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외는 대한민국 이외의 지역을 의미하며, 각 국가 및 문화권에 따라 그 범위가 다르게 인식된다. 어원은 고대 중국 문헌과 일본 문헌에서 유래되었으며, 영어 단어 'overseas'는 고대 영어에서 기원한다. 역사적으로는 대륙 간 이동 수단이 발달하면서 '해외'의 개념이 형성되었으며, 현대에는 비행기의 발달로 해외여행이 보편화되었다. 각국은 자국의 지리적 위치, 정치적 상황에 따라 해외의 범위를 다르게 정의하며, 미국은 자국 영토를 제외한 전 세계를, 영국은 아일랜드를 제외한 지역을 해외로 간주한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자국을 제외한 지역을, 중국은 홍콩, 마카오, 타이완 포함 여부에 따라 해외의 범위를 다르게 정의하며, 일본은 '해외'를 서구 열강을 지칭하는 좁은 의미로 사용하기도 한다.
'해외'라는 단어와 개념은 오래전부터 사용되었다.
과거에는 외국으로 가는 수단이 육로나 해로밖에 없었고, 특히 해로의 경우 모험이나 탐험의 의미가 강했다. 15세기에 시작된 대항해시대를 거쳐 범선에 의한 항로가 확립되면서 대양을 건너는 항해가 가능해졌다. 20세기 이후로는 비행기(항공로)를 이용한 해외여행이 보편화되었다.[1]
각국은 자국의 지리적, 정치적 상황에 따라 '해외'를 다르게 정의하고 있다.
2. 어원
한자 문화권에서는 시경·상송·장발에 “相土烈烈 海外有截(상토렬렬 해외유절)”이라는 용례가 있다. 이것은 중국의 문헌이지만, 이미 “외국”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1]
일본 문헌에서는 『속일본기』의 덴표쇼호 5년(753년)에 용례가 있다.[2][3]
영어의 overseas영어는 고대 영어(5세기~12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4]
2. 1. 한국어
한국어에서 '해외'는 대한민국 이외의 지역을 의미한다. 한자어에서는 『시경』의 "相土烈烈 海外有截(상토렬렬 해외유절)"이라는 용례가 있다.[1] 이것은 중국의 문헌이지만, 이미 "외국"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2. 2. 일본어
일본어 문헌에서는 속일본기 덴표쇼호 5년(753년)에 용례가 있다.[2][3] 일본어 문헌으로는 『구책본보물집』(1179년경)이 있다.[2]
2. 3. 영어
영어의 overseas영어는 고대 영어(5세기~12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4]
3. 역사
'해외'라는 개념은 미지의 세계로 나아가던 범선 항로 개척 시대까지의 잔재이며, 해외로의 이동 수단의 주역이 선박에서 비행기로 바뀐 현대에도 많은 잔재가 보인다.[1]
4. 각국의 '해외' 개념
4.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유라시아 대륙과 육지로 연결되어 있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의 군사분계선으로 인해 사실상 육로로 다른 나라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다른 나라를 방문할 때는 항공기나 선박을 이용하여 바다를 건너야 하기 때문에 "해외"라는 표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1]
4. 2. 미국
미국군에서는 '해외(overseas)'를 미국 본토(알래스카주와 하와이주를 제외한 48개 주와 워싱턴 D.C.)를 제외한 전 세계로 정의한다.[5] 괌, 푸에르토리코와 같은 미국령, 알래스카와 하와이도 해외에 포함된다.[5] 하지만 해외근무훈장(Overseas Service Ribbon)에 관해서는 알래스카와 하와이는 다른 규정에 따라 특별 취급되어 알래스카나 하와이 근무로 OSR이 수여되지 않는다.
드물게 해외(overseas)를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로 한정하고, 북미와 남미는 포함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4. 3. 영국
영국에서는 영국과 국경을 접하는 아일랜드를 제외한 국가들을 가리킨다.
4. 4. 오스트레일리아
독립된 대륙 국가인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이외의 지역을 해외라고 한다.
4. 5. 중국
홍콩, 마카오, 타이완을 포함하는지 여부는 경우에 따라 다르다.
4. 6. 일본
일본에서는 '해외'와 같은 의미로 쓰이거나,[6] 더 좁게는 '서구 열강'과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태평양 전쟁 이전 또는 전쟁 중에는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령이었던 조선, 타이완, 남사할린은 해외에 포함하지 않았지만, 위임통치령에 불과했던 남양군도는 해외였다. 다만, 현대 문헌에서 당시를 언급할 경우, 이들은 모두 해외로 간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7](이 경우 "해외"나 "외국"으로 바꾸기는 어렵다).
참조
[1]
서적
角川大字源
[2]
서적
日本国語大辞典
[3]
웹사이트
《巻首》続日本紀 巻第十九〈 起天平勝宝五年正月、尽八歳十二月 〉
http://www.j-texts.c[...]
[4]
웹사이트
Oversea | Define Oversea at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5]
웹사이트
OPNAV INSTRUCTION 1300.15A
http://doni.daps.dla[...]
[6]
웹사이트
海外(かいがい)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09-20
[7]
웹사이트
朝鮮 海外 戦前
https://cir.nii.ac.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