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 디 우르비노 공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는 16세기 이탈리아의 귀족으로, 우르비노 공작이자 교황령 총사령관이었다. 그는 교황 율리우스 2세의 조카였으며, 삼촌인 우르비노 공작 구이도발도 1세의 후계자로 지명되어 1508년 공작위를 계승했다. 그는 이탈리아 전쟁에 참여하여 페라라와 베네치아를 상대로 싸웠으며, 1513년에는 페사로의 군주가 되었다. 레오 10세와의 갈등으로 파문당하고 우르비노에서 쫓겨나기도 했으며, 1538년 페사로에서 독살되었다. 그는 엘레오노라 곤자가와 결혼하여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그의 아들 구이도발도 2세 델라 로베레는 우르비노 공작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라 공작 - 조반니 델라 로베레
조반니 델라 로베레는 교황 식스토 4세의 조카로, 세니갈리아와 몬다비오의 영주, 로마 행정관, 아르체와 소라 공작, 교회군 총사령관 등을 역임하며 몬테펠트로 가문과 혼인하여 몬테펠트로 델라 로베레 가문을 이루고 프랑스의 이탈리아 침공 시기에 소라 공국을 방어하는 등 활발한 정치 및 군사 활동을 펼친 이탈리아 귀족이자 군인이다. - 소라 공작 - 프란체스코 마리아 2세 델라 로베레
프란체스코 마리아 2세 델라 로베레는 1574년부터 1631년까지 우르비노 공작으로, 재정 위기 속에서도 문화 예술을 장려했으나 후계자 문제로 어려움을 겪다 그의 사후 우르비노 공국은 교황령에 합병되었다. - 우르비노 공작 -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는 15세기 이탈리아의 우르비노 공작이자 뛰어난 용병대장이었고,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과 인문주의를 후원하여 우르비노 궁정을 문화 중심지로 만들었으며,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를 비롯한 예술가들을 후원했다. - 우르비노 공작 - 로렌초 2세 데 메디치
로렌초 2세 데 메디치는 1492년 피렌체에서 태어나 메디치 가문의 일원으로 피렌체의 영주와 우르비노 공작을 지냈으며, 마들렌 드 라 투르 도베르뉴와의 결혼으로 딸 카트린 드 메디시스를 두었으나 2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델라 로베레가 - 펠리체 델라 로베레
- 델라 로베레가 -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는 우르비노 공국의 공주이자 토스카나 대공국의 대공비로서 델라 로베레 가문의 마지막 후계자였으며, 가문의 예술 컬렉션을 메디치 가문에 상속하여 예술품 보존에 기여했고, 코시모 3세 데 메디치를 통해 토스카나 대공국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 디 우르비노 공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우르비노 공 |
출생일 | 1490년 3월 22일 |
출생지 | 우르비노 공국 세니갈리아 |
사망일 | 1538년 10월 20일 (48세) |
사망지 | 우르비노 공국 우르비노 |
매장지 | 알 수 없음 |
배우자 | 엘레오노라 곤차가 |
자녀 | 페데리코 델라 로베레 구이도발도 2세 이폴리타 델라 로베레 조반나 델라 로베레 조반니 델라 로베레 카테리나 델라 로베레 베아트리체 델라 로베레 프란체스코 델라 로베레 마리아 델라 로베레 엘리사베타 델라 로베레 줄리아 델라 로베레 줄리오 델라 로베레 비올란테 델라 로베레 |
가문 | 로베레 가문 |
아버지 | 조반니 델라 로베레 |
어머니 | 조반나 다 몬테펠트로 |
통치 | |
통치 기간 1 | 1508년 4월 11일 – 1516년 |
이전 통치자 1 | 구이도발도 1세 |
다음 통치자 1 | 로렌초 2세 데 메디치 |
통치 기간 2 | 1521년 12월 – 1538년 10월 20일 |
이전 통치자 2 | 로렌초 2세 데 메디치 |
다음 통치자 2 | 구이도발도 2세 |
2. 생애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는 1490년 조반니 델라 로베레와 페데리코 3세 다 몬테펠트로의 딸 조반나 다 몬테펠트로 사이에서 태어났다. 율리우스 2세는 그의 삼촌이었다. 상속자가 없던 외삼촌 구이도발도 1세는 율리우스 2세의 중재로 1504년에 그를 우르비노 공국의 상속자로 삼았다.
1502년 체사레 보르자에게 세니갈리아를 빼앗겼으나, 안드레아 도리아의 도움으로 목숨을 구했다. 1508년 구이도발도가 사망하자 우르비노 공작이 되었고, 율리우스 2세의 지원으로 세니갈리아를 되찾았다. 같은 해 엘레오노라 곤자가와 결혼했다.
1509년 교황령 군대의 총사령관(capitano generaleit)으로 임명되어 이탈리아 전쟁에서 페라라와 베네치아를 상대로 싸웠다. 1511년 볼로냐 정복에 실패한 후, 부하들을 시켜 프란체스코 알리도시 추기경을 살해했다.[2][3][4] 1513년 페사로의 영주가 되었다.
1513년 율리우스 2세가 사망하고 레오 10세가 즉위하면서, 페사로는 로렌초 2세에게 넘어갔다. 1516년 파문당하고 우르비노에서 쫓겨났으며, 1517년 우르비노 전쟁에서 패배했다. 1521년 레오 10세가 사망한 후에야 우르비노로 돌아갈 수 있었다.
1521년부터 1521년 이탈리아 전쟁 동안 롬바르디아에서 베네치아 공화국의 총사령관으로 싸웠다. 그러나 클레멘스 7세와의 불화로 로마 약탈 (1527)을 사실상 방조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1520년대 후반 파비아 점령에 참여했고, 베네치아 공화국을 위해 싸웠다. 아들 구이도발도 2세를 줄리아 다 바라노와 결혼시켜 마르케의 교황 권력에 대항했다.
1538년 페사로에서 독살되었다.[4]
2. 1. 가문과 초기 생애
프란체스코 마리아는 교황군 사령관이자 세니갈리아의 군주인 조반니 델라 로베레와 페데리코 3세 다 몬테펠트로의 딸 조반나 다 몬테펠트로의 아들로, 세니갈리아에서 태어났다. 그는 교황 율리우스 2세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의 조카이기도 했다.[2][3]상속자가 없었던 그의 삼촌 우르비노의 구이도발도 1세는 율리우스 2세의 중재를 통해 1504년에 그를 자신의 궁정으로 불러들여 우르비노 공국의 상속자로 삼았다. 1502년 델라 로베레 가문은 체사레 보르자에게 점령당해 세니갈리아의 영주 자리를 잃었으나, 당시 마르케에서 가장 강력한 인물이었던 프란체스코 마리아와 그의 어머니는 보르자의 군대에 의한 학살에서 당시 육군 병사였던 안드레아 도리아에 의해 구출되었다.[4] 1508년 구이도발도가 사망하자 프란체스코 마리아는 우르비노 공작이 되었고, 삼촌 교황의 지원 덕분에 보르자의 사후 세니갈리아를 되찾을 수 있었다.
1508년, 그는 만토바 변경백작 프란체스코 2세 곤차가와 이사벨라 데스테의 딸인 엘레오노라 곤차가와 혼인하였다.


- -, 1504년 라파엘로가 그린 십 대 시절의 프란체스코 마리아의 초상화.
2. 2. 우르비노 공작 계승과 통치
1502년 델라 로베레 가문은 마르케에서 가장 강력한 인물이던 체사레 보르자에게 세니갈리아의 지배권을 빼았겼다. 그러나 프란체스코 마리아와 그의 어머니는 당시 보병이던 안드레아 도리아의 도움을 받아, 보르자의 군대로부터 학살을 피할 수 있었다.1507년 체사레 보르자(1474~1507)가 사망한 후 그의 삼촌인 교황 율리오 2세(재위 1503-13)는 세니갈리아를 수복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1508년 구이도발도가 사망하자, 프란체스코 마리아는 우르비노 공작이 되었다. 같은 해 그는 만토바 후작 프란체스코 2세 곤자가와 이사벨라 데스테의 딸인 엘레오노라 곤자가(1493–1570)와 결혼했다.
1509년 그는 교황령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페라라와 베네치아 공화국을 상대로 캉브레 동맹 전쟁(1508-16)에 참전하였다. 1513년 그는 또한 페사로의 군주가 되었다.
2. 3. 알리도시 추기경 살해 사건
1511년 우르비노 공작은 자신의 부하들을 시켜 백주대낮에 프란체스코 알리도시 추기경을 살해했다. 알리도시 추기경은 교황의 저녁 초대를 받고 길을 가던 중이었는데, 두개골이 함몰될 정도로 심한 부상을 입고 숨졌다. 장소는 라벤나의 산비탈레 교회 근처였다.[2] 알리도시는 볼로냐를 담당하는 동안 두 차례나 시민들과 우르비노 공작에게 체포되어 반역 혐의로 고발당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교황 율리오 2세는 석연찮은 이유로 두 차례 모두 알리도시를 사면복권 시켜준 일이 있었다. 그러던 중 1511년 5월, 볼로냐 시민들이 반란을 일으키자 진압 책임자인 알리도시 추기경은 야반도주를 하였다. 우르비노 공작도 어쩔 수 없이 볼로냐를 탈출하고 말았다. 이후 프랑스군이 볼로냐로 진격하자 볼로냐인들은 항복해버렸다. 우르비노 공작은 그 책임이 알리도시가 적과 내통한 결과라고 확신하였다. 그러나 교황은 우르비노 공작에게만 신랄하게 책망을 가하자, 이에 격분한 나머지 알리도시 추기경을 살해하고 말았다.[3]교황 율리오 2세는 추기경 시절부터 경쟁 관계에 있던 로드리고 추기경이 1492년에 교황(알렉산데르 6세)에 선출되자 이에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콘클라베 당시 거액의 뇌물이 오고 갔다고 주장하면서 그를 성직매매 혐의로 고발하여 그의 선출이 무효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1494년 초에 신변의 위험을 느끼고 프랑스로 피신했는데 이때 알리도시 추기경이 동행하였다. 이후 비서관으로 활동하며 교황 율리오 2세의 핵심 협력자가 되었다. 그래서 알리도시 추기경에 대해 편애를 하였고 우르비노 공작은 이것이 매우 못마땅하게 여겼던 것이 살해의 동기였다.[4]
2. 4. 교황 레오 10세와의 갈등과 공작위 박탈
교황 율리오 2세가 1513년 2월 사망하면서,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는 중요한 정치적 후원자를 잃었다.[2] 신임 교황인 교황 레오 10세는 우르비노 공국의 수도인 페사로를 자신의 조카인 로렌초 2세 데 메디치에게 넘겨주었다.[2] 1516년,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는 파문당하고 우르비노에서 추방되었다.[2] 다음 해에 우르비노 회복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2] 그는 1521년 교황 레오 10세가 사망한 후에야 자신의 공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2]2. 5. 교황 클레멘스 7세와의 갈등과 로마 약탈 방조
클레멘스 7세 (재위 1523~34)는 메디치 가문 출신으로,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는 그와 사이가 좋지 않았다. 과거 메디치 가문 출신 교황 레오 10세(재위 1513~1521)에게 우르비노 공작위를 빼앗기고 파문당했던 경험 때문에, 프란체스코는 메디치 가문 출신 교황에게 협조적이지 않았다. 교황 역시 그를 싫어하며 신뢰하지 않았다.코냑동맹전쟁 (1525~1530) 중에 프란체스코는 동맹군의 총사령관이었으나, 이러한 불화로 인해 전쟁에 소극적으로 임했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가 파견한 제국군(스페인+독일)이 로마를 침공했을 때도, 총사령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로마에 나타나지 않았다. 심지어 동맹국인 로마가 약탈당하는 동안에도 방관했다. (1527년 로마 약탈 참조)
2. 6. 죽음
그는 페사로에서 독살되었다.[4] 일부 학자들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햄릿에서 언급된 알려지지 않은 연극인 ''곤자가의 살해''가 햄릿에 의해 ''쥐덫'' (연극 속의 연극)으로 재구성되었으며, 델라 로베레의 죽음을 대중적으로 재연한 것이고 엘리자베스 시대 동안 영국 초기에 극장에서 묘사되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4]3. 자녀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페데리코 델라 로베레 | 1511년 | 생후 2개월 | |
구이도발도 2세 델라 로베레 | 1514년 4월 2일 | 1574년 9월 28일 | 줄리아 바라노와 결혼, 비토리아 파르네세(파르마 공작 피에르 루이지 파르네세의 딸)와 결혼, 마리아 테레사 키보-말라스피나의 조상. |
조반나 델라 로베레 | 1515년 | 1518년 | |
조반니 델라 로베레 | 1516년 | 1518년 | |
카테리나 델라 로베레 | 1518년 | 1520년 | |
베아트리체 델라 로베레 | 1521년 | 1522년 | |
프란체스코 마리아 델라 로베레 | 1523년 | 1525년 | |
이폴리타 델라 로베레 | 1525년 | 1561년 | 몬탈토 공작 아라곤의 안토니오와 결혼. |
마리아 델라 로베레 | 1527년 | 1528년 | |
엘리사베타 델라 로베레 | 1529년 | 1561년 6월 6일 | 마사 후작 알베리코 1세 키보-말라스피나와 결혼, 마리아 테레사 키보-말라스피나의 조상. |
줄리아 펠트리아 델라 로베레 | 1531년 | 1563년 4월 4일 | 몬테키오 군주 알폰소 데스테와 결혼, 모데나 공작 체사레 데스테의 부모. |
줄리오 펠트리오 델라 로베레 | 1533년 | 1598년 | 추기경, 사생아 이폴리토[9]와 줄리오를 둠. |
비올란테 델라 로베레 | 1535년 | 1538년 |
참조
[1]
서적
Memoirs of the Dukes of Urbino, illustrating the arms, arts, and literature of Italy, from 1440 to 1630
https://archive.org/[...]
Longman, Brown, Green, and Longmans
[2]
서적
Group Identity in the Renaissance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National Quarterly Review
https://archive.org/[...]
Pudney & Russell
1864-06-04
[4]
웹사이트
The Elizabethan Hamlet
http://arts.ucsc.edu[...]
2007-09-01
[5]
문서
San Lorenzo in Campo|Marchese di San Lorenzo]]. Ippolito's daughter Lucrezia married Marcantonio Lante and their son assumed the new extended surname as [[Ippolito Lante Montefeltro della Rovere
[6]
문서
구이도발도(1472-1508)는 대표적인 용병대장이였다. 불행히도 성불구자였기에 결혼은 하였으나 자식이 없었다.
[7]
문서
우르비노 공국의 초대 공작은 오단토니오 다 몬테펠트로(Oddantonio da Montefeltro, 1428 – 1444년 7월 22일)이다.
[8]
문서
델라 로베레 가문은 교황 식스토 4세, 교황 율리오 2세를 배출한 가문이다.
[9]
문서
나중에 적출이 되었고 산로렌초인캄포|마르케세의 성 로렌초]]라고 불렸다. 이폴리토의 딸 루크레치아(Lucrezia)는 마르칸토니오 란테(Marcantonio Lante)와혼힌해고 그들의 아들은 호칭이 추가 되어 [[이폴리토 란테 몬테펠트로 델라 로베레]]라고 불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