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란츠 폰 바이에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란츠 폰 바이에른은 1933년 뮌헨에서 태어난 비텔스바흐 가문의 수장이다. 그는 나치 정권의 박해를 피해 가족과 함께 망명 생활을 했으며, 강제 수용소에서 생존하는 고난을 겪었다. 전후에는 학업을 마치고 현대 미술 후원 활동을 펼치며, 뮌헨의 피나코테크 데어 모데르네 등에 자신의 미술품 컬렉션을 기증했다. 그는 또한 다양한 기사단 및 훈장의 그랜드 마스터이며, 비텔스바흐 가문의 재산 관리 및 전통 유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프란츠는 동성 파트너와 함께 생활하고 있으며, 비텔스바흐 가문의 상속 서열은 동생 막스, 그리고 그의 후손에게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성소수자 인물 - 카를 라거펠트
    카를 라거펠트는 독일 출신의 패션 디자이너이자 사진작가, 일러스트레이터로, 샤넬과 펜디의 수석 디자이너를 역임하며 패션계에 큰 영향을 미쳤고 자신만의 브랜드를 론칭했으며, 독특한 스타일과 논란으로도 유명하다.
  • 독일의 성소수자 인물 -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슈토이벤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슈토이벤은 프로이센 출신 군인으로 미국 독립 전쟁에서 대륙군을 훈련시켜 미국의 독립에 기여했으며, 프로이센식 군사 훈련법을 도입하고 군수 및 행정 개혁에도 힘썼다.
  • 자코바이트 왕위 요구자 -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는 제임스 2세의 아들로, 가톨릭 신앙 때문에 명예혁명의 원인이 되었고, 아버지의 폐위 후 영국 왕위 계승을 주장하며 여러 차례 왕위 획득을 시도했으나 실패 후 로마에서 망명 궁정을 운영했다.
  • 자코바이트 왕위 요구자 -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는 "보니 프린스 찰리"라는 애칭으로 알려진 18세기 자코바이트 반란 지도자이자 스튜어트 왕가의 왕위 요구자였으나, 컬로든 전투에서 패배 후 망명 생활을 하며 왕위 계승의 꿈을 이루지 못했다.
  • 다하우 강제 수용소 생존자 - 알렉산드로스 파파고스
    알렉산드로스 파파고스는 그리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그리스 내전에 참전하여 공산주의 세력을 격퇴하고 총리를 역임하며 그리스 경제 부흥에 기여하다가 사망했다.
  • 다하우 강제 수용소 생존자 - 키라 키릴로브나 여대공
    키라 키릴로브나 여대공은 러시아 제국의 대공녀로, 망명 생활 중이던 키릴 블라디미로비치 대공과 빅토리아 멜리타 공주 사이에서 태어나 러시아 혁명 이후 망명 생활을 했고, 프로이센 왕자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으며, 아나스타시야 사칭 사건에 증인으로 참여했다.
프란츠 폰 바이에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23년
본명Franz Bonaventura Adalbert Maria Prinz von Bayern (프란츠 보나벤투라 아달베르트 마리아 프린츠 폰 바이에른)
출생일1933년 7월 14일
출생지뮌헨, 독일
종교가톨릭교
가문
가문비텔스바흐 가문
아버지알브레히트 폰 바이에른
어머니마리아 드라스코비치 폰 트라코시찬 여백작
지위
지위비텔스바흐 가문 수장
재위 시작1996년 7월 8일
후계자막스 에마누엘 폰 바이에른 공자
후계 유형추정 상속인

2. 생애

프란츠 폰 바이에른은 1933년 7월 14일 뮌헨에서 알브레히트 공작과 그의 첫 부인인 크로아티아 귀족 마리아 드라슈코비치 백작부인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부모의 결혼은 처음에는 귀천상혼으로 여겨졌으나, 1949년 할아버지 바이에른 왕세자 루프레히트에 의해 정식 혼인으로 인정받아 가문 계승자가 되었다.

비텔스바흐 가문은 나치즘 정권에 반대했으며, 이로 인해 프란츠는 어린 시절 가족과 함께 헝가리로 망명했다가 나치 독일에 의해 체포되어 여러 나치 강제 수용소에 투옥되는 고난을 겪었다.[3][34] 1945년 미국 제3군에 의해 해방된 후, 그는 에탈 수도원 부속 학교와 뮌헨 대학교, 취리히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5]

전후 프란츠는 현대 미술에 깊은 관심을 갖고 중요한 컬렉션을 구축했으며, 피나코테크 데어 모데르네 등 여러 미술 기관에 기여하고 국제적인 미술계에서도 활발히 활동했다.[7][1] 그는 비텔스바흐 가문의 수장으로서 가문 재산과 관련된 기금을 관리하고[10], 성 게오르기우스 훈장 등 가문 기사단의 그랜드 마스터 역할을 수행하며, 과학 및 종교 간 대화 증진 등 다양한 사회 활동에도 참여했다.[11]

개인적으로는 미혼이며, 오랜 동성 파트너 토마스 그라인발트와의 관계를 공개했다.[15][32][33] 가문 수장직은 동생 막스 에마누엘에게 이어질 예정이며, 그 다음으로는 사촌인 루이트폴트 왕자와 그의 아들이 계승하게 된다.[17] 또한 스튜어트 왕가의 후손으로서 자코바이트 왕위 계승 서열에 있지만, 본인은 이를 "역사적 호기심"으로 여길 뿐 정치적 의미를 두지 않는다.[18][19] 그는 현재 님펜부르크 궁전의 일부에 거주하고 있다.

2. 1. 출생, 망명, 투옥 그리고 교육

프란츠는 1933년 7월 14일 뮌헨에서 알브레히트 공작과 그의 첫 번째 부인이자 크로아티아 귀족인 드라슈코비치 가문 출신의 백작부인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부모의 결혼은 처음에는 귀천상혼으로 여겨졌으나, 1949년 5월 18일 프란츠가 15세였을 때 그의 할아버지인 바이에른 왕세자 루프레히트가 이 결혼을 왕가의 정식 혼인으로 인정하면서 프란츠는 가문의 후계자가 되었다.

비텔스바흐 왕가는 독일의 나치즘 정권에 반대했으며, 아돌프 히틀러의 집권 이후 나치의 탄압을 피하기 위해 아버지 알브레히트 공작은 1939년 가족을 데리고 헝가리로 망명했다. 가족은 부다페스트에서 4년간 거주했으며, 아이들은 나치 지지자들이 장악한 독일 학교 대신 개인 교습을 받았다.[3] 1943년 말에는 쇼므로우바르 성으로 이주했다.

1944년 3월, 나치 독일은 마르가레테 작전을 통해 헝가리를 점령했고, 같은 해 10월 6일, 11세의 프란츠를 포함한 온 가족이 게슈타포에게 체포되었다. 그들은 오라니엔부르크 강제 수용소, 플로센뷔르크 강제 수용소, 다하우 강제 수용소 등 여러 나치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다.[3] 특별 수감자 신분으로 가족이 함께 별도의 건물에 수용되었으나, 배고픔과 질병으로 극심한 고통을 겪었다.[4] 1945년 4월 말, 가족은 미국 제3군에 의해 해방되었다.[5]

전쟁 후, 프란츠는 베네딕토회가 운영하는 에탈 수도원 부속 학교에서 중등 교육을 받았다. 그 후 뮌헨 대학교와 취리히 대학교에서 경영학을 공부했다. 그는 1954년과 1956년에 파블로스 국왕과 하노버의 프레데리카 왕비가 주최하여 유럽 전역의 왕족 100여 명이 참석한, 이른바 '왕들의 유람'으로 알려진 선상 여행에도 참여했다.[6]

2. 2. 현대 미술 후원

1985년 디터 슈타인이 그린 프란츠 공작


프란츠는 현대 미술에 대한 열정을 키워나가며 현대 독일 미술품을 수집하기 시작했다. 그는 요제프 보이스, 게오르크 바젤리츠, 블링키 팔레르모의 초기 작품과 더불어 요르그 임멘도르프, 지그마르 폴케 등 여러 현대 독일 화가들의 작품을 포함한 중요한 개인 컬렉션을 구축했다. 이 컬렉션은 뮌헨의 피나코테크 데어 모데르네와 뮌헨 주립 판화 컬렉션에 영구 대여되었다.[7]

그는 미술계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여러 직책을 맡았다. 알테 피나코테크 진흥 협회 회장, 뮌헨 갤러리 협회 공동 설립자 겸 부회장, 글립토테크 및 바이에른 주립 고대 유물 컬렉션 친구 및 후원자 협회 이사회 멤버, 뮌헨 이집트 컬렉션 명예 회장 등을 역임했다. 2009년에는 20세기와 21세기 미술에 관한 방대한 개인 소장 도서를 뮌헨 중앙 미술사 연구소에 기증하기도 했다.

프란츠는 국제적으로도 미술계에 기여했다. 뉴욕 미술계와의 원만한 관계, 예술에 대한 깊은 이해, 폭넓은 국제 인맥, 그리고 나치 시대에 겪었던 개인적인 경험 등을 바탕으로, 그는 유대인 이민자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던 현대 미술관(MoMA) 국제 이사회에 최초의 독일인으로 선출되었다.[1] 이후 16년간 국제 이사회 의장을 맡았으며, 1980년대에는 미술관 회장 블랑셰트 록펠러와 긴밀히 협력하여 컬렉션 확장에 기여했다.[8] 재스퍼 존스, 로버트 라우션버그, 앤디 워홀, 댄 플래빈 같은 미국 예술가들과 친분이 있었음에도, 개인적으로는 주로 현대 독일 미술품을 수집했는데, 이에 대해 "미국 미술은 항상 제 재정적 가능성보다 한 발 앞서 있었습니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9]

수십 년간 이어진 그의 미술 후원 활동은 2003년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워싱턴 D.C.의 미술관인 필립스 컬렉션은 그에게 ''덩컨 필립스 상''을 수여했는데, 이는 1999년부터 박물관을 지원한 수집가와 기증자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프란츠는 유럽인 최초 수상자였다.

2. 3. 기타 활동

비텔스바흐 가문 수장으로서 프란츠는 ''비텔스바흐 보상 기금''의 이사회를 임명한다. 이 기금은 1923년 예술 보물과 컬렉션(특히 뮌헨알테 피나코테크, 노이에 피나코테크, 글립토테크 박물관에 소장된 루트비히 1세 국왕의 미술품 컬렉션), ''비밀 가문 문서 보관소''(현재 바이에른 주립 문서 보관소의 한 부서), 그리고 전 왕궁인 베르크, 호엔슈반가우 (''바이에른 왕 박물관'' 포함), 베르히테스가덴, 그뤼나우 사냥 별장 등 구 ''비텔스바흐 가문 재산 기금''의 주요 자산을 이전받아 관리한다. 또한, 1800년 이전에 획득한 비텔스바흐 예술 보물을 관리하는 ''예술 및 과학을 위한 비텔스바흐 주립 재단''의 이사 중 한 명을 임명한다. 이 재단은 뮌헨 박물관 소장품의 상당 부분을 소유하고 있다. 전 바이에른 왕가는 ''비텔스바흐 보상 기금''으로부터 매년 약 1400만유로의 수익금을 받으며, 프란츠는 그 분배와 사용을 결정한다.[10]

예루살렘 성묘 기사단의 휘장을 착용한 프란츠 폰 바이에른(뮌헨, 2012)


가문 수장으로서 프란츠는 비텔스바흐 가문의 가문 훈장인 성 게오르기우스 훈장, 성 후베르투스 훈장, 테레사 훈장의 그랜드 마스터이기도 하다. 또한 예루살렘 성묘 기사단의 바이에른 훈장 지역 대표 및 몰타 기사단의 총재 역할도 맡고 있다.

프란츠는 현대 미술과 현대 음악 애호가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현대 미술 컬렉션에 열정을 쏟아왔다. 그의 컬렉션 대부분은 현재 뮌헨의 피나코테크 데어 모데르네에 영구 대여 형태로 기증되어 있다. 그는 과학 분야에도 관심을 보여 바이에른 연구 환경의 발전을 지원했으며, 뮌헨 대학교, 뮌헨 공과대학교, 뮌헨 철학 학교, 도이체 박물관, 바이에른 역사 연구소의 이사 및 바이에른 과학 인문학 아카데미의 명예 회원으로 활동했다. 후원자로서 바이에른 스포츠 사격 협회를 비롯한 여러 단체를 지원하고 있다.[11]

전통적으로 비텔스바흐 가문은 로마 가톨릭 교회, 특히 뮌헨 대교구 대주교 및 베네딕토회, 프란체스코회와 같은 수도회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프란츠는 ''바이에른 가톨릭 아카데미'' 운영에 자원봉사했으며, 이러한 관계를 바이에른 복음주의 루터교회 및 바이에른의 유대인 공동체로까지 확장했다. 2007년에는 상호 문화적 및 종교 간 대화를 위한 플랫폼인 ''님펜부르크 회담''을 공동 설립하여 이슬람 대표까지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제도화했다.[11]

님펜부르크 궁전


프란츠는 아버지 알브레히트가 시작한 전통을 이어받아, 거주지인 님펜부르크 궁전 별관에서 매년 대규모 리셉션을 개최한다. 이 행사에는 주정부, 지방 자치 단체, 교회, 과학, 예술, 의학계 인사 및 친구, 친척 등 약 1,500명의 다양한 손님들이 초대된다.[12] 또한 베르히테스가덴 궁전에서는 특정 주제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소규모의 비정기적인 모임을 갖기도 한다.

2013년 그의 80세 생일 파티는 뮌헨 근교의 슐라이스하임 궁전에서 열렸으며, 당시 바이에른 주 총리였던 호르스트 제호퍼를 포함하여 2,500명의 손님이 참석했다.[13][14] 프란츠는 바이에른의 여러 종교 및 세속 단체에서 다양한 명예직을 맡고 있다.

2. 4. 개인사 및 승계

프란츠는 1918년에 퇴위한 마지막 바이에른 왕 루트비히 3세의 적통 증손자이다. 바이에른 공작 알브레히트와 그의 첫 부인인 크로아티아 귀족 출신의 Countess Maria Draskovich of Trakostjan|마리아 드라슈코비치 폰 트라코스티안영어 백작부인(1904년 - 1969년)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부모의 결혼은 처음에는 귀천상혼으로 여겨졌으나, 1949년 5월 18일에 대등 결혼으로 인정받았다.

바이에른 왕국의 왕가였던 비텔스바흐 가문은 나치 독일 체제에 반대했다. 이로 인해 프란츠의 아버지 알브레히트는 1939년 가족을 데리고 헝가리로 망명했다. 가족은 부다페스트에서 4년간 거주하다가 1943년 말 쇼므로우바르 성으로 이사했다. 그러나 1944년 3월 나치가 헝가리를 점령하면서 상황은 악화되었고, 같은 해 10월 6일, 당시 11세였던 프란츠를 포함한 바이에른 공작 일가는 나치에 의해 체포되어 오라니엔부르크 강제 수용소와 다하우 강제 수용소 등 여러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1945년 4월 말, 가족은 미국 제3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이후 프란츠는 베네딕토회가 운영하는 에탈 수도원 부속 학교에서 중등 교육을 받았으며, 뮌헨 대학교와 취리히 대학교에서 기업 경영학을 공부했다.

프란츠는 현재 옛 바이에른 왕가의 여름 별궁이었던 님펜부르크 궁전의 일부에 거주하고 있다. 그는 현대 미술 수집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있으며, 수집품의 상당 부분은 뮌헨의 피나코테크 데어 모데르네 미술관에 영구 대여 형태로 전시되어 있다. 또한 그는 Royal Order of Saint George for the Defense of the Immaculate Conception|성 게오르기우스 기사단영어과 Order of Saint Hubert (Bavarian)|성 후베르투스 기사단영어의 총장을 맡고 있으며, 뮌헨 대학교 이사 및 바이에른 과학 인문학 아카데미 명예 회원이기도 하다. 이 외에도 바이에른 지역의 여러 종교 및 세속 단체에서 명예직을 맡고 있다.

프란츠는 미혼으로, 1980년부터 토마스 그라인발트와 오랜 동반자 관계를 유지해왔다.[15] 이 관계는 2021년 6월 공식적으로 발표되었고, 2023년에는 뮌헨에서 처음으로 공식 석상에 함께 모습을 드러냈다.[16] 2011년 8월에는 프로이센의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왕자 결혼식에 그라인발트, 그리고 사촌이자 후계자인 루트비히 왕자와 함께 참석하기도 했다.

프란츠는 현재 비텔스바흐 가문의 수장이며, 그의 후계자는 동생인 막스 에마누엘이다. 막스 에마누엘에게는 아들이 없고 딸만 다섯 명이므로, 다음 바이에른 왕위 계승 서열은 프란츠의 사촌(부계 혈통상 재종사촌)인 루이트폴트 왕자[17]와 그의 아들인 바이에른의 루트비히 왕자(1982년생)에게 이어진다.

또한 프란츠는 스튜어트 왕가의 잉글랜드 왕 및 스코틀랜드 왕 찰스 1세의 적통 후손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자코바이트들은 1701년 왕위 계승법을 인정하지 않고, 자코바이트 왕위 계승 원칙에 따라 프란츠를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정통 국왕 '프란시스 2세'(Francis II영어) 또는 프랑스 국왕 '프랑수아 2세'(François II프랑스어)로 간주한다.[18] 하지만 프란츠 본인은 이러한 주장에 전혀 관심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그의 대변인은 2008년 "공작은 이 문제를 자신과 관계없는 순전히 영국적인 문제로 여기며 언급하지 않는다"고 밝혔으며[18][34], 프란츠 자신도 회고록에서 이 왕위 계승권을 "매력적인 역사적 호기심"이라고 표현했다.[19] 만약 자코바이트 계승 원칙이 이어진다면, 이 왕위는 프란츠 사후 동생 막스 에마누엘의 장녀이자 리히텐슈타인 후세자비인 조피와 그 자손에게 계승될 것이다.

3. 작위 및 영예

(내용 없음)

3. 1. 작위

프란츠(오른쪽)는 아버지 알브레히트 공작(가운데) 및 할아버지 루프레히트 바이에른 왕세자와 함께 1948년.


프란츠는 전통적으로 바이에른 공작 전하, 프랑코니아 및 슈바벤 공작[20], 라인 팔츠 백작으로 불린다.[21][13][22][23]

프란츠는 출생 시 "바이에른 공자"로 불렸다.[24] 1996년, 그의 부친이 사망한 후 그는 그의 칭호를 "바이에른 공작"으로 변경했다.[25]

3. 2. 영예


  • 독일: 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 훈장 사령관 십자 대훈장[26][27][28]
  • 교황청: 예루살렘 성묘 기사단 칼라가 있는 기사 대십자 훈장
  • 몰타 기사단: 몰타 기사단의 복종 1급 보호 기사 대십자 훈장
  • 몰타 기사단: 공로 훈장 기사 대십자 훈장
  • 루마니아: 루마니아 국가 공로 훈장 기사 대십자 훈장[29][30]
  • 합스부르크 왕가: 금모양 훈장 기사 (1960년)[31]
  • 금모양 기사단 (오스트리아 지류): 기사 (1962년-)

참조

[1] 뉴스 Duke Albrecht Is Dead at 91; Pretender to Bavarian Throne https://www.nytimes.[...] 1996-07-11
[2] 뉴스 The blue-blooded Bavarian Duke https://www.thelocal[...] 2013-07-25
[3] 서적 Zuschauer in der ersten Reihe: Erinnerungen https://books.google[...] C.H. Beck
[4] 서적 Zuschauer in der ersten Reihe: Erinnerungen https://books.google[...] C.H. Beck
[5] 뉴스 German Duke could claim Scots throne http://www.dailyreco[...] 2008-04-08
[6] 서적 Zuschauer in der ersten Reihe: Erinnerungen https://books.google[...] C.H. Beck
[7] 서적 Deutsche Kunst seit 1960 aus der Sammlung Prinz Franz von Bayern Prestel-Verlag
[8] 서적 Zuschauer in der ersten Reihe: Erinnerungen https://books.google[...] C.H. Beck
[9] 서적 Zuschauer in der ersten Reihe: Erinnerungen https://books.google[...] C.H. Beck
[10] 뉴스 Heirs of the Bavarian kings still collect millions https://www.sueddeut[...] 2016-02-06
[11] 서적 Zuschauer in der ersten Reihe: Erinnerungen https://books.google[...] C.H. Beck
[12] 서적 Zuschauer in der ersten Reihe: Erinnerungen https://books.google[...] C.H. Beck
[13] 웹사이트 The blue-blooded Bavarian Duke http://www.thelocal.[...] the local.de 2013-07-25
[14] 웹사이트 Party fit for a king http://www.thelocal.[...] The Local.de 2013-07-25
[15] 웹사이트 Who is the Duke of Bavaria, the pioneering German prince who could have been a King of England? https://www.tatler.c[...] 2023-08-07
[16] 웹사이트 ''Franz Herzog von Bayern stellt seinen Lebenspartner vor – nach 43 Jahren'' (Franz Duke of Bavaria introduces his life partner - after 43 years) https://rp-online.de[...] 2023-04-20
[17] 서적 Genealogie des Hauses Wittelsbach Verwaltung des Herzogs von Bayern
[18] 웹사이트 Act repeal could make Franz Herzog von Bayern new King of England and Scotland https://www.telegrap[...] 2008-04-07
[19] 서적 Zuschauer in der ersten Reihe: Erinnerungen https://books.google[...] C.H. Beck
[20] 문서 The title assumed by the Kings of Bavaria was Duke in Swabia
[21] 서적 Genealogisches Handbuch des Adels, Band 50, Fürstliche Häuser, Band IX C. A. Starke
[22] 뉴스 Hilpoltstein-Botschafter-des-Landkreises http://www.donaukuri[...] 2013-11-20
[23] 뉴스 Musikalisches-Geschlecht https://www.welt.de/[...] 2013-11-03
[24] 서적 Genealogisches Handbuch des Adels, Band 50, Fürstliche Häuser Band IX C. A. Starke
[25] 서적 Genealogisches Handbuch des Adels, Band 141, Fürstliche Häuser Band XVIII C. A. Starke
[26] 웹사이트 Der Bundespräsident / Terminkalender / Ordensverleihung an Franz Herzog von Bayern http://www.bundespra[...]
[2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bundespra[...]
[28] 웹사이트 Photographic image https://www.merkur.d[...]
[29] 웹사이트 Verleihung des Verdienstordens von Rumänien an Herzog Franz von Bayern | BOTSCHAFT VON RUMÄNIEN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https://berlin.mae.r[...] 2017-07-18
[30] 웹사이트 Photographic image https://berlin.mae.r[...]
[31] 웹사이트 Chevaliers de la Toisón d'Or - Knights of the Golden Fleece http://www.antiquesa[...]
[32] 웹사이트 87歳のバイエルン公、同性パートナーと初の公式写真を撮影。 https://madamefigaro[...] madame FIGARO.jp
[33] 웹사이트 ドイツの名門ヴィッテルスバッハ家の家長であるバイエルン公フランツがカミングアウト、同性パートナーとの公式写真を公開 https://www.outjapan[...] Pride Japan 2021-07-04
[34] 뉴스 Could the Duke of Bavaria be the next King of Scotland? https://www.telegrap[...] 2014-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