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화고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화고속은 1966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운송 업체이다. 1970년 고속버스 운송 면허를 취득한 이후, 서울-부평 시외버스 운행을 시작으로 노선을 확장했다. 현재는 인천, 서울, 대전, 부산 등 주요 도시를 잇는 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과거에는 광역버스 및 시외버스 노선도 운행했으나 대부분 양도 또는 폐선했다. 경기도 수원시에 면허를 두고 있으며,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관광버스 기업 - 중앙고속
    중앙고속은 1971년 설립되어 경부선, 호남선, 영동선, 구마선 등 주요 노선을 중심으로 전국 각지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운송 기업이다.
  • 경기도의 관광버스 기업 - 금호고속관광
    금호고속관광은 2014년 금호고속의 전세사업부로 설립되어 기아 및 현대자동차의 버스를 운행한다.
  • 경기도의 고속버스 기업 - 한일고속
    한일고속은 1970년 고속버스 회사로 설립되어 고속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1979년 해운 사업에도 진출하여 현재 고속버스 회사 중 유일하게 여객해운업을 겸업하며 40개의 고속버스 노선과 3척의 여객선을 운영하고 있다.
  • 경기도의 고속버스 기업 - 중앙고속
    중앙고속은 1971년 설립되어 경부선, 호남선, 영동선, 구마선 등 주요 노선을 중심으로 전국 각지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운송 기업이다.
  • 경기도의 시외버스 기업 - 금강고속
    금강고속은 1952년 금강운수로 시작하여 농어촌버스 운행을 시작했으며, 현재 양평, 홍천, 인제 등지에서 농어촌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한다.
  • 경기도의 시외버스 기업 - 경남여객
    경남여객은 1959년 설립되어 경기도 용인시에서 시내버스, 시외버스, 고속버스, 공항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운송 업체로, 2017년부터 용인공용버스터미널을 운영하며 친환경 전기 버스 도입에도 적극적이다.
삼화고속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주식회사 삼화고속
원어Samhwa Express
형태고속버스
전세버스
자동주유기사업
창립1966년 3월 12일
이전 회사없음
이후 회사없음
해체없음
시장 정보없음
상장일없음
장소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 서해대로418번길 70
사업 지역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한 전 지역
대표배홍철 (대표이사)
산업운수업
대표 제품없음
재무 정보 (2020년)
자본금1,399,305,000원
매출액17,712,918,253원
영업이익-4,098,036,101원
순이익-3,407,199,785원
자산총액26,297,740,656원 (2020년 12월)
주주배홍철(55.17%), 기타(44.83%)
종업원204명 (2020년 12월)

2. 연혁

1966년 3월 12일 삼화교통 주식회사로 설립된 삼화고속은 1970년 2월 23일 고속버스 운송면허를 취득하며[1] 고속버스 사업을 시작했다.

1970년대에는 1973년 금호그룹에서 제외되었고,[1] 1975년 용현동 인천버스터미널에서 고속버스 운행을 시작했다.[1] 1977년에는 인천 및 대전발 노선을 신설하며[1] 노선망을 확장했다.

1980년대에는 본사를 코리아나호텔로 이전하고,[2] 대구 및 동서울, 인천발 노선을 신설하며[2] 사업을 확장했다. 또한 해외관광 사업에도 진출했다.[2]

1990년대에는 서울역 - 서인천 간 시외버스 노선 신설,[1] 우등 고속버스 운행 개시,[1] 회사명 변경('삼화교통 주식회사'에서 '주식회사 삼화고속'으로),[1]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에 관광 차고지 준공[1] 등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또한 육군사관학교 관광사업, 김포시 애기봉 안보관광사업, 제3땅굴 안보관광사업을 개시하고,[1] 인천종합버스터미널 이전,[1] 인천 - 여의도역 시외버스 노선 신설[1] 등 사업 다각화와 운영 효율화를 추구했다.

2000년대 이후 삼화고속은 광역버스 노선 확대와 시외버스 노선의 광역버스 전환에 집중했다. 2000년 인천 - 남원 고속버스 노선 신설,[2] 2001년 국내 전세버스 영업 매각,[1] 2002년 수원 - 목포 고속버스 노선 신설[2] 등 사업 조정을 진행했다. 2003년 서울역 - 인천 간 시외버스 노선을 광역버스로 전환한 것을 시작으로,[3] 2004년에는 계열사 조일제지(현 아세아제지 시화공장) 매각,[3] 연수동 - 서울역 간 시외버스 노선 광역버스 전환(1300번),[4] 2005년 부평역 - 양재역(9500번),[5] 인천종합버스터미널 - 서울역(1400번)[6] 시외버스 노선 광역버스 전환, 광역버스 1500번, 1600번 신설[7][8] 등 광역버스 사업을 강화했다.

2006년에는 1101번,[9] 1301번,[11] 1601번,[12] 2500번,[13] 2300번[15] 광역버스 노선과 송도국제도시 - 강남고속버스터미널(9900번),[10] 가좌동 - 양재역(9800번)[14] 시외버스 노선을 신설하고, 인천종합버스터미널에 지점을 개설했다.[14] 2007년에도 광역버스 및 시외버스 노선을 신설하며[16][17][18][19][20][21][22] 노선망을 확장했다.

2008년 시외버스 노선 통합(9900번, 9801번),[23][24] 수원종합버스터미널 지점 개설, 자회사 공항고속 매각[25] 등 사업 효율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 2009년 신촌로-양화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에 따른 노선 변경,[25] 2010년 시외버스 9900번 분리,[26] 광역버스 7000번 신설[27] 등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했다.

2011년에는 광역버스 노선 신설 및 전환,[28][29][30][31][32][33][36] 시외버스 노선 폐선 및 매각, 본사 이전[1] 등 대대적인 사업 개편이 이루어졌다. 2012년 광역버스 노선 폐선 및 양도, 본점 이전,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노선 일부 매각[40][1] 등 사업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2013년 이후 삼화고속은 동양고속에 일부 시외버스 노선을 매각하고,[1] 2014년 광역버스 9510번이 선진여객 9300번에 통합되었고,[41] 2015년에는 9800번 광역버스가 폐선되었다.[42] 이후 2500번(강화교통), [43]9501번, 9802번(신강교통), 9502번(김포운수), 1300번(천지교통) 등 광역버스 노선들을 양도하였다.

2016년에는 1200번(신동아교통), 9500번, 1400번(세운교통) 등 광역버스 노선들을 양도하였으며, 4월 29일에는 부천 - 연무대 간 고속버스를 신설하였다.

2017년에는 1000번, 1501번, 1500번(마니교통) 등 광역버스 노선들을 양도하였다.

2. 1. 1960년대 ~ 1970년대

1966년 3월 12일 삼화교통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70년 2월 23일 고속버스 운송면허를 취득하였다.[1] 1973년 1월 1일 금호그룹에서 제외되었으며,[1] 같은 해 9월 6일 서울 - 부평 간 시외버스 운행을 시작했다.[2] 1975년 12월 20일 용현동 인천버스터미널에서 고속버스 운행을 시작했으며,[1] 1977년 12월 15일 인천발 3개 노선 (천안, 아산, 대전)과 대전발 3개 노선 (목포, 마산, 울산)을 신설하였다.[1]

2. 1. 1. 1966년

1966년 3월 12일: '''삼화교통 주식회사''' 설립[1]

2. 1. 2. 1970년

1970년 2월 23일 고속버스 운송면허를 취득하였다.[1]

2. 1. 3. 1973년

三和高速중국어1973년 1월 1일 금호그룹에서 제외되었다.[1] 1973년 9월 6일에는 서울 - 부평 시외버스 운행을 시작했다.[2]

2. 1. 4. 1975년

1975년 12월 20일 용현동 인천버스터미널에서 고속버스 운행을 개시하였다.[1]

2. 1. 5. 1977년

1977년 12월 15일: 인천발 3개 노선 (천안, 아산, 대전)과 대전발 3개 노선 (목포, 마산, 울산) 신설.[1]

2. 2. 1980년대 ~ 1990년대

1980년대에는 삼화고속의 본사 이전과 노선 확장이 이루어졌다. 1980년 9월 13일 본사를 코리아나호텔로 이전하였고,[2] 1984년 12월 24일에는 대구에서 출발하는 동서울, 청주, 전주행 노선을 신설하였다.[2] 1987년 12월 4일 동서울 - 대구 간 고속버스 운행을 시작하였고,[2] 1988년 2월 19일에는 인천에서 출발하는 광주, 대구, 부산행 노선을 신설하며[2] 노선망을 확장했다. 1988년 5월 17일 해외관광 사업을 시작하며 사업 영역을 넓혔고,[2] 1989년 7월 26일에는 서울역 - 계산동 간 시외버스 노선을 신설하였다.[2]

1990년대에는 우등 고속버스 운행 개시와 회사명 변경 등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1992년 3월 6일 서울역 - 서인천 간 시외버스 노선을 신설하고,[1] 1992년 10월 23일 우등 고속버스 운행을 시작하였다.[1] 1993년 2월 23일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에 관광 차고지를 준공하고,[1] 1993년 9월 7일 회사명을 '''삼화교통 주식회사'''에서 '''주식회사 삼화고속'''으로 변경하였다.[1]

1997년에는 육군사관학교 관광사업(1997년 2월 1일), 김포시 애기봉 안보관광사업(1997년 4월 1일), 제3땅굴 안보관광사업(1997년 7월 1일)을 개시하였다. 1997년 3월 6일에는 도시형버스 161번을 삼화상운에 매각하고, 마을버스 7번, 7-2번을 삼하운수로 분리하였다. 1997년 11월 20일에는 인천종합버스터미널관교동으로 이전하였다. 1999년 6월 1일에는 인천 - 여의도역 시외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1]

2. 2. 1. 1980년

1980년 9월 13일: 본사를 코리아나호텔로 이전하였다.

2. 2. 2. 1984년

24|12월 24일중국어 대구발 3개 노선 (동서울, 청주, 전주)을 신설하였다.[2]

2. 2. 3. 1987년

1987년 12월 4일 동서울 - 대구 고속버스 운행을 시작하였다.[2]

2. 2. 4. 1988년

2. 2. 5. 1989년

1989년 7월 26일 서울역 - 계산동 간 시외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2]

2. 2. 6. 1992년


  • 1992년 3월 6일: 서울역 - 서인천 간 시외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1]
  • 1992년 10월 23일: 우등 고속버스 운행을 개시하였다.[1]

2. 2. 7. 1993년

2. 2. 8. 1997년

2. 2. 9. 1999년

1999년 6월 1일: 인천 - 여의도역 시외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1]

2. 3. 2000년대 ~ 현재

2000년대에 들어서 삼화고속은 광역버스 노선을 확대하고, 시외버스 노선을 광역버스로 전환하는 등 사업 조정에 주력했다.

2. 3. 1. 2000년

2000년 10월 31일: 인천 - 남원 고속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2]

2. 3. 2. 2001년

2001년 9월 30일: 국내 (전세) 영업 매각.[1]

2. 3. 3. 2002년

三和高速|삼화고속중국어은 2002년 3월 25일에 수원시 - 목포시 간 고속버스 노선을 신설하였다.[2]

2. 3. 4. 2003년

2003년 4월 1일: 서울역 - 인천 간 시외버스광역버스로 형간 전환하였다.[3]

2. 3. 5. 2004년

2. 3. 6. 2005년

2. 3. 7. 2006년

2. 3. 8. 2007년

2. 3. 9. 2008년

2. 3. 10. 2009년

신촌로 - 양화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에 따라 정류소를 신설, 이전 · 변경하면서 삼화고속 지하 신촌역 · 서울역행 노선 중 5개 노선이 변경되었다.[25]

2. 3. 11. 2010년

2010년 6월 1일, 시외버스 9900번이 9900번과 9802번으로 다시 분리되었고,[26] 광역버스 7000번이 신설되었다.[27]

2. 3. 12. 2011년

2. 3. 13. 2012년

2. 3. 14. 2013년

인천천안·아산, 부천·인천공주 노선을 동양고속에 매각하였다.[1]

2. 3. 15. 2014년

2014년 8월 25일: 광역버스 9510번이 선진여객 9300번에 통합되었다.[41]

2. 3. 16. 2015년


  • 2015년 1월 1일: 광역버스 9800번이 폐선되었다.[42]
  • 2015년 4월 1일: 광역버스 2500번을 강화교통에 노선을 양도하였다.[43]
  • 2015년 6월 16일: 광역버스 9501번, 9802번을 신강교통에 노선을 양도하였다.
  • 2015년 7월 21일: 시외버스 9502번을 김포운수에 양도하고 직행좌석버스로 형간 전환하였다.[44]
  • 2015년 11월 6일: 광역버스 1300번을 천지교통에 노선을 양도하였다.

2. 3. 17. 2016년


  • 2016년 3월 5일: 신동아교통에 광역버스 1200번 노선을 양도하였다.[43]
  • 2016년 4월 29일: 부천 - 연무대 간 고속버스를 신설하였다.
  • 2016년 8월 1일: 세운교통(구 부일운수)에 광역버스 9500번 노선을 양도하였다.[5]
  • 2016년 12월 6일: 세운교통에 광역버스 1400번 노선을 양도하였다.[6]

2. 3. 18. 2017년


  • 4월 16일: 광역버스 1000번을 마니교통으로 노선 양도하였다.[45]
  • 6월 1일: 광역버스 1501번을 신설하였다.[46]
  • 6월 10일: 광역버스 1501번을 마니교통으로 노선 양도하였다.[47]
  • 9월 6일: 광역버스 1500번을 마니교통으로 노선 양도하였다.

3. 운행 노선

삼화고속은 인천종합버스터미널을 중심으로 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일부 노선은 다른 회사와 공동으로 운행한다. 2021년 1월 기준으로 삼화고속은 4개의 고속버스 노선과 23개의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으며, 총 94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 이 중 5대는 고속버스, 89대는 시외버스이다.[45]

운행업체보유 노선수등록 대수
노선 합계시외버스고속버스대수 합계시외버스고속버스
삼화고속2742394589



대전인천, 서울경부금산 노선은 삼화고속이 단독으로 운행한다.

3. 1. 고속버스

삼화고속은 인천종합버스터미널을 중심으로 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대전인천, 서울경부금산 노선은 단독으로 운행한다.[46]

아래 운행 정보는 2019년 4월 기준이므로, 현재와 다를 수 있다.[46]

3. 1. 1. 경부선

운행 노선공동 운행사운행 구간경유지일반우등고급비고
서울 ↔ 대구금호고속, 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서울경부동대구선산휴게소, 서대구-12
서울 ↔ 대구금호고속, 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서울경부동대구선산휴게소, 신서혁신도시-1-2018년 3월 1일 신설
서울 ↔ 부산금호고속, 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서울경부부산낙동강휴게소1132019년 4월 10일 중간 경유지 변경
서울 ↔ 서부산금호고속, 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서울경부부산서부선산휴게소-1-
서울 ↔ 세종금호고속, 동부익스프레스, 동양고속, 속리산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서울경부세종시세종청사-112013년 12월 16일 신설, 2016년 1월 12일 우등 증차
서울경부세종시죽전[47], 세종국책연구단지-1-2018년 1월 31일 신설
서울 ↔ 금산서울경부금산마전리12-
서울 ↔ 울산금호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서울경부울산낙동강휴게소, 신복-112019년 4월 10일 중간 경유지 변경
동서울 ↔ 대구금호고속, 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동서울동대구선산휴게소, 서대구11-
청주 ↔ 대구속리산고속청주동대구선산휴게소, 서대구12-2013년 9월 12일 우등 감차
인천공항 ↔ 양산대원고속, 동양고속인천국제공항 ↔ 양산인천, 낙동강휴게소-2-2018년 2월 9일 신설, 2019년 4월 10일 중간 경유지 변경


3. 1. 2. 호남선

운행 노선공동 운행사운행 구간경유지일반우등고급비고
서울 ↔ 남원금호고속서울호남남원정안알밤휴게소15-2013년 9월 12일 우등 감차
2015년 9월 23일 우등 증차
수원 ↔ 광주금호고속수원광주정안알밤휴게소, 비아15-
수원 ↔ 목포금호고속수원목포정안알밤휴게소, 비아3-


3. 1. 3. 남해선

금호고속과 공동 운행하며, 부산에서 광주까지 운행한다. 섬진강휴게소, 운암동을 경유한다. 2014년 1월 10일에 우등이 감차되었다가, 2015년 9월 23일에 우등이 증차되었다.

구분대수
우등3
고급1


3. 1. 4. 경인선

운행 노선공동 운행사운행 구간경유지운행 대수비고
인천광주금호고속, 한일고속인천광주정안알밤휴게소, 비아일반 1대, 우등 3대, 고급 2대
인천대구동양고속인천동대구선산휴게소, 서대구우등 4대2013년 9월 10일 일반 1대 우등 전환[1]
인천대전인천대전일반 2대, 우등 13대, 고급 2대2013년 7월 22일 일반 1대 우등 전환, 2014년 1월 10일 우등 4대 일반 전환 및 우등 감차, 2015년 9월 17일 평일, 주말 인가 대수 상이[1]
인천부산동양고속, 천일고속인천부산낙동강휴게소우등 3대, 고급 1대2019년 4월 10일 중간 경유지 변경[1]
인천서부산동양고속, 천일고속인천부산서부선산휴게소우등 1대2013년 9월 12일 우등 감차[1]
인천순천금호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인천순천정안알밤휴게소, 순천대학교우등 1대2013년 9월 12일 우등 감차, 2015년 2월 23일 중간 경유지 추가[1]
인천전주천일고속인천전주정안알밤휴게소, 호남제일문일반 1대, 우등 5대, 고급 1대2014년 5월 1일 중간 경유지 추가[1]
인천공항 ↔ 김해동양고속인천국제공항 ↔ 김해인천, 선산휴게소, 장유우등 2대, 고급 1대2015년 6월 19일 신설, 2016년 9월 13일 노선 연장[1]


3. 1. 5. 88선

동양고속과 공동으로 운행한다.

운행 구간경유지운행 대수비고
전주동대구서대구우등 2대2013년 9월 12일 일반 감차
2015년 9월 23일 우등 증차


4. 이전 보유 노선

노선 번호기점종점운행 기간비고
1000번석남동 경남아너스빌서울역마니교통으로 노선 양도
1100번왕길동 기점서울역~ 2012년 6월 1일신강교통으로 노선 양도
1101번검단동 마전 풍림아파트서울역2006년 4월 11일 ~ 2012년 6월 1일신강교통으로 노선 양도
1200번가좌동 미주탕서울역2004년 12월 17일 ~ 2016년 3월 4일신동아교통으로 노선 양도
1300번동막역서울역2004년 12월 17일 ~ 2015년 11월 6일천지교통으로 노선 양도
1301번인천대학교서울역2006년 5월 27일 ~ 2011년 10월 23일인강여객으로 노선 양도 후 천지교통으로 노선 재양도
1400번인천종합버스터미널서울역2005년 8월 20일 ~ 2016년 12월 6일세운교통으로 노선 양도 후 마니교통으로 노선 재양도
1500번계산동 롯데마트서울역2005년 12월 17일 ~ 2017년 9월 6일마니교통으로 노선 양도
1501번계양구서울역마니교통으로 노선 양도
1600번항동 연안부두서울역2005년 12월 17일 ~ 2011년 7월 1일
1601번용현동 인하대학교 병원서울역2006년 6월 16일 ~ 2011년 10월 23일신강교통으로 노선 양도
2100번연희동 서구청종로2가2007년 9월 13일 ~ 2011년 4월 23일
2300번청학동 시대아파트종로2가2006년 12월 2일 ~ 2011년 10월 23일
2400번인천종합버스터미널종로2가2007년 8월 30일 ~ 2011년 4월 23일
2500번계산동 그랜드마트종로2가2006년 9월 2일 ~ 2015년 4월 1일강화교통으로 노선 양도 후 천지교통으로 노선 재양도
7000번가정동가양역2010년 6월 1일 ~ 2012년 5월 5일
9500번인천종합버스터미널양재시민의숲역2005년 1월 12일 ~ 2016년 8월 1일세운교통으로 노선 양도 후 마니교통으로 노선 재양도
9501번검단동 마전풍림아파트양재시민의숲역2007년 5월 10일 ~ 2015년 6월 16일신강교통으로 노선 양도
R9502번김포한강신도시양재시민의숲역2011년 3월 10일 ~ 2015년 7월 21일직행좌석버스로 형간 전환, 김포운수로 노선 양도
9510번청라동 청라국제도시양재시민의숲역2011년 2월 22일 ~ 2014년 8월 25일선진여객 9300번과 통폐합
9800번가좌동 미주탕양재시민의숲역2006년 10월 26일 ~ 2015년 1월 1일개통 당시 시외버스, 2011년 4월 13일에 광역버스로 전환
9801번연희동 서구청양재시민의숲역2007년 1월 22일 ~ 2011년 11월 4일시외버스에서 광역버스로 전환, 9802번과 통합
9802번왕길동 기점양재시민의숲역2007년 7월 25일 ~ 2015년 6월 16일신강교통으로 노선 양도, 2011년 4월 8일에 시외버스에서 광역버스로 전환
9803번가정오거리강남역2007년 10월 10일 ~ 2008년 5월 2일
9900번송도국제도시강남역2006년 5월 25일 ~ 2011년 6월 1일
9901번인천종합버스터미널강남역2007년 9월 13일 ~ 2011년 11월개통 당시 시외버스, 인강여객으로 노선 양도
9902번연수동대방역2007년 10월 16일 ~ 2011년 10월 23일개통 당시 시외버스
R8399번인천천안 · 아산2013년 6월 12일 동양고속으로 노선 양도
부천 (인천 경유)공주2013년 6월 12일 동양고속에 노선 양도


5. 관할 면허지

관련 법에 따라 광역시에는 고속버스 차적지를 둘 수 없어, 삼화고속의 면허(차적)지는 경기도 수원시로 되어 있다.[1] 주 사무소는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185-23번지, 부평역 북부 광장 인근에 있다.[1] 수원종합버스터미널 주소가 찍힌 차량도 있다.[1]

6. 운행 차량

삼화고속 운행 차량
제조사차종
현대자동차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현대자동차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프레스티지
현대자동차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레스티지
기아기아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선샤인


7. 회사 현황


참조

[1] 뉴스 삼화고속, 광역버스 회사로 변신 중 http://www.gyotongn.[...] 교통신문 2011-06-14
[2] 문서 상법 상 본점 주소
[3] 문서 금호그룹에서 아세아그룹으로 매각 2006-03-10
[4] 웹사이트 광역버스 개통안내(연수동 ~ 서울역) http://www.samhwaexp[...]
[5] 웹사이트 광역버스 개통안내(부평역 ~ 양재역) http://www.samhwaexp[...]
[6] 웹사이트 광역 1400번 개통 안내 http://www.samhwaexp[...]
[7] 웹사이트 광역 1500번 개통 안내 http://www.samhwaexp[...]
[8] 웹사이트 광역 1600번 개통 안내 http://www.samhwaexp[...]
[9] 웹사이트 광역 1101번 개통 안내 http://www.samhwaexp[...]
[10] 웹사이트 송도-강남TR 노선 신설 안내 http://www.samhwaexp[...]
[11] 웹사이트 개통 광역1301번(송도신도시~논현~부천~서울역) http://www.samhwaexp[...]
[12] 웹사이트 광역 1601번 개통 안내 http://www.samhwaexp[...]
[13] 웹사이트 광역 2500번 개통 (계산동-종로) http://www.samhwaexp[...]
[14] 웹사이트 직행 가좌-부천-양재 노선 신규 개통 안내 http://www.samhwaexp[...]
[15] 웹사이트 광역 2300번 개통예정 안내 (인천연수<->부천<->종로) http://www.samhwaexp[...]
[16] 웹사이트 (광역)9501번 개통 http://www.samhwaexp[...]
[17] 웹사이트 (직행)9802번 신규개통 안내 http://www.samhwaexp[...]
[18] 웹사이트 (광역)2400번 신규 개통 안내 http://www.samhwaexp[...]
[19] 웹사이트 (광역)2100번 신규 개통 안내 http://www.samhwaexp[...]
[20] 웹사이트 (직행)9901번 신규 개통 안내 http://www.samhwaexp[...]
[21] 웹사이트 (직행)9803번 신규 개통 안내 http://www.samhwaexp[...]
[22] 웹사이트 (직행)9902번 신규 개통 안내 http://www.samhwaexp[...]
[23] 웹사이트 (직행)9802번,9900번노선통합 안내 http://www.samhwaexp[...]
[24] 웹사이트 (9803) 영업 종료 안내 http://www.samhwaexp[...]
[25] 문서 6010번과 6020번 공항버스 리무진버스 변경 운행 2009-07-20
[26] 웹사이트 (9900) 노선 분리운행 안내 http://www.samhwaexp[...]
[27] 웹사이트 (7000) 노선 신설 운행 안내 http://www.samhwaexp[...]
[28] 웹사이트 (9510) 신규노선 개통 안내 http://www.samhwaexp[...]
[29] 웹사이트 (9502) 신규노선 개통 안내 http://www.samhwaexp[...]
[30] 웹사이트 (9801) 업종전환(시외▶광역) 안내 http://www.samhwaexp[...]
[31] 웹사이트 (9802) 업종전환(시외▶광역) 안내 http://www.samhwaexp[...]
[32] 웹사이트 (9800) 업종전환(시외▶광역) 안내 http://www.samhwaexp[...]
[33] 웹사이트 (9902) 업종전환(시외▶광역) 안내 http://www.samhwaexp[...]
[34] 웹사이트 (2100) 노선운행 중단 안내 http://www.samhwaexp[...]
[35] 웹사이트 (2400) 노선운행 중단 안내 http://www.samhwaexp[...]
[36] 웹사이트 (9900.9901) 노선통합안내 http://www.samhwaexp[...] 삼화고속 2014-02-27
[37] 웹사이트 (1600) 노선 운행 중단 안내 http://www.samhwaexp[...] 삼화고속 2013-12-12
[38] 웹사이트 광역 일부노선 중단 안내문 http://www.samhwaexp[...] 삼화고속 2015-07-04
[39] 웹사이트 (9801.9802) 노선 통합 안내문 http://www.samhwaexp[...] 삼화고속 2015-11-17
[40] 웹사이트 광역 7000번 노선 운행중단 안내 http://www.samhwaexp[...] 삼화고속 2015-11-17
[41] 웹사이트 9510번 노선 변경안내 http://www.samhwaexp[...] 삼화고속 2016-03-05
[42] 웹사이트 9800번 노선 운행중단 안내 http://www.samhwaexp[...] 삼화고속 2016-03-05
[43] 웹사이트 2500번 운행사 변경 안내 http://www.samhwaexp[...] 삼화고속 2015-07-06
[44] 웹사이트 9502번 운행사 및 경로 변경 알림 http://www.samhwaexp[...] 삼화고속 2015-11-17
[45] 웹사이트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1-03-29
[46] 간행물 고속버스 운행계통표 국토교통부 2019-04-12
[47] 문서 서울방향 하차만 가능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