호세 라파엘 캄포이, 안드레스 카보,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알레그레, 후안 루이스 마네이로, 페드로 호세 마르케스 등과 함께 공부했다. 산 일데폰소 대학교의 감독 및 예수회 신학교의 수사학 교수로 임명되기도 했다.[1]

2. 1. 유년 시절

클라비헤로는 멕시코 베라크루스에서 스페인인 아버지와 크리오야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스페인 왕실에서 일했으며, 여러 마을로 자주 전근했다. 아버지의 직책은 대부분 원주민의 영향력이 강한 지역이었고, 이 때문에 클라비헤로는 성장하면서 나와틀어를 배웠다. 그의 가족은 테시우틀란, 푸에블라 등지에서 살았으며, 이후에는 오아하카의 믹스테카 지역에 있는 하밀테펙에서 살았다.

클라비헤로의 전기 작가인 후안 루이스 마네이로는 다음과 같이 썼다.

> 그는 어릴 때부터 원주민들과 친밀하게 지낼 기회가 있었고, 그들의 관습과 본성을 완전히 배우고, 그 땅에서 생산되는 식물, 동물 또는 광물과 같은 많은 특별한 것들을 주의 깊게 조사했다. 높은 산, 어두운 동굴, 쾌적한 계곡, 샘, 시냇물 또는 그를 즐겁게 하기 위해 인디언들이 소년을 데려가지 않은 곳은 없었다.

2. 2. 교육 과정

그는 푸에블라에서 문법을 배우기 위해 산 제로니모 대학교에서, 철학, 라틴어, 신학을 배우기 위해 예수회 산 이그나시오 대학교에서 학업을 시작했다. 이러한 학업을 마친 후, 푸에블라 (푸에블라 주)의 신학교에 들어가 사제가 되기 위한 공부를 시작했지만, 곧 예수회 회원이 되기로 결정했다. 1748년 2월, 멕시코주 테포초틀란에 있는 예수회 대학으로 전학했다. 그곳에서 라틴어를 계속 공부하는 한편, 고대 그리스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영어도 배웠다. 1751년, 철학을 더 공부하기 위해 푸에블라로 돌아갔다. 여기에서 르네 데카르트, 아이작 뉴턴,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와 같은 동시대 사상가들의 작품을 접하게 되었다.

이후 클라비헤로는 멕시코시티로 보내져 산 페드로 이 산 파블로 대학교에서 신학 및 철학 연구를 마쳤다. 이 곳에서 호세 라파엘 캄포이, 안드레스 카보,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알레그레, 후안 루이스 마네이로, 페드로 호세 마르케스를 포함한 다른 저명한 학생들과 함께 공부했는데, 이들은 오늘날 "18세기 멕시코 인문주의자"로 알려진 그룹의 일원이었다. 그는 학생 신분으로 가르치기 시작했고, 산 일데폰소 대학교의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나중에 그는 예수회 신학교의 수사학 교수로 임명되었는데, 이는 그가 아직 서품을 받지 않았다는 점에서 예외적인 임명이었다.

3. 사제 서품, 교육 활동, 역사 연구

클라비헤로는 카를로스 데 시궤사 이 곤고라가 산 페드로 앤 산 파블로 대학에 기증한 아즈텍 코덱스와 정복 시대의 책들을 연구했다. 그는 시궤사의 연구 방식을 본받았고, 시궤사가 인디언에게 보여준 호의와 사랑에 매우 만족했다. 또한 유럽인과의 접촉 이전 인디언 문화의 많은 부분을 존경했으며, 코덱스의 로고그램을 읽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

3. 1. 사제 서품과 교육 활동

1754년, 클라비헤로는 사제 서품을 받았다. 그는 식민 시대 초기에 인디언 청소년들을 가르치기 위해 설립된 산 그레고리오 대학에서 가르치기 시작해 그곳에서 5년을 보냈다. 그의 전기 작가의 말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 그 5년 동안 그는 멕시코 민족과 관련된 모든 문서를 매우 꼼꼼하게 검토했는데, 그 문서는 산 페드로 앤 산 파블로 대학에서 대량으로 수집되었으며, 나중에 그가 후세에 남긴 역사에 게재될 귀중한 보물을 대단한 결의로 추출했다.

산 그레고리오에서의 시간이 순탄치만은 않았다. 1761년 4월 3일자 서한에서 예수회 총대리 페드로 레알레스 신부는 다음과 같이 질책했다.

> 복종의 멍에를 완전히 벗어던지고, 어제와 같이 당신에게 임무를 부여하는 사람들에게 "싫습니다"라고 대답하거나, 최소한 이 대답은 진실로 당신의 존경이 당신의 의무를 이행하고 받아들이도록 하기 위해 어떤 길을 가야 할지 알지 못하는 상사에게 주어졌습니다. 당신을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은 해결책이 되지 못하며, 당신의 삶과 모범은 만족감을 제공하지 못하며, 이 대학에 사는 사람들의 유일한 목적을 거의 완전히 제거하고, 당신이 채우는 일과 연구를 다른 사람에게 넘겨주고 있습니다.

클라비헤로 신부의 "다른 일과 연구"는 카를로스 데 시궤사 이 곤고라가 산 페드로 앤 산 파블로 대학에 기증한 아즈텍 코덱스와 정복 시대의 책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클라비헤로는 시궤사의 연구 방식을 따라 그를 본받았고, 시궤사가 인디언에게 보여준 호의와 사랑에 매우 만족했다. 그는 또한 유럽인과의 접촉 이전에 인디언 문화의 많은 부분을 존경했다. 클라비헤로는 코덱스에 있는 로고그램을 읽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

클라비헤로는 인디언 청소년 교육을 위해 헌신하는 푸에블라주 푸에블라의 산 하비에르 대학으로 전근하여 그곳에서 3년을 가르쳤다. 1764년 그는 다시 모렐리아로 전근하여 신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쳤다. 그의 선배들보다 더 합리주의적인 철학자였던 그는 이 분야의 혁신가였다. 바야돌리드에서의 좋은 성과로 할리스코주 과달라하라에서 같은 지위로 승진했다. 그는 과달라하라에서 자신의 저서인 ''개별 물리학''(Physica Particularis)을 완성했는데, 이 책은 ''철학 강좌''(Cursus Philosophicus)와 함께 그의 과학적, 철학적 사상을 담고 있다.

3. 2. 역사 연구와 예수회 추방

카를로스 데 시궤사 이 곤고라가 산 페드로 앤 산 파블로 대학에 기증한 아즈텍 코덱스와 정복 시대의 책들을 연구했다.[1] 클라비헤로는 시궤사의 연구 방식을 본받아 그가 인디언에게 보여준 호의와 사랑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1] 그는 유럽인과의 접촉 이전 인디언 문화의 많은 부분을 존경했으며, 코덱스의 로고그램을 해독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1]

푸에블라주 푸에블라의 산 하비에르 대학에서 3년간 인디언 청소년 교육에 헌신한 후, 1764년 모렐리아로 전근하여 신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쳤다.[2] 그는 선배들보다 합리주의적인 철학자였으며, 이 분야의 혁신가였다.[2] 바야돌리드에서의 성과를 바탕으로 할리스코주 과달라하라로 승진했고, 그곳에서 ''개별 물리학''(Physica Particularis)을 완성했다.[2] 이 책은 ''철학 강좌''(Cursus Philosophicus)와 함께 그의 과학적, 철학적 사상을 담고 있다.[2]

18세기 후반, 부르봉 개혁의 일환이자 유럽 군주들에 의한 예수회 탄압의 흐름 속에서, 예수회는 카를로스 3세의 명령으로 1767년 6월 25일 모든 스페인 지배령에서 추방되었다. 클라비헤로는 식민지를 떠나 페라라를 거쳐 볼로냐로 이주하여 남은 생을 보냈다.

''멕시코 고대사'' (1780년. 현대판)


이탈리아에서 그는 역사 연구에 전념했다. 아즈텍 코덱스, 참고 문헌, 초기 스페인 정복자들의 기록에 접근할 수 없었지만, 이전 연구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La Historia Antigua de México''를 집필했다. 이탈리아에서 그는 프로이센의 코르넬리우스 드 파우의 ''미국인에 관한 철학적 연구''를 접하고, 콜럼버스 이전 아메리카 대륙의 본질과 문화에 대한 유럽의 무지에 분개하여 멕시코의 진정한 역사를 보여주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이탈리아 도서관을 참고하고 멕시코의 친구들과 서신을 주고받으며 원본 자료를 참조하여 수년간 역사 연구에 매달렸다. 마침내 완성된 작품은 스페인 정복 이전 멕시코 문화를 다룬 10권으로 구성되었다. 원고는 스페인어로 작성되었지만, 이탈리아 친구들의 도움을 받아 이탈리아어로 번역되어 1780~81년 체세나에서 출판되었고, 학자들에게 큰 호평을 받았다. 곧 영어와 독일어로 번역되었고, 스페인어로도 번역되어 멕시코에서 여러 판을 거쳤다. 1945년에는 원본이 스페인어로 출판되었다.

4. 이탈리아에서의 저술 활동과 《멕시코 고대사》



클라비헤로는 예수회 추방 이후 이탈리아에서 역사 연구에 전념하며 《멕시코 고대사》를 집필했다. 아즈텍 코덱스 등 원 자료에는 접근할 수 없었지만, 이전 연구에서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집필을 이어갔다. 특히 코르넬리우스 드 파우의 ''미국인에 관한 철학적 연구''는 콜럼버스 이전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유럽인들의 무지를 드러내어, 클라비헤로가 멕시코 역사를 제대로 알리고자 하는 동기를 부여했다.[1]

그는 이탈리아 도서관을 참고하고 멕시코의 친구들과 서신을 주고받으며 수년간 자료를 수집했다. 스페인 정복 이전 멕시코 문화를 다룬 10권 분량의 원고는 스페인어로 작성되었으나, 이탈리아 친구들의 도움으로 이탈리아어로 번역되었다. 1780~81년 체세나에서 출판된 이 책은 학계의 호평을 받았고, 영어, 독일어, 스페인어로 번역되어 멕시코에서 여러 판을 거쳤다. 원본 스페인어판은 1945년에 출판되었다.[1]

4. 1. 집필 배경

예수회는 부르봉 개혁의 일환이자 18세기 후반 유럽 군주들에 의한 예수회 탄압의 일반적인 흐름에 따라, 1767년 6월 25일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3세의 명령에 의해 모든 스페인 지배령에서 추방되었다.[1] 클라비헤로는 식민지를 떠나 처음에는 이탈리아 페라라로 갔지만, 곧 이탈리아 볼로냐로 이주하여 남은 생을 보냈다.[1]

이탈리아에서 그는 역사 연구에 전념했다.[1] 비록 아즈텍 코덱스, 참고 문헌, 초기 스페인 정복자들의 기록에 접근할 수 없었지만, 이전 연구에서 얻은 정보를 기억 속에 간직하고 있었다.[1] 그는 항상 의도했던 작품인 ''La Historia Antigua de México''를 쓸 수 있었다.[1] 이탈리아에서 그는 프로이센의 코르넬리우스 드 파우의 작품 ''미국인에 관한 철학적 연구''를 보게 되었는데,[1] 이 작품은 클라비헤로에게 콜럼버스 이전 아메리카 대륙의 본질과 문화에 대한 유럽의 무지를 드러냈고, 멕시코의 진정한 역사를 보여주기 위한 그의 작업을 자극했다.[1]

그는 수년간 자신의 역사에 매달려 이탈리아 도서관을 참고하고 멕시코의 친구들과 서신을 주고받으며 그들이 현지의 원본 자료를 참조하여 그의 질문에 답변하도록 했다.[1] 마침내 그의 작품이 완성되었다.[1] 그것은 스페인 정복 이전부터 멕시코 문화에 대한 서술을 담은 10권으로 구성되었다.[1] 원고는 스페인어로 작성되었지만, 클라비헤로 신부는 이탈리아 친구들의 도움을 받아 이탈리아어로 번역했다.[1] 이 책은 1780~81년 체세나에서 출판되었고 학자들로부터 큰 만족을 얻었다.[1] 곧 영어와 독일어로 번역되었으며, 스페인어로도 번역되어 멕시코에서 여러 판을 거쳤다.[1] 훨씬 늦게 (1945년) 원본이 스페인어로 출판되었다.[1]

4. 2. 《멕시코 고대사》의 내용과 특징



클라비헤로는 이탈리아에서 역사 연구에 전념했다. 비록 아즈텍 코덱스, 참고 문헌, 초기 스페인 정복자들의 기록에는 접근할 수 없었지만, 이전 연구에서 얻은 정보를 기억 속에 간직하고 있었다. 그는 항상 의도했던 작품인 ''La Historia Antigua de México''를 쓸 수 있었다. 이탈리아에서 그는 프로이센의 코르넬리우스 드 파우의 ''미국인에 관한 철학적 연구''라는 작품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 작품은 클라비헤로에게 콜럼버스 이전 아메리카 대륙의 본질과 문화에 대한 유럽의 무지를 드러냈고, 멕시코의 진정한 역사를 보여주기 위한 그의 작업을 자극했다.

그는 수년간 자신의 역사에 매달려 이탈리아 도서관을 참고하고 멕시코의 친구들과 서신을 주고받으며 그들이 현지의 원본 자료를 참조하여 그의 질문에 답변하도록 했다. 마침내 그의 작품이 완성되었다. 그것은 스페인 정복 이전부터 멕시코 문화에 대한 서술을 담은 10권으로 구성되었다. 원고는 스페인어로 작성되었지만, 클라비헤로 신부는 이탈리아 친구들의 도움을 받아 이탈리아어로 번역했다. 이 책은 1780~81년 체세나에서 출판되었고 학자들로부터 큰 만족을 얻었다. 곧 영어와 독일어로 번역되었으며, 스페인어로도 번역되어 멕시코에서 여러 판을 거쳤다. 원본은 훨씬 늦은 1945년에 스페인어로 출판되었다.

5. 기타 저작 및 유산

클라비헤로는 ''멕시코 고대사''에서 아나우악 묘사로 시작하여 아즈텍의 방랑, 정치, 전쟁, 종교, 관습, 사회 조직 및 문화를 다루었다. 최초로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연대기를 확립했으며, 쿠아우테목 투옥까지의 정복 역사를 결론으로 맺는다.

많은 동시대인들과 달리 클라비헤로는 원주민을 평화롭고 선량한 존재로 묘사했으며, 스페인 정복자들의 행동을 강력하게 비판했다. 오늘날 클라비헤로의 저서는 지나치게 감상적이고 신뢰할 수 없다는 평가를 받지만, 초기 아메리카의 일상생활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 많은 역사학자들이 여전히 읽고 있다.

5. 1. 기타 저작

클라비헤로의 이탈리아어판 ''멕시코 고대사'' 1780년판 표지


클라비헤로는 ''멕시코 고대사'' 외에도 다음과 같은 작품을 출판했다.

  • ''바하 캘리포니아 고대사'' (베네치아, 1789년, 4권): 미겔 베네가스, 후안 마리아 살바티에라, 유세비오 프란시스코 키노, 후안 데 우가르테, 프란시스코 마리아 피콜로, 페르난도 콘사그 등 예수회 선교사들의 바하 캘리포니아 활동을 요약했다. 영어 번역본은 1864년 샌프란시스코, 1938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출판되었다. 출처에 주의를 기울인 현대 역사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물리학 개론''(Physica particularis): 에세이.
  • ''철학 강좌''(Cursus philosophicus): 논문.
  • 과달루페의 성모 발현의 역사.
  • ''누에바 에스파냐가 상업하거나 상업할 수 있는 과일''(Frutos en que comercia o puede comerciar la Nueva España): 에세이.
  • 멕시코 문화, 자연 과학, 철학 및 기타 주제에 관한 많은 편지, 에세이, 논문.

5. 2. 유산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클라비헤로 신부는 1787년 4월 2일 오후 4시에 볼로냐에서 사망했다. 향년 55세였다. 그는 2년 후 베니스에서 출판된 《고대 또는 바하 캘리포니아의 역사》의 출판을 보지 못했다.[1]

1970년 8월 5일, 클라비헤로 신부의 유해는 그의 출생지인 베라크루스로 송환되었다. 그는 저명한 아들로서의 예우를 받았다. 현재 그는 멕시코시티의 돌로레스 묘역에 있는 명사들의 로툰다에 안치되어 있다.

클라비헤로의 친구이자 동료, 전기 작가인 후안 루이스 마네이로 신부는 "후세는 그가 남긴 업적을 통해 클라비헤로가 얼마나 위대한 인물이었는지 판단할 것이다."라고 평가했다.[1]

멕시코 전역의 학교, 도서관, 식물원, 대로 및 공원에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곳이 많다.

  •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클라비헤로 도서관: 멕시코시티에 있는 이베로아메리카 대학교의 사립 도서관.
  • 클라비헤로 식물원: 할라파에 위치.
  • 클라비헤로 문화 센터: 모렐리아에 위치.[2]

참조

[1] 서적 Humanistas de Mesoamérica https://books.google[...] FCE - Fondo de Cultura Económica 2024-09-26
[2] 웹사이트 The Central Mexican City of Morelia Is Home to Historic Monuments and Heritage Crafts https://www.nytimes.[...] 2022-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