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트럴시티 (건축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센트럴시티는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건축물로, 터미널, 영화관, 쇼핑 시설, 숙박 시설 등을 갖춘 복합 시설이다. 2000년에 완공되었으며, 신세계가 인수하여 운영하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호남 및 충청 지역으로 운행하는 고속버스 노선의 주요 관문인 센트럴시티 터미널(서울호남)이 있으며, 메가박스 센트럴,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JW 메리어트 호텔 서울 등이 입점해 있다. 개장 초기 어음 결제 문제로 부도 위기를 겪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세계그룹 - 이관섭
이관섭은 행정고시 합격 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을 거쳐 윤석열 정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과 비서실장을 역임한 관료이다. - 신세계그룹 - 이마트
이마트는 1993년 대한민국 최초의 대형마트인 창동점을 개점한 신세계그룹의 핵심 계열사로, 월마트 코리아 인수, 다양한 사업 포맷 확장, 온라인 사업, 해외 진출 등을 통해 성장해 왔으나, 자체 브랜드 상품 개발 및 중소기업 상생 노력과 더불어 사회적 문제에 직면하며 국내외 다양한 형태의 매장을 운영하며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대형 유통업체이다. - 서울특별시의 버스 교통 - 서울남부버스터미널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남부버스터미널은 1972년 용산에서 시작하여 1990년 현재 위치로 이전했으며, 엔티산업에서 운영하고, 수도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강원권 등 다양한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터미널이다. - 서울특별시의 버스 교통 - 동서울종합터미널
동서울종합터미널은 서울 광진구에 위치한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시외·고속버스터미널 중 하나로, 전국 각지로 향하는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지하철 강변역과 연결되고 공항 리무진 버스도 운행하지만, 현대화 사업 후 상가가 퇴거하여 홈페이지나 앱으로 최신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 서울 서초구의 건축물 - 동작대교
동작대교는 1984년 개통한 대한민국 최초의 랭거아치 형식 다리이며, 서울 지하철 4호선 통과를 고려하여 건설되었으나, 초기 민간 투자 방식의 자금난과 용산 미군기지 이전 계획 무산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 서울 서초구의 건축물 - 예술의전당
예술의전당은 1980년대 대한민국 정부가 건립한 복합 문화 예술 공간으로, 음악당, 미술관, 오페라하우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국립 예술 단체의 상주 공간으로 활용된다.
센트럴시티 (건축물)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센트럴시티 |
옛 명칭 | 서울종합터미널 (1968–1998) |
종류 | 터미널 |
개장 | 2000년 9월 1일 |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176 (반포동) |
터미널 코드 | 020 |
표기 | 서울호남 (센트럴) |
웹사이트 | 센트럴시티 공식 웹사이트 |
회사 정보 | |
형태 | 주식회사 |
설립 | 1969년 1월 13일 |
설립자 | 신선호 |
본사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
모회사 | 신세계그룹 |
자회사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산업 | 여객 운송 부동산 개발 호텔 운영 쇼핑몰 운영 엔터테인먼트 |
매출액 | 1,384억 9천만 원 (2016년) |
영업이익 | 702억 6천만 원 (2016년) |
순이익 | 505억 2천만 원 (2016년) |
자산 | 2조 6,200억 원 (2016년) |
자본 | 1조 300억 원 (2016년) |
터미널 정보 | |
고속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외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내버스 운행 여부 | 미운행 |
2. 역사
센트럴시티는 본래 1970년대 강남 개발의 일환으로, 강북 지역에 회사별로 운영되던 호남선·영동선 고속버스 터미널 및 시외버스 터미널을 통합하여 이전한 곳이다. 현재 센트럴시티의 터미널은 호남선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소속 노선과 충남·강원·경북 일부 지역(안동, 영주, 예천)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의 서울 기·종점으로 쓰이다가, 그 중 강원 및 경북 지역 시외버스 노선들은 신세계가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을 인수한 후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이전했다.
2. 1. 초기 계획 및 건설 지연 (1970년대 ~ 1990년대)
1970년대 강남 개발 계획에 따라, 강북 지역에 흩어져 있던 호남선·영동선 고속버스 터미널과 시외버스 터미널을 통합하여 이전하는 계획이 추진되었다. 1973년 율산그룹이 터미널 건축 허가를 받았으나, 1979년 율산그룹 해체로 인해 건설이 장기간 지연되었다.[2]2. 2. 완공 및 개장 (2000년)
2000년 9월 1일, 터미널과 백화점을 포함한 현재의 센트럴시티 건물이 완공되었다.[2] 시외버스 터미널은 이전 후 이 지역이 매우 혼잡하다는 지적을 받아 1970년대에 인근 지역(현 서울남부버스터미널)으로 이전하였고, 영동선 고속버스 터미널은 센트럴시티 개장 직후인 2000년 7월 20일부터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이전하였다.[3][4]2. 3. 신세계 인수 및 운영 (2000년대 ~ 현재)
신세계는 인천종합버스터미널 입점 문제로 롯데백화점과 경쟁하던 중, 센트럴시티 내 강남점의 상권을 지키기 위해 센트럴시티를 인수했다. 이에 따라 현재는 신세계그룹 계열사인 주식회사 신세계센트럴시티 소유 건물이다.2013년 4월 1일, 금호산업 소유의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지분이 주식회사 신세계센트럴시티로 넘어가면서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을 계열사로 두게 되었다.[2] 이후 서울고속버스터미널 5층에 신세계백화점 본사가 입점했다.
2017년 6월, 이지티켓 전산망에서 코버스 전산망으로 통합되었다.
3. 시설
버스 터미널인 센트럴시티 터미널은 호남과 충청 지역 일부에서 출발하는 고속버스 노선의 주요 관문이다. 서울호남 또는 센트럴로 표시된다. 센트럴시티는 다음과 같은 고속 및 시외 버스 노선이 운행된다.[1]
목적지 | 경유지 | 운행 횟수 |
---|---|---|
광주 | 정안알밤휴게소 | 5-30분 |
전주 | 정안알밤휴게소, 호남제일문 | 5-20분 |
익산 | 정안알밤휴게소, 팔봉동, 익산산업단지 | 30분 |
군산 | 정안알밤휴게소, 대야 | 15-30분 |
정읍 | 정안알밤휴게소, 태인 | 40-50분 |
남원 | 정안알밤휴게소 | 40-80분 |
김제 | 정안알밤휴게소, 전북혁신도시, 애통리 | 4회/일 |
진안 | 안천 | 2회/일 |
순창 | 강진(전라북도) | 5회/일 |
고창 | 흥덕 | 45-60분 |
부안 | 45-60분 | |
목포 | 정안알밤휴게소 | 30-40분 |
담양 | 정안알밤휴게소 | 4회/일 |
여수 | 정안알밤휴게소, 여천 | 40-60분 |
순천 | 정안알밤휴게소, 순천대 | 30-40분 |
강진, 전남 | 정안알밤휴게소 | 6회/일 |
지도 | 무안, 해제 | 2회/일 |
유성, 대전 | 15분 | |
연무대 | 정안알밤휴게소, 논산 | 40-45분 |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시설이 있다.
- 메가박스 센트럴[1]
- 신세계백화점 강남점[1]
- JW 메리어트 호텔 서울[1]
- 우리은행 센트럴시티지점[1]
- 신세계 면세점 강남점[1]
4. 교통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과 연결되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4. 1. 센트럴시티 터미널 (서울호남)
센트럴시티 터미널은 호남과 충청 지역 일부에서 출발하는 고속버스 노선의 주요 관문이다. 과거에는 강원, 경북 일부 지역 시외버스 노선도 운행했으나, 현재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이전되었다.[8] 2017년 4월 14일부터 유성행 노선이 대전청사를 경유하지 않는다.센트럴시티에서는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소속 호남선 노선과 충남 일부 지역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한다.
'''운행 노선'''
목적지 | 경유지 | 운행 횟수 |
---|---|---|
광주 | 정안휴게소 | 5-30분 |
전주 | 정안휴게소, 호남제일문 | 5-20분 |
익산 | 정안휴게소, 팔봉동, 익산산업단지 | 30분 |
군산 | 정안휴게소, 대야 | 15-30분 |
정읍 | 정안휴게소, 태인 | 40-50분 |
남원 | 정안휴게소 | 40-80분 |
김제 | 정안휴게소, 전북혁신도시, 애통리 | 4회/일 |
진안 | 안천 | 2회/일 |
순창 | 강진 | 5회/일 |
고창 | 흥덕 | 45-60분 |
부안 | 45-60분 | |
목포 | 정안휴게소 | 30-40분 |
담양 | 정안휴게소 | 4회/일 |
여수 | 정안휴게소, 여천 | 40-60분 |
순천 | 정안휴게소, 순천대학교 | 30-40분 |
강진, 전라남도 | 정안휴게소 | 6회/일 |
지도 | 무안, 해제 | 2회/일 |
유성, 대전 | 15분 | |
연무대 | 정안휴게소, 논산 | 40-45분 |
4. 1. 1. 승차홈
승차홈은 정면 기준 왼쪽부터 번호가 시작된다.출발홈 | 행선지 |
---|---|
1 | 예비 |
2 | 예비 |
3 | 예비 |
4 | 예비 |
5 | 예비 |
6 | 녹동(고흥), 보성(벌교), 곡성(옥과), 화순(능주), 장흥(영암, 회진, 노력항) |
7 | 지도(무안, 해제), 완도, 진도(남악), 해남, 함평(장성, 문장, 삼호) |
8 | 광주 |
9 | 광주 |
10 | 광주 |
11 | 광주 |
12 | 광주 |
13 | 목포 |
14 | 예비 |
15 | 익산 |
16 | 정읍(태인), 담양, 영산포(나주) |
17 | 강진, 남원, 김제(완주, 애통리) |
18 | 순천 |
19 | 여수(여천), 동광양(광양) |
20 | 예비 |
21 | 유성 |
22 | 논산(연무대), 영광 |
23 | 예비 |
24 | 군산 |
25 | 전주 |
26 | 전주 |
27 | 전주 |
28 | 전주 |
29 | 부안, 고창(흥덕), 진안(봉동), 순창(전북강진) |
30 | 예비 |
31 | 충주, 괴산(증평) |
32 | 청주시외(보은, 속리산), 청주대(청주공항) |
33 | 예비 |
34 | 당진(기지시), 태안, 안면도(창기리) |
35 | 보령, 예산(덕산스파), 청양(정산), 홍성(내포시) |
36 | 서산 |
37 | 예비 |
38 | 예비 |
39 | 예비 |
4. 1. 2. 운행 노선
막차: 19:50막차: 21:55
막차: 21:50
막차: 22:05
막차: 22:45
막차: 23:55
막차: 23:30
막차: 22:00
막차: 23:00
막차: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