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랄드 블라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랄드 블라톤은 10세기 덴마크의 왕으로,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통일하고 덴마크를 기독교화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블루투스'라는 별칭으로 알려졌으며, 옐링 스톤에 자신의 업적을 새겼다. 하랄드는 덴마크를 통일하고 기독교를 받아들였으며, 대규모 토목 공사를 통해 왕국을 강화했다. 그의 이름은 무선 통신 기술인 블루투스에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35년 출생 - 피르다우시
10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초에 활동한 이란의 대표적인 시인 피르다우시는 페르시아 서사시 《샤흐나메》의 저자로, 이 작품은 페르시아 제국의 역사와 전설을 담아 페르시아 문학의 백미로 평가받으며 페르시아 문화와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935년 출생 - 산추 1세
산초 1세는 10세기 중엽 레온 왕국의 국왕로, 비만과 귀족 반란으로 폐위 후 코르도바 칼리프국 지원으로 복위했으나 불안정한 통치 끝에 사망했으며, 산 펠라요 수도원을 건립하고 산 이시도로 데 레온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 986년 사망 - 로테르 (서프랑크)
로테르 (서프랑크)는 954년 서프랑크 왕국의 왕위에 올라 노르망디 공작 등과 전쟁하고 오토 2세와의 갈등을 겪었으며, 986년 사망 후 아들 루이 5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 986년 사망 - 압드 알라흐만 알수피
압드 알라흐만 알수피는 10세기 페르시아 천문학자로, 《알마게스트》 연구 및 확장, 별의 밝기와 겉보기 등급 추정, 안드로메다 은하 최초 기록, 《항성도서》 저술 등 이슬람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크누트가 - 하르다크누트
하르다크누트는 아버지 크누트 대왕 사후 덴마크 왕위에 올랐고, 잉글랜드 왕위 계승을 두고 다투었으며, 높은 세금 부과와 가혹한 통치로 백성들의 불만을 샀지만 2년 만에 사망하여 덴마크 왕조 몰락의 시발점이 되었다. - 크누트가 - 크누트 대왕
크누트 대왕은 11세기 초반 덴마크, 잉글랜드, 노르웨이, 스웨덴 일부를 통치하며 북해 제국을 건설한 바이킹족의 왕으로, 잉글랜드 왕 추대 후 스칸디나비아 지역까지 세력을 확장하여 전성기를 맞이했고 강력한 통치와 기독교 장려 정책으로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
하랄드 블라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노르드어 | Haraldr Blátǫnn Gormsson |
덴마크어 | Harald Blåtand Gormsen |
영어 | Harald Bluetooth, son of Gorm |
덴마크어 (다른 표기) | Harald I |
왕위 | |
작위 | 덴마크 왕 |
통치 기간 | 958년경 – 986년경 |
이전 통치자 | 고름 덴 감레 |
다음 통치자 | 스벤 튜구스케그 |
작위2 | 노르웨이 왕 |
통치 기간2 | 970년경 – 985년/986년경 |
이전 통치자2 | 하랄 2세 그라펠드 |
다음 통치자2 | 올라프 트뤼그바손 |
섭정2 | 호콘 시구르손 (사실상의 통치자) |
가문 | |
왕가 | 고름 가문 |
아버지 | 고름 덴 감레 |
어머니 | 튀라 |
결혼과 자녀 | |
배우자 | 군힐트 토베 그뤼드 올라프스도티르 |
자녀 | 스벤 쌍수염왕, 쉴리(타이라, 튀리) |
생애와 죽음 | |
사망일 | 985년/986년 |
사망 장소 | 욤스보르 |
종교 | |
종교 | 칼케돈 기독교 |
2. 이름
하랄드의 이름은 옐링 스톤 비문에 룬 문자로 '하랄트 : 쿠누크'(ᚼᛅᚱᛅᛚᛏᚱ ᛬ ᚴᚢᚾᚢᚴᛦ)라고 새겨져 있는데,[58] 이는 일반적인 고대 노르드어로 '하랄드 왕'을 뜻하는 '하랄드 코눙그'(Haraldr konungr)와 같다. 중세 덴마크 연대기들에는 '하랄두스 고르모니스 필리우스'(Haraldus Gormonis filius, 고름의 아들 하랄드)라는 라틴어 이름으로 등장한다.[58]
'하랄드'(Haraldr 또는 Haralldr)라는 이름은 고대 영어 '히어월드'(Hereweald), 고대 고지 독일어 '헤리발트'(Heriwald)와 같은 어원을 가지며, '군대'를 뜻하는 '하리'(hari)와 '지배'를 뜻하는 '발트-'(wald-)에서 유래했다.[58]
2014년에 재발견된 쿠름순 디스크에는 ''+ARALD CVRMSVN + REX AD TANER + SCON + JVMN + CIV ALDIN''라고 새겨져 있는데, 이는 "데인족, 스코네, 윰네, Bistum Oldenburg|올덴부르크 교구de의 왕, 하랄드 고름손"이라는 뜻이다.[59]
하랄드의 별명인 '블로탄'(Blåtand)은 '푸른 이빨'이라는 뜻으로, 로스킬레 연대기(1140년경)에 처음 등장한다.[60] 이 별명은 또 다른 별명인 '클라크 하랄드'(Clac Harald)와 함께 등장하는데, 클라크 하랄드는 하랄드 클라크와 하랄드 블라톤을 융합한 인물로 보인다.[60] 12세기 말 연대기인 'Wilhelmi abbatis regum Danorum genealogia'에서는 '블라흐텐트'(Blachtent)로 표기되었으며, '푸른 빛 혹은 검은색 치아'(dens lividus vel niger)라고 설명되어 있다.[61]
이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은 하랄드가 푸른색(또는 검은색)을 띠는 나쁜 치아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고대 노르드어 'blár'는 '짙은 남색' 혹은 '검은 색상'을 의미한다.[61] 스코코차는 1997년에 하랄드가 잉글랜드에서 '블루 테인'(파란 테인 혹은 검은 테인)이라 불렸고, 이 이름이 고대 노르드어로 들어오면서 앵글로색슨어 '테인'(thegn)이 '탄'(tan)으로 바뀌었다는 해석을 제시했다.[62]
3. 생애와 업적
하랄드 블라톤은 고름 가믈리 왕과 튀라 왕비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여러 부족을 통합하여 통일 왕국을 건설하는 데 큰 업적을 남겼다. 960년경 기독교로 개종한 후 덴마크의 기독교화에 앞장섰으며, 옐링 스톤을 세워 자신의 업적(덴마크와 노르웨이 통일, 덴마크의 기독교화)을 기렸다.[44]
하랄드는 덴마크 남쪽 국경에 다네비르케 보루를 보수하고, 트렐레보르를 포함한 원형 요새와 라우닝 엥게 다리 등 대규모 토목 공사를 추진하여 왕권을 강화했다.[44][45]
974년 신성 로마 제국의 오토 2세와의 전쟁에서 패배하기도 했으나,[64] 이후 영토를 회복하고 노르웨이에 대한 지배력을 유지했다.
986년 또는 987년, 아들 스벤 1세의 반란으로 사망했다.[65] 브레멘의 아담에 따르면 그는 부상으로 윰네/욤스보르에서 사망했으며,[65] 그의 시신은 로스킬레의 삼위일체 교회에 안치되었다.[66]
포메른의 그로스베코브 (1945년 이후 비에이코보)에서 발견된 쿠름순 디스크에는 "ARALD CVRMSVN" (하랄드 고름손)이라는 글귀와 함께 라틴어 축약형으로 '데인족, 스코네, 욤스보르, 알딘부르크의 왕"이라고 새겨져 있다.[67][65][68]
1835년부터 1977년까지는 하랄드가 하랄드스케 여인의 사형을 명령했다고 오해받았으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다른 인물로 판정되었다.[69]
1873년 발트해의 독일 히덴제섬에서 발견된 히덴제 보물은 하랄드 가문의 것으로 여겨진다.[70]
하랄드는 덴마크 최초로 전국에 통용되는 주화를 도입했다.[71]
옐링 매장지에는 고름 왕이 아내 튀라를 기념하여 세운 고름의 비석과 하랄이 부모를 위해 세운 하랄의 비석이 있다. 하랄의 비석은 삼각뿔형으로, 비문 외에 스칸디나비아에서 가장 오래된 그리스도 도상과 "옐링의 짐승"이 새겨져 있다.[40]
룬 문자 비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라틴 문자 전사
: ''(A면)''
: haraltr : kunukR : baþ : kaurua
: kubl : þausi : aft : kurm faþur sin
: auk aft : þąurui : muþur : sina : sa
: haraltr (:) ias : sąR * uan * tanmaurk
: ''(B면)''
: ala * auk * nuruiak
: ''(C면)''
: * auk * t(a)ni (* karþi *) kristną
: (Jacobsen & Moltke, 1941-42, DR 42)
한국어 번역
: "하랄 왕은 아버지 고름과 어머니 튀라를 기념하여 이 비를 세우라고 명령했다. 이 하랄은 모든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손에 넣었고, 데인족을 기독교도로 만들었다."[42][43]
3. 1. 기독교 개종과 덴마크의 기독교화
하랄드 블라톤의 기독교 개종은 역사적으로 논쟁의 대상이다. 특히 코르베이의 비두킨트와 브레멘의 아담 같은 중세 저술가들은 개종 과정에 대해 상반된 기록을 남겼다.
코르베이의 비두킨트는 하랄드 왕과 오토 1세 (재위 962–973)가 살아있을 당시에 글을 썼는데, 하랄드가 "포파"라는 성직자에 의해 개종했다고 썼다. 포파는 하랄드가 자신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증명해 달라고 요청하자 불에 달궈진 쇠 덩어리를 들었지만 화상을 입지 않았다.[72] 12세기 덴마크 역사가 삭소 그라마티쿠스는 ''데인인의 사적''에서 포포가 자신의 세례에 대해 다시 생각했던 하랄드의 아들 스벤 포크비어드를 위해 기적을 행했다고 썼다.[73] 하랄드 본인은 신성 로마 황제(오토 1세 또는 2세)와의 평화 협정 후에 가톨릭으로 개종했다.[74]
브레멘의 아담은 1076년에 완성된 "함부르크-브레멘 대주교들의 역사"에서, 하랄드가 전투에서 패배한 후 오토 1세에 의해 강제로 개종했다고 썼다.[75] 그러나 비두킨트는 ''작센의 행적 또는 연대기 3권''에서 그러한 사건을 언급하지 않는다. 250년 후, ''헤임스크링글라''는 하랄드가 야를 호콘과 함께 오토 2세 (재위 973 – 983)에 의해 개종했다고 썼다.[76]
포파(Poppo)라는 성직자는 승리왕 에릭과 관련하여 브레멘의 아담의 역사에도 등장한다.[77][78] 포파의 기적과 하랄드의 세례에 대한 이야기는 덴마크 탐드루프 교회에 있는 금박 제단 조각에도 묘사되어 있다.[79] 오토 1세와 하랄드에 관한 브레멘의 아담의 주장은 함부르크-브레멘 대주교들이 덴마크(및 스칸디나비아)에 대한 관할권을 주장하기 위한 역사적 근거를 만들기 위한 시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75]
960년대경 개종한 후, 하랄드는 아버지 구름 고왕의 시신을 교회에 다시 묻었다.[81] 그는 부모님을 기리기 위해 옐링 스톤을 세웠다.[82] 옐링 스톤에는 하랄드 왕이 덴마크와 노르웨이 전체를 정복하고 덴마크인들을 기독교로 개종시켰다는 내용이 룬 문자로 새겨져 있다.
하랄드는 기독교를 믿었고 그 성장에도 기여했지만, 덴마크와 노르웨이에서는 성공이 제한적이었다.[83]
3. 2. 대규모 토목 공사
하랄드는 재위 기간 동안 옐링 룬 비석을 재건하고 다양한 공공 사업을 추진했다. 특히 979년에는 왕국의 중심부에 위치한 아로스(오늘날의 오르후스) 요새를 강화했다. 이러한 사업들은 왕국과 주요 도시들에 대한 경제적, 군사적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석된다.[63]
원형 요새(트렐레보리)는 다섯 곳의 전략적 지점에 건설되었는데, 중심부에는 오르후스가 있었다. 나머지 네 곳은 다음과 같다:
이 요새들은 모두 "모서리 네 곳으로 통하는 출구들이 있는 완벽한 원형에, 정사각형 패턴으로 설치된 넓은 주택들이 위치한, 네 구역으로 나뉜 마당"과 같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63]
스코네의 보리에뷔에는 이와 유사한 구조의 여섯 번째 '트렐레보리'가 있는데, 10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된다. 하랄드 왕이 건설한 것으로 보이며, 트렐레보리라는 이름의 두 번째 요새는 오늘날 스웨덴 스코네 지방의 트렐레보리라는 도시 근방에 위치하지만, 건설 시기는 하랄드 블라톤의 재위 이전이다.
하랄드는 또한 라프닝 강가에 스칸디나비아반도 남부에서 가장 오래된 다리인 라프닝 엥게 다리를 건설했다. 이 다리는 너비 5m, 길이 760m였다.
3. 3. 말년과 죽음
983년, 오보드라이트족 병사들과 하랄드에게 충성하는 군대가 연합하여 독일인들을 덴마크에서 몰아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하랄드는 아들 스벤이 일으킨 반란과 싸우다 브레멘의 아담에 따르면 윰네/욤스보르크에서 입은 상처로 사망했다.[11] 그는 986년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여러 기록에서는 985년을 그의 사망 연도로 주장한다.[11] 그의 시신은 로스킬레의 트리니티 교회로 옮겨져 안치되었다.[12]4. 옐링 스톤
옐링 매장지에는 고름 노왕이 아내 튀라를 기념하여 세운 제1 옐링 비석(고름의 비석)과 하랄 블라톤이 부모를 위해 세운 제2 옐링 비석(하랄의 비석)이 있다. 고름의 비석은 높이 139cm의 직육면체로 별다른 장식이 없지만, 하랄의 비석은 높이 243cm의 삼각뿔형으로, 비문 외에 스칸디나비아에서 가장 오래된 그리스도 도상과 "옐링의 짐승"이라고 불리는 짐승 도상이 새겨져 있으며, 당시 채색되었을 것으로 보인다.[40] 16세기에 땅 속에서 발견되어 묘구 사이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건립 당시의 정확한 위치는 불분명하지만, 인접한 장소에서 발굴되었으며, 하랄의 비석은 소박한 고름 비석과 대비되어 자신의 권위를 나타내고 덴마크가 기독교 국가임을 확인시키는 기능을 했다.[41]
룬 문자 비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라틴 문자 전사
: ''(A면)''
: haraltr : kunukR : baþ : kaurua
: kubl : þausi : aft : kurm faþur sin
: auk aft : þąurui : muþur : sina : sa
: haraltr (:) ias : sąR * uan * tanmaurk
: ''(B면)''
: ala * auk * nuruiak
: ''(C면)''
: * auk * t(a)ni (* karþi *) kristną
: (Jacobsen & Moltke, 1941-42, DR 42)
한국어 번역
: "하랄 왕은 아버지 고름과 어머니 튀라를 기념하여 이 비를 세우라고 명령했다. 이 하랄은 모든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손에 넣었고, 데인족을 기독교도로 만들었다."[42][43]
하랄은 셸란 섬이나 스콘 지방과 같이 당시 덴마크 동부도 지배했고, 노르웨이 북서부 라데의 야를들과 손을 잡고 노르웨이에 영향력을 미쳐, 덴마크 통일, 노르웨이 지배, 덴마크 기독교화라는 세 가지 공적을 룬 비문에 새겼다.[44]
5. 현대 기술과의 연관성: 블루투스
블루투스 무선 통신 규격은 1997년에 하랄드 블라톤 국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0] 이 기술은 하랄드 블라톤이 덴마크 부족들을 하나의 왕국으로 통합한 것처럼 여러 장치를 연결해 줄 것이라는 비유에 기반한다.[31][32][33] 블루투스 로고는 그의 이름의 이니셜인 H (ᚼ)와 B (ᛒ)를 나타내는 영거 푸타크 결합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34]
6. 평가
하랄드는 재위 기간 동안 옐링 룬 비석을 재건하고, 여러 공공 사업을 감독했다.[8] 979년에는 왕국의 중심부에 위치한 아로스(오늘날의 오르후스) 요새를 요새화했다. 어떤 이들은 이러한 사업이 왕국과 주요 도시의 경제적, 군사적 통제를 통합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믿는다. 환상 요새는 오르후스를 중심으로 셸란 섬의 트렐레보르, 퓐 섬의 논네바켄, 힘멜란의 피르카트, 림피오르 근처의 아게르스보르 등 다섯 곳의 전략적 위치에 건설되었다.[8] 이 요새들은 모두 "완벽하게 둥글며 지구의 네 모서리로 열리는 문이 있고, 네 개의 구역으로 나뉜 안뜰에는 정사각형 패턴으로 배치된 큰 집들이 있었다"는 공통된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다.[8]
스코네의 보르게비에 위치한 유사한 디자인의 여섯 번째 '트렐레보르'는 서기 1000년경으로 추정되며, 하랄드 왕이 건설했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현대 스웨덴의 트렐레보르 근처에 위치한 두 번째 트렐레보르 요새는 더 오래전에 지어져 하랄드 블라톤의 통치 시대보다 앞선다. 그는 남부 스칸디나비아에서 알려진 가장 오래된 다리인 너비 5m, 길이 760m의 라브닝 다리를 라브닝 초원에 건설했다.
하랄드는 내부적으로 평화를 유지하면서 대외 사업에 힘을 쏟았다. 945년과 963년에 노르망디의 공포공 리처드를 지원했고, 그의 아들은 삼란트를 정복했다. 노르웨이의 하랄 그레이클록 왕이 암살된 후에는 노르웨이인들을 일시적으로 복종시키기도 했다.
노르드 사가는 하랄드를 다소 부정적으로 묘사한다. 그는 욤스비킹의 배신자 스웨덴 왕자 강력한 스튀르비외른에게 두 번이나 굴복해야 했다. 처음에는 스튀르비외른에게 함대와 그의 딸 티라를 주었고, 두 번째는 자신을 인질로 내주고 또 다른 함대를 넘겨주었다. 스튀르비외른이 이 함대를 이끌고 웁살라로 가서 스웨덴 왕위를 주장했을 때, 하랄드는 맹세를 어기고 피리베릴 전투에서 스웨덴 군대에 맞서지 않고 덴마크인들과 함께 도망쳤다.[9]
참조
[1]
웹사이트
Tamdrup Kirke
http://www.denstored[...]
2012-11-03
[2]
서적
Fagrskinna
1902–8
[3]
간행물
Altdeutsches Namenbuch
https://archive.org/[...]
1856
[4]
웹사이트
A unique object from Harald Bluetooth´s time. (2015)
https://www.academia[...]
2015-10-12
[5]
웹사이트
Mortuo patre, [Haraldus] quinquaginta annos regnavit. Hic Christianus extitit cognomine Blatan sive Clac Harald.
https://books.google[...]
1772
[6]
간행물
Haraldus, hinc cognomento Blachtent, id est, dens lividus, vel niger
[7]
서적
Politikens bog om danske monarker
Politikens Forlag
1997
[8]
서적
Viking Empir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9]
웹사이트
Harald Bluetooth Gormsson: The Viking king who connected kingdoms
https://thevikingher[...]
2023-08-15
[10]
서적
Early state formation in Scandinavia
https://www.jstor.or[...]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Press
2009
[11]
간행물
A unique object from Harald Bluetooth´s time?
https://www.academia[...]
Pilemedia
2015
[12]
서적
The making of the Danish kingdom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3]
뉴스
Is Danish king who gave name to Bluetooth buried in Poland?
https://www.startrib[...]
2022-07-31
[14]
웹사이트
Har svensk arkæolog bevist, at Harald Blåtand blev begravet med kæmpeskat i Polen?
https://videnskab.dk[...]
2022-08-19
[15]
간행물
Haraldskaer Woman: Bodies of the Bogs
http://www.archaeolo[...]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1997-12-10
[16]
간행물
The Curmsun Disc – Harald Bluetooth´s Golden Seal?
https://www.academia[...]
2016
[17]
서적
King Harold's Cross Coinage: Christian Coins for the Merchants of Haithabu and the King's Soldier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Southern Denmark
2015
[18]
서적
Res gestae Saxonicae
1935
[19]
서적
Saxos Danmarkshistorie
Gads Forlag
2000
[20]
서적
Saxos Danmarkshistorie
Gads Forlag
2000
[21]
서적
History of the Archbishops of Hamburg-Bremen
https://books.google[...]
2002
[22]
웹사이트
Heimskringla
http://emotionallite[...]
[23]
서적
History of the Archbishops of Hamburg-Bremen
https://books.google[...]
2002
[24]
서적
Saxos Danmarkshistorie
Gads Forlag
2000
[25]
문서
Viking Sources in Translation
2009
[26]
문서
Viking Sources in Translation
2006
[27]
웹사이트
Gorm the Old Goes Home
https://archive.arch[...]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28]
간행물
Jelling Stones
http://www.megalithi[...]
[29]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30]
뉴스
Tech History: How Bluetooth got its name
http://www.eetimes.c[...]
2008-05-03
[31]
뉴스
'So, that's why it's called Bluetooth!' and other surprising tech name origins
http://www.pcworld.c[...]
[32]
뉴스
Tech History: How Bluetooth got its name
http://www.eetimes.c[...]
2008-03-05
[33]
서적
The Etymologicon
Icon Books Ltd.
2011
[34]
웹사이트
The story behind how Bluetooth® technology got its name
https://www.bluetoot[...]
[35]
문서
ヘイムスクリングラ(二)
[36]
웹사이트
デンマーク語固有名詞カナ表記小辞典
http://www.sfs.osaka[...]
"[[大阪大学]]世界言語研究センター デンマーク語・スウェーデン語研究室"
2017-09-08
[37]
웹사이트
Bluetoothの名前の由来
https://www.bluetoot[...]
Bluetooth SIG, Inc.
2019-01-24
[38]
웹사이트
CNN.co.jp : 10世紀の王の財宝、13歳少年の発見契機に見つかる 独北部
https://www.cnn.co.j[...]
CNN.co.jp
2020-12-27
[39]
문서
"小澤 (2012)"
[40]
문서
"小澤 (2012)"
[41]
문서
"小澤 (2012)"
[42]
문서
"小澤 (2004)"
[43]
문서
"小澤 (2012)"
[44]
문서
'『デンマークを知るための68章』'
[45]
간행물
エーリク勝利王と紀元千年直前のバルト海世界
https://doi.org/10.2[...]
"[[史学会]]"
[46]
문서
ヘルムス『歴史教科書』
[47]
문서
ヘルムス『歴史教科書』
[48]
문서
'『ザクセン人の事績』3.65'
[49]
문서
'『ヘイムスクリングラ(二)』'
[50]
문서
'『ヘイムスクリングラ(二)』'
[51]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Icelandic coat of arms
http://eng.forsaetis[...]
アイスランド首相官邸HP
2015-01-07
[52]
문서
ヘルムス『歴史教科書』
[53]
웹사이트
Roskildekrøniken - heimskringla.no
http://heimskringla.[...]
[54]
웹사이트
Pagina:Scriptores_Minores_Historiae_Danicae_Medii_Aevi_vol_1.djvu/23
https://wikisource.o[...]
[55]
서적
Politikens bog om danske monarker
København
1997
[56]
웹사이트
Hvem var Harald Blåtand? – dr.dk/Undervisning/verdensarv
http://www.dr.dk/Und[...]
[57]
문서
Fagrskinna
[58]
웹사이트
Altdeutsches Namenbuch
https://archive.org/[...]
1856
[59]
웹인용
A unique object from Harald Bluetooth´s time. (2015)
https://www.academia[...]
2015-10-12
[60]
웹사이트
Mortuo patre, [Haraldus] quinquaginta annos regnavit. Hic Christianus extitit cognomine Blatan sive Clac Harald.
https://books.google[...]
[61]
문서
Haraldus, hinc cognomento Blachtent, id est, dens lividus, vel niger
[62]
서적
Politikens bog om danske monarker
København: Politikens Forlag
1997
[63]
서적
Viking Empi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64]
서적
Early state formation in Scandinavia
https://www.jstor.or[...]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Press
2021-06-22
[65]
웹사이트
A unique object from Harald Bluetooth´s time?
https://www.academia[...]
2015
[66]
인용
The making of the Danish kingdom
https://www.cambridg[...]
캠브리지 대학교 출판사
2022-01-08
[67]
뉴스
Is Danish king who gave name to Bluetooth buried in Poland?
https://www.startrib[...]
2022-08-10
[68]
웹인용
Har svensk arkæolog bevist, at Harald Blåtand blev begravet med kæmpeskat i Polen?
https://videnskab.dk[...]
2022-08-25
[69]
웹사이트
Haraldskaer Woman: Bodies of the Bogs
http://www.archaeolo[...]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1997-12-10
[70]
웹사이트
The Curmsun Disc – Harald Bluetooth´s Golden Seal?
https://www.academia[...]
2016
[71]
서적
King Harold's Cross Coinage: Christian Coins for the Merchants of Haithabu and the King's Soldier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Southern Denmark
2015
[72]
문서
Res gestae Saxonicae
Hanover
1935
[73]
서적
Saxos Danmarkshistorie
Gads Forlag
2000
[74]
서적
Saxos Danmarkshistorie
Gads Forlag
2000
[75]
간행물
History of the Archbishops of Hamburg-Bremen
https://books.google[...]
2002
[76]
웹인용
Heimskringla
http://emotionallite[...]
2011-03-31
[77]
간행물
History of the Archbishops of Hamburg-Bremen
https://books.google[...]
2002
[78]
서적
Saxos Danmarkshistorie
Gads Forlag
2000
[79]
문서
Viking Sources in Translation
2009
[80]
문서
Viking Sources in Translation
2006
[81]
웹인용
Gorm the Old Goes Home
https://archive.arch[...]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2022-11-09
[82]
웹사이트
Jelling Stones
http://www.megalithi[...]
2016-03-03
[83]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2015-12-13
[84]
뉴스
'So, that's why it's called Bluetooth!' and other surprising tech name origins
http://www.pcworld.c[...]
2017-08-16
[85]
뉴스
Tech History: How Bluetooth got its name
http://www.eetimes.c[...]
2008-03-05
[86]
서적
The Etymologicon
https://archive.org/[...]
Icon Books Ltd.
2011
[87]
뉴스
Tech History: How Bluetooth got its name
http://www.eetimes.c[...]
2008-05-03
[88]
웹사이트
The story behind how Bluetooth® technology got its name
https://www.bluetoot[...]
2020-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