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갈은 창세기에 등장하는 인물로, 사라의 이집트인 여종이자 아브라함의 첩이었다. 사라는 아이를 갖지 못해 하갈을 아브라함에게 주어 이스마엘을 낳게 했으나, 사라와의 갈등으로 인해 광야로 쫓겨났다. 광야에서 천사의 도움으로 살아남은 하갈은 이스마엘을 위해 이집트 여인을 아내로 맞이했다.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는 하갈의 이야기를 각기 다른 관점에서 해석하며, 예술 작품과 문학 작품에도 영감을 주었다. 현대 사회에서는 흑인 여성주의와 보조 생식 기술 윤리 논쟁에서 하갈의 이야기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이스라엘에서는 정치적 의미로 이름이 사용되기도 한다.

2. 성경 속 하갈의 이야기

하갈은 아브라함의 아내 사라의 이집트인 여종이었다.[7] 사라는 오랫동안 아이를 갖지 못했기 때문에, 아브라함이 많은 민족의 아버지가 되리라는 하나님의 약속을 이루기 위해 하갈을 아브라함의 으로 주었다.[7]

하갈이 임신하자 사라와 하갈 사이에 갈등이 생겼다. 사라는 하갈을 멸시했고, 하갈은 사라를 "깔보았다".[8] 아브라함의 허락을 받은 사라는 하갈을 가혹하게 대했고, 하갈은 광야로 도망쳤다.[8]

수르로 가는 길의 샘에서 천사가 하갈에게 나타나 사라에게 돌아가 섬기라고 지시하고, 아들 이스마엘의 이름을 지으라고 했다.[9] 하갈은 하나님을 "엘 로이"(나를 보시는 하나님)라고 불렀고,[10] 아브라함과 사라에게 돌아가 이스마엘을 낳았다.[11]

14년 후, 사라가 이삭을 낳자 이스마엘이 이삭을 조롱하기 시작했고, 사라는 하갈과 이스마엘을 내쫓아달라고 요청했다. 아브라함은 괴로워했지만, 하나님은 사라의 말대로 하라고 하셨다. 아브라함은 하갈에게 빵과 물을 주고 브엘세바 광야로 보냈다.[14]

하갈과 이스마엘은 광야를 헤매다 물이 떨어져 죽을 위기에 처했다. 하갈은 아들이 죽는 것을 볼 수 없어 울부짖었다.[14] 하나님은 이스마엘의 울음소리를 듣고 천사를 보내 그들을 구원했다.[14] 천사는 하갈에게 하나님이 이스마엘을 큰 민족으로 만들 것이라고 약속했다.[15] 하갈은 우물을 발견하고[15] 살아남아 파란 광야에 정착하여 이스마엘을 위해 이집트 여인을 아내로 맞이했다.[16]

쿠란에서는 하갈을 하자르라고 부르며, 아브라함에게 하갈과 이스마엘을 메카로 데려가 남겨두라고 명령한다. 물 부족으로 고통받던 하갈은 사파와 마르와 언덕 사이를 일곱 번 달린 후 천사의 도움으로 잠잠 샘을 발견했다. 바누 주르함 부족이 물의 존재로 인해 하갈과 이스마엘과 함께 메카에 정착했다.[17]

2. 1. 사라의 여종

성경에 따르면 하갈은 아브람(후에 아브라함으로 개명)의 아내 사래(후에 사라로 개명)의 이집트 노예였다.[7] 사래는 오랫동안 아이를 갖지 못했고, 아브람이 많은 민족의 아버지가 되리라는 하나님의 약속을 이룰 방법을 찾고 있었다.[7] 그래서 사래는 하갈을 아브람에게 주어 그의 이 되게 했다.[7]

하갈이 임신하자, 두 여자 사이에 갈등이 생겼다. 창세기는 사래가 하갈이 임신한 후에 그녀를 멸시했고, "깔보았다"고 기록한다.[8] 아브라함의 허락을 받은 사래는 하갈을 가혹하게 대했고, 하갈은 결국 도망쳤다.[8]

하갈은 수르로 가는 길에 광야로 도망쳤다. 가는 길에 샘에서 천사가 하갈에게 나타나 사래에게 돌아가 주인을 섬기라고 지시했다.[9] 그 후 하갈은 아들 이스마엘의 이름을 지으라는 말을 들었다. 하갈은 하나님을 "엘 로이"(나를 보시는 하나님)라고 불렀다.[10] 그녀는 아브람과 사래에게 돌아갔고, 곧 아들을 낳아 천사가 지시한 대로 이름을 지었다.[11]

꾸란에는 하갈의 이름이 명시되지 않지만, 그녀를 사래 또는 아브라함의 하녀로 언급하며 하자르라고 부른다.[12]

2. 2. 아브라함과의 관계와 이스마엘의 출생

성경에 따르면 하갈은 아브람(후에 아브라함으로 개명)의 아내 사래(후에 사라로 개명)의 이집트 노예였다. 사래는 오랫동안 아이를 갖지 못했고, 아브람이 많은 민족의 아버지가 되리라는 하나님의 약속을 이룰 방법을 찾고 있었다. 그래서 사래는 하갈을 아브람에게 주어 그의 이 되게 했다.[7]

하갈이 임신하자, 사래는 하갈을 멸시했고, 하갈은 사래를 "깔보았다".[8] 아브라함의 허락을 받은 사래는 하갈을 가혹하게 대했고, 하갈은 수르로 가는 길에 광야로 도망쳤다.[8]

가는 길에 샘에서, 한 천사가 하갈에게 나타나 사래에게 돌아가 주인을 섬기라고 지시했다.[9] 그 다음 그녀는 아들 이스마엘의 이름을 지으라는 말을 들었다. 그 후, 하갈은 하나님을 "엘 로이" ("보시는 하나님", "나를 보시는 하나님", "나타나시는 하나님" 등으로 번역됨)라고 불렀다.[10] 그녀는 아브람과 사래에게 돌아갔고, 곧 아들을 낳았는데, 천사가 지시한 대로 이름을 지었다.[11]

창세기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아브라함의 아내 사라는 아이가 쉽게 생기지 않자, 자신의 여종 하갈을 통해 아브라함이 자손을 남길 수 있도록 남편에게 부탁했다(창세기 16:2).
  • 아브라함은 사라의 부탁을 들어 하갈을 자신의 첩으로 삼았다(창세기 16:3).
  • 하갈은 아브라함과 관계를 맺고 임신했지만, 하갈은 자신의 주인인 사라를 업신여기게 되었다(창세기 16:4).
  • 사라가 남편에게 그 일에 대해 불만을 말하자, 아브라함은 사라가 하갈을 마음대로 해도 좋다고 허락했다. 그래서 사라는 하갈을 괴롭히기 시작했고, 하갈은 여주인의 곁에서 도망쳤다(창세기 16:).
  • 술 길가의 샘물에서 그녀에게 천사가 나타나, 하느님은 하갈의 고통을 보시고, 하갈의 자손이 많아질 것을 약속하며, 그 아이에게 이스마엘이라는 이름을 지어주라고 명령하고, 사라에게 돌아가 복종하라고 지시하셨다(창세기 16:7-12).
  • 하갈은 하느님을 "엘 로이(나를 돌보시는 하느님)"라는 이름으로 부르며, 나는 하느님을 본 후에도 살아 있다고 말했다(창세기 16:13). 아브라함이 86세가 되었을 때 하갈은 이스마엘을 낳았다(창세기 16:16).

2. 3. 사라와의 갈등과 광야로의 추방

성경에 따르면 하갈은 아브람(후에 아브라함으로 개명)의 아내 사래(후에 사라로 개명)의 이집트 노예였다.[7] 사래는 오랫동안 아이를 갖지 못했고, 아브람이 많은 민족의 아버지가 되리라는 하나님의 약속을 이룰 방법을 찾고 있었다.[7] 그래서 사래는 하갈을 아브람에게 주어 그의 이 되게 했다.[7]

하갈이 임신하자, 두 여자 사이에 갈등이 생겼다. 창세기에는 사래가 하갈이 임신한 후에 그녀를 멸시했고, "깔보았다"고 기록되어 있다.[8] 사래는 아브라함의 허락을 받고 하갈을 가혹하게 대했고, 하갈은 결국 도망치게 되었다.[8]

하갈은 수르로 가는 길에 광야로 도망쳤다. 가는 길에 샘에서 천사가 나타나 사래에게 돌아가 주인을 섬기라고 지시했다.[9] 그 후 하갈은 아들 이스마엘의 이름을 지으라는 말을 들었다. 하갈은 하나님을 "엘 로이"(보시는 하나님)라고 불렀다.[10] 그녀는 아브람과 사래에게 돌아갔고, 곧 아들을 낳아 천사가 지시한 대로 이름을 지었다.[11]

2. 4. 광야에서의 방황과 하나님의 도움

הָגָר|하가르he와 이스마엘은 브엘세바 광야를 헤매다가 물이 떨어져 죽을 위기에 처했다.[14] 하갈은 아들 이스마엘이 죽는 모습을 차마 볼 수 없어 그를 관목 아래에 두고 멀리 떨어져 앉아 울부짖었다.[14]

그때 하느님이 이스마엘의 울음소리를 듣고 천사를 보내 그들을 구원했다.[14] 천사는 하갈에게 하느님이 이스마엘을 큰 민족으로 만들 것이라고 약속하며 격려했다.[15] 하갈은 천사의 도움으로 눈이 열려 우물을 발견하고[15] 물을 마셔 자신과 아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

이후 하갈은 아들을 위해 이집트에서 아내를 구해 파란 광야에 정착했다.[16]

2. 5. 이집트 아내를 맞이한 이스마엘

하갈은 바란 광야에 정착한 이스마엘을 위해 이집트에서 아내를 구해 주었다.[16]

3. 종교적 관점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는 하갈을 중요한 인물로 여기지만, 각 종교는 하갈의 이야기를 조금씩 다르게 해석하고 그녀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 다양한 관점을 제시한다.

성경에 따르면 하갈은 아브람(후에 아브라함으로 개명)의 아내 사래(후에 사라로 개명)의 이집트인 노예였다. 사래는 오랫동안 아이를 갖지 못했고, 아브람이 많은 민족의 아버지가 되리라는 하나님의 약속을 이루기 위해 하갈을 아브람에게 주어 그의 이 되게 했다.[7] 하갈이 임신하자 사래는 하갈을 멸시했고, 아브라함의 허락을 받아 하갈을 학대했다. 결국 하갈은 광야로 도망쳤다.[8] 천사가 하갈에게 나타나 사래에게 돌아가라고 지시하고, 아들 이슈마엘의 이름을 지으라고 했다.[9] 그 후 하갈은 하나님을 "엘 로이"(나를 보시는 하나님 등으로 번역됨)라고 불렀다.[10]

광야의 하갈과 천사, 프란체스코 코차


쿠란에서는 하갈의 이름이 직접 언급되지 않지만, 그녀를 사래 또는 아브라함의 하녀로, 하자르라고 부른다.[12] 후에 사라가 이삭을 낳자, 사라는 이스마엘이 이삭을 조롱하는 것을 보고 아브라함에게 하갈과 이스마엘을 내쫓으라고 요구했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사라의 말대로 하라고 하셨고, 아브라함은 하갈에게 빵과 물을 주고 브엘세바 광야로 보냈다.[14] 하갈과 이스마엘은 물이 떨어져 죽을 위기에 처했지만, 하나님이 천사를 보내 우물을 보여주고 이스마엘을 큰 민족으로 만들겠다고 약속하셨다.[15] 하갈은 아들을 위해 이집트에서 아내를 찾았고, 그들은 파란 광야에 정착했다.[16]

쿠란의 이야기는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하갈과 이스마엘을 메카로 데려가 남겨두라고 명령한다는 점에서 성경과 다르다. 하갈은 물을 찾아 사파와 마르와 언덕 사이를 달렸고, 천사가 나타나 잠잠 샘을 발견하게 도와주었다. 메카는 풍부한 물로 알려지게 되었고, 바누 주르함 부족이 하갈과 이스마엘과 함께 정착했다.[17]

3. 1. 유대교

랍비 문헌과 미드라쉬는 하갈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제시한다. 미드라쉬 창세기 라바에 따르면, 하갈은 파라오의 딸이었다. 사라가 파라오의 하렘에 있을 때, 파라오는 "내 딸이 다른 집의 안주인보다 그런 여인의 집에서 시녀가 되는 것이 낫다"라며 하갈을 시녀로 주었다.[18] 사라는 하갈을 잘 대했고, 자신을 방문하는 여자들에게도 하갈을 방문하도록 했다. 그러나 하갈은 아브라함의 아이를 임신한 후 사라에게 거만하게 행동하기 시작했고, 사라는 하갈을 가혹하게 대하고 힘든 일을 시키고 때리기까지 했다.[18]

일부 유대교 주석가들은 하갈을 사라가 죽은 후 아브라함이 결혼한 여인인 게두라()와 동일시한다.[19][20][21] 미드라쉬에서 논의된[22] 이 해석은 라시, 유다 레브 벤 베잘렐, 슐로모 에프라임 룬치츠, 오바디아 벤 아브라함 바르테누라 등이 지지한다. 라시는 "게두라"라는 이름이 하갈의 아름다운 행실, 또는 아브라함과 헤어진 후 정숙함을 유지했기 때문에 붙여졌다고 주장한다. 반면 라쉬밤, 아브라함 이븐 에즈라, 다비드 김히, 나흐마니데스는 역대기상 1:29–33의 족보를 근거로 게두라와 하갈이 다른 사람이라고 주장한다.[23]

미드라쉬(창세기 랍바 45장)에 따르면, 하갈은 파라오의 딸로서, 사라를 위한 하나님의 기적을 보고 "자신의 집에서 안주인으로 있는 것보다 사라의 집에서 노예로 있는 것이 낫다"라고 말했다. 하갈의 이름은 "보상"("하-아갈")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하갈은 아브라함 시대의 높은 경건함을 보여주는 예시로 제시된다. 마노아는 천사를 보고 죽음을 두려워했지만, 하갈은 신성한 메신저를 보고도 놀라지 않았다(창세기 랍바 45장). 아브라함이 그녀를 내쫓은 후에도 결혼 서약을 지켰기 때문에, 그녀는 케투라와 동일시되며, 이는 "묶다"(아람어) 또는 "장식하다"(경건함과 선행으로 장식됨)라는 의미로 해석된다(창세기 랍바 61장).

그러나 다른 설교들은 하갈을 부정적으로 묘사한다. 하갈이 임신 후 사라를 멸시했다는 기록과 관련하여, 랍비들은 하갈이 사라에 대해 "그녀는 주장하는 것처럼 경건하지 않다. 결혼 생활을 한 모든 해 동안 아이가 없었지만, 나는 즉시 임신했다"라며 험담했다고 말한다(창세기 랍바 45장; 세페르 하야샤르, 레크 레카). 사라는 하갈에게 굴욕적인 서비스를 강요하고, 악한 눈으로 하갈이 유산하게 했다고 한다. 또한 하갈이 광야에서 우상 숭배로 돌아가 하나님의 섭리에 대해 불평하고, 아들의 아내로 이집트 여자를 선택한 것은 그녀의 유대교 개종이 진실하지 않다는 증거로 간주된다(창세기 랍바 53장).

3. 2. 기독교

신약 성경에서 사도 바울은 갈라디아서를 통해 하갈의 경험을 율법과 은혜의 차이에 대한 비유로 사용했다.[25][26] 바울은 시나이 산에서 주어진 토라의 율법을 이스라엘 백성이 겪는 속박과 연결지었는데, 이는 하갈이 종의 신분이었던 상황과 유사하다. 또한 바울은 자유로운 천상의 예루살렘을 사라와 그녀의 자녀로 비유했다. 성경의 시나이 산은 하갈의 이름을 따서 "아가르"라고 불리기도 한다.[27]

요한 복음의 저자는 우물가의 사마리아 여인 이야기에서 하갈의 고대 이야기를 언급하여 "한 텍스트에서 다른 텍스트로 의미를 전달"했다.[28] 하갈이 하느님을 "나를 지켜보시는 하느님"이라고 부른 것처럼,[28] 사마리아 여인은 예수에게 "나는 메시아가 오실 것을 압니다."라고 말하며 이름을 지어주었고, 예수는 "내가 바로 그 사람이오, 너와 이야기하는 사람이오."라고 확인했다.[29]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하갈을 "세속 도시", 즉 인류가 죄를 지은 상태를 상징하는 것으로 보았다. "세속 도시(하갈이 상징)에서 [...] 우리는 두 가지를 발견하는데, 그것은 자신의 분명한 존재와 천상의 도시의 상징적인 존재이다. 새로운 시민은 죄로 타락한 본성에 의해 세속 도시에 의해 잉태되지만, 죄로부터 본성을 자유롭게 하는 은혜에 의해 천상의 도시에 잉태된다."[30] 이러한 견해는 토마스 아퀴나스존 위클리프와 같은 중세 신학자들에 의해 설명되었다. 위클리프는 사라의 자녀들을 구원받은 자들과, 하갈의 자녀들을 "본질적으로 육적이고 단순한 추방자"인 구원받지 못한 자들과 비교했다.[31]

하갈의 이야기는 가장 혹독한 상황에서도 생존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32]

3. 3. 이슬람교

이슬람교에서 하자르(هاجرar)는 이브라힘의 아내이자 이스마엘의 어머니로 존경받는 인물이다.[33] 비록 꾸란에는 이름이 직접 언급되지 않지만, 남편 이브라힘의 이야기를 통해 언급되며 암시된다. 무슬림들은 하자르가 이브라힘의 이집트 출신 아내였으며, 아들 이스마엘과 함께 파란 사막에 정착했다고 믿는다. 특히 무함마드가 이스마엘의 후손이기 때문에, 하자르는 일신교에서 중요한 족장으로 여겨진다.[33]

일부 현대 무슬림 학자들은 하자르가 사라의 하녀가 아니라, 이집트 공주로서 이브라힘과 결혼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들은 하갈과 이스마엘이 쫓겨난 것이 아니라, 알라의 뜻에 따라 메카(파란)에 정착했다고 본다.[34]

사라와 하자르는 꾸란에 이름이 명시되지는 않지만, 그 이야기는 수라 이브라힘 (14:37)에서 이브라힘의 기도, "나는 내 가족 중 일부를 당신의 성스러운 집 근처의 메마른 계곡에 정착시켰습니다"에서 언급되는 것으로 이해된다.[35] 하자르는 이름이 언급되지 않지만, 독자는 이브라힘의 관점을 통해 하자르의 어려움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36] 하자르는 하디스에서도 자주 언급된다.

키사스 알-안비야(예언자 이야기)에 따르면, 하자르는 이슬람 예언자 살리의 후손인 마그레브 왕의 딸이었다. 파라오 두 르쉬(ذُوالْعَرْش|dhu 'l-'arsh|links=noar, "왕좌의 주인")가 그녀의 아버지를 살해하고, 하자르는 노예로 끌려갔다. 그러나 왕족 혈통 덕분에 여성 노예들의 주인이 되었고 파라오의 재산을 관리하게 되었다. 이브라힘의 신앙으로 개종한 후, 파라오는 하자르를 사라에게 주었고, 사라는 그녀를 이브라힘에게 주었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하아자르"라는 이름(Hajarar)은 Hā ajru-kaar(هَا أَجْرُكَar, "여기 당신의 보상이 있습니다")에서 유래했다.[7]

다른 전승에 따르면, 하자르는 이집트 왕의 딸이었는데, 왕은 사라를 자신의 여동생으로 착각하고 아브라함에게 아내로 주었다.[37] 이븐 아바스에 따르면, 이스마엘이 태어나자 아직 아이가 없던 사라와 하자르 사이에 갈등이 생겼다. 이브라힘은 하자르와 이스마엘을 파란(후일 메카 주변 지역)으로 데려갔다.[7] 이 여정의 목적은 하자르를 "쫓아내는" 것이 아니라 "재정착시키는" 것이었다.[7] 이브라힘은 하자르와 이스마엘을 나무 아래에 두고 물을 주었다.[7] 하자르는 하느님이 이브라힘에게 파란 사막에 자신을 두라고 명령했다는 것을 알고 그의 결정을 존중했다.[7] 무슬림들은 하느님이 이 명령을 통해 이브라힘을 시험했다고 믿는다.[38]

물이 떨어진 후, 유아였던 이스마엘은 배고픔과 갈증으로 울기 시작했다. 하자르는 물을 찾아 알 사파와 알 마르와 두 언덕 사이를 일곱 번 왕복했다. 일곱 번째 왕복 후, 천사가 잠잠의 위치 위에 나타나 발뒤꿈치(또는 날개)로 땅을 쳐 기적의 샘, 잠잠 샘이 솟아나게 했다. 이 샘은 메카의 카바에서 몇 미터 떨어진 곳에 있다.[39]

하자르가 알 사파와 알 마르와 언덕 사이를 달린 사건[40]은 무슬림들이 메카에서 순례를 할 때 기억된다. 순례의 일부는 사막에서 물을 찾아 헤맨 하자르의 용기와 하느님에 대한 믿음을 기리고, 이슬람에서 어머니를 기념하기 위해 언덕 사이를 일곱 번 달리는 것이다. 이 의식을 마친 후, 일부 무슬림들은 잠잠 샘에서 물을 마시고 하자르를 기념하기 위해 순례에서 물을 가져간다.[41]

4. 예술과 문학 작품 속 하갈

에드모니아 루이스, 하갈, 1875


하갈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31] 대니얼 디포의 《몰 플랜더스》,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의 희곡 《자폴리아》 등 여러 문학 작품에서 언급되거나 등장한다.[31] 19세기 미국에서는 에드모니아 루이스가 하갈을 주제로 조각상을 제작하기도 했다.[44]

4. 1. 그림과 조각

피터 라스트만, 구스타브 도레, 프레데릭 굿올, 제임스 에크포드 로더 등 많은 예술가들이 사막에 있는 하갈과 이슈마엘의 이야기를 그림으로 그렸다.[31]

19세기 미국에서는 하갈에 대한 동정적인 묘사가 두드러졌다. 초기 아프리카계 미국인이자 아메리카 원주민 조각가인 에드모니아 루이스는 하갈을 주제로 한 작품을 만들었는데, 이는 "고난과 고통을 겪은 모든 여성에 대한 강한 공감"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었다.[44]

4. 2. 문학 작품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베니스의 상인》에서 샤일록의 대사를 통해 하갈을 언급한다. 샤일록은 "하갈의 후손인 저 바보가 뭐라고 하느냐?"라며, 추방된 이스마엘에 빗대어 등장인물 라운슬롯을 모욕한다. 이 대사는 기독교 인물을 추방자로 묘사하여 전통적인 기독교적 해석을 뒤집는 효과를 낸다.[31]

대니얼 디포는 《몰 플랜더스》에서 등장인물들이 범죄를 변명할 때 하갈의 궁핍함과 절망을 언급한다.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의 희곡 《자폴리아》에서는 여주인공이 "하갈의 후손이 아니며, 정해진 왕의 정당한 상속자"라고 확신하는 장면을 통해 하갈을 추방자의 어머니로 보는 전통적인 관점을 보여준다.[31]

19세기 미국에서는 하갈에 대한 동정적인 묘사가 두드러졌다. 초기 아프리카계 미국인이자 아메리카 원주민 조각가 에드모니아 루이스는 하갈을 주제로 한 작품을 만들었는데, 이는 "고난과 고통을 겪은 모든 여성에 대한 강한 공감"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었다.[44] 엘리자 제인 포이트벤트 니콜슨의 《하갈》, 나다니엘 파커 윌리스의 《광야의 하갈》, 오거스타 무어의 《하갈의 작별》 등 소설과 시에서 하갈은 부당하게 고통받는 망명자로 묘사되었다.[31] 1913년에는 미국 남부 사회주의자이자 여성 참정권 운동가인 메리 존스턴의 페미니스트 소설 《하갈》이 출간되었다.[45][46] 할 케인은 1885년에 쓴 《하갈의 아들》에서 사생아의 주제를 다루었다.

최근 문학에서도 하갈에 대한 동정적인 시각은 계속 나타난다. 마가렛 로렌스의 소설 《돌 천사》에는 성경 속 하갈의 이야기를 모방한 삶을 사는 하갈이라는 주인공이 등장한다. 토니 모리슨의 소설 《솔로몬의 노래》에도 하갈이라는 인물이 등장하며, 이 소설은 다양한 성경 주제와 암시를 담고 있다. 옥타비아 버틀러의 소설 《킨드레드》에서는 주인공 데이나가 노예로 태어난 하갈이라는 조상을 가지고 있으며, 19세기의 메릴랜드로 시간 여행을 하는 데이나를 만난다. 살만 루슈디의 소설 《악마의 시》에서는 메카 대신 '자힐리야'라는 사막 마을이 등장하고, 하갈의 샘이 언급된다. 마가렛 애트우드의 《시녀 이야기》에서는 하갈이 빌하, 질파와 함께 언급되며, 주인을 위해 아이를 낳는 것이 의무인 여성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샬롯 고든의 논픽션 도서 《신에게 이름을 붙인 여자: 아브라함의 딜레마와 세 종교의 탄생》은 이슬람교, 유대교, 기독교의 관점에서 하갈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제공한다. 2019년, 나샤 주니어는 《하갈 재상상: 흑인과 성경》이라는 책을 출판하여 흑인 여성으로서의 하갈에 대한 해석과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만든 하갈에 대한 해석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47]

5. 현대적 영향

1970년대 이후 이스라엘에서 여자 신생아에게 '하갈'이라는 이름을 붙이는 관습이 생겨났다. 이는 팔레스타인 및 아랍 세계와의 화해를 지지하는 부모들의 정치적 행위로 여겨지기도 했으며, 민족주의자와 종교인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은 이를 탐탁지 않게 생각했다.[48] 이러한 이름이 가지는 함의는 2000년에 창간된 이스라엘 학술지 《하갈: 문화, 정치 및 정체성 연구(Hagar: Studies in Culture, Polity and Identities)》의 창간으로도 나타났다.[48]

흑인 미국 여성주의자들은 하갈을 미국 역사 속 노예와 비교하며, 윌마 베일리는 "힘, 기술, 강인함, 추진력"을 가진 인물로, 레니타 J. 윔스는 사라와 하갈의 관계가 "경제적, 사회적 착취로 악화된 민족적 편견"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49]

하갈이 불임 여성의 아이를 낳은 것은 대리모의 한 예시이나,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는 점에서 현대의 대리모와는 차이가 있다. 안나 골드만-아미라브는 하갈을 "성경 속 '자궁 전쟁'은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 출산, 성에 대한 관점의 기초를 놓았다"라고 언급했다.[50]

5. 1. 이스라엘

1970년대 이후 이스라엘에서는 여자 신생아에게 '하갈'이라는 이름을 붙이는 관습이 생겨났다. 이는 팔레스타인 및 아랍 세계와의 화해를 지지하는 부모들의 정치적 행위로 여겨지기도 했으며, 민족주의자와 종교인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은 이를 탐탁지 않게 생각했다.[48]

이러한 이름이 가지는 함의는 2000년에 창간된 이스라엘 학술지 《하갈: 문화, 정치 및 정체성 연구》(Hagar: Studies in Culture, Polity and Identities)의 창간으로도 나타났다.[48]

5. 2.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러 흑인 미국 여성주의자들은 하갈의 이야기를 미국 역사 속 노예들의 이야기와 연결하여 해석한다. 윌마 베일리는 하갈을 "하녀"이자 "노예"로 묘사하며, "힘, 기술, 강인함, 추진력"을 가진 인물로 평가한다. 레니타 J. 윔스는 사라와 하갈의 관계가 "경제적, 사회적 착취로 악화된 민족적 편견"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49] 이러한 해석은 하갈이 겪은 고난과 억압이 흑인 여성들이 역사적으로 겪어온 차별과 착취를 상징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미국의 노예제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보여준다.

5. 3. 보조 생식 기술

하갈은 불임이었던 사래를 대신해 아이를 낳았는데, 이는 대리모의 한 예시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하갈은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는 점에서 현대의 대리모와는 차이가 있다.[50]

안나 골드만-아미라브는 1988년 '생식 및 유전 공학'에서 하갈을 언급하며, "성경 속 '자궁 전쟁'은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 출산, 성에 대한 관점의 기초를 놓았다"라고 설명했다.[50] 이는 하갈의 사례가 현대 사회의 보조 생식 기술에 대한 비판적 분석에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참조

[1] 서적 The Dictionary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995-10
[2] 서적 Zondervan Illustrated Bible Dictionary Zondervan 2011-04-26
[3] 서적 Encyclopaedia Biblica: A Critical Dictionary of the Literary, Political, and Religious History, the Archaeology, Geography, and Natural History of the Bible https://archive.org/[...] The Macmillan Company 1899
[4] 서적 First and Second Chronicles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5] 서적 The Artistic Dimension: Literary Explorations of the Hebrew Bible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3-08-29
[6] 서적 Genesis: A Commentary https://books.google[...] Zondervan 2016-11-22
[7] bibleverse Genesis 16:1-3
[8] bibleverse Genesis 16:3-6
[9] bibleverse Genesis 16:12
[10] bibleverse Genesis 16:13
[11] bibleverse Genesis 16:7–16
[12] 간행물 Hagar the Princess, the Mother of the Arabs and Ishmael the Father of Twelve Princes Interfaith Studies and Research Centre, Islamabad 2016
[13] bibleverse Genesis 21:9
[14] bibleverse Genesis 21:17
[15] bibleverse Genesis 21:17
[16] bibleverse Genesis 21:14–21
[17] 간행물 Hagar the Princess, the Mother of the Arabs and Ishmael the Father of Twelve Princes Interfaith Studies and Research Centre, Islamabad 2016
[18] 웹사이트 Jewish Encyclopedia, Hagar http://www.jewishenc[...] Jewishencyclopedia.com 2014-05-12
[19] 웹사이트 The Return of Hagar http://www.chabad.or[...]
[20] 웹사이트 Who Was Ketura? http://www.biu.ac.il[...] 2003
[21] 웹사이트 Parshat Chayei Sarah http://www.ou.org/to[...] 2002
[22] 문서 Bereshit Rabbah 61:4
[23] bibleverse 1 Chronicles 1:29–33
[24] 웹사이트 Jewish Encyclopedia https://www.jewishen[...]
[25] bibleverse Galatians 4:21–31
[26] 문서 Zondervan Illustrated Bible Dictionary 2011
[27] 문서 The Historical Geography of Arabia Duncan and Malcolm 1844
[28] 웹사이트 Well Women, Part 2: Tricks are for Kids https://marenjo.com/[...] 2023-05-10
[29] 웹사이트 Well Women, Part 1: Why God Invented Emojis https://marenjo.com/[...] 2023-05-10
[30] 문서 The City of God
[31] 서적 A Dictionary of Biblical Tradition in English Literature Wm. B. Eerdmans Publishing 1992
[32] 웹사이트 Gender, Class, and Androcentric Compliance in the Rapes of Enslaved Women in the Hebrew Bible http://www.lectio.un[...] 2004-01
[33] 간행물 Hagar the Princess, the Mother of the Arabs and Ishmael the Father of Twelve Princes Interfaith Studies and Research Centre, Islamabad 2016
[34] 간행물 Hagar the Princess, the Mother of the Arabs and Ishmael the Father of Twelve Princes Interfaith Studies and Research Centre, Islamabad 2016
[35] 서적 Women in the Qur'an, Traditions, and Interpre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36] 서적 The Qur'an: an encyclopedia Routeledge
[37] 간행물 Islam and the New Woman/ ﺍﻹﺳﻼﻡ ﻭﺍﻟﻤﺮﺃﺓ ﺍﻟﺠﺪﻳﺪﺓ
[38] 간행물 The Legitimacy and Nature of Mawid al-Nabī: (Analysis of a Fatwā)
[39] 간행물 Ibrāhīm's Journey to Mecca in Islamic Exegesis: A Form-Critical Study of a Tradition
[40] 문서 Muhammad Suhail Academy Publishing
[41] 간행물 The ''hajj'': Sacred and Secular 1990-08
[42] 문서 Apocalypse Secrets: Baháʼí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Revelation
[43] 문서 Spirit of Faith: The Oneness of Humanity Baháʼí Publishing
[44] 서적 Feminism-art-theory: an anthology, 1968–2000 https://books.google[...] Wiley 2014-05-12
[45] 웹사이트 NYT review of Hagar by Johnston https://timesmachine[...] 2014-05-12
[46] 뉴스 Mary Johnston, Suffragist Marjorie Spruill Wheeler ''The Virginia Magazine of History and Biography'' Vol. 100, No. 1, "Working out Her Destiny": Virginia Women's History (Jan., 1992), pp. 99–118 (article consists of 20 pages), published by Virginia Historical Society https://www.jstor.or[...]
[47] 서적 Reimagining Hagar: Blackness and Bible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7-23
[48] 웹사이트 Launching Hagar: Marginality, Beer-Sheva, Critique https://web.archive.[...] 2015-10-16
[49] 뉴스 Black and Jewish women consider Hagar http://findarticles.[...] 2002-01
[50] 간행물 "Behold, the Lord Hath Restrained Me from Bearing" http://www.finrrage.[...]
[51] 문서 창세기 20장 12절. 사라는 아브라함의 이복동생이다.
[52] 문서 창세기 22장 21~22절. 우스, 부즈, 부스, 그므엘, 게셋, 하소, 빌다스, 이들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