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는 독일 해군 장교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그는 1914년 독일 제국 해군에 입대하여 유틀란트 해전에 참여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U보트 작전에 참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U보트 함대 부사령관과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1945년 5월 독일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 이후 자살했으며, 그의 아들들은 사회학자, 정치인, 언론인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전쟁해군 상급제독 - 롤프 카를스
롤프 카를스는 독일 제국 해군 장교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잠수함 지휘관, 함대 사령관 등을 역임하고 훈장을 수여받았으며, 1945년 공습으로 사망했다. - 독일 전쟁해군 상급제독 - 오토 슈니빈트
오토 슈니빈트는 독일 해군 군인으로,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어뢰정 지휘관, 함대 사령관 등을 역임했으나, 히틀러와의 불화로 해임되었고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무죄 판결 후 해군 전사 편찬에 참여했다. - 독일의 스페인 내전 관련자 - 빌리 브란트
빌리 브란트는 서독의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 총리 재임 시절 동방정책을 통해 독일의 분단 극복에 기여하고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기욤 사건으로 사퇴한 후에도 독일 재통일의 기반을 마련하고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서독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스페인 내전 관련자 - 에리히 밀케
에리히 밀케는 독일 공산당 당원, NKVD 활동, 스페인 내전 참전을 거쳐 1957년부터 1989년까지 동독 국가보안부 수장으로 재임하며 동독 사회를 감시하다가, 베를린 장벽 붕괴 후 살인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고 2000년 사망한 슈타지의 상징적인 인물이다. - 독일 황립해군 군인 - 아우구스트 비어
독일의 외과 의사이자 스포츠 의학의 선구자인 아우구스트 비어는 척추마취를 처음 시행하고 정맥 부위 마취법을 개발하는 등 마취 분야에 공헌했으며, 스포츠 의학을 확립하고 베를린 샤리테 대학 병원의 외과 수석 의사이자 추밀원 외과 교수를 역임했다. - 독일 황립해군 군인 - 에른스트 린데만
에른스트 린데만은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독일 해군에서 복무했으며, 전함 비스마르크의 함장으로 라인 연습 작전에 참여하여 영국 순양전함 후드를 격침시켰으나, 비스마르크 격침 시 전사하여 기사 철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한스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한스-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 |
출생일 | 1895년 7월 15일 |
출생지 | 스트라스부르, 알자스-로렌, 독일 제국 |
사망일 | 1945년 5월 23일 |
사망지 | 플렌스부르크,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연합군 점령 독일 |
소속 | 독일 제국 해군 바이마르 공화국군 나치 독일 해군 |
복무 기간 | 1914년–1945년 |
최종 계급 | 해군 상급대장 |
서훈 | 전공 십자 공로 훈장 기사십자장 |
경력 | |
지휘 | 해군 최고 지휘관 U-27 (1936년–1939년) |
참전 전투 | 제1차 세계 대전 유틀란트 해전 제2차 세계 대전 |
해군 최고 사령부 사령관 | |
임기 시작 | 1945년 5월 1일 |
임기 종료 | 1945년 5월 23일 |
이전 | 카를 되니츠 |
이후 | 발터 바르체하 |
2. 생애
한스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모두 참전한 독일 해군 군인이다. 알자스로렌 스트라스부르에서 프로이센 육군 장교의 아들로 태어나 1914년 독일 제국해군에 입대하여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유틀란트 해전에 참전하고 U보트 전역에 참여했다.
전후에도 해군에 남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시 유보트 함대 부사령관, 함대 사령관을 거쳐 카를 되니츠가 대통령이 된 후 해군 총사령관까지 역임했다.
1945년 5월, 되니츠의 지시에 따라 서방 연합군과 항복 협상을 진행했고, 독일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 이후 플렌스부르크 정부가 해체되고 영국군의 포로가 되자 독약을 마시고 자살했다.[10]
2. 1. 초기 생애 및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한스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는 독일 제국 영토였던 알자스로렌 스트라스부르에서 프로이센 육군 장교였던 카를 폰 프리데부르크의 아들로 태어났다.[3] 1914년 4월 1일, 독일 제국해군에 사관후보생으로 입대했다.[4]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소위로 진급하여 SMS 크론프린츠에서 근무했고, 유틀란트 해전에서 영국 해군의 대함대를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 1916년 7월 13일 중위로 진급한 후,[4] 1918년 6월부터 11월까지 U-114의 해군 장교로 유보트 전역에 참전했다.2. 2. 전간기 활동
한스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는 전간기에 옛 독일 제국 해군 장교로서 활동했다. 1920년 5월 경순양함 "쾨니히스베르크"에 배속되었고, 같은 해 6월부터 9월까지 북해 함대 사령부에서 경순양함 "함부르크"의 부관을 맡았다. 1922년 2월부터 9월까지 사령관 부관을 역임한 후, 1924년 6월 제2연안 경비 대대 지휘관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9월부터 뫼르비크 해군 사관학교에서 어뢰 과목 교관을 맡았으며, 1925년 4월부터 5월까지 "함부르크"의 연습 항해에 동행, 1927년 6월 30일까지 교관직을 수행했다.[10]1932년 6월 16일, 쿠르트 폰 슐라이허 독일국 총리의 참사관이 되었다. 1933년 2월 1일 베르너 폰 블롬베르크 국방부 장관의 해군 부관으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4월 1일 소령으로 진급했다. 1934년 중령으로 승진하여 해군 총사령부 부속이 되었다.[10]
2. 3.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1941년 9월, 한스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는 독일 전쟁해군의 유보트 함대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프랑스에 본부를 둔 유보트 기지들을 순찰하며 유보트의 훈련과 파견을 맡았고, 연합군 수송대를 찾아 공격하기 위해 유보트 피켓 라인을 조직했다. 1942년 해군 소장으로 진급한 그는 다음 해 2월 독일 유보트 함대의 지휘를 맡게 되었다. 1945년 1월 17일, 그는 전쟁수훈장을 수여받았다.[10]
아돌프 히틀러의 자살 이후 카를 되니츠가 나치 독일의 대통령이 되었을 때, 한스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는 독일 전쟁해군 사령관직을 맡았고, 1945년 5월 1일 제독으로 진급했다. 1945년 5월 초, 되니츠는 한스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에게 서구 연합군에게 항복에 관한 협상을 지시했다. 독일 뤼네부르크에 설치된 육군원수 버나드 몽고메리의 본부에서 그는 모든 연합군 병력에게 무조건 항복을 하는 것이 필요하며 협상이 어려울 것이라는 정보를 받았다. 되니츠의 승인을 받은 후, 1945년 5월 4일 한스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는 뤼네부르크 황야에서 네덜란드, 덴마크, 북동부 독일에 주둔한 독일군 전 병력의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 1945년 5월 7일, 그는 랭스에서 알프레트 요들이 독일 항복문서에 서명할 때 참관했다.
한스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는 1945년 5월 8일 베를린에서 독일 항복문서에 두번째로 서명하기 위해 있었다. 그는 전쟁해군의 대표로서, 루프트바페의 대표인 한스위르겐 슈툼프, 독일 육군 원수이자 독일 국방군 최고사령부의 대표인 빌헬름 카이텔과 함께 독일 항복문서에 서명했다. 게오르기 주코프와 아서 테더가 각각 소련과 연합국 원정군 최고사령부를 대표해 문서에 서명했다.[10]
2. 4. 독일 항복과 자살
1945년 5월 초, 카를 되니츠는 한스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에게 서방 연합군과의 항복 협상을 지시했다. 독일 뤼네부르크에 있는 버나드 몽고메리 원수의 사령부에 도착한 그는 모든 연합군에 대한 무조건 항복만이 협상 가능하다는 통보를 받았다. 되니츠의 허가를 받은 그는 1945년 5월 4일 네덜란드, 북서부 독일 및 덴마크에 주둔한 모든 독일군에 대한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 1945년 5월 7일, 그는 알프레트 요들 장군이 랭스에서 독일 항복 문서에 처음 서명하는 자리에 참석했다.한스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는 1945년 5월 8일 독일 항복 문서의 두 번째 서명을 위해 베를린에 있었다. 그는 공군의 한스위르겐 슈툼프 대장, 육군과 OKW의 빌헬름 카이텔 원수와 함께 크릭스마리네를 대표하여 서명했다.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와 아서 테더 공군 원수가 각각 소련과 SHAEF를 대표하여 서명했다.
1945년 5월 23일, 플렌스부르크 정부 구성원들이 체포된 바로 그 날, 한스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는 플뢴에서 영국군에게 포로로 잡혔으며, 독약을 삼켜 자살했다. 그의 시신은 플렌스부르크 근처 아델비 묘지에 매장되었다.[10]
3. 가족 관계
장남 루드비히 폰 프리데부르크 (1924–2010)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최연소 U보트 함장이 되었고, 종전 후에는 사회학자가 되어 막스 호르크하이머와 테오도어 아도르노의 프랑크푸르트 연구소에서 근무했다. 또한, 독일 사회 민주당의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1969년부터 1974년까지 헤센 주 문화부 장관을 역임했다.[8][9]
차남 프리드리히 폰 프리데부르크(1926년-1991년)도 대전 중 U보트 승무원으로 종군했다. 종전 후에는 언론인이 되어 영국군의 헬골란트 섬 훈련 폭격을 비판했다. 국제 분야에서의 취재 활동을 평가받아 미국 공보 학회로부터 표창을 받았으며, 만년에는 브라운 AG의 홍보 담당을 맡았다.[8][9]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
---|
참조
[1]
서적
Borgert
[2]
서적
Patzwall & Scherzer
2001
[3]
서적
Soldatisches Führertum
Hanseatische Verlagsanstalt Hamburg
[4]
간행물
Rangliste der Deutschen Reichsmarine
E.S. Mittler & Sohn
1929
[5]
웹사이트
Die Kapitulation auf dem Timeloberg
http://www.volksbund[...]
[6]
서적
Mai '45. Kriegsende in Flensburg
2015
[7]
서적
Borgert
[8]
뉴스
Ehrungen: Friedrich von Friedeburg
http://www.spiegel.d[...]
Der Spiegel
1962-06-06
[9]
웹사이트
Hessische Biografie: Friedrich-Ferdinand von Friedeburg
http://www.lagis-hes[...]
[10]
서적
Borger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