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마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마지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또는 지역으로, 초기 왕조 시대부터 우르 제3왕조 시대까지 문헌에 언급된다. 하마지의 정확한 위치는 불분명하지만, 자그로스 산맥 지역, 자브강과 디얄라 강 사이 어딘가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마지는 수메르 문학 작품과 에블라 점토판 등에서 언급되며, 초기 왕조 시대에는 키시를 정복하고 수메르를 통치하기도 했다. 우르 제3왕조 시대에는 지방으로 존재했으며, 여러 총독이 파견되어 통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엘람 - 후제스탄주
    후제스탄주는 고대 엘람 문명의 중심지이자 이란 남서부에 위치한 주로, 이란 원유 매장량의 57%를 차지하는 주요 석유 생산 지역이며, 고대 유적과 다양한 민족, 언어가 공존하지만, 물 부족, 환경 문제, 민족 갈등과 같은 사회 문제도 겪었다.
  • 엘람 - 일람주
    일람주는 이란 서남부에 위치하며 기원전 5000년경부터 인간이 거주했고 엘람 문명의 발상지이며 여러 왕조를 거쳐 카자르 왕조 시대에 로레스탄에서 분리된 후 1929년 일람으로 개명되었고, 자그로스 산맥의 서남쪽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다양한 기후와 지형적 특징을 가지며, 쿠르드족과 루르족이 주로 거주하며 독특한 수공예품과 음식 문화를 가지고 있고,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며 관광 산업 개발을 추진하는 주이다.
  • 수메르 - 칼데아
    칼데아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남동부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서부 셈어를 사용하는 민족이 이주해와 아카드 문화에 동화되었으며, 천문학과 점성술을 발전시킨 바빌로니아의 지배 계급이자 지식 계층이었다.
  • 수메르 - 키시
    키시는 기원전 6천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한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로, 수메르 문명의 중심지이자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배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도시이며, 여러 왕조를 거쳐 번영과 쇠퇴를 반복하다 사산조 시대에 폐기되었다.
  • 수메르의 도시 - 칼데아
    칼데아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남동부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서부 셈어를 사용하는 민족이 이주해와 아카드 문화에 동화되었으며, 천문학과 점성술을 발전시킨 바빌로니아의 지배 계급이자 지식 계층이었다.
  • 수메르의 도시 - 키시
    키시는 기원전 6천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한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로, 수메르 문명의 중심지이자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배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도시이며, 여러 왕조를 거쳐 번영과 쇠퇴를 반복하다 사산조 시대에 폐기되었다.
하마지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위치근동
별칭아마지
쿠네 문자 표기𒄩𒈠𒍣𒆠
쿠네 문자 (다른 표기)𒄩𒈠𒍢𒆠
역사
시대초기 청동기 시대
존속 기간기원전 2500년경
중심지알려지지 않음
멸망 원인함무라비에 의해 정복됨
언어
사용 언어후르리어 추정

2. 역사

초창기 고고학 시대에 니푸르에서 두 개의 도기 조각이 발견되었는데, 동일한 용기의 일부로 추정되었다(CBS 9571+CBS 9577). 하나는 키쉬의 우후브/우투그 통치자를 언급했고 다른 하나는 하마지를 정복한 알려지지 않은 통치자를 언급했다. 이후 분석 결과, 두 조각은 실제로 동일한 용기에 속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5] 관련 조각(BM 129402)에는 "하마지의 정복자 DN 푸수수 신에게 바침"이라고 적혀 있다.[6]

하마지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 중 하나는 서사 문학 작품 ''엔메르카르와 아라타의 군주''에서 발견되는데, 엔메르카르에리두우루크지구라트를 건설하는 시기에 여러 거주 지역의 언어 혼란에 대해 엔키에게 기도한다. 하마지는 이 기도에서 "다언어"라는 수식어를 가진 유일한 땅이다. 속편인 ''엔메르카르와 엔수르히르아나'' 또한 하마지의 마법사 우르기리누나가 하마지가 "파괴된" 후 아라타로 갔으며, 나중에는 아라타의 군주에 의해 엔메르카르를 복종시키려는 실패한 임무를 맡았다고 언급한다.[7][8]

반 문학적인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하마지의 왕 하다니시는 키시를 정복한 후 수메르를 지배했지만, 결국 우루크엔샤쿠샨나에게 패배했다.[9]

시리아에블라에서 발견된 점토판에는 에블라의 왕 이르캅-다무가 하마지의 왕 지지에게 보낸 외교 메시지의 사본이 담겨 있으며, 다량의 목재와 함께 그를 형제라고 칭하며 용병을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몇 년 후의 점토판에는 "... 하마지 왕이 PN, 에블라 왕의 대표-사자에게 선물로 건네준 A 왕의 은 470g"이라고 적혀 있다.[10] 문제의 점토판에 있는 지명의 후기 분석에 따르면, 에블라 점토판에서 언급된 하마지는 실제로 현대 홈스의 "시타델 언덕"인 현대 칼라 호므의 다른 하마지이다.[6]

하마지는 아마르-신의 통치 기간 동안 우르 제3왕조의 지방 중 하나였다. 이 통치 기간 동안 2명의 총독 또는 ''엔시''인 남하니의 아들 루-난나와 우르-이스쿠르가 드레헴의 점토판에 기록되어 있다. 첫 번째 인물인 루-난나는 아마르-신 1년에 기록되었고, 이어서 2년에 기록되었다. "폐하께서 하마지 통치자 남하니의 아들 루-난나의 집에서 맥주를 드셨을 때." 아마르-신 5년에는 우르-이스쿠르가 하마지의 총독으로 언급되었다. 9년에는 그의 며느리가 "하마지의 통치자 우르-이스쿠르가 며느리를 '데리고/데려왔을' 때" 언급되었다. 우리는 AS7에서 "하마지의 통치자 우르-이스쿠르의 며느리 타부르-하툼이 하마지로 (돌아)갔을 때"라는 비문을 통해 그녀의 이름을 알 수 있다. 수-신 아래 또 다른 가능한 엔시는 아라드-난나였지만, 그 증거는 희박하다.[11][12][13] 카잘루의 총독 푸주르-누무슈다는 우르 3왕조 말기에 마지막 왕국의 통치자 이비-신에게 보낸 편지에서 하마지 땅이 이신의 이쉬비-에라에게 약탈당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신 엔릴이 이쉬비-에라에게 "하마지 땅에서 마간의 바다까지" 지배권을 약속했다고 주장했다.[14][15]

2. 1. 초기 왕조 시대

초기 왕조 시대 하마지에 대한 기록은 수메르 문학 작품에서 찾을 수 있다. ''엔메르카르와 아라타의 군주''에서 하마지는 여러 언어가 사용되는 땅으로 묘사되며, 엔메르카르가 엔키 신에게 여러 지역의 언어 혼란에 대해 기도하는 내용 중에 등장한다.[7] ''엔메르카르와 엔수흐케쉬아나''에서는 하마지의 마법사 우르기리누나가 하마지가 멸망한 후 아라타로 가서 활동했다는 내용이 언급된다.[7][8]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하마지의 왕 하다니쉬는 키쉬를 정복하고 수메르 전체를 통치했지만, 결국 우루크엔샤쿠샨나에게 패배했다.[9] 이는 당시 하마지가 상당한 군사력을 보유했음을 시사한다.

에블라에서 발견된 점토판에는 에블라의 왕 이르캅-다무가 하마지의 왕 지지에게 보낸 외교 메시지 사본이 있는데, 여기서 이르캅-다무는 지지에게 다량의 목재를 제공하며 형제라 칭하고 용병을 보내달라고 요청했다.[10]

우르 제3왕조 시대에 하마지는 지방 중 하나였으며, 아마르-신 통치 기간 동안 남하니의 아들 루-난나와 우르-이스쿠르가 총독, 즉 ''엔시''로 기록되었다.[11][12][13] 카잘루의 총독 푸주르-누무슈다는 우르 3왕조의 마지막 왕 이비-신에게 보낸 편지에서 하마지가 이신의 이쉬비-에라에게 약탈당했다고 주장했다.[14][15]

니푸르에서 발견된, 하마지를 정복한 알려지지 않은 통치자를 언급한 도기 조각(BM 129402)에는 "하마지의 정복자 DN 푸수수 신에게 바침"이라고 적혀 있다.[6]

2. 2. 아카드 제국 시대

하마지는 시리아의 에블라에서 발견된 점토판에서 그 존재가 확인된다. 에블라의 왕 이르캅-다무는 하마지의 왕 지지에게 보낸 외교 문서에서 그를 형제라 칭하며, 다량의 목재를 제공하고 용병 파견을 요청했다.[10] 이는 하마지가 주변 국가들과 활발한 외교 관계를 맺었음을 보여준다. 몇 년 후의 점토판에는 하마지 왕이 에블라 왕의 대표-사자에게 은 470g을 선물로 주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10] 다만, 이 점토판에 언급된 하마지는 현대 홈스의 "시타델 언덕"에 위치한 다른 하마지일 가능성도 제기된다.[6]

2. 3. 우르 제3왕조 시대

하마지는 우르 제3왕조의 아마르-신 통치 기간 동안 지방 중 하나였다.[11] 이 시기 하마지의 총독(엔시)으로는 남하니의 아들 루-난나와 우르-이스쿠르가 기록되어 있다.[11] 루-난나는 아마르-신 1년에, 우르-이스쿠르는 아마르-신 5년에 하마지의 총독으로 언급되었다.[11] 우르 3왕조 말기, 카잘루의 총독 푸주르-누무슈다는 하마지 땅이 이신의 이쉬비-에라에게 약탈당했다고 주장하며, 이쉬비-에라가 엔릴 신으로부터 하마지 땅에서 마간의 바다까지 지배권을 약속받았다고 주장했다.[14][15]

3. 위치

하마지의 정확한 위치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자그로스 산맥 지역, 자브강 상류와 디얄라 강 사이 어딘가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누지에서 발견된 고대 아카드 문서에서 "하마지의 슈-에슈타르"와 그곳 출신의 이티티라는 인물이 언급된 것은 하마지가 그 근처에 있었다는 추측을 불러일으켰다.[15] 한 연구자는 하마지가 후기의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 도시인 에칼라툼이라고 제안했다.[16] 다른 두 연구자는 "하마지가 현대 할라브자에서 남동쪽으로 약 10km 떨어진 카니 조에즈 지역에 위치해 있다"고 제안했다.[6]

4. 통치자 목록

수메르 왕 목록은 하마지의 유일한 왕으로 하다니쉬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이 목록이 완전하다고 볼 수는 없다.

초상화 또는 비문통치자대략 연도와 재위 기간 (중기 연대기)언급에 대한 코멘트, 노트 및 참고 문헌
120px
하다니쉬
하다니쉬/𒄩𒁕𒉌𒅖sux
불확실, 기원전 2530년, 기원전 2430년경
지지
지지/𒍣𒍣sux
불확실, 기원전 2450년, 기원전 2430년, 기원전 2320년경
우르-아다드불확실, 기원전 2154년경-기원전 2046년경
루-난나
루-난나/𒇽𒀭𒋀𒆠sux
불확실, 기원전 2046년경-기원전 2041년경
우르-이슈쿠르
우르-이슈쿠르/𒌨𒀭𒅎sux
불확실, 기원전 2041년경-기원전 2037년경
아라드-난나
아라드-난나/োর্ড𒀭𒋀𒆠sux
불확실, 기원전 2037년경, 기원전 2030년경, 기원전 2010년경


4. 1. 초기 왕조 시대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초기 왕조 시대에 하마지는 키시를 정복하고 수메르를 통치했다. 하마지의 왕 하다니쉬(𒄩𒁕𒉌𒅖)는 수메르 왕 목록에 유일하게 기록된 하마지의 왕이다. 하다니쉬는 우루크의 엔샤쿠샨나에게 패배하여 왕권을 빼앗겼다.

4. 2. 아카드 제국 시대

지지(𒍣𒍣)는 기원전 2450년, 기원전 2430년, 기원전 2320년경으로 추정되는 시기에 하마지를 통치했던 왕이다. 역사적 사실 여부가 확실하며, 이르캅-다무의 재위 기간에 외교 관계를 맺었다.

4. 3. 우르 제3왕조 시대

우르 제3왕조 시대에 하마지는 총독이 다스렸다.

  • 루-난나: 남-마하니의 아들로, 아마르-신 시대에 하마지의 총독이었다.
  • 우르-이슈쿠르: 아마르-신 시대에 하마지 총독을 역임하였다.
  • 아라드-난나: 수-신 시대의 하마지 총독으로 추정된다.

참조

[1] 웹사이트 CDLI-Archival View https://cdli.ucla.ed[...]
[2] 웹사이트 Collections Online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3] 서적 Les inscriptions de Sumer et d'Akkad, transcription et traduction https://archive.org/[...] Paris, Leroux 1905
[4] 웹사이트 The Sumerian King List http://etcsl.orinst.[...] 2010-12-15
[5] 논문 Studies in Mesopotamian Lapidary Inscriptions. III1 1984
[6] 서적 Unattributed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8
[7] 서적 Enmerkar and the Lord of Aratta: A Sumerian Epic Tale of Iraq and Ira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52
[8] 서적 Enmerkar and the Lord of Aratta Yale University Press 1992
[9] 서적 The Sumerian king list https://isac.uchica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9
[10] 논문 In Search of Armi 2011
[11] 논문 The Bride of Simanum 1975
[12] 논문 Nouveaux Noms Géographiques de l’empire d’Ur III 1979
[13] 논문 Love or Death? Observations on the Role of the Gala in Ur III Ceremonial Life 2006
[14] 서적 Puzur-Numušda to Ibbi-Sin 1 (PuIb1, 3.1.19, A3, RCU 21)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11
[15] 서적 Appendixes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11
[16] 서적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Urkeš and the Hurrian Beginnings in Northern Mesopotamia Unden 1998
[17] 웹사이트 The Sumerian King List http://etcsl.orinst.[...] 2010-12-15
[18] 웹사이트 LULUBI http://www.iranicaon[...] Iranicaonline.org 2005-1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