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랑스의 대귀족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의 대귀족제는 프랑스어 'pairie'에 해당하는 용어로, 프랑스 왕국에서 군주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 귀족과 고위 성직자를 의미한다. 중세 시대부터 나폴레옹 시대에 이르기까지 프랑스 역사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했으며, 12세기부터 지정된 12명의 대귀족 외에 '신대귀족'이 추가되기도 했다. 프랑스 혁명으로 폐지되었으나, 나폴레옹에 의해 부활했고, 부르봉 왕정복고 시기에는 귀족원이 재건되었다. 또한 예루살렘 왕국과 샤를마뉴의 12기사와 같은 문화적 맥락에서도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귀족제 - 핀란드의 귀족제
    핀란드의 귀족제는 스웨덴 왕국 시대부터 러시아 제국 시대를 거쳐 현대 핀란드 사회에 이르기까지 정치, 경제, 문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토지 소유를 기반으로 경제적 권력을 쌓고 국가에 봉사했으나, 의회 개혁과 헌법 제정으로 정치적, 법적 특권을 잃었지만 귀족원은 가문의 명부를 유지하며 사회적 지위와 전통을 관리하고 있다.
  • 프랑스의 대귀족 -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은 프랑스 낭만주의 운동을 이끈 작가이자 정치가로, 소설을 집필하고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자유, 평등, 박애의 가치를 옹호하다가 1848년 혁명 중에 사망했다.
  • 프랑스의 대귀족 - 로랑 드 구비옹 생시르
    로랑 드 구비옹 생시르는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한 프랑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뛰어난 군사 전략과 공화주의적 신념을 바탕으로 나폴레옹 전쟁 중 포로가 되기도 했으며, 부르봉 왕정 복고 후에는 전쟁 및 해군 장관을 역임했고 화가와 음악가로도 활동했다.
프랑스의 대귀족제
프랑스의 대귀족제
프랑스 왕국의 문장
프랑스 왕국의 문장
개요
유형귀족 작위
국가프랑스
역사
기원중세 프랑스
창설1189년경
폐지1789년 (혁명 기간), 1814년 (부르봉 왕정복고), 1830년 (7월 혁명)
특징
설명프랑스 귀족 계층 내의 최고위 작위
중요성왕의 자문, 특별한 의례 참여
제약특권에 따른 책임과 의무 수반
구성
주요 구성원주교 대귀족 (Évêques pairs)
세속 대귀족 (Pairs laïcs)
직위 예시공작 (Duc)
백작 (Comte)
후작 (Marquis)
관련
관련 작위왕실 훈장
프랑스어 명칭페리 드 프랑스
프랑스어 명칭 (단수)페르 드 프랑스

2. 용어

프랑스어 단어 ''pairie|페리프랑스어''는 영어의 "귀족"에 해당한다. 개별 칭호인 프랑스어 ''pair|페르프랑스어''와 영어의 "peer"는 라틴어 ''par|파르la''("동등한")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명예에 있어서 군주와 동등하게 여겨지는 귀족과 고위 성직자(비록 그들이 그의 봉신이었지만)를 의미하며, 군주를 primus inter pares|프리무스 인테르 파레스la 즉 "동등한 자들 중 으뜸"으로 간주한다.

이 단어의 주요 용례는 나폴레옹 1세의 프랑스 제1제국 이전과 이후의 프랑스 왕국의 두 가지 역사적 전통을 가리킨다. 이 단어는 또한 십자군 국가의 제도를 설명하기 위해 존재한다.

일부 어원학자들은 라틴어 ''baro|바로la''에서 유래된 프랑스어(및 영어) 단어 ''남작'' 또한 라틴어 ''par|파르la''에서 파생되었다고 추정한다. 이러한 파생은 남작이 백작 지위 아래의 귀족 계급이 아닌, 전체 귀족을 위해 사용되었던 초기 의미에 부합할 것이다.[1]

3. 중세 및 앙시앵 레짐 시대의 귀족

프랑스 12명의 귀족 문장, 1516


중세 프랑스 왕들은 자신들의 뛰어난 봉신들에게 성직자와 평신도 모두에게 귀족 지위를 부여했다. 일부 역사가들은 루이 7세(1137–1180)가 프랑스 귀족 제도를 창시했다고 여긴다.[1]

귀족은 특정 영토 관할권에 연결되었는데, 주교령 귀족의 경우 주교 관할구에, 세속 귀족의 경우 봉토에 연결되었다. 봉토에 연결된 귀족은 봉토와 함께 상속 또는 양도되었으며, 이러한 봉토는 종종 ''pairie-duché프랑스어''(공작령의 경우) 또는 ''pairie-comté프랑스어''(백작령의 경우)로 지정되었다.

마테 파리에 따르면, 노르망디 공작아키텐 공작부르고뉴 공작보다 더 높은 지위를 가졌다. 그러나 처음 두 공작이 귀족의 기록 역사 초기에 왕실에 흡수되었기 때문에, 부르고뉴 공작이 최고의 평신도 귀족이 되었다. 전성기에 노르망디 공작은 의심할 여지없이 프랑스 왕관의 가장 강력한 봉신이었다.

귀족 제도는 1202년에 처음으로 중요해졌는데, 이는 프랑스 왕관의 봉신으로서 존 왕을 재판할 법정을 위해서였다. 동등한 자들에 의한 재판 원칙에 따라, 존에게 관할권을 얻고 싶어하는 법정은 아키텐 공작 또는 노르망디 공작으로서 그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 사람들을 포함해야 했다.

1297년부터는 특허장을 통해 새로운 귀족을 창설하는 관행이 시작되었는데, 여기에는 귀족 제도를 부착할 봉토와 봉토를 양도할 수 있는 조건(예: 남성 상속인만 해당)을 명시했으며, 이는 분봉 영지를 소유한 왕족을 위한 것이었다. 1328년까지 모든 분봉 영주가 귀족이 되었다.

평신도 귀족 수는 1297년 7명에서 1400년 26명, 1505년 21명, 1588년 24명으로 증가했다. 1789년에는 왕족 5명(오를레앙, 콩데, 부르봉, 앙기앵, 콩티), 팡티에브르(합법화된 왕자, 툴루즈 백작의 아들, 또한 ''pair de France프랑스어'')와 37명의 다른 평신도 귀족을 포함하여 43명이 있었다.

한 가문이 여러 귀족 지위를 소유할 수 있었다. 최소 연령은 25세였다. 15세기까지 창설된 새로운 귀족의 대부분은 왕족을 위한 것이었지만, 16세기부터는 점차 비왕족을 위해 창설되었다. 1569년 이후에는 더 이상 백작령이 귀족이 되지 않았고, 귀족 지위는 공작령(''duc et pair프랑스어'')에만 부여되었다. 때때로 ''Parlement프랑스어'' (''Parlement de Paris프랑스어'')는 귀족 지위를 부여하는 특허장의 등록을 거부했다.

프랑스 왕의 대관식 외에도, 귀족의 특권은 주로 선례, Monseigneur프랑스어, ''Votre Grandeur프랑스어'' 및 "mon cousin프랑스어"이라는 주소와 같은 문제였으며, 이는 왕에게 왕실과의 친족 관계 또는 적어도 동등성을 의미했고, 또한 ''priviligium forila''도 의미했다. 이것은 귀족과 그들의 ''pairie-fiefs프랑스어''에 관한 사법 절차가 귀족 법원의 전속 관할 하에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귀족 구성원들은 또한 ''lit de justice프랑스어''에서 앉을 권리가 있었는데, 이는 공식적인 선행이며 ''Parlement프랑스어'' 앞에서 발언할 수 있었으며, 법정에서 높은 지위를 얻었고, 왕실 성의 안뜰에 마차를 타고 들어가는 것과 같은 몇 가지 사소한 특권을 부여받았다.

많은 평신도 귀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멸되었지만, 성직 귀족은 영구적이었으며, 프랑스 혁명 전에 일곱 번째 귀족이 창설되었는데, 이는 최초의 여섯 귀족보다 선행되었으며, 1690년에 파리 대주교를 위해 창설되었고, 수 세기 동안 단순한 보좌 주교였고, 생클루 공작령을 소유했으므로 두 번째 ''archevêque-duc프랑스어''으로 불렸다.

''pair프랑스어''라는 표현은 때때로 프랑스 봉토 내의 귀족 집단에도 사용되었다(예: 캄브레의 주교-대공은 캄브레 백작령을 소유했으며, 열두 명의 ''pairs프랑스어''의 군주였다). 이러한 "귀족"들은 위에 나열된 왕실 특권을 누리지 못했다.

귀족 특권의 옹호자는 회고록 작가 생시몽 공작 루이 드 루브루아였는데, 그는 공작의 기준으로는 그다지 부유하지도 않았고, 궁정에서 영향력도 없었지만, 그의 아버지가 귀족이 되었다. 루이 14세는 그의 합법화된 사생아들의 지위를 다양한 측면에서 격상시키려 노력했고, 생시몽은 그의 회고록의 긴 장을 이 문제에 대한 그의 투쟁에 할애했다.

3. 1. 초기 12명의 대귀족

12세기부터 대귀족으로 지정된 작위는 랭스 대주교공, 랑 주교공, 랑그르 주교공, 보베 주교백, 샬롱 주교백, 누아용 주교백, 부르고뉴 공작, 노르망디 공작, 아키텐 공작, 툴루즈 백작, 플랑드르 백작, 샹파뉴 백작으로 총 12개이다.

프랑스 왕국 문장


중세 프랑스 왕들은 자신들의 뛰어난 봉신들에게 성직자와 평신도 모두에게 귀족의 지위를 부여했다. 일부 역사가들은 루이 7세 (1137–1180)가 프랑스 귀족 제도를 창시했다고 여긴다.[1]

귀족은 특정 영토 관할권에 연결되었는데, 주교령 귀족의 경우 주교 관할구에, 세속 귀족의 경우 봉토에 연결되었다. 봉토에 연결된 귀족은 봉토와 함께 상속 또는 양도되었으며, 이러한 봉토는 종종 ''pairie-duché프랑스어'' (공작령의 경우) 또는 ''pairie-comté프랑스어'' (백작령의 경우)로 지정되었다.

중세 시대의 원래 귀족 수는 열두 명이었다. 이들은 '고대 귀족' 또는 ''pairie ancienne프랑스어''으로 알려져 있으며, 열두 명이라는 숫자는 샤를마뉴의 열두 팔라딘이나 아더 왕의 원탁의 기사를 반영하기 위해 선택되었다고 여겨진다.

이 열두 명의 ''pairs프랑스어''는 왕의 대관식 전례 중 왕실 ''sacre프랑스어'' 또는 축성에 참여해 상징적으로 왕관을 받드는 역할을 했다. 각 귀족은 종종 특정 속성을 가지고 역할을 담당했다.

원래 열두 귀족은 여섯 명의 성직 귀족이 여섯 명의 평신도 귀족보다 높은 두 계급으로 나뉘었고, 평신도 귀족은 다시 세 명의 공작이 세 명의 백작보다 높은 계급으로 나뉘었다.

계급주교평신도
공작랭스 대주교 - 최고의 귀족, 왕에게 성유를 바르고 왕관을 씌움부르고뉴 공작 - 최고의 평신도 귀족, 왕관을 받들고 허리띠를 맴
랑 주교 - 성유를 담은 sainte ampoule프랑스어를 받듦노르망디 공작 - 첫 번째 사각 깃발을 듦
랑그르 주교 - 랭스 관구에 속하지 않는 유일한 다섯 주교 중 한 명, 홀을 받듦아키텐 공작 (기옌 공작) - 두 번째 사각 깃발을 듦
백작보베 주교백 - 왕실 망토를 받듦툴루즈 백작 - 박차를 듦
샬롱 주교백 - 왕실 반지를 듦플랑드르 백작 - 칼을 듦
느와용 주교백 - 허리띠를 받듦샹파뉴 백작 - 왕실 깃발을 듦


3. 1. 1. 랭스 대주교공 목록

순서재임 기간이름비고
11200년 ~ 1202년기욤 드 샹파뉴1135년 ~ 1202년
21204년 ~ 1206년기 파레+1206년
31207년 ~ 1218년알베리크 드 욍베르 드 오트빌리에+1218년
41219년 ~ 1226년기욤 드 주앵빌+1226년, 이전 랑그르 주교
51227년 ~ 1240년앙리 드 드뢰1193년 ~ 1240년, 이전 샬롱 주교
61244년 ~ 1249년쥐엘 드 마트펠롱+1249년
71251년 ~ 1263년토마 드 보메츠+1263년
81266년 ~ 1270년장 1세 드 쿠르트네-샹피녤1226년 ~ 1270년
91274년 ~ 1298년피에르 바르베+1298년
101299년 ~ 1324년로베르 드 쿠르트네-샹피녤1251년 ~ 1324년
111324년 ~ 1334년기욤 드 트리+1334년
121334년 ~ 1351년장 2세 드 비엔+1351년
131351년 ~ 1352년위그 다르시+1352년, 이전 랑 주교
141352년 ~ 1355년욍베르 2세 드 비에누아 드 라 투르 뒤 팽1312년 ~ 1355년
151355년 ~ 1373년장 3세 드 크랑+1373년
161373년 ~ 1375년루이 테자르+1375년
171376년 ~ 1389년리샤르 피크 드 브장송+1389년
181389년 ~ 1390년페리 카시넬+1390년
191390년 ~ 1409년기 드 루아예+1409년
201409년 ~ 1413년시몽 드 크라모+1429년
211413년피에르 트루소+1413년
221414년 ~ 1444년르노 드 샤르트르+1444년, 이전 보베 주교
231449년 ~ 1473년장 2세 주브넬 데쥐르생1388년 ~ 1473년, 이전 랑 주교
241445년 ~ 1449년자크 주브넬 데쥐르생1410년 ~ 1457년
251473년 ~ 1493년피에르 드 라발 드 몽포르+1493년
261493년 ~ 1497년로베르 브리소네+1497년
271497년 ~ 1507년기욤 브리소네1445년 ~ 1514년
281507년 ~ 1508년샤를-도미니크 드 카레토1454년 ~ 1514년
291508년 ~ 1532년로베르 드 레농쿠르+1532년
301533년 ~ 1538년장 3세 드 로렌1498년 ~ 1550년
311538년 ~ 1574년샤를 드 로렌1524년 ~ 1574년
321574년 ~ 1588년루이 드 로렌1555년 ~ 1588년
331591년필리프 드 레농쿠르1527년 ~ 1591년, 이전 샬롱 주교
341592년 ~ 1594년니콜라 드 펠르베1518년 ~ 1594년
351594년 ~ 1605년필리프 뒤 베크1520년 ~ 1605년
361605년 ~ 1621년루이 드 로렌1575년 ~ 1621년
371622년 ~ 1629년가브리엘 지포르 드 생트-마리1554년 ~ 1629년
381629년 ~ 1641년앙리 2세 드 기즈1614년 ~ 1664년
391641년 ~ 1651년레오노르 데스탕프 드 발랑세1589년 ~ 1651년
401651년 ~ 1657년앙리 2세 드 사부아-느무르1625년 ~ 1659년
411657년 ~ 1671년앙토니오 바르베리니1607년 ~ 1671년
421671년 ~ 1710년샤를-모리스 르 텔리에 드 루부아1642년 ~ 1710년
431710년 ~ 1721년프랑수아 드 마이-넬1658년 ~ 1721년
441721년 ~ 1762년아르망-쥘 드 로앙-게므네1695년 ~ 1762년
451762년 ~ 1777년샤를-앙투안 드 라 로슈-에몽1697년 ~ 1777년
461777년 ~ 1790년알렉상드르 앙젤리크 드 탈레랑-페리고1736년 ~ 1821년


3. 2. 후기 귀족


  • 브르타뉴 공작
  • 앙주 백작 이후 공작
  • 아르투아 공작
  • 샤토뇌방티므레 남작
  • 푸아투 백작
  • 라 마르슈 백작
  • 에브뢰 백작 이후 공작
  • 앙굴렘 백작 이후 공작
  • 모르탱 백작
  • 에탕프 백작
  • 부르봉 공작
  • 보몽르로제 백작
  • 클레르몽앙보베지 백작
  • 멘 백작
  • 오를레앙 공작
  • 발루아 백작 이후 공작
  • 느베르 백작 이후 공작
  • 르텔 백작 이후 르텔마자랭 공작
  • 망트제묄랑 백작
  • 마콩 백작
  • 베리 공작
  • 오베르뉴 공작
  • 투렌 공작
  • 베르튀 백작
  • 알랑송 백작 이후 공작
  • 몽펠리에 남작
  • 포레 백작
  • 로아네 남작 이후 공작
  • 블루아 백작
  • 샤르트르 백작 이후 공작
  • 뒤누아 자작 이후 공작
  • 페르앙타르드누아 남작
  • 샤토티에리 공작
  • 페리고 백작
  • 로앙 공작
  • 쉴리 공작
  • 프롱사크 공작
  • 당빌 공작
  • 브리삭 공작
  • 그랑세 공작
  • 레디기에르 공작
  • 슈브뢰즈 공작
  • 샤토루 공작
  • 뤼인 공작
  • 벨가르드 공작
  • 캉달 공작
  • 숄른 공작
  • 라 로슈귀용 공작
  • 라 로슈푸코 공작: 1622년 공작위 창설. 작위 소유자 6명.

작위 소유자이름재임 기간비고
1프랑수아 5세 드 라 로슈푸코1622년 ~ 1650년
2프랑수아 6세 드 라 로슈푸코1650년 ~ 1671년작가
3프랑수아 7세 드 라 로슈푸코1671년 ~ 1713년
4프랑수아 8세 드 라 로슈푸코1713년 ~ 1728년
5알렉상드르 드 라 로슈푸코1728년 ~ 1762년
6루이 알렉상드르 드 라 로슈푸코1762년 ~ 1790년


  • 라 발레트 공작
  • 프롱트네 공작
  • 리슐리외 공작: 1631년 공작위 창설. 작위 소유자 4명.

작위 소유자이름재임 기간비고
1아르망 장 뒤 플레시1631년 ~ 1642년추기경, 프롱사크 공작 겸임
2아르망 장 드 비녜로 뒤 플레시1642년 ~ 1715년프롱사크 공작 겸임
3루이 아르망 드 비녜로 뒤 플레시1715년 ~ 1788년프롱사크 공작 겸임
4루이 앙투안 드 비녜로 뒤 플레시1788년 ~ 1790년프롱사크 공작 겸임


  • 퓌로랑스 공작
  • 생시몽 공작: 1635년 공작위 창설. 작위 소유자 4명.

작위 소유자이름재임 기간비고
1클로드 드 루브루아1635년 ~ 1693년
2루이 드 루브루아1693년 ~ 1723년, 1754년 ~ 1755년작가
3자크 루이 드 루브루아1723년 ~ 1746년뤼펙 공작 겸직
4아르망 장 드 루브루아1746년 ~ 1754년뤼펙 공작 겸직


  • 라 포르스 공작
  • 발랑티누아 공작
  • 그라몽 공작
  • 콜리니 공작
  • 샤티용/루앵 공작
  • 에스트레 공작

4. 프랑스 혁명과 귀족 제도의 폐지

프랑스 왕국의 원래 귀족 작위는 다른 봉건 귀족 작위와 마찬가지로 프랑스 혁명 동안 1789년 8월 4일 밤, 봉건제 폐지 야간에 폐지되었다.[1]

나폴레옹 1세는 1804년부터 프랑스 황제로 즉위하면서, 1806년에는 'duchés grand-fiefs|뒤셰 그랑 피에프프랑스어'(공작 대영지)를 만들었다.[2] 처음에는 황제 대관식에서 명예로운 기능을 재창조했지만, 이후에는 대관들에게 부여했다.[2]

나폴레옹은 1808년에 프랑스 귀족 작위를 부활시켰지만, 영국과 비교할 만한 귀족 제도를 만들지는 않았다. 그는 1815년 엘바섬에서 돌아온 후 귀족원을 창설했지만, 이 귀족원은 백일천하(''Cent jours|상 주르프랑스어'')의 말기에 퇴위하기 전에 구성되지 않았다.

5. 나폴레옹 시대의 귀족 제도

프랑스 혁명 중이었던 1789년 8월 4일 밤, 봉건제 폐지 야간에 프랑스 왕국의 원래 귀족 작위는 다른 봉건 귀족 작위와 마찬가지로 폐지되었다.[1]

1804년부터 프랑스 황제였던 나폴레옹 1세는 1806년에 'duchés grand-fiefs|뒤셰 그랑 피에프프랑스어'(공작 대영지)를 만들었다.[2] 처음에는 황제 대관식에서 명예로운 기능을 재창조했지만, 이후에는 봉토에 부속되지 않은 채 대관들에게 부여되었다.[2]

나폴레옹은 1808년에 프랑스 귀족 작위를 부활시켰지만, 영국과 비교할 만한 귀족 제도를 만들지는 않았다. 1815년 엘바섬에서 돌아온 후 귀족원을 창설했지만, 이 귀족원은 백일천하(''Cent jours|상 주르프랑스어'')의 말기에 퇴위하기 전에는 구성되지 않았다.

6. 부르봉 왕정복고와 귀족원

뤽상부르 궁전의 귀족원 (1841년)


프랑스 귀족원은 1789년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1814년 헌장에 의해 부르봉 왕정복고와 함께 재건되었다. 영국의 귀족원 모델과 유사한 새로운 귀족원 (Chambre des Pairs|샹브르 데 페르프랑스어)이 창설되었다. 귀족원은 1830년의 7월 혁명 이후에도 존속되었는데, 이는 7월 왕정의 1830년 헌장이 1814년 헌장을 폐지하기보다는 수정했기 때문이다. 복고 왕정과 7월 왕정 기간 동안 귀족원은 뤽상부르 궁전에서 회의를 열었다. 그러나 1848년 혁명으로 프랑스 제2공화국이 수립되면서 1814년 헌장이 완전히 폐지되었고, 귀족원은 최종적으로 해산되어 단원제 국민 의회가 설립되었다.

7. 예루살렘 왕국의 귀족 제도

예루살렘 왕국십자군 국가들 중 유일하게 프랑스(예루살렘 기사단 대부분의 기원이 됨)나 잉글랜드와 같은 유럽 왕국들과 동등한 지위를 가졌으며, 프랑스 귀족제를 본떠 프랑스어를 사용했다.

8. 샤를마뉴의 12기사

중세 프랑스의 무훈시와 프랑스 연대기에 속하는 작품들, 즉 샤를마뉴와 그의 기사들의 용맹을 다룬 작품들—예: ''롤랑의 노래''—에서 황실 군대의 정예 부대이자 샤를마뉴의 최측근 조언자들은 "열두 기사"라고 불렸다. 열두 기사의 정확한 이름은 작품마다 다르다. ''롤랑의 노래''(옥스퍼드판)에서 열두 기사는 롤랑, 올리비에, 게린, 게리에, 베렝기에, 오통, 삼손, 앙젤리에, 이봉, 이부아르, 앙세이스, 그리고 제라르 드 루시용|제라르 드 루시용프랑스어이다.[2] 샤를마뉴의 신뢰받는 조언자 나임과 전사이자 사제인 튀팽은 이 작품에서 열두 기사에 포함되지 않는다. 배신자 가늘롱 또한 마찬가지이다. 열두 기사의 수는 열두 사도에 비유되는 것으로 여겨진다.[2]

참조

[1] 서적 Peerage
[2] 서적 Chanson de Rola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