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서파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서파관》은 명나라 관리 해서의 생애를 다룬 경극으로, 역사가 우한이 집필했다. 이 작품은 정직한 관리 해서가 황제에게 백성들의 고통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처음에는 마오쩌둥의 칭찬을 받았으나 펑더화이 비판과 관련된 정치적 논쟁에 휘말리면서 비판받았다. 1965년 야오원위안의 비판을 시작으로 마오쩌둥의 개입과 5.16 통지를 거쳐 문화대혁명의 도화선이 되었고, 우한은 숙청되어 사망했다. 이 사건은 권력 투쟁과 이념 갈등이 문화 예술 작품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1년 희곡 - 물리학자들
    물리학자들은 핵 연구의 위험성을 깨달은 물리학자 뫼비우스가 정신병원에 숨어들고, 그를 감시하려는 정보 요원들과의 갈등을 통해 과학자의 윤리적 책임과 권력, 지식의 관계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 1961년 희곡 - 안도라 (희곡)
    안도라는 막스 프리쉬의 희곡으로, 유대인으로 오해받은 양아들 안드리를 둘러싼 인물들의 차별과 위선을 통해 반유대주의, 편견, 정체성 문제를 다룬다.
  • 경극 - 패왕별희 (영화)
    패왕별희는 1993년 첸 카이거 감독이 연출한 영화로, 경극 배우들의 삶을 통해 중국 사회의 격동적인 역사를 그린 작품이다.
  • 경극 - 월금
    월금은 둥근 공명판과 짧은 넥을 가진 중국 현악기로, 한국과 일본에서 각기 다른 형태로 발전했으며, 4현을 5도 간격으로 조율하여 픽으로 연주한다.
  • 중국의 희곡 - 찻집 (희곡)
    찻집은 라오 서가 중국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격변기를 찻집이라는 공간을 통해 묘사하며 사회의 부조리와 시대상을 반영하는 희곡으로, 중국 현대 희곡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중국의 희곡 - 양가장
    양가장은 중국의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요나라와의 전쟁에서 활약한 양씨 가문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널리 인기를 얻었고 현대에도 여러 미디어로 제작되어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해서파관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제목해서파관
원제해서파관
로마자 표기Hǎi Ruì Bàguān
한자海瑞罷官
영어 제목Hai Rui Dismissed from Office
중국어 간체海瑞罢官
중국어 정체海瑞罷官
한국어 발음해서파관
작품 정보
장르역사극
작가오함
창작 시기1960년 말~1961년 초
발표 시기1961년 1월
초연1961년 2월 베이징
배경명나라 가정제 시대
등장인물
주요 인물해서
기타 인물가정제
해서의 어머니
해서의 아내
해서의 딸
해서의 하인
관리들
마을 사람들
사건 및 비판
정치적 의미문화대혁명의 도화선이 됨
비판마오쩌둥에 대한 비판으로 해석됨
문화대혁명작품 비판을 시작으로 문화대혁명이 전개됨
탄압작품을 쓴 오함과 관련된 인사들이 탄압받음
재평가문화대혁명 이후 재평가됨
기타
관련 작품해서 관련 다수 작품
만청의 해서전
염응녕의 해서상서
주요 사건해서의 관직 박탈 사건

2. 배경

우한명나라 역사 연구에 주력한 학자이자 베이징시 부시장을 지낸 정치인이었다. 1959년 가정제를 비판한 죄로 투옥된 해서의 생애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해서의 생애와 명나라 황제에 대한 비판에 대한 여러 글을 썼다. 1961년 경극 희곡 《해서파관》을 완성하기 전까지 여러 차례 수정하였다.[57][58][59]

이 연극은 송나라 학자 악비의 후원자였던 류몐즈(劉勉之)라는 필명으로 출판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고, 처음에는 마오쩌둥에게 극찬을 받았다. 그러나 중국의 정치 풍토가 변화하면서 후에 혹독한 비판을 받게 된다.[59]

2. 1. 집필 배경

우한명나라 역사 연구에 초점을 맞춘 역사가이자 베이징시 부시장을 역임한 정치인이었다.[1] 1959년, 가정제를 비판한 죄로 투옥된 명나라 관리 해서의 삶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57] 우한은 해서의 삶과 황제에 대한 비판에 대한 여러 글을 썼고, 1961년에 경극 희곡 《해서파관》을 완성하기 전까지 여러 차례 수정했다.[58][59]

우한은 원래 경극 전문가가 아니었지만, 해서의 이야기에 매료되어 희곡을 집필하게 되었다.[5] 1959년 4월, 상하이에서 향극(湖南省의 지방극)을 본 마오쩌둥이 비서 후차오무에게 해서의 ‘직언간간(直言敢諫)’ 정신을 선전하도록 지시하자, 우한은 ‘해수를 논함’ 등의 역사 에세이를 발표했다.[56] 마오쩌둥은 같은 해 8월 뤄산회의에서 대약진 운동의 수정을 요구한 국방부장 펑더화이를 실각시킨 후, “좌파의 해수(진짜 해수)와 우파의 해수(가짜 해수)를 나누어야 한다”고 말했다.[56][50] 이에 따라 우한은 9월 인민일보에 “해수에 대해서”(「論海瑞」)라는 글을 발표하여 펑더화이 비판에 동의했다.[56][50]

베이징 경극단 단장 마롄량이 우한의 해서에 대한 언급을 읽고 우한에게 해서를 그린 희곡 집필을 의뢰했고, 우한은 처음에는 경극의 문외한이라며 주저했지만 결국 집필을 맡았다.[56] 여러 차례 수정 끝에 1960년 11월에 완성되었다. 제목은 처음에는 ‘해수’였지만, 친구의 권유로 ‘해서파관(海瑞罷官)’으로 했다.[56] 베이징문예(北京文藝) 1961년 1월호에 게재되었고, 베이징 경극단에 의해 1961년 2월 11일부터 상연되었다.[56]

2. 2. 희곡의 내용

이 희곡은 정직한 관리 해서가 자신의 경력을 희생하면서까지 백성들의 불만을 황제에게 전달하려 한 비극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60][61] 희곡에서 해서는 황제와의 접견을 요청하는 유능한 관리로 묘사된다. 해서는 가정제에게 직접 황실 정부의 다른 관리들이 저지른 부패와 횡포를 방치한 것에 대해 비판한다. 가정제는 해서의 비판에 격분하여 그를 파면하지만,[60] 황제가 죽은 후 해서는 복직한다.[61][7]

3. 정치적 의미와 논쟁

《해서파관》은 초연 이후 펑더화이를 옹호하고 마오쩌둥을 비판하는 내용으로 해석되면서 정치적 논쟁의 중심에 섰다.[57]

일부 평론가들은 해서를 펑더화이에, 명나라 황제를 마오쩌둥에 비유했다.[57] 펑더화이 자신도 이러한 해석에 동의하여 1962년에 마오쩌둥에게 보낸 서한에서 "나는 해서가 되고 싶습니다!"라고 밝혔다.[60] 그러나 우한은 1959년 9월 21일 《인민일보》에 게재된 평론 〈해서를 논함〉(論海瑞)을 통해 펑더화이는 중국 공산당과 마오쩌둥을 비판한 반동분자이므로 해서와 같은 충신으로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57][62]

1965년, 마오쩌둥은 이 희곡이 펑더화이를 풍자한 것이라고 확신하고, 작가인 우한을 비판함으로써 당내 주요 라이벌인 류샤오치를 제거하기 위한 장기적인 계획을 세웠다.[57] 마오쩌둥은 우한을 제거함으로써 류사오치의 측근이었던 펑전을 비판하고 제거하려는 의도를 가졌다.[63]

문화대혁명이 시작되던 1966년, 야오원위안은 펑더화이의 입장을 옹호적으로 묘사한 이 연극이 마오쩌둥에 대한 공격이라는 해석을 바탕으로 연극을 비판하는 글을 실었다. 우한은 문화대혁명의 첫 희생자 중 한 명이 되었고 1969년에 감옥에서 사망했다.[57][59] 우한이 숙청된 이후, 급진 마오쩌둥주의자들은 중국의 문화 기관에서 다른 "우파 인사들"을 빠르게 숙청했고, 연극은 사대부가 그들의 정적들을 공격하는 도구가 되었다.[57][59] 펑전과 류사오치도 우한의 뒤를 이어 숙청되면서 마오쩌둥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였다. 《해서파관》을 지은 극작가인 우한은 마오쩌둥 사망 직후인 1979년에 사후 복권되었다.

해서마오쩌둥이 가장 좋아했던 역사적 인물 중 하나였다.[8] 대약진 운동 당시 거짓 생산 통계 문제와 관련하여 마오는 1959년 4월 당 지도자들에게 진실을 말하는 해서를 본받으라고 촉구하며, 당원들은 해서만큼 용감하지 못하다고 말했다.[9] 1959년 4월 루산 회의를 준비하는 회의에서 마오는 황제에게 보낸 상소문에서 "매우 날카롭고 아첨 없이" 비판한 해서를 권력에 도전한 관리의 예로 제시하며 "오늘날 우리 동지들 중 몇 명이나 해서의 용기를 가지고 있습니까?"라고 질문했다.[10]

《해루파관》이 처음 공연된 후, 비평가들은 이것을 1959년 루산 회의에서 마오를 비판하여 숙청된 펑더화이에 대한 우화로 해석하기 시작했다. 정치적으로 민감한 중국인들은 황제를 마오, 해루를 펑더화이, 부정한 토지 판결을 대약진 운동의 정책과 비슷한 것으로 쉽게 이해했다.[12]

1965년 11월 10일, 야오원위안은 상하이의 일간지 문휘보에 "신편 역사극 ‘해뢰파관’을 평가하다"라는 제목의 논문[51]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해뢰파관》을 프로레타리아 독재와 사회주의에 반대하는 "독초"라고 공격했다.[52]

마오쩌둥은 1965년 12월 21일 내부 담화에서 "요문원의 글도 좋다. (중략) 하지만 급소를 찌르지는 못했다. 급소는 ‘파관’이다. 가정제(嘉靖帝)는 해뢰를 파면했다. 59년 우리는 펑더화이를 파면했다. 펑더화이도 ‘해뢰’다"라고 말했다.[52]

요문원의 논문은 12월에 베이징의 신문과 잡지에도 재인쇄되어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54] 이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중국 공산당의 "문화대혁명 5인소조" 조장이었던 팽진은 1966년 2월 소조를 소집하여 논쟁을 학술적 범위 내에서 해결하려는 "2월 요강"을 작성하고, 당내에서도 승인을 얻었다.[54] 그러나 마오쩌둥은 4월 10일 "2월 요강"은 잘못되었고 당 중앙 선전부는 좌파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전면적으로 비판했다.

1966년 5월에 열린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확대회의에서 "2월 요강"의 취소와 "문화대혁명 5인소조"의 폐지, "중앙문화대혁명소조"의 설치를 담은 "5.16 통지"가 결정됨과 동시에 팽진은 뤄정이, 뤄뤼칭, 양상곤과 결탁한 "반당 집단"이라고 린뱌오에 의해 비난받고 실각했다.[55] "5.16 통지"는 문화대혁명을 발동하게 되었다.

3. 1. 루산 회의와 펑더화이

펑더화이는 1959년에 열린 루산 회의에서 마오쩌둥대약진 운동을 비판했다. 일부 비평가들은 《해서파관》의 해서를 펑더화이에, 가정제를 마오쩌둥에 비유하며 이 희곡이 펑더화이를 옹호하고 마오쩌둥을 비판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57] 펑더화이 자신도 이러한 해석에 동의하여 1962년 마오쩌둥에게 보낸 서한에서 "나는 해서가 되고 싶다!"라고 밝혔다.[60]

하지만 우한은 1959년 9월 21일 《인민일보》에 게재된 평론 〈해서를 논함〉(論海瑞)에서 펑더화이는 중국 공산당과 마오쩌둥을 비판한 반동분자이므로 해서와 같은 충신으로 볼 수 없다고 반박했다.[57][62]

1959년 4월, 상하이에서 향극(湖南省의 지방극)을 본 마오쩌둥은 비서 후차오무에게 해서의 ‘직언간간(直言敢諫)’ 정신을 선전하도록 지시했다. 당시 베이징 부시장이자 칭화대학교 교수이자 명나라 역사 연구가였던 우한은 ‘해수를 논함’ 등의 역사 에세이를 발표했다.[56] 같은 해 8월 루산 회의에서 마오쩌둥은 대약진 운동의 수정을 요구한 국방부장 펑더화이를 실각시킨 후, “좌파의 해수(진짜 해수)와 우파의 해수(가짜 해수)를 나누어야 한다”고 말했다.[56][50] 이에 따라 우한은 9월에 인민일보에 “해수에 대해서”(「論海瑞」)라는 글을 발표하여 펑더화이 비판에 동의했다.[56][50]

주소주


마오쩌둥이 해서에 관한 극을 처음 본 것은 1958년 12월 후난성 창사에서 상연된 「생사패(生死牌)」였다.

이는 후난성 당위원회 제1서기 주소주가 보여준 것이며, 주소주는 마오쩌둥이 추진한 대약진에 반대하여 1959년 루산 회의에서 펑더화이와 함께 "반당 집단"으로 비판받고 좌천되었다. 주소주는 자신이 관할하던 후난성에서는 대약진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지 않았고, 그 결과 대약진의 실패로 전국적으로 기아로 인한 사망이 만연했던 가운데 후난성에서는 기아로 인한 사망을 막을 수 있었다. 주소주는 자신을 해서에 비유하여 극을 상연했다.

3. 2. 야오원위안의 비판

1965년 11월 10일, 야오원위안(姚文元)은 상하이(上海市)의 일간지 문휘보(文匯報)에 "신편 역사극 ‘해뢰파관’을 평가하다(新編歴史劇『海瑞罷官』を評す)"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51] 이 논문에서 야오원위안은 《해서파관》이 억울한 누명을 벗겨주고(平冤獄), 토지를 민중에게 돌려주는 것(退田)이 반혁명분자들의 억울한 누명을 벗겨주고 집단화된 토지를 농민에게 재분배하며 인민공사(人民公社) 해체를 주장하는 것이라고 비판하며, "독초"라고 공격했다.[52] 야오원위안은 이 희곡이 펑더화이를 옹호하고 마오쩌둥을 공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주장했다.

야오원위안의 글은 장칭(江青)과 장춘차오(張春橋)의 제안과 후원을 받았으며,[14] 이는 마오쩌둥의 지시를 따른 것이었다.[14] 마오쩌둥은 1965년 12월 21일 내부 담화에서 "요원원의 글도 좋다. (중략) 하지만 급소를 찌르지는 못했다. 급소는 ‘파관’이다. 가정제(嘉靖帝)는 해뢰를 파면했다. 59년 우리는 펑더화이(彭德懷)를 파면했다. 펑더화이도 ‘해뢰’다"라고 말했다.[52]

야오원위안의 논문은 문화대혁명의 서막이 되었다.

3. 3. 우한의 자기비판과 2월 요강

펑더화이가 1959년에 열린 루산 회의에서 마오쩌둥대약진 운동을 비판했다는 해석이 나오자, 우한은 자기비판 글을 발표했다.[20] 우한은 자신이 "정치와 현실 모두에서 동떨어져 있었고", "단지 희곡을 쓰기 위해 희곡을 썼다"면서 "한마디로, 나는 계급투쟁을 잊었다!"라고 썼다.[21]

우한은 자신의 희곡과 해서에 관한 다른 글들이 루산 회의의 논쟁과 암묵적으로 거리를 두려는 연대기로 자기비판 글을 시작했지만, 오히려 역효과를 낳았다.[22] 야오원위안의 글이 루산 회의와의 연관성을 직접적으로 제기하지 않았기 때문에, 우한의 연대기는 불필요한 사과처럼 보였다.[22] 게다가, 그 연대기는 우한이 해서 관련 글들을 회의 직전과 직후에 썼음을 보여주었다.[22]

우한의 자기비판 글 이후에도 학술적 논쟁은 계속되었으며, 많은 중국 역사학자들은 그 글이 희곡과 관련된 주요 정치적 문제들을 회피하면서 사소한 점에 대한 변명과 양보를 섞은 것이라고 결론지었다.[23]

3. 4. 마오쩌둥의 개입과 5.16 통지

1965년 12월 21일, 마오쩌둥은 이 논쟁에 대해 처음으로 중요한 발언을 했다.[15][24] 그는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업무 회의에서 "펑더화이해서다"라고 말했다.[15] 마오쩌둥은 1959년 루산 회의의 결과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회의 이후 정치적 불일치가 커졌다고 말했다.[26]

1966년 3월 중순부터 5월 중순까지 열린 일련의 최고위급 당 회의에서는 '2월 요강' 이후의 논란과 마오쩌둥의 대응에 대해 논의되었다.[33] 펑전은 '2월 요강'이 공개적인 토론을 장려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그 안에 있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결점은 수정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34] 캉성(펑전과 마찬가지로 5인조의 일원이었다)과 천보다는 펑전을 비판했다.[34]

회의를 통해 펑전이 자신의 입장에 대해 충분한 정치적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분명해지자, 그는 '2월 요강'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35] 4월 말, 중앙위원회는 '2월 요강'을 폐기하고, 5인조를 해산시키고, 펑전이 이끌던 베이징 당 위원회를 해산시키고, 그가 ''해서파관'' 논란을 처리한 방식을 부인하기로 결정했다.[36]

1966년 5월 16일, 중국 공산당은 이러한 결정을 공식화한 "5.16 통지"를 발표했다.[36] 5.16 통지는 문화대혁명의 첫 번째 주요 정치 선언이었다.[36] 처음에는 천보다가 초안을 작성했지만, 마오쩌둥이 주요 수정을 가했다.[36] '2월 요강'을 무효화하고 5인조를 해산시킴으로써, 5.16 통지는 당의 문화 기구 최고위급을 제거했다.[37] 이 공보는 펑전의 정치적 오류를 자세히 논하며, 그가 우한을 옹호하고 연극에 대한 정치적 비판을 막았기 때문에 계급 투쟁을 가렸다고 밝혔다.[38] 5.16 통지는 또한 당 내의 특정되지 않은 우익분자들, 즉 "우리 곁에서 잠자는" 사람들을 비판하며, 그러한 사람들을 니키타 흐루쇼프와 비교했다.[39]

4. 결과 및 역사적 해석

《해서파관》 논쟁은 문화대혁명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중국 현대 정치사의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이 논쟁은 단순한 연극 비평을 넘어, 마오쩌둥의 권력 강화와 정치적 숙청으로 이어졌다.

당시 논란에 대한 공식적인 설명은 펑전이 "2월 요강"을 통해 우한을 보호하려 한 권력 남용 때문에 몰락했다고 주장했다.[27] 그러나 오늘날 중국 정부는 펑전이 2월 요강을 발표한 동기가 우한에 대한 비판에 대한 대중의 혐오 물결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본다.[43] 반면, 알레산드로 루소 학자는 야오원위안의 비판 기사에 대한 대중의 견해가 엇갈렸고, 우한 비판에 가장 자극받은 사람들은 펑전 자신과 문화 기구의 다른 당 엘리트들이었다고 지적한다.[43]

마오쩌둥이 야오원위안의 《해서파관》 비판 기사에 전폭적인 지지를 보낸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44] 일각에서는 우한이 문화 기구 내에서 충분히 높은 지위를 차지하지 못해 적절한 논쟁 대상이 되었다고 보기도 하고,[44] 다른 이들은 펑전이 자신의 권력을 공격하는 것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함정에 빠졌다고 주장한다.

4. 1. 문화대혁명과 숙청

1966년 야오원위안펑더화이의 입장을 동정적으로 묘사한 연극 《해서파관》이 마오쩌둥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에 대한 공격이라는 해석을 바탕으로 비판하는 글을 발표했다. 이 연극의 작가 우한은 문화대혁명의 첫 희생자 가운데 한 명이 되어 1969년 감옥에서 사망했다.[57][59][3]

우한이 숙청된 이후에 급진 마오쩌둥주의자들은 중국의 문화 기관에서 다른 "우파 인사들"을 빠르게 숙청했고, 연극은 사대부가 그들의 정적들을 공격하는 도구가 되었다.[57][59] 펑전과 류샤오치도 우한의 뒤를 이어 숙청되면서 마오쩌둥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였다.

당시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의 5위 고위 간부였던 펑전은 문화대혁명의 첫 번째 고위급 표적이었다.[40] 펑전, 루딩이, 저우양 등과 같은 인물들의 제거는 마오쩌둥의 연합을 강화시켰고, 당 내부의 수정주의에 대한 마오쩌둥의 공격을 더욱 과감하게 만들었다.[42]

《해서파관》에 대한 논란이 전개됨에 따라 마오쩌둥이 수개월 동안 그의 라이벌인 류샤오치 중국 국가주석에 대해 음모를 꾸미고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6] 펑전이 오랫동안 류샤오치를 지지해 왔기 때문에 마오쩌둥은 그의 부하인 우한을 공격함으로써 류샤오치를 약화시킬 수 있었다고도 한다.[46]

4. 2. 역사적 평가

《해서파관》 논쟁은 권력 투쟁과 이념 갈등이 문화 예술 작품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사례로 꼽힌다. 현재 중국 정부는 펑전이 2월 요강을 발표한 동기가 우한에 대한 비판에 대한 대중의 혐오 물결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평가한다.[43] 그러나 알레산드로 루소(Alessandro Russo) 학자는 야오원위안의 비판 기사에 대한 대중의 견해가 엇갈렸고, 우한에 대한 비판에 가장 자극받은 사람들은 펑전 자신과 문화 기구의 다른 당 엘리트들이었다고 지적한다.[43]

마오쩌둥이 《해서파관》 논쟁에 전폭적인 지지를 보낸 이유는 역사적 기록에서 명확하지 않지만,[44] 우한이 펑전의 권력 기반을 약화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었기 때문이라는 가설이 제기된다.[44] 프레드릭 타이웨스(Frederick Teiwes) 학자는 마오쩌둥이 류샤오치를 약화시키기 위해 그의 부하인 우한을 공격했다고 주장한다.[46]

현대 중국에서는 마오쩌둥의 개인적 리더십 권력에 초점을 맞추지만, 논쟁 초기 단계와 "2월 요강"의 공포를 막을 수 없었던 그의 무능력은 그가 당 내부에서 공개적이고 효과적인 정치적 저항에 직면했음을 보여준다.[47]

5. 관련 작품

저우신팡(周信芳)은 쉬쓰옌(許思言)과 함께 희곡 《해서상소》(海瑞上疏, "해서가 자신을 기념한다."는 뜻)를 집필했으며, 이 희곡은 1959년에 상하이 경극단에서 공연되었다.[64][65] 저우신팡(周信芳)은 문화대혁명 때 체포되어 박해를 받다가 1975년에 사망했다.

참조

[1] 서적 The Politics of China : the eras of Mao and Deng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2] 서적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3] 서적 MacFarquhar
[4]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5]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6] 서적 Domes
[7] 서적 Rice
[8] 서적 Mao Zedong and China in the twentieth-century world : a concise history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10
[9] 서적 An ideological history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https://www.worldcat[...] 2020
[10]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11]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12] 서적 Mao's China and after : a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https://www.worldcat[...] 1999
[13] 서적 Mao's China and after : a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https://www.worldcat[...] 1999
[14]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15]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16]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17]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18]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19]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20]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21]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22]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23]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24]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25]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26]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27]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28]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29]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30]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31]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32]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33]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2020
[34]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35]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36]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37]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38]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39]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40] 서적 Mao's China and after : a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https://www.worldcat[...] 1999
[41] 서적 Mao's China and after : a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https://www.worldcat[...] 1999
[42] 서적 The Politics of China : the eras of Mao and Deng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43]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44]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45]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46] 문서 Teiwes
[47]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48] 저널 In Guise of a Congratulation': Political Symbolism in Zhou Xinfang's Play Hai Rui Submits his Memorial 1991-07
[49] 서적 Using the Past to Serve the Present: Historiography and Politics in Contemporary China https://books.google[...] M.E. Sharpe
[50] 서적 文化大革命と現代中国
[51] 웹사이트 http://news.xinhuane[...] 2023-11
[52] 서적 2015
[53] 문서 自留地〔農民が自分で自由に耕作できる土地〕、自由市場〔自留地などの産物を自由に売買できる市場〕、自負盈毀〔黒字赤字の自己責任〕、包産到戸〔農業生産の各戸請負制〕
[54] 서적 文化大革命と現代中国
[55] 서적 文化大革命と現代中国
[56] 서적 2015
[57] 뉴스 이원복의 ‘먼나라 이웃나라’ 중국편 (93) 문화대혁명 ① 해서파관(海瑞罷官)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1-05-04
[58] 서적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59] 문서 MacFarquhar
[60] 문서 Domes
[61] 문서 Rice
[62] 웹인용 吴晗为何被送上“文革”祭坛 http://history.sina.[...] 2014-03-12
[63] 문서 Teiwes
[64] 저널 In Guise of a Congratulation': Political Symbolism in Zhou Xinfang's Play Hai Rui Submits his Memorial 1991-07
[65] 서적 Using the Past to Serve the Present: Historiography and Politics in Contemporary China https://books.google[...] M.E. Sharp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